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524A - 수소수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수소수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524A
KR20170122524A KR1020160051602A KR20160051602A KR20170122524A KR 20170122524 A KR20170122524 A KR 20170122524A KR 1020160051602 A KR1020160051602 A KR 1020160051602A KR 20160051602 A KR20160051602 A KR 20160051602A KR 20170122524 A KR20170122524 A KR 20170122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ydrogen
water
electrode plate
generating
hydrogen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6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92672B1 (ko
Inventor
방춘영
박상길
장태훈
Original Assignee
방춘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춘영 filed Critical 방춘영
Priority to KR10201600516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92672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92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92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8Control or steering systems not provided for elsewhere in subclass C02F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7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 C02F1/467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by electrochemical disinfection; by electrooxydation or by electroreduction by electrooxyd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1/00Electrolytic production of inorganic compounds or non-metals
    • C25B1/01Products
    • C25B1/02Hydrogen or oxygen
    • C25B1/04Hydrogen or oxygen by electrolysis of water
    • C25B9/08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B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COMPOUNDS OR NON-METALS; APPARATUS THEREFOR
    • C25B9/00Cells or assemblies of cells; Constructional parts of cell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e.g. electrode-diaphragm assemblies; Process-related cell features
    • C25B9/17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 C25B9/19Cells comprising dimensionally-stable non-movable electrodes; Assemblies of constructional parts thereof with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6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 C02F1/46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electrochemical methods by electrolysis
    • C02F1/46104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 C02F1/4618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 C02F2001/46185Devices therefor; Their operating or servicing for producing "ionised" acidic or basic water only anodic or acidic water, e.g. for oxidizing or steriliz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15Electrolytic cell with membranes or diaphragm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2Controlling or monitoring
    • C02F2201/46125Electrical variables
    • C02F2201/4613Inversing polarity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46Apparatus for electrochemical processes
    • C02F2201/461Electrolysis apparatus
    • C02F2201/46105Details relating to the electrolytic devices
    • C02F2201/4616Power supply
    • C02F2201/46165Special power supply, e.g. solar energy or batter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7/00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 C02F2307/02Location of water treatment or water treatment device as part of a bott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01/00Point-like light sour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30Hydrogen technology
    • Y02E60/36Hydrogen production from non-carbon containing sources, e.g. by water electrolysis
    • Y02E60/366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lytic Production Of Non-Metals, Compounds, Apparatuses Therefor (AREA)
  • Water Treatment By Electricity Or Magnetis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용기의 하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가 음용하는 물에 수소가 녹아들 수 있도록 한 수소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1극판과 제2극판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수소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발생부와; 수소수발생부에서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여 수소수발생부에서 수소 및 산성수를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수소수발생부와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여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수소수 발생장치를 용기에 설치하므로 사용자는 수소수 발생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소수를 음용 할 수 있고, 또한, 컨트롤부가 수소수발생부와 결합 및 이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소수발생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수소수 발생장치{Apparatus for making hydrogen water}
