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199A -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 Google Patents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199A
KR20170123199A KR1020160052562A KR20160052562A KR20170123199A KR 20170123199 A KR20170123199 A KR 20170123199A KR 1020160052562 A KR1020160052562 A KR 1020160052562A KR 20160052562 A KR20160052562 A KR 20160052562A KR 20170123199 A KR20170123199 A KR 201701231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il
bone
forming
frame
bl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210B1 (ko
Inventor
이충호
차영순
Original Assignee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차영순 filed Critical 전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052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2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231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1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2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4Devices for making drills or furrows with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16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20Tools; Details
    • A01B35/28Rotating tools; Mounting rotating too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5/00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 A01B35/32Other machines for working soil not specially adapted for working soil on which crops are growing with special additional arrangemen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49/00Combined machines
    • A01B49/04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 A01B49/06Combinations of soil-working tools with non-soil-working tools, e.g. planting tools for sowing or fertilising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A01C5/068Furrow packing devices, e.g. press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Abstract

본 발명은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논을 경운하는 경운 작업 및 무논에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하여, 로터베이터를 통해 경운 작업을 하는 한편, 로터베이터에 골 형성장치를 형성하여 작업함으로써, 무논에 경운 작업 및 골 형성작업을 별도의 작업처럼 각각 진행하지 않고 하나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하여 일의 능률 및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에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양을 경운하는 로터베이터;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토양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베이터에는 골 형성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골 형성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Furrow formation is possible Rota cultivators}
본 발명은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무논을 경운하는 경운 작업 및 무논에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작업을 동시에 진행하기 위하여, 로터베이터를 통해 경운 작업을 하는 한편, 로터베이터에 골 형성장치를 형성하여 작업함으로써, 무논에 경운 작업 및 골 형성작업을 별도의 작업처럼 각각 진행하지 않고 하나의 작업으로 동시에 진행하여 일의 능률 및 작업 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도록 한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로터베이터는 무논에 모를 심을 수 있도록, 내장된 로터리날을 통해 논바닥을 갈아엎어 곤죽상태로 만드는 데 사용된다.
여기서, 로터베이터는 트랙터 후방에 위치하고, 트랙터에 승하강이 가능하도록 연결되며, 트랙터의 변속기에 장착된 PTO(power take off)에 로터리날이 연결되어 엔진구동력에 의해 작동된다.
따라서, 상기 로터리날은 논바닥에 일정깊이로 박힌 상태에서 트랙터가 작동되면 로터리날이 고속으로 회전되어 논바닥을 파헤치므로, 트랙터로 로터베이터를 끌고 다니면서 논바닥 전체를 굴곡이 없고 평탄한 곤죽상태로 만들 수 있다.
그러나, 상기 로터베이터는 부분적으로 높낮이가 다른 무논에서 작업을 진행할 때 트랙터가 무논의 골이나 둔덕 등의 고르지 않은 바닥면에서 상하로 흔들리면, 상기 로터베이터가 트랙터와 함께 상하로 승하강되므로, 논바닥이 일정한 깊이로 파헤쳐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트랙터가 흔들려서 로터베이터가 갑자기 하강될 경우, 로터베이터의 로터리날이 논바닥에 깊이 박히게 되고, 그로 인하여 로터리날이나 로터리날을 구동하는 트랙터의 엔진에 큰 부하가 형성되어 고장이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로 인하여, 종래의 트랙터용 로터베이터는 로터리날이 무논의 골 등에 빠지려고 할 때마다 작업자가 로터베이터를 신속하게 들어올리고 골을 벗어나게 되면 다시 신속하게 로터베이터를 하강시켜 로터리날 등에 과부하가 적용되지 않도록 하여야 하는 등의 작업상의 문제점이 있다.
아울러, 작업자는 일일이 로터리날을 골에 빠지지 않도록 주의를 기울이면서 작업을 해야하기 때문에 작업속도가 현저하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40094호(이하 선행문헌 1이라 칭함)에는 "트랙터용 로터베이터"가 개시되어 있다.
