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684A - 하체운동보조기구 - Google Patents

하체운동보조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684A
KR20170126684A KR1020160057047A KR20160057047A KR20170126684A KR 20170126684 A KR20170126684 A KR 20170126684A KR 1020160057047 A KR1020160057047 A KR 1020160057047A KR 20160057047 A KR20160057047 A KR 20160057047A KR 20170126684 A KR20170126684 A KR 201701266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link
support
user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7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7790B1 (ko
Inventor
이용구
김영우
정지욱
김정기
황동환
Original Assignee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기계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기계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7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779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66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6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77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77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0Exercising apparatus for developing or strengthening the muscles or joints of the body by working against a counterforce, with or without measuring devices
    • A63B21/40Interfaces with the user related to strength training; Details thereof
    • A63B21/4027Specific exercise interfa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2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using rollers, wheels, castors or the like, e.g. gliding means, to be moved over the floor or other surface, e.g. guide tracks, during exercising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023/0411Squatting exerci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482/00Exercise devic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하체운동보조기구는 지지부, 관절부, 링크부, 슬라이딩부 및 착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관절부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착석부는 사용자가 착석하며,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Description

하체운동보조기구{APPARATUS FOR EXERCISING LOWER BODY}
본 발명은 하체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하체를 지지한 상태에서 스쿼트 또는 런지 운동을 보조하여 하체의 근력을 증가시키는 하체운동보조기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인들은 대부분의 시간을 사무실에서 앉아서 일하고 차량을 이용하는 경우 걷거나 움직이는 시간이 크게 감소하여 신체의 운동량이 부족해지고 있다. 이에 따라, 신체의 각 부위에 노화 현상이나 경직이 촉진되고 피로감을 쉽게 느끼며 젊은 나이에 성인병의 발생증가의 원인이 되고 있다.
최근에는 스쿼트 운동을 통해 하체근육을 단련하는 것이 보편화되고 있지만, 잘못된 방식을 통한 과도한 운동을 하는 경우, 허리, 무릎 또는 발목 등의 관절에 손상을 가져오고 근육통증이나 염증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고령자들은 스쿼트 운동 중 부상을 당할 가능성이 높으므로 허리, 무릎 관절 또는 발목의 손상을 최소화하면서 다리근육을 강화하거나 재활시킬 수 있는 운동기구가 필요하다.
이와 관련하여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4-0114715호는 손잡이를 잡고 등을 등판부에 기대어 스쿼트 자세로 운동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고,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2-0081686호는 안장, 압축스프링 및 탄성부를 통해 사용자의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는 발명을 개시하고 있으나, 고령자의 스쿼트 운동을 보조하면서 넘어지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발명은 개시하지 않고 있다.
따라서, 허리, 관절과 발목의 손상을 최소화 하면서 하체운동이 가능한 하체운동보조기구의 개발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114715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81686호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체 운동을 보조하여 스쿼트 또는 런지 운동 중 인가되는 충격을 최소화하여 운동 효과를 향상시키면서도 운동으로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하체운동보조기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보조기구는 지지부, 관절부, 링크부, 슬라이딩부 및 착석부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부 상에 고정되며, 상기 링크부의 일단은 상기 관절부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착석부는 사용자가 착석하며,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된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하강 또는 상승을 반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관절부는 제1 관절유닛 및 제2 관절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관절유닛은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고, 상기 제2 관절유닛은 상기 제1 관절유닛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링크부는 제1 링크유닛 및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1 관절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유닛은 일단이 상기 제2 관절유닛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유닛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유닛의 타단과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들 각각은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하면 수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일어서면 초기 상태로 탄성 복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강성기 및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강성기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슬라이딩 유닛은 상기 강성기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강성기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성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부는 제1 지지유닛, 제2 지지유닛 및 제3 지지유닛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지지유닛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및 제3 지지유닛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일 끝단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 및 제3 지지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지지유닛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 지지유닛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홈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홈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하체운동보조기구는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보조기구로써, 고령자 및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일관성이 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허리, 무릎 및 근육의 무리한 사용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제1 강성기, 제2 강성기 및 제3 강성기는 각각의 강성을 조절하여 해당사용자의 운동강도 및 강성의 균형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운동을 중지하고 하체운동보조기구를 수납하는 경우, 착석부를 잡고 제1 방향으로 당기면서 하부로 밀어내어 제2 링크유닛을 제1 홈에 삽입시키고, 제1 상부링크를 제2 홈으로 삽입시켜 하체운동보조기구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제1 휠 및 제2 휠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제1 지지유닛의 타단을 잡고 들어올려 쉽게 이동할 수 있고, 하체운동보조기구는 제2 지지대 및 제3 지지대를 X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재결합을 통해 수납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링크부 및 착석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의 다른 상태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를 통한 런지 운동 동작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6은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를 통한 스쿼드 운동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도 7의 하체운동보조기구의 다른 상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체운동보조기구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의한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는 지지부(200), 관절부(300), 링크부(400), 슬라이딩부(500) 및 착석부(600)를 포함한다.
