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617A -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 Google Patents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617A
KR20170127617A KR1020160057904A KR20160057904A KR20170127617A KR 20170127617 A KR20170127617 A KR 20170127617A KR 1020160057904 A KR1020160057904 A KR 1020160057904A KR 20160057904 A KR20160057904 A KR 20160057904A KR 20170127617 A KR20170127617 A KR 201701276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portion
center
mass
mass member
gr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9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3576B1 (ko
Inventor
송윤우
Original Assignee
송윤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윤우 filed Critical 송윤우
Priority to KR10201600579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3576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6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6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3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35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2Model aircraft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27/00Toy aircraft; Other flying toys
    • A63H27/001Making or assembling thereof, e.g. by fo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17/00Aircraft stabilis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4C17/02Aircraft stabilis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by gravity or inertia-actuated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4AIRCRAFT; AVIATION; COSMONAUTICS
    • B64CAEROPLANES; HELICOPTERS
    • B64C2203/00Flying model aircraft, flying toy aircraft
    • B64C2700/621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비행완구에 관한 것으로서,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자성 결합되는 2개의 질량부재를 포함하는 무게중심 조절장치를 제공하여,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부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적정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Apparatus for Adjusting Flying Mass-Center of Flying Toy and Flying Toy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비행 무게 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더 상세하게는 비행기 완구 하부에 장착되어 비행기 완구의 비행시 무게 중심의 위치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에 관한 것이다.
비행기 완구 중에서 글라이더, 고무 동력기 등은 본체와, 본체의 대략 중앙 부근에 배치되는 2개 이상의 중앙 날개부와, 본체의 후미에 형성되는 2 이상의 꼬리날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글라이더, 고무 동력기 등의 비행완구는 비행시 무게중심이 맞아야 잘 비행할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글라이더와 같은 무동력 비행기 완구의 사시도이다.
도 1과 같이, 무동력 비행완구의 일예인 글라이더 비행기(100)는 머리부(110)와, 머리부로부터 연장되는 본체부(120)와, 본체부의 중앙 부근에 배치되는 2개의 중앙 날개부(130)와, 본체부의 후미에 배치되는 꼬리날개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글라이더 비행기의 경우 제작시 본체부(120)과 머리부(110), 중앙 날개부(130) 및 꼬리날개부(140)의 무게 배치에 따라 비행기의 무게중심이 결정되며, 무게중심(Mass-Center; MC)이 적절한 위치인 A에 배치되는 경우에 한하여 비행기의 원활한 비행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무게 중심(MC)이 적정위치인 A보다 앞(B)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비행시 머리부가 아래로 향하면서 비행 거리가 짧아져서 도 1b의 궤적 b와 같이 비행한다.
또한, 무게중심이 적정위치 A의 뒤쪽인 C 위치에 배치되는 경우에는 비행시 머리부가 위로 향하면서 비행궤도가 급격히 상공을 향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도 b의 c 궤적과 같이 비행한다.
반면, 무게중심(MC)이 적정위치인 A에 존재하게 되면, 도 1의 a 궤적과 같이 최적의 비행 경로를 가지게 된다.
따라서, 글라이더 비행기의 제작시 무게중심이 적정위치에 있도록 본체부(120)의 무게, 중앙 날개부(130) 및 꼬리 날개부(140)의 크기 및 위치 등이 적절히 결정되어야 한다.
그러나, 재료나 부품 등의 크기에 따라서 무게중심의 적정위치를 알기 힘들기 때문에, 비행기를 제작하고 비행시켜 본 다음 비행궤적에 따라서 부품의 크기, 위치 등을 다시 조정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도 1의 a와 같이 무게추(150)가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무게추(150)는 일정한 질량을 가지는 부품으로서, 테이프,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비행기의 본체부(120) 하단의 일정 위치에 부착되어 비행기의 무게중심을 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무게추(150)를 이용하는 경우에도, 무게중심의 적정위치가 맞지 않는 경우, 다시 무게추를 다른 위치에 부착하여야 하는데, 이를 위하여 무게추를 최초 위치에서 탈착하여 다른 위치로 다시 부착시켜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즉, 무게추(150)가 너무 앞쪽 또는 뒤쪽에 부착되어 비행기의 궤적이 올바르지 않은 경우에는 무게추를 떼어낸 다음, 테이프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일정 거리 뒤쪽 또는 앞쪽에 다시 부착하고 비행시켜 보고, 그래도 맞지 않는 경우 그러한 과정을 반복함으로써 무게중심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여야 한다.
