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30615B1 -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30615B1
KR102130615B1 KR1020167024067A KR20167024067A KR102130615B1 KR 102130615 B1 KR102130615 B1 KR 102130615B1 KR 1020167024067 A KR1020167024067 A KR 1020167024067A KR 20167024067 A KR20167024067 A KR 20167024067A KR 102130615 B1 KR102130615 B1 KR 1021306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me
setting
alarm
trigger
trigger ti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40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2097A (ko
Inventor
리 리
웨이구앙 지아
티안 렌
엔싱 호우
Original Assignee
시아오미 아이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아오미 아이엔씨. filed Critical 시아오미 아이엔씨.
Publication of KR201800420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20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306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306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21Combinations with auxiliary equipment, e.g. with clocks or memoranda pad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6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acting at a number of different time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13/00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 G04G13/02Producing acoustic time signals at preselected times, e.g. alarm clocks
    • G04G13/021Details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21/00Input or output devices integrated in time-piec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5/00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 G05B15/02Systems controlled by a computer electric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19/00Programme-control systems
    • G05B19/02Programme-control systems electric
    • G05B19/04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 G05B19/042Programme control other than numerical control, i.e. in sequence controllers or logic controllers using digital processors
    • G05B19/0426Programming the control seque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고, 전자 기술분야에 속한다. 상기 방법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단계;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해있는 스마트 홈 앱에서 나올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Description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ALARM SETTING METHOD AND APPARATUS}
본 출원은 출원번호: 201510836957.4, 출원일자: 2015년11월26일인 중국 특허 출원을 기반으로 제출하며,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우선권을 주장하고, 상기 중국 특허 출원의 전부 내용은 본 출원에 도입되어 참조로 한다.
본 발명은 전자 기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사용자가 생활 품질에 대한 중시 정도의 향상과 더불어 홈 디바이스도 점차적으로 보급되고 있다. 현재, 스마트 홈 앱의 스마트 시나리오 모드를 통하여 홈 디바이스의 트리거 시간과 제어 조작에 대해 설정을 진행하여, 대응되는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그러나 홈 디바이스의 트리거 시간은 일반적으로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과 연관되므로, 사용자가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일반적으로 이러한 스마트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알람 시간에 대해서도 설정을 진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가 설정한 스마트 시나리오가“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일 경우, 즉, 해당 스마트 소켓에 연결된 가전 제품은 7:30부터 작동을 시작한다. 만약 해당 스마트 소켓에 연결된 가전 제품이 사용자를 위해 아침밥을 준비하는 경우, 사용자는 이때 알람 시간을 7:40좌우로 설정하여 제때에 기상하여 아침밥을 먹을 수 있도록 한다. 그러나 사용자가 해당 스마트 시나리오와 연관되는 알람 시간을 설정할 경우, 먼저 해당 스마트시나리오가 있는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가고, 다시 알람 앱에서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을 해야 하므로 설정 과정이 비교적 번거롭고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가져다준다. 그러므로 설정 과정이 비교적 간단한 알람 설정 방법을 필요로 하고 있다.
이러한 관련 기술에 존재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제1 측면에 따르면 알람 설정 방법을 제공하는바, 상기 방법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트리거 시간 사이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며 - ;
상기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단계;
지정된 상기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며 - 를 포함하고;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한다.
상기 제1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여러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제1 측면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상기 선택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상기 선택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포함한다.
제1 측면 내지 제1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에서 임의 하나의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1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상기 확인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2 측면에 따르면, 알람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장치는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제1획득 모듈;
상기 제1획득 모듈에서 획득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획득 모듈;
상기 제2획득 모듈에서 획득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방식 중, 상기 설정 모듈은,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는 제1획득 유닛;
상기 제1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1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2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제1설정 유닛은,
상기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설정 서브 유닛;
상기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설정 서브 유닛;
상기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설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3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나타내는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과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설정 모듈은,
다수 개 역사 시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장착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는 제2획득 유닛;
상기 제2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다수 개의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의 제4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5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장치는,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조작을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제1검측 유닛;
상기 제1검측 유닛에서 검측된 선택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상기 선택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제2 측면 내지 제2 측면의 제6 가능한 구현 방식을 결합하여, 상기 제2 측면의 제7 가능한 구현 방식 중, 상기 장치는,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제2검측 유닛;
상기 제2검측 유닛에서 검측된 확인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설정 유닛을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의 제3 측면에 따르면, 알람 설정 장치를 제공하는바, 상기 장치는,
프로세서;
프로세서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공하는 기술 방안은 아래와 같은 유익한 효과를 포함하는바,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단말에서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 후, 단말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해있는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이상 일반적인 묘사와 하기의 세부적인 묘사는 예시적 및 해석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을 제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하여야 한다.
여기의 도면은 명세서에 도입되어 본 명세서의 일부분을 구성하여 본 발명에 부합되는 실시예를 나타내고, 본 명세서와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해석하는데 사용된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한 알람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3(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스마트 홈 앱의 시나리오 리스트의 개략도이다.
도 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새로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c)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트리거 조건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d)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한 새로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e)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제어 조작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f)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또 다른 새로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3(g)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른 한 스마트 홈 앱의 시나리오 리스트의 개략도이다.
