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526A - Feeder for agricultural machinery - Google Patents
Feeder for agricultural machinery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8526A KR20170128526A KR1020177029711A KR20177029711A KR20170128526A KR 20170128526 A KR20170128526 A KR 20170128526A KR 1020177029711 A KR1020177029711 A KR 1020177029711A KR 20177029711 A KR20177029711 A KR 20177029711A KR 20170128526 A KR20170128526 A KR 20170128526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ll
- brush
- groove
- seed
- guide member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7/00—Sowing
- A01C7/08—Broadcast seeders; Seeders depositing seeds in rows
- A01C7/12—Seeders with feeding whee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5/00—Fertiliser distribu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 Y02P60/16—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wing (AREA)
Abstract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갖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송 롤과,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된 반송물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한 레벨링 부재(leveling member)와, 상기 레벨링 부재를 통과한 반송물을 상기 홈과의 사이에서 보유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반송물을 수납하는 호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에 공급된 반송물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 형성된 공급부와, 상기 호퍼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호퍼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한쪽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배출 안내부가 마련된다.A leveling member for blocking the passage of the transported object protruding from the groove; a transporting member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product through the leveling member; And a hopper part for receiving the transported material, wherein the transporting device transports the transported material supplied to the grooves, the transporting device comprising: a supply part formed in the hopper part; And a discharge guid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ly portion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Description
본 발명은, 소정량의 반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이와 같은 이송 장치를 구비하는 농업용 기계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특허 문헌 1에는, 종자홈을 마련한 이송 롤과, 이송 롤의 홈으로부터 종자가 낙하하는 것을 방지하는 종자 안내 가이드 및 낙하 조절 부재와, 종자홈의 종자량을 일정하게 하는 청소 브러쉬를 구비하는 직파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 이송 롤, 종자 안내 가이드 및 낙하 조절 부재, 청소 브러쉬는 지지 케이스 내에 마련되고, 지지 케이스의 내측면으로부터 이송 롤의 외주면을 향해 받침망이 수평 방향으로 연장되어 종자의 낙하가 방지된다.
특허 문헌 1은, 지지 케이스 내의 종자 공급로의 하단에 받침망이 배치되는 구성이므로, 지지 케이스 내의 종자를 배출할 때, 받침망을 떼어내어 그 하방으로 떨어뜨리는 것이 필요하다. 별도로 배출구를 마련한 경우에도, 받침망 위의 종자는 받침망을 떼어내어 배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호퍼부 내에 잔류한 반송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는 이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nveying device capable of easily discharging a conveyed matter remaining in a hopper portion.
축 방향으로 형성되는 홈을 둘레 방향으로 복수 개 갖고,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이송 롤과,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된 반송물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한 레벨링 부재(leveling member)와, 상기 레벨링 부재를 통과한 반송물을 상기 홈과의 사이에서 보유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반송물을 수납하는 호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에 공급된 반송물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 형성된 공급부와, 상기 호퍼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호퍼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한쪽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배출 안내부가 마련된다.A leveling member for blocking the passage of the transported object protruding from the groove; a transporting member for transporting the transported product through the leveling member; And a hopper part for receiving the transported material, wherein the transporting device transports the transported material supplied to the grooves, the transporting device comprising: a supply part formed in the hopper part; And a discharge guide portion form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ly portion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상기 레벨링 부재는 브러쉬 부재이며, 상기 공급부, 상기 레벨링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가 롤 회전 방향에 대해 차례로 배치된다.The leveling member is a brush member, and the supply portion, the level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disposed in order with respect to the roll rotation direction.
상기 이송 장치는, 이동 농기계에 구비된 반송부이다.The conveying device is a conveying part provided in a moving farm machinery.
본 발명의 이송 장치에 의하면, 호퍼부 내에 잔류한 반송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convey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nveyed matter remaining in the hopper portion can be easily dis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구비한 농업용 기계의 일 실시 형태인 파종 장치, 및 파종 장치가 장착된 주행 기체(이동 농기계)의 전체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파종 장치가 장착된 주행 기체의 일부 후방 사시도이다.
도 3은 파종 장치의 후방 사시도이다.
도 4는 파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파종 장치의 내부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이송 롤의 홈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파종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8은 파종 장치의 전방 사시도이다.
도 9는 파종 장치의 구동 계통을 나타내는 전방 사시도이다.
도 10은 클러치 기구의 확대도이다.
도 11은 클러치 제어 장치의 확대도이다.
도 12는 가이드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가이드 부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가이드 부재의 횡방향 단면도이다.
도 15는 가이드 부재의 종방향 단면도이다.
도 16은 가이드 부재와 이송 롤의 틈새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 17은 가이드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8은 브러쉬 부재의 폭을 조정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브러쉬 부재의 폭을 조정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0은 브러쉬 부재의 폭을 조정하는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1은 브러쉬 부재에 유출 방지벽을 마련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브러쉬 부재에 유출 방지벽을 마련한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3은 브러쉬 부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구비한 농업용 기계의 다른 실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1 is a side view showing the entire configuration of a sowing apparatus, which is an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machine having a fee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a running vehicle (moving farming machinery) equipped with a sowing apparatus.
2 is a partially rear perspective view of a running vehicle equipped with a seeding apparatus.
3 is a rear perspective view of the seeding apparatus.
4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eding apparatus.
5 is a sectional view show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the seeding apparatus.
6 is a view showing the grooves of the transport roll.
7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eding apparatus.
8 is a front perspective view of the seeding apparatus.
9 is a front perspective view showing a drive system of the seeding apparatus.
10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11 is an enlarged view of the clutch control device.
12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1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guide member.
14 is a cross-sectional view of the guide member.
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of the guide member.
16 is an enlarged view showing a gap between the guide member and the transport roll.
17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guide member.
18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brush member.
19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brush member.
20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for adjusting the width of the brush member.
21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utflow preventing wall is provided on the brush member.
22 is a view showing an embodiment in which an outflow preventing wall is provided on the brush member.
23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the brush member.
