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4364A -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Google Patents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24364A KR20170124364A KR1020160054169A KR20160054169A KR20170124364A KR 20170124364 A KR20170124364 A KR 20170124364A KR 1020160054169 A KR1020160054169 A KR 1020160054169A KR 20160054169 A KR20160054169 A KR 20160054169A KR 20170124364 A KR20170124364 A KR 2017012436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movable member
- shaft
- coupled
- link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28—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H01H33/36—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using dynamo-electric motor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22—Power arrangements internal to the switch for operating the driving mechanism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00—Mechanisms for operating contacts
- H01H3/32—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 H01H3/46—Driving mechanisms, i.e. for transmitting driving force to the contacts using rod or lever linkage, e.g. toggle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33/00—High-tension or heavy-current switches with arc-extinguishing or arc-preventing means
- H01H33/02—Details
- H01H33/42—Driving mechanisms
Landscapes
- 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AREA)
Abstract
고장구간 자동개폐기가 개시된다. 개시되는 실시예는, 전원접속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분리 및 접속하여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고장구간 자동계폐기에 있어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과, 복수의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간격유지용 볼트로 구성되는 케이스;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축을 갖는 감속모터;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구동부재; 상기 기어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선회운동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가동부재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후작동되는 제1링크편과, 제1링크편에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전작동되는 작동축이 형성된 제2링크편과, 상기 가동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단자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구동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의 개폐속도에 대응하여 가동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종동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시되는 내용은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폐동작의 정확성을 높일 수 있고, 저 전력으로 구동이 가능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관한 것이다.
산업현장이나 가정의 전원시스템에서는 외부의 물리적 영향 등으로 인한 전기사고가 존재한다.
전기사고로 발생한 고장전류는 접속된 설비물에 전기적 또는 기계적인 손상을 가하게 되므로, 고장이 발생한 선로구간의 전원공급을 신속히 차단시킬 필요가 있다.
고장이 발생한 선로구간의 전원공급을 차단시키기 위하여 통상적으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Automatic Section Switch)가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는 부하설비 및 선로에서 지락, 단락, 과전류 등의 이상상태가 발생하였을 경우 전원측과 부하측을 분리해주는 장치이다.
그러나 종래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는 전원측과 부하측의 연결을 차단하는 개방동작 시에는 트립코일을 사용하는 트립방식이 사용되고 있는데 트립방식은 순간적인 전류소모량이 많아서 퓨즈단선 등을 포함하는 불안정한 동작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자연방전으로 인하여 배터리의 전압이 낮아지면 개방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는 상기 배터리를 충전시키기 위하여 콘덴서 계기용 변압기가 사용되고 있는데, 상기 콘덴서 계기용 변압기에서는 높은 전압에서 사용되기 때문에 사용자의 세심한 주의가 필요할 뿐만 아니라 작업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국내 실용신안등록 제20-0455813호에 "자동 개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개폐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기술은 개폐동작의 불량을 줄일 수 있고, 소규모 전력으로도 효율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자동 개폐유닛 및 이를 이용한 개폐기를 제공하고 있다.
개시되는 내용은 전원접속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분리 및 접속하여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고장구간 자동계폐기에 있어서, 개폐동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저전력으로 효율적인 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전원접속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분리 및 접속하여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고장구간 자동계폐기에 있어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과, 복수의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간격유지용 볼트로 구성되는 케이스;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축을 갖는 감속모터;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구동부재; 상기 기어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선회운동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가동부재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후작동되는 제1링크편과, 제1링크편에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전작동되는 작동축이 형성된 제2링크편과, 상기 가동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단자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구동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의 개폐속도에 대응하여 가동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종동기어 조립체;를 포함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종동기어 조립체는,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판재를 이격되게 배치시켜 이루어진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1소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소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2소기어가 형성된 제3기어;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2소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3소기어가 형성된 제4기어; 상기 제3소기어에 외주연의 치차가 결합되고, 가동부재와 연결되는 제5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5기어가 회전되어 가동부재를 회전 작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5기어의 회전축과 일측이 편심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시 동반 회전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운동하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선회 이동시 인장되고, 승강로드의 원래 상태 복귀시 복귀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실시예에 따르면, 감속모터의 회전속도를 적정하게 감속시켜 가동부재에 대한 개폐동작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비교적 저전력으로도 효율적인 개폐제어가 가능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의 내부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정면도,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를 나타낸 평면도,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를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에서 '기어구동부재'의 작동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 따른 고장구간 자동개폐기는, 전원접속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분리 및 접속하여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고장구간 자동계폐기에 있어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과, 복수의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간격유지용 볼트로 구성되는 케이스(100);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축을 갖는 감속모터(160); 상기 감속모터(160)의 구동축과 상기 가동부재(300)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160)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구동부재(200); 상기 기어구동부재(200)에 연결되어 선회운동되는 가동부재(300); 상기 가동부재(300)에 힌지 결합되어 가동부재(300)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후작동되는 제1링크편(410)과, 제1링크편(410)에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전작동되는 작동축(422)이 형성된 제2링크편(420)과, 상기 가동부재(300)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413)으로 구성되는 단자개폐부재(400);를 포함한다.