도 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제시 정보의 개략도이다.
도 5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의 개략도이다.
도 6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의 개략도이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첫 번째 알람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첫 번째 설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9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제1설정 유닛의 블록도이다.
도 10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두 번째 설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세 번째 설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2(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두 번째 알람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2(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네 번째 설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3(a)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세 번째 알람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13(b)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다섯 번째 설정 모듈의 블록도이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네 번째 알람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여기서 예시적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을 진행할 것이며, 이의 예시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다. 하기의 설명 및 도면에 있어서, 특별한 설명이 있는 것을 제외하고, 다른 도면 중의 동일한 숫자는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을 표시한다. 하기 예시적 실시예 중에서 설명되는 실시방식은 본 발명과 일치하는 모든 실시방식을 대표하는 것이 아니다. 반대로, 이는 단지 특허청구범위에 설명된 본 발명의 일부 측면과 일치한 장치와 방법의 예일 뿐이다.
도 1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단말에 응용되고,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101)에서,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단계(102)에서,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다.
단계(103)에서,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단말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 후,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서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이로써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치한 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한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고,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는 단계;
설정 속성과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설정 속성과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단계;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을 획득하고,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고;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는,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해당 방법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선택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해당 방법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모든 선택 가능한 기술방안은 임의로 결합하는 형식을 통하여 본 발명의 선택적인 실시예를 형성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서는 일일이 묘사하지 않는다.
도 2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해당 방법은 아래와 같은 단계를 포함한다.
단계(201)에서, 단말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예를 들면, 트리거 시간이 “7:30”이고, 목표 조작이 “스마트 소켓 220V로 오픈한다”일 경우,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이다.
더 나아가, 단말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기 전에, 스마트 홈 앱에 기반하여 목표 디바이스 관련 명령을 수신할 수 있는데, 해당 목표 디바이스 관련 명령은 트리거 시간과 목표 조작을 포함하고, 단말은 해당 트리거 시간과 해당 목표 조작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할 수 있다.
설명이 필요한 것은, 스마트 홈 앱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한 앱이고, 해당 스마트 홈 앱은 단말이 설치한 제3자 앱이고, 해당 스마트 홈 앱은 홈 디바이스를 제어 하는데 응용된다.
또한, 상기 목표 디바이스 관련 명령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데 응용되고, 상기 목표 디바이스 관련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다. 해당 사용자는 지정된 조작을 통해 트리거할 수 있는데, 상기 지정된 조작은 클릭 조작, 더블 클릭 조작, 음성 조작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에서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실제 응용 중에서,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일 경우, 단말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과정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도 3(a)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단말에 대응되는 사용자가 스마트 홈 앱의 시나리오 리스트에서 “시나리오 생성”을 클릭할 경우, 해당 단말은 도 3(b)에서 나타낸 스마트 시나리오 생성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사용자가 “단계1: 트리거 조건을 설정”을 클릭할 경우, 해당 단말은 도 3(c)에서 나타낸 트리거 조건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고, 사용자가 “트리거 시간을 설정”을 클릭할 경우, 트리거 시간을 7:30으로 설정한 후, 도 3(d)에서 나타낸 스마트 시나리오를 새로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로 리턴하고, “단계2: 제어 조작을 추가”를 클릭한 후, 도 3(e)에서 나타낸 제어 조작 인터페이스에 들어가 사용자가 스마트 소켓 리스트 중의 “220V로 오픈”을 클릭한 후, 도 3(f)에서 나타낸 스마트 시나리오를 새로 생성하는 인터페이스로 리턴한 후, 사용자가 “시나리오 저장”을 클릭하고, 도 3(g)에서 나타낸 스마트 홈 앱의 시나리오 리스트로 리턴하여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 대한 설정을 완료한다. 설정 결과는 “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이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은 목표 디바이스 관련 명령에 포함한 트리거 시간과 목표 조작에 기반하여 대응되는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하는 방법은 관련 기술을 참고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대해 상세하게 묘사하지 않는다.
또 설명해야 할 것은,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는, 해당 단말이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할 경우, 해당 단말은 이미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선택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은 매 하나의 스마트 시나리오를 생성할 경우,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를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로 선택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여기서, 해당 단말은 이미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선택할 경우, 이미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에 대한 선택 명령을 검측하고, 해당 선택 명령이 지시하는 스마트 시나리오를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로 확정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당 단말은 이미 생성한 시나리오 중에서 랜덤으로 하나를 선택하거나, 또는 일정한 선택 전략에 근거하여 하나를 선택하는 동시에 선택한 스마트 시나리오를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로 확정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마찬가지로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선택 명령은 이미 생성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선택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선택 명령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해당 사용자는 지정된 조작을 통해 트리거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계(202)에서,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다.
예를 들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일 경우,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 ”7:30”을 획득할 수 있다.
알람 시간이 일반적으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의 트리거 시간과 관련되기 때문에,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와 관련되는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하기 위하여,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의 트리거 시간을 획득할 수 있어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다.