본 발명은 수소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음료 용기의 하부에서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어 물에 수소가 녹아들도록 하여 사용자가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소수를 음용 할 수 있도록 한 수소수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소득수준이 향상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수를 생성하는 수소수 제조장치가 휴대형으로 많이 개발되었는데, 물에 수소 이온이 다량 포함된 수소수의 효능이 알려지면서 수소수를 발생시키는 다양한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가 개발되었다.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42565호(2014.9.15. 등록)에 잘 나타나 있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은 외형으로 형성되고, 도 2와 같은 단면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종래기술에 따른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는 도 2의 단면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체(11)에는 수소수를 발생시키는 전기 분해부(16), 전기 분해부(16)을 제어하는 주제어부(18), 전기분해부(16)와 주제어부(18)에 전원을 공급하는 충전식 배터리를 가진 전원부(17), 수소수를 담게 되는 저장용기(12), 저장용기를 덮는 저장용기 커버(13), 개폐 가능한 커버(11-1), 발생되는 수소를 배출하는 가스배출구(15), 커버(11-1)가 분리되지 않게 하는 힌지(11-2), 내부에 환원성 블록 필터가 설치되는 필터 블록 수용체(14)로 구성된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물을 전기분해하는 경우, 수소와 산소가 동시에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분리된 수소와 산소는 다시 결합하여 환원되기 때문에 수소가 물에 용존되어 있는 시간이 적고, 그로 인하여 수소수의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의 종래기술은 수소만을 생성할 수 있도록 주요 기능이 맞춰져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수소 또는 산소를 선별적으로 생산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 수돗물은 전해질이 많이 포함되어 있어 전기분해가 잘 이루어지므로 저 전압을 인가하여 동작시켜도 수소 발생이 잘되지만, 정수된 물, 먹는 샘물과 같은 물은 전해질이 적어서 전기분해가 잘되지 않아서 고 전압을 인가하여 전기분해를 하여야 수소 발생이 잘되는데, 이러한 종래기술에서는 전원 온/오프 기능만 존재하여 사용자가 물의 종류를 감안하여 적절하게 전기 분해의 강도를 조절하는 기능이 없어서, 일반 수돗물에 맞추어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전기분해용 전압이 낮게 인가됨)에 정수된 물 또는 먹는 샘물을 사용하면 너무나 약하게 수소 발생이 되어 사용하기 불편하다.
또한, 정수된 물 또는 먹는 샘물에 맞추어진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전기분해용 전압이 높게 인가됨)에 일반 수돗물을 사용하면, 수소외에 오존등 부산물이 발생될 수 있다.
특허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등록번호 10-1442565호(2014.9.15. 등록)
본 발명은 수소를 생성하는 장치를 작게 구성하여 휴대용 용기나 또는 다른 용기에서 수소의 생성이 용이하도록 한 수소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수소수를 생성하기 위한 부분과 수소수의 생성시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부분을 분리할 수 있도록 하여 수소수를 생성하는 부분의 물청소가 용이한 수소수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는 제1극판과 제2극판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키고, 발생시킨 수소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발생부와; 수소수발생부에서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전원을 공급하여 수소수발생부에서 수소 및 산성수를 선택적으로 생산할 수 있도록 수소수발생부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컨트롤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발생부는 상부에 내부실링과 외부실링이 결합하며 상부 내측에 제1극판이 위치되고, 내측에 복수의 연결전극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와; 제1극판 및 제2극판이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되며, 물 분해를 통해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가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는 격막이 설치되어 베이스부재에 결합하는 격막설치부재와; 제2극판을 격막설치부재 상부에 고정되도록 격막설치부재에 결합하여 베이스부재에 고정되는 지지부재와; 격막설치부재와 지지부재를 고정되도록 베이스부재에 결합하는 덮개와; 베이스부재 하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재와; 베이스부재의 물을 배출할 수 있도록 베이스부재와 연결되어 결합부재에 결합하는 배출부재와; 배출부재에 설치되어 산소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수의 연결전극은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부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의 연결전극 중 하나는 제1극판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극판의 극판돌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컨트롤부는 상부에 배터리가 설치된 케이스와; 수소를 발생할 때, 산소를 발생할 때 각기 다른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 및 연결전극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전극이 설치된 제1기판과; 케이스에 결합하는 캡부재와; 배출부재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의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와; 용기에서 컨트롤부가 착탈 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설치하는 복수의 버튼부재와; 전원 충전, 전원 공급, 배터리의 전원 공급의 제어, 수소 발생 제어, 산소 발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캡부재에 설치하는 제2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버튼부재는 케이스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컨트롤부의 착 탈을 제어하는 슬라이드버튼을 구성하고, 케이스의 버튼설치홈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에 스프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탱크는 결합부재에서 설치한 배출부재의 배수관과 결합하여 베이스몸체에서 배출되는 산소와 결로 현상에 의해 제2극판부에서 발생되는 응축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제2기판에는 배터리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포트와, 배터리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단자와, 배터리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슬라이드스위치와,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한 제어를 하는 제1스위치와, 극성을 바꿔 산성수가 생성되도록 제어하는 제2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수소수 발생장치를 용기에 설치하므로 사용자는 수소수 발생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소수를 음용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컨트롤부가 수소수발생부와 결합 및 이탈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수소수발생부의 세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수소수 발생장치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소 또는 산성수를 발생시켜 이를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일상생활 중 또는 운동 후 수소가 포함된 물을 음용하므로 몸속의 활성산소의 없앨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 증진에 도움이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산성수를 발생시켜 수소수 발생부의 살균세척은 물론 과일 등의 세척에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휴대형 수소수 제조장치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수소수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밸브부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6은 도 4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7은 도 6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내 분리 사시도.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를 첨부된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수소수 발생부의 구성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4의 밸브부재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4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6의 결합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의 컨트롤부의 구성을 나타내 분리 사시도이며, 도 9는 도 8의 결합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내지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크게 수소발생부(100)와 컨트롤부(200)로 구성한다.