Fig. 24 is a view showing another embodiment of an agricultural machine provided with the transporting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도 1 및 도 2를 참조해, 이송 장치를 구비한 파종 장치(1)를 후부에 장착한 주행 기체(2)의 전체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 파종 장치(1)는, 주행 기체(2)의 주행에 수반해 소정량의 종자(본 발명에서의 '반송물'의 일 실시 형태이며, 예를 들면 1㎜에서 10㎜ 정도의 폭을 갖는 볍씨이다. 또한, '반송물'로는, 전술한 볍씨 외에, 길이 10㎝ 정도의 농작물, 그것보다 큰 폭, 지름을 갖는 것을 폭넓게 포함한다.)를 이송 장치에 의해 반송해 지면에 직접 점파종한다. 주행 기체(2)는 후부에 파종 장치(1)가 장착된 상태로 주행하는 이동 농기계이다.Referring to Figs. 1 and 2, the overall configuration of a
주행 기체(2)는 엔진(3), 엔진(3)으로부터의 동력을 변속하는 트랜스미션(4),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을 지지하는 기체 프레임(5),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으로부터 전달되는 동력에 의해 구동되는 전륜(6) 및 후륜(7) 등을 구비한다.The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으로부터의 동력은, 각각 전방축 케이스(8), 후방축 케이스(9)에 전달된다. 전방축 케이스(8)는 기체 프레임(5)의 앞 부분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좌우 양단부에 전륜(6)이 지지된다. 마찬가지로, 후방축 케이스(9)는 기체 프레임(5)의 뒷부분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좌우 양단부에 후륜(7)이 지지된다.The power from the
기체 프레임(5)의 상부는 스텝(10)에 의해 덮여 있어, 오퍼레이터는 스텝(10) 상을 이동 가능하다.The upper part of the
주행 기체(2)의 전후 중간부에 운전석(11)이 배치되고, 그 전방에 조향 핸들(12), 조작 페달(13) 및 대시보드(14) 등이 마련된다. 대시보드(14)에는 조향 핸들(12) 외에, 각종 조작용 조작구, 표시 장치가 배치되어 있다.A driver's
주행 기체(2)의 후부에는 승강 링크 기구(20)를 개재해 파종 장치(1)가 연결된다. 승강 링크 기구(20)는 좌우 한 쌍의 상부 링크(21) 및 하부 링크(22), 승강 실린더(23), 회전 아암(24) 등을 구비한다. 승강 실린더(23)는 하부 링크(22) 사이에 고정되는 회전 아암(24)에 접속된다. 승강 실린더(23)를 신축시켜 회전 아암(24)을 이동시킴으로써, 하부 링크(22), 상부 링크(21)를 회동시켜 파종 장치(1)를 승강시킨다.A seeding apparatus (1) is connected to the rear portion of the traveling base (2) with a lifting link mechanism (20). The
파종 장치(1)에는 파종 프레임에 지지되는 복수의 플로트(25) 및 마커(26)가 부설된다. 플로트(25)는 파종 장치(1)가 진흙 속에 빠지지 않도록 지지한다. 마커(26)는 헤드랜드(headland)에서 주회해 다음 조(條)의 파종을 행할 때의 표식을 포장(圃場)면 상에 붙인다. 그 표식에 주행 기체(2)의 앞 부분에 마련되는 센터 마커(27)를 맞추면서 주행함으로써, 조 간격을 적정하게 유지하면서 파종할 수 있다.The
파종 장치(1)의 전방에는, 입자상의 비료(반송물)를 시비하기 위한 시비 장치(28)가 마련된다. 시비 장치(28)로부터 플로트(25)를 향해 호스(28a)가 마련되고, 호스(28a)를 통해 비료가 살포된다. 파종 장치(1)의 후방에는, 입자상의 약제(반송물) 또는 액상의 약제를 살포하는 약제 살포 장치(29)가 마련된다. 한편, 이들 시비 장치(28) 및 약제 살포 장치(29)에도 파종 장치(1)의 이송 장치와 같은 구성을 포함하여, 소정량의 반송물을 연속적으로 이송하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On the front side of the
[파종 장치][Sowing device]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해, 파종 장치(1)의 구조에 대해 설명한다. 파종 장치(1)는 승강 링크 기구(20)를 개재해 주행 기체(2)의 후방에 연결되어, 주행 기체(2)에 의한 주행과 동시에, 종자를 소정 위치에 소정량 뿌리기 위한 파종기이다.Hereinafter, the structure of the seeding
파종 장치(1)는, 종자를 저장하는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종자를 소정량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각 부재를 수용하는 롤 케이스(31)를 구비한다. 파종 장치(1)는 6조(條)분의 종자를 동시에 살포할 수 있도록, 6개의 롤 케이스(31)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다. 호퍼(30)는 2조분의 종자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하단부가 두 갈래로 나누어져 롤 케이스(31)에 접속된다. 즉, 파종 장치(1)는 3개의 호퍼(30)를 좌우 방향으로 나란히 구비한다. 롤 케이스(31) 내에는,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이송 롤(32), 이송 롤(32)의 축 방향으로 형성되어 둘레 방향을 따라 복수 개 배열되는 홈(33), 이송 롤(32)의 상방에 배치되는 구획 브러쉬(34), 및 이송 롤(32)의 표면에 근접해 배치되어 이송 롤(32)의 홈(33) 내에 보유되는 종자를 이송 롤(32)의 하부측으로 안내하는 가이드 부재(35)가 마련된다.The seeding apparatus (1) has a roll case (31) for accommodating respective members for continuously feeding seeds fed from a hopper (30) for storing seeds by a predetermined amount. The seeding apparatus (1) has six roll cases (31) arranged side by side so that six seeds can be simultaneously sprayed. The
롤 케이스(31)의 상부이면서 이송 롤(32)의 위쪽에는, 볍씨 보급 센서(36)가 마련된다. 볍씨 보급 센서(36)에는 종자가 적어져 볍씨 보급 센서(36)보다 잔량의 상면이 낮아진다는 경보를 내는 기능이 있지만, 볍씨 보급 센서(36)를 롤 케이스(31) 내에 마련함으로써, 호퍼(30)와 롤 케이스(31)의 접속부에 브릿지가 발생했을 때, 롤 케이스(31) 내의 종자량 감소를 감지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호퍼(30)로부터의 접속부에서 종자 막힘이 생겼을 경우의 결립을 방지할 수 있다. 볍씨 보급 센서(36)에 의한 감지 결과는, 예를 들면 운전석(11)의 대시보드(14)에 표시하거나 혹은 경고음을 발함으로써 오퍼레이터에게 전할 수 있다.At the upper part of the
