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828A -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 Google Patents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828A
KR20170128828A KR1020160059353A KR20160059353A KR20170128828A KR 20170128828 A KR20170128828 A KR 20170128828A KR 1020160059353 A KR1020160059353 A KR 1020160059353A KR 20160059353 A KR20160059353 A KR 20160059353A KR 20170128828 A KR20170128828 A KR 2017012882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k
nameplate
coloring
groove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8340B1 (ko
Inventor
김동권
Original Assignee
김동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권 filed Critical 김동권
Priority to KR1020160059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834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88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8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83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83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BMACHINES, APPARATUS OR TOOLS FOR ARTISTIC WORK, e.g. FOR SCULPTURING, GUILLOCHING, CARVING, BRANDING, INLAYING
    • B44B9/00Machines or apparatus for 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tarsia or mosaic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CPRODUCING DECORATIVE EFFECTS; MOSAICS; TARSIA WORK; PAPERHANGING
    • B44C1/00Process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elsewhere, for producing decorative surface effects
    • B44C1/26Inlaying with ornamental structures, e.g. niello work, tarsia wor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4DECORATIVE ARTS
    • B44D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PRESERVING PAINTINGS; SURFACE TREATMENT TO OBTAIN SPECIAL ARTISTIC SURFACE EFFECTS OR FINISHES
    • B44D3/00Accessories or implements for use in connection with painting or artistic draw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Methods or devices for colour determination, selection, or synthesis, e.g. use of colour tables
    • B44D3/22Implements or apparatus for special techniques, e.g. for painting lines, for pouring varnish; Batik pencils

Landscapes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명판 채색용 모듈은 명판 채색용 노즐 바디, 개폐 바디, 개폐 유닛, 및 채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바디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공작기계의 바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홈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개폐 바디는 노즐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을 통하여 제1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을 통하여 잉크를 홈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제2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개폐 유닛은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되는 제1 차단부, 제1 차단부에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채색 유닛은 제1 차단부로부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연통홀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 및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잉크를 홈의 상기 표면에 채색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NOZZLE FOR PAINTING NAMEPLATE AND MODULE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명판에 새겨진 홈에 잉크를 몰입할 수 있는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명판 제조 기술에 있어서, 먼저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조각 작업을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프로그램이 설치된 제어부를 통해 드릴 및 상기 드릴이 장착된 스핀들을 포함하는 공작기계를 이용하여 상기 명판에 이름과 같은 글자체를 따라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어서, 작업자가 수작업을 통하여 잉크를 상기 홈에 몰입하는 단계, 상기 홈에 몰입된 잉크를 건조시키는 단계, 및 잘못 몰입된 잉크를 제거하는 단계 등을 수행하여 상기 명판을 최종적으로 완성하여야 한다.
이에 따라, 소요되는 공정 시간 및 작업 원가가 증가하며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고 상기 작업자에 의한 수작업에서 기인하는 품질 저하의 문제가 존재하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일 과제는 자동으로 잉크를 몰입시켜 공정 시간을 단축하고 생산성 및 품질을 증가시킬 수 있는 명판 채색용 노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포함하는 평판 채색용 모듈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은 명판 채색용 노즐 바디, 개폐 바디, 개폐 유닛, 및 채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공작기계의 바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홈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바디는 상기 노즐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제2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 차단부, 상기 개폐 바디 및 상기 제1 차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차단부에 상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색 유닛은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채색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3 차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주입구, 및 상기 잉크를 원활하기 상기 홈의 상기 표면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기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잉크 주입구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기구와 상기 개폐 유닛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은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통, 상기 잉크통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공급받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상기 잉크통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연결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공급하는 잉크 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은 노즐 바디, 개폐 바디, 개폐 유닛, 및 채색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노즐 바디는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공작기계의 바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홈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상기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바디는 상기 노즐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제2 내부 공간을 가질 수 있다.