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398A -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398A
KR20170123398A KR1020160052383A KR20160052383A KR20170123398A KR 20170123398 A KR20170123398 A KR 20170123398A KR 1020160052383 A KR1020160052383 A KR 1020160052383A KR 20160052383 A KR20160052383 A KR 20160052383A KR 20170123398 A KR20170123398 A KR 201701233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xel electrode
pattern
edge
conductive bar
branc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3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10444B1 (ko
Inventor
신철
창학선
태창일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23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0444B1/ko
Priority to US15/408,559 priority patent/US10303008B2/en
Publication of KR20170123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04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04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5Patterning using multi-mask exposu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86Wiring, e.g. gate line, drain lin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with a particular composition, shape or layout of the wiring layers specially adapted to the circuit arrangement, e.g. scanning lines in LCD pixel circui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1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 H01L27/121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other than a semiconductor body, e.g. an insulating body comprising a plurality of TFTs formed on a non-semiconducting substrate, e.g. driving circuits for AMLCDs
    • H01L27/1259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 H01L27/1288Multistep manufacturing methods employing particular masking sequences or specially adapted masks, e.g. half-tone mask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3Electrodes
    • G02F1/134309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 G02F1/134372Electrodes characterised by their geometrical arrangement for fringe field switching [FFS] where the common electrode is not patterne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02F1/1362Active matrix addressed cells
    • G02F1/136218Shield electrodes
    • G02F2001/13625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1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common or background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1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 G02F2201/123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electrode pixe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ome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Liquid Crysta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 바, 및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제1 리지패턴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이웃하는 제2 리지패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DISPLAY DEVICE AND 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 중 액정 표시 장치는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평판 표시 장치 중 하나로서, 화소 전극과 공통 전극 등 전기장 생성 전극이 형성되어 있는 두 장의 기판과 그 사이에 삽입되어 있는 액정층으로 이루어지며, 전기장 생성전극에 전압을 인가하여 액정층에 전기장을 생성하고 이를 통하여 액정층의 액정 분자들의 배향을 결정하고 입사광의 편광을 제어함으로써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 표시 장치 중에서 전기장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액정 분자의 장축을 상하 표시판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열한 수직 배향 방식(vertically aligned mode) 액정 표시 장치는 대비비가 크고 넓은 기준 시야각 구현이 용이하여 각광받고 있다.
이러한 수직 배향 모드 액정 표시 장치에서 광시야각을 구현하기 위하여 하나의 화소에 액정의 배향 방향이 다른 복수의 도메인(domain)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하는 수단의 한 예로는 화소 전극 등의 전기장 생성 전극에 슬릿 등의 절개부를 형성하는 등의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절개부의 가장자리(edge)와 이와 마주하는 전기장 생성 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에 의해 액정이 재배열됨으로써 복수의 도메인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부분에서의 프린지 필드를 제어하여 투과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측면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투과율 향상을 위한 화소 전극을 제조할 수 있는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 바, 및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제1 리지패턴 및 상기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제1 리지패턴과 이웃하는 제2 리지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줄기부 및 상기 줄기부에서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각각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의 단부와 연결된 가지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지부는,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전도성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가지부, 제2 가지부 및 제3 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2 가지부 사이에는 제1 슬릿이 정의되고, 상기 제2 가지부와 상기 제3 가지부 사이에는 제2 슬릿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리지패턴은 상기 제1 슬릿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리지패턴은 상기 제2 슬릿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상기 제2 리지패턴 사이에 정의된 그루브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2 가지부의 단부와 마주볼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가지부 간 제1 최단간격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가지부 간 제2 최단간격보다 짧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3 가지부 간 제3 최단간격은, 상기 제2 최단간격보다 길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지패턴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2 리지패턴의 돌출길이보다 짧을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상기 제1 가장자리 간의 최단간격은, 상기 제2 리지패턴과 상기 제1 가장자리 간의 최단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도성 바는,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리지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게이트선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선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데이터선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데이터선과 비중첩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제1 데이터선 상에 상기 제1 데이터선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이격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차폐전극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중첩하는 유지전극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선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데이터선, 상기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장자리와 이격된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바는,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데이터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리지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는, 화소 전극 패턴,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전도성 바 패턴, 및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과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은,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몸체부 패턴 및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 패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덧댐패턴을 포함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은, 줄기부 패턴 및 상기 줄기부 패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지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성 바 패턴과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패턴 각각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는, 상기 제1전도성 바 패턴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각각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는, 상기 제1 몸체부 패턴의 타측 가장자리 측에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차폐전극 패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는,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전도성 바 패턴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 패턴과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바 패턴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패턴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 패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덧댐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과율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측면 시인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투과율과 측면 시인성이 향상된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제1 표시기판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한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 1의 P- P'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 1의 Q-Q'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중 도 1의 A1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5의 A2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도 8의 A3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 내지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제1 전도성 바의 리지패턴이 생략된 경우 한 화소의 일부분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한 화소의 일부분에 대한 이미지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위(on)", "상(on)",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소자를 뒤집을 경우, 다른 소자의 "아래"로 기술된 소자는 다른 소자의 "위"에 놓여질 수 있다. 또한 도면을 기준으로 다른 소자의 "좌측"에 위치하는 것으로 기술된 소자는 시점에 따라 다른 소자의 "우측"에 위치할 수도 있다. 따라서, 예시적인 용어인 "아래"는 아래와 위의 방향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소자는 다른 방향으로도 배향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들은 배향에 따라 해석될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가 포함하는 제1 표시 기판의 개략적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한 화소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 1의 P-P'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3은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도 1의 Q-Q'선을 따라 절단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 4는 도 1의 제1 표시 기판을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중 도 1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1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도시한 평면도, 도 6은 도 5의 A2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제1 표시 기판(100), 제1 표시 기판(100)과 대향하는 제2 표시 기판(200) 및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30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의 바깥 면에 부착되어 있는 한 쌍의 편광자(도시하지 않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은 액정층(300)의 액정 분자들을 구동하기 위한 스위칭 소자, 예컨대 박막 트랜지스터들이 형성된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일 수 있으며, 제2 표시 기판(200)은 제1 표시 기판(100)에 대향하는 표시 기판일 수 있다.