선행문헌 1은 트랙터(2)의 후방에 구비된 링크기구(14,16,18)에 장착되어 이 링크기구(14,16,18)에 연결된 유압실린더(6)의 신축에 따라 승강되는 프레임(8)과, 이 프레임(8)의 하측에 장착된 다수개의 로터리날(10)과, 상기 프레임(8)의 후방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하단이 지면에 밀착되어 프레임(8)의 승강에 따라 회동승강되는 덮개(12) 또는 써레를 포함하여 구성된 트랙터용 로터베이터에 있어서, 상기 유압실린더(6)에는 조작에 따라 유압실린더(6)를 신축제어하는 조절밸브(24)가 구비되며, 이 조절밸브(24)에는 상기 덮개(12) 또는 써레의 승강에 따라 조절밸브(24)를 조작하는 제어장치(30,32,34)가 연결되어, 상기 덮개(12)또는 써레가 회동승강됨에 따라 조절밸브(24)가 제어장치(30,32,34)에 의해 자동으로 유압실린더(6)를 신축시켜 프레임(8)을 승강시키므로써, 지면에 대해 일정한 높이를 유지하며, 상기 제어장치(30,32,34)는 프레임(8)에 장착된 브라켓(30)과, 이 브라켓(30)에 승강가능하게 장착되며 그 하단은 상기 덮개(12) 또는 써레에 힌지결합된 커넥팅로드(32)와, 소정의 튜브(38)에 전후진되는 와이어(40)가 내장되며 일단은 상기커넥팅로드(32)에 연결되며 타단은 상기 조절밸브(24)에 연결된 케이블(34)로 구성되어, 상기 덮개(12) 또는 써레의승강에 따라 상기 케이블(34)이 조절밸브(24)를 제어하여, 유압실린더(6)를 신축시킬 수 있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선행문헌 1은 로터베이터를 통해 무논을 일정한 깊이의 곤죽상태로 만들 수 있어 작업이 편리하고,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을 뿐 아니라, 로터리날(10)이나 엔진에 과부하가 작용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선행문헌 1은 무논을 일정한 깊이의 곤죽상태로 만드는 경운 작업 후에 별도의 골 형성 작업을 해야 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골 형성 작업 뿐만 아니라 씨앗을 뿌리는 파종 작업 및 비닐을 씌우는 비닐 피복 작업 등 다른 작업과 병행하여 진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0440094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기존의 로터베이터에 골 형성장치를 적용하여 로터베이터로 인한 경운 작업 및 골 형성장치로 인한 골 형성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아울러, 경운 작업 및 골 형성 작업에 이어서 씨를 뿌리는 파종기를 연결함으로써, 경운 작업과 골 형성 작업과 파종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트랙터에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양을 경운하는 로터베이터;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토양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베이터에는 골 형성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골 형성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로터베이터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경운회전축,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열된 경운날을 포함하고, 상기 골 형성장치는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 형성장치는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부, 상기 골 형성부 양측에 형성되어 흙을 밀어내는 흙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 형성부는 상기 경운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날 결합부, 상기 날 결합부 말단에 형성되는 골 형성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골 형성날은 삽입판, 상기 삽입판 단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판은 토양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가 경사지게 절취된 예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삽입판 상으로 이동된 토양을 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판에 대해 배출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삽입판은 예단부가 서로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흙 배출부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에 연결되는 흙 배출날을 포함하되, 상기 흙 배출날은 상기 골 형성부 바깥으로 흙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골 형성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프레임 후방에는 작업기를 연동시켜 복수의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2차 연결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작업기는 파종기이고, 상기 파종기는 상기 로터베이터의 경운작업, 골 형성작업에 후방하여 파종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비닐을 피복할 수 있도록 비닐을 거치할 수 있는 비닐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덮개에는 피복된 비닐 상부에 흙을 뿌려 고정할 수 있도록 복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무논에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장치를 포함함으로써, 로터베이터를 통한 경운 작업 이후에 별도의 골 형성작업을 할 필요없이 경운 작업 및 골 형성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2차 연결장치를 형성함으로써, 파종기 또는 비닐 피복기 같은 작업기를 추가로 연결하여 경운 작업 및 골 형성 작업뿐만 아니라 파종 작업 또는 비닐 피복 작업같은 다른 작업을 병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2의 프레임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동력전달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2의 로터베이터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도 5의 골 형성날, 흙 배출날, 경운날을 나타낸 모식도
도 7은 도 2의 덮개를 나타낸 사시도
도 8은 도 7의 복토기를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2차 연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는데 이 경우에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에 기재되거나 사용된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가 파악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에 도시된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여기서, 상하좌우, 우측, 좌측, 저면 등 방향과 관련된 표현은 특별한 한정이 없는 한 모두 제시한 도면을 기준으로 기재하고 있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에 따른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로터베이터를 통해 경운 작업을 하는 한편, 골 형성작업을 병행하여 한번의 작업으로 경운 및 골 형성을 할 수 있도록 한 장치이다.