이와 같이, 기존의 비행완구에서는 무게중심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기 힘들고, 무게추를 이용하더라도 무게중심의 최적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무게추를 여러 번 탈부착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이러한 배경에서, 본 발명의 목적은, 비행완구에서 무게중심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는 무게중심 조절장치와 그를 포함하는 비행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자성 결합되는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부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적정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튜브부에는 1 이상의 슬롯 또는 천공부가 형성됨으로써, 2개의 질량 부재의 강한 결합을 통한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비행완구 무게중심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튜브부의 슬롯 또는 천공부를 튜브부의 하단 이외에 튜브부의 좌우측에도 형성하여,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전후 방향 결정과 함께,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좌우방향 결정또한 가능하도록 하는 비행완구 무게중심 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와, 상기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를 포함하는 비행완구용 무게 중심 조절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본체부와 본체부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중앙 날개부와, 상기 본체부의 후미측에 배치되는 꼬리날개부와,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와, 상기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를 포함하는 비행완구용 무게 중심 조절 장치를 포함하는 비행완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자성 결합되는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부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적정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부에는 1 이상의 장공 또는 천공부가 형성됨으로써, 2개의 질량 부재의 강한 결합을 통하여 무게중심 조절장치의 결합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튜브부의 슬롯 또는 천공부를 튜브부의 하단 이외에 튜브부의 좌우측에도 형성하여,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전후 방향 결정과 함께,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좌우방향 결정또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비행완구의 사시도로서, 도 1a는 비행완구의 구성요소들과 무게중심의 여러 위치를 도시하며, 도 1b는 무게중심의 위치에 따른 비행경로를 예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와, 그가 장착된 비행완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튜브부에 질량부재 결합용 장공이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튜브부에 질량부재 결합 및 위치 결정용도의 2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질량부재 결합용 장공 또는 천공부가 튜브부의 하부 이외에 좌우측에도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6은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의 튜브부와 질량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 차례, 순서 또는 개수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 요소가 "개재"되거나, 각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를 통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와, 그가 장착된 비행완구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200)는 비행완구(100)의 본체부(120)에 부착되는 튜브부(210)와, 튜브부(21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재(220)와,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재(2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 조절장치(200)를 구성하는 튜브부(210)는 플라스틱 재질의 원형 또는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 튜브로서, 스트로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튜브부(210)는 일정한 직경을 가지는 중공 튜브이고 단면 형태는 원형 또는 사각형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른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또한, 튜브부(210)의 재질은 플라스틱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금속 또는 자성체가 아닌 한 재료의 제한은 없다.
제1질량부재(220)는 튜브부(210)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질량부재로서,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 중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질량부재(220)는 튜브부 외측의 제2질량부재(230)과 자성결합된 상태에서 튜브부(210) 내측에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튜브부의 단면과 대응되는 단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질량부재(230)는 튜브부 외측에 배치되어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질량부재이다.
이러한 제2질량부재(230)는 튜브부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제1질량부재와 자성결합될 수 있는 한 그 형태에 제한은 없다.
예를 들어, 제1질량부재(220)는 일정 길이의 원통형상의 금속추이고, 제2질량부재(230)는 임의의 형상을 가지는 자성체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질량부재 및 제2질량부재 모두가 자성체일 수도 있다.
한편, 제1질량부재 또는 제2질량부재에 사용되는 자성체는 2개의 질량부재의 강한 자성 결합을 위하여, 강자성 특성을 가지는 자석인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네오디늄 자석일 수 있으나 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b는 본 실시예에 의한 무게중심 조절장치가 비행완구(100)에 장착된 예를 도시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행완구(1000)는 머리부(1100) 및 머리부와 연결되어 전후방으로 길게 연장되는 본체부(1200)와, 본체부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중앙 날개부(1300)와, 본체부의 후미측에 배치되는 꼬리날개부(1400)를 포함하되, 본체부의 하측부에는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 조절장치(200)가 장착된다.
