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5650A -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 Google Patents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5650A
KR20170125650A KR1020160055760A KR20160055760A KR20170125650A KR 20170125650 A KR20170125650 A KR 20170125650A KR 1020160055760 A KR1020160055760 A KR 1020160055760A KR 20160055760 A KR20160055760 A KR 20160055760A KR 20170125650 A KR20170125650 A KR 201701256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electric window
dielectric
main body
antenna
plasma proces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57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98376B1 (ko
Inventor
조생현
Original Assignee
(주)브이앤아이솔루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이앤아이솔루션 filed Critical (주)브이앤아이솔루션
Priority to KR10201600557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98376B1/ko
Priority to US15/152,301 priority patent/US20170323767A1/en
Publication of KR201701256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56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983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983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01J37/32119Window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the radio frequency energy being inductively coupled to the plasma
    • H01J37/3211Antennas, e.g. particular shapes of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009Arrangements for generation of plasma specially adapted for examination or treatment of objects, e.g. plasma sources
    • H01J37/32082Radio frequency generated discharge
    • H01J37/32174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the RF discharg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44Gas supply means
    • H01J37/32449Gas control, e.g. control of the gas flow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37/00Discharge tubes with provision for introducing objects or material to be exposed to the discharge, e.g. for the purpose of examination or processing thereof
    • H01J37/32Gas-filled discharge tubes
    • H01J37/32431Constructional details of the reactor
    • H01J37/32798Further details of plasma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1J37/3244 - H01J37/32788; special provisions for cleaning or maintenance of the apparatus
    • H01J37/32816Pressure
    • H01J37/32834Exhaus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Drying Of Semiconductors (AREA)
  • Plasma Technology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처리 기판(S)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본체 용기(1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서 피처리 기판(S)이 탑재되는 기판탑재대(2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계(30)와, 상기 본체 용기(10)의 상부창을 구성하는 유전체창(100)과, 상기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상기 유전체창(100)에 대응되어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F 안테나(40)를 구비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창(10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들이 본딩되어 일체화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을 제공함으로써 안테나가 설치되는 영역에서의 유전체 지지구조를 세라믹으로 대체함으로써 지지구조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Dielectric window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본 발명은 기판에 대하여 에칭, 증착 등 기판처리를 수행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액정 표시 장치(LCD), OLED 등의 제조 공정에 있어서 기판에 소정의 처리를 실시하기 위하여, 플라즈마 에칭 장치나 플라즈마 CVD 증착장치 등 각종 플라즈마 처리 장치가 이용된다. 이러한 플라즈마 처리 장치로는 종래에 용량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가 사용되었지만, 최근 고진공도로 고밀도의 플라즈마를 얻을 수 있는 큰 이점을 갖는 유도결합 플라즈마(Inductively Coupled Plasma : ICP) 처리장치가 주목받고 있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는, 피처리 기판을 수용하는 본체 용기의 유전체창의 외측에 RF 안테나를 배치하고, 본체 용기 내에 처리가스를 공급하는 동시에 RF 안테나에 RF 전력을 공급함으로써, 본체 용기 내에 유도결합 플라즈마를 발생시키고, 유도결합 플라즈마에 의해서 피처리 기판에 소정의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것이다.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RF 안테나로는, 소용돌이 형상의 평면 안테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기판의 대형화가 진행되고, 한 변의 길이가 1m를 초과하는 대형 기판의 기판처리를 위하여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대형화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대형기판처리를 위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 또한 대형화되면서 피처리 기판의 평면 상에서의 플라즈마 밀도의 편차가 증가하여 균일한 기판처리가 불가능한 문제점이 있다.
