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7266A - 누수 방지 가습기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 가습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7266A
KR20170127266A KR1020160057674A KR20160057674A KR20170127266A KR 20170127266 A KR20170127266 A KR 20170127266A KR 1020160057674 A KR1020160057674 A KR 1020160057674A KR 20160057674 A KR20160057674 A KR 20160057674A KR 20170127266 A KR20170127266 A KR 201701272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ervoir
partition
mounting portion
check valve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6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2102B1 (ko
Inventor
김동호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매직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76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210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72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72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1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 F24F6/1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forming water dispersions in the air using rot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5/00Check valves
    • F16K15/14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 F16K15/16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 F16K15/162Check valves with flexible valve members with tongue-shaped laminae with limit sto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2006/008Air-humidifier with water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6/00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 F24F6/02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 F24F6/06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 F24F2006/065Air-humidification, e.g. cooling by humidification by evaporation of water in the air using moving unheated wet elements using slowly rotating discs for evapo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Air Humidification (AREA)
  • Check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조부의 기울어짐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으로서, 물이 지나가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유로(310,311)를 갖는 격벽(320)이 형성된 리저버(300); 상기 유로(310,311)와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격벽(320)에 연결된 장착부(350); 상기 격벽(320)에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300) 또는 상기 장착부(350)이 기울어짐에 따라서 상기 유로(310,311)를 여닫는 체크 밸브(500,600);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제공하여,

Description

누수 방지 가습기{Water leak prevented humidifier}
본 발명은 수조부의 기울어짐에 의한 누수를 방지하는 가습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회전형 가습 장치는 수조에 가습 필터를 침지시킨 후 회전하여 상부로 이동 후 송풍에 의하여 기화시켜 공기 중의 습도를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가습 장치의 물 공급부는 수조와 수조에 결합된 물통으로 구성되어 있어 물통에서 수조로 물이 유입된다.
물이 유입되어 수면이 상승하면 내수압으로 물통 내부의 물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하지만 상기 기술한 수조와 물통이 기울어지면, 물통에 내수압이 걸리는 수면이 하강하고 그에 따라 물통으로 공기가 유입되어 접촉돌기에 결합된 물 공급 밸브가 개방된다.
이로 인해, 물통에서 수조로 계속적으로 물이 공급되어, 수조 내의 물의 수위가 일정 수위로 유지되지 않고 수조 내의 물이 외부로 넘치는 문제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누수 방지 가습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습장치(100)는 흡입구(111)와 토출구(113)를 구비한 장치하우징(110),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되어 물을 수용하는 물통(120)과, 장치하우징(110)에 설치되되 물통(120)과 결합되는 수조(130)를 포함한다.
도 1과 같은 종래의 구조는 가습 장치가 기울어져 있을 때, 수조 내부의 물이 쏠려 누수가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없는 치명적 단점이 있다.
종래의 회전형 가습장치의 경우 수조로부터 공급받기 때문에 수조에 항상 물이 일정높이를 유지하며 채워져 있어 수조부가 기울어지면 수조 밖으로 물이 넘쳐 제품의 안정성 및 누수로 인한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
다시말해, 종래의 기술은 가습장치가 기울어졌을 때, 물통으로부터 출수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는 있지만 물쏠림에 의한 누수를 방지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종래의 가습장치의 경우 전기를 인가받아 작동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누수로 인한 감전의 위험성이 있게 된다.
