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105A - 오디오 재생성을 위한 부대역 공간 및 크로스토크 제거 기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재생성을 위한 부대역 공간 및 크로스토크 제거 기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6105A KR20170126105A KR1020177031417A KR20177031417A KR20170126105A KR 20170126105 A KR20170126105 A KR 20170126105A KR 1020177031417 A KR1020177031417 A KR 1020177031417A KR 20177031417 A KR20177031417 A KR 20177031417A KR 20170126105 A KR20170126105 A KR 20170126105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band
- channel
- component
- crosstalk
- frequency
- Prior art date
-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 Granted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4—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rrecting frequency respons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4—Circuit arrangements, e.g. for selective connection of amplifier inputs/outputs to loudspeakers, for loudspeaker detection, or for adaptation of settings to personal preferences or hearing impairment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04S7/30—Control circuits for electronic adaptation of the sound field
- H04S7/301—Automatic calibration of stereophonic sound system, e.g. with test microphone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00/00—Details of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00/13—Aspects of volume control, not necessarily automatic, in stereophonic sound system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1—Enhancing the perception of the sound image or of the spatial distribution using head related transfer functions [HRTF's] or equivalents thereof, e.g. interaural time difference [ITD] or interaural level difference [ILD]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2420/00—Techniques used stereophonic systems covered by H04S but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S2420/07—Synergistic effects of band splitting and sub-band process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 Soundproofing, Sound Blocking, And Sound Damping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Description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감소된 크로스토크 간섭으로 향상된 음장을 재생성하는 오디오 프로세싱 시스템의 일례를 도시한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도 2a에 도시된 오디오 프로세싱 시스템의 상세한 구현예를 도시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간섭을 감소시키도록 오디오 신호를 프로세싱하기 위한 예시의 신호 프로세싱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대역 공간 오디오 프로세서의 예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부대역 공간 향상을 수행하기 위한 예시의 알고리즘을 도시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보상 프로세서의 예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소거에 대한 보상을 수행하는 예시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의 예시의 다이어그램을 도시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크로스토크 소거를 수행하는 예시의 방법을 도시한다.
도 10 및 도 11은 크로스토크 소거에 기인한 스펙트럼 결함을 실증하는 예시의 주파수 응답 플롯을 도시한다.
도 12 및 도 13은 크로스토크 보상의 효과를 실증하는 예시의 주파수 응답 플롯을 도시한다.
도 14는 도 8에 도시된 주파수 대역 분할기의 절점 주파수를 변경하는 효과를 실증하는 예시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도 15 및 도 16은 도 8에 도시된 주파수 대역 분할기의 효과를 실증하는 예시의 주파수 응답을 도시한다.
Claims (25)
- 제 1 사운드 및 제 2 사운드를 생성하는 방법으로서,
제 1 입력 채널 제 2 입력 채널을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입력 채널을 제 1 부대역 성분으로 분할하는 단계―상기 제 1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와,
상기 제 2 입력 채널을 제 2 부대역 성분으로 분할하는 단계―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와,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correlated)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non-correlated)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비상관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상관된 부분을 증폭시켜 향상된 공간(spatial) 성분 및 향상된 비공간(non-spatial) 성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 및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의 합을 구함으로써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과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 사이의 차를 구함으로써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의 제 1 부대역 성분과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비공간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제 1 부대역 성분과 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공간적 정보를 포함하는
방법.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후속 크로스토크 소거의 주파수 응답에서의 추정된 스펙트럼 결함을 제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대역내(inband)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내 채널 및 대역외(out of band)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상기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내 채널 및 상기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는 단계와,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는 단계와.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1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1 보상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2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2 보상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으로부터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크로스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으로부터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시스템으로서,
부대역 공간 오디오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부대역 공간 오디오 프로세서는,
제 1 입력 채널 및 제 2 입력 채널을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입력 채널을 제 1 부대역 성분―상기 제 1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으로 분할하고, 상기 제 2 입력 채널을 제 2 부대역 성분―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으로 분할하도록 구성되는 주파수 대역 분할기와,
상기 주파수 대역 분할기에 연결된 복수의 변환기―상기 복수의 변환기 각각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그룹의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생성하고, 상기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상기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와,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한 변환기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의 부대역 프로세서―상기 복수의 부대역 프로세서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비상관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상관된 부분을 증폭하여 향상된 공간 성분 및 향상된 비공간 성분을 획득하도록 구성됨―와,
상기 대응하는 부대역 프로세서에 각각 연결된 복수의 역변환기―상기 복수의 역변환기 각각은 상기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 및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의 합을 획득함으로써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고, 상기 대응하는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과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 사이의 차를 획득함으로써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와,
상기 복수의 역변환기에 연결된 주파수 대역 결합기―상기 주파수 대역 결합기는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됨―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의 제 1 부대역 성분과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비공간적인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제 1 부대역 성분과 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공간적 정보를 포함하는
시스템.