상기 기어구동부재(200)는, 상기 가동부재(300)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400)의 개폐속도에 대응하여 가동부재(300)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종동기어 조립체(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케이스(100)는 금속재질로 된 패널 2장을 소정의 이격 간격을 두고 중첩되게 배치하고, 그 사이에는 간격이 유지될 수 있도록 간격유지용 볼트(120)가 다수 결합된다.
케이스(100)의 패널 중 어느 하나의 패널의 내면에 기어구동부재(200)를 수용하는 수용부재(210)가 장착되고, 수용부재(210)의 외측에 감속모터(160)가 결합된다.
상기 수용부재(210)에는 감속모터(160)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작동되며 회전력을 가동부재(300)에 전달하는 종동기어 조립체(2)가 형성된다.
종동기어 조립체(2)는 가동부재(300)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400)의 개폐속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종동기어 조립체(2)에 대해 설명한다.
종동기어 조립체(2)는, 상기 감속모터(160)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21);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판재를 이격되게 배치시켜 이루어진 수용부재(210); 상기 수용부재(210)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기어(21)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1소기어(31)가 형성된 제2기어(22); 상기 수용부재(210)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소기어(31)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2소기어(32)가 형성된 제3기어(23); 상기 수용부재(210)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2소기어(32)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3소기어(33)가 형성된 제4기어(24); 상기 제3소기어(33)에 외주연의 치차가 결합되고, 가동부재(300)와 연결되는 제5기어(2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일 예에 따르면 제1기어, 제2기어, 제3기어, 제4기어 순으로 갈수록 직경이 크게 형성되어 기어비가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기어의 직경이 커짐으로써 단자개폐부재(400)의 개폐속도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5기어(25)가 회전됨으로써 그에 종동되어 가동부재(300)를 회전 작동시키게 된다.
도 2를 기준으로 가동부재(300)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으로 정의한다.
상기 가동부재(3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가동부재(300)는, 상기 제5기어(25)의 회전축(253)과 일측이 편심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는 회전로드(310); 상기 회전로드(310)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로드(310)의 회전시 동반 회전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운동하는 승강로드(320); 상기 승강로드(320)의 선회 이동시 인장되고, 승강로드(320)의 원래 상태 복귀시 복귀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3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회전로드(310)는 직사각형의 금속편체이며, 일단이 제5기어(25)의 회전축(253)에 결합되어 편심회전될 수 있고, 회전로드(310)의 회전반경 내에서 그에 종속되어 승강로드(320)가 360도 회전됨으로써 상승 및 하강 동작이 수반될 수 있다.
도 2를 기준으로 우측 수평의 가상선을 0도로 정한다.
이제 회전로드(310)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시작하면, 270도 방면에서 하사점을 형성하게 되므로 승강로드(320)는 하강된 상태가 된다.
이후 회전로드(310)가 계속 회전되어 180도 방면에 도달하면 승강로드(320)는 최초 0도 위치에서 가장 먼 위치에 도달한 것이되며 스프링(413), 코일스프링(330)은 최대로 늘어난 상태가 된다.
이렇게 승강로드(320)가 180도 방면에 도달하면 후술될 단자개폐부재(400)도 연동되어 일정 각도로 회전되므로 하부회전축(44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하부회전축(445)에는 도시되지 않은 개폐회전축이 결합되어 있고, 개폐회전축에는 부하측단자가 연결되어 있어 전원측단자와 이격 및 접촉 작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한국특허출원 10-2011-51109호에 개시된 바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회전로드(310)가 좀더 회전하여 상향 경사진 상태가 되면 복귀부재(500)의 스토퍼축(510)의 끝단 하부에 닿아 더이상 회전되지 못하고 고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이 상태는 스프링(413)의 인장력이 최대가 되므로 상대적으로 스프링(413)의 당기는 힘도 최대로 작용하고 있게 된다.
만약 사용자가 복귀부재(500)의 레버(512)를 조작하여 스토퍼축(510)이 자전되면, 스프링(413)의 당기는 힘에 의해 회전로드(310)는 단부가 스토퍼축(510)의 절개면(514)을 지나면서 시계방향으로 고속 회전하게 되고, 스프링(413)은 수축되며, 회전로드(310)는 원래 상태로 복귀된다.
