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413A - 이물질 방지캡 - Google Patents

이물질 방지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413A
KR20170123413A KR1020160052560A KR20160052560A KR20170123413A KR 20170123413 A KR20170123413 A KR 20170123413A KR 1020160052560 A KR1020160052560 A KR 1020160052560A KR 20160052560 A KR20160052560 A KR 20160052560A KR 20170123413 A KR20170123413 A KR 201701234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air
supply
port
v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5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덕윤
이주봉
Original Assignee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리아에프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5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413A/ko
Priority to CN201710292897.3A priority patent/CN107339169B/zh
Publication of KR201701234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41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M25/0854Details of the absorption cani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02Air cleaners
    • F02M35/024Air cleaners using filters, e.g. moisten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Containers Having Bodies Formed In One Piece (AREA)
  • Self-Closing Valves And Venting Or Aerating Va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의 에어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며 통기구가 마련된 통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상부 어느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이중 관체로서, 일단이 상기 통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배기구가 마련된 배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에어포트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된 연결부;를 개시한다.

Description

이물질 방지캡{Cap for preventing breaking in of foreing substance}
본 발명은 방지캡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차량용 캐니스터(canister), 실외기 덕트, 환풍기 및 스노클링(snorkeling) 등과 같이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장비에 마련되어, 내부에 공기의 유입은 가능하도록 하되, 수분 내지는 벌레와 같은 공기 이외의 이물질 유입이 차단되도록 하는 이물질 방지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장치 예를 들어, 차량용 캐니스터(canister), 실외기 덕트, 환풍기 및 스노클링 등과 같은 장비는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를 통해 공기가 흡입되며, 흡입부에는 이물질 차단을 위한 방지캡이 설치된다.
이러한 방지캡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장비에 마련되나, 그 중, 본 발명은 캐니스터에 설치되는 방지캡을 토대로 종래의 방지캡을 설명하도록 한다.
종래의 방지캡으로는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24621호 자동차의 캐니스터(선행문헌 1)를 통해 공개된 바 있다.
선행문헌 1은 자동차의 캐니스터(100)에 돌설되어 있는 공기 유입관(110) 외주연 양측에 각각 고정용 스토퍼(111)를 형성하고, 이에 삽입되는 절곡관(200)에는 상기 고정용 스토퍼(111)와 상응하도록 외주연 선단에 절결홈(210)을 형성하여 된 것을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자동차가 주행을 하면서 먼지나 이물질 또는 물 등이 상기 공기 흡입구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또한, 캐니스터 내부로 이물질 유입이 방지되도록 하는 방지캡이 공개된 바 있다.
이러한 방지캡은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069호 캐니스터통기관의 이물질유입방지캡으로서, 상판(12)과 상판(12)을 둘러싼 원주면을 갖는 캡몸체(11); 상기 캡몸체(1) 상판(12)의 내측 저면부에 일정높이로 돌출형성되는 디딤돌기(14); 상기 디딤돌기(14)의 돌출저면에서 저부로 돌출형성되어 캐니스터통기관(20) 내부로 공기를 유통시키는 통기돌기(16)를 발명의 요지로 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물이나 먼지 등 이물질이 캐니스터통기관을 거쳐 캐니스터 내부로 유입됨을 방지하여 캐니스터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는 것을 발명의 목적 및 효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의 절곡관은 이물질 차단이 제한적이며, 절곡관이라는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고, 특히, 침투 방향에 따라 이물질이 절곡관을 통해 에어포트를 거처 캐니스터 내부로 유입될 수도 있으며, 선행문헌 2의 방지캡 또한, 디딤돌기 사이를 통해 캐니스터 내부로 이물질이 침투할 수도 있다.
이물질이 유체일 경우, 방향과 수압 내지는 속도에 따라 유입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우천 시, 물이 고인 노면을 지날 때, 노면에서 상측 다방향으로 물튀김이 발생하며, 이때, 물의 속도는 차량의 속도와 비례한다.
따라서 빠른 속도로 물이 고인 노면을 지나면, 물이 절곡관을 통해 에어포트를 거처 캐니스터 내부로 유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벌레(예를 들어, 거미 등)가 절곡관을 통해 에어포트를 거처 캐니스터 내부로 침입하여 서식하는 경우, 절곡관 및 디딤돌 사이 공간이 폐쇄되어 최종적으로는 캐니스터와 연동되는 연료탱크가 수축압에 의해 변형 또는 손상될 가능성도 있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절곡관 및 디딤돌기 사이 공간은 에어포트를 통해 유입되는 이물질에 대한 차단이 제한적이며, 경우에 따라 이물질이 유입되어, 기능 저하는 물론, 막힘으로 인해 차량의 심각한 피해(예를 들어, 연료탱크의 손상 등)를 초래하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되, 유체는 물론, 벌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방지캡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다양한 형태의 장비에 적용시킬 수 있는 방지캡에 대한 연구개발이 절실하다.
