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8025A -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 Google Patents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8025A
KR20170128025A KR1020160059123A KR20160059123A KR20170128025A KR 20170128025 A KR20170128025 A KR 20170128025A KR 1020160059123 A KR1020160059123 A KR 1020160059123A KR 20160059123 A KR20160059123 A KR 20160059123A KR 20170128025 A KR20170128025 A KR 201701280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hr
styrene
antioxidant
charging cable
lubric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91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연재
박정우
박성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전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주식회사 경신전선,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91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8025A/ko
Priority to US15/349,124 priority patent/US20170330644A1/en
Priority to CN201611240065.9A priority patent/CN107365532A/zh
Priority to DE102016223329.7A priority patent/DE102016223329A1/de
Publication of KR201701280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802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01B3/441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from alke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3/00Methods of charging batteri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ic vehicles; Charging stations or on-board charging equipment therefor; Exchange of energy storage elements in electric vehic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Copolymers of ethene
    • C09D1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9D1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9D123/12Poly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2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23/02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9D123/16Elastomeric ethene-propene or ethene-propene-diene copolymers, e.g. EPR and EPDM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5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53/02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9D153/025Vinyl 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75/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polyureas or polyurethanes;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75/04Polyurethanes
    • C09D175/06Polyurethanes from 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18Fireproof paints including high temperature resistant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3/1006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characterised by the chemical nature of one of its constituents
    • C09K3/1021Polyurethanes or derivatives thereof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2Polyurethanes or polythiourethanes; Polyurea or polythioure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7Other macromolecular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308Wires with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6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silicon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04Flexible cables, conductors, or cords, e.g. trailing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2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hea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01B7/295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using material resistant to flam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2Flame or fire retardant/resista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08Stabilised against heat, light or radiation or 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20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 C08L2203/202Applications use in electrical or conductive gadgets use in electrical wires or wireco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34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properties
    • C09K2003/1078Fire-resistant, heat-resista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00Material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3/10Materials in mouldable or extrudable form for sealing or packing joints or covers
    • C09K2003/1087Material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specific uses
    • C09K2003/1093Cab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Energy storage systems for electromobility, e.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7072Electromobility specific charging systems or methods for batteries, ultracapacitors, supercapacitors or double-layer capaci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T90/10Technologies relating to charging of electric vehicles
    • Y02T90/14Plug-in 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저온 유연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내유성의 화학적 물성, 절연저항의 전기적 물성이 우수한 전력공급용 전선부,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시스(Sheath)부로 구성된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각 구성의 피복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와 이들의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염화비닐(PVC)로 피복된 전선과 대비하여 전선의 절연저항성, 내열성, 저온 유연성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이 모두 개선된 신뢰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harging cable having flexibility at low temperature and oil resistance}
본 발명은 저온 유연성, 내마모성 등의 기계적, 내유성의 화학적 물성, 절연저항의 전기적 물성이 우수한 전력공급용 전선부,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시스(Sheath)부로 구성된 충전 케이블에 관한 것으로, 각 구성의 피복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수지의 종류와 이들의 사용량을 조절함으로써, 종래의 폴리염화비닐(PVC)로 피복된 전선과 대비하여 전선의 절연저항성, 내열성, 저온 유연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이 모두 개선된 충전 케이블이다.
일반적으로 세계적인 환경규제 강화와 에너지 절감 추세에 따라 세계각국에서는 친환경적인 자동차의 개발과 보급이 점차적으로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전기자동차의 보급에 따라 충전을 위한 충전소의 확충 및 충전 케이블의 보급이 필요한 상황이다.
전기자동차를 충전하기 위한 충전소의 경우, 차량에 탑재된 충전 케이블을 차량과 충전스탠드에 연결하는 것으로 충전이 시작된다.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시스템은 충전 케이블을 사용자가 가지고 다녀야 하고, 차량에 장착하여 사용되는 만큼 고유연성 및 각종 자동차 오일류로부터 안전해야 한다.
더욱이 전기자동차의 충전에는 장시간이 소요되는데, 영하권의 지역에서 장시간 충전 시 내한성 및 유연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 편의성이 좋고, 뛰어난 유연성, 내유성 및 기계적 물성, 난연성을 가지는 충전 케이블이 필요하며, 친환경 추세에 따라 친환경 난연시스템이 적용된 재료 특성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아울러 전선 제조업체에서는 전선의 압출속도를 최대한 고속으로 하여 생산성을 향상시켜 오고 있기 때문에 자동차 전선용 피복재료는 상기 물성은 물론 압출가공성을 동시에 만족해야 한다.
한편, 전선용으로 사용되는 폴리머(Polymer)에 비교적 우수한 난연성을 발휘하는 브롬계 난연제(DBDPO)의 경우 다이옥신 발생물질로 의심받고 있으며, 일부 유럽 국가에서는 사용이 금지되고 있다. 이에 수산화알루미늄(Al(OH)3), 수산화마그네슘(Mg(OH)2)과 같은 금속수산화물 또는 인계 난연제 등을 사용함으로써 할로겐 프리 재료로 대체될 수 있다.
할로겐 및 중금속 등 환경 영향 물질을 배제하는 세계적인 추세를 고려하여 볼 때, 할로겐 프리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권장된다.
한국 공개특허 제2015-6866호는 압출용 고온내수성 난연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난연제로서 인계 난연제, 금속 수산화물계 난연제, 질소계 난연제, 인-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하였으나,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특성 측면에는 한계가 있어 자동차 충전 케이블용에 적용하는데 한계가 있다.
