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6098A - 조작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조작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6098A
KR20170126098A KR1020167028800A KR20167028800A KR20170126098A KR 20170126098 A KR20170126098 A KR 20170126098A KR 1020167028800 A KR1020167028800 A KR 1020167028800A KR 20167028800 A KR20167028800 A KR 20167028800A KR 20170126098 A KR20170126098 A KR 201701260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area
end point
slidable
sl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8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슈오 왕
동야 지앙
광지안 왕
Original Assignee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베이징 시아오미 모바일 소프트웨어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701260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609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2Selection of displayed objects or displayed text el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5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for image manipulation, e.g. dragging, rotation, expansion or change of colou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8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8
    • G06F2203/04808Several contacts: gestures triggering a specific function, e.g. scrolling, zooming, right-click, when the user establishes several contacts with the surface simultaneously; e.g. using several fingers or a combination of fingers and p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단말기 기술 영역에 속한다. 본 발명은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는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사용자가 어떤 조작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조작 속도를 빠르게 하며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OPERATION}
본 발명은 단말기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조작 처리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은 출원번호가 CN201610228004.4이고 출원일이 2016년4월13일인 중국 특허 출원에 기초하여 우선권을 주장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모든 내용을 본 출원에 원용한다.
단말기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터치 스크린을 구비한 단말기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됨으로 인해, 단말기의 조작 과정이 간편화 되고 단말기에서 명령을 입력하는 방식 역시 다양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의 원 터치, 멀티 터치 및 슬라이딩 조작 등을 검출하여 대응되는 조작을 수행한다.
관련 기술에 있어서, 조작 처리 방법은 아래와 같이 진행될 수 있다. 사용자가 현재 바탕화면을 전환하려고 할 경우, 단말기에서는 시스템 설정 옵션에 대한 사용자의 트리거 조작이 검출되면 시스템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하고, 시스템 설정 인터페이스 중의 바탕화면 설정 옵션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검출되면 바탕화면 설정 인터페이스를 표시한다. 상기 바탕화면 설정 인터페이스에는 적어도 복수 개의 배경이미지가 포함되며, 임의의 배경이미지에 대한 선택 조작이 검출되면, 선택된 배경이미지를 바탕화면으로 설정한다.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온라인 결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는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작 처리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제1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한다.
본 발명의 제4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이다.
본 발명의 제5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2양태에 따르면,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그래픽 표현 표시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획득 모듈과,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확정 모듈과,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가동 모듈을 포함하는 조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기간 획득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확정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2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능 확정 모듈은,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3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4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5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3양태에 따르면,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고,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조작 처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한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 및 가동하여 대응되는 조작을 완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조작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조작 속도를 빠르게 하며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고있을 때, 상기 조작 처리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큰 편의를 가져다줄 수 있다.
이상의 일반적인 기술과 후술되는 세부적인 기술은 단지 예시적이거나 해석적인 것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님을 유의하여야 한다.
하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병합되어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며,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예시하여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도록 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네 가지 그래픽 표현의 예시도이다.
도 2c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단말기 인터페이스 표시 예시도이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목적, 기술 방안 및 우점에 대해 더욱 명확히 하고자, 이하 본 발명의 실시 방식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기술한다.
아래에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되 그 예들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에 도면과 관련하여 기술할 경우, 별도의 설명이 없는 한, 상이한 도면 중의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요소를 나타낸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에서 기술하는 실시형태는 본 발명과 일치한 모든 실시 형태를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이들은 단지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서 상술하는 본 발명의 일 방면과 일치한 장치 및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말기에 적용되는 조작 처리 방법에 있어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101에 있어서,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한다. 상기 그래픽 표현(graphical representation)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된다.
단계10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한다.
단계103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한다. 상기 목표 기능은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이다.
단계104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 및 가동하여 대응되는 조작을 완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조작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조작 속도를 빠르게 하며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고있을 때, 상기 조작 처리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큰 편의를 가져다줄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방법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3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하다.