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 차단부, 상기 개폐 바디 및 상기 제1 차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차단부에 상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채색 유닛은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채색하는 베어링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명판 채색용 모듈은 상기 잉크 호스에 장착되고, 상기 잉크 호스의 연장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 호스의 단면의 크기를 조정하여 공급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잉크량 조절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노즐 및 명판 채색용 모듈은 1차 조각 작업 후에 조각용 드릴을 공작기계의 바이트에서 제거하고,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포함하는 상기 명판 채색용 모듈을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작기계의 상하 이송블럭에 잉크통을 고정시키고 상기 공작기계의 상기 바이트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설치하며, 잉크 호스를 상기 잉크통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차 조각 작업을 위해 상기 공작기계에 전송했던 프로그램을 재실행하여,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기 형성된 명판의 홈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상기 명판을 채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각된 상기 명판의 상기 홈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통하여 자동으로 잉크를 몰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몰입 수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상기 잉크가 상기 홈을 따라 몰입되므로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상기 홈을 따라 이동할 때만 상기 잉크가 토출되며,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상기 홈을 벗어나거나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기 잉크가 토출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잉크량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상기 홈에 몰입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용하여 명판의 홈을 채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잉크량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잉크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평판 채색용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용하여 명판의 홈을 채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 1, 제 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로부터 이탈되지 않은 채 제 1 구성요소는 제 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2 구성요소도 제 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인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용하여 명판의 홈을 채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4는 도 1의 잉크량 조절 유닛을 이용하여 잉크량을 조절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다른 명판 채색용 모듈(10)은 잉크(L)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통(110), 잉크통(110)으로부터 잉크(L)를 공급받고 잉크(L)를 명판(M)의 홈(H)에 토출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잉크통(110)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연결하여 잉크(L)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공급하는 잉크 호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은 노즐 바디(100), 개폐 바디(200), 개폐 유닛(300), 및 채색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노즐 바디(100)는 일방향(D1)으로 연장되어 명판(M)에 홈(H)을 형성하는 공작기계(도시되지 않음)의 바이트에 일단(112)이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명판(M)에 홈(H)을 형성하기 위한 조각 공정 후, 상기 공작기계의 스핀들에 장착된 드릴(도시되지 않음)을 제거하고 노즐 바디(100)의 일단(112)은 상기 바이트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노즐 바디(100)는 명판(M)의 홈(H)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잉크(L)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102)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노즐 바디(100)는 제1 내부 공간(102)에 잉크(L)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주입구(104) 및 잉크(L)를 원활하게 명판(M)의 홈(H)의 상기 표면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기구(10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잉크 주입구(104)는 일방향(D1)을 기준으로 통기구(106)와 후술하는 개폐 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잉크(L)가 통기구(106)를 통하여 누출되지 않도록 예방할 수 있다.
개폐 바디(200)는 노즐 바디(100)의 타단(114)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202)을 통하여 제1 내부 공간(102)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204)을 통하여 잉크(L)를 명판(M)의 홈(H)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내부 공간(206)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연통홀들(202, 204)은 일방향(D1)을 따라 개폐 바디(200)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내부 공간(102), 제1 연통홀(202), 제2 내부 공간(206) 및 제2 연통홀(204)을 통하여 잉크(L)는 명판(M)의 홈(H)의 상기 표면에 토출될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제1 차단부(310), 탄성 부재(320), 및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통홀(20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연통홀(202)로 유입되는 잉크(L)가 명판(M)의 홈(H)으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제1 차단부(31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연통홀(204)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부(310)는 제2 연통홀(204)을 커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작기계에 의해 채색 유닛(400)이 명판(M)의 홈(H)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차단부(310)는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탄성 부재(320)는 개폐 바디(200) 및 제1 차단부(310) 사이에 개재되어 제1 차단부(310)에 상기 탄성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탄성 부재(320)는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지지부(330)는 제1 차단부(310)로부터 일방향(D1)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탄성부재(320)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330)는 제1 차단부(310)가 일방향(D1) 또는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때, 제1 연통홀(202)을 관통할 수 있다.