더 나아가,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고, 알람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며, 해당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알람 설정 제시 정보는 사용자의 알람 시간 설정 여부를 제시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해당 알람 설정 제시 정보는 도 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고, 실제 응용 중에서, 해당 알람 설정 제시 정보는 기타 형식이 될 수도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확인 조작은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고, 해당 확인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해당 확인 조작은 클릭 조작, 더블 클릭 조작, 음성 조작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단말이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사용자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알람 시간에 대하여서도 설정하는 경우를 만족하기 위한 것인데, 실제 응용 중에서, 사용자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필요가 없을 수도 있기에, 단말이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단하고도 직관적으로 알람 시간 설정 여부를 선택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알람 설정에 대한 부동한 요구를 더 만족시킬수 있으며, 사용자 경험을 제고하였다.
단말이 알람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할 경우, 단말은 사용자가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정하고, 이때 단말은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있는 것을 확인하여, 사용자가 알람 시간을 설정할 필요가 없는 경우에 단말이 맹목적으로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였으며, 알람 설정의 정확성를 향상시켰다.
더 나아가, 단말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도 있고, 해당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며, 선택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은 사용자가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트리거 시간을 선택하도록 지시한다. 예를 들면, 해당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은 도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고, 실제 응용 중에서, 해당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은 기타 형식일 수도 있는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선택 조작은 트리거 시간 중에서 알람 시간 설정에 사용되는 트리거 시간을 선택하며, 해당 선택 조작은 사용자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해당 선택 조작은 클릭 조작, 더블 클릭 조작, 음성 조작 등이 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단말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것은,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것이고, 실제 응용 중에서는,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는데, 사용자가 설정한 알람 시간은 오직 해당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시간 중의 일부 트리거 시간과만 관련될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단말은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어, 사용자가 간단하고 직관적으로 해당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시간 중에서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데 사용되는 트리거 시간을 선택하여 사용자 경험을 향상한다.
단말이 해당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할 경우, 단말은 해당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는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어, 해당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할 수 있으므로, 단말이 맹목적으로 획득한 모든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였고, 알람 설정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해당 트리거 시간의 수량도 검측할 수 있으며, 상기 트리거 시간이 단지 1개일 경우, 단말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지 않고 직접적으로 해당 1개의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고, 해당 트리거 시간이 다수 개일 경우, 단말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다수 개의 트리거 시간 중에서 알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시간을 선택할 수 있다. 당연한 것은, 단말은 해당 트리거 시간의 개수에 대해 검측을 진행하지 않아도 되는데, 즉, 해당 트리거 시간이 1개이든 또는 다수 개이든 모두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여, 사용자가 해당 적어도 하나의 트리거 시간 중에서 알람 시간을 설정하기 위한 트리거 시간을 선택할 수 있게 하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으로 한정하지 않는다.
또 설명할 것은, 단말은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고, 알람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할 수 있으며, 해당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며, 그 후, 다시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고, 해당 선택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며, 해당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또는, 해당 단말은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고,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며,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며, 그 후, 다시 알람 설정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알람 설정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고,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며,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당연한 것은, 해당 단말이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알람 설정 제시 정보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에 대해 연관 디스플레이를 하지 않아도 되고, 즉, 알람 설정 제시 정보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 중의 하나를 독립적으로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단계(203)에서, 단말은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단말이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먼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한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가야 하고, 다시 알람 앱에서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하여야 하는데, 해당 설정 과정은 비교적 번거롭다. 해당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고,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자는 해당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가지 않은 경우에서도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수 있다.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가지 않는 전제하에, 해당 단말이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아래와 같은 3가지 방식이 있을 수 있다.
첫 번째 방식: 단말이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고, 해당 설정 속성은 설정한 알람 시간과 해당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설정 속성과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단말은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에 기반하여, 해당 알람 시간이 해당 트리거 시간 이전 아니면 이후 아니면 동시에 설정되었는지를 확정할 수 있어, 나아가 해당 설정 속성과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기에 단지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맹목적으로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을 방지하고, 알람 시간을 설정할 경우의 영활성과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설명할 것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는 해당 스마트 홈 앱과 알람 앱 사이의 인터페이스이고, 해당 단말은 해당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스마트 홈 앱에서 알람 앱 중의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을 할 수 있어, 해당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으므로 알람 시간의 설정을 간소화하였고, 알람 설정 효율을 제고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이 부동하기 때문에, 해당 단말이 설정한 알람 시간도 다를 수 있다. 그러므로 해당 단말이 해당 설정 속성과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조작은 아래와 같을 수 있다. 해당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트리거 시간 전이고 해당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고; 해당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트리거 시간 후이고 해당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며; 해당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단말이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확정한 후, 부동한 설정 속성에 기반하여 부동한 알람 시간을 직접 확정할 수 있어, 사용자가 알람 시간에 대해 수동 설정을 할 필요가 없게 되어, 사용자의 사용을 편리하게 하였고,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예를 들면,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이고, 해당 트리거 시간이 7:30이며, 제1지정기간이 20분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7:10으로 설정할 수 있고; 해당 설치 속성이 제2속성이고, 제2지정기간이 5분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7:35로 설정할 수 있으며; 해당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해당 단말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7:30으로 설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제1속성은 해당 알람 시간이 해당 트리거 시간 전에 트리거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고, 해당 제2속성은 해당 알람 시간이 해당 트리거 시간 후에 트리거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되며, 제3속성은 해당 알람 시간이 해당 트리거 시간과 동시에 트리거되도록 지시하는데 사용된다.