특히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 또한 대형화되면서 유전체창이 복수개로 분할되고 분할된 복수의 유전체창들은 금속 재질의 격자형 지지구조에 의하여 지지됨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종래의 격자형 지지구조는, 안테나에 의하여 유도되는 전력이 금속재질의 지지구조로도 전달되어 Eddy current, 아크 등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유전체창을 평면상에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를 세라믹본딩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금속재질의 지지구조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은 피처리 기판(S)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본체 용기(1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서 피처리 기판(S)이 탑재되는 기판탑재대(2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계(30)와, 상기 본체 용기(10)의 상부창을 구성하는 유전체창(100)과, 상기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상기 유전체창(100)에 대응되어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F 안테나(40)를 구비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창(10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들이 본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일부가 중첩되도록 인접한 유전체부재(110)와 접하는 면에서 돌출부(113) 및 요홈부(114)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세라믹 본딩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유전체창(100)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세라믹재질을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격자구조의 보강부재(120)가 본딩될 수 있다.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기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세라믹 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부에 안테나가 설치되는 유전체창을 평면상에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를 세라믹본딩 등에 의하여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금속재질의 지지구조가 불필요하여 안테나에 의한 유도전계 형성시에 금속재질의 지지구조에 의한 전력손실을 최소화가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분할된 복수의 유전체부재가 인접한 유전체부재와 본딩될 때 서로 접하는 부분에서 단차구조, 돌출부 및 요홈부 결합구조에 의하여 본딩됨으로써 인접한 유전체부재와의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여 구조적 취약성을 해소한 일체화된 유전체창의 형성이 가능하며 본체 용기의 내부를 효과적으로 밀폐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창의 상면 및 저면 중 일면, 바람직하게는 상면에 세라믹 재질의 보강부재를 결합시킴으로써 유전체창의 강성의 취약성을 보완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유전체창을 도시하는 평면도,
도 3a는 도 2에서 Ⅲ-Ⅲ 방향 및 Ⅳ-Ⅳ 방향의 단면도,
도 3b는 도 2에서 Ⅴ-Ⅴ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장치에 설치된 RF 안테나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RF 안테나의 등가회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장치에 설치된 RF 안테나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Ⅷ-Ⅷ 방향의 단면도,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 및 도 8f는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를 도시하는 단면도, 도 2는 도 1의 유전체벽 및 지지부재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a는 도 2에서 Ⅲ-Ⅲ 방향 및 Ⅳ-Ⅳ 방향의 단면도, 도 3b는 도 2에서 Ⅴ-Ⅴ방향의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장치에 설치된 RF 안테나의 일예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5는 도 2의 RF 안테나의 등가회로도, 도 6은 도 1에 도시한 장치에 설치된 RF 안테나의 배치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도 7은 도 6에서 Ⅷ-Ⅷ 방향의 단면도, 도 8a, 도 8b, 도 8c, 도 8d, 도 8e 및 도 8f는 도 7의 변형예를 도시하는 단면도들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는 피처리 기판(S)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본체 용기(10)와, 본체 용기(10) 내에서 피처리 기판(S)이 탑재되는 기판탑재대(20)와, 본체 용기(10)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계(30)와, 본체 용기(10)의 상부창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유전체창(100)과,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유전체창(100)에 대응되어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F 안테나(40)를 구비한다.
이 장치는, 예컨대 LCD, OLED의 제조에 있어서 피처리 기판상에 박막 트랜지스터를 형성할 때에, 금속막, ITO막, 산화막 등을 에칭하거나 증착하는 등 기판처리공정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체 용기(10)는 피처리 기판(S)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구성요소이다.
본체 용기(10)는 도전성 재료, 예컨대 내벽면이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되는 사각통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분해 가능하게 조립할 수 있고, 접지선(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접지될 수 있다.
그리고 본체 용기(10)의 측벽에는 기판(S)을 반입출하기 위한 게이트 및 그것을 개폐하는 게이트 밸브(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다.
기판탑재대(20)는 도전성 재료, 예컨대 표면이 양극 산화 처리된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기판탑재대(22)에 탑재된 기판(S)은, 정전척(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기판탑재대(22)에 흡착 유지될 수 있다.
그리고 기판탑재대(22)는 급전봉(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정합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RF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될 수 있다.
이 RF 전원은, 플라즈마 처리 중에, 바이어스용 RF 전원, 예컨대 주파수 6㎒의 RF 전원을 기판탑재대(22)에 인가할 수 있다. 이 바이어스용 RF 전원에 의해, 본체 용기(10) 내에 생성된 플라즈마 중의 이온이 효과적으로 기판(S)으로 인입될 수 있다.
또한, 기판탑재대(22) 내에는 기판(S)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세라믹 히터 등의 가열 수단이나 냉매 유로 등으로 구성되는 온도 제어 기구와, 온도 센서가 설치되어 있다(모두 도시하지 않음).
배기계(30)는 본체 용기(10) 내부를 배기하는 구성요소이다.
배기계(30)는 본체 용기(10)의 바닥부에 진공 펌프 등을 포함하는 배기 장치가 접속되는 배기관을 포함하며, 배기 장치에 의해 본체 용기(10) 내부가 배기되고, 플라즈마 처리 동안 본체 용기(10) 내가 소정의 진공 분위기(예컨대 1.33 ㎩)로 설정되어 유지된다.