상기 관절부(300)는 제1 관절유닛(310) 및 제2 관절유닛(320)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400)는 제1 링크유닛(410) 및 제2 링크유닛(420)을 포함한다.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는 스쿼트 운동 및 런지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보조기구로써, 고령자 및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일관성이 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허리, 무릎 및 근육의 무리한 사용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은 날개처럼 Y축(제2 방향)을 따라 양측면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타단은 상기 Y축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X축(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어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를 안정적으로 지지한다. 따라서, 전체적으로 "T"형태로 형성되어 스쿼트 운동 및 런지 운동 중에 몸의 균형이 유지되도록 진동이나 흔들림을 방지한다.
상기 관절부(300)는 상기 지지부(200)의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링크부(400)는 일단이 상기 관절부(3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X축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Z축(제3 방향)을 따라 상단을 향해 연장되어 형성된다.
상기 링크부(400)의 타단에는 상기 슬라이딩부(500)가 형성되고 상기 착석부(600)의 일부는 상기 슬라이딩부(500)와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관절유닛(310)은 상기 지지부(200)의 일단 상단에 형성되고, 상기 제2 관절유닛(320)은 상기 지지부(200)의 상부 표면에 상기 제1 관절유닛(310)과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의 일단은 상기 제1 관절유닛(31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의 일단은 상기 제2 관절유닛(320)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410, 420)의 타단 각각은 상기 X 및 Y축과 수직으로 형성되는 Z축을 따라 상부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500)의 일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50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부(200), 상기 제1 링크유닛(410), 상기 제2 링크유닛(420) 및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직사각형의 안정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 중에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예를 들어, 해당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600)에 둔부를 기대고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을 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가 자세를 낮추면 상기 링크부(400)가 폴딩(folding)되면서 평행사변형의 형태로 변형되면서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200)의 타단쪽인 제1 방향으로 이동하고,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며 하강한다.
그리고, 해당 사용자가 다시 자세를 높이면, 상기 링크부(400)의 형태가 직사각형으로 전환되면서 상기 링크부(400)가 상승하고, 상기 슬라이딩부(500) 역시 수평을 유지하면서 상기 X축과 반대방향인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하며 상승하게 된다.
상기 제1 관절유닛(310)은 제1 강성기(311)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관절유닛(320)은 제2 강성기(321)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관절유닛(310)의 내부에는 상기 제1 강성기(311)가 형성되어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의 타단을 일정한 토크 이상으로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토크가 감소하면 탄성력을 통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2 관절유닛(320)의 내부에는 상기 제2 강성기(321)가 형성되어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의 타단을 일정한 토크 이상으로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지지부(200)의 타단을 향해 이동시키는 경우에만 회전하도록 하고, 상기 토크가 감소하면 탄성력을 통해 다시 원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2는 도 1의 링크부 및 착석부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의 다른 상태의 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슬라이딩 유닛(510) 및 제3 강성기(520)를 포함한다.
상기 슬라이딩 유닛(510)은 직사각형 형태의 구조에 상기 착석부(600)가 결합하여 슬라이딩 할 수 있도록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부에 상기 슬라이딩 유닛(510)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연장되는 홈이 형성되어 외부와 내부의 공간을 연결하게 된다.