상기 가동부재(30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5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복귀부재(500)는, 케이스(100)의 양측 패널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면이 반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절개면(514)이 형성되고, 외면에 레버(512)가 형성된 스토퍼축(510)과, 스토퍼축(510)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6링크편(560) 및 제6링크편(560)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력성을 제공하여 스토퍼축(510)이 회전작동된 후 원래 상태로 복귀토록하는 복귀스프링(413);을 포함한다.
상기 스토퍼축(510)의 하단에 회전로드(310)의 일단이 밀착되어 회전작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스토퍼축(510)의 회전에 의해 회전로드(310)가 절개면(514)을 통과하여 선회작동됨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한 것이다.
한편 상기 종동기어 조립체(2)의 제5기어(25)를 회전시켜 가동부재(300)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동복귀부(600)를 포함한다(도 6 참조).
상기 수동복귀부(600)는 제5기어(25)의 축에 형성된 제4소기어(34)에 치차결합되는 제6기어(660)와, 제6기어(660)를 회전시키는 구동축(680)으로 구성되며, 구동축(680)의 일단에 공구(미도시)를 장착하도록 한 것이다. 여기서 언급되는 공구는 렌치와 같은 공구를 의미한다.
따라서 작업자가 수동복귀부(600)를 이용하여 제5기어(25)를 회전시킴으로써 회전로드(310)가 반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면서 천천히 원래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가동부재(300)의 승강로드(320)와 결합되어 승강로드(320)의 선회작동에 동반되어 회전작동되는 단자개폐부재(400)를 더 포함한다.
상기 단자개폐부재(400)는, 승강로드(320)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공(432)이 일측에 형성된 제3링크편(430); 상기 제3링크편(430)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3링크편(430)에 대해 직각되게 결합되는 제4링크편(440); 상기 제4링크편(440)의 타단에 결합되며 케이스(100)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선단에 사각단부(446)가 형성된 하부회전축(44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부회전축(445)의 사각단부(446)에는 한국특허출원 10-2011-51109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연결암, 연결링크, 개폐회전축 및 이동날개가 순차적으로 결합되고, 이동날개에 부하측단자가 연결된다 .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100 : 케이스 160 : 감속모터
200 : 기어구동부재 300 : 가동부재
400 : 단자개폐부재 2 : 종동기어 조립체
21 : 제1기어 210 : 수용부재
22 : 제2기어 23 : 제3기어
24 : 제4기어 25 : 제5기어
310 : 회전로드 320 : 승강로드
330 : 코일스프링
200 : 기어구동부재 300 : 가동부재
400 : 단자개폐부재 2 : 종동기어 조립체
21 : 제1기어 210 : 수용부재
22 : 제2기어 23 : 제3기어
24 : 제4기어 25 : 제5기어
310 : 회전로드 320 : 승강로드
330 : 코일스프링
Claims (7)
- 전원접속부의 가동접점과 고정접점을 분리 및 접속하여 전원을 차단 및 공급하기 위한 고장구간 자동계폐기에 있어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패널과, 복수의 패널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간격유지용 볼트로 구성되는 케이스;
양방향 회전되는 구동축을 갖는 감속모터;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과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감속모터의 회전을 전달받는 기어구동부재;
상기 기어구동부재에 연결되어 선회운동되는 가동부재;
상기 가동부재에 힌지 결합되어 가동부재의 선회운동을 직선운동으로 변환시켜 전후작동되는 제1링크편과, 제1링크편에 일단이 고정설치되어 수직하게 결합되며 일단에는 회전작동되는 작동축이 형성된 제2링크편과, 상기 가동부재를 원 상태로 복귀시키는 힘을 제공하는 스프링으로 구성된 단자개폐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기어구동부재는
상기 가동부재의 회전축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의 개폐속도에 대응하여 가동부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종동기어 조립체;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 조립체는
상기 감속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제1기어와,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되며 복수의 판재를 이격되게 배치시켜 이루어진 수용부재;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1소기어가 형성된 제2기어,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1소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2소기어가 형성된 제3기어;
상기 수용부재 내에 수용되며, 복수의 판재에 각기 힌지결합되는 회전축이 중앙에 형성되고, 외주연의 치차가 상기 제2소기어와 치차결합되며, 회전축에 제3소기어가 형성된 제4기어;
