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895A -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895A
KR20170127895A KR1020160058711A KR20160058711A KR20170127895A KR 20170127895 A KR20170127895 A KR 20170127895A KR 1020160058711 A KR1020160058711 A KR 1020160058711A KR 20160058711 A KR20160058711 A KR 20160058711A KR 20170127895 A KR20170127895 A KR 201701278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put
information
band
sensors
touch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87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경택
박세호
윤효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87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7895A/ko
Publication of KR201701278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89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force sensing means to determine a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체,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내에 또는 상기 밴드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한다.

Description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FOR PROVIDING INPUT INTERFACE BASED ON BAND-TOUCH}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밴드부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센서로의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압력 및 위치의 센싱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하는 밴드 터치형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 워치 등 사용자의 신체 부위에 착용 가능한 휴대용 단말기는 현재 스마트폰과 연동하는 앱세서리(Appcessory) 형태로 스마트폰과 유사한 UX/UI로 개발되어 오고 있다. 하지만,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최적화되지 않은 UX/UI로 인하여 다양한 문제점들이 대두되고 있다.
스마트 워치의 경우, 사용자가 한쪽 손목에 단말기를 착용하기 때문에 착용하지 않은 다른 손만을 사용하여 키 입력 및 메뉴 선택을 해야되는 제약이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는 그 특성상 디스플레이 화면이 작기 때문에, 입력하고자 하는 키의 절대적인 크기를 줄여서 여러 키를 하나의 화면 상에 출력되도록 해야 하므로, 화면상에서 키 입력 및 메뉴 선택시 화면을 손으로 가리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화면 상에 출력된 키 버튼보다 상대적으로 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인해 키 입력시 오류가 생기는 Fat Finger 문제 등 실제 사용에 있어 여러가지 불편한 문제들이 수반되게 된다.
이러한 구조적 한계를 해결하기 위하여, 소프트웨어적으로 웨어러블 디바이스 화면에 보이는 키보드의 크기를 조정하고, 키 입력시 단어를 추천하거나 또는 키보드를 여러 화면에 분할하여 보여주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 워치의 하드웨어 자체, 후면, 측면에 추가적인 버튼을 배치하거나 베젤, 크라운(crown)을 활용하는 방법, 사용자의 손동작을 사용하거나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밴드를 활용하는 등 다양한 방법들이 연구되어 오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인터렉션을 하는 동안에 이에 대한 시각적인 지시나 다중감각 피드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하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밴드를 통한 입력 역시 입력 표현도(Expressivity)가 제한적이거나 다양한 입력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자가 여러번 반복해서 터치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와 관련하여,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07584호(발명의 명칭: 밴드 터치센서를 갖는 스마트 워치용 밴드 조립체)는 스마트 워치로부터 전기적 신호를 수신하여 음향을 생성하는 음향 모듈, 음향 모듈과 일체를 이루며, 스마트 워치를 고정하는 크래들(cradle), 크래들을 결속대상에 결속하는 워치 밴드(watch band), 및 워치 밴드 외면에 제공되며, 피대상물의 제1 밴드 접촉신호를 감지하여 스마트 워치로 제1 밴드 접촉신호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송신하는 제1 밴드 터치센서를 포함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밴드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체,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내에 또는 상기 밴드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밴드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를 통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보다 풍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달리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손을 기반으로 하는 키 입력 및 메뉴 선택 방법 등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특성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센서 및 이의 세부 영역을 통해, 복수의 키 입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고, 이러한 키 입력을 통해 다양한 식별 가능한 UI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SNS, 메신저,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밴드부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입력 센서 각각의 세부 영역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압력 레벨을 구분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디스플레이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a 내지 도 8c는 압력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은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밴드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통해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를 센싱하고, 센싱값에 기초하여 생성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1)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디바이스 본체(100), 밴드부(200) 및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포함한다.