RF 안테나(40)는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유전체창(100)에 대응되어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도 4,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구조 및 패턴이 가능하다.
RF 안테나(40)는 절연 부재로 구성되는 스페이서(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유전체창(100)으로부터 일정한 거리 이하의 범위로 이격되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RF 안테나(40)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유전체창(100)에 일부가 매립된 상태로도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RF 안테나(40)에 대한 급전을 위하여 하나 이상의 급전 부재(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되어 있고, 이들 급전 부재에는 정합기(도시하지 않음)를 거쳐 RF 전원(도시하지 않음)이 접속되어 있다.
플라즈마 처리 중, RF 전원으로부터는, 유도 전계 형성용의 예컨대 주파수가 13.56㎒인 RF 전원이 RF 안테나(40)로 공급될 수 있다. 이와 같이 RF 전원이 공급된 RF 안테나(40)에 의해,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전계가 형성되고, 이 유도전계에 의해 처리가스가 플라즈마화된다. 이때의 RF 전원의 출력은 플라즈마를 발생시키는데 충분한 값이 되도록 적절히 설정된다.
RF 안테나(40)는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유전체창(100)에 대응하는 부분에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본체 용기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는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구조 및 패턴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안테나(40)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부에서 급전 부재(47b)와 연결된 후 분기되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타단부에서 병합되어 접지되는 제1안테나플레이트(45) 및 제2안테나플레이트(46)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배선그룹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 배선그룹은 일단부에서 급전 부재(47b)와 연결된 후 분기되고 서로 평행을 이루어 배치되고 타단부에서 병합되어 접지되는 제1안테나플레이트(45) 및 제2안테나플레이트(46)로 이루어진다.
이때 제1안테나플레이트(45) 및 제2안테나플레이트(46)는 그 배치되는 방향을 길이방향으로 하는 판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를 가지는 RF 안테나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RF 안테나(40)는 유전체창(100)의 중심부분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나선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안테나플레이트(45)는 일단부에서 급전 부재(47b)와 연결되는 이너 안테나플레이트(45a)와, 타단부에서 접지되는 아우터 안테나플레이트(45b)와, 이너 안테나플레이트(45a)와 아우터 안테나플레이트(45b) 사이에 설치되는 가변커패시터(45c)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1안테나플레이트(45)가 이너 안테나플레이트(45a)와 아우터 안테나플레이트(45b) 사이에 가변커패시터(45c)를 포함하게 되면 가변커패시터(45c)의 조정을 통하여 RF 안테나(40)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를 균일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된다.
가변커패시터(45c)는 이너 안테나플레이트(45a)와 아우터 안테나플레이트(45b) 사이에 설치되어 커패시터 값을 변화시켜 균일한 플라즈마 형성에 최적화하기 위한 구성이다.
그리고 가변커패시터(45c)는 진공가변콘덴서가 사용됨이 바람직하다.
복수의 배선그룹을 포함하는 RF 안테나(40)는 직사각형, 원형 등 유전체창(100)의 평면형상에 대응하여 3개, 4개 등 적절한 수로 배치되는 등 다양한 구조로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창(100)은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지고, 배선그룹은 4개로 설치되어 직사각형의 각 변의 중앙에서 배선그룹이 접지될 수 있다.
이때 급전 부재(47b)는, 유전체창(100)의 중심에서 각 변의 중앙으로 4개로 분기된 후 4개의 배선그룹 각각과 연결된다.
그리고 제1안테나플레이트(45) 및 제2안테나플레이트(46)는 급전 부재(47b)와 90°각도를 이루는 제1절곡부, 제1절곡부와 90°각도를 이루는 제2절곡부, 제2절곡부와 270°각도를 이루는 제3절곡부, 제3절곡부와 270°각도를 이루는 제4절곡부, 및 제4절곡부와 90°각도를 이루는 제5절곡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절곡부 및 제2절곡부는 대체로 유전체창(100)의 중앙부분에, 제4절곡부 및 제5절곡부는 대체로 유전체창(100)의 가장자리부분에 위치되며, 제3절곡부는 중앙부분 및 가장자리부분을 연결한다.