예를 들면, 해당 알람 시간이 사용자 기상 시간이고,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8:00에 에어컨을 끈다”일 경우, 8:00에 에어컨이 꺼지고, 사용자는 에어컨이 꺼지기 전에 기상하여 에어컨이 꺼질 때 제때에 집을 나서서 출근할 수 있게 된다. 즉, 해당 알람 시간은 해당 트리거 시간 전에 트리거될 수 있으므로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수 있고;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7:30에 스마트 소켓을 오픈한다”일 경우, 스마트 소켓에 연결한 가전 제품이 7:30에 작동되고, 사용자에게 아침밥을 준비하여 주며, 아침밥을 준비하는데 일정한 시간이 걸리므로 사용자는 가전 제품이 작동된 후에 기상할 수 있으며, 즉, 해당 알람 시간은 해당 트리거 시간 후에 트리거될 수 있으므로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은 제2속성일 수 있으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7:40에 스마트 전구를 켠다”일 경우, 스마트 전구가 7:40에 켜지고 사용자는 동시에 기상할 수 있으며, 즉, 해당 알람 시간은 해당 트리거 시간과 동시에 트리거될 수 있으므로, 해당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은 제3속성일 수 있다.
또한, 제1지정기간은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지정기간은 5분, 10분, 20분 등이 될 수 있고,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그리고, 제2지정 기간도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지정기간은 5분, 10분, 20분 등이 될 수 있고,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하지 않는다.
두 번째 방식: 단말은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해당 스마트 홈 앱 중에서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 하고,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한다.
단말이 해당 트리거 시간을 획득한 후, 해당 단말은 알람 앱의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호출할 수 있고, 해당 스마트 홈 앱에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한 후,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여, 사용자가 직접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하게 함으로써 해당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으며, 사용자의 수요에 기반하여 정확하게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수 있어, 알람 시간의 설정 조작을 간소화하였고, 알람 설정의 정확성을 향상시켰다.
설명해야 할 것은,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는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고, 예를 들면,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는 도 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을 수 있으며, 실제 응용에서,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는 기타 형식일 수 있는 것도 당연하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구체적인 한정을 진행하지 않는다.
설명해야 할 것은, 해당 단말이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이 사용자가 수동 설정한 시간이므로, 설정된 알람 시간과 해당 트리거 시간이 비교적 근접할 경우, 사용자가 신속하게 알람 시간을 설정하게 하기 위하여 해당 단말이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해당 스마트 홈 앱중에서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할 경우, 해당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해당 트리거 시간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데 참고로 할 수 있다.
세 번째 방식: 단말이 다수 개 역사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고,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한다.
단말이 다수 개 역사 시간을 획득한 후, 단말은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직접 알람 시간을 확정할 수 있어, 알람 설정의 정확성을 제고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였고,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여기서,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할 경우,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고, 또는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에서 트리거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역사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또는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과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하고, 나아가 해당 목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한다.
여기서,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단말은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의 평균치와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고, 또는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의 임의 시간과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이 7:00, 7:10, 7:30, 8:00이고, 트리거 시간이 7:03, 12:00, 18:00이며,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의 평균치와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의 평균치는 7:25이므로, 단말은 트리거 시간 중에서 7:25와 가장 근접한 7:03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고,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에서 임의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단말은 트리거 시간 중 역사 시간 중의 7:00와 가장 근접한 7:03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며,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 트리거 시간과 가장 근접한 역사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단말은 해당 역사 시간 중에서 트리거 시간 7:03과 가장 근접하는 7:00를 알람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이 해당 다수 개의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단말은 해당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의 평균치와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고, 또는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의 임의의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이 7:00, 7:10, 7:30, 8:00이고, 트리거 시간이 7:03, 12:00, 18:00이며,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의 평균치와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의 평균치가 7:25이므로, 단말은 트리거 시간 중에서 7:25와 가장 근접하는 7:03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으며, 해당 단말이 해당 다수 개 역사 시간 중의 임의 시간과 가장 근접한 트리거 시간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경우, 단말은 트리거 시간 중에서 역사 시간 중의 7:00과 가장 근접하는 7:03을 목표 트리거 시간으로 확정할 수 있다.
설명해야 할 것은, 단말이 해당 목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과정은 단계(203)에서 첫 번째 방식의 설정 과정과 동일하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해당 단말이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기상 시간을 검측하는 과정은 관련 기술을 참고할 수 있으며, 본 발명 실시예는 이에 대해 상세하게 묘사하지 않는다.
본 발명 실시예 중에서, 단말이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 후,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단말이 대응되는 사용자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처한 스마튼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도 7은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해당 장치는 제1획득 모듈(701), 제2획득 모듈(702), 설정 모듈(703)을 포함한다.
제1획득 모듈(701)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킨다.
제2획득 모듈(702)은 제1획득 모듈(701)에서 획득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데 사용된다.