상기 수소발생부(100)는 베이스부재(110), 격막설치부재(140), 제1극판(147), 제2극판(148), 지지부재(150), 덮개(160), 결합부재(170) 및 배출부재(180)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부재(110)는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베이스몸체(111)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몸체(111)의 상부에는 제1극판(147)이 설치될 수 있도록 내측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기 컨트롤부(200)에서 공급하는 전원을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으로 공급하여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복수의 연결전극(112)이 스프링와셔, 평와셔 및 너트에 의해 고정되어 베이스몸체(111) 상부와 하부 쪽으로 연설되게 설치하고, 베이스몸체(111)의 상부 외측 둘레에는 외부실링(120)이 결합하는 외부실링결합홈(114)을 형성하며, 내측에는 내부실링(130)을 설치하는 내부실링결합홈(113)을 형성하고, 상기 격막설치부재(140)가 결합할 수 있도록 베이스몸체(111) 상부에 결합봉(115)을 설치한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몸체(111)에 헝성한 외부실링결합홈(114)과 내부실링결합홈(113)에는 외부실링(120)과 내부실링(130)이 각각 설치한다. 상기 외부실링(130)은 덮개(160)와 결합할 때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내부실링(130)은 베이스몸체(111)에 결합하는 격막설치부재(140) 사이의 기밀성을 갖도록 하여 물이 베이스몸체(111)의 하부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격막설치부재(140)는 원통형으로 형성되어 내측 하단의 지름보다 상단 지름이 크게 형성되어 베이스몸체(111)의 내측으로 하부 일측이 인입되도록 설치한다.
상기 격막설치부재(140)는 내측 방향으로 경사지게 원통형으로 형성하여 상부와 하부가 관통되게 이루어지면서 일측에 전극연결홈(143)을 가지며 격막설치몸체(141)를 구성하고, 상기 베이스몸체(111)의 결합봉에 결할 수 있도록 격막설치몸체(141)의 외측 둘레에 일정한 간격을 두고 봉결합공(145)을 갖는 봉결합돌기(144)를 설치하며, 상기 격막설치몸체(141)의 내측에는 제1극판(147)이 설치될 수 있도록 지지대(142)를 설치하고, 상기 지지대(142)의 하부에는 물이 베이스몸체(111) 쪽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물 분해시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는 격막(146)을 설치한다.
상기 격막설치몸체(141)는 상부몸체(141-1)와 하부몸체(141-2)로 이루어져 일반적인 홈(미도시)과 돌기(미부호)에 의해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여 상기 격막(146)이 상부몸체(141-1)와 하부몸체(141-2)에 의해 고정되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극판(147)은 상기 격막설치몸체(141)의 하부에 위치되어 연결전극(112)과 결합할 수 있도록 베이스몸체(111)에 설치한다. 상기 제1극판(147)에는 산소가 발생되도록 다수의 제1극판공(147-1)을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제2극판(148)은 격막설치몸체(141)에 설치하여 물 분해를 통해 수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지고, 중앙 부분에 다수개의 제2극판공(148-1)을 형성하며, 원판형으로 이루어진 일측에 극판돌기(148-2)를 형성하여 전원을 인가받을 수 있도록 격막설치몸체(141)에 형성한 전극연결홈(143)에 설치한다.