이에 저온 유연성, 내유성, 및 기계적 물성이 뛰어난 친환경 전선 피복용 조성물과 이를 적용한 충전 케이블의 개발이 절실히 요구되는 실정이다.
1: 한국 공개특허 제2015-6866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전력공급용 전선부,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시스(Sheath)부로 구성된 충전 케이블을 제조하는데 사용되는 각각의 피복 조성물의 저온 유연성, 내유성, 절연저항성, 기계적 물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해, 특정수지를 메인 수지로 하고 이들의 사용량의 조절함으로써, 이들 조성물이 종래의 PVC 제품과 대비하여 전선의 절연저항성, 내열성, 저온 유연성 등을 향상시킴으로써 전기적, 기계적 특성이 모두 개선된 충전 케이블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알게 되어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전력공급용 전선부,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시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을 제공하는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a1) 무니 점도가 20 ~ 60인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20 ~ 80 phr; (a2) 폴리올레핀 수지(PO) 10 ~ 80 phr; (a3) 충진제 10 ~ 50 phr; (a4) 가교조제 1 ~ 10 phr; (a5)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a6) 활제 0.1 ~ 5 phr를 포함하는 피복용 조성물(A)로 피복된 전력공급용 전선부;
(b1) 폴리프로필렌(PP) 20 ~ 80 phr; (b2)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 ~ 80 phr; (b3) 충진제 10 ~ 50 phr; (b4)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b5) 활제 0.1 ~ 5phr를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B)로 피복된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c1) 용융지수(MI)가 30 ~ 50g/10min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50 ~ 90 phr; (c2) 용융지수(MI)가 1 ~ 5 g/10min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 ~ 50 phr; (c3) 인계 난연제 10 ~ 70 phr; (c4) 난연보조제 1 ~ 10 phr; (c5) 산화방지제 0.1 ~ 5 phr; (c6)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 0.1 ~ 5 phr; 및 (c7) 활제 0.1 ~ 5 phr를 포함하는 전선용 시스 조성물(C)로 피복된 시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전선 피복용 조성물은 압출 성형성이 우수하며, 이들로 제조된 전기자동차용 충전 케이블은 저온 유연성, 내한성, 굴곡성이 우수하여 저온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다.
그리고 외관성 및 내유특성이 우수하여 차량용 오일이 침투하지 못하여 차량 내에 안전하게 장착 또는 비치하여 사용 가능하며, 친환경 자동차 부품 트렌드를 반영하여, 일부분 리사이클도 가능하다. 더욱이 할로겐계 난연제를 사용하지 않기에 친환경적이면서도, 자동차용 90℃급 전선에 대응하는 내열성을 확보하되, 기계적 강도, 내열성, 자외선 안정성이 우수하여 종래의 폴리염화비닐(PVC)로 피복된 전선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특성으로 인하여 기존의 폴리염화비닐(PVC)로 피복된 전선 제품 대비 절연 및 시스(sheath) 두께의 박육화가 가능하므로 제품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의 (a)는 비교예 4, (b)는 실시예 4(b)의 충전 케이블의 단면을 나타낸 것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하나의 구현예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피복된 전력공급용 전선부,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시스(Sheath)부로 구성된 충전 케이블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전력공급용 전선부는 피복 조성물(A)로, 신호전달용 전선부는 피복 조성물(B)로, 상기 시스부는 시스 조성물(C)로 피복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전력공급용 전선부 피복 조성물(A)은 (a1) 무니 점도가 20 ~ 60인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20 ~ 80 phr; (a2) 폴리올레핀 수지(PO) 10 ~ 80 phr; (a3) 충진제 10 ~ 50 phr; (a4) 가교조제 1 ~ 10 phr; (a5)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a6) 활제 0.1 ~ 5 phr를 포함한다.
상기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a1)는 유연하면서 장기적인 절연능력이 뛰어나기 때문에 사용되는데, 이는 검(Gum) 타입 또는 펠렛(Pellet) 타입이 있으며 컴파운딩 설비에 맞게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EPDM을 사용한다. 이때 무니점도는 20 ~ 60 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무니점도가 20 미만인 경우 기계적 물성에 한계가 있으며, 30 초과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20 ~ 8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 phr 미만인 경우 경도가 높아 유연성에 한계가 있으며, 80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특성 및 기계적 물성 저하로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폴리올레핀 수지(PO)(a2)는 에틸렌프로필렌고무의 전선 압출성 및 인장강도를 개선하기 위한 것으로, LLDPE, LDPE, VLDPE, MDPE, 및 PO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선정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10 ~ 8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phr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 한계가 있으며, 80 phr 초과인 경우 경도가 높아 유연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특히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고무이기에 서로 들러 붙는 성질이 있으나, 폴리올레핀 수지(PO)를 블렌딩하여 펠렛(Pellet)으로 성형 후에는 들러 붙지 않는다. 또한 에틸렌프로필렌고무는 보통 퍼옥사이드(Peroxide)를 첨가하고, 고온 고압에서 가교를 진행하는데, 이렇게 되면 표면에 돌기 또는 기포 등의 문제점이 발생 될 수 있기에 본 발명에서는 '전자선 가교'를 한다.