설정 모듈(703)은 제2획득 모듈(702)에서 획득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 중에서, 도 8을 참고하면, 해당 설정 모듈(703)은 제1획득 유닛(7031), 제1설정 유닛(7032)을 포함한다.
제1획득 유닛(7031)은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며;
제1설정 유닛(7032)은 제1획득 유닛(7031)에서 획득한 설정 속성과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 중에서, 도 9를 참조하면, 해당 제1설정 유닛(7032)은 제1설정 서브 유닛(70321), 제2설정 서브 유닛(70322), 제3설정 서브 유닛(70323)을 포함한다.
제1설정 서브 유닛(70321)은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2설정 서브 유닛(70322)은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데 사용된다.
제3설정 서브 유닛(70323)은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도 10을 참고하면, 해당 설정 모듈(703)은 디스플레이 유닛(7033), 제2설정 유닛(7034)을 포함한다.
디스플레이 유닛(7033)은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제2설정 유닛(7034)은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7033)에서 디스플레이한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 중에서, 도 11을 참고하면, 해당 설정 모듈(703)은 제2획득 유닛(7035)과 확정 유닛(7036)을 포함한다.
제2획득 유닛(7035)은 다수 개 역사 시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스마트 장착용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한다.
확정 유닛(7036)은 제2획득 유닛(7035)에서 획득한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해당 확정 유닛(7036)은 확정 서브 유닛을 포함한다.
확정 서브 유닛은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실시예 중에서, 도 12(a)를 참조하면, 해당 장치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704)을 더 포함한다.
제1디스플레이 모듈(704)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도 12(b)를 참조하면, 해당 설정 모듈(703)은 제1검측 유닛(7037)과 제3설정 유닛(7038)을 포함한다.
제1검측 유닛(7037)은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한다.
제3설정 유닛(7038)은 검측 유닛(7037)에서 검측한 선택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 다른 한 실시예 중에서, 도 13(a)를 참조하면, 해당 장치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705)을 더 포함한다.
제2디스플레이 모듈(705)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된다.
도 13(b)를 참조하면, 해당 설정 모듈(703)은 제2검측 유닛(7039)과 제4설정 유닛(7040)을 포함한다.
제2검측 유닛(7039)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는데 사용된다.
제4설정 유닛(7040)은 제2검측 유닛(7039)에서 검측한 확인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 중에서, 단말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 후,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단말이 대응되는 사용자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위치한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을 진행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상기 실시예 중의 장치에 관해, 여기서 각 모듈이 조작을 수행하는 구체적인 방식은 이미 관련되는 해당 방법의 실시예 중에서 상세하게 묘사하였기에, 여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하지 않는다.
도 14는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라 나타낸 알람 설정에 사용되는 장치(1400)의 블록도이다. 예를 들면, 장치(1400)는 모바일 폰, 컴퓨터, 디지털 라디오 단말, 메시지 송수신 디바이스, 게임 콘솔, 테블릿 디바이스, 의료 디바이스, 헬스 디바이스, 개인 휴대 정보 단말기(PDA)등이 될 수 있다.
도 14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장치(1400)는 하기 적어도 하나의 어셈블리를 포함할 수 있는바, 즉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 메모리(1404), 전원 어셈블리(1406),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 오디오 어셈블리(1410), 입력/출력(I/O) 인터페이스(1412), 센서 어셈블리(1414) 및 통신 어셈블리(1416)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는 통상적으로 장치(1400)의 전반적인 조작을 제어하는 바,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전화 콜, 데이터 통신, 카메라 조작 및 기록 조작과 관련된 조작 등이다.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에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420)가 포함되어 명령을 실행하여 상기 방법의 전부 또는 일부 단계를 완성한다. 그리고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에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이 포함되어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과 기타 어셈블리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에는 멀티미디어 모듈이 포함되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와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 사이의 상호작용을 도모할 수 있다.
메모리(1404)는 여러 가지 유형의 데이터를 저장하여 장치(1400)의 조작을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데이터의 예시로는 장치(1400) 상에서 조작하는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또는 방법의 명령, 연락자 데이터, 전화번호부 데이터, 메시지, 이미지, 동영상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메모리(1404)는 임의의 유형의 휘발성 또는 비휘발성 기억장치 또는 이들의 조합을 통하여 구현할 수 있는 바, 예를 들면, 정적램(SRAM), 이이프롬(EEPROM), 이프롬(EPROM), 프롬(PROM), 롬(ROM), 자기메모리, 플래시메모리, 디스크 또는 CD이다.
전원 어셈블리(1406)는 장치(1400)의 각 어셈블리를 위하여 전력을 제공한다. 전원 어셈블리(1406)에는 전원 관리 시스템, 적어도 하나의 전원 및 장치(1400)의 전력 생성, 관리와 분배에 관련된 기타 어셈블리가 포함될 수 있다.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에는 상기 장치(1400)와 사용자 사이의 하나의 출력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스크린이 포함된다. 일부 실시예에 있어서, 스크린에는 액정디스플레이(LCD)와 터치패널(TP)이 포함될 수 있다. 만일 스크린에 터치패널이 포함된다면, 스크린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되어 사용자로부터의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터치패널에는 적어도 하나의 터치 센서가 포함되어 터치, 슬라이딩과 터치패널 상의 제스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터치 센서는 터치와 슬라이딩 동작의 변계를 감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또한 상기 터치 또는 슬라이딩 조작과 관련되는 지속 시간과 압력을 측정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멀티미디어 어셈블리(1408)에는 하나의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가 포함된다. 장치(1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면 촬영 모드 또는 동영상 모드인 경우, 전방 카메라 및/또는 후방 카메라는 외부의 멀티미디어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각 전방 카메라와 후방 카메라는 고정된 광학 렌즈 시스템이거나 또는 초점 거리 및 광학적 주밍 능력을 구비할 수 있다.