상기 지지부재(150)는 격막설치몸체(141)에 형성한 제2극판(148)을 고정할 수 있도록 원형의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내측에 십자방향으로 고정대(153)를 형성하고, 고정대(153)의 내측에는 제2극판(148)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도록 링 형상으로 구성한다.
상기 덮개(160)는 제1극판(147)으로 물이 유입되도록 상부에서 하부로 관통되게 통공(161)을 가지며 원형으로 구성한다. 상기 덮개(160)는 베이스몸체(111)에 결합하여 격막설치부재(140)와 지지부재(150)를 고정하도록 하면서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도 함께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결합부재(170)는 링 형상으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형성되는 결합부재몸체(171)를 구성하고, 상기 결합부재몸체(171)의 일측에는 배출부재설치홈(172)을 형성한다. 상기 결합부재몸체(171)는 베이스몸체(111) 하부에 결합한다.
상기 배출부재(180)는 베이스몸체(111)에서 제2극판(148)에서 물을 분해할 때 제1극판(147)에서 발생하는 산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배수시킬 수 있도록 결합부재몸체(171)에 형성한 배출부재설치홈(172)에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배수공(183)을 갖는 배출몸체(181)를 구성하고, 'ㄴ'자 형상으로 이루어진 배출몸체(181) 하단 일측에는 배출관(182)을 연결하여 컨트롤부(200)의 탱크(250)와 연결되도록 하며, 'ㄴ'자 배출몸체(181) 일측에는 밸브부재(190)를 결합한다.
상기 밸브부재(190)는 밸브몸체(181) 일측 내부에 결합할 수 있도록 원통형으로 형성하는 밸브캡(191)을 설치하고, 상기 베이스몸체(111)에서 배출되는 산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밸브캡(191) 내측에 원통형으로 이루어져 다단으로 구성하는 밸브캡실리콘(192)을 설치하며, 밸브캡실리콘(192)의 일측에 밸브스프링(193)을 설치하고, 상기 배수공(183)을 통해 배출되는 산소의 배출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밸브스프링(193)과 결합하여 밸브캡(191)에 밸브바디(194)를 결합한다.
상기 컨트롤부(200)는 케이스(210), 배터리(220), 제1기판(230), 캡부재(240), 탱크(250), 버튼부재(260), 제2기판(270) 및 마감부재(280)을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210)는 사각형태로 이루어져 상부 내측으로 공간이 형성된 안착홈(211)을 형성하고, 외부 양측에는 버튼설치홈(212)을 상응하게 형성하며, 또 다른 외부 일측에는 탱크설치홈(213)을 형성한다.
상기 배터리(220)는 격막설치부재(140)의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한 제1전극판(147)과 제2전극판(148)에 연결전극(112)을 통해 전원이 공급되도록 케이스(210)의 안착홈(211)에 설치한다.
상기 제1기판(230)은 케이스(210) 안착홈(211)에 설치한 배터리(220)의 상부에 위치되어 배터리(22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에 안정적으로 공급하기 위하여 전원공급제어 및 공급전극(231)을 포함하여 구성한다.
또한, 상기 제1기판(230)의 제어에 의해 공급되는 전원에 의해 수소를 발생시키는지 아니면 산소를 발생시키는 지를 사용자가 파악할 수 있도록 LED램프(232)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LED램프(232)의 빛이 전체적으로 퍼질 수 있도록 LED램프(232)의 상부에 커버(233)가 위치되어 제1기판(230)에 고정된다.
상기 캡부재(240)는 하부가 개방된 상태로 원통형으로 캡몸체(241)로 구성하고, 상기 캡몸체(241)의 상부 중앙에는 커버(233)가 돌출되도록 캡구멍(242)을 형성하며, 캡몸체(241) 일측에는 케이스(210)에 설치한 탱크(250)가 위치될 수 있도록 탱크설치홈(243)을 헝성하고, 상기 캡몸체(241)의 상부에는 탱크(250)로 산소가 유입되도록 배출부재(180)의 배출관(182)이 결합하는 끼움공(244)을 형성하며, 상기 탱크설치홈(243)을 중심으로 양측에 버튼부재(260)가 결합하는 버튼위치홈(245)을 형성한다.
