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3032A -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3032A
KR20170123032A KR1020160052155A KR20160052155A KR20170123032A KR 20170123032 A KR20170123032 A KR 20170123032A KR 1020160052155 A KR1020160052155 A KR 1020160052155A KR 20160052155 A KR20160052155 A KR 20160052155A KR 20170123032 A KR20170123032 A KR 2017012303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present
small electronic
recycling
used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수경
손정수
신도연
Original Assignee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지질자원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지질자원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5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3032A/ko
Publication of KR2017012303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303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5/00Operations not covered by a single other subclass or by a single other group in this subcla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00Crushing or disintegrating by reciprocating members
    • B02C1/02Jaw crushers or pulve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00Sieving, screening, sift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using networks, gratings, grids, or the like
    • B07B1/28Moving scree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swinging, reciprocating, rocking, tilting or wobbling 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17Mechanical separating techniques; devices therefor
    • B29B2017/0227Vibratory or shaking 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0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17/02Separating plastics from other materials
    • B29B2017/0213Specific separating techniques
    • B29B2017/0268Separation of met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52Mechanical processing of waste for the recovery of materials, e.g. crushing, shredding, separation or disassembly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2Recycling of waste of electrical or electronic equipment [WEE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은 폐소형가전의 케이스를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케이스 제거 후 파쇄하여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쇄물을 진동입도선별하는 단계와; 진동입도선별 후 와전류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Method of recycling used small electronic appliance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폐소형가전은 2013년까지 생산자책임재활용(EPR) 제도의 대상 제품에 포함되지 않았으나, 2014년부터 법을 개정해 폐소형가전 17개 품목을 재활용 대상으로 확대 지정될 예정이다. 이에 따라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기술 개발이 시급히 필요한 실정이다.
현재 국내에서 발생하고 있는 폐소형전기ㅇ전자제품의 경우, 일반폐기물로 분류되어 대부분 소각을 통한 감량화 후 전량 매립처리 되고 있으며, 철, 구리, 알루미늄, 플라스틱 등과 같은 일부 구성물들을 해체-분해한 후 부분적으로 재활용하고 있다.
이와 같이 부분적으로만 재활용되는 것은 소형 전기전자폐기물은 선별 및 해체하는데 인력과 시간이 많이 소요된다는 점이 재활용에 있어서 첫 번째 문제이며, 컴퓨터나 프린터의 인쇄회로기판의 경우 유용금속의 함유량이 많아서 국내 재활용업체에서도 선호하지만, 소형전자제품에서 나오는 인쇄회로기판은 유용금속의 함유량이 적다는 것이 두 번째 문제이다.
무엇보다도 냉장고, 세탁기 등과 같은 대형 폐가전제품과는 다르게 소형 폐가전은 회수 공정이나 시스템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 재활용 효율이 매우 낮은 문제가 있다.
한국 공개특허 제2002-0053697호(공개일 : 2002. 07. 05)
본 발명의 목적은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은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폐소형가전의 케이스를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케이스 제거 후 파쇄하여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쇄물을 진동입도선별하는 단계와; 진동입도선별 후 와전류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진동입도선별에서는 전선류가 분리될 수 있다.
상기 와전류 선별에서는 금속과 플라스틱이 분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브레이커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분리된 소형가전제품을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입도스크린을 나타낸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선별기를 통해 분리한 플라스틱류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선별기를 통해 분리한 금속류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서의 폐소형가전은,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나, 정수기, 공기청정기, 청소기, 비데, 연수기, 음식물처리기, 가습기, 믹서기, 밥솥, 비디오, 선풍기, 식기건조기(세척기 포함), 전기오븐, 전기히터, 다리미, 전자레인지 및 자판기를 포함한다.
폐소형가전의 경우 크기가 작기 때문에 모터, 콘덴서, 코일, 고무 등의 부품들의 파쇄공전 전에 따로 분리가 어려워 폐소형가전을 통째로 파쇄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이유로 파쇄공정에 부하가 많이 걸리고 파쇄 후 파쇄물 들도 코일 선, 모터 축, 자석, 고무 등 비균일한 형태로 파쇄되어 선별공정을 매우 어렵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소위 '호두까기' 방식의 1차 파쇄(Case Breaker)를 수행하였다. 케이스 브레이커를 사용할 경우 수선 해체공정에서 모터, 콘덴서, 코일, 고무 등의 분리가 용이하여 2차 파쇄(Main Shredder) 공정의 부하를 낮출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쇄물의 형태도 균일하게 하여 파쇄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브레이커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케이스가 분리된 소형가전제품을 나타낸 것이다.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케이스 제거 후, 파쇄를 거쳐 얻은 파쇄물에 대해 진동 입도스크린을 사용하여 분리를 수행한다. 진동입도스크린을 사용할 경우 선별 및 식별이 용이하여, 선별능력이 향상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진동 입도스크린을 나타낸 것이다.