상기 착석부(600)의 하단부는 상기 슬라이딩 유닛(510)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X축(제1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딩 유닛(510)의 하부에는 상기 제3 강성기(520)가 배치되어 상기 링크부(400)와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3 강성기(520)의 일단은 상기 제1 상부링크(413)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3 강성기(520)의 타단은 상기 제2 상부링크(423)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3 강성기(520)의 일단은 상기 제1 상부링크(413)의 타단이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X축(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3 강성기(520)의 타단은 상기 제2 상부링크(423)의 타단이 상기 X축(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우 발생하는 회전에 대한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이 때,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600)에 착석하여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을 하는 경우 상기 슬라이딩 유닛(510)이 상기 X축(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는 것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나,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의 효율적인 운동을 위해 해당 사용자가 가하는 하중에 의한 압력보다 낮은 저항력을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제1 강성기(311), 상기 제2 강성기(321) 및 상기 제3 강성기(520)를 통해 운동 중 해당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하중의 압력에 대한 저항력이 발생하여 운동 중 사용자가 부담하는 운동의 감도가 감소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강성기(311), 상기 제2 강성기(321) 및 상기 제3 강성기(520)의 강성을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2 및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은 제1 하부링크(411), 제1 댐퍼(412) 및 제1 상부링크(413)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유닛(420)은 제2 하부링크(421), 제2 댐퍼(422) 및 제2 상부링크(423)를 포함한다.
상기 제1 하부링크(411)의 일단은 상기 제1 관절유닛(310)과 결합하고 상기 제1 하부링크(411)의 타단은 상기 Z축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1 상부링크(413)의 일단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1 상부링크(413)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500)의 일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1 상부링크(413)는 상기 제1 하부링크(411)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부링크(413)와 상기 제1 하부링크(411)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1 댐퍼(41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상부링크(413)가 해당 사용자의 하중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1 하부링크(411)의 내부로 삽입되며 수축하는 경우 저항력을 발생시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하부링크(421)의 일단은 상기 제2 관절유닛(320)과 결합하고, 상기 제2 하부링크(421)의 타단은 상기 Z축을 따라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상부링크(423)의 일단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2 상부링크(423)의 타단은 상기 슬라이딩부(500)의 타단과 결합하고 상기 제2 상부링크(423)는 상기 제2 하부링크(421)의 내부로 슬라이딩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부링크(423)와 상기 제2 하부링크(421)의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는 상기 제2 댐퍼(422)가 형성되어 상기 제2 상부링크(423)가 해당 사용자의 하중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 하부링크(421)의 내부로 삽입되며 수축하는 경우 저항력을 발생시켜 충격을 완화시키게 된다.
도 4 및 도 5는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를 통한 런지 운동 동작의 순서의 예를 나타내는 측면도들이다.
도 4 및 5를 참조하면, 런지 운동을 위해 해당 사용자는 제1 단계로써 다리 사이에 상기 링크부(400)가 위치하도록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을 바라보며 직립자세를 취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착석부(600)는 해당 사용자의 둔부와 접촉하여 해당 사용자의 상체의 하중의 일부를 분산시키면서 해당 사용자가 자세를 유지하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T"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가 고령의 노약자인 경우 직립자세에서 양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상기 관절부(300)와 상기 링크부(400)는 해당 사용자가 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런지 운동의 제2 단계로써 해당 사용자는 왼발 또는 오른발을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리를 벌리는 자세를 취하게 되고, 상기 착석부(600)는 해당 사용자의 상체의 이동궤적에 따라 해당 사용자의 둔부와 밀착한 상태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관절부(300) 및 상기 슬라이딩부(500)에 형성된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은 해당 사용자의 상체가 상기 제1 방향을 향해 소정의 거리만큼 이동하도록 저항력을 발생시킨다. 상기 저항력을 통해 상기 링크부(400)가 해당 사용자의 무게의 압력에 의해 상기 지지부(200)와 접촉하여 해당 사용자가 상기 제1 방향으로 넘어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상기 런지 운동의 제3 단계로써 해당 사용자는 상기 왼발 또는 오른발을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으로 이동시켜 다시 직립자세를 취하게 되고 제1 내지 제3 단계들을 발을 달리하며 움직여 반복적으로 운동하게 된다.
이 때, 상기 왼발 또는 오른발이 제자리로 돌아오면서 직립자세를 취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600)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의 탄성력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직립자세를 취하도록 해당 사용자의 상체를 보조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0)가 위치한 공간 내에서 정확한 자세로 상기 런지 운동의 제1 내지 제3 단계들을 반복하며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착석부(600)가 해당 사용자의 상체를 상부로 밀어주면서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6은 도 1의 하체운동보조기구를 통한 스쿼드 운동 동작의 예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해당 사용자는 상기 런지 운동과 달리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을 주시하고, 허리를 곧게 편 상태로 의자에 앉는 자세를 취하고 다시 일어서는 동작을 반복하게 된다.