상기 충전제(a3)는 압출 시 외관 및 외경을 일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SiO2, CaCO3, Mg(OH)2, 및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표면에 실란이 코팅된 것으로 평균입자 크기가 0.5 ~ 1 μ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평균입자 크기가 0.5 μ 미만인 경우 분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1 μ 초과인 경우 전선 표면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충전제는 10 ~ 5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phr 미만인 경우 압출 시 외경 변화율의 한계가 있으며, 50 phr 초과인 경우 절연저항 저하의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가교조제(a4)는 전자선 가교가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이는 전자선 가교시 가교 사이트를 활성화시키기에 적은 에너지로 가교 효율을 높여주는 역할을 한다. 가교조제는 TAIC(Trially Isocyanurate), TAC (Trially cyanurate), 및 TMPTMA(Trimethylopropane-Tri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을 사용할 수 있다. 이때 가교조제는 1 ~ 1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 phr 미만인 경우 분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10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후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아울러, 상기 산화방지제(a5)는 원료 가공 및 사용시 절연제의 에이징(aging)되는 것을 방지해 주기 위해 사용하는 것으로,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금속불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페놀계 산화방지제에는 이가녹스 1010, 1035, 1076, 1790, 및 1024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산화방지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내열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가교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활제(a6)는 컴파운딩 시 분산과 전선 압출 시 외관을 개선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아연계, 및 지방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활제가 0.1 phr 미만인 경우 분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압출 시 슬립 발생 및 압출 후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은 신호전달용 전선부 피복 조성물(B)는 (b1) 폴리프로필렌(PP) 20 ~ 80 phr; (b2)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 ~ 80 phr; (b3) 충진제 10 ~ 50 phr; (b4)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b5) 활제 0.1 ~ 5phr를 포함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PP)(b1)은 딱딱하고, 높은 융점(163℃)을 가지고 있어, 전선 연합 및 시스 압출 시 눌리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나아가 시스 압출 시 녹는 현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고분자량의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2)를 함께 블렌딩하여 사용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폴리프로필렌 수지(b1)는 블록 폴리프로필렌(Block-PP), 랜덤 폴리프로필렌(Random-PP),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PP), 및 터폴리머 폴리프로필렌(Ter-P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20 ~ 8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 phr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80 phr 초과인 경우 높은 경도로 인한 유연 특성 및 내한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2)는 저온 유연성을 개선하고, 시스 압출 시 녹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기에 사용하며,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20 ~ 8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20 phr 미만인 경우 유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80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충진제(b3)는 상기 전력공급용 피복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충진제(a3)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충진제는 10 ~ 5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phr 미만인 경우 압출 시 외경 안정성에 한계가 있으며, 50 phr 초과인 경우 절연 저항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b4)는 상기 전력공급용 피복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산화방지제(a5)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내열 안정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후 전선 표면의 블루빙(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활제(b5)는 상기 전력공급용 피복 조성물에서 사용하는 산화방지제(a6)와 동일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산화방지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압출 시 슬립 및 압출 후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시스부 피복 조성물(C)은 (c1) 용융지수(MI)가 30 ~ 50g/10min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50 ~ 90 phr; (c2) 용융지수(MI)가 1 ~ 5 g/10min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 ~ 50 phr; (c3) 인계 난연제 10 ~ 70 phr; (c4) 난연보조제 1 ~ 10 phr; (c5) 산화방지제 0.1 ~ 5 phr; (c6)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 0.1 ~ 5 phr; 및 (c7) 활제 0.1 ~ 5 phr를 포함한다. 이하 각 성분에 대해 이하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먼저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c1)은 내한특성, 내유특성, 내마모특성, 내후특성이 뛰어난 수지이다. 충전 케이블의 경우 저온에서 사용 시 딱딱하게 굳는 경우가 있어 사용상 불편함이 발생되는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및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를 블렌팅하는 경우 저온 유연성을 만족할 수 있어 소비자의 불편함을 개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50 ~ 9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50 phr 미만인 경우 내한성, 내유성, 내마모성, 내후성이 미흡하며, 90 phr 초과인 경우 케이블 표면의 무광 특성 및 높은 경도로 인한 유연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한다.
또한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은 경도 A70, A75, A80, A90, 및 A95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는 200℃/10kg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지수(MI)가 30 ~ 50 g/10mi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30 g/10min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50 g/10min 초과인 경우 기계적 물성 및 컴파운딩 시 흐름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c2)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과 혼합함으로써 저온 유연성을 부여하며, 극성이 뛰어난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E)는 10 ~ 5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0 phr 미만인 경우 저온 유연성 및 압출 성형성이 떨어지는 한계가 있으며, 50 phr 초과인 경우 기계적 물성 및 화학적 특성의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230℃/5kg의 조건에서 측정한 용융지수(MI)가 1 ~ 5 g/10min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g/10min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의 한계가 있으며, 5 g/10min 초과인 경우 인장 강도 저하로 기계적 물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서의 난연제(c3)는 할로겐 프리 난연제로서 인계 난연제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인계 난연제는 상기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과 호환성이 뛰어나기 때문이다. 난연제는 10 ~ 7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10 phr 미만인 경우 난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70 phr 초과인 경우 기계적 물성 및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난연보조제(c4)는 인계 난연제의 난연 효과를 높여주는 것으로, 질소계 난연제를 사용하며, 1 ~ 10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난연보조제가 1 phr 미만인 경우 분산 특성 및 난연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10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특성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 산화방지제(c5)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가수분해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산화장지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분산 특성에 따른 내열 특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압출 후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c6)는 자외선(UV)가 침투하면 폴리머 분해를 지연시키기 위하여 자외선을 흡수하고, 흡수된 자외선의 활성을 제어하여 안정화 시킨다.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자외선에 대한 안정성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상기 활제(c7)는 컴파운딩 시 분산 효율 증대 및 압출 시 외관 개선 효과가 있으며 몬탄왁스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활제는 0.1 ~ 5 phr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한데, 0.1 phr 미만인 경우 압출 특성(압출 부하)에 한계가 있으며, 5 phr 초과인 경우 압출 시 슬립 및 전선 표면의 블루밍(백화) 현상에 한계가 있기에 상기 범위 내에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렇게 상기 성분들로 피복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케이블은 IEC 62893 따른 내열등급 90℃급을 충족시키면서, 저온 유연성, 내한성, 내유성 등의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전기적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로 널리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교예 1 및 실시예 1: 전력공급용 전선부
비교예 1-1 ~ 1-3
하기 표 1의 성분 및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또는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컴파운딩 하였다. 이를 싱글 압출기(single extruder)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용 전선 샘플을 제조하였다.
