KR20170128933A - 필터 장치 - Google Patents

필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933A
KR20170128933A KR1020160059642A KR20160059642A KR20170128933A KR 20170128933 A KR20170128933 A KR 20170128933A KR 1020160059642 A KR1020160059642 A KR 1020160059642A KR 20160059642 A KR20160059642 A KR 20160059642A KR 20170128933 A KR20170128933 A KR 201701289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screen
foreign matter
raw water
inlet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편기열
편정인
손진식
Original Assignee
편기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편기열 filed Critical 편기열
Priority to KR1020160059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933A/ko
Publication of KR201701289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9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06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with rotary cylindrical filtering surfaces, e.g. hollow dru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6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463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scrapers, brushes nozzles or the like acting on the cake-side of the filtering element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44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 B01D33/48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 B01D33/50Regenerating the filter material in the filter by flushing, e.g. counter-current air-bumps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3/00Filters with filtering elements which move during the filtering operation
    • B01D33/58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 B01D33/60Handling the filter cake in the filter for purposes other than for regenerating the filter cake remaining on the filtering element for wa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201/00Details relating to filtering apparatus
    • B01D2201/08Regeneration of the filter
    • B01D2201/081Regeneration of the filter using nozzles or suction devi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Filtration Of Liquid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원수 유입구를 통해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수 유입 공간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걸러주는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하부에 연결되어 미처리수가 배출되는 미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유입 수단과,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외주면에 유체를 분사시키는 유체 분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를 통해서 분사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필터 장치{apparatus of filter}
본 발명은 필터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오수에 포함된 이물질을 연속적으로 여과시키면서 막힘없이 지속적인 오수처리가 가능한 필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수를 처리하기 위한 오수 처리 설비에는 미세한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필터 장치가 필수적으로 설치되며, 이러한 필터 장치는 표면에 이물질이 협착되어 장시간 사용시에는 그 효율적 급격하게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이러한 필터 장치는 와이어를 이용한 스크린, 쐐기 형태의 와이어를 이용한 와이어 스크린 등이 평판 또는 원통 형태로 제작되어 다양한 분야에서 이물질을 걸러주는 필터 장치에 이용되고 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는 대한민국 특허청에 출원된 출원번호 제10-2007-0076570호(출원일:2007.07.30), 출원번호 제20-2001-0006533호(출원일:2001.03.12) 등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필터 장치는 장시간 사용시에 스크린에 이물질이 흡착되어 별도의 세척 작업이 필요하며, 이러한 세척 작업이 지연되면 필터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여 처리 수량이 현저치 감소하는 사용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세척 작업을 위한 역세 수단 등이 제안되고 있으나, 그 효과가 미미하고, 장시가 사용시 세척 효율이 현저히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연속적으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도록 회전되는 원통형 스크린에 이물질이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수직형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원수 유입구를 통해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수 유입 공간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걸러주는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하부에 연결되어 미처리수가 배출되는 미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유입 수단과,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외주면에 유체를 분사시키는 유체 분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를 통해서 분사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부 펌프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접촉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는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상기 미처리수 배출구는 외부에 설치된 배출 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유체 분사구를 통해서 분사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측으로 배출시킬 수 있도록 대향 배치되어 이물질이 원통형 스크린에 흡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이물질 유입 수단은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접촉되는 밀착부와 원통형 스크린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어 원통형 스크린으로부터 분리된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단면도.