본 발명의 제4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이다.
본 발명의 제5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 방안들은 임의로 결합하여 본 발명의 선택 가능한 실시예를 구성할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2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방법의 흐름도이다. 상기 실시예의 수행 주체는 단말기일 수 있으며, 도 2a를 참조하면, 상기 실시예는 구체적으로 아래와 같은 단계들을 포함한다.
단계201에 있어서,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한다.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된다.
단말기의 잠금 해제 조작이 검출되면, 시스템 인터페이스를 표시하는 동시에 상기 시스템 인터페이스에 상기 그래픽 표현을 표시한다. 상기 그래픽 표현은 사용자가 단말기 상의 일부 기능에 대한 단축 조작을 구현하는데 사용된다. 명확히 해야 할 점은, 상기 그래픽 표현은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의 임의의 고정 위치에 고정되어 표시되거나, 또는 상기 그래픽 표현의 감응 구역에 대한 사용자의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의해 상기 그래픽 표현을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의 해당 위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그래픽 표현에 포함되는 슬라이딩 가능 영역 및 응답 영역은 각각 서로 다른 형상일 수 있으며,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b에는 상기 그래픽 표현의 네 가지 가능한 형상이 도시되어 있다. 예를 들면, 도 2b (a)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a1)과 응답 영역(a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a1)은 원형이고 응답 영역(a2)은 "回"자형이다. 도 2b (b)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b1)과 응답 영역(b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b1)은 삼각형이고 응답 영역(b2)은 정팔각형 테두리이다. 도 2b (c)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c1)과 응답 영역(c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c1)은 원형이고 응답 영역(c2)은 반고리형이다. 도 2b (d)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d1)과 응답 영역(d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d1)은 원형이고 응답 영역(d2)은 고리형이다. 실제 구현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은 각각 기타 형상이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응답 영역에 포함되는 응답 구간 개수는 시스템에서 설정한 기본값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도 있으며, 구체적으로 어떻게 구간을 나누는지 및 어느 응답 구간을 어느 기능에 대응시키는지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되거나, 또는 시스템 기본 설정을 적용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응답 영역의 형상이 다름에 따라 상기 응답 영역을 서로 다른 개수의 응답 구간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b (a)에 있어서, 상기 응답 영역은 4개 응답 구간으로 구분되고 "回"자형의 각 테두리는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즉, 도면 중의 인접한 2개 구분자(separator) 사이의 영역은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된다. 도 2b (b)에 있어서, 상기 응답 영역은 8개 응답 구간으로 구분되고 정팔각형 테두리의 각 변의 테두리는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될 수 있으며, 즉, 도면 중의 인접한 2개 구분자 사이의 영역은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된다. 도 2b (c)에 있어서, 상기 응답 영역은 3개 응답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도면 중의 인접한 2개 구분자 사이의 호형은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된다. 도 2b (d)에 있어서, 상기 응답 영역은 6개 응답 구간으로 구분될 수 있고, 도면 중의 인접한 2개 구분자 사이의 호형은 1개 응답 구간에 대응된다. 명확히 해야 할 점은, 상기 복수 개 응답 구간 중의 각각의 응답 구간의 영역 면적은 동일할 수도 있고 서로 다를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물론, 서로 다른 응답 영역 형상은 같은 개수의 응답 구간과 대응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의 구체적 위치까지 슬라이딩함으로 인해 단말기가 이에 해당되는 조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기 설정 거리는 임의의 고정값으로 설정할 수 있거나, 또는 단말기 시스템에 복수 개의 후보값을 미리 저장하여 사용자가 수요에 따라 상기 기 설정 거리의 구체적 수치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 물론, 기타 방법을 통해 상기 기 설정 거리를 확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명확히 해야 할 점은, 상기 기 설정 거리는 0일 수도 있으며, 즉,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에는 간극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도 2b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외부면은 상기 응답 영역이 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의 임의의 위치로 슬라이딩할 경우,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직선 거리가 모두 동일하게끔 하고 상기 그래픽 표현의 미려함도 보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이다.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2c의 그래픽 표현에 있어서, 중심 원형 음영 영역은 상기 그래픽 표현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고, 외부 고리형 음영 영역은 상기 그래픽 표현의 응답 영역이다.