오디오 어셈블리(141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 및/또는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면, 오디오 어셈블리(1410)에는 하나의 마이크(MIC)가 포함되고, 장치(1400)가 조작 모드, 예를 들면 호출 모드, 기록 모드 및 음성 인식 모드에 처할 때, 마이크는 외부 오디오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된다. 수신된 오디오 신호는 나아가 메모리(1404)에 저장되거나 또는 통신 어셈블리(1416)를 통하여 송신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오디오 어셈블리(1410)에는 또한 하나의 스피커가 포함되어 오디오 신호를 출력시킬 수 있다.
I/O 인터페이스(1412)는 프로세싱 어셈블리(1402)와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 사이를 위하여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며, 상기 주변 인터페이스 모듈은 키보드, 클릭 휠, 버튼 등일 수 있다. 이러한 버튼에는 홈 버튼, 음량 조절 버튼, 시작 버튼 및 잠금 버튼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센서 어셈블리(1414)에는 적어도 하나의 센서가 포함되어 장치(1400)를 위하여 각 측면의 상태 평가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 어셈블리(1414)는 장치(1400)의 열기/닫기 상태, 어셈블리의 상대적인 포지셔닝을 검측할 수 있는바, 예를 들면 상기 어셈블리는 장치(1400)의 디스플레이 및 키패드일 수 있으며, 센서 어셈블리(1414)는 또한 장치(1400) 또는 장치(1400)의 한 어셈블리의 위치 변화, 사용자와 장치(1400) 접촉 여부, 장치(1400) 위치 또는 가속/감속과 장치(1400)의 온도 변화를 검측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14)에는 접근 센서를 포함하여, 아무런 물리적 접촉이 없을 때 근처 물체의 존재를 검측하게 할 수 있다. 센서 어셈블리(1414)에는 또한 광 센서, 예를 들면 CMOS 또는 CCD 이미지 센서가 포함되어, 이미징 어플리케이션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센서 어셈블리(1414)에는 또한 가속 센서, 자이로스코프 센서, 자기 센서, 압력 센서 또는 온도 센서가 포함될 수 있다.
통신 어셈블리(1416)는 장치(1400)와 기타 디바이스 사이의 유선 또는 무선 방식의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장치(1400)는 통신 표준을 기반으로 하는 무선 네트워크, 예를 들면 WiFi, 2G 또는 3G, 또는 이들의 조합에 접속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 어셈블리(1416)는 방송 채널을 통하여 외부 방송 관리 시스템의 방송 신호 또는 방송 관련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통신 어셈블리(1416)에는 또한 근거리 통신(NFC) 모듈을 포함하여 근거리 통신을 도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NFC 모듈은 전파 식별(RFID) 기술, 국제 적외선 데이터 통신협회(IrDA) 기술, 초광대역(UWB) 기술, 블루투스(BT) 기술과 기타 기술을 기반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1400)는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 응용주문형 집적회로(ASIC),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디지털 신호 처리 장치(DSPD), 프로그램 가능 논리 소자(PLD), 필드 프로그램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컨트롤러, 마이크로 컨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또는 기타 전자 소자에 의하여 구현되어 상기 방법을 실행할 수 있다.
예시적 실시예에서, 명령을 포함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예를 들면 명령을 포함하는 메모리(1404)를 제공하는바, 상기 명령은 장치(1400)의 프로세서(1420)에 의하여 실행되어 상기 방법을 완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는 ROM, 램(RAM), CD-ROM, 테이프, 자기 디스크 및 광 데이터 기억 장치 등일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메모리 매체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 매체 중의 명령이 이동단말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경우, 이동단말은 알람 설정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하는 바, 상기 방법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는 단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고,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는데 사용되는 단계;
설정 속성과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설정 속성과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 후이고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단계;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 중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을 획득하고,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는 단계;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는,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해당 방법은,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선택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 중에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해당 방법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 실시예 중에서, 단말은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그 후, 단말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고, 해당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여, 단말이 대응되는 사용자가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설정한 후 해당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가 위치한 스마트 홈 앱에서 나갈 필요가 없이 알람 시간에 대해 설정을 진행할 수 있어, 알람 설정 과정을 간소화하였고, 사용자의 사용을 간편하게 하였으며, 알람 설정 효율을 향상시켰다.