액정층(300)은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복수의 액정 분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 전계가 인가되면 액정 분자(310)가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서 특정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광을 투과시키거나 차단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이라는 용어는 상기 액정 분자들이 실제로 회전하는 것뿐만 아니라, 상기 전계에 의해 액정 분자들의 배열이 바뀐다는 의미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제1 표시 기판(100)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베이스부(SUB1)는 절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절연 기판은 투명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베이스부(SUB1)는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베이스부(SUB1)는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SUB1)는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베이스부(SUB1)는 절연 기판 상에 별도의 층(절연층 등)이 적층된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제1 베이스부(SUB1) 위에는 게이트선(GLn) 및 게이트 전극(GE)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선(GLn)은 게이트 신호를 전달하며 주로 제1 방향(예시적으로 도면 기준 가로 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게이트 전극(GE)은 게이트선(GLn)으로부터 돌출되어 게이트선(GLn)과 연결될 수 있다. 게이트선(GLn) 및 게이트 전극(GE)은 알루미늄(Al)이나 알루미늄 합금 등 알루미늄 계열 금속, 은(Ag)이나 은합금 등 은계열 금속, 구리(Cu)나 구리 합금 등 구리 계열 금속, 몰리브덴(Mo)이나 몰리브덴 합금 등 몰리브덴 계열 금속, 크롬(Cr), 탄탈륨(Ta) 및 티타늄(Ti)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게이트선(GLn) 및 게이트 전극(GE)위에는 게이트 절연막(GI)이 위치할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의 무기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은 단일층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또는 물리적 성질이 다른 적어도 두 개의 절연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위에는 반도체층(SM)이 위치할 수 있으며, 게이트 전극(GE)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할 수 있다. 반도체층(SM)은 비정질 규소, 다결정 규소, 또는 산화물 반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반도체층(SM) 위에는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가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는 후술할 소스 전극(SE)의 하부에 위치하는 소스 저항성 접촉부재(Oha), 드레인 전극(DE) 하부에 위치하는 드레인 저항성 접촉부재(Ohb) 및 데이터선(DLm, DLm+1) 하부에 위치하는 데이터 저항성 접촉부재(Ohc)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는 n형 불순물이 고농도로 도핑되어 있는 n+ 수소화 비정질 실리콘 등으로 형성되거나 실리사이드(silicide)로 형성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반도체층(SM)이 산화물 반도체인 경우,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는 생략될 수 있다.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 및 게이트 절연막(GI) 위에는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데이터선(DLm, DLm+1)이 위치할 수 있다. 데이터선(DLm, DLm+1)은 데이터 전압을 전달하며 주로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예시적으로 도면 기준 세로 방향)으로 뻗어 게이트선(GLn)과 교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후술할 화소 전극(PE)의 좌측에 위치하는 데이터선을 제1 데이터선(DLm), 화소 전극(PE)의 우측에 위치하는 데이터선을 제2 데이터선(DLm+1)이라 지칭한다.
소스 전극(SE)은 제1 데이터선(DLm)과 연결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선(DLm)으로부터 게이트 전극(GE)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소스 전극(SE) 중 게이트 전극(GE)위에 위치하는 부분은 C자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소스 전극(SE)의 형상은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은 소스 전극(SE)과 마주한다. 드레인 전극(DE)은 소스 전극(DE)과 대체로 나란하게 뻗는 막대형 부분과 그 반대쪽의 확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드레인 전극(DE)과 소스 전극(SE)은 반도체층(SM)과 접촉할 수 있으며, 반도체층(SM) 상에서 서로 이격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데이터선(DLm, DLm+1),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알루미늄, 구리, 은, 몰리브덴, 크롬, 티타늄, 탄탈륨 또는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내화성 금속(refractory metal) 등의 하부막(미도시)과 그 위에 형성된 저저항 상부막(미도시)으로 이루어진 다층 구조를 가질 수도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게이트 전극(GE),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은 반도체층(SM)과 함께 스위칭 소자로서 하나의 박막 트랜지스터 (Tr)를 이룰 수 있다.
게이트 절연막(GI), 반도체층(SM), 소스 전극(SE) 및 드레인 전극(DE) 위에는 제1 패시베이션층(PA1)이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PA1)은 유기 절연 물질 또는 무기 절연 물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PA1)은 박막 트랜지스터(Tr)를 보호하고, 후술할 유기층(ILA)에 포함된 물질이 반도체층(SM)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PA1) 위에는 유기층(ILA)이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기층(ILA)은 제1 패시베이션층(PA1)의 상부를 평탄화하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유기층(ILA)은 유기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유기물질은 감광성 유기물질일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층(ILA)은 생략될 수도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층(ILA)은 색필터 일 수도 있다. 예시적인 상기 색필터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하지만,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유기층(ILA)이 색필터가 아닌 경우를 예시로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유기층(ILA) 위에는 제2 패시베이션층(PA2)이 위치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PA2)은 실리콘 산화물, 실리콘 질화물, 실리콘 산질화물 등의 무기 절연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PA2)은 유기층(ILA)이 들뜨는 것을 방지하고, 유기층(ILA)으로부터 유입되는 용제(solvent)와 같은 물질에 의해 액정층(300)이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제1 패시베이션층(PA1), 유기층(ILA) 및 제2 패시베이션층(PA2)에는 드레인 전극(DE)의 일부를 드러내는 접촉구멍(CT)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PA2) 위에는 화소 전극(PE)이 위치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접촉구멍(CT)을 통해 드레인 전극(DE)과 접촉함으로써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ITO, IZO, ITZO, AZ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PE)은 또는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화소 전극(PE)은 줄기부(PEa), 줄기부(PEa)로부터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의 가지부(PEb) 및 돌출부(PEc)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가지부(PEb) 사이에는 슬릿(St)이 정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화소 전극(PE)은 복수의 가지부(PEb) 중 일부의 끝 부분을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줄기부(PEa)는 주로 도면을 기준으로 가로 방향으로 뻗는 가로 줄기부(PEah) 및 주로 세로 방향으로 뻗는 세로 줄기부(PEav)를 포함할 수 있으며, 줄기부(PEa)는 화소 전극(PE)을 복수의 부영역, 예컨대 복수의 도메인으로 나눌 수 있다. 몇몇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가로 줄기부(PEah)와 세로 줄기부(PEav)는 서로 교차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줄기부(PEa)의 평면 형상은 십자 형상일 수 있다. 이 경우 화소 전극(PE)은 줄기부(PEa)에 의해 4개의 부영역, 즉 4개의 도메인으로 나뉠 수 있다. 각 부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지부(PEb)는 서로 뻗는 방향이 다를 수 있다. 예컨대, 도 1 및 도 5를 기준으로 우상방향의 부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우상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고, 우하방향의 부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우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을 수 있다. 또한 좌상방향의 부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고, 좌하방향의 부영역에 위치하는 복수의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하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뻗을 수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줄기부(PEa)는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우 화소 전극(PE)은 줄기부(PEa)의 형상 변경에 따라 1개의 부영역, 2개의 부영역 또는 3개의 부영역으로 나뉠 수도 있다. 화소 전극(PE)의 다양한 구조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내용은 도 11 내지 도 20의 설명에서 후술한다.
돌출부(PEc)는 다른 층과의 접속을 위한 것으로서 줄기부(PEa) 또는 가지부(PEb)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돌출부(PEc)가 줄기부(PEa)로부터 연장되어 돌출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돌출부(PEc)는 접촉 구멍(CT)을 통해 드레인 전극(DE)과 전기적, 물리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가지 연결부(CNz)는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중 후술할 전도성 바(Bx, By)와 마주보지 않는 가장자리에서 가지부(PEb)들의 적어도 일부의 끝 부분을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면을 기준으로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중 전도성 바(Bx, By)와 각각 마주보는 가장자리를 제1 가장자리(E1) 및 제2 가장자리(E2)라 지칭하고, 상측 가장자리를 제3 가장자리(E3)라 지칭하고, 하측 가장자리를 제4가장자리(E4)라 지칭하면, 가지 연결부(CNz)는 전도성 바(Bx, By)와 마주보지 않는 가장자리인 제3 가장자리(E3)에 위치하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할 수 있다. 또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가지 연결부(CNz)는 제4가장자리(E4)측에 더 배치되어 제4가장자리(E4) 측에 위치하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가지 연결부(CNz)는 생략될 수도 있다.