표 1에 진동입도스크린 실험 후 물성 분석 및 성능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진동 입도스크린을 도입하면 300 kg/day의 dust를 적출하여 이후 공정에서 발생되는 분리비용 하루 약 60,000원을 절감할 수 있으며 와전류 선별효율을 90 % 이상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전선류를 미리 적출함으로써 전선류의 엉킴 현상으로 인한 선별공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와전류 선별공정을 통해 폐소형가전의 파쇄물로부터 플라스틱류와 금속류를 약 90 % 이상 선별한다.
분리대상인 금속류는 아래 표 2와 같다.
품명 선별물 조건
구리 에나멜 등의 코팅이 이루어지지 않은 비교적 넓은 단면적의 형태
신주(Brass) 황동, 청동 등 대부분의 구리 합금 분류
알루미늄 순수 알루미늄 형태
스테인리스 304 이물질 오염 또는 협착이 없는 형태
스테인리스 316 이물질 오염 또는 협착이 없는 형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선별기를 통해 분리한 플라스틱류를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와전류 선별기를 통해 분리한 금속류를 나타낸 것이다.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에 있어서,
    폐소형가전의 케이스를 케이스 브레이커를 이용하여 제거하는 단계와;
    케이스 제거 후 파쇄하여 파쇄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파쇄물을 진동입도선별하는 단계와;
    진동입도선별 후 와전류 선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입도선별에서는 전선류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와전류 선별에서는 금속과 플라스틱이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KR1020160052155A 2016-04-28 2016-04-28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KR2017012303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55A KR20170123032A (ko) 2016-04-28 2016-04-28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2155A KR20170123032A (ko) 2016-04-28 2016-04-28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3032A true KR20170123032A (ko) 2017-11-07

Family

ID=60384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2155A KR20170123032A (ko) 2016-04-28 2016-04-28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3032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775752B2 (ja) 家電製品からの有価金属回収方法
JP5011826B2 (ja) 使用済み家電類の処理方法
KR100421591B1 (ko) 파쇄장치, 파쇄방법, 분해방법 및 유가물 회수방법
JP7092889B2 (ja)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組成解析装置、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CN101758025B (zh) 一种气流振动分选机
Tsunazawa et al. Investigation and evaluation of the detachment of printed circuit boards from waste appliances for effective recycling
Wang et al. Integrated process for recycling aluminum electrolytic capacitors from waste printed circuit boards: disassembly, heat treatment and magnetic–eddy current–electrostatic separating
CN103537478A (zh) 一种家电类废物拆解分选回收工艺及设备
JP2012139609A (ja) ミックスメタルの選別方法
Torihara et al. Design of a proper recycling process for small-sized e-waste
KR20170123032A (ko) 폐소형가전의 재활용 방법 및 시스템
JP2003320311A (ja) 廃家電製品の処理方法
JP7076178B2 (ja)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TWI767196B (zh) 電子、電氣機器零件屑之處理方法
JP7029424B2 (ja)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
JP2019025395A (ja) 有価金属回収方法及び回収システム
JP2018164882A (ja) 有価金属回収方法
JP3437803B2 (ja) 廃oa機器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
Bedekovic The use of air separation in recycling CRT TV sets
KR102575902B1 (ko) 전자·전기 기기 부품 스크랩의 처리 방법
JP2006142129A (ja) 廃棄製品のリサイクル処理方法
JP2020093184A (ja) 金属含有廃棄物の処理方法及び処理装置
WO2021201250A1 (ja) 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組成解析方法、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方法、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組成解析装置及び電子・電気機器部品屑の処理装置
JP3681316B2 (ja) 画像処理装置、それを用いた廃棄物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画像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2018167246A (ja) 部品付プリント基板の処理方法及び部品付プリント基板からの有価金属の回収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