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892A -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 Google Patents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892A
KR20170123892A KR1020160053149A KR20160053149A KR20170123892A KR 20170123892 A KR20170123892 A KR 20170123892A KR 1020160053149 A KR1020160053149 A KR 1020160053149A KR 20160053149 A KR20160053149 A KR 20160053149A KR 20170123892 A KR20170123892 A KR 20170123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x
document
main device
application
fax docu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31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형주
강형종
윤창욱
정용구
홍정모
Original Assignee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프린팅솔루션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31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892A/ko
Priority to PCT/KR2017/004396 priority patent/WO2017188710A1/ko
Priority to EP17789894.7A priority patent/EP3451646A4/en
Publication of KR20170123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892A/ko
Priority to US16/161,892 priority patent/US201900527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04N1/00214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details of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358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 H04N1/324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intermediate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erminals, e.g. at an exchange
    • H04N1/32406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using picture signal storage, e.g. at transmitter intermediate the transmitter and receiver terminals, e.g. at an exchange in connection with routing or relaying, e.g. using a fax-server or a store-and-forward faci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127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 H04N1/00204Connection or combination of a still picture apparatus with another apparatus, e.g. for storage, processing or transmission of still picture signals or of information associated with a still picture with a digital computer or a digital computer system, e.g. an internet server
    • H04N1/00209Transmitting or receiving image data, e.g. facsimile data, via a computer, e.g. using e-mail, a computer network, the internet, I-fa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35User-machine interface; Control console
    • H04N1/00501Tailoring a user interface [UI] to specific requirements
    • H04N1/00503Customising to a particular machine or model, machine function or appl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04N1/00941Interaction of different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00912Arrangements for controlling a still picture apparatus or component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4N1/00938Software related arrangements, e.g. loading applications
    • H04N1/00949Combining applications, e.g. to create workflo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2Circuits or arrangements for control or supervision between transmitter and receiver or between image input and image output device, e.g.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its memory or between a still-image camera and a printer device
    • H04N1/32005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 H04N1/32016Automation of particular receiver jobs, e.g. rejecting unwanted calls according to the caller's identification, e.g. fax numb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4Secrecy systems
    • H04N1/4406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 H04N1/4413Restricting access, e.g. according to user identity involving the use of passwords, ID codes or the like, e.g. P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Abstract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공중 전화망을 통해 팩스 문서를 수신하는 팩스부; 수신한 팩스 문서의 라우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스 문서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팩스 문서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팩스 문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METHOD FOR FAX TRANSMISSIONS AND RECEPTIONS BY USING APPLIC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본 명세서는 화상 형성 장치에 설치되는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팩스 송수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개시한다.
일반적인 환경에서 팩스를 송수신하기 위해서는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옵션 키트(option kit)를 디바이스에 장착해야 하고, 디바이스의 개수만큼의 유선 전화 라인이 필요하다. 따라서, 옵션 키트 장착 및 유선 전화 라인의 유지에 고정 비용이 발생하게 된다.