단계20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한다.
상기 슬라이딩 조작은 사용자가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터치하여서부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떠날 때까지의 대응되는 조작을 의미한다. 즉, 사용자가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의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터치하는 것이 검출되면서부터 사용자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떠나는 것이 검출될 때까지를 1회 슬라이딩 조작으로 간주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떠난 종점 위치 좌표를 획득하고, 상기 종점 위치 좌표를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로 획득한다.
단계203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한다. 상기 슬라이딩 기간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이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시작 시간과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떠난 종료 시간을 각각 획득하고 상기 시작 시간과 상기 종료 시간에 의해 상기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할 수 있다. 물론,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을 경우, 단계204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의 이격 거리에 따라 확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기 시스템에 복수 개의 후보 설정 거리가 저장되어 있을 경우, 상기 복수 개의 기 설정 거리에 따라 각각의 기 설정 거리에 대응되는 기간의 기 설정된 기간을 확정한다. 예를 들면, 기 설정 거리가 0.5cm일 경우,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은 500ms이다. 또는,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을 임의의 기간으로 확정할 수 있다, 물론, 기타 방법을 사용하여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을 확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속도를 검출할 수도 있다. 상기 슬라이딩 속도는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과정에 대응되는 슬라이딩 속도를 의미하는 것으로서, 상기 슬라이딩 속도는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평균 속도를 의미하거나 또는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최대 속도를 의미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상기 슬라이딩 속도를 획득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시작점 위치 좌표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떠난 종점 위치 좌표, 및 사용자가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터치한 시작 시간과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를 떠난 종료 시간을 각각 획득하고, 상기 시작 위치 좌표, 상기 종점 위치 좌표 및 상기 시작 시간, 종료 시간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속도를 획득한다.
대응되게,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슬라이딩 기간를 획득하는 단계 후에,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큰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보다 클 경우, 단계204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상기 기 설정된 속도보다 크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고 종료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기 설정된 속도의 확정 방법은 상기 기 설정된 기간을 확정하는 방법과 같은 원리이며 여기서는 중복되는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슬라이딩 기간 또는 슬라이딩 속도를 획득하고,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 또는 상기 슬라이딩 속도가 기 설정된 속도보다 큰지 여부에 따라 단계204를 수행할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조작의 정확성을 향상시키고 오조작으로 인해 사용자에게 불편을 끼치는 것을 피면할 수 있다.
명확히 해야 할 점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조작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단계203은 수행할 수도 있고 수행하지 않을 수도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4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한다. 상기 목표 기능은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이다.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응답 구간은 임의의 응답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고, 상기 제2 응답 구간은 상기 제1 응답 구간 외의 기타 응답 구간 중의 임의의 응답 구간으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2c에 있어서, 상기 제1 응답 구간이 응답 구간1이고 제2 응답 구간이 응답 구간2일 경우,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시작 위치로부터 상기 응답 구간1 내의 임의의 위치로 슬라이딩하고 최종으로 상기 응답 구간1 내에 머무르는 것이 검출되면,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한다.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시작 위치로부터 응답 구간2 내의 임의의 위치로 슬라이딩하고 최종으로 상기 응답 구간2 내에 머무르는 것이 검출되면,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한다.