(특허문헌 1) KR2012-0032393 A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기울어짐에도 리저버의 물이 흘러넘치는 일이 방지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물이 지나가도록 개구된 유로(310,311)를 갖는 격벽(320)이 형성된 리저버(300); 상기 유로(310,311)와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격벽(320)에 연결된 장착부(350); 상기 격벽(320)에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300) 또는 상기 장착부(350)가 기울어짐에 따라서 상기 유로(310,311)를 여닫는 체크 밸브(500,600);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기 리저버(300)가 상기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상기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닫고, 상기 장착부(350)가 상기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개방시키는 전면부(501);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기 전면부(501)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513); 상기 제1 연장부(513)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 제1 유로(310)의 내벽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 되는 가이드부(511); 상기 제1 연장부(513)의 단부에 형성된 채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1 걸림부(515);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하를 서로 관통시키는 관통부(503)가 형성된 누수 방지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은 상기 리저버(30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면부(502)에 제1 고착 방지 돌기(504)가 형성된 누수 방지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2 체크 밸브(600)는 상기 제2 유로(31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30)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610); 상기 고정 부재(6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유로(311)를 여닫는 개폐 부재(620); 상기 개폐 부재(620)를 상기 고정 부재(610)에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브릿지부(630); 을 포함하여, 상기 리저버(300)가 상기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상기 개폐 부재(620)가 상기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을 닫고, 상기 장착부(350)이 상기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개폐 부재(620)가 상기 브릿지부(63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를 개방시키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리저버(300)의 바닥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폐 부재(620)의 이동 한계를 지정하는 스토퍼(340)가 마련된 누수 방지 가습기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개폐 부재(620)는 상기 격벽(320) 벽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고착 방지 돌기(624);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리저버 및 장착부의 기울어짐에도 누수가 되는 것이 방지됨으로써 감전의 위험이 예방되는 강점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리저버 모습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 및 장착부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4는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측면도 및 그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5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물 넘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500)가 설치된 상태의 물 넘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은 리저버(300)이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300) 및 장착부(350)의 일부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 체크 밸브(600)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체크 밸브(600)가 설치된 상태의 물 넘침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0(A)는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효과데이터표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 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기술되어야 할 것이다.
1.구성요소의 설명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사시도이다.
전체적인 가습기의 내부 구성은 다음과 같다.
먼저 가습에 필요한 물을 제공하는 물탱크(400)가 마련된다.
물탱크(400)는 장착부(350)에 올려지게 되며, 물탱크(400)의 물은 리저버(300)로 제공된다.
가습 필터(200)는 리저버(30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하측부가 리저버(300)에 제공된 물에 잠기면서 물을 머금고 회전하여 상부로 이송 후 송풍에 의한 가습을 수행하게 되는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일부 사시도이다.
리저버(300)에는 물이 지나가도록 개구되어 형성된 제1 유로(310)를 갖는 격벽(320)이 형성되어 있다.
장착부(350)는 제1 유로(310)와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격벽(320)에 밀착되어 연결된다.
제1 체크 밸브(500)는 격벽(320)에 결합되어 리저버(300) 또는 장착부(350)가 기울어짐에 따라서 제1 유로(310)를 여닫는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측면도 및 그의 부분확대도이다.
도시된 것과 같이 물탱크(400)의 하단에는 주둥이부(410)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캡(430)으로 마감되어 있다.
또한, 캡(430)에는 물탱크(400) 내부의 물이 외부로 출수 되도록 개폐하는 출수 밸브(420)가 설치되어 있다.
출수 밸브(420)는 장착부(350)의 바닥에 돌출된 가압돌기(351)에 의해 밀어 올려져 물탱크(400)을 개방시킴으로써 물이 물탱크(400)의 외부로 출수 가능하게 한다.
<제1실시 예>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500)의 사시도이다.
제1 체크 밸브(500)는 크게 전면부(501), 하면부(502)를 포함하며, 전면부(501)에는 후크부(530)가 돌설되어 있다.
후크부(530)는 제1 후크(510) 및 제2 후크(520)가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된 채로 형성되고 있으며, 제1 후크(510) 및 제2 후크(520)는 서로 동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체크 밸브(500)에는 일측에 전면부(501)가 형성된다.
전면부(501)는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닫는다.
반대로 전면부(501)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개방시킨다.
제1 체크 밸브(500)는 전면부(501)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513)를 포함한다.