자체적으로 팩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는 디바이스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함으로써 팩스 송수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공중 전화망을 통해 팩스 문서를 수신하는 팩스부; 수신한 팩스 문서의 라우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스 문서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팩스 문서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팩스 문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바이스에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옵션 키트를 장착하거나 디바이스 별 유선 전화 라인을 구비할 필요 없이, 간단하게 디바이스에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팩스 송수신을 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편의성이 향상되고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팩스 송수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caller ID)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팩스 앱에서 전달 이벤트(forward event)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문서의 폼 타입(form type)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문서의 폼 타입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 및 팩스 문서의 폼 타입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의 저장 폴더에 팩스 문서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의 저장 폴더에 팩스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태그 커버(tag cover)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태그 커버(tag cover)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기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서버(fax server)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8은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팩스 앱에서 메인 디바이스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도 있다. 실시예들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 더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화상 형성 작업(image forming job)”이란 화상의 형성 또는 화상 파일의 생성/저장/전송 등과 같이 화상과 관련된 다양한 작업들(e.g. 인쇄, 스캔 또는 팩스)을 의미할 수 있으며, “작업(job)”이란 화상 형성 작업을 의미할 뿐 아니라,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해서 필요한 일련의 프로세스들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일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장치들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하드 카피(hard copy)”란 종이 등과 같은 인쇄 매체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하며, “소프트 카피(soft copy)”란 TV 또는 모니터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화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란 사진, 이미지 또는 문서 파일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의 대상이 되는 모든 종류의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인쇄 데이터”란 프린터에서 인쇄 가능한 포맷으로 변환된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스캔 파일”이란 스캐너에서 화상을 스캔하여 생성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팩스 문서”란 팩스 기능을 통해 송수신되는 문서 파일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란 화상 형성 장치를 이용하여, 또는 화상 형성 장치와 유무선으로 연결된 디바이스를 이용하여 화상 형성 작업과 관련된 조작을 수행하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관리자”란 화상 형성 장치의 모든 기능 및 시스템에 접근할 수 있는 권한을 갖는 사람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자”와 “사용자”는 동일한 사람일 수도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00)는, 입출력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140) 및 화상 형성 작업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화상 형성 장치(100)는 각 구성들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부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입출력부(11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을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작업의 수행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출력부(11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operation panel) 및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 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입출력부(11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입출력부(110)를 통해 수신한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다른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40)에 저장된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통신부(130)는 다른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와 유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통신부(130)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방법 중 적어도 하나를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모듈은 칩셋(chipset)의 형태일 수도 있고, 또는 통신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스티커/바코드(e.g. NFC tag를 포함하는 스티커)등일 수도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Wi-Fi Direct,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 Band) 또는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 또는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화상 형성 장치(100)의 외부에 위치한 외부 장치와 연결되어 신호 또는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140)에는 어플리케이션과 같은 프로그램 및 파일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데이터가 설치 및 저장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저장된 데이터에 접근하여 이를 이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데이터를 메모리(14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메모리(140)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실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어플리케이션을, 메모리(140)에 설치할 수도 있다.
화상 형성 작업부(150)는 인쇄, 스캔 또는 팩스 등의 화상 형성 작업 중 적어도 하나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팩스 송수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한 시스템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팩스 송수신 방법을 실시하기 위해서, 2대의 화상 형성 장치들(200, 300)이 LAN을 통해 서로 연결되며, 1대는 메인 디바이스(200)로서 동작하고, 나머지 1대는 서브 디바이스(300)로서 동작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 및 서브 디바이스(3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은 앞서 도 1에서 설명한 화상 형성 장치(100)에 포함된 구성들의 동작과 동일하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들에 있어서, 메인 디바이스(200)는 인쇄부(251), 스캔부(252) 및 팩스부(253)를 포함하지만, 서브 디바이스(200)는 인쇄부(351) 및 스캔부(352)만을 포함할 뿐, 팩스부를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서브 디바이스(300)는 자체적으로 팩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고, 연결된 메인 디바이스(200)의 팩스 기능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메인 디바이스(200)의 팩스부(253)는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들(400a, 400b)과 연결되며, 서브 디바이스(300)로부터 수신한 팩스 문서를 팩스 디바이스들(400a, 400b)에 전송하거나, 반대로 팩스 디바이스들(400a, 400b)로부터 수신한 팩스 문서를 서브 디바이스(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 디바이스(200)와 서브 디바이스(300)의 메모리(240, 340)에는 각각 리모트 팩스 앱(remote fax app)이라고 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된다. 리모트 팩스 앱의 구체적인 동작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자세히 설명한다.
한편, 서브 디바이스(300)는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외부 서버인 팩스 서버(fax server)(500)를 이용하여 팩스 문서를 송신할 수도 있다.
우선, 도 3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팩스를 수신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요한 경우 도 2도 함께 참조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caller ID)에 기초하여 팩스 문서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발신자 ID란 팩스를 송신하는 팩스 디바이스의 발신 번호를 의미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메인 디바이스(200)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 A(400a) 및 팩스 디바이스 B(400b)와 연결되어 있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디바이스들(400a, 400b)로부터 수신하는 팩스 문서를, 발신 번호에 기초하여 서브 디바이스들(300a, 300b, 300c)로 라우팅(routing)할 수 있다.