디바이스 본체(10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메모리(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디스플레이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10)은LED(light-emitting diode),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타입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진행 상황 및 선택 사항 중 하나 이상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따라 생성된 입력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각 이벤트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터치스크린을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것이 아니라, 밴드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통해 터치 입력을 수신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입력부인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와 출력부인 디스플레이 모듈(110)이 구분되어 제공되며, 이에 따라 사용자는 밴드부(200)를 통해 입력하고 있는 이벤트에 대한 현재 진행 상황 및 선택 상황 중 하나 이상을 터치스크린 방식에 비하여 보다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120)에는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다. 여기에서, 메모리(120)는 전원이 공급되지 않아도 저장된 정보를 계속 유지하는 비휘발성 저장장치 및 휘발성 저장장치를 통칭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메모리(120)는 콤팩트 플래시(compact flash; CF) 카드, SD(secure digital) 카드,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state drive; SSD) 및 마이크로(micro) SD 카드 등과 같은 낸드 플래시 메모리(NAND flash memory),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HDD) 등과 같은 마그네틱 컴퓨터 기억 장치 및 CD-ROM, DVD-ROM 등과 같은 광학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밖에, 디바이스 본체(100)는 디바이스의 회로, 구조, 카메라, 배터리,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지자기 센서 등의 센서부 및 통신모듈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용할 수 있다.
이때, 통신모듈은 스마트폰, 태블릿, 개인 컴퓨팅 디바이스, 스마트 가전제품(예컨대, 냉장고, 온도계, 또는 세탁기), 또는 그 밖의 적절한 디바이스와 같은 외부 디바이스와의 페이링이나 자체적인 통신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무선 통신 모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은 WLAN(wireless LAN), Bluetooth, HDR WPAN, UWB, ZigBee, Impulse Radio, 60GHz WPAN, Binary-CDMA, WiFi 무선 USB 기술 및 무선 HDMI 기술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킨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예컨대 하나 이상의 프로세싱 유닛, 드라이브 유닛, 감지 유닛, 캐쉬(cache), 메모리 엘리먼트, 또는 집적 회로와 같은 임의의 적절한 콤포넌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한다.
밴드부(200)는 디바이스 본체(100)에 연결된다. 구체적으로 밴드부(200)는 디바이스 본체(100)의 일 측면과 연결된 제 1 밴드(210)와, 디바이스 본체(100)의 일 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과 연결된 제 2 밴드(220)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밴드부(200)는 사용자의 손목의 굵기의 변화에 따라 일부 또는 전부가 신축되도록 탄성력을 가질 수 있으며, 그밖에 일반적인 시계줄 소재로 구성될 수도 있다.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는 밴드부(200) 내에 또는 밴드부(200) 상에 구비되어,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가 사용자의 터치한 압력 및 위치를 센싱하면, 프로세서(130)는 터치한 압력의 정보와 터치한 위치의 정보, 그리고 사용자가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터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할 수 있다.
밴드부(200)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센서(310, 320, 330, 340)를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밴드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각각의 세부 영역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압력 레벨을 구분하여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는 밴드부(200)의 제 1 밴드(210) 내에 또는 제 1 밴드(210) 상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310, 320)와, 밴드부(200)의 제 2 밴드(220) 내에 또는 제 2 밴드(220) 상에 구비된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330, 340)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밴드부(200)의 상, 하에 각각 2개씩 압력 및 위치의 센싱이 가능한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는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를 센싱할 수 있는 포텐쇼미터(Potentiometer)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밴드부(210, 220)에 구비되는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는 각각 그 길이 및 크기가 동일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각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길이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는 각각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세부 영역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프로세서(130)는 세부 영역에 터치된 압력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압력의 범위로 구분된 압력 레벨 중 어느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하나 이상의 세부 영역에 터치 입력을 하면, 입력된 세부 영역과 압력 레벨을 고려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은 복수의 입력 센서 4개(310, 320, 330, 340)가 각각 3개씩의 세부 영역(311~313, 321~323, 331~333, 341~343)으로 구분되어 있는 예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때, 세부 영역은 설계시 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개수의 형태로 구분될 수도 있으며, 또는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세부 영역이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세부 영역의 구분은 기본적으로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각 세부 영역을 물리적으로 구분하고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제공하기 위하여, 밴드부(200) 상에 실선 등을 이용하여 경계를 표시하는 등의 방법을 통해 구분할 수 있다. 이때, 각 세부 영역은 상술한 바와 같이 균등하게 구분되거나 필요에 따라 서로 다른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세부 영역은 입력 센서를 통한 센싱값을 프로세서(130)가 논리적으로 구별하기 위하여 구분되도록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센서를 터치할 경우, 센싱값은 위치의 정보(0에서 N 사이의 정수값)와 압력의 정보(0에서 M 사이의 정수값)로 산출되어 입력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
이때, 세부 영역은 위치의 정보에 기반하여 구분된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센서(310)에 대한 위치의 정보는 0에서 300으로 표현할 수 있는 위치값인 경우, 프로세서는 0에서 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이 검출되면 제 1-1 세부 영역(311), 101에서 2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이 검출되면 제 1-2 세부 영역(312), 201에서 3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위치값이 검출되면 제 1-3 세부영역(313)으로 판단할 수 있다.