전력공급용 전선부에 사용되는 피복 조성물(단위:phr)
구분
(단위:phr)
조성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수지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1) 50 60 80 90 100 10
폴리올레핀 수지2) 50 40 20 10 - 90
 충진제 충진제A 3) 50 50 50 50 50 50
 가교조제 가교조제 A 4) 2 2 2 2 2 2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 A 5) 1 1 1 1 1 1
산화방지제 B 6) 1 1 1 1 1 1
 활제 Zn-아미드계 활제 7) 1 1 1 1 1 1
실리콘계 활제 8) 1 1 1 1 1 1
1) EPDM로서, ENB 함량 0.5%인 제품(상품명:Nordel, 제조사명:DOW)
2) POE(상품명:Engage, 제조사명:DOW)
3) Mg(OH)2으로서, 이는 실란으로 코팅되어 있고 평균 입도는 1미크론(μ)인 충진제(상품명:H5A, 제조사명:Albemarle)
4) 가교촉진제(상품명:Trim S, 제조사명:레인켐)
5) 페놀계 산화방지제(상품명:이가녹스1010, 제조사명:BASF)
6) 금속불활성제(상품명:이가녹스1024, 제조사명:BASF)
7) Zn-아미드계 활제(상품명:TR-016, 제조사명:Structol)
8) 실리콘계 활제(상품명:Pellet S, 제조사명:Wacker)
실시예 1-1 ~ 1-3
상기 비교예 1-1 ~ 1-3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1의 조성 비율에 따라 전선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1: 물성 측정
상기 비교예 1-1 ~ 1-3, 및 실시예 1-1 ~ 1-3의 시험편을 각각 5개씩 준비하여 이에 대해 인장강도, 인장잔율, 신장잔율, 신장률(저온), 경도를 측정하여 그 물성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 측정: EN 60811-5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 인장잔율 측정: EN 60811-4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신장률 측정: EN 60811-5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4) 신장잔율 측정: EN 60811-4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5) 신장률(저온) 측정: EN 60811-505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6) 경도 측정: HD 605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시험 항목 요구치  시험조건 실시예 1-1 실시예
1-2
실시예 1-3 비교예
1-1
비교예
1-2
비교예 1-3
 인장강도 8N/mm2 이상 - 14.7 11.8 8.5 7.1 6.5 20.2
인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2 3 5 3 2 3
신장률
200% 이상 - 500 550 610 630 650 450
신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8 8 13 18 20 8
신장률(저온) 신장률 : 30% 이상 -40℃ 400 400 400 400 400 400
경도(Hardness) Shore A 80이상, 90이하 - 85 82 80 65 60 99
상기 표 2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1-1 ~ 1-3의 경우 각 성분들 간의 적절한 사용으로 본 발명의 구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1-1 ~ 1-3와 대비하여, 경도 및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2 및 실시예 2: 신호전달용 전선부
비교예 2-1 ~ 2-2
하기 표 3의 성분 및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또는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컴파운딩 하였다. 이를 싱글 압출기(single extruder)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용 전선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1 ~ 2-4
상기 비교예 2-1 ~ 2-2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3의 조성 비율에 따라 전선 샘플을 제조하였다.