한편 이와 같은 플라즈마 최적화에 있어서, 복수의 배선그룹 각각은 진공가변콘덴서와 같은 가변커패시터(19a)와 추가로 연결된 후 접지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와 같은 플라즈마 최적화에 있어서, 복수의 배선그룹은 진공가변콘덴서와 같은 가변커패시터(도시하지 않음)와 추가로 연결된 후 각각 급전 부재(17b)와 연결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와 같은 플라즈마 최적화에 있어서, 복수의 배선그룹 각각은 제1안테나플레이트(15)의 커패시터 조정시 제2안테나플레이트(16)의 전류도 함께 제어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구조에 의하여 가변커패시터(45c)가 설치된 제1안테나플레이트(45)를 통한 전압제어에 활용하고 가변커패시터(45c)가 없는 제2안테나플레이트(46)에 의하여 전류제어의 조합이 가능하여 보다 효율적인 플라즈마 제어가 가능하다.
한편 본체 용기(10) 내부에 형성되는 플라즈마는 유전체창(100) 상부에 설치된 RF 안테나(40)의 구조 및 패턴에 따라서 좌우된다.
구체적으로 RF 안테나(40)는 도 4 및 도 6에 도시된 패턴 및 구조로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도 6 내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RF 안테나(40)는 폭 및 두께를 가지는 판형구조를 가지며, 폭을 가지는 면의 법선(N)이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수직인 수평안테나부분(41) 및 폭을 가지는 면의 법선(N)이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수평인 수직안테나부분(42)이 조합되어 구성될 수 있다.
수평안테나부분(41)은 RF 안테나(40) 중 폭을 가지는 면의 법선(N)이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평행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안테나부분(41)은 각각 독립된 부재 또는 타 부분과 일체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수직안테나부분(42)은 RF 안테나(40) 중 폭을 가지는 면의 법선(N)이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수평을 이루는 부분으로서 유전체창(100)의 상면과 수직을 이루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안테나부분(42)은 각각 독립된 부재 또는 타 부분과 일체로 결합되는 등 다양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은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의 조합, 즉 직렬, 병렬, 직병렬 등의 조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밀도를 제어하기 위한 조합으로서 실험 등을 통하여 최적의 배치 및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의 조합은 상부창 전체 또는 플라즈마 균일도의 취약부분인 가장자리 부분, 가장자리 중앙 등 일부에 국한되어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의 조합패턴은 도 7 및 도 8a 내지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8a,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이 수평방향으로 간격(Dx)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 사이의 상하 상대높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이 수직안테나부분(42)의 중앙 부근에, 도 8a 및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이 수직안테나부분(42)의 상단 또는 하단 부근에 중앙 정도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의 조합패턴은 도 7, 도 8a,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이 수평방향으로 간격(Dx)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안테나부분(42)은 도 8b, 도 8d, 도 8e 및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하나 이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안테나부분(42)은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의 상측 및 하측 중 적어도 일측에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안테나부분(42)은 도 8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의 상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안테나부분(42)은 도 8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의 하측에 한 쌍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수직안테나부분(42)은 도 8f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안테나부분(41)의 상측 및 하측에 한 쌍씩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 8d, 도 8e 및 도 8f 및 그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도면 상태에서 수직으로 회전된 상태로서의 실시예로도 가능함을 물론이다.
즉, 도 8d, 도 8e 및 도 8f를 기준으로 유전체창(100)의 상면이 도면 기준으로 수직으로 배치되는 형태로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이 배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다시 말하면, 도 8d, 도 8e 및 도 8f에서 수평안테나부분(41) 및 수직안테나부분(42)이 서로 바뀔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다양한 패턴에 의하여 그 하부에서의 유도전계의 변화 및 제어가 가능하여 형성되는 플라즈마 밀도를 적절하게 제어할 수 있다.
유전체창(100)은 본체 용기(10)의 상부창을 구성하며 상부에 설치된 RF 안테나(40)의 RF 전원인가에 의하여 그 하부에 유도전계를 형성하도록 하는 구성요소이다.
유전체창(100)은 하나 이상으로 설치되며 Al2O3 등의 세라믹, 석영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창(10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들이 본딩되어 일체화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전체부재(100)는 서로 본딩되어 일체화된 유전체창(100)을 형성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원판, 다각판 등 분할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평면형상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창(100)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이 바람직한데 이때 유전체부재(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창(100)의 직사각형의 양변 중 적어도 일변 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직사각형 유전체부재(100)가 평면 상태에서 격자구조로 서로 결합될 수 있는데 2개의 유전체부재(100)의 경계선(L1)이 인접한 2개의 유전체부재(100)의 경계선(L2)과 서로 엇갈리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도 2,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일부가 중첩되도록 인접한 유전체부재(110)와 접하는 면에서 단차구조 또는 돌출부(113) 및 요홈부(114)의 구조에 의하여 서로 본딩될 수 있다.