이를 위하여,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는,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트랙터와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프레임(10),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20),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에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토양을 경운하는 로터베이터(30)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토양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40)를 포함하고, 상기 로터베이터(30)에는 골 형성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골 형성장치(A)가 형성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동력전달장치(20), 상기 로터베이터(30) 및 상기 덮개(40)가 결합되어 안정되게 구동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3을 참조하면, 메인프레임(11), 상기 메인프레임(11), 상부에 형성되어 동력농기계(트랙터)와 연결되는 연결장치(13), 상기 연결장치(13)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는 덮개조절장치(15)를 포함한다.
상기 메인프레임(11)은 장방형 판형태의 상부프레임(111), 상기 상부프레임(111) 양측면에 형성되는 판형태의 사이드프레임(113) 및 상기 사이드프레임을 감싸는 사이드프레임커버(11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사이드프레임(113) 측면에는 상기 동력전달장치(20) 및 상기 로터베이터(30)가 연결되는 한편, 연결면 반대쪽 측면에 상기 동력전달장치(20) 및 상기 로터베이터(30)와 각각 연결된 기어 또는 스프로킷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동력전달장치(20)의 동력을 기어결합 또는 체인결합을 통해 상기 로터베이터(30)로 전달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사이드프레임커버(115)는 상기 기어 또는 스프로킷을 감싸도록 형성됨으로써, 이물질이 상기 기어 또는 스프로킷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치(13)는 동력농기계(트랙터)와 연결되는 연결부(131) 및 상기 연결부(131)를 상기 메인프레임(11)에 고정하는 지지프레임(133)을 포함한다.
상기 덮개조절장치(15)는 상기 지지프레임(133)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되는 회전대(151), 상기 연결부(131)와 상기 회전대(151)를 연결되는 실린더(153), 상기 회전대 양측면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40)와 연결되는 완충장치(1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회전대(151)는 상기 실린더(15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되고, 상기 회전대(151)를 상기 완충장치(155) 또한 회전됨으로써, 상기 완충장치(155)에 연결된 상기 덮개(40)는 상기 실린더(15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된다.
상기 동력전달장치(20)는 동력농기계의 동력을 전달하여 상기 로터베이터를 작동시키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4를 참조하면, 동력농기계의 동력취출장치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아 변환시키는 동력변환장치(21), 상기 동력변환장치(21)의 변환된 동력을 상기 로터베이터(30)에 전달하는 동력전달축(2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동력변환장치(21)는 베벨기어를 포함함으로써, 상기 동력취출장치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의 방향을 전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력전달축(23)은 상기 동력변환장치에서부터 형성되어 상기 사이드프레임(113)에 연결되는 한편, 상기 기어 또는 스프로킷에 동력을 전달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상기 로터베이터에 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로터베이터(30)는 동력농기계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양에 경운 작업 및 골 형성작업을 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경운회전축(31),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열된 경운날(33)을 포함하고, 상기 골 형성장치(A)는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된다.