공개실용신안 제20-1998-024621호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3069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입부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이물질 방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입부의 에어포트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독립개체로서,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특히,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이를 필터링 하는 캐니스터, 실외기 덕트, 환풍기 및 스노클링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는 이물질 방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통기구와 배기구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벌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이물질 방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방지캡이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포트로서의 역할은 물론,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장비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기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이물질 방지캡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의 에어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며 통기구가 마련된 통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상부 어느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이중 관체로서, 일단이 상기 통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배기구가 마련된 배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에어포트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된 연결부;를 개시한다.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에 마련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며,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며 통기구가 마련된 통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상부 어느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이중 관체로서, 일단이 상기 통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배기구가 마련된 배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이 구비된 연결부;를 개시한다.
상기 통기구는, 지면과 마주하는 통기관의 일 영역에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통기구와 대향된 상기 공급구 일측에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배기구는, 지면과 마주하는 일 영역에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와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방지캡은, 상기 공급부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직선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에어포트의 골곡 상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유입부에 마련되어 공기의 유입은 자유롭되,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유입부의 에어포트와 탈착 가능하게 마련된 독립개체로서,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특히,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이를 필터링 하는 캐니스터, 실외기 덕트, 환풍기 및 스노클링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통기구와 배기구가 조밀하게 형성되어, 벌레의 유입을 차단시킬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방지캡이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되어,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포트로서의 역할은 물론,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장비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기능저하를 예방할 수 있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캡이 적용된 캐니스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도 2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캡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분리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통기구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방지캡의 저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방지캡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방지캡의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방지캡의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캡의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 그리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캡의 다른 일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정의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 내려진 것으로,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이물질 방지캡으로써, 그 적용 대상은 외부 공기가 흡입되고 이에 대한 필터링이 요구되는 차량용 캐니스터, 실외기 덕트, 환풍기 및 스노클링 등과 같은 다양한 장비에 적용시킬 수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캐니스터를 대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그러나 캐니스터는 방지캡이 적용되는 일례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방지캡이 적용된 캐니스터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방지캡의 분리도이며, 도 3은 방지캡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캡(100)은 캐니스터(200)의 에어포트(210)와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는 독립개체로서, 캐니스터(200)와의 결합과 해제가 용이하며, 특히, 이물질 유입은 차단하되, 공기의 유입만이 허용되도록 하는 장치이다.
이물질로는 수분(물) 내지는 벌레(예를 들어, 거미) 등이 있으며, 이러한 이물질은 유로(에어포트)를 통해 캐니스터(200) 내부로 유입되어, 유로를 폐쇄시키거나, 내부 활성탄의 기능을 저해시키는 문제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방지캡(100)을 통해 이러한 이물질에 대한 유입을 차단시키고자 한다.