롤 케이스(31)는 수지제의 경량 케이스이다. 롤 케이스(31)는 종자를 수납함과 함께, 종자를 연속적으로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로서 이송 롤(32), 구획 브러쉬(34), 가이드 부재(35)를 내부에 수용한다. 롤 케이스(31)는 호퍼(30)와 접속되는 상방이 개구됨과 함께, 지면에 면하도록 하방이 개방되어 있다.The
롤 케이스(31)의 상부, 즉, 상단의 호퍼(30)와의 접속부로부터 이송 롤(32)로의 공급부에 걸쳐, 호퍼(30)로부터 공급되는 종자를 일시적으로 저장하는 공간인 공급 통로(40)가 롤 케이스(31)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공급 통로(40)의 하단이면서 이송 롤(32)의 회전축심보다 하방에는, 종자의 배출 안내부가 되는 배출 통로(41)가 형성되고, 그 하단 측면에 배출구(42)가 마련된다. 배출 통로(41)는 배출구(42)를 향해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마련되며, 배출구(42)는 덮개(43)에 의해 막혀 있다. 이상과 같이, 호퍼(30)와 롤 케이스(31)의 공급 통로(40) 및 배출 통로(41)로 종자를 수납하는 호퍼부를 구성한다.A
배출구(42)로 통하는 배출 통로(41)는, 구획 브러쉬(34)를 사이에 두고, 가이드 부재(35)가 배치되는 쪽과 반대쪽에 배치되어 있다. 즉, 배출 통로(41)는 이송 롤(32)의 이송 방향과 반대쪽에 마련된다. 또한, 공급 통로(40)는 이송 롤(32) 표면의 상부의 대략 절반(보다 자세하게는, 이송 롤(32)의 외주 가운데, 회전축심의 수평보다 위쪽이면서 구획 브러쉬(34)에 도달할 때까지의 부분)에 접하도록 마련된다.The
이에 따라, 배출시에 종자가 가이드 부재(35)쪽으로 새어 롤 케이스(31)의 하방으로 흘러넘쳐 떨어지지 않아, 확실하게 회수할 수 있다. 종래 구조에서는, 호퍼 및 롤 케이스 내의 잔류물을 배출할 때, 구획 브러쉬나 가이드 부재를 움직이거나 떼어낼 필요가 있었다. 그리고, 잔류물을 완전하게 배출할 때에는 호퍼 자체를 떼어내거나 기울일 필요가 있었다.Accordingly, at the time of discharging, the seed leaks toward the
공급 통로(40)의 수평 방향의 중심은, 이송 롤(32)의 가장 바깥 폭보다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마련된다. 바꾸어 말하면, 공급 통로(40)의 중앙 부분은, 이송 롤(32)의 외주에 접하도록 마련되는 배출 통로(41)의 상단보다 하방에 배치된다. 이에 따라, 롤 케이스(31)의 공급 통로(40) 내에 잔류하는 종자의 중심이 배출 통로(41)측에 위치하게 되어, 배출 통로(41)를 통해서 배출할 때, 종자의 자중을 이용한 배출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배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The center of the
또한, 배출 통로(41)의 하단, 즉, 배출구(42)의 하단이 이송 롤(32)의 회전축심보다 하방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롤 케이스(31) 내의 종자가 원활하게 배출구(42)에 도달하도록 설정되어 있다.Since the lower end of the
이상과 같이, 공급 통로(40)의 하단은 이송 롤(32)에 면해 마련되는 한편, 이송 롤(32)의 반대측(후방측)에서는 배출 통로(41)를 통해 배출구(42)에 면해 마련되어 있다. 공급 통로(40)로부터 배출 통로(41)로의 통로는, 배출구(42)측으로 경사지게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배출구(42)로부터 덮개(43)를 제거해 개방함으로써 호퍼(30) 및 공급 통로(40) 내에 남은 종자를 간단하게 배출하는 것이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롤 케이스(31) 내에서 저장된 종자의 최하단에 배출구(42)가 마련됨으로써, 롤 케이스(31)의 종자를 배출할 때, 중력에 따라 배출구(42)를 향해 진행하여 자연스럽게 배출된다. 이에 따라, 배출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lower end of the
또한, 배출구(42)가 파종 장치(1)의 후방측, 즉, 기체 후단에 마련되어 있는 것으로부터, 오퍼레이터가 배출구(42)에 직접 접근할 수 있어, 종자를 배출할 때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배출구(42)를 통해 롤 케이스(31) 내의 간단한 청소를 실시하거나 이송 롤(32)의 홈(33)의 막힘을 제거할 수 있어, 배출구(42)를 통해 롤 케이스(31) 내의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유지보수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롤 케이스(31)는 구동계도 일체적으로 1조씩 떼어낼 수 있어, 간단하게 유닛 단위의 유지보수를 실시할 수 있다.Since the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케이스(31) 내에서는, 공급 통로(40), 구획 브러쉬(34) 및 가이드 부재(35)가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에 대해 차례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롤 케이스(31) 내에서, 구획 브러쉬(34) 및 가이드 부재(35)는 격벽(44)을 사이에 두고 공급 통로(40)로부터 독립된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격벽(44)은 롤 케이스(31)의 공급 통로(40)에 면하는 내벽으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는 구획이며, 그 하단은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모의 뿌리까지 연장되어 마련된다. 롤 케이스(31)로부터 배출 통로(41)를 통해 배출할 때, 격벽(44)에 의해, 종자가 가이드 부재(35)측으로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격벽(44)은 이송 롤(32)이 회전하는 동안에는 종자를 레벨링하는 역할도 담당하고 있다.4, the
이송 롤(32)은 원주상의 부재이며, 그 축 방향을 따라 마련된 홈(33)이 외주면에 복수 개 형성되어 있다. 이송 롤(32)은 적절한 회전 구동원에 접속된 회전축(50)을 갖고, 그 회전축(50)을 중심으로 하여 일정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The