이때, 상기 경운회전축(31)은 상기 사이드프레임(113)에 연결됨으로써, 동력농기계의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운날(33)은 양측으로 복수개의 칼날이 형성됨으로써, 넓은 범위의 토양을 경운 할 수 있다.
상기 골 형성장치(A)는 상기 로터베이터로 경운 작업을 하는 한편, 골 형성작업을 병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부(35), 상기 골 형성부 양측에 형성되어 흙을 밀어내는 흙 배출부(37)를 포함한다.
상기 골 형성부(35)는 상기 경운회전축(31)에 결합되는 회전판(351), 상기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날 결합부(353), 상기 날 결합부 말단에 형성되는 골 형성날(35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골 형성날(355)은 삽입판(355-1), 상기 삽입판 단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동판(355-3)을 포함함으로써, 골 형성 작업시 상기 삽입판이 토양에 삽입되어 회전되는 한편, 상기 삽입판 상으로 이동되는 토양이 상기 이동판(355-3)의 경사면을 따라 외부로 이동됨으로 토양을 배출하기가 용이해진다.
또한, 상기 삽입판(355-1)은 그 단부가 경사지게 절취된 예단부(355-5)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판이 토양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저항을 최소화 하여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고, 토양에 삽입될 때 사용되는 힘의 양도 줄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이동판(355-3)은 상기 삽입판(355-1)에 대해 배출각(355-7)을 갖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판이 상으로 이동되는 토양이 상기 이동판의 배출각을 따라 양측으로 배출된다.
더불어, 상기 예단부(355-5)는 상기 회전판(351)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복수개의 날 겹합부(353)에 따라 서로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형성됨으로써, 무게중심이 어느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무게중심이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으므로 파손의 위험을 줄일 수 있다.
상기 흙 배출부(37)는 상기 경운회전축에 결합되는 배출회전판(371), 상기 배출회전판에 연결되는 흙 배출날(37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흙 배출날(373)은 상기 골 형성부 바깥으로 흙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골 형성부와 대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골 형성부(35)에 의해 형성된 골로 흙이 투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흙 배출날(373)은 골 형성 작업시 토양에 제일 먼저 접촉하는 삽입지점(373-1)의 직경(D1)이 토양에 제일 마지막으로 접촉하는 배출지점(373-3)의 직경(D2)보다 작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삽입지점(373-1) 상으로 이동되는 토양이 상기 배출지점(373-3)으로 이동되는 한편, 원심력으로 인해 외부로 배출된다.
상기 덮개(40)는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토양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한편, 비닐 피복 작업과 피복된 비닐 상에 흙을 뿌리는 복토 작업을 병행하기 위한 구성으로서,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는 베이스커버(41), 상기 베이스커버에 형성되는 비닐거치대(43), 상기 베이스커버에 형성되는 복토기(4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베이스커버(41)에는 배출홀(411)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비산된 토양의 일부를 배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411)을 통해 배출된 토양은 상기 피복된 비닐상에 착지되고, 착지된 토양은 비닐상에서 골형상을 따라 중심부에 적재됨으로써, 피복된 비닐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커버(41)에는 상기 배출홀(411)을 개폐할 수 있는 배출홀셔터13)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홀(411)을 선택적으로 개폐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홀셔터(413)는 탈부착 가능하도록 형성되어 상기 복토기(43)가 형성될 때에는 탈락된다.
상기 비닐거치대(43)는 상기 덮개에 연결되는 연결링크(431), 상기 연결링크에 형성되는 비닐거치축(433), 상기 비닐거치축 단부에 형성되어 비닐 피복 작업 후 비닐을 절단하는 절단날(435)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비닐거치축(433)에는 두루마리 형태의 비닐이 거치되고, 상기 절단날은 비닐의 일부분을 절단함으로써, 절단부위로부터 연속절단반응이 형성되어 비닐이 분리될 수 있다.