도 2b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무게중심 조절장치(200)는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210)와, 튜브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재(220)와,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재(230)를 포함하며, 튜브부(210)는 테이프 또는 접착제 등을 이용하여 비행완구의 본체(120)의 하부에 부착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제1질량부재(220)와 제2질량부재(230)를 자성 결합시킨 후에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부의 전후로 이동시켜 고정할 수 있고, 따라서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적정 위치로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비행궤적이 아래로 향하는 경우에는 튜브부의 후방쪽으로 2개의 질량부재를 이동시키고, 비행궤적이 위로 향하는 경우에는 튜브부의 전방쪽으로 2개의 질량부재를 이동시켜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기존과 같이 무게추를 일일이 탈부착할 필요 없이, 자성결합된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뷰를 따라 이동시켜 배치시킴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튜브부에 질량부재 결합용 장공이 형성된 예를 도시하며,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튜브부에 질량부재 결합 및 위치 결정용도의 2 이상의 천공부가 형성된 예를 도시한다.
도 2와 같은 무게중심 조절장치(200)에 의하면, 2개의 질량부재(220, 230)가 튜브부(210)의 외주면을 사이에 두고 자성결합되는데, 이 때 2개 질량부재의 자성결합력이 약하거나, 튜브부의 외주면이 두꺼운 경우에는 비행과정에서 2개 질량부재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특히, 비행완구는 착륙시 강한 충격을 받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2개의 질량부재가 떨어지는 문제가 발생하고, 이 경우 무게중심을 다시 조정하거나 질량부재가 분실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의 실시예에서는 2개의 질량부재의 자성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튜브부(210)에 1 이상의 장공(240) 또는 천공부(250)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3과 같이, 튜브뷰(210)의 길이방향으로 일정폭을 가지면서 길게 천공된 장공(2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장공(240)을 통하여 튜브부 내측의 제1질량부재(220)의 일정 부분이 노출부(220')로서 장공을 통하여 외부로 노출되고, 그 노출부(220')에 제2질량부재(230)가 부착됨으로써 2개의 질량부재의 자성 결합력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장공(240)을 통하여 노출된 제1질량부재(220)의 노출부(220')에 제2질량부재(230)가 직접 접촉되어 부착되거나, 적어도 장공(240)을 통하여 제1질량부재와 제2질량부재의 접촉 거리가 짧아짐으로써, 2개 질량부재의 결합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제2질량부재는 제1질량부재와 대응되는 형상일 필요는 없으며, 도 3에 서 230'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일반적인 버튼 형상의 네오디늄 자석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다.
도 4는 장공 대신에 1 이상의 천공부(250, 250', 250")가 형성된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4의 실시예에서는,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2개 이상의 천공부(250, 250', 250")가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천공부(250, 250', 250")는 도 3의 장공과 마찬가지로 튜브부의 외주면 일정 부분을 천공하여 제1질량부재(220)의 일부분을 외부로 노출시키고, 그를 통해 제2질량부재(230)와의 자성 결합력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또한, 2 이상의 천공부(250, 250', 250")는 서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있어서, 천공부 중 하나의 위치에서 제1질량부재(220) 및 제2질량부재(230)을 고정시킴으로써, 천공부는 무게중심 위치 결정 수단으로 사용될 수 있다.
즉, 2 이상의 천공부(250, 250', 250") 중 하나를 선택하여 무게중심을 결정할 수 있으며, 이 경우 선택된 천공부의 위치 또는 순서를 확인함으로써, 무게중심 조절의 기준 위치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시 말해, 도 3의 장공을 통해서는 무게중심을 연속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고, 도 4의 천공부를 통해서는 무게중심을 이산적(Discrete)으로 조절하지만 무게중심의 조절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것이다.
장공(240) 및 천공부(250)의 형성 크기 또는 형성 폭은 특별한 제한이 없으며, 제1질량부재(220)가 빠져나올 수 없을 정도이면 충분할 것이다.