상기 탱크(250)는 배출부재(260)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 일측에 형성한 탱크설치홈(243)에 위치시켜 캡몸체(241)의 끼움공(244)에 결합한다. 상기 탱크(250)에 입구에는 배출부재(190)의 배출관(182)의 일측이 인입되어 결합하거나 또는 이탈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탱크(250)의 하부에는 탱크홀(252)을 갖는 탱크캡(251)이 설치되고, 상기 탱크캡(251)에는 워터가이드(253)와 탱크러버(254) 및 탱크스프링(255)이 설치되며, 상기 워터가이드(253)의 하단에는 탱크버튼(256)이 설치된다.
상기 탱크(250)의 하부에 설치한 탱크버튼(256)을 누르면 워터가이드(253)가 탱크(250)의 상부 쪽으로 이동하고, 동시에 워터가이드에 결합한 탱크스프링(255)이 압축된다. 상기 워터가이드(253)가 탱크 상부로 이동하므로 탱크캡(251)의 탱크홀(252)로 탱크(250) 내에 담긴 산소를 배출한다.
상기 버튼부재(260)는 케이스(210) 측단에 각각 설치한 버튼설치홈(212)에서 이동 가능하게 슬라이드버튼(261)을 설치하고, 상기 슬라이드버튼(261)이 초기 상태로 복귀가 용이하게 슬라이드버튼(261)의 일측에는 스프링(262)이 결합 된다.
상기 슬라이드버튼(261)은 사용자가 손으로 누를 수 있도록 푸쉬부(261-1)가 형성되고, 상기 푸쉬부(261-1)의 일측으로 가이드돌기(261-2)를 형성하여 버튼설치홈(212)의 내측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버튼스프링(262)이 결합되는 스프링돌기(261-3)를 가이드돌기(261-2)의 상부에 형성하고, 상기 스프링돌기(261-3)의 일측에는 용기 내측에 형성한 홈에 결합 및 이탈되도록 돌기(261-5)를 형성하는 편부재(261-4)로 구성한다.
상기 슬라이드버튼(261)을 누르면, 일측에 설치한 버튼스프링(262)을 압축시키면서 버튼설치홈(212)의 내측으로 슬라이드버튼(261)이 이동하고, 슬라이드버튼(261)의 이동에 의해 편부재(261-4)의 돌기(261-5)가 용기의 홈에서 분리되어 사용자가 컨트롤부(200)를 용기에서 이탈시킬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슬라이드버튼(261)을 누르던 힘을 빼면, 스프링돌기(261-3)에 결합된 버튼스프링(262)에 의해 초기 상태로 복귀되면서 슬라이드버튼(261)을 일측으로 밀어 사용자가 누르기 전 상태로 되돌아 간다.
상기 제2기판(270)은 하부에서 설명할 마감부재(280)의 상부에 위치되어 캡부재(240)의 내측에 설치되어 컨트롤의 기능을 한다.
상기 캡부재(270)는 배터리에 전원을 공급하여 충전이 되도록 연결잭이 결합하는 충전포트(271)와, 수소 및 산소를 생산할 수 있도록 전원을 온(on), 오프(off)하는 슬라이드스위치(273)와, 상기 슬라이드스위치(273)를 온(on) 한 상태에서 수소(H2)를 생산하기 위해 조작하는 제1스위치(274)와, 상기 슬라이드스위치(273)를 온(on) 한 상태에서 산성수를 생산하기 위해 조작하는 제2스위치(275)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컨트롤부(200)가 바닥에 놓였을 때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쿠션력이 작용하여 컨트롤부(200)에 충격이 가해지는 것을 방지하는 마감부재(280)가 캡부재(240)의 하부에 결합하며, 상기 마감부재(280)는 캡부재(240)의 하부에 결합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하는 본 발명의 수소수 발생장치를 이용하여 수소수를 생산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수소발생부(100)와 컨트롤부(200)가 설치되는 용기를 구성한다.