홈(33)은 소정 용적을 갖는 공간이며, 이송 롤(32)의 축 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홈(33)은 이송 롤(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등간격으로 복수 개(본 실시 형태에서는 4개) 마련된다. 홈(33) 내에 종자를 보유한 상태로 이송 롤(32)이 회전함으로써, 소정량의 종자가 연속적으로 이송된다.The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롤(32)은 회전 구동이 전달되는 회전축(50), 회전축(50)에 고정되어 회전축(50)과 함께 회전하는 롤 본체(51), 롤 본체(51)와 축 방향에서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가동 부재(52), 가동 부재(52)에 나사(53)를 통해 접속되는 홈폭 조정축(54), 및 홈폭 조정축(54)을 회전시키는 기어(55)를 구비한다.5, the
홈폭 조정축(54)은 롤 본체(51)의 내부에 마련되는 스프링(56)에 바이어스된 볼(57)에 의해, 홈폭 조정축(54)과 롤 본체(51)의 상대 위치(회전 방향)가 자연스럽게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력을 부여한다.The groove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롤 본체(51)의 표면에는 홈(33)의 일측 단부 및 바닥면을 구성하는 홈부(51a)가 형성된다. 이에 대해, 롤 본체(51)를 바깥쪽으로부터 덮도록 배치되는 가동 부재(52)의 단부에는, 홈(33)의 타측 단부를 구성하는 홈부(52a)가 형성된다. 즉, 가동 부재(52)를 롤 본체(51)에 대해 축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홈부(51a·52a)의 위치 관계가 변경되어 홈(33)의 폭이 변경된다. 이와 같이 하여 홈(33)의 용적을 조정 가능하게 한다.As shown in Fig. 6,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이송 롤(32)에서, 기어(55)를 롤 본체(51)에 대해 회전 구동함으로써, 홈폭 조정축(54)을 회전시키고, 나사(53)를 개재해 가동 부재(52)를 이동시킨다. 이렇게 하여, 롤 본체(51)의 홈부(51a)와 가동 부재(52)의 홈부(52a)에 의해 형성되는 홈(33)의 용적을 원하는 값으로 조정할 수 있다.In the
구획 브러쉬(34)는 이송 롤(32)의 상방(본 실시 형태에서는 회전축심의 바로 위쪽)에 배치된다. 구획 브러쉬(34)의 털끝은 이송 롤(32)의 표면과 소정의 틈새를 두도록 이송 롤(32)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며, 이송 롤(32)의 홈(33)으로부터 돌출된 종자의 통과를 저지하는 브러쉬 형상의 레벨링 부재이다.The
가이드 부재(35)는 구획 브러쉬(34)의 하류측에 마련되어, 구획 브러쉬(34)를 통과한 홈(33) 내의 종자를 바깥쪽에서 눌러 보유하는 것이다. 가이드 부재(35)는, 이송 롤(32) 회전축(50)의 수평 방향 높이보다 아래쪽까지 연장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5)는, 그 표면과 이송 롤(32)의 홈(33)과의 사이에 종자를 보유하면서, 구획 브러쉬(34)를 통과한 종자를 이송 롤(32)의 하방측으로 안내한다.The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롤(32)의 회전축(50)에는 종동 기어(90)가 마련된다. 회전축(50)은 롤 케이스(31)의 바깥쪽으로 연장되고, 그 연장부에 종동 기어(90)가 고정된다. 그리고, 롤 케이스(31)의 바깥쪽에서, 종동 기어(90)와 치합하는 구동 기어(91)가 마련된다. 구동 기어(91)에는 구동축(92)이 고정되고, 구동축(92)은 각 롤 케이스(31)의 구동 기어(91)에 삽입되어 있다. 즉, 구동축(92)은 각 이송 롤(32)의 회전 구동축으로서 공통되는 것이다.As shown in Fig. 7, a driven
구동 기어(91)는, 엔진(3) 및 트랜스미션(4)을 통해 구동되는 PTO축(93)으로부터 출력되는 회전 구동력에 의해 회전 구동된다. PTO축(93)의 후단에는 기어 케이스(94)가 마련되고, 기어 케이스(94)로부터 좌우 방향으로 연결축(95)이 각각 연장된다. 연결축(95)의 좌우 한쪽의 중간부에 파종 구동 기어(96)가 고정되고, 구동축(92)에 파종 구동 기어(96)와 치합하는 파종 종동 기어(97)가 고정된다. 파종 종동 기어(97)는 구동축(92)에 고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각 롤 케이스(31)의 회전축(50)에는, PTO축(93)으로부터 연결축(95), 파종 구동 기어(96), 파종 종동 기어(97), 구동축(92), 구동 기어(91), 종동 기어(90)를 개재해 회전 구동력이 전달된다.The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폭 조정축(54)을 회전시키는 기어(55)는, 롤 케이스(31)의 외측이면서 이송 롤(32)을 회전 구동하는 종동 기어(90) 및 구동 기어(91)와 반대쪽에 마련되어 있다. 각 기어(55)와 치합하는 조작 기어(98)가 조작축(99)에 고정되고, 조작축(99)의 일측 단부에 조작 핸들(100)이 장착된다. 조작 핸들(100)을 회전시킴으로써 조작축(99)이 회전해, 조작 기어(98) 및 기어(55)를 회전시켜 홈폭 조정축(54)을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하여, 홈폭 조정축(54)을 회전시켜, 각 이송 롤(32)의 홈(33)의 폭을 일정하게 조정할 수 있다.7 and 8, the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축(92)과 구동 기어(91) 사이에서의 구동 기어(91)의 구동 전달 경로의 상류측에는 클러치 기구(101)가 각각 마련되어, 클러치 기구(101)를 절단/접속함으로써, 각 이송 장치의 작동을 정지할 수 있다. 클러치 기구(101)는 끝에서부터 차례로 인접하는 2조분의 이송 장치의 작동을 정지한다. 즉, 클러치 기구(101)에 의해 2조마다 작동의 유무를 절환하는 것이 가능하다. 각 클러치 기구(101)는 파종 장치(1)를 지지하는 프레임의 상부에 배치되는 클러치 제어 장치(102)와 와이어(103)를 개재해 접속되고, 클러치 제어 장치(102)의 작동에 의해 와이어(103)의 텐션을 변경함으로써 클러치 기구(101)의 절단/접속이 제어된다.9, a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기구(101)는, 와이어(103)와 접속되어 와이어(103)의 텐션 변화에 의해 좌우 방향으로 이동하는 슬라이드 부재(110)와, 슬라이드 부재(110)의 양단의 선단부에 마련되는 슬라이더(111)와, 각 슬라이더(111)의 이동에 수반해 이동하는 맞물림 클러치(112)를 구비한다. 맞물림 클러치(112)는 구동 기어(91)의 축 부분에 마련되는 갈고리부(91a)와 치합해 결합한다. 즉, 맞물림 클러치(112)와 갈고리부(91a)의 결합 유무에 의해 클러치 기구(101)에 의한 절단/접속이 행해지는 구조이다. 