발신 번호에 기초한 라우팅을 위해, 리모트 팩스 앱(10)에는 전달 이벤트(forward event)가 미리 등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발신 번호 123-XXXX와 서브 디바이스 B(300b)가 매칭되도록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 등록된 전달 이벤트에 따르면, 팩스 문서의 발신 번호가 123-XXXX인 경우 서브 디바이스 B(300b)로 팩스 문서를 전달한다. 따라서, 팩스 디바이스 A(400a)가 팩스 문서(310)를 PSTN을 통해 메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면,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310)의 발신 번호가 123-XXXX임을 확인하고, 서브 디바이스 B(300b)로 팩스 문서(310)를 전달한다.
도 3에는 발신 번호에 기초하여 팩스 문서를 라우팅하는 실시예를 도시하였는데, 발신 번호가 아닌 팩스 ID에 기초하여 팩스 문서를 라우팅할 수도 있다. 이때, 팩스 ID란 팩스 디바이스를 식별하기 위해 사용자가 직접 입력한 숫자 및 문자로 구성된 ID를 의미한다. 따라서, 리모트 팩스 앱(10)에는 팩스 ID와 서브 디바이스가 매칭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될 수도 있다.
한편, 리모트 팩스 앱(10)은 IP 주소 또는 호스트 네임(host name)을 통해 서브 디바이스들(300a, 300b, 300c)을 식별할 수 있으며, 이는 이후의 실시예들에서도 동일하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리모트 팩스 앱에서 전달 이벤트(forward event)를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메인 디바이스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을 실행하여 전달 이벤트 설정 단계로 진입하면, 도 4의 UI 화면(4000)이 메인 디바이스의 출력부에 표시된다. 사용자는 UI 화면(4000)에서 전달 이벤트 설정(4100) 또는 세이브 투 박스(save to box) 이벤트 설정(4200)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도 4에서는 전달 이벤트 설정(4100)이 선택되었고, 따라서 등록된 전달 이벤트 목록(4300, 4400)이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새로운 전달 이벤트를 등록하거나, 이미 등록된 전달 이벤트를 삭제할 수 있다. 한편, 세이브 투 박스 이벤트에 대해서는 아래에서 도 11 및 12를 참조하여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501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문서를 수신한다. 502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한 팩스 문서의 발신 번호의 확인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 만약, 발신 번호의 확인이 가능하지 않다면, 504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팩스 문서를 출력한다. 반대로, 발신 번호의 확인이 가능하다면, 503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확인된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504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팩스 문서를 출력한다. 반대로,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면, 505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전달 이벤트에서 지정된 서브 디바이스로 팩스 문서를 전송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문서의 폼 타입(form type)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팩스 디바이스 A(400a)가 폼 타입 #1을 갖는 팩스 문서(610)를 PSTN을 통해 메인 디바이스(200)로 전송한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디바이스들(400a, 400b)로부터 수신하는 팩스 문서를, 팩스 문서의 폼 타입에 기초하여 서브 디바이스들(300a, 300b, 300c)로 라우팅할 수 있다.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610)를 수신하면 OCR(Optical Character Recognition)을 수행하여 팩스 문서(610)의 폼 타입을 인식하고, 인식된 폼 타입이 미리 저장된 폼 타입과 일치하는지 판단하기 위해 폼 매칭(form matching)을 수행한다. 리모트 팩스 앱(10)은 폼 매칭 수행 결과 팩스 문서(610)의 폼 타입이 폼 타입 #1에 해당됨을 확인하면, 폼 타입 #1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폼 타입 #1와 서브 디바이스 C(300c)가 매칭되도록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 등록된 전달 이벤트에 따르면, 팩스 문서의 폼 타입이 폼 타입 #1인 경우 서브 디바이스 C(300c)로 팩스 문서를 전달한다. 따라서, 팩스 디바이스 A(400a)가 팩스 문서(610)를 PSTN을 통해 메인 디바이스(200)로 전송하면,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610)의 폼 타입이 폼 타입 #1임을 확인하고, 서브 디바이스 C(300c)로 팩스 문서(610)를 전달한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문서의 폼 타입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2의 메인 디바이스(200)의 제어부(220)가 메모리(24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을 실행함으로써 도 7의 단계들을 수행한다.