상기 용기의 내측에는 물을 분해하여 수소를 발생시키는 수소발생부(100)를 고정하고, 용기의 하부에는 컨트롤부(200)를 착탈 가능하게 설치한다.
상기 용기에 수소발생부(100)와 컨트롤부(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제2기판(270)의 슬라이드스위치(273)를 온(on) 시켜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으로 전원을 인가할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제1스위치(274)를 누르면, 케이스(210) 내측에 안착시킨 배터리(220)의 전원이 제1기판(230)에 설치한 공급전극(231)을 통해 연결단자(272)로 공급되고, 상기 연결단자(272)로 공급되는 전원은 다시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으로 공급된다.
상기 제1극판(147) 및 제2극판(148)으로 공급된 전원에 의해 수소와 산소를 만드는데, 이때 제1극판(147)에서는 수소 생성하고, 상기 제2극판(148)에서는 산소를 생성한다.
상기 제2극판(147)에서 발생한 수소는 물에 녹아들어 수소가 포함된 물을 사용자가 음용 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제2기판(270)에 설치되어 마감부재(280)의 일측으로 돌출되는 제2스위치(275)를 조작하면,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으로 공급되는 전원의 극성을 바꿔 제1극판(147)에서는 수소를 생성하고, 제2극판(148)에서는 산성수를 만든다.
상기 산성수는 자체의 살균력에 의해 살균할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사용자가 산성수가 필요한 경우에 상기의 제1극판(147) 및 제2극판(148)으로 공급하는 극성을 바꿔 산성수를 생성하여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의 극성을 바꿔 물을 분해하여 수소수와 산성수를 생성하는 과정은 당해 기술자라면 쉽게 알 수 있는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배터리의 전원을 충전하기 위해서는 두 가지 방식 중 한 가지를 선택하여 충전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컨트롤부(200)를 용기에서 분리하지 않고 충전포트에 충전짹을 연결하여 사용하는 방식이고, 두 번째는 용기에서 컨트롤부(200)를 분리한 상태에서 충전포트(271)에 충전잭을 연결하여 충전하는 방식이다.
상기 컨트롤부(200)를 용기에서 분리하기 위해서는 케이스(210) 일측에 각각 설치한 슬라이드버튼(261)을 용기 내측 방향으로 밀어 슬라이드버튼(261)에 형성한 돌기(261-5)가 용기의 내측에 홈에서 이탈되도록 한다.
상기 슬라이드버튼(261)을 누르면, 슬라이드버튼(261) 일측에 결합되어 있는 스프링(262)이 압축되면서 버튼설치홈(212)의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돌기(261-5)가 홈에서 이탈된다.
상기 홈에서 돌기(261-5)가 이탈시킨 상태에서 용기의 하부에 결합한 컨트롤부(200)를 하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용기 내측에서 외측으로 컨트롤부(200)가 이탈되어 배터리(220)의 충전이 용이해진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수소수 발생장치를 용기에 설치하므로 사용자는 수소수 발생장치를 휴대한 상태에서 장소와 시간에 구애받지 않고 수소수를 음용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운동 후 수소가 포함된 물을 음용하므로 몸속의 활성산소의 없앨 수 있어 사용자의 건강에 도움이 된다.