채색 유닛(400)은 제1 차단부(310)로부터 일방향(D1)으로 연장되어 제2 연통홀(204)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410) 및 베어링 지지부(410)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잉크(L)를 명판(M)의 홈(H)의 상기 표면을 채색하는 베어링(420)을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명판 채색용 모듈(10)은 잉크 호스(120) 상에 장착되며 잉크 호스(120)의 연장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 가능한 조절기(134)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절기(134)는 하우징(132)에 수용될 수 있으며, 회전축(136)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잉크 호스(120)의 연장 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하우징(132)의 이동홀(138)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잉크 호스(120)의 단면의 크기(L2)는 조절기(134)에 의하여 잉크 호스(120)의 다른 단면의 크기(L1)를 가질 수 있으며, 잉크량 조절 유닛(130)은 조절기(134)를 이용하여 잉크(L)의 토출되는 양을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조절기(134)를 이용하여 명판(M)의 홈(H)의 채색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판(M)의 홈(H)이 잉크(L)를 몰입할 때, 상기 공작기계에 의해 채색 유닛(400)이 명판(M)의 홈(H)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차단부(310)는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연통홀(204)은 오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102)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L)는 제1 연통홀(202), 제2 내부 공간(206), 및 제2 연통홀(204)을 따라 베어링 지지부(410) 및 베어링(420)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명판(M)의 홈(H)에 몰입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동시킬 때, 즉 잉크(L)를 토출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제1 차단부(31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되어 제2 연통홀(204)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102)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L)는 명판(M)의 홈(H)으로 몰입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10)은 1차 조각 작업 후에 조각용 드릴을 상기 공작기계의 상기 바이트에서 제거하고,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10)을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작기계의 상하 이송블럭(도시되지 않음)에 잉크통(110)을 고정시키고 상기 공작기계의 상기 바이트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설치하며, 잉크 호스(120)를 잉크통(110)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차 조각 작업을 위해 상기 공작기계에 전송했던 프로그램을 재실행하여,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기 형성된 명판(M)의 홈(H)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명판(M)의 홈(H)을 채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각된 명판(M)의 홈(H)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통하여 자동으로 잉크를 몰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몰입 수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잉크(L)가 홈(H)을 따라 몰입되므로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홈(H)을 따라 이동할 때만 잉크(L)가 토출되며,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작업을 수행하지 않을 때는 탄성력을 이용하여 잉크(L)가 토출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잉크량 조절 유닛(130)을 이용하여, 홈(H)에 몰입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5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도 5의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용하여 명판의 홈을 채색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8에 도시된 명판 채색용 모듈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로 설명한 명판 채색용 모듈에서 제2 및 제3 차단부들을 제외하고는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및/또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된다.
도 5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다른 명판 채색용 모듈(12)은 잉크(L)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통(110), 잉크통(110)으로부터 잉크(L)를 공급받고 잉크(L)를 명판(M)의 홈(H)에 토출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잉크통(110)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연결하여 잉크(L)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공급하는 잉크 호스(120)를 포함한다.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은 노즐 바디(100), 개폐 바디(200), 개폐 유닛(300), 및 채색 유닛(400)을 포함할 수 있다.