이러한 방지캡(100)은 공기가 유입되는 공급부 및 공급부(110)와 캐니스터(200) 사이를 연결시키는 연결부(120)를 포함하며, 공급부(110)는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는 통기관(115) 및 내부 관체를 이루는 공급관(11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기관(115)은 밑면에 공기가 유입되는 통기구(117)가 마련되고, 이때, 통기구(117)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관(115)의 밑면 일 영역에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통기구(117)는 공기 유입에는 제한이 없으나, 벌레와 같은 이물질의 유입이 차단되도록 조밀한 형태의 홀로 제작되며,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관(115) 밑면 일 영역에 방사상 다수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공급관(111)은 통기구(117)를 통해 유입된 공기가 연결부(120)를 거쳐 에어포트(210) 내부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급관(111)은 통기구와 대향하는 상면에 공급구(113)가 마련되며, 이때, 공급관(111)은 도시된 바와 같이 통기관(115) 대비 소정 길이가 길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연결부(120)와의 결합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결합 방식에 따라 그 길이는 선택적으로 가감될 수 있는 것이므로, 도시된 비율과 길이에 제한되지 않아야 한다.
공급구(113)는 통기구(117)를 통해 물질(공기 및 물, 또는 물을 포함한 유체 등) 중에서 공기만이 연결부(120)를 통해 캐니스터(200)로 공급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공급구(113)는 지면과 마주하는 통기구(117)의 대향된 상부에 마련되는데, 이는 통기구(117)의 대향면에 공급구(113)를 배치함으로써, 물의 직접적 유입을 차단함과 동시에, 통기구(117)와 공급구(113)가 상/하 대향된 위치에 존재하므로 중력에 의해 물의 진입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연결부(120)는 이중의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는 배기관(125) 및 내부 관체를 이루는 연결관(12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배기관(125)은 일단이 상기 통기관(115)의 개방된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페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기구(127)가 조밀하게 형성된다.
이때, 통기관(115)과 배기관(125)과 사이에, 도 3과 같이 기밀부재(130)가 마련되며, 이러한 기밀부재(130)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링형태의 부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배기구(127)는 통기구(117)를 통해 유입된 유체가 배출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배기구(127)와 통기구(117)에 관하여 서로의 역할을 대체할 수도 있다. 즉, 배기구(127)를 통해 유입된 물은 통기구(117)를 통해 배출될 수도 있는 것이다.
연결관(121)은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공급관(111)과 연결되고, 타단은 캐니스터(200)의 에어포트(210)와 연결된다.
이러한 연결관(121)은 공급관(111)과 중첩되는 슬라이드 결합되며, 그 사이에 기밀함이 유지되도록 도 2와 같이 기밀부재(130)가 더 마련된다. 이러한 기밀부재(130)는 연결관(121) 외주 또는 공급관(111) 내주에 링 형태로 돌출 형성된 돌기이거나, 패킹(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링형태의 부재)인 것이 매우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방지캡(100)은 물의 유입을 차단하면서, 공기의 유입만을 허용하는 데, 이에 대한, 설명은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하되, 부호는 도 1 내지 4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에에 따른 방지캡의 작용상태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방지캡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방지캡(100)은 공기의 유입은 허용하되, 이물질에 대한 유입을 차단하는데, 이는 각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공기는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기는 적어도 통기구(117)와 배기구(127)를 통해 유입되며, 유입된 공기는 통기구(117)와 배기구(127)의 대향된 상면에 형성된 공급구(113)를 통해, 공급관(111) 및 공급관(111)과 기밀하게 연결된 연결관(121)으로 공급된다.
이때, 물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위치관계와 중력에 의해 공급구(113)까지 도달치 못하고 통기구(117)와 배기구(127)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차량이 침수에 의할 경우에는 물의 유입을 차단할 수는 없다.
한편, 연결관(121)은 도 1과 같이 에어포트(200)에 대응하여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기존 다양한 형태의 캐니스터(200)에도 적용시킬 수 있도록 하였는데, 이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방지캡의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관(121)은 에어포트(210)가 수직 또는 굴곡진 형태에 따라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관(121)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포트(210)가 수직의 형태일 경우, 연결관(121) 양단 사이에 골국부(123)가 더 형성된다.
이러한 굴절부(123)는 통기구(117)와 배기구(127)가 지면과 마주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며, 특히, 공기만이 유입되도록 형성된 공급구(113)가 지면과 대향된 상면에 존재하도록 하여 물의 유입이 용이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에어포트(210)가 도 5b와 같이 굴곡진 형태일 경우, 연결관(121)은 수평 형태가 유지되도록 하여 통기구(117)와 배기구(127)가 지면과 마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방지캡(100)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포트(210)와 연결되는 일영역에 별도의 공간부(140)가 더 형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공간부(140)는 공기 흡입력은 최소화시켜 물이 유입되는 것을 재차 차단시키기 위한 빈 공간으로서 존재하거나, 공기에 포함된 먼지 등 미세한 입자를 걸러내는 필터를 위한 공간일 수 있다.
그리고 방지캡(100)은 캐니스터(200)와 분리된 형태는 물론, 도 7과 같이 일체형으로도 존재할 수 있다.
일체형일 경우, 도시하지 않았으나, 연결관(121)의 타단이 캐니스터(200)의 유입부(220)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방지캡(100)이 에어포트로서의 역할은 물론, 이물질을 필터링하여 캐니스터(200)의 오염방지와 더불어, 기능저하를 함께 예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반드시 이러한 실시예로 국한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안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 방지캡 110 : 공급부
111 : 공급관 113 : 공급구
115 : 통기관 117 : 통기구
120 : 연결부 121 : 연결관
123 : 굴절부 125 : 배기관
127 : 배기구 130 : 기밀부재
140 : 공간부 200 : 캐니스터
210 : 에어포트 220 : 유입부