압력의 정보는 0에서 M 사이의 압력값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0에서 M 사이의 압력값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압력의 범위로 구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구분된 압력의 범위 중 어느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가 0에서 100 범위의 압력값을 측정할 수 있는 경우,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1에서 30 범위에 해당하는 압력값은 제 1 압력 레벨,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31에서 70의 범위에 해당하는 압력값은 제 2 압력 레벨,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71에서 100의 범위에 해당하는 압력값은 제 3 압력 레벨로 구분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제 1 내지 제 3 압력 레벨 중 어느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 입력이 수신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와 같이 하나의 입력 센서가 3개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각 세부 영역은 3개의 압력 범위로 구분되는 경우, 하나의 입력 센서에서는 총 9가지 종류의 터치 입력이 가능하다. 이에 따라, 총 4개의 입력 센서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각 센서를 독립적인 입력으로 사용시 총 36개의 고유의 입력이 가능하다.
이와 더불어, 터치하지 않는 경우를 함께 조합하면, 총 4개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사용할 경우 10,000개(10×10×10×10)의 입력 조합이 가능하다.
한편,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가 서로 동일한 형태로 제공될 경우, 센싱 가능한 위치값 및 압력값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다. 이와 달리 각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마다 센싱 가능한 위치값 및 압력값은 서로 다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왼손에 착용하는 경우와 오른손에 착용하는 경우, 각각 센싱 가능한 위치 값 및 압력값은 서로 다르게 제공될 수 있다.
다시 도 1을 참조하면, 프로세서(130)는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중 동일 또는 상이한 입력 센서에서 두 개 이상의 세부 영역에 대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130)는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해 우선하여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를 동작시킬 수 있다. 그리고 타이머 동작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과 다른 세부 영역에 대해 추가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면, 터치된 각 세부 영역의 조합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복수의 세부 영역 중 제 1-1 세부 영역(311)과 제 1-2 세부 영역(312)을 동시에 터치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 1 입력 센서(310)에 대한 터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기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예를 들어, 매 1초)를 동작시킨다. 이때, 제 1-1 세부 영역(311)을 기준으로 타이머 동작 중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해 터치 입력이 수신된 것으로 볼 수 있는바, 추가적으로 터치 입력된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한 터치가 발생한 것을 확인하고, 타이머 종료 후 제 1-1 세부 영역(311) 및 제 1-2 세부 영역(312)의 조합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순차적으로 입력된 경우도 마찬가지로, 제 1-1 세부 영역(311)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타이머를 동작시키고 타이머 동작 중 제 1-1 세부 영역(311)을 누른 상태에서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타이머를 종료시키고 제 1-1 세부 영역(311) 및 제 1-2 세부 영역(312)의 조합에 해당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프로세서(130)는 사용자가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중 두 개 이상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터치하거나, 복수의 세부 영역 중 두 개 이상의 세부 영역을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터치하는 경우에 조합된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세부 영역 및 압력 레벨에 따라 매핑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는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디스플레이 된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센서(310)의 제 1-2 세부 영역(312)을 통해 입력 가능한 키가 ‘1’, ‘2’, ‘3’인 경우, 가장 작은 압력 범위로 입력시 ‘1’이 입력되고, 중간의 압력 범위로 입력시 ‘2’가 입력되며, 가장 큰 압력 범위로 입력시 ‘3’이 입력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10)은 이러한 현재 진행 상황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최종 선택 입력시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키 입력이 수행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 1-2 세부 영역(312)을 약하게 누를 시에는 ‘1’이 선택되는 것을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확인할 수 있으며, 조금 더 강하게 누를 시에는 ‘1’에서 ‘2’로 이동되어 선택되는 것을 확인할 수도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터치한 상태에서 손을 떼는 경우 그 상태에서 선택되어 있는 키가 입력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10)을 통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에서 이벤트를 실행시키기 위한 입력 정보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밴드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통해 센싱된 위치의 정보에 기초하여 상측, 하측, 좌측 및 우측 등의 방향 이벤트를 생성할 수 있다.
도 5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터치한 위치의 정보는 수치의 범위로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터치한 위치의 정보에 대한 수치가 증감하는 것을 인식하여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세부 영역만을 대상으로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고, 복수의 세부 영역을 대상으로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도 있다.