후술할 전도성 바(Bx, By)와 마주보는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들의 끝 부분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 및 도 5를 참조하면, 가지부들(PEb) 중 전도성 바(Bx, By)와 마주보는 부분은 단부가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도 1에는 화소 전극(PE)의 가로폭, 즉 게이트선(GLn)의 연장 방향으로의 폭이 화소 전극(PE)의 세로폭, 즉 데이터선(DLm, DLm+1)의 연장방향으로의 폭보다 작은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는 하나의 예시일 뿐이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의 가로폭, 즉 게이트선(GLn)의 연장 방향으로의 폭이 화소 전극(PE)의 세로폭, 즉 데이터선(DLm, DLm+1)의 연장방향으로의 폭보다 클 수도 있다.
제2 패시베이션층(PA2) 위에는 전도성 바(Bx, By) 및 연결부(Cx, Cy)가 위치할 수 있다. 전도성 바(Bx, By)는 화소 전극(PE)과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화소 전극(PE)과 동일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전도성 바(Bx, By)는 화소 전극(PE)과 마찬가지로 제2 패시베이션층(PA2) 바로 위에 위치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PA2)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전도성 바(Bx, By)는 세로 방향 또는 가로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은 막대 모양의 전도체로서,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에서 발생되는 전계를 제어하는 기능을 갖는다. 전도성 바(Bx, By)는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마주보도록 배치되며,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간격을 두고 나란히 뻗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전도성 바(Bx, By)는 데이터선(DLm, DLm+1)의 연장방향, 즉 도면을 기준으로 세로 방향을 따라 길게 뻗을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을 기준으로 화소 전극(PE)의 좌측에 위치하는 전도성 바, 즉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와 마주보는 전도성 바를 제1 전도성 바(Bx), 화소 전극(PE)의 제2 가장자리(E2)와 마주보는 전도성 바를 제2 전도성 바(By)라고 지칭한다.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몸체부(Bxa) 및 복수의 리지패턴(ridge pattern)(Bx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몸체부(Bxa)는 제1 가장자리(E1)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리지패턴(Bxb)은 제1 가장자리(E1)와 마주 보는 제1 몸체부(Bxa)의 일측 가장자리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몸체부(Bx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화소 전극(PE)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제2 전도성 바(By) 또한 제1 전도성 바(Bx)와 마찬가지로 제2 몸체부(Bya) 및 복수의 리지패턴(Byb)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몸체부(Bya)는 제2 가장자리(E2)를 따라 세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리지패턴(Byb)은 제2 가장자리(E2)와 마주 보는 제2 몸체부(Bya)의 일측 가장자리 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몸체부(Bya)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화소 전극(PE)을 향해 돌출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전도성 바(Bx, By)가 리지패턴(Bxa, Bxb)를 포함함에 따라, 전도성 바(Px, By)와 화소 전극(PE) 사이의 이격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전도성 바(Px, By)와 화소 전극(PE)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제1 몸체부(Bxa) 간의 간격 및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제2 몸체부(Bya) 간의 간격은 일정하거나 변화할 수 있다. 제1 몸체부(Bxa)의 가장자리 중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와 마주보는 부분을 제1 내측 가장자리(BE1x), 제1 내측 가장자리(BE1x)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제1 외측 가장자리(BE2x)라 지칭하고, 제2 몸체부(Bya)의 가장자리 중 화소 전극(PE)의 제2 가장자리(E2)와 마주보는 부분을 제2 내측 가장자리(BE1y), 제2 내측 가장자리(BE1y)의 반대편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를 제2 외측 가장자리(BE2y)라 지칭하면, 몇몇 실시예에서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와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1x)간의 이격거리(D)는 일정할 수 있다. 이격거리(D)는 표시 장치(1)의 시인성을 고려하여 조절될 수 있으며, 예시적으로 이격거리(D)는 2㎛ 내지 5㎛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화소 전극(PE)의 제2 가장자리(E2)와 제2 몸체부(Bya)의 제2 내측 가장자리(BE1y)간의 이격거리는 일정할 수 있으며, 2㎛ 내지 5㎛일 수 있다.
제1 몸체부(Bxa) 및 제2 몸체부(Bya) 각각의 폭(W)은 0㎛ 보다 크고 대략 10㎛보다 작을 수 있다.
제1 전도성 바(Bx)의 리지패턴(Bxb)은 제1 전도성 바(Bx)와 마주보는 화소 전극(PE)의 슬릿(St)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전도성 바(By)의 리지패턴(Bxb)은 제2 전도성 바(Bx)와 마주보는 화소 전극(PE)의 슬릿(St)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조과정에서 제1 전도성 바(Bx)와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가 서로 단락(short) 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전도성 바(Bx)의 리지패턴(Bxb) 중 제1 전도성 바(Bx)의 연장 방향(또는 도면 기준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두개의 리지패턴을 제1 리지패턴(Bxb1) 및 제2 리지패턴(Bxb2)이라 지칭하면, 제1 리지패턴(Bxb1)과 제2 리지패턴(Bxb2) 사이에는 그루브 패턴(Bxg)이 정의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슬릿(St) 중 제1 리지패턴(Bxb1)과 마주보는 슬릿을 제1 슬릿(St1)이라 지칭하고, 제2 리지패턴(Bxb2)과 마주보는 슬릿을 제2 슬릿(St2)이라 지칭하면, 제1 슬릿(St1)은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 중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1 가지부(PEb1)와 제2 가지부(PEb2)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지부(PEb2)는 제1 리지패턴(Bxb1)과 제2 리지패턴(Bxb2) 사이에 정의된 그루브 패턴(Bxg)과 마주볼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슬릿(St2)은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 중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2 가지부(PEb2)와 제3 가지부(PEb3)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는,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와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1x)간의 이격거리가 일정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가지부(PEb1)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1 최단간격(D1)은, 제2 가지부(PEb2)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2 최단간격(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3 가지부(PEb3)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3 최단간격(D3)은 제1 최단간격(D1) 및 제2 최단간격(D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x1)로부터 제1 리지패턴(Bxb1)의 단부까지의 거리, 즉 제1 리지패턴(Bxb1)의 돌출길이(L1)는, 제2 리지패턴(Bxb2)의 돌출길이(L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제1 