개폐 유닛(300)은 제1 차단부(310), 탄성 부재(320), 및 지지부(3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연통홀(204)을 선택적으로 개폐하여 제1 연통홀(202)로 유입되는 잉크(L)가 명판(M)의 홈(H)으로 선택적으로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있어서, 개폐 유닛(300)은 지지부(330)에 연결되며, 제1 내부 공간(102)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1 연통홀(202)을 개폐하는 제2 차단부(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개폐 유닛(300)은 베어링 지지부(410)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제2 연통홀(204)을 개폐하는 제3 차단부(3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차단부(31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제2 연통홀(204)을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차단부(310)는 제2 연통홀(204)을 커버할 수 있을 만큼 충분한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320)는 지지부(330)를 통하여 제1 차단부(310)와 연결되며, 제2 차단부(320)도 탄성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되어 제1 연통홀(202)을 커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작기계에 의해 채색 유닛(400)이 명판(M)의 홈(H)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차단부(310)는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1 차단부(310)와 연결될 제2 및 제3 차단부들(340, 350)도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명판(M)의 홈(H)이 잉크(L)를 몰입할 때, 상기 공작기계에 의해 채색 유닛(400)이 명판(M)의 홈(H)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1 차단부(310)는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연통홀(204)은 오픈될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340)는 지지부(330)를 통하여 제1 차단부(310)와 연결되므로, 일방향(D1)의 상기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연통홀(202)도 오픈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102)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L)는 제1 연통홀(202), 제2 내부 공간(206), 및 제2 연통홀(204)을 따라 베어링 지지부(410) 및 베어링(420)으로 토출될 수 있으며, 명판(M)의 홈(H)에 몰입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홈(H)을 벗어나게 되면, 상기 공작기계에 의해 채색 유닛(400)이 명판(H)을 더욱 가압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제3 차단부(350)가 일방향(D1)의 반대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연통홀(204)은 닫힐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홈(H)을 벗어나 잉크(L)가 잘못 몰입될 수 있는 경우에는 잉크(L)가 제3 차단부(350)에 의해 토출되지 않기 때문에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순히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이동시킬 때, 즉 잉크(L)를 토출할 필요가 없을 경우에, 제1 차단부(31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되어 제2 연통홀(204)을 닫을 수 있다. 또한, 제2 차단부(340)는 탄성 부재(320)의 탄성력에 의하여 일방향(D1)으로 이동되어 제1 연통홀(202)을 닫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공간(102)에 수용되어 있던 잉크(L)는 명판(M)의 홈(H)으로 몰입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명판 채색용 모듈(12)은 1차 조각 작업 후에 조각용 드릴을 상기 공작기계의 상기 바이트에서 제거하고,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12)을 상기 공작기계에 장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공작기계의 상하 이송블럭(도시되지 않음)에 잉크통(110)을 고정시키고 상기 공작기계의 상기 바이트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설치하며, 잉크 호스(120)를 잉크통(110)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연결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1차 조각 작업을 위해 상기 공작기계에 전송했던 프로그램을 재실행하여,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기 형성된 명판(M)의 홈(H)을 따라 이동시키면서 명판(M)의 홈(H)을 채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조각된 명판(M)의 홈(H)에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통하여 자동으로 잉크를 몰입시킬 수 있으므로, 작업자의 몰입 수작업을 배제시킬 수 있고 품질 향상을 꾀할 수 있다. 또한, 자동으로 잉크(L)가 홈(H)을 따라 몰입되므로 공정 시간 및 공정 비용을 줄이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홈(H)을 따라 이동할 때만 잉크(L)가 토출되며,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작업을 수행하거나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이 홈(H)을 벗어나는 경우에 탄성력에 의한 제2 및 제3 차단부들(340, 350)을 이용하여 잉크(L)가 토출되지 않도록 조절될 수 있으므로, 더욱 뛰어난 품질 향상을 기대할 수 있다. 나아가, 잉크량 조절 유닛(130)을 이용하여, 홈(H)에 몰입하는 면적을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12: 명판 채색용 모듈 100: 노즐 바디
102: 제1 내부 공간 104: 잉크 주입구
106: 통기구 110: 잉크통
120: 잉크 호스 130: 잉크량 조절 유닛
200: 개폐 바디 202: 제1 연통홀
204: 제2 연통홀 206: 제2 내부 공간
300: 개폐 유닛 310: 제1 차단부
320: 탄성 부재 330: 지지부
340: 제2 차단부 350: 제3 차단부
400: 채색 유닛 410: 베어링 지지부
420: 베어링

Claims (7)

  1.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공작기계의 바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홈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갖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제2 내부 공간을 갖는 개폐 바디;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 차단부, 상기 개폐 바디 및 상기 제1 차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차단부에 상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채색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채색 유닛을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수용되고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1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2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유닛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연결되며, 상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3 차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즐 바디는,