물론, 상기 종점 위치는 기타 위치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도 2c의 응답 구간3, 응답 구간4 등일 수 있다. 상기 목표 기능은 기타 기능일 수도 있으며, 예를 들면 녹음 기능, 바탕화면 설정 기능, 음악 재생 기능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들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상기 서로 다른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서로 다른 기능은 시스템의 기본 설정을 사용하거나, 또는 사용자가 사용 습관에 따라 자체적으로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서로 다른 응답 구간에 서로 다른 기능을 설정하는 방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응답 구간 설정 옵션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검출되면, 선택 가능 응답 구간의 개수를 표시한다. 임의의 개수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개수를 상기 응답 영역을 구분 후의 응답 구간 개수로 확정하고 후보 응답 구간의 프리뷰를 진행한다. 상기 프리뷰 중인 임의의 후보 응답 구간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후보 응답 구간을 현재 설정하려는 응답 구간으로 확정한다. 기능란(function bar)에 대한 트리거 조작이 검출되면, 복수 개의 후보 기능을 표시한다. 상기 복수 개의 후보 기능 중의 임의의 기능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조작이 검출되면, 해당 기능을 상기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으로 확정한다. 한편, 상기 기능란에서는 추가 옵션을 표시할 수도 있음으로써, 사용자가 상기 추가 옵션에 대해 트리거 조작을 수행하여 사용자가 설정하고자 하는 기능을 추가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 설정된 응답 구간과 기능의 매칭 관계를 소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함으로써,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 및 상기 소정의 저장 공간에 저장된 응답 구간과 기능의 대응 관계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할 수 있다.
단계205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한다.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한 후, 대응되는 목표 기능을 가동함으로써 대응되는 조작을 완성한다. 예를 들면, 목표 기능이 화면 캡쳐 기능일 경우, 화면 캡쳐 기능을 가동하여 현재 단말기 스크린을 캡쳐하고 캡쳐된 이미지를 앨범에 저장한다. 목표 기능이 화면 잠금 기능일 경우, 화면 잠금 기능을 가동하여 단말기에 대해 화면 잠금 처리를 진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방법에 따르면,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고,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고,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 및 가동하여 대응되는 조작을 완성함으로써, 사용자가 어떤 조작을 수행하려고 할 경우 상기 그래픽 표현 중의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하는 것을 통해 상기 조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로써, 조작 과정을 간소화하고 조작 속도를 빠르게 하며 조작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사용자가 한 손으로 단말기를 잡고있을 때, 상기 조작 처리 방법을 사용하면 사용자에게 더욱 큰 편의를 가져다줄 수 있다. 나아가,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고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에 따라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할지 여부를 확정함으로써, 조작의 정확성을 더욱 향상시키고 오조작을 피면하도록 한다.
도 3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장치는 그래픽 표현 표시 모듈(301), 위치 획득 모듈(302), 목표 기능 확정 모듈(303) 및 목표 기능 가동 모듈(304)을 포함한다.
그래픽 표현 표시 모듈(301)은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 (graphical representation)를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된다.
위치 획득 모듈(302)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목표 기능 확정 모듈(303)은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목표 기능은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이다.
목표 기능 가동 모듈(304)은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1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기간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기간 획득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확정 모듈(303)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된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2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능 확정 모듈(303)은,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3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하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4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제5 구현 가능 방식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다.
상기 실시예 중의 장치에 있어서, 각 모듈의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 방식은 이미 해당 방법의 실시예 중에서 상세히 설명하였으므로 여기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조작 처리 장치(4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40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디지털 방송 단말기, 메시지 송수신 기기, 게임 콘솔, 테블릿 기기, 의료 기기, 헬스 기기, PDA 등이 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장치(400)는 처리부(402), 메모리(404), 전원부(406), 멀티미디어부(408), 오디오부(410), 입출력(I/O) 인터페이스(412), 센서부(414) 및 통신부(416) 중의 하나 또는 복수의 부품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402)는, 일반적으로 장치(400)의 전체적인 조작, 예를 들면, 표시, 전화 호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에 관련된 조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처리부(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420)를 포함하여 명령을 수행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들을 완성한다. 그리고, 처리부(402)는 하나 또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하고 있어 처리부(402)와 기타 부품 간의 상호 작용 (interaction)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처리부(402)는 멀티미디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멀티미디어부(408)와 처리부(402) 사이의 상호 작용을 원활히 하도록 한다.