이 구조에 의해, 각 롤 케이스(31)를 유닛으로 하여 용이하게 분리 가능하게 되어 있다.10, the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클러치 제어 장치(102)는 각 와이어(103)와 접속되는 굴곡 형상의 아암(120)과, 아암(120)의 굴곡 부분을 지지하는 베이스 부재(121)와, 아암(120)의 타단과 맞닿고 베이스 부재(121)에 지지되는 캠(122)과, 캠(122)과 함께 회동하는 대직경 기어(123)와, 대직경 기어(123)를 회동하는 모터(124)를 구비한다. 캠(122)의 캠 프로필은 대직경부와 소직경부를 갖는 것으로, 캠(122)을 회전시킴으로써 아암(120)의 포지션을 변경한다. 모터(124)를 구동해 대직경 기어(123)를 회동시킴으로써, 캠(122)을 회동시켜 아암(120)을 회동시킨다. 그리고, 아암(120)의 회동에 의해 와이어(103)의 텐션이 변경되어, 클러치 기구(101)가 제어되는 구조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파종조의 수만 절환하는 구성이지만, 아암(120)에 마련한 장착공(125)을 이용함으로써, 시비 장치(28)나 약제 살포 장치(29) 등의 조수 제어를 동시에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11, the
다음으로,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해, 가이드 부재(35)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가이드 부재(35)는, 롤 케이스(31)로의 장착부가 마련된 본체(60)와, 이송 롤(32)에 형성되는 홈(33)과 대향하는 부위에 배치되는 탄성체(61)와, 탄성체(61)의 표면에 부착되는 표면 시트(62)를 구비한다.The
본체(60)는 중앙 부분에 함몰(60a)을 갖고, 이 함몰(60a)의 내부에 탄성체(61)를 수용한다. 탄성체(61)는, 예를 들면 스펀지 등, 반송물보다 부드러운 소재로 이루어지는 부재이며, 소정의 두께를 갖는다. 탄성체(61)는 본체(60) 함몰(60a)의 바닥면에 부착되어 있다. 표면 시트(62)는 가이드 부재(35) 표면의 마찰 계수를 저감시키기 위한 시트 부재이며, 탄성체(61) 표면의 전면에 걸쳐 마련되어 있다.The
이와 같이, 탄성체(61) 및 표면 시트(62)는, 롤 케이스(31)에 고정되는 본체(60)에 대해 부착되어 있다. 즉, 탄성체(61) 및 표면 시트(62)는 본체(60)에 대해 용이하게 교체 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Thus, the
이상과 같이, 가이드 부재(35)의 홈(33)과 대향하는 부위에 탄성체(61)를 배치함으로써, 홈(33) 내에 보유된 종자가 인접하는 종자로부터의 압력 등의 외력을 받는 경우에도, 탄성체(61)의 탄성력으로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가이드 부재(35)에 의한 안내시에 종자를 탄성체(61)에 의해 보호해 손상을 저감시킬 수 있다. 특히, 표면에 코팅이 실시된 종자 등의 표면 손상이 문제가 되는 반송물을 이송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by arranging the
도 15는, 본체(60)에 탄성체(61)와 표면 시트(62)가 장착된 상태의 종방향 단면을 나타낸 도면인데, 가이드 부재(35)의 본체(60)에서의 양측부(60b)는 이송 롤(32)의 표면과의 틈새가 대략 제로가 되도록 마련된다. 한편, 본체(60)에서의 함몰(60a)이 형성되는 부위, 즉 탄성체(61)와 표면 시트(62)가 장착된 본체(60)에서의 함몰 부위에서는 이송 롤(32)의 표면에 대해 소정의 틈새를 두도록 마련된다.15 is a longitudinal sectional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5)에 있어서, 이송 롤(32)의 홈(33)과 대향하는 부위에서는 그 표면과 이송 롤(32) 사이에 소정의 틈새를 마련하는 한편, 그 이외의 부위에서는 그 표면과 이송 롤(32) 표면의 사이에 틈새가 생기지 않도록, 각각의 틈새가 상이하게 구성된다. 이에 따라, 이송 롤(32)의 홈(33)과 가이드 부재(35)에 의해 보유되는 종자는 가이드 부재(35)와 이송 롤(32)의 틈새를 통해 흘러넘쳐 떨어지지 않고, 원하는 양의 종자를 확실하게 연속적으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부품 정밀도가 낮고, 조립하기 전의 상태에서 양측부(60b)의 위치가 이송 롤(32)의 외주보다 안쪽에 위치해도, 조립 후에 양측부(60b)가 이송 롤(32)을 따르기 때문에, 가이드 부재(35)의 표면(표면 시트(62))과 이송 롤(32)의 틈새가 확보되어 가이드 부재(35)로부터의 가압에 의한 종자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in the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이드 부재(35)의 표면(표면 시트(62)의 표면)과 이송 롤(32) 표면의 틈새는, 가이드 부재(35)로의 입구측의 틈새(D1)에 비해 출구측의 틈새(D2)가 작아지도록 설정됨과 동시에, 입구측으로부터 출구측에 걸쳐 서서히 작아지도록 설정되어 있다.The clearance between the surface of the guide member 35 (the surface of the topsheet 62) and the surface of the conveying
이와 같이, 가이드 부재(35)의 상단 입구측의 틈새(D1)를 하단 출구측의 틈새(D2)보다 크게 취함으로써, 홈(33)으로부터 비어져나온 종자가 가이드 부재(35)와 접촉할 때 손상될 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가이드 부재(35)의 출구측 틈새(D2)를 좁게 함으로써, 종자가 가이드 부재(35)와 이송 롤(32)의 틈새로부터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clearance D1 on the upper entrance side of the
또한, 출구측의 틈새(D2)는 반송물인 종자의 최소폭(W1)의 절반 이하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따라, 종자가 가이드 부재(35)와 이송 롤(32)의 틈새로부터 흘러넘쳐 떨어지는 것을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반송물을 볍씨로 하는 경우에는, 가이드 부재(35)와 이송 롤(32) 틈새의 하단(틈새(D2))을 2.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clearance D2 on the outlet side is set to be equal to or less than half of the minimum width W1 of the seed as the transported article. Thus, it is possible to reliably prevent the seed from flowing over from the gap between the