도 2는 도 1의 A-A'부분의 단면도.
도 3은 도 2의 B부위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필터 장치를 도시하는 개념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필터 장치는 몸체(10), 원통형 스크린(20), 미처리수 배출구(40), 처리수 배출구(30), 이물질 유입 수단(60) 및 유체 분사구(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몸체(10)는 원수 유입구(12)를 통해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공간(S1)이 상부에 형성된다. 내부에는 원통형 스크린(20)이 구동 모터(21)에 의해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이물질이 걸러진 처리수는 처리수 배출구(30)로, 미처리수는 미처리수 배출구(40)로 배출되도록 하부에 각각 설치되며, 기본적인 필터 장치의 프레임을 이루게 된다.
다음으로, 상기 원수 유입 공간(S1)로 유입된 원수는 원통형 스크린(20) 내부로 유입되고, 스크린 외부로 관통하여 이동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이러한 원통형 스크린(20)은 웨지 와이어가 수직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원통 형태를 이루는 웨지 와이어 스크린을 이용할 수도 있고, 상기 몸체(10)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상부의 원수 유입 공간(S1)에 유입된 원수는 원통형 스크린 내부(S2)로 이동되고, 원통형 스크린(20)을 통과하면서 이물질이 걸러지게 된다.
또한, 상기 원통형 스크린(20)은 몸체(10) 외부에 설치된 구동 모터(21)를 통해서 회전되며, 원통형 스크린(20)의 회전을 지지하는 지지대(100)가 몸체(10) 내부에 설치되고, 이러한 지지대(100)는 원수 유입 공간(S1)의 원수가 하부로 유출되지 않도록 기밀이 유지되어야 한다.
그리고, 상기 원통형 스크린(20)의 하부에는 스크린을 통과하지 못한 미처리수가 배출되는 미처리수 배출구(40)가 연결되고, 상기 몸체(10) 하부에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20)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30)가 연결된다.
이러한 처리수 배출구(30)는 별도의 배출 모터(32)를 통해서 강제적으로 배출시킬 수 있다.
원수 및 처리수와 미처리수의 유동 흐름을 살펴보면,
원수 유입 공간(S1)으로 유입된 원수는 원통형 스크린(20)의 내부 공간(S2)으로 이동되고, 원통형 스크린(20)을 통과한 처리수는 원통형 스크린(20)와 몸체(10)의 사이 공간(S3)을 통해서 처리수 배출구(30)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반대로 원통형 스크린(20)을 통과하지 못한 이물질이 다량 포함된 미처리수는 원통형 스크린(20)의 하부에 설치된 분리판(29)의 통공을 통해서 미처리수 대기 공간(S4)측으로 이동되어 미처리수 배출구(40)측으로 이동된다.
이러한 필터링 과정이 계속되면 원통형 스크린(20)의 내부에는 이물질이 필연적으로 흡착하게 되고, 이를 제거하기 위한 구성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원통형 스크린(20) 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유입 수단(60)과, 상기 몸체(10)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20) 외주면에 유체를 분사시키는 유체 분사구(50)를 통해서 해결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 분사구(50)는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6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50)를 통해서 분사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 스크린(20)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60)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이물질 유입 수단과 유체 분사구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2는 도 1의 A-A'부분의 단면도이다.
먼저, 이물질 유입 수단(60)은 외부의 펌핑 장치와 연결되어 회전되는 원통형 스크린(20)의 내주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효율적으로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시켜서 처리할 수 있도록 하며, 유체 분사구(50)는 외부의 유체 압축기(공기 또는 물을 이용)에 연결되어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원통형 스크린에 흡착된 이물질을 분리시키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유체 분사구(50)와 이물질 유입구(60)를 통해서 연속적인 이물질의 처리가 가능하다.
이러한 효과를 극대화시키기 위하여 유체 분사구(50)는 이물질 유입 수단(60)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된다.(원통형 스크린 내부와 외부에 서로 마주보록 설치됨)
유체 분사구(50)는 외부의 유체 압축기(공기 또는 물을 이용)에 연결되어 고압으로 유체를 분사하여 원통형 스크린의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이 원통형 스크린과 분리되어 이물질이 유체 유입 수단을 통해서 배출되도록 역할을 하게 된다.
이물질 유입 수단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도 3은 도 2의 B부위의 확대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물질 유입 수단은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부 펌프에 연결되는 유입관(62)과, 상기 유입관(62)의 일측에 수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유입구(64)와, 상기 유입구의 양단에 설치되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접촉되는 밀착부(66)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러한 밀착부(66)는 원통형 스크린(20)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유체 분사구의 분사 노즐(52)을 통해서 협착된 이물질이 원통형 스크린의 내주면으로부터 분리되면 유입구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 역할을 하게 된다.
즉, 유체 분사구의 분사 노즐(52)로부터 배출되는 유체는 원통형 스크린에 협착된 이물질을 유입구(64)측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러한 유입관(62)은 흡입력을 높이기 위하여 외부의 펌프에 연결된다.
이러한 이물질 유입 수단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조절 밸브(69)가 설치되어, 원통형 스크린이 정상작동 중인 경우에는 흡착된 이물질의 흡입 작업을 중단하고, 원통형 스크린에 이물질이 협착되어 처리 효율이 현저히 감소하게 되면 조절 밸브를 열고 외부의 펌프를 통해서 이물질이 유입관측으로 배출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유입구(64)의 내측에는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68)이 형성된다.
이러한 차단막(68)은 외부의 펌프를 통해서 협착된 이물질이 유입관측으로 이동된 상태에서 외부의 펌프의 작동을 멈춘 경우 다시 유입구(64)를 통해서 원통형 스크린 내부로 이물질이 재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차단막(68)은 고무같은 탄성 재질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수직형 필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주요한 기술적 사상으로 하고 있으며, 도면을 참고하여 상술한 실시 예는 단지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0: 몸체
12: 원수 유입구
20: 원통형 스크린
21: 구동모터
29: 분리판
30: 처리수 배출구
32: 배출 펌프
40: 미처리수 배출구
50: 유체 분사구
60: 이물질 유입 수단
62: 유입관
64: 유입구
66: 밀착부
68: 차단막
100: 지지대