먼저, 하나의 세부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에 포함된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수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4 입력 센서(340)의 제 4-1 세부 영역(341)에 대하여 1초 내에 위치값이 280에서 210으로 감소하는 터치 입력을 수신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복수의 세부 영역을 대상으로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센서에 포함된 세부 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수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세부 영역으로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3 입력 센서(330)에 포함된 제 3-1 세부 영역(331)은 201에서 300의 범위의 위치값을 가지고, 제 3-2 세부 영역(332)은 101에서 200의 위치값을 가지는 경우, 사용자가 제 3-1 세부 영역(331)을 터치한 상태에서 1초 이내에 제 3-2 세부 영역(332)으로 터치를 변경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수치가 감소하므로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은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내에 제 1 입력 센서(310)에서 제 2 입력 센서(320)의 방향으로 터치하거나, 제 3 입력 센서(330)에서 제 4 입력 센서(340)의 방향으로 터치한 경우, 또는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 터치한 경우, 프로세서는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제 3 입력 센서(330)를 터치한 후 1초 이내에 제 4 입력 센서(340)로 터치를 변경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우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터치가 된 경우, 프로세서(130)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도 7은 줌 인 또는 줌 아웃의 디스플레이 이벤트에 대응하는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가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동안,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310, 320) 또는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330, 340)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줌 아웃 및 줌 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제 1 밴드(210)의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310, 320)를 1초 이상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줌 아웃의 이벤트가 수행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밴드(220)의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330, 340)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줌 인의 이벤트가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반대의 경우, 즉 제 1 밴드(210)의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310, 320)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줌 인의 이벤트가 수행되고, 제 2 밴드(220)의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330, 340)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줌 아웃의 이벤트가 수행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사용자가 제 1 밴드(210) 및 제 2 밴드(220)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입력 센서를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된 입력 센서를 포함하는 밴드와 상이한 밴드에 포함된 입력 센서를 통해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하여 터치를 한 경우, 프로세서(130)는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밴드(210)의 제 1 입력 센서(310)를 터치한 상태에서, 제 2 밴드(220)의 제 3 입력 센서(330)를 터치한 경우, 제 3 입력 센서(330)를 통해 방향(상, 하, 좌, 우 및 이들의 조합)을 입력하여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밴드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조합을 통하여 방향 이벤트 등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입력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및 이의 세부 영역을 통해 텍스트 입력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바, 도 8a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8a 내지 도 8c는 압력 및 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텍스트의 입력을 수신하는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프로세서(130)는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각 세부 영역의 개수 및 압력 레벨의 개수에 기초하여 텍스트 입력창(P1)을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그리고 프로세서(130)는 입력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창(P2)을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에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4개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각 세부 영역의 개수는 총 12개이고, 각 세부 영역에 대응하는 압력 레벨의 개수는 3개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총 36개의 텍스트 입력 버튼을 4개의 텍스트 입력창(9×4 배열)으로 디스플레이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로부터 각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특정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의 센싱값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텍스트 입력창(P1) 중 센싱값에 대응하여 생성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와 차별되도록 표시하고, 텍스트 출력창(P2)에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가 출력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도 8a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 센서(310)의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해 제1 압력 레벨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의 텍스트 입력창(P1)에 텍스트 ‘A’를 다른 텍스트와 차별되도록 표시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텍스트 출력창(P2)에 ‘A’가 표시된다.
다음으로 도 8b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사용자로부터 제 1 입력 센서(310)의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해 제 2 압력 레벨로, 그리고 도 8c에 도시된 예시와 같이 제 1 입력 센서(310)의 제 1-2 세부 영역(312)에 대해 제 3 압력 레벨로 터치 입력을 수신하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 모듈(110) 상의 텍스트 입력창(P1)에 텍스트 ‘S’와 ‘D’를 각각 표시하고 사용자가 손을 떼면 순차적으로 텍스트 출력창(P2)에 각각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8a 내지 도 8c의 예시와 같이 4개의 텍스트 입력창(9×4 배열)을 제공하는 경우, 텍스트를 입력하는 예시는 아래 표 1 내지 표 4와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제 1 입력 센서 제 1 압력 레벨 제 2 압력 레벨 제 3 압력 레벨
제 1-1 세부 영역 Q W E
제 1-2 세부 영역 A S D
제 1-3 세부 영역 Z X C
제 2 입력 센서 제 1 압력 레벨 제 2 압력 레벨 제 3 압력 레벨
제 2-1 세부 영역 R T Y
제 2-2 세부 영역 F G H
제 2-3 세부 영역 V B N
제 3 입력 센서 제 1 압력 레벨 제 2 압력 레벨 제 3 압력 레벨
제 3-1 세부 영역 U I O
제 3-2 세부 영역 J K L
제 3-3 세부 영역 M P 0
제 4 입력 센서 제 1 압력 레벨 제 2 압력 레벨 제 3 압력 레벨
제 4-1 세부 영역 7 8 9
제 4-2 세부 영역 4 5 6
제 4-3 세부 영역 1 2 3
한편, 특수 문자키, 영문, 한글 등의 텍스트의 종류는 메뉴 선택의 입력을 통해 텍스트 입력창(P1)을 변경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영문의 대문자와 소문자의 구별, 한글의 쌍자음 등의 입력의 경우,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터치하여 텍스트를 입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 1 입력 센서(310)의 제 1-2 세부 영역(312)을 제 1 압력 레벨로 터치하면 소문자 ‘a’가 입력되는 경우, 제 1-2 세부 영역(312)을 터치한 상태에서 제 2 입력 센서(320)의 어느 한 세부 영역을 터치하면 대문자 ‘A’로 전환되어 텍스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의 각 세부 영역과, 미리 설정된 압력 레벨에 기초하여 다양한 텍스트의 입력을 지원할 수 있다.