리지패턴(Bxb1)과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간의 최단간격(G1)은 제2 리지패턴(Bxb2)과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간의 최단간격(G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전도성 바(Bx, By)는 데이터선(DLm, DLm+1)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 전도성 바(Bx)는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와 제1 데이터선(DLm)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데이터선(DLm)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2 전도성 바(By)는 화소 전극(PE)의 제2 가장자리(E2)와 제2 데이터선(DLm)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데이터선(DLm+1)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연결부(Cx, Cy)는 화소 전극(PE)과 전도성 바(Bx, By)를 전기적으로 연결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연결부(Cx, Cy)는 제1 전도성 바(Bx)와 화소 전극(PE)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Cx) 및 제2 전도성 바(By)와 화소 전극(PE)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Cy)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연결부(Cx)는 화소 전극(PE)의 줄기부(PEa)와 제1 전도성 바(Bx)를 연결할 수 있으며, 제2 연결부(Cy)는 화소 전극(PE)의 줄기부(PEa)와 제2 전도성 바(By)를 연결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연결부(Cx, Cy)의 개수 및 위치는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전도성 바(Bx, By) 및 연결부(Cx, Cy)는 ITO, IZO, ITZO, AZO 등의 투명 도전성 물질 또는 알루미늄, 은, 크롬 또는 그 합금 등의 반사성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바(Bx, By) 및 연결부(Cx, Cy)는 화소 전극(PE)와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전도성 바(Bx, By), 연결부(Cx, Cy) 및 화소 전극(PE)은 하나의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일 공정 내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전극(SHE1, SHE2)은, 제2 패시베이션층(PA2) 위에 위치할 수 있다. 차폐전극(SHE1, SHE2)은 전도성 바(Bx, By) 및 화소 전극(PE)과 물리적으로 이격될 수 있으며,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차폐전극(SHE1, SHE2)은 전도성 바(Bx, By) 및 화소 전극(PE)과 동일층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차폐전극(SHE1, SHE2)은 전도성 바(Bx, By) 및 화소 전극(PE)과 마찬가지로 제2 패시베이션층(PA2) 바로 위에 위치하여 제2 패시베이션층(PA2)과 직접 접촉할 수 있다. 차폐전극(SHE1, SHE2)은 전도성 바(Bx, By) 및 화소 전극(PE)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폐전극(SHE1, SHE2), 전도성 바(Bx, By) 및 화소 전극(PE)은 하나의 광마스크를 이용하여 동일 공정 내에서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차폐전극(SHE1, SHE2)은, 제2 패시베이션층(PA2)의 상부 중 데이터선(DLm, DLm+1)과 대응하는 부분에 위치할 수 있으며, 데이터선(DLm, DLm+1)과 중첩할 수 있다. 즉, 차폐전극(SHE1, SHE2)은 데이터선(DLm, DLm+1)의 상측에 데이터선(DLm, DLm+1)절연되어 배치되고, 데이터선(DLm, DLm+1)과 중첩하여 데이터선(DLm, DLm+1)의 연장방향(예시적으로, 세로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차폐전극(SHE1, SHE2) 중 제1 데이터선(DLm)과 중첩하는 전극을 제1 차폐전극(SHE1), 제2 데이터선(DLm+1)과 중첩하는 전극을 제2 차폐전극(SHE2)라 지칭한다.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제1 차폐전극(SHE1)의 가로방향 폭, 즉 게이트선(GLn)의 연장방향으로의 폭은, 제1 데이터선(DLm)의 가로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차폐전극(SHE2)의 가로방향 폭, 즉 게이트선(GLn)의 연장방향으로의 폭은, 제2 데이터선(DLm+1)의 가로방향 폭보다 클 수 있다. 또한,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제1 차폐전극(SHE1)은 제1 데이터선(DLm)을 커버할 수 있으며, 마찬가지로 제2 차폐전극(SHE2)은 제2 데이터선(DLm+1)을 커버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폐전극(SHE1, SHE2)에는 후술할 공통 전극(CE)에 인가되는 공통전압(Vcom)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차폐전극(SHE1, SHE2)에는 후술할 유지전극선(SLn)에 인가되는 유지전압(Vc)과 동일한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제1 베이스부(SUB1) 위에는 유지전극선(SLn)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유지전극선(SLn)은 게이트선(GLn)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방향(예시적으로 가로방향)으로 뻗을 수 있다. 유지전극선(SLn)은 제1 유지전극(SLna) 및 제2 유지전극(SLn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지전극(SLna) 및 제2 유지전극(SLnb)은, 제1 및 제2 데이터선(DLm, DLm+1)과 화소 전극(PE) 사이의 커플링 전계를 차폐하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유지전극선(SLn)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전도성 바(Bx, By)와 중첩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유지전극선(SLn) 중 제1 유지전극(SLna)은 제1 전도성 바(Bx)와 중첩할 수 있다. 제1 유지전극(SLna)은, 평면 시점에서 바라볼 때, 제1 차폐전극(SHE1)과 제1 전도성 바(Bx)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와 중첩하여 제1 차폐전극(SHE1)과 제1 전도성 바(Bx) 사이의 이격공간(G)을 가릴 수 있다. 또한, 제1 전도성 바(Bx)와 중첩하는 제1 유지전극(SLna)은, 부분적으로 제1 차폐전극(SHE1)과 중첩할 수도 있다. 제1 유지전극(SLna)은 화소 전극(PE)과 중첩하지 않을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B1)와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유지전극(SLnb)은 제2 전도성 바(By)와 중첩할 수 있으며, 제2 차폐전극(SHE2)과 부분적으로 중첩할 수 있고, 화소 전극(PE)과는 중첩하지 않을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유지전극선(SLn)은 게이트선(GLn) 및 게이트 전극(GE)과 동일층 상에 위치하고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는,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도면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유지전극선(SLn)은 데이터선(DLm, DLm+1)과 동일층 상에 위치하고 동일 물질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유지전극선(SLn)이 게이트선(GLn)과 동일층 상에 위치하는 경우를 예시로 설명한다.
이하 제2 표시 기판(200)에 대해 설명한다.
제2 표시 기판(200)은 제2 베이스부(SUB2), 차광부재(BM), 색필터(CF), 오버코트층(OC) 및 공통 전극(CE)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베이스부(SUB2)는 제1 베이스부(SUB1)와 유사하게 투명 절연 기판일 수 있다. 또한, 제2 베이스부(SUB2)은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 또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베이스부(SUB2)은 가요성을 가질 수도 있다.
제1 베이스부(SUB1)을 향하는 제2 베이스부(SUB2)의 일면에는 차광부재(BM)가 위치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차광부재(BM)는 게이트선(GLn) 및 박막 트랜지스터(Tr)와 중첩하는 부분 및 데이터선(DLm, DLm+1)과 중첩하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BM)는 빛샘을 차단하는 구성으로서, 블랙 매트릭스(black matrix)라고도 불린다. 차광부재(BM)는 블랙 카본(black carbon) 등의 차광성 안료 또는 크롬(Cr) 등의 불투명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재(BM) 중 데이터선(DLm, DLm+1)과 중첩하는 부분(BM1)은 생략될 수도 있다.