100: 수소수발생부 110: 베이스부재
111: 베이스몸체 112: 연결전극
113: 내부실링결합홈 114: 외부실링결합홈
115: 결합봉 120: 외부실링
130: 내부실링 140: 격막설치부재
141: 격막설치몸체 142: 지지대
143: 전극연결홈 144: 봉결합돌기
145: 봉결합공 146: 격막
147: 제1극판 147-1: 제1극판공
148: 제2극판 148-1: 제1극판공
148-2: 극판돌기 150: 지지부재
151: 지지부재몸체 152: 봉체결공
153: 고정대 154: 링부재
160: 덮개 161: 통공
170: 결합부재 171: 결합부재몸체
172: 배출부재설치홈 180: 배출부재
181: 배출몸체 182: 배출관
183: 배출공 190: 밸브부재
191: 밸브캡 192: 밸브캡실리콘
193: 밸브스프링 194: 밸브바디
200: 컨트롤부 210: 케이스
211: 안착홈 212: 버튼설치홈
213: 탱크설치홈 220: 배터리
230: 제1기판 231: 공급전극
232: LED램프 233: 커버
240: 캡부재 241: 캡몸체
242: 캡구멍 243: 탱크설치홈
244: 끼움공 245: 버튼위치홈
250: 탱크 251: 탱크캡
252: 탱크홀 253: 워터가이드
254: 탱크러버 255: 탱크스프링
256: 탱크버튼 260: 버튼부재
261: 슬라이드버튼 262: 스프링
270: 제2기판 271: 충전포트
272: 연결단자 273: 슬라이드스위치
274: 제1스위치 275: 제2스위치
280: 마감부재 281: 고무링

Claims (7)

  1. 수소수 발생장치에 있어서,
    제1극판(147)과 제2극판(148)에 의해 물을 분해하여 수소와 산성수를 발생시키고, 수소를 통해 수소수를 생성하는 수소수발생부(100)와;
    전원을 공급하여 수소수발생부(100)에서 수소 및 산성수를 선택적으로 생성할 수 있도록 수소수발생부(100)와 결합하여 제어하는 컨트롤부(2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소수발생부(100)는,
    상부에 내부실링(130)과 외부실링(120)이 결합하며 상부 내측에 제1극판(147)이 위치되고, 내측에 복수의 연결전극(112)이 설치되는 베이스부재(110)와;
    제1극판(147) 및 제2극판(148)이 하부와 상부에 각각 위치되며, 물 분해를 통해 발생하는 수소와 산소가 서로 섞이지 않도록 분리하는 격막(146)이 설치되어 베이스부재(110)에 결합하는 격막설치부재(140)와;
    제2극판(148)을 격막설치부재(140) 상부에 고정될 수 있도록 격막설치부재(140)에 결합하여 베이스부재(110)에 고정되는 지지부재(150)와;
    격막설치부재(140)와 지지부재(150)가 고정되도록 베이스부재(110)에 결합하는 덮개(160)와;
    베이스부재(110) 하부에 결합하는 결합부재(170)와;
    베이스부재(110)와 연결되어 산소를 배출할 수 있도록 결합부재(170)에 결합하는 배출부재(180)와;
    배출부재(180)에 설치되어 산소의 배출을 제어하는 밸브부재(19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연결전극(112)은,
    수소와 산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컨트롤부(200)에서 공급되는 전원을 복수의 연결전극(112) 중 하나는 제1극판(147)에 연결되고, 다른 하나는 제2극판(148)의 극판돌기(148-2)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트롤부(200)는,
    상부에 배터리(220)가 설치된 케이스(210)와;
    수소를 발생시킬 때 또는 산소를 발생시킬 때 각기 다른 빛을 조사하는 LED램프(232) 및 연결전극(112)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공급전극(231)이 설치된 제1기판(230)과;
    케이스(210)에 결합하는 캡부재(240)와;
    배출부재(180)를 통해 배출되는 산소를 저장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의 일측에 설치되는 탱크(250)와;
    용기에서 컨트롤부(200)가 착탈 될 수 있도록 케이스에 설치하는 복수의 버튼부재(260)와;
    전원 충전, 전원 공급, 배터리(220) 전원공급의 제어, 수소 발생 제어, 산성수 발생을 제어할 수 있도록 마감부재(280) 상부에 위치되어 캡부재(240) 내측에 설치되는 제2기판(270)와;
    케이스(210) 하부에 설치되는 마감부재(28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버튼부재(260)는,
    컨트롤부(200)의 착탈을 제어할 수 있도록 케이스(210)에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드버튼(261)을 구성하고,
    케이스(210)의 버튼설치홈(2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복수의 슬라이드버튼(261)에 스프링이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탱크(250)는,
    결합부재(170)에서 설치한 배출부재(180)와 결합하여 베이스몸체(111)에서 배출되는 산성수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판(270)은,
    배터리(220)로 전원을 충전하는 충전포트(271)와,
    배터리(220)로 전원을 공급하는 연결단자(272)와,
    배터리(220)의 전원 공급을 제어하는 슬라이드스위치(273)와,
    수소를 발생시키기 위해 컨트롤부(200)에 제어를 하는 제1스위치(274)와
    극성을 바꿔 산성수가 생성되도록 제1기판(230)에 신호를 인가하는 제2스위치(27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소수 발생장치.