메모리(404)는, 각종 유형의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어 장치(400)의 조작을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로 장치(400)에서 수행되는 임의의 응용 프로그램 또는 방법을 위한 명령, 연락처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사진, 동영상 등이 포함된다. 메모리(4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 또는 양자의 조합으로 구현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ROM(Read-Only Memory),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하드디스크 또는 광디스크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부(406)는 장치(400)의 각종 구성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전원부(406)는 전원 관리 시스템, 하나 또는 복수의 전원 및 장치(400)를 위하여 전력을 생성, 관리 및 분배하기 위한 기타 부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멀티미디어부(408)는 장치(400)와 사용자 간에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은 액정 표시 장치(LCD)와 터치 패널(TP)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널을 포함할 경우, 스크린은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 패널은 하나 또는 복수의 터치 센서를 포함하고 있어, 터치, 슬라이딩 및 터치 패널 상에서의 손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 또는 슬라이딩 동작의 경계 위치를 감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에 관련된 지속시간 및 압력을 검출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멀티미디어부(408)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를 포함한다. 장치(400)가 카메라 모드 또는 촬상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각의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하나의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가변 초점거리와 광학 줌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부(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오디오부(410)는 마이크(MIC)를 포함하고, 장치(400)가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 등 조작 모드 상태인 경우, 마이크는 외부의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진일보로 메모리(4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부(416)를 거쳐 전송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오디오부(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412)는 처리부(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간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휠 키,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은 홈페이지 버튼, 음량 버튼, 작동 버튼 및 잠금 버튼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센서부(414)는 장치(400)에 여러 측면에서의 상태에 대한 평가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예를 들면, 센서부(414)는 장치(400)의 온/오프 상태,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 등 장치(400)의 부품의 상대적 위치 결정을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센서부(414)는 장치(400) 또는 장치(400)의 한개 부품의 위치 변경, 사용자와 장치(400) 간의 접촉 여부, 장치(400)의 방위 또는 가속/감속 및 장치(400)의 온도 변화도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414)는 근접 센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그 어떤 물리적 접촉이 없는 상태에서 부근 물체의 존재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센서부(414)는 영상 적용을 위한 CMOS 또는 CCD 이미지센서 등 광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센서부(414)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416)는 장치(400)와 기타 기기 간의 원활한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위한 것으로, 장치(400)는 WiFi, 2G, 3G, 또는 이들의 조합 등의 통신규격에 기반한 무선 네트워크에 연결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통신부(4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으로부터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416)는 단거리 통신을 활성화하기 위한 근거리 무선 통신(NFC)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RFID 기술, IrDA 기술, 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 및 기타 기술에 기반하여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장치(4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응용 주문형 집적회로 (ASIC), DSP(Digital Signal Processor), DSPD(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 PLD(Programmable Logic Device), FPGA(Field-Programmable Gate Array),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상기 조작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고 있는 바,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404)를 포함하며, 상기 명령은 장치(400)의 프로세서(420)에 의해 수행되어 상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ROM, RAM, CD-ROM, 자기테이프, 플로피디스크 및 광데이터 저장장치 등일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있어서, 본 발명은 비휘발성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바, 상기 기록매체 중의 명령이 이동 단말기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이동 단말기는 상기 조작 처리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당업자는 명세서에 대한 이해 및 명세서에 기재된 발명에 대한 실천을 통하여 본 발명의 기타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생각해낼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대한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성적인 원리에 따른 것이며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본 기술분야의 공지의 지식 또는 통상적인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의 진정한 범위와 취지는 하기의 특허청구의 범위를 통하여 보여 준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으로 도시한 특정된 구성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상황하에서 각종 수정과 변경을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되는 특허청구의 범위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Claims (13)

  1.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는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와,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 전에,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단계와,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방법.