상기 제3소기어에 외주연의 치차가 결합되고, 가동부재와 연결되는 제5기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5기어가 회전되어 가동부재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는
상기 제5기어의 회전축과 일측이 편심 결합되어 편심 회전되는 회전로드;
상기 회전로드의 타측에 연결되며 상기 회전로드의 회전시 동반 회전되어 상하방향으로 선회운동하는 승강로드;
상기 승강로드의 선회 이동시 인장되고, 승강로드의 원래 상태 복귀시 복귀에 필요한 힘을 제공하는 코일스프링;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의 승강로드와 결합되어 승강로드의 선회작동에 동반되어 회전작동되는 단자개폐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자개폐부재는
승강로드의 일단이 삽입되는 장공이 일측에 형성된 제3링크편;
상기 제3링크편의 타단에 일단이 힌지결합되고 제3링크편에 대해 직각되게 결합되는 제4링크편;
상기 제4링크편의 타단에 결합되며 케이스의 외부로 돌출되고, 돌출되는 선단에 사각단부가 형성된 하부회전축;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기어 조립체의 제5기어를 회전시켜 가동부재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수동복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복귀부는 제5기어의 축에 형성된 제4소기어에 치차결합되는 제6기어와, 제6기어를 회전시키는 구동축으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축의 일단에 공구를 장착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를 원래 상태로 복귀시키는 복귀부재가 포함되고,
상기 복귀부재는
케이스(100)의 양측 패널을 관통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단면이 반달형으로 형성되어 일측에 절개면이 형성되고, 외면에 레버가 형성된 스토퍼축;
스토퍼축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6링크편;
제6링크편에 일단이 연결되어 탄력성을 제공하여 스토퍼축이 회전작동된 후 원래 상태로 복귀토록하는 복귀스프링;을 포함하며,
상기 스토퍼축의 하단에 회전로드의 일단이 밀착되어 회전작동이 정지되도록 하고, 정지된 상태로 유지되도록 하거나 또는 작동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로드가 절개면을 통과하여 선회작동됨으로써 원래 상태로 복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169A KR20170124364A (ko) | 2016-05-02 | 2016-05-02 |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60054169A KR20170124364A (ko) | 2016-05-02 | 2016-05-02 |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24364A true KR20170124364A (ko) | 2017-11-10 |
Family
ID=60386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60054169A KR20170124364A (ko) | 2016-05-02 | 2016-05-02 |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170124364A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966B1 (ko) * | 2018-07-09 | 2019-11-28 | 주식회사 에스피엠 | 직류 모터를 사용한 고압 고전류용 저소비전력형 릴레이 |
-
2016
- 2016-05-02 KR KR1020160054169A patent/KR20170124364A/ko active IP Right Grant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49966B1 (ko) * | 2018-07-09 | 2019-11-28 | 주식회사 에스피엠 | 직류 모터를 사용한 고압 고전류용 저소비전력형 릴레이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3280727B (zh) | 一种电动底盘车 | |
CN201229866Y (zh) | 室内布线开关设备锁定装置 | |
CN104795286A (zh) | 一种断路器 | |
KR101604278B1 (ko) | 스위치기어의 3위치 조작기 | |
CN105244234A (zh) | 一种微型断路器控制器的分合闸动作结构 | |
KR20170124364A (ko) | 송배전선로의 고장구간 자동개폐기 | |
CN204537959U (zh) | 一种具有弹性储能组件的断路器 | |
CN101916680B (zh) | 环网柜机械连锁机构 | |
CN203733727U (zh) | 断路器可合闸状态指示装置 | |
CN104795287A (zh) | 一种具有弹性储能组件的断路器 | |
CN111105940B (zh) | 一种电动弹簧机构及接地开关 | |
CN205028870U (zh) | 一种微型断路器控制器的分合闸动作结构 | |
CN204614743U (zh) | 具有限位装置的跳扣组件 | |
CN205609461U (zh) | 一种断路器的传动装置及断路器 | |
KR100849173B1 (ko) | 누전차단기용 레버 복귀 장치 | |
JP4723900B2 (ja) | 開閉器の電動操作装置 | |
EP3051566A1 (en) | Exchange operating mechanism | |
CN206116323U (zh) | 一种电能表外置断路器及其自动分合闸机构 | |
CN204991625U (zh) | 一种微型断路器控制装置分闸结构 | |
CN102299028B (zh) | 一种断路器过载报警不脱扣装置 | |
CN205028871U (zh) | 微型断路器控制结构及包含该结构的微型断路器控制装置 | |
CN204537960U (zh) | 一种断路器 | |
CN208570501U (zh) | 一种断路器触头的限位结构 | |
CN104332363B (zh) | 一种用于断路器的分合闸操作机构 | |
CN203367179U (zh) | 一种用于断路器的分合闸操作机构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