해당분야 당업자는 명세서 및 여기에 공개된 내용을 숙지한 후 쉽게 본 발명의 기타 실시방안을 발명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출원은 본 발명의 임의의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를 포함하고자 하며, 이러한 변형, 용도 또는 적응성 변화는 본 발명의 일반적 원리를 따르고 또한 본 발명에서 공개하지 않은 해당분야의 공지의 상식 또는 관용 기술수단을 포함한다. 명세서와 실시예는 예시적인 목적일 뿐, 본 발명의 범위와 정신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낸다.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서술하고 도면에서 나타낸 정확한 구조에 의하여 제한되지 않고, 해당 범위를 초과하지 않은 기초상에서 각종 수정과 변화를 진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단지 첨부된 첨구범위에 의하여 제한된다.

Claims (17)

  1.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며 - ;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며 - ;
    상기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
    상기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는 단계;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상기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상기 선택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상기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8.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청구항 6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는 단계 후, 상기 방법은,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는 단계;
    상기 확인 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알람 설정 방법.
  9.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획득 모듈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 ;
    상기 제1획득 모듈에서 획득한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획득 모듈;
    상기 제2획득 모듈에서 획득한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설정 모듈을 포함하며,
    상기 설정 모듈은,
    다수 개 역사 시간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2획득 유닛 - 상기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장착용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며 - ;
    상기 제2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알람 시간의 설정 속성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제1획득 유닛 - 상기 설정 속성은 설정된 알람 시간과 상기 트리거 시간의 시간 선후 관계를 지시하며 - ;
    상기 제1획득 유닛에서 획득한 설정 속성과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제1설정 유닛은,
    상기 설정 속성이 제1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1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1설정 서브 유닛;
    상기 설정 속성이 제2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 후이고 상기 트리거 시간과의 차이가 제2지정기간인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 2설정 서브 유닛;
    상기 설정 속성이 제3속성일 경우, 상기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트리거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설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2.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스마트 홈 앱에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디스플레이 유닛;
    지정된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나타내는 알람 설정 인터페이스에서 검측된 시간을 알람 시간으로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2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3. 삭제
  14.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확정 유닛은,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과 가장 근접하는 트리거 시간을 상기 알람 시간으로 확정하도록 구성되는 확정 서브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트리거 시간을 지시하는 시간 옵션을 나타내는 제1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시간 옵션에 대한 선택 조작을 검측하는 제1검측 유닛;
    상기 제1검측 유닛에서 검측된 선택 조작을 검측한데 응답하여, 상기 선택 조작이 지시하는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3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6. 청구항 9 내지 청구항 12,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알람 설정 제시 정보를 나타내도록 구성되는 제2디스플레이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설정 모듈은,
    상기 알람 설정 제시 정보에 대한 확인 조작을 검측하도록 구성되는 제2검측 유닛;
    상기 제2검측 유닛에서 검측된 확인조작의 검측에 응답하여,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는 제4설정 유닛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17. 프로세서;
    프로세서로 실행 가능한 명령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프로세서는,
    홈 디바이스의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를 획득하고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는 트리거 시간에 도달할 경우 목표 조작을 수행하는 것을 가리키며 - ;
    상기 목표 스마트 시나리오에서 상기 트리거 시간을 획득하며;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트리거 시간에 기반하여 알람 시간을 설정하는 것은,
    다수 개의 역사 시간을 획득하는 것 - 상기 역사 시간은 역사 알람 시간 또는 착용형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검측한 역사 기상 시간을 포함하며 - ;
    상기 다수 개 역사 시간에 기반하여 상기 알람 시간을 확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알람 설정 장치.
KR1020167024067A 2015-11-26 2016-05-19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KR1021306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510836957.4A CN105376410B (zh) 2015-11-26 2015-11-26 闹钟设置方法及装置
CN201510836957.4 2015-11-26
PCT/CN2016/082681 WO2017088371A1 (zh) 2015-11-26 2016-05-19 闹钟设置方法及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2097A KR20180042097A (ko) 2018-04-25
KR102130615B1 true KR102130615B1 (ko) 2020-07-07

Family

ID=55378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4067A KR102130615B1 (ko) 2015-11-26 2016-05-19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042328B2 (ko)
EP (1) EP3176982A1 (ko)
JP (1) JP6355748B2 (ko)
KR (1) KR102130615B1 (ko)
CN (1) CN105376410B (ko)
RU (1) RU2644557C1 (ko)
WO (1) WO201708837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5376410B (zh) 2015-11-26 2019-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闹钟设置方法及装置
CN106371326B (zh) * 2016-09-18 2021-01-05 海信集团有限公司 设备工作场景的存储方法及装置
US10490033B1 (en) * 2018-08-17 2019-11-26 Amazon Technologies, Inc. Customized notifications based on device characteristics