한편,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송 장치(1)에 의해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반송물을 타원구형의 종자로 했기 때문에, 최소폭(W1)을 타원구의 단축 직경(W1)으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구형 반송물의 경우에는 최소폭(W1)이 직경이 된다.On the other hand, in the present embodiment, since the transported article to be continuously transported by the transporting
가이드 부재(35)의 이송 롤(32) 표면과의 틈새의 설정은, 예를 들면 본체(60)의 함몰(60a)의 두께를 서서히 변경함과 함께, 탄성체(61)의 두께를 균일하게 해 두는 것으로 실현 가능하다. 이와 같이 탄성체(61)의 두께를 균일하게 함으로써, 탄성체(61)를 본체(60)에 배치할 때의 수고를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The gap between the
한편, 이들 예에 한정되지 않고, 탄성체(61)의 두께를 부분적으로 바꾸어 탄성력을 롤의 둘레 방향을 따라 미세 조정하거나, 탄성체(61)의 일부 또는 전부를 이송 롤(32)에 고의로 접촉시켜 간격(clearance)을 조정하는 것 등도 생각할 수 있다.The thickness of the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홈(33)과 가이드 부재(35) 사이에서 보유된 종자를 보호하기 위해 가이드 부재(35)의 표면측에 탄성체(61)를 배치했지만,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33)의 바닥면에 배치해도 되고, 가이드 부재(35)와 홈(33)의 양쪽 모두에 탄성체(61)를 배치해도 된다. 홈(33)의 바닥면에 배치하는 경우도, 가이드 부재(35)의 함몰(60a)에 배치할 때와 마찬가지로 부착하는 등으로 배치할 수 있다. 홈(33)의 바닥면에 탄성체(61)를 배치함으로써, 반송물이 홈(33)의 바닥면쪽으로 눌려 들어가 반송물의 표면에 손상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this embodiment, the
이하, 도 18 내지 도 20을 참조해, 구획 브러쉬(34)의 작용폭을 홈(33)의 폭에 따라 조정하는 각 실시 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즉, 이하의 실시 형태는,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부의 길이를 이송 롤(32)의 축 방향으로 조정 가능하게 한 것이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8 to 20, each embodiment in which the action width of the
도 18은, 구획 브러쉬(34)를 폭 방향으로 복수 개로 분할해, 구획 브러쉬(34)보다 폭이 좁은 분할 브러쉬(70)를 복수 개 배열하고, 또한 홈(33)의 폭을 초과한 부위에서는 분할된 구획 브러쉬(34) 대신에 그 공간을 메우는 블록(71)을 마련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블록(71)은 이송 롤(32)의 축 방향 또는 둘레 방향으로 종자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유출 방지부이며, 분할 브러쉬(70)의 브러쉬부에 인접해 배치된다.18 shows a state in which the
블록(71)은, 구획 브러쉬(34)의 깊이(이송 롤(32)의 회전 방향을 따르는 길이)와 같은 깊이를 가지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의 부재이며, 이송 롤(32)측의 표면과 이송 롤(32) 표면 사이의 틈새가 가능한 한 작은 것을 이용함으로써, 블록(71)쪽으로 종자가 넘쳐 흐르는 것을 막을 수 있다.The
또한, 블록(71)의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측면을 분할 브러쉬(70)를 향하도록 테이퍼상으로 연장함으로써, 홈(33)이 존재하지 않는 부위인 블록(71)의 측면에 체류하는 종자를 분할 브러쉬(70)쪽으로 안내해, 체류량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The side surface of the
도 19는, 구획 브러쉬(34)의 입구측 및 출구측 측면, 및 홈(33)측의 측면을 덮는 커버(72)를 마련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커버(72)는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부와 일체적으로 마련되는 유출 방지부이다.19 shows an embodiment in which the
커버(72)는 평판을 동일 방향으로 두 번 바깥쪽으로 접음으로써 형성되는 굴곡 부재이며, 그 양단에 절개(73)가 마련되어 있다. 구획 브러쉬(34)의 기저부(34a)의 양측면에는, 절개(73)에 부합하는 핀(34b)을 마련해 커버(72)의 절개(73)를 핀(34b)에 장착한다. 이와 같이, 커버(72)를 구획 브러쉬(34)에 대해 탈착 가능하게 장착한다.The
이상과 같이, 구획 브러쉬(34)에 커버(72)를 장착하는 간단한 구성으로, 구획 브러쉬(34)의 작용폭을 조정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operation width of the
도 20은, 브러쉬부(34) 외에, 브러쉬가 형성되는 폭이 상이한 다른 구획 브러쉬(75·76·77)를 준비하고, 홈(33)의 폭에 부합하는 폭을 갖는 브러쉬 부재를 선택하는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에도,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의 측면을 테이퍼상으로 연장함으로써, 구획 브러쉬(75·76·77)의 전방에 체류하는 종자를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즉, 각 구획 브러쉬(75·76·77)의 브러쉬부가 형성된 부위에 인접하는 부위를 유출 방지부로서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20 is a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in which brush compartments 75, 76 and 77 having different widths in which brushes are formed are prepared in addition to the
이상과 같이, 복수의 브러쉬 부재로부터 최적 작용폭의 것을 선택할 수 있다. 특히, 홈(33)의 폭(원하는 이송량)이 미리 결정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elect an optimum working width from a plurality of brush members. This is particularly effective when the width of the groove 33 (desired feed amount) is predetermined.