  7.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하도록 구성되는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그래픽 표현 표시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위치 획득 모듈과,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확정 모듈과,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가동 모듈을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이 상기 응답 영역까지 슬라이딩 하는 기간인 슬라이딩 기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기간 획득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기 설정 기간보다 작은지 여부를 판단하도록 구성되는 판단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 기간보다 작을 경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목표 기능을 확정하는 것을 수행하도록 구성되는 목표 기능 확정 모듈과,
    상기 슬라이딩 기간이 상기 기 설정 기간보다 작지 않을 경우, 상기 슬라이딩 조작에 응답하지 않도록 구성되는 처리 모듈을 더 포함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기능 확정 모듈은,
    상기 종점 위치가 제1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캡쳐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상기 종점 위치가 제2 응답 구간에 위치할 경우, 상기 목표 기능을 화면 잠금 기능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의 중심과 상기 응답 영역의 중심은 일치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은 원형이고 상기 응답 영역은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을 에워싼 고리형인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상기 응답 영역 사이는 기 설정된 거리만큼 이격되어 있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13. 프로세서와,
    상기 프로세서에서 수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는,
    단말기 인터페이스 상에 그래픽 표현을 표시 - 상기 그래픽 표현은 슬라이딩 가능 영역과 응답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응답 영역은 복수의 응답 구간을 포함하며 각각의 응답 구간은 서로 다른 기능에 대응 됨 - 하고,
    상기 슬라이딩 가능 영역에 대한 슬라이딩 조작이 검출되면, 상기 응답 영역에서의 상기 슬라이딩 조작의 종점 위치를 획득하며,
    상기 종점 위치에 따라 상기 종점 위치가 위치한 응답 구간에 대응되는 기능인 목표 기능을 확정하고,
    상기 목표 기능을 가동하도록 구성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조작 처리 장치.
KR1020167028800A 2016-04-13 2016-08-18 조작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KR2017012609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0228004.4 2016-04-13
CN201610228004.4A CN105912258B (zh) 2016-04-13 2016-04-13 操作处理方法及装置
PCT/CN2016/095807 WO2017177592A1 (zh) 2016-04-13 2016-08-18 操作处理方法及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6098A true KR20170126098A (ko) 2017-11-16

Family

ID=567467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8800A KR20170126098A (ko) 2016-04-13 2016-08-18 조작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170300190A1 (ko)
EP (1) EP3232314A1 (ko)
JP (1) JP6426755B2 (ko)
KR (1) KR20170126098A (ko)
CN (1) CN105912258B (ko)
RU (1) RU2648627C1 (ko)
WO (1) WO201717759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02808A (zh) * 2017-02-21 2017-06-06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悬浮按钮控制方法及装置
CN107491253B (zh) * 2017-09-11 2020-08-11 惠州Tcl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终端操作方法及终端
CN107682538A (zh) * 2017-09-27 2018-02-09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应用界面的显示方法及装置
CN109164951B (zh) * 2018-07-25 2021-06-01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移动终端操作方法及移动终端
CN109542748B (zh) * 2018-11-26 2023-08-01 北京时光荏苒科技有限公司 一种视图浏览次数的确定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CN110333803B (zh) * 2019-04-23 2021-08-13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多媒体对象选择方法及终端设备
CN111813285B (zh) * 2020-06-23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悬浮窗管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CN114030355A (zh) * 2021-11-15 2022-02-11 智己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车辆控制方法、装置、车辆及介质
CN114780012B (zh) * 2022-06-21 2023-06-20 荣耀终端有限公司 电子设备的锁屏壁纸的显示方法和相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66641B2 (en) * 2007-11-20 2014-10-21 Motorola Mobility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keypad of a device