색필터(CF)는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 등 기본색(primary color) 중 하나를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적색, 녹색, 및 청색의 삼원색에 제한되지 않고, 청록색(cyan), 자홍색(magenta), 옐로(yellow), 화이트 계열의 색 중 어느 하나를 표시할 수도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유기층(ILA)이 색안료 등을 포함하는 경우 색필터(CF)는 생략될 수도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제2 베이스부(SUB2), 차광부재(BM) 및 색필터(CF) 상에 형성될 수 있으며, 차광부재(BM)를 덮을 수 있다. 오버코트층(OC)은 차광부재(BM)와 색필터(CF) 의해 형성된 단차를 완화하거나 제거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오버코트층(OC)은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오버코트층(OC) 상에는 화소 전극(PE)과 중첩하는 공통전극(CE)이 위치할 수 있다. 공통전극(CE)은 ITO, IZO 등과 같은 투명 도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공통전극(CE)은 제2 베이스부(SUB2)의 전면에 걸쳐 통판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공통전극(CE)에는 공통 전압(Vcom)이 인가되어 화소전극(PE)과 함께 전계를 형성할 수 있다. 화소 전극(PE)은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통해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고, 공통 전극(CE)은 상기 데이터 전압과는 상이한 레벨의 공통 전압(Vcom)을 인가받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는 공통 전압(Vcom)과 상기 데이터 전압의 전위차에 대응하는 크기로 전계가 형성되며, 상기 전계의 크기에 따라 액정층(300)내의 액정분자들의 배열이 변화되어 표시 장치(1)의 광 투과율이 제어될 수 있다.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의 안쪽 면에는 각각 배향막이 위치할 수 있으며, 이들은 수직 배향막 일 수 있다. 몇몇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배향막 중 적어도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 사이에는 액정층(300)이 위치하며, 액정층(300)은 유전율 이방성을 가지는 액정 분자(310)를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상기 유전율 이방성은 음의 유전율 이방성일 수 있다. 액정 분자(310)들은 장축이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의 길이 방향(뻗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선경사(pretilt)를 가질 수 있다. 액정 분자(310)는 액정층(300)에 전기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제1 표시 기판(100)과 제2 표시 기판(200)의 표면에 대하여 수직을 이루도록 배향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액정층(300)은 반응성 메소겐(reactive mesogen)을 포함하는 배향 보조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배향 보조제에 의하여 액정 분자(310)들은 가지부(PEb)의 길이 방향(뻗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선경사를 가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배향막에 상기 배향 보조제가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배향막은 주쇄(main-chain) 및 측쇄(side-chain)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향 보조제는 상기 배향막의 측쇄를 형성 하며, 음(negative)의 유전 이방성을 가질 수 있다. 액정 분자(310)들은 상기 측쇄에 의해 가지부(PEb)의 길이 방향(뻗는 방향)에 대략 평행하도록 선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1)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게이트선(GLn)에 게이트 신호가 인가되면 게이트선(GLn)에 연결된 스위칭 소자인 박막 트랜지스터(Tr)가 턴온되며, 제1 데이터선(DLm)에 인가된 데이터 전압이 턴온된 박막 트랜지스터(Tr)를 통해 화소 전극(PE)에 인가된다. 데이터 전압을 인가 받은 화소 전극(PE)은 공통 전압(Vcom)을 인가 받은 공통 전극(CE)과 함께 전기장을 생성한다. 액정층(300)의 액정 분자(310)들은 생성된 전기장에 응답하여 그 장축이 전기장의 방향에 수직을 이루도록 방향을 바꾸고자 한다.
화소 전극(PE)과 공통 전극(CE) 사이에는 수직방향의 전기장(또는 수직 전계)가 형성될 수 있으며, 서로 인접한 가지부(PEb) 사이에서는 프린지 필드(fringe field)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프린지 필드에 의해 액정 분자(310)는 일정 방향으로 배열되며 결국 가지부(PEb)의 길이 방향에 대략 평행한 방향으로 기울어지게 된다.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중 가지부(PEb)의 끝 부분이 서로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에서, 가지부(PEb)의 끝 부분과 공통 전극(CE) 사이에 형성된 프린지 필드의 수평성분(EF1)은, 대략 가지부(PEb)의 가장자리에 수직인 방향을 향한다. 한편, 제1 전도성 바(Bx)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1x)와 공통 전극(270) 사이에 형성된 프린지 필드의 수평 성분(EF2)은 대략 제1 전도성 바(Bx)의 길이 방향과 수직인 방향을 향하며, 이는 가지부(PEb)에 의한 프린지 필드의 수평 성분(EF1)의 방향과 대략 반대이다. 미세 가지부(PEb)의 가장자리에 의한 프린지 필드의 수평 성분(EF1) 및 제1 전도성 바(Bx)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1x)에 의한 프린지 필드의 수평 성분(EF2)이 서로 상쇄될 수 있다. 또한 전도성 바(Bx, By)는 외부 전계를 차단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액정 분자(310)들의 배열 방향이 흐트러지는 것을 막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의 길이 액정 분자(310)들은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지부(PEb)의 길이 방향에 대략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에서의 투과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전도성 바(Bx, By)와 화소 전극(PE) 사이의 이격 공간이 증가할수록 상기 이격 공간에서 암부가 발생되어 표시 장치의 투과율이 저하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의 경우, 전도성 바(Bx, By)가 화소 전극(PE)을 향해 돌출된 리지패턴(Bxb, Byb)을 포함함에 따라 전도상 바(Bx, By)와 화소 전극(PE) 사이의 이격 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전도성 바(Bx, By)와 화소 전극(PE)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암부가 발생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화소 전극(PE) 가장자리에서의 투과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차폐전극(SHE1, SHE2)에는 공통전압(Vcom)과 동일 레벨의 전압이 인가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통전극(CE)과 차폐전극(SHE1, SHE2) 사이에는 전계가 형성되지 않거나 전계가 형성되더라도 그 세기는 미미할 수 있다. 따라서 데이터선(DLm, DLm+1)과 인접한 영역에 위치한 액정 분자들이 오배열될 가능성이 낮아지며, 데이터선(DLm, DLm+1) 부근에서 액정 분자들의 오배열로 인한 빛샘이 감소하는 이점, 차광부재(BM)의 면적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는 이점 및 표시 장치(1)의 개구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도 존재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도 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제3 가장자리(E3)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제3 가장자리(E3)와 마주보고 화소 전극(PE)과 이격된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제1 전도성 바(Bx) 또는 제2 전도성 바(By)와 연결될 수 있으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 전도성 바(Bz)는 제1 전도성 바(Bx) 및 제2 전도성 바(By)와 모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연결부(Cx), 제2 연결부(Cy) 및 제3 연결부(Cz)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생략될 수도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제1 전도성 바(Bx) 및 제2 전도성 바(By)와 유사하게, 제3 가장자리(E3)를 따라 연장된 제3 몸체부(Bza) 및 제3가장자리(E3)와 마주보는 제3 몸체부(Bza)의 일측에 위치하고 화소 전극(PE)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지패턴(Bz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8의 A3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도 5, 도 6,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전도성 바(Bx, By)의 몸체부(Bxa, Bya) 간의 이격거리가 몸체부(Bxa, Bxb)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 중 세로 방향을 따라 나란히 배치된 제1 가지부(PEb1), 제2 가지부(PEb2) 및 제3가지부(PEb3)와 제1 몸체부(Bxa)간의 관계를 살펴보면, 제1 가지부(PEb1)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1 최단간격(D11)은, 제2 가지부(PEb2)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2 최단간격(D22)보다 클 수 있다. 또한 제3 가지부(PEb3)와 제1 몸체부(Bxa) 간의 제3 최단간격(D3)은 제1 최단간격(D1) 및 제2 최단간격(D2)보다 작을 수 있다. 즉, 화소 전극(PE)의 제1가장자리(E1)와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x1) 간의 이격거리는, 제1 몸체부(Bx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리지패턴(Bxb1)은 제1 슬릿(St1)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리지패턴(Bxb2)은 제2 슬릿(St2)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x1)로부터 제1 리지패턴(Bxb1)의 단부까지의 거리, 즉 제1 리지패턴(Bxb1)의 돌출길이(L11)는, 제2 리지패턴(Bxb2)의 돌출길이(L22)보다 길 수 있다. 즉, 화소 전극(PE)의 제1가장자리(E1)와 제1 몸체부(Bxa)의 제1 내측 가장자리(Bex1) 간의 이격거리가 제1 몸체부(Bx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함에 따라, 리지패턴(Bxb) 각각의 돌출길이도 제1 몸체부(Bx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한편, 몇몇 실시예에서 제1 리지패턴(Bxb1)과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간의 최단간격(G11)은 제2 리지패턴(Bxb2)과 화소 전극(PE)의 제1 가장자리(E1)간의 최단간격(G22)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화소 전극(PE)의 제1가장자리(E1)간의 이격거리가 제1 몸체부(Bxa)의 연장방향을 따라 변화하더라도, 리지패턴(Bxa)의 돌출길이가 제1 몸체부(Bxa)의 연장방향을 따라 변화함으로써, 제1 전도성 바(Bx)와 화소 전극(PE) 간 최소이격거리는 제1 몸체부(Bxa)의 연장방향을 따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경우 화소 전극(PE)의 평면 형상을 변경하여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전도성 바(Bx, By)의 몸체부(Bxa. Bxb) 간의 간격을 변화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 장치(1)에 발생할 수 있는 텍스처 등을 제어할 수 있다. 