가이드부(511)는 제1 연장부(513)의 측면에 형성되어 제1 유로(310)의 내벽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될 수 있다.
제1 걸림부(515)는 제1 연장부(513)의 단부에 형성된 채로 제2 위치에서 슬라이드 작동을 중단시킨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걸림부(515)는 격벽(320)에 걸리는 것이다.
제1 체크 밸브(500)에는 상하를 서로 관통시키는 관통부(503)가 형성된다.
한편, 제1 체크 밸브(500)는 리저버(30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면부(502)에서 제1 고착 방지 돌기(504)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된다.
왜냐하면, 제1 체크 밸브(500)가 리저버(300)의 바닥에 본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제1 고착 방지 돌기(504)는 볼록한 볼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도 바람직하다.
<제2실시 예>
도 8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리저버(300) 및 장착부(350)의 일부 사시도이다.
격벽(320)은 리저버(300)와 장착부(350)를 경계 짓는다.
제2 유로(311)는 격벽(320)의 하측에 개구된 채로 리저버(300)와 장착부(350)가 서로 유체 소통 가능하게 유로를 제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스토퍼(340)는 리저버(300)의 바닥면에서 상방향으로 돌출되어 제2 위치에서 개폐 부재(620)의 이동 한계를 지정한다.
결합홈(330)은 제2 유로(311)의 상측에서 개구된 채로 형성되고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실시 예에 따른 제2 체크 밸브(600)의 사시도이다.
제2 체크 밸브(600)는 고정 부재(610), 개폐 부재(620), 브릿지부(630)를 포함한다.
고정 부재(610)는 제2 유로(31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30)에 결합된다.
개폐 부재(620)는 고정 부재(610)에 연결되어 제2 유로(311)를 여닫는다.
브릿지부(630)는 개폐 부재(620)를 고정 부재(610)에 탄성적으로 연결시킨다.
개폐 부재(620)는 격벽(320) 벽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고착 방지 돌기(624)를 포함한다.
제2 고착 방지 돌기(624)는 장시간 사용에도 제2 체크 밸브(600)가 격벽(320)에 본딩되는 것을 방지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고정 부재(610)는 브릿지부(630)의 상단에서 연장되는 제2 연장부(613)를 포함한다.
제2 걸림부(615)는 제2 연장부(613)의 단부에서 고리 형상으로 마련된다.
한편, 단턱부(611)는 제2 연장부(613)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걸림부(615)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다.
개폐 부재(620)는 브릿지부(630)의 하부에 연결되어 있다.
개폐 부재(620)는 배면에 제1 배면부(621) 및 제2 배면부(622)가 형성된다.
제2 배면부(622)는 제1 배면부(621)의 가장자리로부터 음각처리되어 형성되어 있다.
한편, 개폐 부재(620)의 전면에는 제1 정면부(623)가 형성되며, 제2 고착 방지 돌기(624)는 제1 정면부(623)의 가장자리를 따라 전면 방향으로 직사각 형상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있다.
제2 정면부(625)는 제2 고착 방지 돌기(624)에 의해 고립된 영역을 이루게 된다.
제2 고착 방지 돌기(624)는 격벽(320)에 형성된 제2 유로(311)의 개구부 가장자리를 커버함으로써 제2 유로(311)를 밀폐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제2 고착 방지 돌기(624)의 가로폭 및 세로폭 각각은 제2 유로(311)의 가로폭 및 세로폭 각각 보다 더욱 더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브릿지부(630)는 연질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고정 부재(610)가 결합홈(330)에 고정될 때, 개폐 부재(620)는 탄성적인 브릿지부(630)에 의해 소정의 움직임이 가능해진다.
2. 동작원리 설명
<제1실시 예에 따른 동작원리>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500)가 설치되지 않은 상태의 물 넘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6(A)는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6(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이와 같이 물이 넘치는 이유는 격벽(320)에 형성된 제1 유로(310)(또한 이하에서 설명될 제2 실시 예에서의 제2 유로(311)도 해당)을 통하여 물이 자유롭게 리저버(300)와 장착부(350) 사이를 유체 소통되기 때문이다.