신호전달용 전선부에 사용되는 피복 조성물(단위:phr)
구분
(단위:phr)
조성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비교예2-1 비교예2-2
 수지 폴리프로필렌수지 1) 60 50 40 30 10 90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40 50 60 70 90 10
 충진제 충진제A 3) 50 50 50 50 50 50
 산화방지제 산화방지제 A 4) 1 1 1 1 1 1
산화방지제 B 5) 1 1 1 1 1 1
 활제 Zn-아미드계 활제 6) 1 1 1 1 1 1
실리콘계 활제 7) 1 1 1 1 1 1
1)Block-PP(상품명:SB-930, 제조사명:롯데케미컬)
2)SEBS(상품명:G1651, 제조사명:Kraton)
3) Mg(OH)2으로서, 이는 실란으로 코팅되어 있고 평균 입도는 1미크론(μ)인 충진제(상품명:H5A, 제조사명:Albemarle)
4) 페놀계 산화방지제(상품명:이가녹스1010, 제조사명:BASF)
5) 금속불화성제(상품명:이가녹스1024, 제조사명:BASF)
6) Zn-아미드계 활제(상품명:TR-016, 제조사명:Structol)
7) 실리콘계 활제(상품명:Pellet S, 제조사명:Wacker)
실험예 2: 물성 측정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비교예 2-1 ~ 2-2, 및 실시예 2-1 ~ 2-4의 시험편을 5개씩 준비하여 이에 대해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결과
시험 항목 요구치  시험조건 실시예2-1 실시예2-2 실시예2-3 실시예2-4 비교예2-1 비교예2-2
 인장강도 15N/mm2 이상 - 20.6 17.6 16.0 15.1 11.2 25.7
 인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10 23 24 25 28 8
 신장률 300% 이상 - 600 650 700 760 860 450
 신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12 21 28 30 35 10
신장률(저온) 신장률 : 30% 이상 -40℃ 365 400 400 400 400 300
경도(Hardness) Shore D 50이상 60이하 - 56 55 53 50 25 69
상기 표 4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2-1의 경우 각 성분들 간의 적절한 사용으로 본 발명의 구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2-1 ~ 2-5와 대비하여, 경도 및 기계적 물성을 모두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교예 3 및 실시예 3: 시스부
비교예 3-1 ~ 3-3
하기 표 5의 성분 및 함량비에 따라 혼합하고 트윈 스크류 압출기(Twin Screw Extruder) 또는 니더(Kneader)를 이용하여 펠렛(Pellet) 형태로 컴파운딩 하였다. 이를 싱글 압출기(single extruder)를 이용하여 물성 측정용 전선 샘플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3-1 ~ 3-3
상기 비교예 3-1 ~ 3-3와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되, 하기 표 5의 조성 비율에 따라 시험편을 제조하였다.
전성용 시스 조성물(단위: phr)
구분(단위:phr) 조성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3-3 비교예 3-1 비교예 3-2 비교예 3-3
 수지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1) 60 50 90 40 30 95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 40 50 10 60 70 5
 난연제 인계 난연제 3) 50 50 50 50 50 50
 난연보조제 질소계 난연제 4) 10 10 10 10 10 10
 산화방지제 페놀계 산화방지제 5) 1 1 1 1 1 1
인계 산화방지제 6) 1 1 1 1 1 1
가수분해 방지제 7) 1 1 1 1 1 1
 자외선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8) 0.5 0.5 0.5 0.5 0.5 0.5
자외선 안정제 9) 0.5 0.5 0.5 0.5 0.5 0.5
 활제 몬탄 계열 활제 10) 1 1 1 1 1 1
실리콘 계열 활제 11) 1 1 1 1 1 1
1) 용융지수(MI)가 30 ~ 50g/10min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수지(상품명:Elastollan, 제조사명:BASF)
2) 용융지수(MI)가 1 ~ 5 g/10min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상품명:Kraton G, 제조사명: Kraton)
3) 인계 난연제(상품명:OP-930, 제조사명:Clariant)
4) 질소계 난연제(상품명:MC-110, 제조사명:유니버셜켐텍)
5) 페놀계 산화방지제(상품명:이가녹스1010, 제조사명:BASF)
6) 인계 산화방지제(상품명:이가녹스1024, 제조사명:BASF)
7) 가수분해 방지제(상품명:스타박솔 P, 제조사명:레인켐)
8) 자외선 흡수제(상품명:LL28, 제조사명:Addivant)
9) 자외선 안정제(상품명:LL62, 제조사명: Addivant)
10) 몬탄 계열 활제(상품명:CERIDUST 5551, 제조사명:Clariant)
11) 실리콘 계열 활제(상품명:Pellet S, 제조사명:Wacker)
실험예 3: 물성 측정
상기 비교예 3-1 ~ 3-3, 및 실시예 3-1 ~ 3-3의 시험편을 각각 5개씩 준비하여 이에 대해 인장강도, 인장잔율, 신장잔율, 내유성, 신장률(저온), 열충격테스트를 측정하여 그 물성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 측정: EN 60811-5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2) 인장잔율 측정: EN 60811-4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3) 신장률 측정: EN 60811-5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4) 신장잔율 측정: EN 60811-401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5) 내유성 측정: EN 60811-404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6) 신장률(저온): EN 60811-505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7) 열충격테스트: EN 60811-509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시험 항목 요구치 시험조건 실시예 3-1 실시예 3-2 실시예 3-3 비교예 3-1 비교예 3-2 비교예 3-3
인장강도 20N/mm2 이상 - 23.7 20.1 30.7 14.9 13.4 33.5
인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10℃ X 7day 6 13 4 31 45 3
신장률 300% 이상 - 514 570 320 640 720 290
신장잔율 (Aged) 변화율 30% 이하 110℃ X 7day 6 14 5 17 15 6
내유성 인장변화 40% 이하 IRM902 100℃ X 7day 28 35 14 50 60 12
신장변화 30% 이하 3 12 2 4 5 3
신장률(저온) 신장률 30% 이상 -40℃ 380 400 250 395 398 250
열충격테스트 크랙이 없을 것 150℃ X1h Pass Pass Pass Pass Pass Pass
상기 표 6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3-1 ~ 3-3의 경우 각 성분들 간의 적절한 사용으로 본 발명의 구성범위를 벗어난 비교예 3-1 ~ 3-3과 대비하여, 저온 유연성, 내한성을 갖기에 저온 환경에서도 사용하기 적합하며, 내유성이 우수하여 차량용 오일이 침투하지 못하며, 인장강도 등의 기계적 물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우수한 전기적, 기계적, 화학적 특성으로 인한 시스 두께의 박육화가 가능하기에 충전 케이블의 소형화 및 경량화가 가능하기에, 기존의 폴리염화비닐(PVC)로 피복된 전선을 대체할 수 있다.