이상, 도 18 내지 도 20에 나타내는 실시 형태에 의하면, 구획 브러쉬(34)의 작용폭을 홈(33)의 폭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따라서, 홈(33)으로부터 폭 방향의 옆쪽으로 종자가 비어져 나오지 않고, 홈(33)의 폭 바깥에서 종자가 통과하는 비율이 줄어들어, 소정 위치에 소정량을 점파종하는 것이 보장된다. 또한, 상정 외의 개소를 지나는 종자가 줄어드는 것에 의해, 종자의 손상을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shown in Figs. 18 to 20, the action width of the
도 21 및 도 22는, 구획 브러쉬(34)의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 및 하류측 각각의 측면에 유출 방지벽(78)을 마련한 실시 형태를 나타낸다. 유출 방지벽(78)은 이송 롤(3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마련되는 평판 부재이며, 그 하단은 이송 롤(32)의 외주면을 따르도록 형성되어 있다. 유출 방지벽(78)은,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 형성부에 인접한 개소(이송 롤(32)의 축 방향 바깥쪽)에 배치되어,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 부분으로부터 종자가 이송 롤(32)의 축 방향으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한다. 유출 방지벽(78)의 형상으로는 상기 형상으로 한정되지 않고, 축 방향의 반송물의 유출을 방지하는 것이면 된다.21 and 22 show an embodiment in which the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브러쉬(34)는 그 털끝이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을 향해 기운 자세로 배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구획 브러쉬(34)를 이송 롤(32)의 회전축(50)에서 5° 정도 기울인 상태로 배치해, 구획 브러쉬(34) 전체적으로는 이송 롤(32)의 회전축(50)으로부터 보아 회전 방향 하류측으로 기울여 배치한다. 즉, 구획 브러쉬(34)의 브러쉬모의 끝단이 뿌리보다 이송 롤(32)의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하도록 마련한다.As shown in Fig. 23, the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구획 브러쉬(34)의 털끝은 종자로부터 압력을 받음으로써 대략 연직 방향으로 휘어, 홈(33)으로부터 비어져 나온 종자를 블로킹하기 쉬워진다. 바꾸어 말하면, 구획 브러쉬(34)의 털끝에서 연속적으로 이송되는 종자를 면으로 맞도록 종자와 구획 브러쉬(34)가 접촉함으로써, 홈(33)의 위쪽으로 돌출된 종자를 확실하게 구획할 수 있다.With such a configuration, the tip of the brush of the
또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획 브러쉬(34)를 이송 롤(32)의 상하 방향의 정점보다 회전 방향 상류측에 위치시킨다. 이와 같이, 구획 브러쉬(34)를 이송 롤(32)의 바로 위쪽보다 하방에 배치함으로써, 구획 브러쉬(34)를 통과할 때, 홈(33)으로부터 흘러넘친 종자에 대해, 그 상방에 체류하는 종자로부터 하방으로의 압력이 가해진다. 이와 같이, 홈(33) 바깥의 종자가 구획 브러쉬(34)를 통과할 때의 브레이크로서 자연적으로 작용함으로써, 홈(33)으로부터 돌출된 종자가 구획 브러쉬(34)로 침입할 확률을 낮출 수 있다.Further, as shown in Fig. 23, the
[다른 실시 형태][Other Embodiments]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송 장치(80)는 반송 컨베이어(81)에 의해 공급되는 반송물(82)을 컨테이너(83)에 소정량 계측해 연속적으로 이송한다. 본 실시 형태의 이송 장치(80)는 지면에 고정되어 사용되는 고정 농기계에 구비된다.24, the conveying
반송 컨베이어(81)에 의해 반송되는 반송물(82)은, 예를 들면 감자, 토마토 등의 대략 구형의 농작물 또는 고구마 등의 대략 타원구형의 농작물이며, 이송 장치(80)에 의해 소정량이 계측된 후에 소정 크기의 컨테이너(83)에 수용된다.The transported
이와 같은 이송 장치(80)에 있어서도 파종 장치(1)와 같은 기술 사상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반송물(82)을 보유하는 가이드 부재의 표면 또는 홈의 바닥면에 탄성체를 배치함으로써, 반송물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하는 것이 가능하다.The same technical idea as that of the seeding
1: 파종 장치(농업용 기계), 2: 주행 기체(이동 농기계), 31: 롤 케이스, 32: 이송 롤, 33: 홈, 34: 구획 브러쉬(브러쉬 부재), 35: 가이드 부재, 40: 공급 통로(공급부), 41: 배출 통로(배출 안내부), 42: 배출구, 43: 덮개, 50: 회전축, 60: 본체, 61: 탄성체, 62: 표면 시트, 70: 분할 브러쉬, 71: 블록(유출 방지부), 72: 커버(유출 방지부), 75·76·77: 구획 브러쉬, 78: 유출 방지벽1: Feeding apparatus (agricultural machine), 2: traveling gas (moving farm machinery), 31: roll case, 32: conveying roll, 33: groove, 34: compartment brush (brush member) (Discharge portion), 42: discharge port, 43: lid, 50: rotational shaft, 60: main body, 61: elastic body, 62: top sheet, 70: split brush, 71: block 72: cover (outflow preventing portion), 75, 76, 77: compartment brush, 78: outflow preventing wall
Claims (3)
상기 홈으로부터 돌출된 반송물의 통과를 저지하기 위한 레벨링 부재와,
상기 레벨링 부재를 통과한 반송물을 상기 홈과의 사이에서 보유하기 위한 가이드 부재와,
상기 반송물을 수납하는 호퍼부를 구비하고,
상기 홈에 공급된 반송물을 이송하는 이송 장치에 있어서,
상기 호퍼부에 형성된 공급부와,
상기 호퍼부의 측면에 형성된 배출구와,
상기 호퍼부의 바닥면에 형성되며, 한쪽이 상기 배출구와 연결되고, 다른 쪽이 상기 공급부에 연결되어, 상기 배출구를 향해 하향 경사진 배출 안내부가 마련되는 농업용 기계의 이송 장치.A transfer roll having a plurality of grooves formed in the axial direction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and rotating about the shaft,
A leveling member for blocking passage of the transported object protruding from the groove,
A guide member for holding a transported product passing through the leveling member between the guide and the groove,
And a hopper portion for storing the transported object,
A conveying device for conveying the conveyed object supplied to the groove,
A supply part formed in the hopper part,
An outlet formed on a side surface of the hopper portion,
And a discharge guide portion formed on a bottom surface of the hopper portion and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discharge por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supply portion and provided with a discharge guide portion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discharge port.