- 제 7 항에 있어서,
비공간 오디오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비공간 오디오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생성하고,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기 상관된 부분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비공간 오디오 프로세서는,
후속 크로스토크 소거의 주파수 응답에서 추정된 스펙트럼 결함을 제거하기 위해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함으로써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시스템.
-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부대역 공간 오디오 프로세서 및 상기 비공간 오디오 프로세서에 연결된 결합기를 더 포함하되, 상기 결합기는,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기에 연결된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를 더 포함하되,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내 채널 및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고,
상기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상기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내 채널 및 상기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고,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고,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고,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1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1 보상 채널을 생성하고,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2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2 보상 채널을 생성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 1 스피커―상기 제 1 스피커는 상기 제 1 보상 채널에 따라 제 1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됨―와,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에 연결된 제 2 스피커―상기 제 2 스피커는 상기 제 2 보상 채널에 따라 제 2 사운드를 생성하도록 구성됨―를 더 포함하는
시스템.
-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의 반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1 인버터와,
상기 제 1 인버터에 연결된 제 1 대측 추정기―상기 제 1 대측 추정기는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고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의 반전에 따라 상기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에 대응하는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됨―와,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의 반전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제 2 인버터와,
상기 제 2 인버터에 연결된 제 2 대측 추정기―상기 제 2 대측 추정기는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고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의 반전에 따라 상기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에 대응하는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도록 구성됨―를 포함하는
시스템.
-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제 1 입력 채널 및 제 2 입력 채널을 포함하는 입력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상기 제 1 입력 채널을 제 1 부대역 성분―상기 제 1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으로 분할하게 하고,
상기 제 2 입력 채널을 제 2 부대역 성분―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각각은 주파수 대역 그룹의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응함―으로 분할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대응하는 제 1 부대역 성분과 상기 대응하는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비상관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상관된 부분을 증폭시켜 향상된 공간 성분 및 향상된 비공간 성분을 획득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 및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의 합을 구함으로써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 각각에 대해, 상기 향상된 공간 성분과 상기 향상된 비공간 성분 사이의 차를 구함으로써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1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향상된 제 2 부대역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을 생성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주파수 대역의 제 1 부대역 성분과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비공간적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주파수 대역의 상기 제 1 부대역 성분과 상기 제 2 부대역 성분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은 상기 주파수 대역의 공간적 정보를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제 1 입력 채널과 상기 제 2 입력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에 기초하여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게 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1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상기 제 2 공간적으로 향상된 채널에 추가하여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생성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게 하고, 또한,