상기 복토기(45)는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비산된 토양이 포집되는 흙챔버(451), 상기 흙챔버 내부에 형성되어 포집된 토양을 재비산 시키는 비산팬(453), 상기 비산팬을 구동시키는 모터(455), 상기 비산팬에 의해 비산된 토양을 한 곳으로 배출하기 위한 토양유도가이드(457)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흙챔버(451)는 내부에 상기 배출홀(411)이 포함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상기 배출홀을 통과하는 토양이 상기 흙챔버에 포집된다.
또한, 상기 비산팬(453)은 상기 흙챔버 저부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비산팬 상으로 토양이 포집되고, 상기 비산팬은 회전을 통해 토양을 배출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토양유도가이드(457)는 피복된 비닐 상에 흙을 뿌리되, 상기 골 형성장치(A)에 의해 형성되 골 상에 복토하거나 또는 피복된 비닐 가장자리에 복토함으로써, 피복된 비닐을 안정되게 고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토기(45)는 상기 베이스커버(41) 상에서 복수개 형성될 수 있지만, 상기 배출홀(411)을 통해 배출되는 토양이 골 형상에 따라 적재되지 않는 피복된 비닐 가장자리를 복토하기 위하여,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프레임(10) 후방에는 작업기를 연동시켜 복수의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2차 연결장치(50)를 형성된다.
상기 2차 연결장치(50)는 연결대(51), 상기 연결대 상부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제1 지지대(53), 상기 연결대 하부를 상기 프레임에 연결하는 제2 지지대(55)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연결대(51) 단부에는 연결된 작업기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가 형성됨으로써, 연결된 작업기를 안정되게 구동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기는 씨앗을 뿌리는 파종기를 포함함으로써, 경운 작업 및 골 형성작업에 후방하여 파종작업을 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메인프레임
13 : 연결장치 15 : 덮개조절장치
20 : 동력전달장치 21 : 동력변환장치
23 : 동력전달축 30 : 로터베이터
31 : 경운회전축 33 : 경운날
A : 골 형성장치 35 : 골 형성부
37 : 흙 배출부 40 : 덮개
41 : 베이스커버 43 : 비닐거치대
45 : 복토기 50 : 2차 연결장치

Claims (13)

  1. 트랙터에 연결장치를 통해 연결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트랙터의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장치;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고, 상기 동력전달장치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토양을 경운하는 로터베이터; 및
    상기 프레임에 형성되어 상기 로터베이터에 의해 토양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덮개를 포함하되,
    상기 로터베이터에는 골 형성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골 형성장치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로터베이터는 상기 프레임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경운회전축,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나열된 경운날을 포함하고,
    상기 골 형성장치는 상기 경운회전축 외주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장치는 골을 형성하는 골 형성부,
    상기 골 형성부 양측에 형성되어 흙을 밀어내는 흙 배출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부는 상기 경운회전축에 결합되는 회전판,
    상기 회전판의 둘레를 따라 돌출된 날 결합부,
    상기 날 결합부 말단에 형성되는 골 형성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골 형성날은 삽입판,
    상기 삽입판 단부에 상향 경사지도록 형성된 이동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토양에 삽입될 때 발생하는 저항을 감소시킬 수 있도록, 그 단부가 경사지게 절취된 예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7. 청구항 5 또는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이동판은 상기 삽입판 상으로 이동된 토양을 측면으로 이동시킬 수 있도록 상기 삽입판에 대해 배출각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8. 청구항 6 에 있어서,
    상기 삽입판은 예단부가 서로 순차적으로 엇갈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9.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흙 배출부는 상기 경운회전축에 결합되는 배출회전판,
    상기 배출회전판에 연결되는 흙 배출날을 포함하되,