아울러,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전도성 바(Bx, By)의 몸체부(Bxa. Bxb) 간의 이격거리에 따라 리지패턴(Bxb, Byb)의 돌출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화소 전극(PE)의 가장자리와 전도성 바(Bx, By) 사이의 이격공간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암부 발생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제3 가장자리(E3)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제3 가장자리(E3)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도 7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제3 가장자리(E3)를 따라 연장된 제3 몸체부(Bza) 및 제3가장자리(E3)와 마주보는 제3 몸체부(Bza)의 일측에 위치하고 화소 전극(PE)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리지패턴(Bz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1 내지 도 20은 각각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도 5 및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하나의 부영역으로 구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세로 줄기부(PEav)의 단부와 가로 줄기부(PEah)의 단부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기부(PEa)는 L자형상, L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 L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 L자를 180도 회전한 형상 등을 이룰 수 있으며, 화소 전극(PE)은 하나의 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1에서는 줄기부(PEa)가 L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방향으로 뻗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 각각의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좌측 가장자리(또는 제1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1 전도성 바(Bx)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연결부(Cx)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외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 E3)에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화소 전극(PE)의 우측 가장자리(또는 제2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화소 전극(PE)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 도 5, 도 11 및 도 12을 참조하면,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1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제3 몸체부(Bza) 및 복수의 리지패턴(Bzb)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7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 도 5 및 도 13을 참조하면, 도 13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세로 줄기부(PEav)는 가로 줄기부(PEah)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줄기부(PEa)는 T자를 반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 T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 등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PE)은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3에서는 줄기부(PEa)가 T자를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방향 및 좌하방향으로 뻗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 각각의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좌측 가장자리(또는 제1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1 전도성 바(Bx)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연결부(Cx)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외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 도 5의 E3)에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가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화소 전극(PE)의 우측 가장자리(또는 제2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화소 전극(PE)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가 더 위치할 수도 있다.
도 1,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면,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3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제3 몸체부(Bza) 및 복수의 리지패턴(Bzb)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7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 도 5 및 도 15를 참조하면, 도 15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세로 줄기부(PEav)는 가로 줄기부(PEah)의 단부와 연결될 수 있으며, 줄기부(PEa)는 T자형상, T자를 180도 회전한 형상 등을 이룰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소 전극(PE)은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될 수 있다. 도 15에서는 줄기부(PEa)가 T자를 180도 회전한 형상으로 이루어진 경우를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방향 및 우상방향으로 뻗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 각각의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좌측 가장자리(또는 제1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1 전도성 바(Bx)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연결부(Cx)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화소 전극(PE)의 우측 가장자리(또는 제2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2 전도성 바(By)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전도성 바(By)는 제2 연결부(Cy)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이외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면, 도 16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Bz)는 제3 몸체부(Bza) 및 복수의 리지패턴(Bzb)을 포함할 수 있음은 도 7의 설명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
도 1,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도 17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세로 줄기부(PEav)는 제1 세로 줄기부(PEav1) 및 제2 세로 줄기부(PEav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세로 줄기부(PEav1)는 가로 줄기부(PEah)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상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 줄기부(PEav2)는 가로 줄기부(PEah)의 타 단부와 연결되고 하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기부(PEa)는 화소 전극(PE)을 두개의 부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방향 및 우하방향으로 뻗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 각각의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좌측 가장자리(또는 제1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1 전도성 바(Bx)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연결부(Cx)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화소 전극(PE)의 우측 가장자리(또는 제2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2 전도성 바(By)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전도성 바(By)는 제2 연결부(Cy)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바(Bx) 및 제2 전도성 바(Py)는 가지부(PEb)와 마주보고 세로 줄기부(PEav)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외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 도 17 및 도 18을 참조하면, 도 18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7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상측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1, 도 5 및 도 19를 참조하면, 도 19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세개의 부영역으로 구분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예컨대 세로 줄기부(PEav)는 제1 세로 줄기부(PEav1) 및 제2 세로 줄기부(PEav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세로 줄기부(PEav1)는 가로 줄기부(PEah)와 연결되어 T자형상 또는 T자를 180도 회전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제2 세로 줄기부(PEav2)는 가로 줄기부(PEah)의 일 단부와 연결되고 제1 세로 줄기부(PEav1)의 연장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줄기부(PEa)는 화소 전극(PE)을 세개의 부영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가지부(PEb)는 줄기부(PEa)로부터 좌상방향, 우상방향 및 우하방향으로 뻗을 수 있으며, 가지부(PEb) 각각의 단부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서로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화소 전극(PE)의 좌측 가장자리(또는 제1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1 전도성 바(Bx)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1 전도성 바(Bx)는 제1 연결부(Cx)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아울러, 화소 전극(PE)의 우측 가장자리(또는 제2 가장자리)에는 화소 전극(PE)과 마주보는 제2 전도성 바(By)가 위치할 수 있으며, 제2 전도성 바(By)는 제2 연결부(Cy)를 매개로 화소 전극(PE)과 연결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1 전도성 바(Bx) 및 제2 전도성 바(Py)는 가지부(PEb)와 마주보고 세로 줄기부(PEav)와 마주보지 않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외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는 가지부(PEb)들의 단부를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CNz)가 위치할 수 있다.
도 1,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면, 도 20에 도시된 실시예의 경우 도 19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이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에 위치하는 별도의 가지 연결부를 포함하지 않는 점, 화소 전극(PE)의 상측 가장자리(또는 제3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제3 전도성 바(Bz) 및 화소 전극(PE)과 제3 전도성 바(Bz)를 연결하는 제3 연결부(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Fr은 정면 감마 곡선, Re는 비교예의 측면 감마 곡선으로서 전도성 바를 구비하지 않은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 Pr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을 의미한다.
도 21을 참조하면, 전도성 바를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Pr)은 비교예의 측면 감마 곡선(Re)에 비해 상대적으로 정면 감마 곡선(Fr)에 더 가까워짐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측면 시인성이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측면 감마 곡선(Pr)은 전도성 바를 구비함에 따라, 비교예의 측면 감마 곡선(Re)에 비해 상대적으로 완만해진다. 이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측면에서 색상이 급격히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 컬러 왜곡을 개선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전도성 바의 리지패턴이 생략된 경우 한 화소의 일부분에 대한 이미지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서 한 화소의 일부분에 대한 이미지이다. 여기서 한 화소의 일부분으로서 제1 전도성 바 주변부분을 예시적으로 도시하였다.