도 7을 참조하면, 701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문서를 수신한다. 702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한 팩스 문서에 OCR을 수행하여, 팩스 문서의 폼 타입을 확인한다. 703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확인된 폼 타입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폼 타입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704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팩스 문서를 출력한다. 반대로, 폼 타입에 대응되는 전달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면, 705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전달 이벤트에서 지정된 서브 디바이스로 팩스 문서를 전송한다.
한편, 팩스 라우팅시에 발신자 ID 및 팩스 문서의 폼 타입을 모두 고려할 수도 있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발신자 ID 및 팩스 문서의 폼 타입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의 순서도는 도 5 및 도 7에 포함된 단계들을 조합함으로써 생성된 것이므로 도 8의 각 단계들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팩스 디바이스(400a)는 PSTN을 통해 팩스 문서(910)를 메인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910)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로 전송하는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리모트 팩스 앱(10)은 수신한 팩스 문서(910)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로 전송한다.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는 전화 번호를 기반으로 하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비스를 지원한다. 따라서, 리모트 팩스 앱(10)는 전화 번호 XXX-1234를 전송 목적지로 하여 팩스 문서(910)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로 전송한다. 이때, 전송 목적지가 되는 전화 번호는 리모트 팩스 앱(10)에 미리 저장되거나, 팩스 문서(910) 수신시 사용자가 메인 디바이스(200)에서 직접 입력할 수도 있다.
팩스 문서(910)가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에 업로드되면, XXX-1234의 전화 번호를 갖는 모바일 단말(920)을 통해서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에 접근하여 팩스 문서(910)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모바일 단말(920)에서 팩스 문서(910)의 인쇄를 요청하면,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940)에 미리 등록된 화상 형성 장치(930)를 통해 팩스 문서(910)를 인쇄할 수도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1001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문서를 수신한다. 1002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로의 전송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지 않다면, 1003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팩스 문서를 출력한다. 반대로, 옵션이 활성화되어 있다면, 1004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미리 설정된 전화 번호를 전송 목적지로 하여 클라우드 프린트 서버에 팩스 문서를 전송한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의 저장 폴더에 팩스 문서를 저장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팩스 디바이스 A(400a)가 팩스 문서(1110)를 PSTN을 통해 메인 디바이스(200)에 전송하면, 메인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1110)의 발신 번호가 123-XXXX인 것을 확인한다. 이어서, 리모트 팩스 앱(10)은 확인된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세이브 투 박스(save to box)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도 11을 참조하면, 발신 번호가 123-XXXX라면 서브 디바이스 B의 박스(box)에 저장하도록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 따라서, 리모트 팩스 앱(10)은 메인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에, 서브 디바이스 B(300b)에 대응되는 저장 폴더(1120)를 암호화하여 생성하고, 생성된 저장 폴더(1120)에 수신한 팩스 문서(1110)를 저장한다.
서브 디바이스 B(300b)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저장 폴더(1120)에 접근하여 팩스 문서(1110)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모트 팩스 앱(10)은 서브 디바이스 B(300b)로부터 접근 요청을 수신하면, 서브 디바이스 B(300b)에 대응되는 저장 폴더(1120)를 판단하고, 서브 디바이스 B(300b)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가 저장 폴더(1120)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 판단한다. 패스워드가 일치한다면 리모트 팩스 앱(10)은 저장 폴더(1120)에 저장된 팩스 문서(1110)를 서브 디바이스 B(300b)로 전송한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의 저장 폴더에 팩스 문서를 저장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1201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문서를 수신한다. 1202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팩스 문서의 발신 번호를 확인하고,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저장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는지 판단한다. 만약,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저장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지 않다면, 1207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한 팩스 문서를 출력한다. 반대로, 발신 번호에 대응되는 저장 이벤트가 등록되어 있다면, 1203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이벤트에서 지정된 서브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저장 폴더를 암호화하여 생성하고, 수신한 팩스 문서를 생성된 저장 폴더에 저장한다.