참고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도 1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소정의 역할들을 수행할 수 있다.
그렇지만 '구성 요소들'은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며, 각 구성 요소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구성 요소는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 요소들, 클래스 구성 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 요소들과 같은 구성 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 요소들과 해당 구성 요소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 요소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밴드부(200)에 포함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를 통하여 터치 입력을 수신함에 따라, 보다 풍부한 정보를 표시할 수 있으며, 특히 터치스크린 기반의 웨어러블 디바이스와 달리 정보가 표시되는 화면을 가리지 않고도 터치 입력이 가능하게 할 수 있어, 사용자에게 자연스러운 입력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한 손을 기반으로 하는 키 입력 및 메뉴 선택 방법 등을 제공함으로써, 웨어러블 디바이스(1)의 특성에 맞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입력 센서(310, 320, 330, 340) 및 이의 세부 영역을 통해, 복수의 키 입력을 동시에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종래 기술의 경우 다수 단계를 반복하거나 여러 중간 메뉴를 선택하는 과정 등을 거쳐야 하므로, 여러 메뉴나 아이템 등을 빠르게 접근하여 원하는 메뉴나 아이템을 선택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디바이스(1)는 복수의 키 입력을 통한 다양한 식별 가능한 UI 이벤트를 제공할 수 있어, 사용자로 하여금 SNS, 메신저, 게임 등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보다 원활하게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방법 및 시스템은 특정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그것들의 구성 요소 또는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는 범용 하드웨어 아키텍쳐를 갖는 컴퓨터 시스템을 사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웨어러블 디바이스 100: 디바이스 본체
110: 디스플레이 모듈 120: 메모리
130: 프로세서 200: 밴드부
210: 제 1 밴드 220: 제 2 밴드
310, 320, 330, 340: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

Claims (12)

  1. 웨어러블 디바이스에 있어서,
    디스플레이 모듈, 메모리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디바이스 본체,
    상기 디바이스 본체에 연결된 밴드부 및
    상기 밴드부 내에 또는 상기 밴드부 상에 구비된 복수의 입력 센서를 포함하되,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는 사용자가 터치한 압력 및 위치의 센싱이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로부터 수신한 센싱값에 기초하여 입력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이벤트를 프로세스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터치한 압력의 정보 및 상기 터치한 위치의 정보와, 상기 사용자가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를 터치하지 않은 경우에 대응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입력 센서는,
    상기 디바이스 본체의 일 측면과 연결된 상기 밴드부의 제 1 밴드 내에 또는 상기 제 1 밴드 상에 구비된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와, 상기 일 측면과 마주보는 타 측면과 연결된 상기 밴드부의 제 2 밴드 내에 또는 상기 제 2 밴드 상에 구비된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를 포함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는 각각 복수의 세부 영역으로 구분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세부 영역 및 상기 세부 영역에 터치된 압력의 세기가 미리 설정된 복수 개의 압력의 범위로 구분된 압력 레벨 중 어느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현재 진행 상황 및 선택 상황 중 하나 이상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해 디스플레이되도록 제어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 중 동일 또는 상이한 입력 센서에서 두 개 이상의 세부 영역에 대해 동시 또는 순차적으로 터치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해 우선하여 터치된 것으로 인식한 시점으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동안 타이머를 동작시키며, 상기 타이머 동작 중 상기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과 다른 세부 영역에 추가적으로 터치된 것으로 인식하면, 상기 터치된 각 세부 영역의 조합에 대응하는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한 위치의 정보는 수치의 범위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에 포함된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상기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수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한 위치의 정보는 수치의 범위로 제공되고,