실시예 4: 충전 케이블
상기 실험예 1 ~ 3의 물성 측정 결과에서 가장 우수한 결과를 나타내었던 조성물을 이용하여 충전 케이블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1-1의 조성물을 2.5SQ의 도체 위에 피복하여 3개의 전력공급용 전선을 제조하였으며, 실시예 2-1의 조성물을 0.5SQ의 도체 위에 피복하여 1개의 신호전달용 전선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총 4가닥의 전선을 연합 후 연합체에 실시예 3-1의 조성물을 피복하여 충전 케이블 샘플을 제작하였다.
참고로, 충전용 케이블의 단면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으며, 3개의 전력공급용 전선부(1), 1개의 신호전달용 전선부(2), 이들을 포함하는 전선의 외곽에 형성된 시스부(3)로 구성된다.
실험예 5: 물성 측정
실시예 4의 충전 케이블 샘플에 대하여 ICE 62893 기준으로 평가하여 그 평가 결과를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ICE 62893 기준으로 평가한 결과
시험항목 요구치 및 시험 조건 측정 결과
전선부 인장강도 0.5SQ 15N/mm2 27.35
2.5SQ 8N/mm2 13.07
신장률 0.5SQ 300% 이상 526
2.5SQ 200% 이상 476
가열인장잔율 0.5SQ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2.8
가열신장잔율 2.5SQ 변화율 30% 이하 (135℃ X 7day) 4
저온신장률 0.5SQ 30% 이상일 것 (-40℃) 360
2.5SQ 30% 이상일 것 (-40℃) 400
절연저항 (90℃) 2.5SQ 0.691 MΩKm 이상 120
시스부 인장강도 20N/mm2 24.2
신장률 300% 이상 514
가열 인장잔율 변화율 30% 이하 (120℃ X 7day) 6
가열 신장잔율 변화율 30% 이하 (120℃ X 7day) 6
내유 인장잔율 변화율 40% 이하 (IRM 902 100℃ X 7day) 28
내유 신장잔율 변화율 30% 이하 (IRM 902 100℃ X 7day) 3
저온신장률 30% 이상 (-40℃) 380
시스부에 대한 굽힘테스트(Bending Test for Sheath at -40℃) 환본지름 샘플의 4~5배, 2회 감아 크랙확인 Pass
내마모성 하중 400g 인가 시, 4000 ㎜ 이상 5532㎜
전선케이블(완제품) 유연성 상온(23℃) 10N 이하 8
저온(-40℃) 37N 이하 16
상기 표 7을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피복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실시예 4의 충전 케이블은 ICE 62983 기준을 모두 만족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각 조성물과 이들로 피복된 전선부, 시스부는 저온 유연성, 내한성, 내유성, 내마모성 등의 물성적 특성이 우수하며, 전기적 특성에 있어서도 만족됨을 확인할 수 있다.
비교예 4: 폴리염화비닐( PVC )로 피복된 종래의 충전 케이블
종래의 충전 케이블(제조사:EVJT, 제품명:KYUNGSHIN CABLE)을 준비하였다. 이는 절선부 및 시스부 소재로 폴리염화비닐(PVC) 수지를 사용한 제품이다.
실험예 6: 물성 측정
상기 실시예 4와 비교예 4의 충전 케이블을 각각 5개의 시험편으로 준비하고 이에 대해 기계적 특성(상온에서의 인장강도와 신장률, 고온에서의 인장변화율, 신장변화율, 내마모성), 전기적 특성(절연저항), 화학적 특성(내유성)을 측정하여 그 물성 결과를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이에 대한 시험방법은 다음과 같다.
(1) 인장강도/신장률 측정(상온 23℃): 충전 케이블에 하중이 가해지거나 잡아당겼을 때 견디는 정도를 평가하는 것으로, 충전 케이블 시험편의 모양은 절연체에서 절연체 안지름 5㎜ 미만은 관 모양 그대로, 그 밖의 것은 보통 덤벨형으로 할 수 있다. 관 모양 시험편은 길이 약 100㎜로 하여 그 중앙부에 길이 20㎜의 간격으로 눈금을 그린다. 덤벨형 시험편은 적당한 방법으로 도체를 제거하고 표면을 평활하게 하였다. 이때 덤벨형 시험편의 두께는 0.8㎜ 이상, 2.0㎜ 이하여야 한다. 덤벨형 시험편은 아령형 3호 또는 4호에 의해 펀칭한 것으로 하며 그 중앙부에 길이 20㎜ 간격으로 눈금을 그렸다. 시험은 인장시험기로 진행되며, 준비된 시험편을 물린 후 250 ㎜/min의 속도로 인장하여 최대 인장하중 및 절단 시 눈금의 길이를 동시에 측정하였다. 측정된 수치는 하기 표 8에 규정된 수식을 활용하여 인장강도 및 신장률을 환산하였다. 환산된 5개 값의 평균값을 결과값으로 하였다.
[표 8]
Figure pat00001
(2) 내열성 측정: 전선의 수명을 검증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 사용 조건보다 가혹한 조선을 설정하여 내/외부적 환경 에 다른 고온 저항성을 평가하기 위한 것이다. 충전 케이블 시험편을 120℃ 항온조에서 168 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이때 시험편은 항온조 안의 표면으로부터 최소 20mm 이상은 떨어져야 하며, 다른 재료들로 구성된 시료를 함께 시험하지 않는다.