반면,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제1 체크 밸브(500)가 설치된 상태의 물 넘침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7(A)은 리저버(300)이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앞서 설명된 것처럼 도 7(A)와 같은 제1 상태일 때, 전면부(501)는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을 닫게 된다.
따라서, 리저버(300) 내부의 물은 제1 상태임에도 격벽(320)을 넘어 장착부(350)로 이송되지 않은 채 리저버(300)에 고이게 되는 것이다.
반대로 도 7(B)와 같이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에는, 전면부(501)는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을 개방시키게 된다.
이 때, 제1 체크 밸브(500)은 제2 위치로 신속하게 슬라이딩 되지 않고 서서히 슬라이딩 가능한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왜냐하면, 장착부(350)의 물이 제1 유로(310)을 통해 급격하게 리저버(300)로 제공됨으로써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즉, 제1 체크 밸브(500)는 장착부(350)의 물이 리저버(300)로 이송되는 유량 및 유속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제1 걸림부(515)는 격벽(320)에 걸리게 되어 제1 체크 밸브(500)이 더 이상 좌측으로 슬라이딩되지 않는다.
즉, 제1 걸림부(515)가 제2 위치에서 슬라이드 작동을 중단시키게 되는 것이다.
또한, 제1 체크 밸브(500)에는 상하를 서로 관통시키는 관통부(503)가 형성되기 때문에 제1 체크 밸브(500)가 리저버(300) 내부에서 부유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제1 체크 밸브(500)는 리저버(30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면부(502)에 제1 고착 방지 돌기(504)가 적어도 하나 이상 형성되므로 장시간 사용하더라도 제1 체크 밸브(500)가 리저버(300)에 본딩되는 것이 억제된다.
리저버(300) 및 장착부(350)가 제2 상태에서 다시 제1 상태로 전환되면, 제1 체크 밸브(500)는 제2 위치에서 다시 리저버(300)에서 장착부(350)을 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 작동되면서 제1 위치로 격벽(320)의 제1 유로(310)를 닫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제1 체크 밸브(500)는 리저버(300) 및 장착부(350)의 기울어짐 없이 수평을 유지하는 정상 작동 상황에서는 장착부(350)에 설치된 물탱크(400)로부터 제공되는 물의 수압에 의해 제2 위치 방향으로 서서히 움직이기 때문에 물탱크(400)의 물이 리저버(300)로 제공된다.
<제2실시 예에 따른 동작원리>
도 10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제2 체크 밸브(600)가 설치된 상태의 물 넘침이 방지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으로, 도 10(A)는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물이 장착부(35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며, 도 10(B)는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물이 리저버(300)에서 넘치는 것이 방지되는 것을 도시한 것이다.
리저버(300)가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개폐 부재(620)는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을 닫는다.
장착부(350)가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개폐 부재(620)가 브릿지부(63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를 개방시키게 된다.
이 때, 개폐 부재(620)의 단부는 제2 위치에서 리저버(300)의 바닥에 마련된 스토퍼(340)에 걸려 더 이상 움직이지 않게 된다.
한편, 단턱부(611)는 제2 연장부(613)의 상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걸림부(615) 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체크 밸브(600)가 제2 위치일 때 제2 체크 밸브(600)를 격벽(320)의 벽면에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 체크 밸브(600)는 장착부(350)의 물이 리저버(300)로 이송되는 유량 및 유속을 지연시키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장착부(350)의 물이 리저버(300)로 급격하게 이동되는 것이 억제됨으로써 리저버(300)로부터 물이 넘치는 일이 방지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3. 효과의 설명
이와 같은 효과를 도 11에서 보여 준다.