이 때, 해당 사용자의 무릎은 해당 사용자의 발가락을 넘어서지 않도록 앉아야 하므로 고령자의 경우 뒤로 넘어지지 않도록 상기 착석부(600)가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의 탄성력을 통해 해당 사용자를 지지하게 된다.
상기 스쿼트 운동의 경우, 상기 런지 운동과 달리 해당 사용자의 상체의 하중을 그대로 전달받게 되고, 해당 사용자가 뒤로 넘어질 경우, 해당 사용자가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야 하므로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의 강성을 높게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를 통해 상기 런지 운동 및 상기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관절부(300) 및 상기 슬라이딩부(50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켜 해당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 상기 링크부(400), 상기 슬라이딩부(500) 및 상기 착석부(6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착석부(600)외에는 운동 중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자리에서 정확한 운동자세를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하중의 압력만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의 강성은 조절이 가능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량 및 근력에 따라 효율적인 상기 스쿼트 운동 또는 상기 런지 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보조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 의한 하체운동보조기구(120)는 지지부(700) 및 링크부(800)를 제외하고는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와 동일하므로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이를 생략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는 지지부(700) 및 링크부(800)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700)는 제1 지지유닛(710), 제2 지지유닛(720) 및 제3 지지유닛(730)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부(800)는 상기 제1 링크유닛(410) 및 제2 링크유닛(8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은 제1 지지대(711) 및 제1 홈(712)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은 제2 하부링크(811), 제2 댐퍼(812), 제2 상부링크(813) 및 제2 홈(814)을 포함한다.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는 휴대성 및 공간활용성을 높이기 위해 상기 지지부(700)와 상기 링크부(800)가 폴딩이 가능하여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를 수납하는 경우 편의성이 증가하게 된다.
상기 지지부(700)는 "T"자 형태에서 분리되어 바형태로 변환이 가능하고, 상기 링크부(800)는 상기 지지부(700)의 내부공간에 삽입되어 차지하는 공간을 최소한으로 감소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은 바의 형태로 일단에서 타단까지 상기 X축을 따라 연장되어 형성되고, 상기 제2 지지유닛(720) 및 상기 제3 지지유닛(730) 각각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일단에 수직으로 결합되어 상기 Y축을 따라 날개처럼 서로 반대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 지지유닛(720) 및 상기 제3 지지유닛(730)은 각각이 상기 제1 지지유닛(710)과 탈착이 가능하고, 상기 제2 지지유닛(720) 및 상기 제3 지지유닛(730)은 탈착되어 각각의 일단이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일단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표면에는 상기 제1 홈(712)이 형성되고, 상기 제1 홈(712)에는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이 삽입될 수 있는 크기로 형성된다.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은 도 1의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의 상기 제2 링크유닛(420)과 달리 표면에 상기 제2 홈(814)이 형성되어, 운동을 중지하고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을 상기 X축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을 향해 하강할 경우 상기 제2 홈(814)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하부링크(81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제2 상부링크(813)의 일단과 슬라이딩 결합된다. 상기 제2 상부링크(813)는 상기 제2 하부링크(811)의 내부로 삽입되어 슬라이딩이 가능하다.
상기 제2 상부링크(813)의 타단은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슬라이딩부(500)의 타단과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상기 제2 하부링크(811)와 상기 제2 상부링크(813) 사이에는 상기 제2 댐퍼(812)가 형성되어 운동 중 해당 사용자의 하중으로 상기 제2 상부링크(813)가 상기 제2 하부링크(811)로 삽입되는 경우 충격을 완화하게 된다.
따라서, 해당 사용자는 운동을 중지하고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600)를 잡고 상기 X축을 따라 제1 방향으로 당기면서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을 상기 제1 홈(712)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1 상부링크(413)를 상기 제2 홈(814)으로 삽입시켜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도 8 및 9는 도 7의 하체운동보조기구의 다른 상태의 예를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8 및 9를 참조하면,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은 상기 제1 홈(712)에 삽입되고, 상기 제1 링크유닛(410)은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상기 링크부(800)는 상기 제1 홈(712)의 내부에 삽입된다.