Claims (6)

  1.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의 에어포트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이물질의 유입을 차단하며,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며 통기구가 마련된 통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상부 어느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이중 관체로서, 일단이 상기 통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배기구가 마련된 배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에어포트와 연결되는 연결관이 구비된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2. 외부 공기가 흡입되는 유입부에 마련되어 이물질 유입을 차단하며,
    일단이 폐쇄된 이중 관체로서, 외부 관체를 이루며 통기구가 마련된 통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상부 어느 일측에 공급구가 형성되는 공급관이 마련된 공급부; 및
    이중 관체로서, 일단이 상기 통기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폐쇄되며 밑면 일 영역에 배기구가 마련된 배기관과, 내부 관체를 이루고 일단이 상기 공급관과 연결되고 타단은 상기 유입부와 일체로 형성된 연결관이 구비된 연결부;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통기구는, 지면과 마주하는 통기관의 일 영역에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공급구는, 상기 통기구와 대향된 상기 공급구 일측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구는,
    지면과 마주하는 일 영역에 조밀하게 형성되며, 상기 통기구와 동일선상에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지캡은,
    상기 공급부와 연결부 사이에 배치되어 상호 기밀이 유지되도록 하는 기밀부재;를 더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관은,
    상기 직선의 관체로 이루어지거나, 상기 에어포트의 골곡 상태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굴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물질 방지캡.
KR1020160052560A 2016-04-28 2016-04-28 이물질 방지캡 KR20170123413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60A KR20170123413A (ko) 2016-04-28 2016-04-28 이물질 방지캡
CN201710292897.3A CN107339169B (zh) 2016-04-28 2017-04-28 一种异物防止盖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60A KR20170123413A (ko) 2016-04-28 2016-04-28 이물질 방지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413A true KR20170123413A (ko) 2017-11-08

Family

ID=60219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560A KR20170123413A (ko) 2016-04-28 2016-04-28 이물질 방지캡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23413A (ko)
CN (1) CN107339169B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536813B2 (ja) * 2012-02-22 2014-07-02 富士重工業株式会社 ブリーザ装置
KR101403212B1 (ko) * 2012-04-10 2014-06-02 지엠 글로벌 테크놀러지 오퍼레이션스 엘엘씨 캐니스터의 수분유입방지장치
CN203009104U (zh) * 2012-12-03 2013-06-1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新型的碳罐结构
CN203067130U (zh) * 2013-01-14 2013-07-1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过滤装置
JP6276064B2 (ja) * 2014-02-26 2018-02-07 株式会社Roki キャニス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39169A (zh) 2017-11-10
CN107339169B (zh) 2020-07-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15984B2 (en) Isolator device
TWI402445B (zh) 空氣導納閥
US5403476A (en) Arrangement for removing impurities from ground water
KR200478332Y1 (ko) 양흡입 에어 벤트 밸브
JP2016504155A5 (ko)
CN107249414A (zh) 抽吸机和用于运行抽吸机的方法
US20150202552A1 (en) Liquid filter drain with integral air vent
JP2005133944A (ja) ホースエンド噴射器アセンブリ
CN109789366B (zh) 防尘和防溅过滤器
KR101783547B1 (ko) 흡입 또는 배기용으로 사용 가능한 후드캡
US6595277B2 (en) Water well filter device and method of filtering air that enters into a water well
KR20170123413A (ko) 이물질 방지캡
KR102040024B1 (ko) 친환경 디퓨저 및 이를 구비한 환기시스템
ES2388127T3 (es) Válvula de admisión de aire de alta capacidad para sistema de tuberías de aguas residuales sanitarias
CN107249677A (zh) 过滤器以及具有过滤器的呼吸设备
JP4666382B2 (ja) 部屋の中空パネル構造
KR20130114914A (ko) 캐니스터의 수분유입방지장치
JP2020101203A (ja) 吸排気弁及び排水管構造
CN211132546U (zh) 减噪盒和通气治疗设备
KR200415971Y1 (ko) 부력볼밸브를 장착한 지하수 밀폐식 상부보호공 상부덮개.
US11241644B2 (en) Adapter for filter device and method of use
CN105823197A (zh) 一种新型空气净化器
JP7032200B2 (ja) 局所排気装置
KR100879316B1 (ko) 밸브실 내의 압력 조절기능을 갖는 출입장치
JP2008537715A (ja) 特には、タンク等の流体貯蔵容器のための通風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