튜브부(210)에 형성되는 장공(240) 또는 천공부(250, 250', 250")는 튜브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서 튜브부의 상측은 비행완구의 본체부(120)와 부착되는 부분을 의미하며, 튜브부의 하측은 비행완구의 본체부(120)와 부착되는 부분의 대향측을 의미한다.
한편,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비행완구는 글라이더, 무동력 항공기, 고무 동력 항공기 등 무게중심 조절을 통한 비행궤적 변경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비행완구를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정의하는 비행완구는 영유아의 완구용 비행기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성인 레저용 비행기, 무인항공기(드론) 등 무게중심 조절을 통한 비행궤적 변경이 가능한 모든 종류의 비행기를 포함하는 개념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로서, 질량부재 결합용 장공 또는 천공부가 튜브부의 하부 이외에 좌우측에도 형성되는 예를 도시한다.
도 5에 의한 실시예에서는, 튜브부에 형성되는 장공 또는 천공부는 튜브부의 하측에 형성되는 하측 장공(342) 이외에, 튜브부의 좌우측에 형성된 좌우측 장공(344, 346)이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좌우측 장공(344, 346)을 통하여 제2질량부재(230)가 튜브부의 하측부가 아닌 튜브부의 좌우측 중 하나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전후방향만이 아닌 전후좌우 모두로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면, 좌측 장공(346)을 통하여 제1질량부재(220)와 제2질량부재(230)이 자성 결합되면, 전후방향 무게중심을 조절할 수 있음과 동시에,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우측보다 좌측에 더 크게 둘 수 있다.
따라서, 제작된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이 우측으로 치우치는 경우 좌측 장공(346)을 이용하여 무게중심을 좌측으로 이동시켜 전체적인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좌우측의 중앙으로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제작된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이 좌우측으로 고르게 분포하는 경우라면, 제1질량부재(220) 및 제2질량부재(230)를 좌측 장공(346) 또는 우측 장공(344)을 통하여 결합시켜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비행궤적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향하도록 조정할 수 있다.
즉, 하측 장공(342) 이외에 좌우측 장공(344, 346)을 이용함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이 좌우측 중 하나에 치우치도록 설정할 수 있고, 이를 통하여 비행완구 제작이 좌우 비대칭 문제를 해결하거나, 좌우측 비행궤적 설정이 가능해지는 것이다.
물론, 이상에서는 장공의 경우에 한정하여 설명하였으나, 도 4와 같은 천공부(250, 250', 250") 역시 튜브부의 하측부 이외에, 튜브부의 좌우측부에 형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비행완구용 무게중심 조절장치의 튜브부와 질량부재의 다른 형태를 도시한다.
전술한 도 2 내지 도 5에서는 튜브부(210)가 원형 단면을 가지는 중공 튜브인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6a과 같이 사각형 단면을 가지는 튜브부(410)로 제작할 수도 있을 것이다.
한편, 도 6a와 같이 사각형 단면의 튜브부(410)가 채택되는 경우, 도 6b와 같이 튜브부 내부에 수용되는 제1질량부재(420) 및 제2질량부재(430) 역시 육면체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도 6과 같이 사각형 형태의 튜브부(410)를 이용하는 경우 비행완구의 본체부(1200)의 하부 표면에 튜브부(410)의 상면을 부착함에 있어서, 면대면 부착이 가능해지므로 무게중심 조절장치의 비행완구 장착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외측에 배치되어 서로 자성 결합되는 2개의 질량부재를 튜브부 전후로 이동시킴으로써, 비행완구의 무게중심을 적정위치로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튜브부에는 1 이상의 장공 또는 천공부가 형성됨으로써, 2개의 질량 부재의 강한 결합을 통하여 무게중심 조절장치의 결합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튜브부의 슬롯 또는 천공부를 튜브부의 하단 이외에 튜브부의 좌우측에도 형성하여,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전후 방향 결정과 함께, 비행완구 무게중심의 좌우방향 결정또한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의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구성의 결합, 분리, 치환 및 변경 등의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0 : 비행완구 200 : 무게중심 조절장치
210, 410 : 튜브부 220 : 제1질량부재
230 : 제2질량부재 240 : 장공
250 : 천공부 342 : 하측 장공
344, 346 : 좌우측 장공

Claims (6)

  1. 비행완구의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튜브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재와, 상기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용 무게 중심 조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에는 상기 제1질량부재와 제2질량부재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및 상기 튜브부의 길이방향에 배치되는 2 이상의 천공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용 무게 중심 조절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또는 천공부는 상기 튜브부의 하부와, 상기 튜브부의 좌우측 모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용 무게 중심 조절 장치.