1204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가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저장 폴더에 대한 접근 요청을 패스워드와 함께 수신하면 서브 디바이스에 대응되는 저장 폴더를 판단한다. 이어서, 1205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서브 디바이스로부터 수신한 패스워드가 저장 폴더의 패스워드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한다. 만약, 패스워드가 일치한다면 1206 단계로 진행하여 메인 디바이스는 저장 폴더에 저장된 팩스 문서를 서브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태그 커버(tag cover)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팩스 디바이스 A(400a)는 팩스 문서(1310)를 태그 커버(1320)와 함께 메인 디바이스(200)에 전송한다. 태그 커버(1320)는 라우팅에 필요한 정보를 포함하는 표지로서, 팩스 디바이스 A(400a)에 의해 생성된다. 예를 들어, 태그 커버(1320)에는 전송 목적지(1321) 및 팩스 문서(1310)의 암호화에 사용되는 패스워드(1322)가 기재될 수 있다.
도 13에서 태그 커버(1320)에는 전송 목적지(1321)로서 서브 디바이스 C(300c)가 기재되었고, 패스워드(1322)로서 “aabbc”가 기재되었다. 메인 디바이스(2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1310) 및 태그 커버(1320)를 수신하면, 태그 커버(1320)를 분석하여 전송 목적지는 서브 디바이스 C(300c)이고, 패스워드는 “aabbc”임을 확인한다. 리모트 팩스 앱(10)은 “aabbc”를 패스워드로 하여 팩스 문서(1310)를 암호화한 후, 암호화된 팩스 문서(1310)를 서브 디바이스 C(300c)에 전송한다.
한편, 태그 커버(1320)는 사용된 후에 폐기되어 재사용될 수 없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태그 커버(tag cover)에 기초하여 팩스를 라우팅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1401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PSTN을 통해 팩스 디바이스로부터 팩스 문서 및 태그 커버를 수신한다. 1402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수신된 태그 커버를 분석하여, 전송 목적지 및 패스워드를 확인한다. 1403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확인된 패스워드로 팩스 문서를 암호화하고, 1404 단계에서 메인 디바이스는 암호화된 팩스 문서를, 전송 목적지로 확인된 서브 디바이스로 전송한다.
이하에서는,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실시예들에 대해서 설명한다. 필요한 경우 도 2도 함께 참조한다.
서브 디바이스는 자체적으로 팩스 기능을 지원하지 않으므로,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다른 장치 또는 서버를 이용하여 팩스를 송신할 수 있다. 서브 디바이스는, 예를 들어, 팩스 기능을 지원하는 화상 형성 장치 또는 팩스 서버(fax server)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할 수 있다. 팩스 서버란 클라이언트로부터 네트워크를 통해 웹을 통한 파일 전송 또는 이메일 전송 등 형태로 팩스의 송수신 요청을 받으면, 요청에 따라 팩스 송수신을 수행하는 서버를 의미한다.
서브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메인 디바이스의 선택을 위한 UI 화면을 제공하며, 선택된 메인 디바이스에 팩스 송신을 요청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문서의 선택 및 팩스 번호의 입력 등과 같은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UI 화면을 서브 디바이스(300)의 입출력부(3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송신을 위한 스캔 작업에 적용되는 스캔 옵션을 설정할 수 있는 UI 화면을 입출력부(3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리모트 팩스 앱(10)은 서브 디바이스(300)의 메모리(340)에 저장된 주소록 또는 외부 서버(e.g. LDAP 서버)에 저장된 주소록을 불러와 팩스 송신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UI 화면을 입출력부(310)에 표시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합기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서브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복합기(Multi Function Printer, MFP)를 메인 디바이스(200)로서 선택한다. 자세하게는, 리모트 팩스 앱(10)이 서브 디바이스(300)의 입출력부(310)에 표시하는 메인 디바이스 선택을 위한 UI 화면을 통해, 사용자는 메인 디바이스로서 사용하고자 하는 장치를 미리 설정할 수 있다. 메인 디바이스 선택을 위한 UI 화면은 도 18에 도시하였다.