상기 슬라이딩부(500)와 상기 착석부(600)는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상부에 돌출된 상태이며,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탈착되어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타단에 부착시킬 수 있다.
상기 제2 지지유닛(720)은 제2 지지대(721) 및 제1 휠(722)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지지유닛(730)은 제3 지지대(731) 및 제2 휠(732)을 포함한다.
상기 제2 지지대(72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일단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2 지지대(721)의 타단은 상기 Y축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지지대(721)의 타단 측면에는 상기 제1 휠(722)이 형성된다.
상기 제3 지지대(731)의 일단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일단에 탈착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상기 제3 지지대(731)의 타단 측면에는 상기 제2 휠(732)이 형성된다.
해당 사용자가 운동을 중지하고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를 수납할 경우, 상기 제2 지지유닛(720) 및 상기 제3 지지유닛(730)을 탈착하여 상기 제2 지지유닛(720) 및 상기 제3 지지유닛(730) 각각의 일단 및 타단이 상기 X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 휠(722) 및 상기 제2 휠(732)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타단을 잡고 들어올려 쉽게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는 바(bar)의 형태로 변형되어 수납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는 스쿼트 운동 및 런지 운동을 보조하는 운동보조기구로써, 고령자 및 재활 운동이 필요한 사용자들을 위해 일관성이 있는 자세를 유지하게 하고 허리, 무릎 및 근육의 무리한 사용을 방지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 상기 제1 링크유닛(410), 상기 제2 링크유닛(420) 및 상기 슬라이딩부(500)는 직사각형의 안정적인 형태를 형성하고, 스쿼트 운동 또는 런지 운동 중에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키고 사용자의 상체를 안정적으로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제1 강성기(311), 상기 제2 강성기(321) 및 상기 제3 강성기(520)는 각각의 강성을 조절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 강도 및 강성의 균형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고 각각이 다양한 위치에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의 하중을 효과적으로 분산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댐퍼(412) 및 상기 제2 댐퍼(422)를 통해 해당 사용자의 하중의 압력에 의해 상기 링크부(400)가 수축하는 경우 저항력을 발생시키고 충격을 완화시켜 해당 사용자의 착석을 안락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는 "T"형태로 형성되어 해당 사용자가 고령의 노약자인 경우 직립자세에서 양옆으로 넘어지는 것을 효율적으로 방지하게 되고, 상기 관절부(300)와 상기 링크부(400)는 해당 사용자가 운동하는 방향을 가이드하게 된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상기 지지부(200)가 위치한 공간 내에서 정확한 자세로 상기 런지 운동을 반복하며 운동이 가능하고, 상기 착석부(600)가 해당 사용자의 상체를 상부로 밀어주면서 상기 X축의 음의 방향으로 당겨주므로 안정적인 자세로 운동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00)를 통해 상기 런지 운동 및 상기 스쿼트 운동을 할 수 있고, 상기 관절부(300) 및 상기 슬라이딩부(500)에 형성되는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을 통해 해당 사용자의 하중을 분산시켜 해당 사용자의 운동 강도를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지지부(200), 상기 링크부(400), 상기 슬라이딩부(500) 및 상기 착석부(600)는 해당 사용자의 다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착석부(600)외에는 운동 중 접촉하지 않으므로 제자리에서 정확한 운동자세를 유지하면서 해당 사용자의 하중의 압력만을 감소시키는 장점이 있다.
또한, 상기 제1 내지 제3 강성기들(311, 321, 520)의 강성은 조절이 가능하여, 해당 사용자의 운동량 및 근력에 따라 효율적인 상기 스쿼트 운동 또는 상기 런지 운동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해당 사용자는 운동을 중지하고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를 수납하는 경우, 상기 착석부(600)를 잡고 상기 제1 방향으로 당기면서 하부로 밀어내어 상기 제2 링크유닛(810)을 상기 제1 홈(712)에 삽입시키고, 상기 제1 상부링크(413)를 상기 제2 홈(814)으로 삽입시켜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의 부피를 최소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휠(722) 및 상기 제2 휠(732)은 지면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해당 사용자가 상기 제1 지지유닛(710)의 타단을 잡고 들어올려 쉽게 이동할 수 있고, 상기 하체운동보조기구(120)는 상기 제2 지지대(721) 및 상기 제3 지지대(731)의 상기 X축을 따라 연장되도록 배치되는 재결합을 통해 수납이 용이하고 휴대성이 증가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하체운동보조기구는 가정, 헬스장 및 병원에서 운동을 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산업상 이용 가능성을 갖는다.