(3) 내마모성 측정: 외부의 거친 면, 하중 및 마찰력에 대한 절연체의 저항력을 평가하는 것으로, 약 900㎜ 길이의 충전 케이블 시험편을 준비하고, 테이프로 내마모 시험기에 고정 후 내마모 테이프와 접촉시켰다. 규정된 하중(400g)을 가한 다음에 1500㎜/분의 속도로 테이프를 이동시켜 도체와 테이프가 접촉할 때까지의 테이프 길이를 읽었다. 1개소 측정을 한 후 시료를 25 mm 이동해서 시계방향으로 90°회전시켜 고정하고 앞의 시험을 행하였다. 이와 같이 해서 1개의 시료에 대해서 4개의 측정값을 읽어 평균을 내어 얻은 평균값을 마모저항값으로 한다.
(4) 절연저항 측정: 절연저항 측정기(4339B, Agilent)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5) 내유성 측정: 충전 케이블 시험편을 내유조의 IRM902 오일에 100℃에서 240 시간 동안 침유하였다. 침유한 충전 케이블에 대해 상기 인장강도/신장률 측정과 동일한 방법으로 인장강도와 신장률을 측정하였다.
(6) 유연성 측정: 케이블의 굴곡에 필요한 힘의 측정 및 고유연성 케이블의 유연성 유지 목적으로 유연성 시험을 시행하였다. 400㎜ 이상의 충전 케이블 시험편을 취하여 반경이 80㎜가 되도록 고정 후 로드 셀(Load Cell)을 100㎜/min의 속도로 하강시켜 굴곡반경이 40㎜가 되기까지의 최대 하중을 측정하였다.
물성 측정 결과
구분 단위 비교예 4 실시예 4 비고
기계적 특성(시스부) 상온
(23℃)
인장강도 N/㎟ 16 24.2 51%▲
신장률 % 188 514 173%▲
내열
(120℃)
인장 변화율 % 15  6 60%▲
신장 변화율 % 10 6  40%▲
내마모성 mm 4228 5532 38%▲
전기적 특성 (전선부) 절연저항(90℃) MΩKm 0.335 120 357%▲
화학적 특성
(시스부)
내유성 인장 변화율 % 37 28 24%▲
신장 변화율 % 30 3
90%▲
물성 측정 결과
구분 비교예 4 실시예 4 비고
유연성
(N)
상온(23℃) 10 8 20%▲
저온
(-40℃)
37 16 57%▲
상기 표 9를 살펴보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4의 경우 상온에서의 인장강도, 신장률은 물론, 열을 가한 가혹한 조건에서의 인장변화율, 신장변화율 모두, PVC 재질로 피복된 비교예 4(종래의 충전 케이블)와 대비하여 기계적 특성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신장율은 173%로 대폭 향상되었으며, 그 외 다른 물성 등 역시 40 ~ 60%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내유성의 화학적 특성에 있어도 실시예 4의 경우 비교예 4(종래의 충전 케이블)와 대비하여 인장 변화율에 있어서 24%, 신장변화율에 있어서 90%로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신장변화율을 보면 거의 변화율이 없을 정도이다.
또한 전기적 특성으로서 절연 저항을 측정해 보았을 때, 실시예 4의 경우 높은 절연저항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예 4와 대비하여 무려 357%의 상승률을 갖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표 10을 살펴보면, 실시예 4의 경우 비교예 4와 대비하여 유연성이 우수하며, 특히 저온에서의 유연성은 더욱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충전 케이블은 저온 유연성을 갖으며 기계적 물성, 화학적 물성, 전기적 물성 모두 만족시킬 수 있는 친환경적인 전선으로서, 소비자에게 보다 신뢰성 있는 전기자동차 충전 케이블로로 제공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1: 전력공급용 전선부
2: 신호전달용 전선부
3: 시스부

Claims (9)

  1. (a1) 무니 점도가 20 ~ 60인 에틸렌프로필렌고무(EPR) 20 ~ 80 phr; (a2) 폴리올레핀 수지(PO) 10 ~ 80 phr; (a3) 충진제 10 ~ 50 phr; (a4) 가교조제 1 ~ 10 phr; (a5)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a6) 활제 0.1 ~ 5 phr를 포함하는 피복용 조성물(A)로 피복된 전력공급용 전선부;
    (b1) 폴리프로필렌(PP) 20 ~ 80 phr; (b2)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20 ~ 80 phr; (b3) 충진제 10 ~ 50 phr; (b4) 산화방지제 0.1 ~ 5 phr; 및 (b5) 활제 0.1 ~ 5phr를 포함하는 피복 조성물(B)로 피복된 신호전달용 전선부; 및
    (c1) 용융지수(MI)가 30 ~ 50g/10min인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PU) 50 ~ 90 phr; (c2) 용융지수(MI)가 1 ~ 5 g/10min인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10 ~ 50 phr; (c3) 인계 난연제 10 ~ 70 phr; (c4) 난연보조제 1 ~ 10 phr; (c5) 산화방지제 0.1 ~ 5 phr; (c6) 자외선 흡수제 및 안정제 0.1 ~ 5 phr; 및 (c7) 활제 0.1 ~ 5 phr를 포함하는 전선용 시스 조성물(C)로 피복된 시스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충진제(a3) 또는 충진제(b3)는 SiO2, CaCO3, Mg(OH)2, 및 하이드로탈사이트(hydrotalci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표면에 실란이 코팅된 것으로 평균입자 크기가 0.5 ~ 1 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교조제(a4)는 TAIC, TAC, 및 TMPTMA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a5) 또는 산화방지제(b4)는 페놀계 산화방지제, 또는 금속불활성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a6) 또는 활제(b5)는 불소계, 실리콘계, 아마이드계, 아연계, 및 지방산계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b2)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BS), 및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코폴리머(SIS)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c2)는 스티렌에틸렌부틸렌스티렌(SEBS)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산화방지제(c5)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인계 산화방지제, 및 가수분해 방지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활제(c7)는 몬탄왁스 계열 또는 실리콘 계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충전 케이블.