Claims (4)

  1. 원수 유입구를 통해서 원수가 유입되는 원수 유입 공간이 상부에 형성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내부 중심에 수직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원수 유입 공간으로부터 내부로 유입되는 원수를 걸러주는 원통형 스크린과;
    상기 원통형 스크린의 하부에 연결되어 미처리수가 배출되는 미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몸체 하부에 결합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을 통과한 처리수가 배출되는 처리수 배출구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인접하여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되는 이물질을 제거하는 이물질 유입 수단과;
    상기 몸체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어 상기 원통형 스크린 외주면에 유체를 분사시키는 유체 분사구;를 포함하되,
    상기 유체 분사구는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도록 설치되어, 상기 유체 분사구를 통해서 분사된 유체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측으로 배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물질 유입 수단은,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에 수직으로 설치되며 외부 펌프에 연결되는 유입관과, 상기 유입관의 일측에 형성된 유입구와, 상기 유입구의 양단에 설치되며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주면에 접촉되는 밀착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필터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유입구의 내측에는 유입된 이물질이 상기 원통형 스크린 내부로 재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차단막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미처리수 배출구는 외부에 설치된 배출 펌프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터 장치.
KR1020160059642A 2016-05-16 2016-05-16 필터 장치 KR201701289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42A KR20170128933A (ko) 2016-05-16 2016-05-16 필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642A KR20170128933A (ko) 2016-05-16 2016-05-16 필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933A true KR20170128933A (ko) 2017-11-24

Family

ID=6081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642A KR20170128933A (ko) 2016-05-16 2016-05-16 필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893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7400A (zh) * 2018-03-20 2018-06-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设备用物料过滤机构
CN114515685A (zh) * 2020-11-19 2022-05-20 三门县远景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清洁的混凝土砂石分离机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187400A (zh) * 2018-03-20 2018-06-22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设备用物料过滤机构
CN108187400B (zh) * 2018-03-20 2020-03-31 温州职业技术学院 一种化工设备用物料过滤机构
CN114515685A (zh) * 2020-11-19 2022-05-20 三门县远景建筑材料有限公司 一种能够快速清洁的混凝土砂石分离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95187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filter material in a filter apparatus utilizing a suction generating nozzle
KR100538306B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WO2015068246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JP2008212852A (ja) フィルター装置とその洗浄方法及びこれを備えた液体の無害化処理装置
US20190255468A1 (en) Frame-type disc filter with bypass water control for preventing bypass water from being used in backwashing
KR101622368B1 (ko) 여과 및 역세척 기능을 갖는 수 처리 장치
KR20170128933A (ko) 필터 장치
KR101751212B1 (ko) 디스크형 섬유 필터의 다단 세척기능을 갖는 여과장치
KR100828314B1 (ko) 이물질 여과장치
JP6608631B2 (ja) 濾過装置及び濾過装置のフィルター洗浄方法
KR102041612B1 (ko) 필터세척이 가능한 수처리 시스템
KR101696633B1 (ko) 필터 장치
US20110017656A1 (en) Rotary filtration device
KR101874407B1 (ko) 정수처리용 멤브레인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 장치
KR102299939B1 (ko) 하폐수 처리용 침지형 분리막 여과장치
KR100927042B1 (ko) 세척수 유도기능을 갖는 회전 디스크 필터형 연속 여과장치
WO2015068245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WO2014118926A1 (ja) バラスト水処理装置
KR101949804B1 (ko) 오염수 스크린 필터 장치
KR101603743B1 (ko) 모래 여과재에 의한 수처리 여과장치
KR20180005901A (ko) 수평형 필터 장치
KR200370318Y1 (ko) 자동세정 필터시스템
KR20140065795A (ko) 다중노즐을 갖는 자동역세장치의 효율형 bwms 필터링 시스템.
KR200420112Y1 (ko) 수처리용 침지형 여과장치
KR101955412B1 (ko) 미세분진 포집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