상기 크로스토크 보상 신호를 생성하여 후속 크로스토크 소거의 주파수 응답에서의 추정된 스펙트럼 결함을 제거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내 채널 및 대역외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게 하고,
상기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상기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내 채널 및 상기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게 하고,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게 하고,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여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보상하게 하고,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1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1 보상 채널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2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2 보상 채널을 생성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게 하고,
상기 추정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을 포함하는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게 하고,
상기 명령어는,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프로세서로 하여금,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게 하고, 또한,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상기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게 하고,
상기 추정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의 반전을 포함하는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게 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 제 1 스피커 및 제 2 스피커에 의한 오디오 신호 출력을 위한 크로스토크 소거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에 대해 스피커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단계―상기 스피커 파라미터는 상기 제 1 스피커와 상기 제 2 스피커 사이의 청취 각도를 포함함―와,
상기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 오디오 신호의 복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한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보상 신호는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에 적용되는 크로스토크 소거로부터 각각의 주파수 대역에서 추정된 스펙트럼 결함을 제거하고,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 및 상기 보상 신호는 상기 스피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됨―와,
상기 보상 신호를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에 추가함으로써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를 위해 상기 입력 오디오 신호를 사전보상하여 사전보상된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스피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보상된 신호에 대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를 수행하여 크로스토크 소거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제 1 스피커와 상기 청취자 사이의 제 1 거리, 상기 제 2 스피커와 상기 청취자 사이의 제 2 거리, 및 상기 제 1 스피커 및 상기 제 2 스피커의 각각의 출력 주파수 범위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보상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보상된 신호에 대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를 수행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스피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컷오프 주파수,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의 지연, 및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의 이득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주파수 대역 중 하나의 주파수 대역에 대해, 상기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 사이의 비상관된 부분에 대하여 상기 오디오 신호의 좌측 채널과 우측 채널 사이의 상관된 부분을 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피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상기 사전보상된 신호에 대한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를 수행하여 상기 크로스토크 소거된 오디오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전보상된 신호의 제 1 사전보상된 채널을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내 채널 및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1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사전보상된 신호의 제 2 사전보상된 채널을 상기 대역내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내 채널 및 상기 대역외 주파수에 대응하는 제 2 대역외 채널로 분할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에 의해 제공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을 추정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제 1 대측 사운드 성분에 기초하여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추정된 제 2 대측 사운드 성분에 기초하여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1 대역내 채널, 상기 제 2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1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1 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제 2 대역내 채널, 상기 제 1 크로스토크 소거 성분, 및 상기 제 2 대역외 채널을 결합하여 제 2 보상된 채널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US201662280119P | 2016-01-18 | 2016-01-18 | |