  4. 본체부;
    상기 본체부의 중앙영역에 배치되는 중앙 날개부;
    상기 본체부의 후미측에 배치되는 꼬리날개부; 및,
    상기 본체부에 부착되는 튜브부와, 상기 튜브부 내측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수용되는 금속 또는 자성체 재질의 제1 질량부재와, 상기 튜브부 외측에서 제1질량부와 자성 결합되는 자성체 또는 금속 재질의 제2질량부재를 포함하는 무게 중심 조절 장치;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부에는 상기 제1질량부재와 제2질량부재의 결합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상기 튜브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장공 및 상기 튜브부의 길이방향에 배치되는 2 이상의 천공부 중 하나 이상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공 또는 천공부는 상기 튜브부의 하부와, 상기 튜브부의 좌우측 모두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행완구.
KR1020160057904A 2016-05-12 2016-05-12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KR1018235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04A KR101823576B1 (ko) 2016-05-12 2016-05-12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904A KR101823576B1 (ko) 2016-05-12 2016-05-12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617A true KR20170127617A (ko) 2017-11-22
KR101823576B1 KR101823576B1 (ko) 2018-01-30

Family

ID=60809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904A KR101823576B1 (ko) 2016-05-12 2016-05-12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23576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75A2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CN111776200A (zh) * 2020-07-13 2020-10-16 中山大学 一种滑动质量矩控制装置及其应用的飞行器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1724Y1 (ko) * 2002-04-17 2002-07-13 현동기 모형비행기와 발사기
DE10261614A1 (de) * 2002-12-27 2004-07-15 Jens Frank Bewegliches Gewicht an einem Lenkdrachen
KR101471635B1 (ko) 2012-08-30 2014-12-22 김연태 빨대를 이용한 조립 완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066375A2 (ko) 2017-09-29 2019-04-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열가소성 수지 성형품
CN111776200A (zh) * 2020-07-13 2020-10-16 中山大学 一种滑动质量矩控制装置及其应用的飞行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23576B1 (ko) 2018-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12893B2 (en) Toy airplane assembly having a microprocessor for assisting flight
KR101823576B1 (ko) 비행 무게중심 조절장치 및 그를 포함하는 비행기 완구
JP2017206238A (ja) 航空機翼移動装置
KR101963730B1 (ko) 비행 시뮬레이터
US3787998A (en) Gliding toy
Ariyanto et al. Design of a low-cost fixed wing UAV
US5556057A (en) Variable geometry kite
KR20170120802A (ko) 나무 재질의 조립식 드론키트 제조방법
GB2359286A (en) A vehicle,e.g.a remote controlled toy or model aircraft, a piloted aircraft or glider, or a land- or water-borne vehicle,having a V-shaped tail
US3949519A (en) Toy glider
US2588941A (en) Model glider
EP3075659B1 (en) Apogee enhancing ejection seat stabilization drogue chute
CN206492210U (zh) 一种适合夜间飞行的飞机模型
KR20080091078A (ko) 프로펠러 비행기 완구
KR101591408B1 (ko) 무인항공기용 영상감지기 거치장치
US2538522A (en) Toy glider
US20160236110A1 (en) Flying Toy Wingsuit Character
CN110090457A (zh) 一种三翼面可调手抛飞机
TWM523497U (zh) 一種玩具飛機組合構件
CN210205879U (zh) 一种具有多种飞行姿态的手抛飞机
TWI552792B (zh) 一種玩具飛機組合構件
US3696822A (en) Flying toy
JP2020025736A (ja) 空中浮遊物体
JP3206433U (ja) ピッチングボール
CN214344430U (zh) 一种弹射玩具飞机枪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