100, 120: 하체운동보조기구 200, 700: 지지부
300: 관절부 400, 800: 링크부
500: 슬라이딩부 600: 착석부

Claims (11)

  1.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지부;
    상기 지지부 상에 고정되는 관절부;
    일단이 상기 관절부와 상기 제1 방향에 수직인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링크부;
    상기 링크부의 타단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슬라이딩부; 및
    사용자가 착석하며, 상기 슬라이딩부 상면을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슬라이딩되도록 결합되는 착석부를 포함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해당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한 상태에서, 상기 착석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왕복 이동되며 하강 또는 상승을 반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부는,
    상기 지지부의 일단에 결합되는 제1 관절유닛; 및
    상기 제1 관절유닛과 소정의 거리로 이격되어 상기 지지부에 결합되는 제2 관절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일단이 상기 제1 관절유닛과 결합되는 제1 링크유닛; 및
    일단이 상기 제2 관절유닛과 결합되는 제2 링크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의 일단은 상기 제1 링크유닛의 타단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유닛의 타단과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링크유닛들 각각은,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에 착석하면 수축하고 사용자가 상기 착석부로부터 일어서면 초기 상태로 탄성 복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일단이 상기 제1 링크유닛과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링크유닛과 결합되는 강성기; 및
    상기 강성기 상부에 배치되는 슬라이딩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성기는,
    상기 슬라이딩부가 상기 제1 링크유닛 및 상기 제2 링크유닛에 대하여 회전하는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강성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지지유닛; 및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지지유닛의 일 끝단에 각각 결합되는 제2 및 제3 지지유닛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및 제3 지지유닛들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상기 제1 지지유닛에 대하여 회전하여, 상기 제1 지지유닛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유닛은 홈을 포함하며,
    상기 링크부는 상기 제2 방향을 회전축으로 회전하여 상기 홈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체운동보조기구.
KR1020160057047A 2016-05-10 2016-05-10 하체운동보조기구 KR1018177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47A KR101817790B1 (ko) 2016-05-10 2016-05-10 하체운동보조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7047A KR101817790B1 (ko) 2016-05-10 2016-05-10 하체운동보조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684A true KR20170126684A (ko) 2017-11-20
KR101817790B1 KR101817790B1 (ko) 2018-01-11

Family

ID=608094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7047A KR101817790B1 (ko) 2016-05-10 2016-05-10 하체운동보조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7790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5713B1 (ko) * 2010-02-02 2011-01-05 김토문 복부비만 해소 및 하체근력강화를 위한 운동기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7790B1 (ko) 2018-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30486B2 (ja) 運動補助具
US20100292058A1 (en) Multi-function exercise device
US20080119338A1 (en) Body posture and physical fitness exercise device
KR101416068B1 (ko) 보행훈련기기 결합형 보행보조기
KR101441290B1 (ko) 근력운동 및 마사지 의자
JP2021019852A (ja) 下肢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KR20190035553A (ko) 러닝머신을 구비한 러닝 의자
TWI632936B (zh) 蹲立健身器
US20050101443A1 (en) Multifunction exercise machine
JP3112700U (ja) 脚部用運動器具
US9573012B1 (en) Multi-functional chair
JP2012192107A (ja) 筋力トレーニング装置
JP3202923U (ja) スクワット・トレーニングマシーン
KR101817790B1 (ko) 하체운동보조기구
CN209332631U (zh) 一种多功能助行器
KR101870101B1 (ko) 로만 체어로 변형 가능한 스쿼트 운동 기구
CN107617194B (zh) 多工蹲立健身器
KR101768999B1 (ko) 하체운동기구
CN107198853B (zh) 深蹲辅助装置
KR102221974B1 (ko) 스쿼트 운동 보조 기구
KR20140052148A (ko) 링크를 이용한 윗몸 일으키기 운동기구
US20080039290A1 (en) Swing Fit Aerobic and Strength Training Exercise Machine
KR20210131123A (ko) 뱃살 운동기구
KR102535761B1 (ko) 스마트 체어
CN105983208A (zh) 一种臂力综合健身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