US62/280,119 | 2016-01-18 | ||
US201662388366P | 2016-01-29 | 2016-01-29 | |
US62/388,366 | 2016-01-29 | ||
PCT/US2017/013061 WO2017127271A1 (en) | 2016-01-18 | 2017-01-11 |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roduction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6105A true KR20170126105A (ko) | 2017-11-16 |
KR101858917B1 KR101858917B1 (ko) | 2018-06-28 |
Family
ID=593620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7031417A Active KR101858917B1 (ko) | 2016-01-18 | 2017-01-11 | 오디오 재생성을 위한 부대역 공간 및 크로스토크 제거 기법 |
Country Status (10)
Country | Link |
---|---|
EP (2) | EP3780653A1 (ko) |
JP (2) | JP6479287B1 (ko) |
KR (1) | KR101858917B1 (ko) |
CN (2) | CN112235695B (ko) |
AU (2) | AU2017208909B2 (ko) |
BR (1) | BR112018014632B1 (ko) |
CA (2) | CA3011628C (ko) |
NZ (2) | NZ745415A (ko) |
TW (2) | TWI620172B (ko) |
WO (1) | WO2017127271A1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3640A (ko) * | 2017-11-29 | 2020-07-08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대향하는 트랜스오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
KR20200137020A (ko) * | 2017-11-29 | 2020-12-08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크로스토크 처리 b 체인 |
KR20210012042A (ko) * | 2018-06-20 | 2021-02-02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공간적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토크 처리에 대한 스펙트럼 결함 보상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12235695B (zh) * | 2016-01-18 | 2022-04-15 | 云加速360公司 | 用于音频信号串扰处理的方法、系统及介质 |
CN110718237B (zh) | 2018-07-12 | 2023-08-18 | 阿里巴巴集团控股有限公司 | 串音数据检测方法和电子设备 |
US10715915B2 (en) | 2018-09-28 | 2020-07-14 | Boomcloud 360, Inc. | Spatial crosstalk processing for stereo signal |
US10841728B1 (en) | 2019-10-10 | 2020-11-17 | Boomcloud 360, Inc. | Multi-channel crosstalk processing |
US11032644B2 (en) | 2019-10-10 | 2021-06-08 | Boomcloud 360, Inc. |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processing using spectrally orthogonal audio components |
US11533560B2 (en) * | 2019-11-15 | 2022-12-20 | Boomcloud 360 Inc. | Dynamic rendering device metadata-informed audio enhancement system |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0080273721A1 (en) * | 2007-05-04 | 2008-11-06 | Creative Technology Ltd | Method for spatially processing multichannel signals, processing module, and virtual surround-sound systems |
US20090262947A1 (en) * | 2008-04-16 | 2009-10-22 | Erlendur Karlsso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3D Audio in Systems with Closely Spaced Speakers |
JP4887420B2 (ja) * | 2006-03-13 | 2012-02-29 |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 中央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のレンダリング |
KR20120077763A (ko) * | 2010-12-31 | 2012-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간 음향에너지 분포 제어장치 및 방법 |
Family Cites Families (2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GB9622773D0 (en) * | 1996-11-01 | 1997-01-08 | Central Research Lab Ltd | Stereo sound expander |
JP3368836B2 (ja) * | 1998-07-31 | 2003-01-20 | オンキヨー株式会社 | 音響信号処理回路および方法 |
EP1532734A4 (en) * | 2002-06-05 | 2008-10-01 | Sonic Focus Inc | ACOUSTIC VIRTUAL REALITY ENGINE AND ADVANCED TECHNIQUES FOR IMPROVING THE DELIVERED SOUND |
US20050265558A1 (en) * | 2004-05-17 | 2005-12-01 | Waves Audio Ltd. | Method and circuit for enhancement of stereo audio reproduction |
WO2005120133A1 (en) * | 2004-06-04 | 2005-12-15 | Samsung Electronics Co., Ltd. | Apparatus and method of reproducing wide stereo sound |
JP4509686B2 (ja) * | 2004-07-29 | 2010-07-21 | 新日本無線株式会社 | 音響信号処理方法および装置 |
GB2419265B (en) * | 2004-10-18 | 2009-03-11 | Wolfson Ltd | Improved audio processing |
WO2007049643A1 (ja) * | 2005-10-26 | 2007-05-03 | Nec Corporation | エコー抑圧方法及び装置 |