도 22를 참조하면, 별도의 리지패턴이 생략된 경우, 화소 전극(PE)과 제1 몸체부(Bxa)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암부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전도성 바(Bx)가 제1 몸체부(Bxa) 뿐만 아니라 복수의 리지패턴(Bxb)도 포함하는 경우, 화소 전극(PE)과 제1 몸체부(Bxa)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 발생하는 암부가 도 22에 도시된 경우에 비해 감소됨을 확인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화소 전극과 전도성 바 사이의 이격공간에서 암부가 발생하는 것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투과율을 증가시킬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도 24는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차폐전극 및 제2차폐전극과 함께 도 5에 도시된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형성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6과 함께 도 24를 참고하여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및 본 발명의 한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표시 기판 제조방법에 대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우선, 제1베이스부(SUB1) 위에 게이트 전극(GE), 게이트선(GLn) 및 유지전극선(SLn)을 형성하고, 그 위에 게이트 절연막(GI)을 적층한다. 다음으로 게이트 절연막(GI)위에 반도체층(SM), 복수의 저항성 접촉 부재(Oha, Ohb, Ohc), 그리고 소스 전극(SE), 드레인 전극(DE) 및 데이터선(DLm, DLm+1)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1 패시베이션층(PA1), 유기층(ILA) 및 제2 패시베이션층(PA2)을 순차적으로 형성하고, 제1 패시베이션층(PA1), 유기층(ILA) 및 제2 패시베이션층(PA2)에 접촉구멍(CT)을 형성한다. 다음으로 제2 패시베이션층(PA2) 상에 ITO 또는 IZO 등의 투명한 도전 물질을 적층하고 감광막을 도포한다. 이어서 본 발명의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를 통해 감광막을 노광하여 감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이때 감광막이 빛이 조사되는 부분이 제거되는 양(positive)의 감광성을 가진 경우,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중 도시된 화소 전극(PE)과 대응하는 부분인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 제1 전도성 바(Bx)와 대응하는 부분인 제1 전도성 바 패턴(OBx), 제2 전도성 바(By)와 대응하는 부분인 제2 전도성 바 패턴(OBy), 제1 연결부(Cx)와 대응하는 부분인 제1 연결부 패턴(OCx) 및 제2 연결부(Cy)와 대응하는 부분인 제2 연결부 패턴(OCy)은 불투명할 수 있다. 또한 제1 차폐전극(SHE1)과 대응하는 부분인 제1 차폐전극 패턴(OSHE1) 및 제2 차폐전극(SHE2)과 대응하는 부분인 제2 차폐전극 패턴(OSHE2) 또한 불투명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Ma)은 투명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감광막이 빛이 조사되지 않은 부분이 제거되는 음(negative)의 감광성을 가진 경우,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중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 제1 전도성 바 패턴(OBx), 제2 전도성 바 패턴(OBy), 제1 연결부 패턴(OCx), 제2 연결부 패턴(OCy), 제1 차폐전극 패턴(OSHE1) 및 제2 차폐전극(SHE2)은 투명할 수 있으며, 나머지 부분(Ma)은 불투명할 수 있다.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은 화소 전극(PE)의 줄기부(PEa)와 대응하는 줄기부 패턴(OPEa), 화소 전극(PE)의 가지부(PEb)와 대응하는 가지부 패턴(OPEb), 화소 전극(PE)의 돌출부(PEc)와 대응하는 돌출부 패턴(OPEc) 및 화소 전극(PE)의 가지 연결부(CNz)와 대응하는 가지 연결부 패턴(OCNz)를 포함할 수 있다. 줄기부 패턴(OPEa)은 화소 전극(PE)의 가로 줄기부(PEah)와 대응하는 가로 줄기부 패턴(OPEah) 및 화소 전극(PE)의 세로 줄기부(PEav)와 대응하는 세로 줄기부 패턴(OPEav)을 포함할 수 있다. 서로 이웃하는 가지부 패턴(OPEb)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으며, 특히 제1 전도성 바 패턴(OBx) 및 제2 전도성 바 패턴(OBy)과 마주보는 가지부 패턴(OPEb)의 단부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전도성 바 패턴(OBx)은 제1 전도성 바(Bx)의 제1 몸체부(Bxa)와 대응하는 제1 몸체부 패턴(OBxa) 및 제1 전도성 바(Bx)의 복수의 리지패턴(Bxb)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1덧댐패턴(OBx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덧댐패턴(OBxb)은 리지패턴(Bxb)과 유사하게 제1 몸체부 패턴(OBxa)으로부터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의 제1가장자리(OE1)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유사하게 제2 전도성 바 패턴(OBy)은 제2 전도성 바(By)의 제2 몸체부(Bya)와 대응하는 제2 몸체부 패턴(OBya) 및 제2 전도성 바(By)의 복수의 리지패턴(Byb)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2덧댐패턴(OBy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5는 본 발명의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차폐전극 및 제2 차폐전극과 함께 도 7에 도시된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형성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7 및 도 25를 참조하면, 도 25에 도시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의 가지 연결부(CNz)와 대응하는 가지 연결부 패턴(도 24의 OCNz)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3 전도성 바(Bz)와 대응하는 제3 전도성 바 패턴(OBz) 및 제3 연결부(Cz)와 대응하는 제3 연결부 패턴(O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 패턴(OBz)은 제3 전도성 바(Bz)의 제3 몸체부(Bza)와 대응하는 제3 몸체부 패턴(OBza) 및 제3 전도성 바(Bz)의 복수의 리지패턴(Bzb)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3덧댐패턴(OBzb)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차폐전극 및 제2 차폐전극과 함께 도 8에 도시된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형성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8 및 도 26을 참조하면, 도 26에 도시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경우 도 24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제1 몸체부 패턴(OBxa) 및 제2 몸체부 패턴(OBya) 각각과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 간의 이격거리가 제1 몸체부 패턴(OBxa)의 길이 방향 또는 제2 몸체부 패턴(OBya)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변화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한다. 또한 제1 몸체부 패턴(OBxa) 및 제2 몸체부 패턴(OBya) 각각과 화소 전극 패턴(OPEa, OPEb, OPEc, OCNz) 간의 이격거리가 증가하는 경우 덧댐패턴(OBxb, OByb)의 돌출길이가 증가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예시적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로서 보다 구체적으로 도 1에 도시된 제1 차폐전극 및 제2 차폐전극과 함께 도 9에 도시된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형성하기 위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평면도이다.
도 1, 도 9 및 도 27을 참조하면, 도 27에 도시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경우 도 26에 도시된 바와는 달리, 화소 전극(PE)의 가지 연결부(CNz)와 대응하는 가지 연결부 패턴(도 26의 OCNz)을 포함하지 않는 점, 제3 전도성 바(Bz)와 대응하는 제3 전도성 바 패턴(OBz) 및 제3 연결부(Cz)와 대응하는 제3 연결부 패턴(OCz)를 더 포함하는 점에서 차이점이 존재하며, 이외의 구성은 앞서 설명한 바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3 전도성 바 패턴(OBz)은 제3 전도성 바(Bz)의 제3 몸체부(Bza)와 대응하는 제3 몸체부 패턴(OBza) 및 제3 전도성 바(Bz)의 복수의 리지패턴(Bzb)과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제3덧댐패턴(OBzb)을 포함할 수 있다.