EP3698224A1 (en) 2018-12-03 2020-08-26 Google LLC. Efficient control and/or linking of smart devices
CN112286071B (zh) * 2020-11-19 2023-08-29 深圳市欧瑞博科技股份有限公司 智能家居系统的报警方法、装置、控制面板以及存储介质
CN114968424A (zh) * 2021-02-18 2022-08-30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智能家居设备的触发条件设置方法、装置及终端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2226A1 (en) 2004-05-06 2005-11-24 Holloway Marty M Remote control interface ace for remote controlled devices
JP2009265818A (ja) * 2008-04-23 2009-11-12 Denso Corp ドライバ覚醒装置
JP2011135517A (ja) 2009-12-25 2011-07-07 Ntt Docomo Inc 端末装置及びアラーム制御方法
US20110242945A1 (en) 2010-03-01 2011-10-06 Brandon Iglesias Device for Combining an Alarm Clock with a Light Source

Family Cites Families (2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3385A (en) * 1980-08-07 1982-02-23 Toshiba Corp Time limit device
JPH06161965A (ja) * 1992-11-26 1994-06-10 Toshiba Corp データ処理装置及びアラーム音発生方法
JP3108973B2 (ja) * 1993-05-18 2000-11-13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
JPH1078490A (ja) * 1996-09-02 1998-03-24 Tomohiko Kato 目覚まし機能付き室内照明装置
US20070067300A1 (en) * 2005-09-16 2007-03-22 Ollis Jeffrey D Network alarm clock communicating alarm settings over a wireless or other local area network
RU53510U1 (ru) * 2005-10-24 2006-05-10 Сергей Александрович Шестаков Микропроцессорная информационно-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умный дом"
US9318108B2 (en) * 2010-01-18 2016-04-19 Apple Inc. Intelligent automated assistant
US7504930B2 (en) * 2006-12-15 2009-03-17 Joseph William Beyda Alarm clock synchronized with an electric coffeemaker
CN101893996A (zh) * 2010-07-27 2010-11-24 深圳市同洲电子股份有限公司 快速设置时间提醒的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1985337B1 (ko) * 2011-10-26 2019-09-04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기기 운용에 따른 메시지 전송 방법 및 그를 위한 시스템
US8965585B2 (en) * 2012-01-10 2015-02-24 Ecobee Inc. HVAC controller with device scheduling program
KR20150127783A (ko) * 2012-03-20 2015-11-18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알람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102280465B1 (ko) * 2013-06-14 2021-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단말 및 그 단말에서 애플리케이션 동기화 방법
KR101627031B1 (ko) * 2014-02-26 2016-06-02 한국복지대학교 산학협력단 수면정보를 이용한 바이로리듬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US9159217B1 (en) * 2014-04-10 2015-10-13 Twin Harbor Labs, LLC Methods and apparatus notifying a remotely located user of the operating condition of a household appliance
US10417899B2 (en) * 2014-11-12 2019-09-17 Jwin Electronics Corp. Alarm and monitoring system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of
CN104484795B (zh) * 2014-12-12 2018-10-23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信息提示方法及装置
CN104898505A (zh) * 2015-04-29 2015-09-09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智能场景配置方法及装置
CN104836928A (zh) * 2015-05-27 2015-08-12 广东美的暖通设备有限公司 通过移动终端对家电进行联动控制的方法和系统
US10181959B2 (en) * 2015-07-27 2019-01-15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s and systems for mindful home automation
CN105376410B (zh) * 2015-11-26 2019-03-15 小米科技有限责任公司 闹钟设置方法及装置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50262226A1 (en) 2004-05-06 2005-11-24 Holloway Marty M Remote control interface ace for remote controlled devices
JP2009265818A (ja) * 2008-04-23 2009-11-12 Denso Corp ドライバ覚醒装置
JP2011135517A (ja) 2009-12-25 2011-07-07 Ntt Docomo Inc 端末装置及びアラーム制御方法
US20110242945A1 (en) 2010-03-01 2011-10-06 Brandon Iglesias Device for Combining an Alarm Clock with a Light Sour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42328B2 (en) 2018-08-07
CN105376410B (zh) 2019-03-15
US20170153607A1 (en) 2017-06-01
JP6355748B2 (ja) 2018-07-11
RU2644557C1 (ru) 2018-02-13
KR20180042097A (ko) 2018-04-25
CN105376410A (zh) 2016-03-02
JP2018501461A (ja) 2018-01-18
EP3176982A1 (en) 2017-06-07
WO2017088371A1 (zh) 2017-06-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30615B1 (ko) 알람 설정 방법 및 장치
JP6134074B2 (ja) バックグラウンドアプリケーションを制御する方法および装置ならびに端末装置
RU2636137C2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становки рабочего состояния интеллектуального домашнего устройства
EP3136793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wakening electronic device
CN105930147B (zh) 应用功能的启动方法及装置
KR20180050188A (ko) 전자 디바이스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장치 및 단말
WO2017071077A1 (zh) 界面显示方法及装置
KR101748386B1 (ko) 스마트 기기 제어 방법, 장치, 프로그램 및 컴퓨터가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CN105912450B (zh) 应用的状态信息显示方法及装置
CN105912258B (zh) 操作处理方法及装置
JP6134870B2 (ja) 説明情報の表示方法、説明情報の表示装置、電子装置、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CN105094578B (zh) 对桌面图标的位置进行调节的方法及装置
EP3099017A1 (en) A method and a device for controlling a smart home power supply
EP2924552A1 (en) Method and mobile terminal for executing user instructions
EP301596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mpting device connection
US20150288764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smart terminal
CN106155703B (zh) 情绪状态的显示方法及装置
US11507264B2 (en) Method and device for managing information
CN106940653B (zh) 控制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EP3182650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ffic monitoring
CN107273154B (zh) 操作应用程序的方法、装置及终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