    상기 흙 배출날은 상기 골 형성부 바깥으로 흙을 밀어내기 위하여 상기 골 형성부와 대향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 후방에는 작업기를 연동시켜 복수의 작업을 병행할 수 있도록, 2차 연결장치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작업기는 파종기이고,
    상기 파종기는 상기 로터베이터의 경운작업, 골 형성작업에 후방하여 파종작업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1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비닐을 피복할 수 있도록 비닐을 거치할 수 있는 비닐거치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13. 청구항 12에 있어서,
    상기 덮개에는 피복된 비닐 상부에 흙을 뿌려 고정할 수 있도록 복토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
KR1020160052562A 2016-04-28 2016-04-28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KR10186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62A KR101864210B1 (ko) 2016-04-28 2016-04-28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562A KR101864210B1 (ko) 2016-04-28 2016-04-28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199A true KR20170123199A (ko) 2017-11-07
KR101864210B1 KR101864210B1 (ko) 2018-06-11

Family

ID=603851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562A KR101864210B1 (ko) 2016-04-28 2016-04-28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210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902A (ja) * 1999-04-13 2000-10-24 Honda Motor Co Ltd ロータリ耕耘機
JP2000300005A (ja) * 1999-04-22 2000-10-31 Kubota Corp 水田除草機
KR100440094B1 (ko) 2001-04-24 2004-07-14 김중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1136593B1 (ko) * 2011-05-23 2012-04-18 박동윤 고랑 성형기
KR20140003094A (ko) * 2012-06-29 2014-01-09 주식회사 그린맥스 킹 로터리 경운장치
KR20140044202A (ko) * 2012-10-04 2014-04-14 주식회사 장 자동화 농작물 경작용 일관작업기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95902A (ja) * 1999-04-13 2000-10-24 Honda Motor Co Ltd ロータリ耕耘機
JP2000300005A (ja) * 1999-04-22 2000-10-31 Kubota Corp 水田除草機
KR100440094B1 (ko) 2001-04-24 2004-07-14 김중호 트랙터용 로터베이터
KR101136593B1 (ko) * 2011-05-23 2012-04-18 박동윤 고랑 성형기
KR20140003094A (ko) * 2012-06-29 2014-01-09 주식회사 그린맥스 킹 로터리 경운장치
KR20140044202A (ko) * 2012-10-04 2014-04-14 주식회사 장 자동화 농작물 경작용 일관작업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210B1 (ko) 2018-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503869B1 (en) Down pressure adjustment assembly for a disc opener of an agricultural implement
KR101193401B1 (ko) 로터리용 배토기
JP6364111B1 (ja) ビニール一貫播種機
JP2004129574A (ja) 複合作業機
KR20030071180A (ko) 직파기
KR102276962B1 (ko) 고구마 수확장치 및 이를 이용하여 고구마를 수확하는 방법
KR20130042817A (ko) 써래기를 갖춘 트랙터용 배토기
KR101142797B1 (ko) 두둑 성형기
KR101864212B1 (ko) 비닐 피복 기능이 구비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KR101320009B1 (ko) 마늘 파종기
KR101283576B1 (ko) 파종기
KR101864210B1 (ko) 골 형성이 가능한 로터베이터를 구비한 작업기
ITTO960038A1 (it) Macchina multi-uso per frutticoltura
AU7189200A (en) Combination rotary & ripper cultivator
CN112088600B (zh) 一种无人驾驶定播的种植方法
CN210352104U (zh) 一种新型播种机
US4884640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EP0166493B1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s
GB2155745A (en) Soil cultivating implement
KR20200046312A (ko) 파종 장치
JP7473999B1 (ja) 耕うん同時畝立て播種機及び耕うん同時畝立て播種方法
CN210781975U (zh) 一种旋耕机构及手扶旋耕机
CN217389358U (zh) 一种用于农作物种植的旱地平整犁
KR102629193B1 (ko) 최소경운 이앙기의 로터리 착탈구조
KR200263923Y1 (ko) 경운기 견인식 주아 파종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