WO2007110103A1 (en) * | 2006-03-24 | 2007-10-04 | Dolby Sweden Ab | Generation of spatial downmixes from parametric representations of multi channel signals |
US8619998B2 (en) * | 2006-08-07 | 2013-12-31 | Creative Technology Ltd | Spatial audio enhancement processing method and apparatus |
EP1858296A1 (en) * | 2006-05-17 | 2007-11-21 | SonicEmotion AG | Method and system for producing a binaural impression using loudspeakers |
JP4841324B2 (ja) * | 2006-06-14 | 2011-12-21 | アルパイン株式会社 | サラウンド生成装置 |
JP5025731B2 (ja) * | 2007-08-13 | 2012-09-12 | 三菱電機株式会社 | オーディオ装置 |
WO2009046223A2 (en) * | 2007-10-03 | 2009-04-09 | Creative Technology Ltd | Spatial audio analysis and synthesis for binaural reproduction and format conversion |
JP4655098B2 (ja) * | 2008-03-05 | 2011-03-23 | ヤマハ株式会社 | 音声信号出力装置、音声信号出力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
US9247369B2 (en) * | 2008-10-06 | 2016-01-26 | Creative Technology Ltd | Method for enlarging a location with optimal three-dimensional audio perception |
US20110268299A1 (en) * | 2009-01-05 | 2011-11-03 | Panasonic Corporation | Sound field control apparatus and sound field control method |
US9107021B2 (en) * | 2010-04-30 | 2015-08-11 |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 Audio spatialization using reflective room model |
JP5957446B2 (ja) * | 2010-06-02 | 2016-07-27 |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ヌ ヴェKoninklijke Philips N.V. | 音響処理システム及び方法 |
WO2012036912A1 (en) * | 2010-09-03 | 2012-03-22 | Trustees Of Princeton University | Spectrally uncolored optimal croostalk cancellation for audio through loudspeakers |
JP5587706B2 (ja) * | 2010-09-13 | 2014-09-10 | クラリオン株式会社 | 音響処理装置 |
WO2012094335A1 (en) * | 2011-01-04 | 2012-07-12 | Srs Labs, Inc. | Immersive audio rendering system |
EP2560161A1 (en) * | 2011-08-17 | 2013-02-20 | Fraunhofer-Gesellschaft zur Förderung der angewandten Forschung e.V. | Optimal mixing matrices and usage of decorrelators in spatial audio processing |
CN102737647A (zh) * | 2012-07-23 | 2012-10-17 | 武汉大学 | 双声道音频音质增强编解码方法及装置 |
CN103928030B (zh) * | 2014-04-30 | 2017-03-15 | 武汉大学 | 基于子带空间关注测度的可分级音频编码系统及方法 |
CN112235695B (zh) * | 2016-01-18 | 2022-04-15 | 云加速360公司 | 用于音频信号串扰处理的方法、系统及介质 |
-
2017
- 2017-01-11 CN CN202011073347.0A patent/CN112235695B/zh active Active
- 2017-01-11 KR KR1020177031417A patent/KR101858917B1/ko active Active
- 2017-01-11 CA CA3011628A patent/CA3011628C/en active Active
- 2017-01-11 NZ NZ745415A patent/NZ745415A/en unknown
- 2017-01-11 BR BR112018014632-3A patent/BR112018014632B1/pt active IP Right Grant
- 2017-01-11 JP JP2018547278A patent/JP6479287B1/ja active Active
- 2017-01-11 NZ NZ750171A patent/NZ750171A/en unknown
- 2017-01-11 CN CN201780018313.1A patent/CN108886650B/zh active Active
- 2017-01-11 CA CA3034685A patent/CA3034685A1/en active Pending
- 2017-01-11 AU AU2017208909A patent/AU2017208909B2/en active Active
- 2017-01-11 EP EP20192740.7A patent/EP3780653A1/en active Pending
- 2017-01-11 EP EP17741772.2A patent/EP3406084B1/en active Active
- 2017-01-11 WO PCT/US2017/013061 patent/WO2017127271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17-01-18 TW TW106101748A patent/TWI620172B/zh active
- 2017-01-18 TW TW106138743A patent/TWI646530B/zh active
-
2019
- 2019-02-05 JP JP2019018784A patent/JP6832968B2/ja active Active
- 2019-03-28 AU AU2019202161A patent/AU2019202161B2/en active Active
Patent Citation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4887420B2 (ja) * | 2006-03-13 | 2012-02-29 | ドルビー ラボラトリーズ ライセンシ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 中央チャンネルオーディオのレンダリング |
US20080273721A1 (en) * | 2007-05-04 | 2008-11-06 | Creative Technology Ltd | Method for spatially processing multichannel signals, processing module, and virtual surround-sound systems |
US20090262947A1 (en) * | 2008-04-16 | 2009-10-22 | Erlendur Karlsson | Apparatus and Method for Producing 3D Audio in Systems with Closely Spaced Speakers |
KR20120077763A (ko) * | 2010-12-31 | 2012-07-10 | 삼성전자주식회사 | 공간 음향에너지 분포 제어장치 및 방법 |