여기서 단차구조 또한 2개의 유전체부재(100)의 경계선(L1)이 도 2, 도 3a,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인접한 2개의 유전체부재(100)의 경계선(L2)에서 서로 다른 방향, 즉 서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유도전계에 의한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세라믹 본딩에 의하여 결합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유전체창(100)은 세라믹재질을 가지며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보강부재(120)가 본딩될 수 있다.
그리고 보강부재(120)는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세라믹 본딩됨이 바람직하다.
보강부재(120)는 Al2O3와 같은 세라믹재질을 가지며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본딩되어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창(100)이 직사각형의 평면형상을 가질 때 보강부재(120)는 격자구조로서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본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유전체창(100)의 적어도 일부에 가스분사구조를 설치하여 피처리 기판의 평면 상의 처리가스 분사제어가 가능하여 균일한 기판처리가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급구조는 처리가스를 본체 용기(10) 내로 확산시키는 확산플레이트(220)를 포함하며, 확산플레이트(220)는 유전체창(100)의 저면 중 적어도 일부에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확산플레이트(220)는 확산된 처리가스를 본체 용기(10) 내로 확산시키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확산플레이트(220)는 유전체창(100)과 동일한 재질을 가지며 유전체창(100)과 일체로 형성되거나 별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확산플레이트(220)는 유전체창(100)과 별도로 형성되는 경우 볼트결합, 세라믹본딩결합 등 다양한 결합이 가능하며, 유도전계 형성의 균일도 등을 위하여 세라믹본딩결합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확산플레이트(220)는 본체 용기(10) 내로 처리가스가 확산될 수 있도록 복수의 분사공들(22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확산플레이트(220)는 유전체창(100)에서의 설치구조에 따라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한편 확산플레이트(220)는 처리가스공급관(300)의 분기관(310)에 연결되어 처리가스를 미리 확산시키기 위한 확산공간이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확산공간의 형성을 위하여 별도의 추가 확산플레이트가 추가로 설치되거나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전체창(100)과 일체로 형성된 확산부가 형성될 수 있다.
확산부는 유전체창(100)과 별도 또는 일체로 형성되며 분기관(310)을 통하여 공급된 처리가스를 확산공을 통하여 확산공간으로 확산시키는 구성요소로서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가스분사구조가 유전체창(100)에 설치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가스분사구조는 유전체창(100) 이외에 본체 용기(10)의 내측벽, 유전체창(100)과 결합되는 별도의 가스분사구조 등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한편 유전체창(100)은 본체 용기(10)의 상단에 결합된 유전체지지부(400)에 의하여 지지될 수 있다.
유전체지지부(400)는 본체 용기(10)의 상단에 결합되며 본체 용기(10)의 내부를 밀폐시키도록 유전체창(100)을 지지하는 구성요소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지지부(400)는 유전체창(100)을 직접 또는 간접으로 지지하기 위하여 단면이 'ㄴ'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유전체지지부(400)는 알루미늄 또는 그 합금과 같은 금속재질을 가질 수 있다.
한편 유전체지지부(400) 및 유전체창(100)이 서로 접하는 면에는 본체 용기(10) 내부의 실링을 위하여 오링(51)이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유전체지지부(400)의 저면 및 유전체창(100)의 저면, 서로 결합된 유전체부재(110)의 저면이 서로 접하는 경계영역에는 플라즈마 이온, 라디칼 등이 침투하여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실드부재(61, 62)가 설치될 수 있다.
실드부재(61, 62)는 유전체지지부(400)의 저면 및 유전체창(100)의 저면이 접하는 경계영역, 서로 결합된 유전체부재(110)의 저면이 서로 접하는 경계영역에는 플라즈마 이온, 라디칼 등이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세라믹 재질 등으로 유전체지지부(400)의 저면 및 유전체창(100)의 저면이 접하는 경계영역, 서로 결합된 유전체부재(110)의 저면이 서로 접하는 경계영역에 설치된다.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유전체지지부(400)의 저면 및 유전체창(100)의 저면이 접하는 경계영역, 서로 결합된 유전체부재(110)의 저면이 서로 접하는 경계영역을 가로질러 유전체지지부(400)의 저면 및 유전체창(100)의 저면에 밀착되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중앙프레임(420)의 내부에는 폴리머, 파티클 등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히터(도시하지 않음)가 설치될 수 있다.
