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050A -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 Google Patents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050A
KR20170122050A KR1020160051134A KR20160051134A KR20170122050A KR 20170122050 A KR20170122050 A KR 20170122050A KR 1020160051134 A KR1020160051134 A KR 1020160051134A KR 20160051134 A KR20160051134 A KR 20160051134A KR 20170122050 A KR20170122050 A KR 201701220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voltage
compensation
generating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1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6709B1 (ko
Inventor
김정한
Original Assignee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1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46709B1/ko
Publication of KR201701220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0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67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67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14Estimation or adaptation of machine parameters, e.g. flux, current or voltag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0003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02P21/0021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using different modes of control depending on a parameter, e.g. the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1/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electric machines by vector control, e.g. by control of field orientation
    • H02P21/22Current control, e.g. using a current control loop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H02P27/0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 H02P27/085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with pulse width modulation wherein the PWM mode is adapted on the running conditions of the motor, e.g. the switching frequenc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인 모터의 V/F 일정제어에서 저속 과부하 기동 시 토크 성분 변수를 피드백 받아 출력전압 지령을 조정하여 모터가 기동 불가능인 경우에도 기동이 가능하도록 보상전압을 추가하여 기동특성을 향상시킨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에 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보상전압 생성 시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인 모터의 저항 성분을 이용하여 모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보상전압을 생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인 모터의 저항 성분을 이용하여 기동 제어를 이룸으로써 모터 구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마다 용량 및 정격 전류가 상이하여 모터가 적용된 시스템마다 모터 전압 이득 선정의 어려움을 간단하게 해결하여 과부하 시스템 현장에서 기동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용량 별 전압 이득값을 실험적으로 구하고 이를 별도의 파라메타로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모터의 용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 성분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전압 이득값을 보상함으로써, 메모리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VOLTAGE COMPENSATION METHOD FOR MOTOR CONTROL INVERTER}
본 발명은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에 대한 것으로서, 특히 모터 파라메타 중 저항성분으로 모터의 용량을 판단하여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직류/교류 변환을 수행하는 장치를 인버터라 정의하며 교류/직류변환을 수행하는 장치를 컨버터라 정의한다. 여기서, 모터 제어용 인버터 중 V/F 일정제어 방식의 경우, 설정된 운전 지령 주파수로 출력전압 지령값을 얻고, 이를 모터에 적합한 전압으로 변환하여 모터를 제어한다. 여기서, 모터는 일반적으로 용량이 모두 상이하며, 이에 따라 전압 이득도 상이하다. 따라서, 종래에는 모터마다 상이한 전압 이득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블록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정된 운전 지령 주파수로부터 출력전압 지령값을 얻는 전압지령 생성부(10)와, 출력전압 지령값으로부터 출력된 위치 정보로부터 좌표변환을 통해 정지 좌표계 상의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나타내는 제1 좌표변환부(20),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의 DC 링크 전압이 흔들려도 모터 정격에 맞게 전압을 출력하는 자동 전압조정부(30), 3상의 전압을 인가하기 위해 펄스 폭 변조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기법이 적용된 PWM 입력전압 지령부(40) 및 PWM 발생부(50), 부하인 모터와 인버터 사이의 실제 출력전류를 동기 좌표계 상의 자속측 전류 성분(id)과 토크축 전류 성분(Iq)으로 변환하는 제2 좌표변환부(60), 토크 전류 성분을 기반으로 고조파를 제거하는 필터(70), 미리 테이블화되어 메모리에 저장된 모터용량과 전압 이득으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보상전압 생성부(80)를 포함한다. 보상전압 생성부(80)는 유도전동기에서 슬립이 늘어나면 초기 과전류가 크게 흐르기 때문에 이에 따른 적절한 슬립 보상을 해주는 과정과 Boost 전압 이득을 넣는 보상전압 생성부를 거처서 기존 V/F 일정제어에 전압을 보상해주는 것으로 큰 기동토크가 필요할 때나 자동 조정기능을 사용할 때 사용을 한다. 여기서,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는 개루프 루프 형태의 V/F 일정제어 방식으로 회전자 위치 센서가 없는 경우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 회전자 위치 센서를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조의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는 저속에서 고정자 저항에 의한 전압 강하로 인하여 V/F 일정 제어를 하면, 공극 자속이 감소하여 출력 토크가 감소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이를 보상하기 위해 저속에서 전압을 상승 시키는 것을 기동 제어 또는 토크 부스트라고 한다.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는 일반적인 인버터 V/F 운전에서 토크 부스트 형태 기동 제어 방법은 오토튜닝으로 얻어진 고정자 저항(Rs, 저항 성분), 누설 인덕턴스(Ls), 무부하전류의 값과 독립적으로 토크분 전류와 슬립, 모터 용량으로부터 보상 전압을 생성하는 방식으로 비교적 간단하게 기동 전압을 출력 전압 지령에 더하여 비교적 부하가 큰 산업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기술이다. 토크분 전류인 q축 전류는 피드백 받지만, 모터에 대한 파라메타 정보를 이용하지 않으므로, 파라메타 오차로 인한 기동실패에는 강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다만 모터가 적용된 시스템에 대한 정보가 불확실 하기 때문에 전압이득(%)이 시스템마다 상이하다.