Cited By (6)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83640A (ko) * | 2017-11-29 | 2020-07-08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대향하는 트랜스오럴 라우드스피커 시스템에서의 크로스토크 소거 |
KR20200137020A (ko) * | 2017-11-29 | 2020-12-08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크로스토크 처리 b 체인 |
US11218806B2 (en) | 2017-11-29 | 2022-01-04 | Boomcloud 360, Inc. | Crosstalk cancellation for opposite-facing transaural loudspeaker systems |
US11689855B2 (en) | 2017-11-29 | 2023-06-27 | Boomcloud 360, Inc. | Crosstalk cancellation for opposite-facing transaural loudspeaker systems |
US12069454B2 (en) | 2017-11-29 | 2024-08-20 | Boomcloud 360, Inc. | Subband spatial processing for outward-facing transaural loudspeaker systems |
KR20210012042A (ko) * | 2018-06-20 | 2021-02-02 | 붐클라우드 360, 인코포레이티드 | 공간적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토크 처리에 대한 스펙트럼 결함 보상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CA3034685A1 (en) | 2017-07-27 |
AU2017208909A1 (en) | 2018-09-06 |
TWI646530B (zh) | 2019-01-01 |
EP3406084B1 (en) | 2020-08-26 |
AU2017208909B2 (en) | 2019-01-03 |
AU2019202161A1 (en) | 2019-04-18 |
AU2019202161B2 (en) | 2020-09-03 |
CA3011628A1 (en) | 2017-07-27 |
JP6479287B1 (ja) | 2019-03-06 |
TWI620172B (zh) | 2018-04-01 |
KR101858917B1 (ko) | 2018-06-28 |
TW201732785A (zh) | 2017-09-16 |
BR112018014632B1 (pt) | 2020-12-29 |
TW201804462A (zh) | 2018-02-01 |
CN112235695B (zh) | 2022-04-15 |
CN108886650A (zh) | 2018-11-23 |
CA3011628C (en) | 2019-04-09 |
EP3406084A4 (en) | 2019-08-14 |
JP2019083570A (ja) | 2019-05-30 |
BR112018014632A2 (pt) | 2018-12-11 |
CN108886650B (zh) | 2020-11-03 |
WO2017127271A1 (en) | 2017-07-27 |
EP3780653A1 (en) | 2021-02-17 |
EP3406084A1 (en) | 2018-11-28 |
JP6832968B2 (ja) | 2021-02-24 |
NZ745415A (en) | 2019-03-29 |
WO2017127271A8 (en) | 2018-08-02 |
CN112235695A (zh) | 2021-01-15 |
NZ750171A (en) | 2022-04-29 |
JP2019508978A (ja) | 2019-03-2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10721564B2 (en) |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oroduction | |
KR101858917B1 (ko) | 오디오 재생성을 위한 부대역 공간 및 크로스토크 제거 기법 | |
KR102548014B1 (ko) | 공간적 오디오 신호의 크로스토크 처리에 대한 스펙트럼 결함 보상 | |
CN109791773B (zh) | 音频输出产生系统、音频通道输出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 |
CN111492669B (zh) | 用于相反朝向跨耳扬声器系统的串扰消除 | |
CN112806029B (zh) | 立体声信号的空间串扰处理方法、系统及存储介质 | |
HK40000084B (en) |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roduction | |
HK40000084A (en) | Subband spatial and crosstalk cancellation for audio reproduction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PA0105 | International applic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030 Patent event code: PA01051R01D Comment text: International Patent Applica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A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A0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1101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
|
PA0302 |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Patent event date: 20171101 Patent event code: PA03022R01D Comment text: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
|
PG1501 | Laying open of app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PE0902 |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71130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PE0701 | Decision of registration |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0406 |
|
PR0701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8051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
|
PR1002 | Payment of registration fee |
Payment date: 2018051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
|
PG1601 | Publication of registration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10415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20329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30329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
|
PR1001 | Payment of annual fee |
Payment date: 20240328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