    상기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 중 어느 하나의 입력 센서에 포함된 세부 영역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제 1 시간 내에 상기 위치의 정보에 대응하는 수치가 증가 또는 감소하는 세부 영역으로의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상측 또는 하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9. 제 6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 2 시간 내에 상기 제 1 입력 센서에서 제 2 입력 센서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터치 또는 상기 제 3 입력 센서에서 제 4 입력 센서의 방향으로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한 경우, 및 각각 반대되는 방향으로의 사용자의 터치가 발생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우측 또는 좌측 방향으로의 이동을 나타내는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0. 제 7 항 또는 제8 항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제 1 밴드 및 제 2 밴드 중 어느 하나에 포함된 입력 센서를 터치한 상태에서, 상기 터치된 입력 센서를 포함하는 밴드와 상이한 밴드에 포함된 입력 센서를 통해 상기 방향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기 위한 터치를 한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드래그 앤 드롭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1. 제 6 항에 있어서,
    미리 설정된 제 3 시간 이상 동안, 사용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입력 센서 또는 제 3 및 제 4 입력 센서를 동시에 터치하는 경우,
    상기 프로세서는 줌 아웃 및 줌 인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디스플레이 이벤트에 대한 입력 정보를 생성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12.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내지 제 4 입력 센서의 각 세부 영역의 개수 및 압력 레벨의 개수에 기초하여 텍스트 입력창과, 입력된 텍스트를 출력하는 텍스트 출력창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상에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로부터 상기 각 세부 영역 중 어느 하나의 세부 영역에 대하여 특정 압력 레벨에 해당하는 터치의 센싱값을 수신하면, 상기 텍스트 입력창 중 상기 센싱값에 대응하여 생성된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다른 텍스트와 차별되도록 표시하고, 상기 텍스트 출력창에 상기 입력 정보에 대응하는 텍스트를 출력하도록 제어하는 것인 웨어러블 디바이스.
KR1020160058711A 2016-05-13 2016-05-13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KR2017012789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11A KR20170127895A (ko) 2016-05-13 2016-05-13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8711A KR20170127895A (ko) 2016-05-13 2016-05-13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895A true KR20170127895A (ko) 2017-11-22

Family

ID=60810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8711A KR20170127895A (ko) 2016-05-13 2016-05-13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789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24202B2 (ja) 腕時計キーボード
JP5260506B2 (ja) タッチパッド上における挙動を認識してスクロール機能を制御し既定の場所でのタッチダウンによってスクロールを活性化する方法
TWI582679B (zh) 具有旋轉邊框之數位類比顯示器
US956907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10437468B2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touch pad and operating method of electronic apparatus
EP3246806A1 (en) Electronic device comprising display
US8274484B2 (en) Tracking input in a screen-reflective interface environment
CN108475205B (zh) 一种显示应用的方法、装置及电子终端
US20090265657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graphic menu bar and recording medium using the same
US20150116230A1 (en) Display Device and Icon Control Method Thereof
CN103543945B (zh) 用于通过各种类型的手势显示键盘的系统和方法
KR20190100339A (ko) 애플리케이션 스위칭 방법, 디바이스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JP2017120673A (ja) タッチ表面の端部領域におけるタッチ接触の選択的拒否
US20090219255A1 (en) Touchpad combined with a display and having proximity and touch sensing capabilities to enable different functions or interfaces to be displayed
JP2009536385A (ja) スクロール付き多機能キー
JP6109788B2 (ja) 電子機器及び電子機器の作動方法
KR20150094213A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
EP3356920B1 (en)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multiple screens and control method therefor
CN108700990A (zh) 一种锁屏方法、终端及锁屏装置
US10520902B2 (en) Mobile electronic device and smartwatch
KR20170127895A (ko) 밴드-터치형 입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웨어러블 디바이스
JP2014153956A (ja) 電子機器
KR101621227B1 (ko) 입력장치 및 그를 이용한 컴퓨터 단말의 입력 제어방법
KR101486297B1 (ko) 휴대 단말기 커버, 휴대 단말기 보호 필름 및 그를 이용한 디지타이저 장치 및 그의 운용 방법
KR102286257B1 (ko) 엄지손가락을 이용한 터치 실행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