이럴 경우 해결방안으로는 적어도 용량 별로 실험적으로 기본 전압이득을 선정하여 테이블화 해야 하며, 실험적으로 이득을 선정하는 범위가 얼마만큼 차이가 나는지를 시스템 마다 고려해야 한다. 실험적으로 범용인버터 사용을 위한 각 용량 별 전압이득의 기본값을 테이블화하여 용량 별로 기본 이득 값을 저장하는 방법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는 메모리 공간 추가 사용이 부담스러운 경제형 범용 인버터에서는 한계점으로 볼 수 있다.
결국 경제형 인버터에 메모리 부담을 줄이며, 오토튜닝으로 인한 파라메타 오차 때문에 파라메타를 사용하지 않고 측정값인 토크분 전류를 이용하는 기동 제어 방식은 시스템 마다 다른 부정확한 전압 게인으로 튜닝의 어려움과 전압 보상값 오차가 커지게 되면 큰 기동 토크에서 운전이 실패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범용 인터버 기동토크 제어 시 출력전류의 토크 성분 전류로부터 큰 기동토크가 요구되거나 큰 부하변동이 적용되는 분야에서 모터의 운전 실패가 발생되지 않고 안정적으로 동작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보상전압 생성 시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인 모터의 저항 성분을 이용하여 모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보상전압을 생성한다. 이는 구체적으로, 교류 전원을 모터를 구동하는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모터의 파라메타 중 저항 성분 및 상기 모터의 기본 전압이득값으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여기서, 상기 모터의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모터의 파라메타 중 저항 성분 및 상기 모터의 기본 전압이득값으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 사이의 출력전류를 동기 좌표계 상의 토크 축 전류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전압 이득값과 상기 저항 성분을 곱하여 부스트 변수 생성부가 부스트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부스트 변수를 곱하여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전압 지령값으로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인 모터의 저항 성분을 이용하여 기동 제어를 이룸으로써 모터 구동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모터마다 용량 및 정격 전류가 상이하여 모터가 적용된 시스템마다 모터 전압 이득 선정의 어려움을 간단하게 해결하여 과부하 시스템 현장에서 기동 제어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모터의 용량 별 전압 이득값을 실험적으로 구하고 이를 별도의 파라메타로 메모리에 저장하지 않고, 모터의 용량에 따라 상이한 저항 성분을 실시간으로 획득하여 전압 이득값을 보상함으로써, 메모리 부담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전압 생성부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의 순서도.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블록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10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전원을 정류하는 정류부(110)와, 정류부(110)에서 정류된 정류 전원으로 모터를 제어하는 운전부(120), 운전 지령 주파수로부터 생성된 출력전압에 모터의 저항성분 파라메타와 기본 이득값으로 생성된 보상전압을 적용하여 운전부(120)를 제어하는 제어부(1000)를 포함한다.
정류부(1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직류로 변환하는 AC/DC 정류기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교류전원으로 3상 교류전원을 예시하며, 모터로 유도 전동기를 예시한다. 또한, 정류부(110)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3상 교류전원이 변환된 직류전원을 후술될 운전부(120)에 인가한다.
운전부(120)는 정류부(110)에서 인가된 직류전원을 후술될 제어부에서 인가되는 제어신호에 따라 유도 전동기 제어전원으로 변환하여 유도 전동기에 출력한다. 여기서, 운전부(120)에서 변환되는 유도 전동기 제어전원은 펄스 폭 변조(Pulse Width Modulation, PWM; 이하 PWM이라 함) 방식으로 변환된 펄스파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어부(1000)는 운전 지령 주파수로부터 출력전압을 생성하고 이를 PWM 방식으로 변환한 제어신호를 운전부(120)에 출력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출력전압 생성 시 출력전압 보상을 위한 보상전압을 생성하며, 이에 따라, 제어부(1000)는 전압지령 생성부(130)와, 제1 좌표변환부(140), 자동 전압조정부(150), 제어신호 발생부(160), 제2 좌표변환부(170), 보상전압 생성부(180)를 포함한다.
전압지령 생성부(130)는 설정된 운전지령 주파수로부터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한다. 여기서, 본 발명은 V/F 방식으로 제어되며, 이에 따라, 전압지령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출력전압 지령값은 설정된 운전지령 주파수와 비례한다.
제1 좌표변환부(140)는 전압지령 생성부(130)에서 생성된 출력전압 지령값의 위치 정보로부터 좌표변환을 통해서 정지 좌표계 상의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한다.