KR1020160051602A 2016-04-27 2016-04-27 수소수 발생장치 KR101892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02A KR101892672B1 (ko) 2016-04-27 2016-04-27 수소수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602A KR101892672B1 (ko) 2016-04-27 2016-04-27 수소수 발생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524A true KR20170122524A (ko) 2017-11-06
KR101892672B1 KR101892672B1 (ko) 2018-08-28

Family

ID=603842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602A KR101892672B1 (ko) 2016-04-27 2016-04-27 수소수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9267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435A4 (en) * 2018-10-30 2022-08-24 Gohda Water Treatment Technology Co., Inc. HYDROGENATED WATER AND STERILE WATER PRODUCTION DEVICE
KR20230131604A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바이온텍 클리닝 구조를 갖는 수소수기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45B1 (ko) * 2009-03-04 2009-11-19 조금일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KR101442565B1 (ko)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JP2015131295A (ja) * 2014-01-13 2015-07-23 ソルゴ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携帯型水素水製造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7445B1 (ko) * 2009-03-04 2009-11-19 조금일 살균수 생성 유닛, 이를 포함하는 살균수 생성 카트리지 및살균 세탁기
JP2015131295A (ja) * 2014-01-13 2015-07-23 ソルゴ バイオメディカル カンパニーリミテッド 携帯型水素水製造装置
KR101442565B1 (ko) 2014-02-26 2014-09-22 한동하이드로 주식회사 휴대용 기능성 수소수 제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875435A4 (en) * 2018-10-30 2022-08-24 Gohda Water Treatment Technology Co., Inc. HYDROGENATED WATER AND STERILE WATER PRODUCTION DEVICE
KR20230131604A (ko) * 2022-03-07 2023-09-14 주식회사 바이온텍 클리닝 구조를 갖는 수소수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92672B1 (ko) 2018-08-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08795B2 (en) Apparatus for generating functional water
TW200307648A (en) Electrolyzed water spraying device
KR101575164B1 (ko) 기능수 생성장치
JP5541588B2 (ja) スプレーディスペンサ
US20180209050A1 (en) Hydrogen generation apparatus
KR101020982B1 (ko) 이온수기
KR101739509B1 (ko) 수소수 생성장치
KR101892672B1 (ko) 수소수 발생장치
KR20160133617A (ko) 초음파 수소수 미스트 발생장치
KR10168310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101748789B1 (ko) 수소함유수 제조 장치
KR20190030836A (ko) 수소수기
TWM547314U (zh) 可製造水素水之水杯
KR101935568B1 (ko) 수소 함유 화장수 제공장치 및 방법
KR101695673B1 (ko) 스파용 수소수 제조장치
JP3198341U (ja) 簡易電解式水素水生成器
KR101892673B1 (ko) 휴대용 수소수 물병
KR20220059302A (ko) 전해수 자동 분무 헤드 및 이를 포함하는 전해수 생성기
KR101036381B1 (ko) 알칼리 이온수기
CN107981666B (zh) 一种新型富氢水杯
KR20160117990A (ko) 포트식 수소수기용 수조통 구조
KR101598021B1 (ko) 차의 풍미를 유지할 수 있는 용기
KR101945944B1 (ko)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KR101906152B1 (ko) 기능수 생성모듈 및 기능수 생성기기
JP2018030119A (ja) 水素水生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