제1 체크 밸브(500) 또는 제2 체크 밸브(6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물 넘침 시작 기울어짐 각도가 현저하게 증가하는 것을 알 수 있다.
바꿔 말해, 제1 체크 밸브(500) 또는 제2 체크 밸브(600)가 장착된 상태에서는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기울어짐에 따른 물 넘침이 현저하게 감소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 가습 유닛
200 : 가습 필터
300 : 리저버
310 : 제1 유로
311 : 제2 유로
320 : 격벽
330 : 결합 홈
340 : 스토퍼
350 : 장착부
351 : 가압 돌기
400 : 물탱크
410 : 주둥이부
420 : 출수 밸브
430 : 캡
500 : 제1 체크밸브
501 : 전면부
502 : 하면부
503 : 관통부
504 : 제1 고착 방지 돌기
510 : 제1 후크
511 : 가이드부
513 : 제1 연장부
515 : 제1 걸림부
520 : 제2 후크
530 : 후크부
600 : 제2 체크밸브
610 : 고정 부재
611 : 단턱부
613 : 제2 연장부
615 : 제2 걸림부
620 : 개폐 부재
621 : 제1 배면부
622 : 제2 배면부
623 : 제1 정면부
624 : 제2 고착 방지 돌기
625 : 제2 정면부
630 : 브릿지부

Claims (8)

  1. 물이 지나가도록 개구된 유로(310,311)를 갖는 격벽(320)이 형성된 리저버(300);
    상기 유로(310,311)와 유체소통 가능하도록 상기 격벽(320)에 연결된 장착부(350);
    상기 격벽(320)에 결합되어 상기 리저버(300) 또는 상기 장착부(350)가 기울어짐에 따라서 상기 유로(310,311)를 여닫는 체크 밸브(500,600);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기 리저버(300)가 상기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상기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닫고,
    상기 장착부(350)가 상기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유로(310)를 개방시키는 전면부(501);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기 전면부(501)로부터 연장된 제1 연장부(513);
    상기 제1 연장부(513)의 측면에 형성되어 기 제1 유로(310)의 내벽의 안내를 따라 슬라이드 작동 되는 가이드부(511);
    상기 제1 연장부(513)의 단부에 형성된 채로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슬라이드 작동을 중단시키는 제1 걸림부(515);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는 상하를 서로 관통시키는 관통부(503)가 형성된,
    누수 방지 가습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체크 밸브(500)은,
    상기 리저버(300)의 바닥면과 접촉되는 하면부(502)에 제1 고착 방지 돌기(504)가 형성된,
    누수 방지 가습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체크 밸브(600)는,
    상기 제2 유로(311)의 상단에 형성된 결합홈(330)에 결합되는 고정 부재(610);
    상기 고정 부재(610)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유로(311)를 여닫는 개폐 부재(620);
    상기 개폐 부재(620)를 상기 고정 부재(610)에 탄성적으로 연결시키는 브릿지부(630); 을 포함하여,
    상기 리저버(300)가 상기 장착부(35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1 상태일 때, 상기 개폐 부재(620)가 상기 격벽(320)에 밀착되는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을 닫고,
    상기 장착부(350)이 상기 리저버(300)보다 높게 기울어진 제2 상태일 때, 상기 개폐 부재(620)가 상기 브릿지부(630)의 탄성력을 극복하여 상기 격벽(320)으로부터 이격되는 제2 위치에서 상기 제2 유로(311)를 개방시키는,
    누수 방지 가습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리저버(300)의 바닥에는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개폐 부재(620)의 이동 한계를 지정하는 스토퍼(340)가 마련된,
    누수 방지 가습기.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 부재(620)는,
    상기 격벽(320) 벽면과 접촉되도록 돌출되어 형성된 제2 고착 방지 돌기(624); 를 포함하는,
    누수 방지 가습기.