이외 도면에는 미도시하였으나,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구조 변경을 통해 도 11 내지 도 20에 도시된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와 도 1에 도시된 차폐전극을 함께 형성할 수도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를 이용하여 표시 장치를 제조하는 경우, 차폐전극, 화소 전극 및 전도성 바를 하나의 마스크로 제조할 수 있는 바 표시 장치 제조 공정을 간소화 시킬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하며, 아울러 투과율을 향상시킨 표시 장치를 제조할 수 있는 이점이 존재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20)

  1.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는 화소 전극;
    상기 화소 전극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전도성 바; 및
    상기 화소 전극과 중첩 배치된 공통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몸체부,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제1 리지패턴 및 상기 제1 몸체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이웃하는 제2 리지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1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은,
    줄기부 및 상기 줄기부에서 바깥쪽으로 뻗는 복수의 가지부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각각의 단부는 서로 이격된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지 않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의 단부와 연결된 가지 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가지부는,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마주보고 상기 제1 전도성 바의 길이방향을 따라 순차적으로 위치하는 제1 가지부, 제2 가지부 및 제3 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지부와 상기 제2 가지부 사이에는 제1 슬릿이 정의되고,
    상기 제2 가지부와 상기 제3 가지부 사이에는 제2 슬릿이 정의되고,
    상기 제1 리지패턴은 상기 제1 슬릿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되고,
    상기 제2 리지패턴은 상기 제2 슬릿의 단부와 마주보도록 배치된 표시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상기 제2 리지패턴 사이에 정의된 그루브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그루브 패턴은, 상기 제2 가지부의 단부와 마주보는 표시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1 가지부 간 제1 최단간격은,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2 가지부 간 제2 최단간격보다 짧고,
    상기 제1 몸체부와 상기 제3 가지부 간 제3 최단간격은, 상기 제2 최단간격보다 긴 표시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지패턴의 돌출길이는, 상기 제2 리지패턴의 돌출길이보다 짧은 표시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리지패턴과 상기 제1 가장자리 간의 최단간격은,
    상기 제2 리지패턴과 상기 제1 가장자리 간의 최단간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표시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과 이격되어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층에 위치하는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전도성 바는,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리지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제1 방향을 따라 연장된 게이트선; 및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선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1 데이터선;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는,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데이터선과 비중첩하는 표시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데이터선 상에 상기 제1 데이터선과 중첩 배치되고,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이격되고, 상기 화소 전극과 동일한 물질을 포함하는 차폐전극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와 중첩하는 유지전극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 상에 위치하고 상기 게이트선과 절연되어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된 제2 데이터선;
    상기 화소 전극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되고 상기 제2 가장자리와 이격된 제2 전도성 바;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와 상기 화소 전극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바는,
    상기 화소 전극 및 상기 제2 데이터선과 비중첩하고, 상기 제2 방향을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의 일측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화소 전극을 향해 돌출된 리지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6. 화소 전극 패턴;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의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1 전도성 바 패턴; 및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과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연결하는 제1 연결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은,
    상기 제1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1 몸체부 패턴 및 상기 제1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1 몸체부 패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를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1 덧댐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은, 줄기부 패턴 및 상기 줄기부 패턴에서 바깥쪽으로 연장된 복수의 가지부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제1전도성 바 패턴과 마주보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패턴 각각의 단부는 서로 이격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전도성 바 패턴과 마주보지 않는 상기 복수의 가지부 각각의 단부를 서로 연결하는 가지 연결부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몸체부 패턴의 타측 가장자리 측에 상기 제1 전도성 바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차폐전극 패턴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2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의 가장자리 중 상기 제1 가장자리의 반대측 가장자리인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화소 전극 패턴과 이격되어 배치된 제2 전도성 바 패턴; 및
    상기 제2 전도성 바 패턴과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연결하는 제2 연결부 패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도성 바 패턴은,
    상기 제2 가장자리를 따라 연장된 제2 몸체부 패턴 및 상기 제2 가장자리와 마주보는 상기 제2 몸체부 패턴의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상기 화소 전극 패턴을 향해 돌출된 복수의 제2 덧댐패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KR1020160052383A 2016-04-28 2016-04-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KR1025104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83A KR102510444B1 (ko) 2016-04-28 2016-04-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US15/408,559 US10303008B2 (en) 2016-04-28 2017-01-18 Display device and 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383A KR102510444B1 (ko) 2016-04-28 2016-04-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398A true KR20170123398A (ko) 2017-11-08
KR102510444B1 KR102510444B1 (ko) 2023-03-15

Family

ID=60158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383A KR102510444B1 (ko) 2016-04-28 2016-04-28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303008B2 (ko)
KR (1) KR1025104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5305B1 (ko) * 2016-02-23 2022-09-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20190016637A (ko) * 2017-08-08 2019-02-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CN113594180B (zh) * 2021-07-22 2023-09-15 Tcl华星光电技术有限公司 阵列基板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面板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433A (ja) * 2000-06-30 2002-02-06 Hannstar Display Corp Mva型液晶表示器
US20120127067A1 (en) * 2010-11-22 2012-05-24 Au Optronics Corporation Pixel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20160044170A (ko) * 2014-10-14 2016-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885968B2 (ja) * 2006-09-27 2012-02-29 シャープ株式会社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れを備えた液晶表示装置
TWI356247B (en) 2006-10-12 2012-01-11 Chimei Innolux Corp Liquid crystal display
JP4785944B2 (ja) 2008-04-16 2011-10-05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表示装置の製造方法
KR20120081666A (ko) 2010-12-31 2012-07-20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제조용 노광 마스크
KR101844015B1 (ko) 2011-02-24 2018-04-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KR101932649B1 (ko) 2012-03-05 2019-03-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TWI484272B (zh) 2012-10-12 2015-05-1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透明液晶顯示面板之畫素結構
KR102179328B1 (ko) * 2014-04-22 2020-11-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TWI540372B (zh) * 2015-06-25 2016-07-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畫素結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40433A (ja) * 2000-06-30 2002-02-06 Hannstar Display Corp Mva型液晶表示器
US20120127067A1 (en) * 2010-11-22 2012-05-24 Au Optronics Corporation Pixel array substrate and display panel
KR20160044170A (ko) * 2014-10-14 2016-04-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수평 전계형 액정 표시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303008B2 (en) 2019-05-28
KR102510444B1 (ko) 2023-03-15
US20170315411A1 (en) 2017-11-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5305B1 (ko) 액정 표시 장치
TWI382255B (zh) 液晶顯示器及其面板
EP1621924B1 (en) Liquid crystal display and panel therefor
KR101133760B1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5604030B2 (ja) 表示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8599336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KR101112537B1 (ko) 다중 도메인 액정 표시 장치 및 그에 사용되는 표시판
CN106990631B (zh) 液晶显示装置
JP4999875B2 (ja) 多重ドメイン液晶表示装置
CN106444186B (zh) 显示装置
KR2016008747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JP2006023744A5 (ko)
KR102510444B1 (ko)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
KR20170055609A (ko) 표시 장치
KR20080046042A (ko) 표시 패널
US10551707B2 (en) Array substrate and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20090084176A (ko) 액정표시장치
JP2005182048A (ja) 多重ドメイン薄膜トランジスタ表示板及びこれを含む液晶表示装置
US7633589B2 (en) Liquid crystal display
KR20150073240A (ko) 액정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US20170336680A1 (en) Display substrate having improved manufacturability
KR20140102983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20060020893A (ko) 다중 도메인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060074554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KR20060057654A (ko) 박막 트랜지스터 표시판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