US9383897B2 (en) * 2009-01-29 2016-07-0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piraling radial menus in computer systems
CN102884501A (zh) * 2010-05-31 2013-01-16 日本电气株式会社 使用触摸面板输入的电子设备和用其接收操作的方法
DE102010036906A1 (de) * 2010-08-06 2012-02-09 Tavendo Gmbh Konfigurierbares Pie-Menü
US8468465B2 (en) * 2010-08-09 2013-06-18 Apple Inc. Two-dimensional slider control
CN102467316A (zh) * 2010-11-05 2012-05-23 汉王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实现便携式电子终端设备解锁的方法及装置
CN102043587A (zh) * 2010-12-23 2011-05-04 东莞宇龙通信科技有限公司 触摸屏解锁方法及移动终端
TW201227393A (en) * 2010-12-31 2012-07-01 Acer Inc Method for unlocking screen and executing application program
US9582187B2 (en) * 2011-07-14 2017-02-28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Dynamic context based menus
JP5799628B2 (ja) * 2011-07-15 2015-10-28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30212529A1 (en) * 2012-02-13 2013-08-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interface for touch and swipe navigation
RU2014141283A (ru) * 2012-04-20 2016-05-10 Сони Корпорейшн Устройство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способ обработки информации и программа
EP3022639B1 (en) * 2013-07-16 2018-10-31 Pinterest, Inc. Object based contextual menu controls
JP6153007B2 (ja) * 2013-07-19 2017-06-28 株式会社コナミデジタルエンタテインメント 操作システム、操作制御方法、操作制御プログラム
CN103809847A (zh) * 2014-01-28 2014-05-21 深圳市中兴移动通信有限公司 操作层的切换方法、移动终端和智能终端
JP2015184841A (ja) * 2014-03-21 2015-10-22 株式会社デンソー ジェスチャ入力装置
GB2529703A (en) * 2014-08-29 2016-03-02 Vodafone Ip Licensing Ltd Mobile telecommunications terminal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4808906A (zh) * 2015-05-15 2015-07-29 上海斐讯数据通信技术有限公司 具有触摸显示屏的电子设备及触摸显示屏控制方法
CN105005449A (zh) * 2015-08-25 2015-10-28 南京联创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智能终端的交互操作方法
CN105242847B (zh) * 2015-09-29 2018-11-0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移动终端及其应用的快捷启动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5912258A (zh) 2016-08-31
WO2017177592A1 (zh) 2017-10-19
CN105912258B (zh) 2019-12-13
RU2648627C1 (ru) 2018-03-26
EP3232314A1 (en) 2017-10-18
US20170300190A1 (en) 2017-10-19
JP2018514819A (ja) 2018-06-07
JP6426755B2 (ja)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26098A (ko) 조작 처리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RU2654148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боты одной рукой на полном экране
KR101794463B1 (ko) 정보 디스플레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CN105930147B (zh) 应用功能的启动方法及装置
EP3099040B1 (en) Button operation processing method in single-hand mode, apparatus and electronic device
JP6321296B2 (ja) テキスト入力方法、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101840145B1 (ko) 이동 단말기의 제어 방법 및 이동 단말기
JP6997792B2 (ja) メッセージ読取方法及び装置
US11416112B2 (en) Method and device for displaying an application interface
WO2016112699A1 (zh) 切换显示模式的方法及装置
KR101748386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5487805B (zh) 对象操作方法及装置
KR101763270B1 (ko) 캐릭터 결정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EP3012725A1 (en) Method,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descriptive icon information
KR102130615B1 (ko)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JP2016527577A (ja) ユーザー指令の実行方法、実行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憶媒体
EP3575917A1 (en) Collecting fingerprints
KR101793442B1 (ko) 이미지 삭제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JP5989942B2 (ja) 背景表示方法、装置、電子機器、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KR20160024836A (ko) 호출 전환 방법, 장치, 단말기, 프로그램 및 기록매체
US2024003671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djusting sizes of split-screen window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