KR1020160057674A 2016-05-11 2016-05-11 누수 방지 가습기 KR1025821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74A KR102582102B1 (ko) 2016-05-11 2016-05-11 누수 방지 가습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674A KR102582102B1 (ko) 2016-05-11 2016-05-11 누수 방지 가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7266A true KR20170127266A (ko) 2017-11-21
KR102582102B1 KR102582102B1 (ko) 2023-09-22

Family

ID=608088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674A KR102582102B1 (ko) 2016-05-11 2016-05-11 누수 방지 가습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210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94277A1 (ko) * 2020-03-27 2021-09-30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US20220082274A1 (en) * 2019-01-03 2022-03-17 Woongjin Coway Co., Ltd. Humidifier
US20220243934A1 (en) * 2019-06-17 2022-08-04 Coway Co., Ltd.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RU2797492C1 (ru) * 2020-03-27 2023-06-06 Ковэй Ко., Лтд. Увлажнитель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068Y2 (ja) * 1989-01-07 1994-10-26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2000266375A (ja) * 1999-03-17 2000-09-29 Aiwa Co Ltd 加湿器
JP2013133842A (ja) * 2011-12-26 2013-07-08 Kawasaki Heavy Ind Ltd スイング式逆止弁
JP2014047904A (ja) * 2012-09-04 2014-03-17 Tlv Co Ltd 逆止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41068Y2 (ja) * 1989-01-07 1994-10-26 東芝ホームテクノ株式会社 加湿器
JP2000266375A (ja) * 1999-03-17 2000-09-29 Aiwa Co Ltd 加湿器
JP2013133842A (ja) * 2011-12-26 2013-07-08 Kawasaki Heavy Ind Ltd スイング式逆止弁
JP2014047904A (ja) * 2012-09-04 2014-03-17 Tlv Co Ltd 逆止弁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220082274A1 (en) * 2019-01-03 2022-03-17 Woongjin Coway Co., Ltd. Humidifier
US11976845B2 (en) * 2019-01-03 2024-05-07 Coway Co., Ltd. Humidifier
US20220243934A1 (en) * 2019-06-17 2022-08-04 Coway Co., Ltd. Air humidification and purification device
WO2021194277A1 (ko) * 2020-03-27 2021-09-30 코웨이 주식회사 가습기
RU2797492C1 (ru) * 2020-03-27 2023-06-06 Ковэй Ко., Лтд. Увлажнител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2102B1 (ko) 2023-09-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7266A (ko) 누수 방지 가습기
DE60025329D1 (de) Überlaufvermeidungs-, entlüftungs- und überrollventil
CA2932337C (en) Minor water leak prevention apparatus for water inlet valve
KR200441703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102076959B1 (ko) 절연유의 누설이 방지되는 변압기용 흡습 호흡기
CN207828643U (zh) 电熨斗透气结构
WO2013073102A1 (ja) 蓄電池用補水栓
JP7109591B2 (ja) 吐水弁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加湿器
KR100651868B1 (ko) 체크 밸브
JP3700158B2 (ja) 液体供給装置
KR101048866B1 (ko) 저장탱크의 가스배출 밸브
KR20090080772A (ko) 역류방지장치
KR200443660Y1 (ko) 양변기 저수조용 볼탭
KR102334756B1 (ko) 가습기
KR100764288B1 (ko) 냉장고용 물통 어셈블리
KR200340480Y1 (ko) 수평보기 호스의 밸브장치
KR20200126856A (ko) 증발식 가습기
KR101450461B1 (ko) 유트랩 배수장치
KR102283707B1 (ko) 역류 방지 기능을 구비한 탄산수 공급용 밸브 어셈블리
KR910002001Y1 (ko) 제습기용 물받이의 물넘침 및 만수 방지장치
KR102155266B1 (ko) 리버서블 캡
KR200327577Y1 (ko) 흡배기밸브
FI90227C (fi) Ylitäyttösuoja
KR200443269Y1 (ko) 진공클립장치
WO2019100569A1 (zh) 聪明座和具有其的饮水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