    상기 제1 내부 공간에 상기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 주입구; 및
    상기 잉크를 원활하기 상기 홈의 상기 표면으로 토출시키기 위한 통기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잉크 주입구는 상기 일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통기구와 상기 개폐 유닛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 부재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6. 잉크를 공급하기 위한 잉크통;
    상기 잉크통으로부터 상기 잉크를 공급받고 상기 잉크를 토출하는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상기 잉크통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을 연결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에 공급하는 잉크 호스를 포함하고,
    상기 명판 채색용 노즐은,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명판에 홈을 형성하는 공작기계의 바이트에 일단이 결합되며, 상기 홈의 표면을 채색하기 위한 상기 잉크를 수용하는 제1 내부 공간을 갖는 노즐 바디;
    상기 노즐 바디의 타단에 결합되며, 제1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제1 내부 공간과 연통되며 제2 연통홀을 통하여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토출하기 위한 제2 내부 공간을 갖는 개폐 바디;
    상기 제2 내부 공간에 수용되며 탄성력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 연통홀을 개폐하는 제1 차단부, 상기 개폐 바디 및 상기 제1 차단부 사이에 개재되어 상기 제1 차단부에 상기 탄성력을 발생시키는 탄성 부재,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탄성 부재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개폐 유닛; 및
    상기 제1 차단부로부터 상기 일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연통홀을 관통하며 외부로 노출되는 베어링 지지부, 및 상기 베어링 지지부에 의해 지지되어 회전되며 상기 잉크를 상기 홈의 상기 표면에 채색하는 베어링을 포함하는 채색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명판 채색용 모듈은,
    상기 잉크 호스에 장착되고, 상기 잉크 호스의 연장방향과 예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외력에 의해 이동가능한 조절기를 포함하고, 상기 조절기를 이용하여 상기 잉크 호스의 단면의 크기를 조정하여 공급되는 상기 잉크의 양을 조절할 수 있는 잉크량 조절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KR1020160059353A 2016-05-16 2016-05-16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KR1018183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53A KR101818340B1 (ko) 2016-05-16 2016-05-16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353A KR101818340B1 (ko) 2016-05-16 2016-05-16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828A true KR20170128828A (ko) 2017-11-24
KR101818340B1 KR101818340B1 (ko) 2018-01-12

Family

ID=608102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353A KR101818340B1 (ko) 2016-05-16 2016-05-16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83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7244A (zh) * 2022-09-14 2022-11-22 袁建国 一种电能表装铭牌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0390Y1 (ko) 2001-11-08 2002-04-03 김명숙 도포가 용이한 칼라펜
JP5608015B2 (ja) * 2009-09-01 2014-10-15 三菱鉛筆株式会社 弁付塗布具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67244A (zh) * 2022-09-14 2022-11-22 袁建国 一种电能表装铭牌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8340B1 (ko) 2018-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5250B1 (ko) 잉크젯 헤드의 유지보수 방법 및 기구, 및 장치
US20080152819A1 (en) Device And Process For Coating Workpieces
US20080106568A1 (en) Device For Patterning Workpieces
US8915572B2 (en) Printhead adapter for pigmented ink
AU692079B2 (en) Ink container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same
KR101818340B1 (ko) 명판 채색용 노즐 및 이를 포함하는 명판 채색용 모듈
US20080186366A1 (en) Ink-jet device and method for depositing ink using the same
CN103253001B (zh) 喷墨记录装置
EP2855161B1 (de) Zusatz-druckeinrichtung in einer bogendruckmaschine
CN109202486B (zh) 一种转向节夹具
KR101360021B1 (ko) 스크린 프린터용 솔더 크림 공급 장치
JP2020116766A (ja) 液体噴射装置、液体噴射装置の制御方法
KR100975650B1 (ko) 평면 노즐의 세정 장치, 세정 시스템 및 세정 방법
ATE298360T1 (de) Tintenzusammensetzung für tintenstrahldrucker
US20180093479A1 (en) Ink-jet printer with wiper assembly
EP3967507A1 (en) Method for ink jet durability and adhesion
CN205363267U (zh) 一种激光增材制造设备的可调节操作台
CN208463082U (zh) 一种印刷机
CN210337287U (zh) 一种带有减少油墨沾染装置的四色印刷机
CN110303788B (zh) 喷墨打印方法、装置以及设备
CN113795387A (zh) 保持喷墨印刷头弯液面的方法
KR100993700B1 (ko) 공작기계용 공구 밀착 장치
DE10127207A1 (de) Spannvorrichtung
JP2019162868A (ja) 自動厚さ制御チャック
US20080131593A1 (en) Contact lens mold printing systems and process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