상기 레벨링 부재는 브러쉬 부재이며,
상기 공급부, 상기 레벨링 부재, 상기 가이드 부재가 롤 회전 방향에 대해 차례로 배치되는 농업용 기계의 이송 장치.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leveling member is a brush member,
Wherein the supplying section, the leveling member, and the guide member are sequentially disposed in the roll rotation direction.
상기 이송 장치는, 이동 농기계에 구비된 반송부인 농업용 기계의 이송 장치.3.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conveying device is a conveying part provided on a moving farm machiner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15-058758 | 2015-03-20 | ||
JP2015058758A JP6413182B2 (en) | 2015-03-20 | 2015-03-20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JP2015058760A JP6413184B2 (en) | 2015-03-20 | 2015-03-20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JPJP-P-2015-058759 | 2015-03-20 | ||
JP2015058759A JP6413183B2 (en) | 2015-03-20 | 2015-03-20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JPJP-P-2015-058760 | 2015-03-20 | ||
PCT/JP2016/058651 WO2016152760A1 (en) | 2015-03-20 | 2016-03-18 | Feeding device for agricultural machines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8526A true KR20170128526A (en) | 2017-11-22 |
KR102054569B1 KR102054569B1 (en) | 2019-12-10 |
Family
ID=56978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29711A KR102054569B1 (en) | 2015-03-20 | 2016-03-18 | Transporting devices for agricultural machinery |
Country Status (3)
Country | Link |
---|---|
KR (1) | KR102054569B1 (en) |
CN (1) | CN107426962B (en) |
WO (1) | WO2016152760A1 (en) |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6483Y2 (en) * | 1989-12-04 | 1996-11-06 | 多木農工具株式会社 | Seeding equipment |
JP4600656B2 (en) * | 2004-12-16 | 2010-12-15 | 井関農機株式会社 | Agricultural machines |
JP2011200151A (en) | 2010-03-25 | 2011-10-13 | Iseki & Co Ltd | Direct sowing machine |
JP5281235B2 (en) * | 2006-07-04 | 2013-09-04 |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 Granular material feeding machine |
JP5353723B2 (en) * | 2010-01-19 | 2013-11-27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ing machine feeding device |
Family Cites Families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245603A (en) * | 1992-09-29 | 1994-09-06 | Bouldin & Lawson Inc | Seeding apparatus |
JP2010193861A (en) * | 2009-02-27 | 2010-09-09 | Iseki & Co Ltd | Granular agrochemical applicator |
JP2011101615A (en) * | 2009-11-11 | 2011-05-26 | Iseki & Co Ltd | Fertilizing device |
JP5632642B2 (en) * | 2010-04-09 | 2014-11-26 | 株式会社クボタ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US8701575B2 (en) * | 2011-01-06 | 2014-04-22 | Cnh Industrial Canada, Ltd. | Seed metering assembly for farm implement and having quick-change capability and sectional control |
JP5842414B2 (en) * | 2011-06-30 | 2016-01-13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ing machine feeding device |
-
2016
- 2016-03-18 CN CN201680011358.1A patent/CN107426962B/en active Active
- 2016-03-18 KR KR1020177029711A patent/KR102054569B1/en active IP Right Grant
- 2016-03-18 WO PCT/JP2016/058651 patent/WO2016152760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Patent Citation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2516483Y2 (en) * | 1989-12-04 | 1996-11-06 | 多木農工具株式会社 | Seeding equipment |
JP4600656B2 (en) * | 2004-12-16 | 2010-12-15 | 井関農機株式会社 | Agricultural machines |
JP5281235B2 (en) * | 2006-07-04 | 2013-09-04 | アグリテクノ矢崎株式会社 | Granular material feeding machine |
JP5353723B2 (en) * | 2010-01-19 | 2013-11-27 | 井関農機株式会社 | Seeding machine feeding device |
JP2011200151A (en) | 2010-03-25 | 2011-10-13 | Iseki & Co Ltd | Direct sowing machine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16152760A1 (en) | 2016-09-29 |
KR102054569B1 (en) | 2019-12-10 |
CN107426962B (en) | 2021-10-15 |
CN107426962A (en) | 2017-1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1558996B2 (en) | Planter with seed delivery apparatus | |
CN110650622B (en) | Agricultural machine for spreading broadcast material and metering element for agricultural machine | |
US5740746A (en) | Seed material dispensing system for an agricultural planter | |
US6752095B1 (en) | Seed metering system for use in a seeding machine | |
US6173664B1 (en) | Equidistant planting system | |
JP6413184B2 (en)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
JP2017000013A (en) | Grain feed device | |
JP5513140B2 (en)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
KR20140143074A (en) | Paddy field working machine | |
JP5513141B2 (en) | Powder and particle feeder | |
JP2011142875A5 (en) | ||
JP6413182B2 (en)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
KR20170128526A (en) | Feeder for agricultural machinery | |
JP3516870B2 (en) | Powder material feeding device | |
JP6413183B2 (en) | Agricultural machinery feeding device | |
JP2005027605A (en) | Granular material-discharging machine | |
JP2013046628A (en) | Direct seeding machine | |
JP2009017850A (en) | Transplanter | |
JP4926862B2 (en) | Transplanter | |
JP5309721B2 (en) | Seedling transplanter | |
CA3157971A1 (en) | Converging row unit for potato planter | |
JP3485556B2 (en) | Seeding machine sprayer | |
KR20220078057A (en) | Apparatus for sowing directly seed of ginseng having belt type metering apparatus | |
JP2009232790A (en) | Transplanter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