도 18을 참조하면, UI 화면(1800)에는 메인 디바이스로서 선택할 수 있는 항목으로서 복합기 항목(1810) 및 팩스 서버 항목(1820)이 표시되었다. 도 18에서는 복합기 항목(1810)이 선택되었고, 따라서 복합기를 검색하기 위한 검색창(1830)이 표시되었다. 사용자는 검색창(1830)에 복합기의 IP 주소 또는 호스트 네임을 입력함으로써 복합기를 검색할 수 있다. 복합기를 검색하고 메인 디바이스로서 선택하면, 선택된 복합기는 추가 디바이스 목록(1840)에 표시된다.
한편, 메인 디바이스로서 팩스 서버 항목(1820)이 선택된다면, 팩스 서버의 설정에 필요한 항목들을 선택 또는 입력하기 위한 UI 화면이 표시될 수 있다.
다시 도 15로 돌아와서, 리모트 팩스 앱(10)은 메인 디바이스(200)에 팩스 문서 및 팩스 번호를 전송하면서 팩스 송신을 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메인 디바이스(200)는 수신한 팩스 번호에 대응되는 팩스 디바이스(400)에 PSTN을 통해 팩스 문서를 전송한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팩스 서버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서브 디바이스(300)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서버(500)를 메인 디바이스로서 선택한다. 자세하게는, 사용자는 도 18의 UI 화면(1800)에서 팩스 서버 항목(1820)을 메인 디바이스로서 미리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리모트 팩스 앱(10)은 팩스 송신 요청을 수신하면 팩스 서버(500)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한다.
리모트 팩스 앱(10)은 메인 디바이스로서 선택된 팩스 서버(500)에 팩스 문서 및 팩스 번호를 전송하면서 팩스 송신을 요청한다. 요청을 받은 팩스 서버(500)는 수신한 팩스 번호에 대응되는 팩스 디바이스(400)에 PSTN을 통해 팩스 문서를 전송한다.
도 17은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 디바이스를 선택하여 팩스를 송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1701 단계에서 서브 디바이스는 사용자로부터 팩스 전송 요청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서브 디바이스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이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 팩스 문서 선택 및 팩스 번호의 입력을 사용자로부터 수신한다. 1702 단계에서 서브 디바이스는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된 장치를 확인한다. 구체적으로, 서브 디바이스에 설치된 리모트 팩스 앱을 통해서 메인 디바이스로 설정된 장치를 확인하고, 확인된 장치를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한다. 예를 들어, 복합기 또는 팩스 서버가 메인 디바이스로 선택될 수 있다. 1703 단계에서 서브 디바이스는 선택된 메인 디바이스로 팩스 문서 및 팩스 번호를 전송하면서 팩스 송신을 요청한다.
한편, 상술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및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소정의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소정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란, 예를 들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마그네틱 저장매체, CD 및 DVD 등과 같은 광학적 판독매체 등을 의미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를 통해 접근 가능한 서버에 포함되는 메모리를 의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메인 디바이스(200)의 메모리(240)가 될 수도 있으며, 또는 메인 디바이스(200)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연결된 서브 디바이스(300)에 포함되는 메모리(340)가 될 수도 있다.
100: 화상 형성 장치 200: 메인 디바이스
300: 서브 디바이스 400: 팩스 디바이스

Claims (1)

  1.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외부 디바이스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통신부;
    공중 전화망을 통해 팩스 문서를 수신하는 팩스부;
    수신한 팩스 문서의 라우팅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팩스 문서의 속성에 기초하여 상기 팩스 문서를 전송할 디바이스를 결정하고, 상기 팩스 문서를 상기 통신부를 통해 상기 결정된 디바이스로 전송하는 장치.