KR1020160059123A 2016-05-13 2016-05-13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KR20170128025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123A KR20170128025A (ko) 2016-05-13 2016-05-13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US15/349,124 US20170330644A1 (en) 2016-05-13 2016-11-11 Charging cable having flexibility at low tempeature and oil resistance
CN201611240065.9A CN107365532A (zh) 2016-05-13 2016-11-24 具有低温挠性和耐油性的充电电缆
DE102016223329.7A DE102016223329A1 (de) 2016-05-13 2016-11-24 Ladekabel mit Flexibilität bei niedrigen Temperaturen und Ölresistenz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9123A KR20170128025A (ko) 2016-05-13 2016-05-13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8025A true KR20170128025A (ko) 2017-11-22

Family

ID=601636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9123A KR20170128025A (ko) 2016-05-13 2016-05-13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70330644A1 (ko)
KR (1) KR20170128025A (ko)
CN (1) CN107365532A (ko)
DE (1) DE10201622332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51A1 (ko) * 2018-07-27 2020-01-30 일진전기 주식회사 절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816360A (zh) * 2020-07-03 2020-10-23 文家洪 一种基于油充褶皱的抗冻电缆及其使用方法
US20220203857A1 (en) * 2020-12-30 2022-06-3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Accelerated electric vehicle charging with subcooled coolant boiling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596055B1 (en) * 2010-07-19 2014-08-20 DSM IP Assets B.V. Flame retardant insulated electrical wire
CN103748639B (zh) * 2011-06-21 2017-03-01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含有基于哌嗪的泡沸阻燃剂的无卤素阻燃聚合物组合物
CN103937114A (zh) * 2014-05-08 2014-07-23 上海蓝昊电气江苏有限公司 一种低成本高性能绝缘橡皮材料
CN204229900U (zh) * 2014-11-12 2015-03-25 肇庆中乔电气实业有限公司 一种电动汽车充电电缆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022651A1 (ko) * 2018-07-27 2020-01-30 일진전기 주식회사 절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
KR20200012443A (ko) * 2018-07-27 2020-02-05 한국전력공사 절연재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절연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65532A (zh) 2017-11-21
DE102016223329A1 (de) 2017-11-16
US20170330644A1 (en) 2017-11-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29619B2 (en) Flame-retardant resin composition, and insulated wire, insulated shielded wire, insulated cable and insulation tube using the same
KR101938006B1 (ko) 유연성, 내마모성 및 난연성이 우수한 전선용 수지 조성물
CN1939963B (zh) 在弯曲变形时具有改善的抗白化性的阻燃树脂组合物
JP6229942B2 (ja) 鉄道車両用絶縁電線及び鉄道車両用ケーブル
WO2010024602A2 (en) Polypropylene-based flame-resistant resin composition for cable insulation material with superior mechanical properties
KR101314010B1 (ko) 난연성 폴리올레핀 조성물
KR101012993B1 (ko) 열가소성 폴리우레탄 기반 절연 및 외피 물질층용 조성물 및 이를 갖춘 전선
JP2008169273A (ja) 難燃性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及び、絶縁電線
EP1695997A1 (en) Power or communications cable with flame retardant polymer layer
JP5027590B2 (ja) 電線絶縁体用樹脂組成物及び被覆電線
KR20170128025A (ko) 저온 유연성과 내유성이 우수한 충전 케이블
US7750242B2 (en) Insulated wire, insulated cable, non-halogen flame retardant wire, and non-halogen flame retardant cable
KR101037817B1 (ko) 기계적 특성이 우수한 폴리프로필렌 기반 난연성 수지 조성물과 이를 이용한 전선
KR101583908B1 (ko) 절연재 제조용 수지 조성물 및 절연재의 제조방법
KR20170128024A (ko)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충전 케이블
JP7176525B2 (ja) 光ファイバ用又は電線用の外被
KR101808828B1 (ko) 전선용 시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전선
KR101774449B1 (ko) 내마모성과 난연성이 우수한 자동차 전선용 절연재료 조성물
KR20120102371A (ko) 고난연성 절연재료 조성물
KR101774448B1 (ko) 난연성 및 유연성이 우수한 철도차량용 신호 케이블의 시스 재료 조성물
KR101778803B1 (ko) 고내열성 전선용 절연 조성물
KR20130090233A (ko) 비가교형 내유 내머드성 조성물
KR102649467B1 (ko) 내한성이 우수한 비할로겐계 시스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시스층을 포함하는 케이블
AU2014274593B2 (en) Flame Retardant Polymeric Material
KR20210095077A (ko) 자동차 케이블용 절연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자동차 케이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