히터는 중앙프레임(420), 인접한 유전체창(100) 등을 가열하여 표면에 폴리머, 파티클 등이 퇴적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S... 기판
10... 본체 용기
40... RF 안테나
100... 유전체창
400... 유전체지지부

Claims (6)

  1. 피처리 기판(S)을 수용하여 플라즈마 처리를 실시하는 본체 용기(1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서 피처리 기판(S)이 탑재되는 기판탑재대(20)와,
    상기 본체 용기(10) 내부를 배기하는 배기계(30)와,
    상기 본체 용기(10)의 상부창을 구성하는 유전체창(100)과,
    상기 본체 용기(10)의 외부에서 상기 유전체창(100)에 대응되어 설치되고, RF 전원이 공급됨으로써 상기 본체 용기(10) 내에 유도 전계를 형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F 안테나(40)를 구비하는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창(100)은
    수평방향으로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들이 본딩되어 일체화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상하방향으로 보았을 때 일부가 중첩되도록 인접한 유전체부재(110)와 접하는 면에서 돌출부(113) 및 요홈부(114)가 형성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로 분할된 유전체부재(110)는 세라믹 본딩에 의하여 결합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창(100)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세라믹재질을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격자구조의 보강부재(120)가 본딩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전체창(100)의 평면형상이 직사각형 형상을 가지며,
    세라믹재질을 가지며 상기 직사각형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격자구조의 보강부재(120)가 본딩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6. 제1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재(120)는 상기 유전체창(100)의 상면 및 저면 중 적어도 일면에 세라믹 본딩된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KR1020160055760A 2016-05-04 2016-05-04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KR1017983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60A KR101798376B1 (ko) 2016-05-04 2016-05-04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US15/152,301 US20170323767A1 (en) 2016-05-04 2016-05-11 Dielectric window supporting structure for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5760A KR101798376B1 (ko) 2016-05-04 2016-05-04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5650A true KR20170125650A (ko) 2017-11-15
KR101798376B1 KR101798376B1 (ko) 2017-12-12

Family

ID=602441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5760A KR101798376B1 (ko) 2016-05-04 2016-05-04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20170323767A1 (ko)
KR (1) KR101798376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09803B2 (en) * 2012-08-13 2014-08-19 Varian Semiconductor Equipment Associates, Inc. Inductively coupled plasma ion source with multiple antennas for wide ion b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98376B1 (ko) 2017-12-12
US20170323767A1 (en) 2017-1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25719B2 (en) Plasma generating apparatus
CN113166942B (zh) 用于等离子体增强化学气相沉积的膜应力控制
CN111430210B (zh) 电感耦合等离子体处理装置
KR101867147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TWI547214B (zh) Antenna unit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device
KR101798373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지지구조
KR101358780B1 (ko) 히터가 설치된 유도 결합 플라즈마 소스를 구비한 플라즈마반응기
TWI568318B (zh) Inductive coupling plasma antenna unit and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device
TWI611455B (zh) 感應耦合電漿處理裝置
JP2023507111A (ja) 高密度プラズマ化学気相堆積チャンバ
US20100104772A1 (en) Electrode and power coupling scheme for uniform process in a large-area pecvd chamber
KR101775751B1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
TWI600048B (zh) Inductively coupled plasma processing device
KR101666933B1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의 안테나
KR101798374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의 지지구조
KR102479923B1 (ko) 고밀도 플라즈마 강화 화학 기상 증착 챔버
KR101114283B1 (ko) 플라즈마 발생장치
KR101798384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rf 안테나 구조
KR101798376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유전체창
KR101695380B1 (ko) 유도 결합 플라즈마 처리 장치
KR101798371B1 (ko) 유도결합 플라즈마 처리장치의 가스공급구조
KR101173643B1 (ko) 다중 플라즈마 발생 영역을 갖는 플라즈마 반응기
KR20100089541A (ko) 플라즈마 화학 기상 증착 장치
KR100683255B1 (ko) 플라즈마 처리 장치 및 배기 장치
KR20230016584A (ko) 기판 처리 장치 및 기판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