KR1020160053149A 2016-04-29 2016-04-2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KR2017012389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49A KR20170123892A (ko) 2016-04-29 2016-04-2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PCT/KR2017/004396 WO2017188710A1 (ko) 2016-04-29 2017-04-26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EP17789894.7A EP3451646A4 (en) 2016-04-29 2017-04-26 METHOD FOR SENDING AND RECEIVING A FAX BY MEANS OF AN APPLICATION, AND VIDEO IMAGE GENERATING DEVICE THEREFOR
US16/161,892 US20190052769A1 (en) 2016-04-29 2018-10-16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fax by using application,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or perform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3149A KR20170123892A (ko) 2016-04-29 2016-04-2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892A true KR20170123892A (ko) 2017-11-09

Family

ID=60159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3149A KR20170123892A (ko) 2016-04-29 2016-04-29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190052769A1 (ko)
EP (1) EP3451646A4 (ko)
KR (1) KR20170123892A (ko)
WO (1) WO201718871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24B1 (ko) * 2021-08-09 2022-08-03 주식회사 지미션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및 서버에서의, 모바일 기기의 위치 확인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135571A (ja) * 1993-11-11 1995-05-23 Ricoh Co Ltd ファクシミリ装置の秘匿通信方法
US7068384B1 (en) * 2000-11-17 2006-06-27 Ricoh Co., Ltd. Method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 facsimile from a computer to a remote fax machine using an internet fax machine as transfer station
JP2005129005A (ja) * 2003-09-30 2005-05-19 Canon Sales Co Inc 受発注システム、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7787158B2 (en) * 2005-02-01 2010-08-31 Canon Kabushiki Kaisha Data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apparatus, data processing method, image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s for implementing the methods
US7623257B2 (en) * 2005-06-30 2009-11-24 Xerox Corporation Method for handling faxes by a fax machine
KR100656360B1 (ko) * 2005-10-26 2006-12-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개방형 api를 이용한 인터넷 팩스 서비스 방법
US7656549B2 (en) * 2006-03-21 2010-02-02 Kabushiki Kaisha Toshiba Image forming apparatus
JP4518056B2 (ja) * 2006-09-25 2010-08-04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文書操作認証装置、及びプログラム
WO2008146334A1 (ja) * 2007-05-30 2008-12-04 Fujitsu Limited 画像暗号化装置、画像復号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0045744A (ja) * 2008-08-18 2010-02-25 Fujitsu Ltd 文書データ暗号化方法及び文書データ暗号化システム
JP6035914B2 (ja) * 2012-07-04 2016-11-3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ファクシミリ送信装置およびファクシミリ送信方法
JP2015142333A (ja) * 2014-01-30 2015-08-0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システム、サーバ装置、制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28524B1 (ko) * 2021-08-09 2022-08-03 주식회사 지미션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및 서버에서의, 모바일 기기의 위치 확인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8710A1 (ko) 2017-11-02
US20190052769A1 (en) 2019-02-14
EP3451646A1 (en) 2019-03-06
EP3451646A4 (en) 2019-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08847A1 (en) Information processing program product,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JP6524896B2 (ja) プログラム
KR20140142094A (ko) 엔에프씨를 이용한 모바일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JP6507614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印刷プログラム、及び外部プログラム
JP2023081980A (ja) 画像形成装置、印刷方法及び印刷システム
US2011022211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apparatus, and method
KR101091520B1 (ko) 복합 프린팅-통신 서비스 시스템
JP6519164B2 (ja) 情報処理装置、記録システム、印刷プログラム、及び外部プログラム
JP2018120330A (ja) プログラム
US9374357B2 (en)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 and method and computer-readable medium therefor for the input and storage of authentication information
JP6555140B2 (ja) プログラム及び携帯端末
EP3048522B1 (en) Method of outputting content through network, and apparatus and system for performing the method
KR20180060200A (ko) 호스트 디바이스에 프린터 드라이버를 설치하는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
JP6844107B2 (ja) プログラム、fax装置、及び携帯端末
KR20170123892A (ko) 어플리케이션을 이용한 팩스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수행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
CN107111466B (zh) 通过使用byod服务生成工作表的方法和用于执行该方法的移动设备
KR101813644B1 (ko)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장치 및 시스템
CN107111718B (zh) 在移动设备与成像装置之间建立连接的方法、成像装置和移动设备
JP6544163B2 (ja) 携帯端末及びプログラム
US20210337081A1 (en) Processing facsimile in cloud server
US10412247B2 (en) Image reading device configured to transmit image data and image data transmitting method therefor
US11190655B2 (en) Information transmission apparatu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6390484B2 (ja) 情報処理装置、出力プログラム、及び外部プログラム
KR20190094742A (ko) 복수의 사용자에 의해 이용되는 장치에서 사용자 정보를 보호
JP6303962B2 (ja) 情報通信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