자동 전압조정부(150)는 제1 좌표변환부(140)에서 생성된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의 DC 링크 전압이 흔들려도 자동 전압조정에 의해 유도 전동기 정격에 맞게 3상 출력전압을 출력한다.
제어신호 발생부(160)는 자동 전압조정부(150)에서 조정된 3상 출력전압을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어신호를 발생시킨다. 여기서, 제어신호 발생부(160)는 3상의 출력전압을 인가하기 위해서 IGBT(insulated gate bipolar mode transistor)에 PWM 제어 신호를 인가하기 위한 스위칭 기법과정을 거치게 된다.
제2 좌표변환부(170)는 부하인 유도 전동기와 인버터 사이의 실제 출력전류를 변환한다. 여기서 변환되는 출력전류는 동기 좌표계 상의 자속축과 토크축 전류 성분이며, 자속축은 Id, 토크축 전류 성분은 Iq로 변환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보상전압 생성부(180)의 블록도이다.
보상전압 생성부(180)는 오토튜닝(auto tuning)을 통해 획득한 유도 전동기의 파라메타 정보 중 저항 성분, 즉, 고정자 저항(Rs) 성분을 이용하여 유도 전동기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보상전압을 생성하여 전압지령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한다. 이를 위해서, 보상전압 생성부(180)는 필터(181)와 증폭부(182) 및 부스트 변수 생성부(183)를 포함한다.
필터(181)는 토크 전류 성분의 고조파를 제거한다. 이를 위해서, 필터(181)는 토크 전류 성분의 저역을 통과시켜 고조파를 제거하는 로우 패스 필터(low pass filter, LPF)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필터(181)에는 제2 좌표변환부(170)에서 변환된 토크축 전류 성분인 Iq와 필터 이득(filter gain)이 입력된다.
증폭부(182)는 필터(181)에서 고조파가 필터링된 토크축 전류 성분을 전류 보상 기준값과 비교하여 필터링된 토크축 전류 성분이 전류 보상 기준값 이상일 경우, 전류 보상 기준값보다 초과한 값만큼 보상한다. 물론, 필터링된 토크축 전류 성분이 전류 보상 기준값 이하일 경우 보상을 하지 않고 필터링된 토크축 전류 성분을 그대로 사용한다.
부스트 변수 생성부(183)는 기본 전압 이득과 전술된 오토튜닝을 통해 획득한 저항 성분인 고정자 저항 성분을 곱하여 부스트 변수를 생성한다. 슬립은 유도 전동기마다 상이하며 슬립이 클수록 슬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유도 전동기의 초기 기동 전류가 크게 나타난다. 이때, 유도 전동기의 초기 기동 전류의 급격한 상승으로부터 유도 전동기를 보호하기 위해서, 초기 슬립이 발생되었을 경우, 보상전압을 추가하여 유도 전동기의 기동 제어가 되도록 한다. 또한, 유도 전동기 내부 인덕턴스 등 다른 유도 전동기 파라메타보다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 정보인 저항 성분만을 전압 이득에 곱하여 전압을 보상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의 정보를 저항 성분을 통해 얻고 이에 맞춰 기본 전압이득값을 수정하므로, 유도 전동기의 용량 별 기본 전압이득값을 수정하지 않아도 된다. 또한, 저항 성분으로 전압 이득값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어 유도 전동기마다 상이한 전압 이득값 선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부스트 변수 생성부(183)에서 생성된 부스트 변수와 증폭부(182)를 통과한 토크 축 전류 성분을 곱하여 보상전압(Vcomp)을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보상전압은 전압지령 생성부(130)가 입력되어 전압지령 생성부(130)에서 생성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유도 전동기에 맞게 보상한다.
한편, 본 발명은 너무 큰 보상전압이 전압지령 생성부(130)에 입력되지 않도록 제한하는 보상전압 제한부(18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도 전동기에서 슬립이 증가하면 슬립을 감소시키기 위해서 유도 전동기에 초기 과전류가 흐르게 되므로, 적절한 슬립 보상을 해준다. 또한, 범용 인버터의 경우 용량마다 기본 이득이 상이하여 메모리에 상이한 기본 이득을 추가하여 메모리 부담을 주는 것을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은 비교적 정확한 파라메타 정보인 저항 정보를 이용한다. 이에 따라, 기본 이득을 일정하게 하더라도 보상전압 생성부(180)에서 부스트 전압 이득을 추가하여 기존의 V/F 일정제어에 전압을 보상해주는 것으로 큰 기동토크가 필요할 때나 자동 조정기능을 사용할 때 유도 전동기의 기동실패를 방지할 수 있다.
다음은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후술할 내용 중 전술된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설명과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의 순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단계(S1)와,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 보상전압에 따라 모터를 제어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단계(S1)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교류전원을 정류부가 직류전원으로 변환한다. 본 실시예는 교류전원으로 3상 교류전원을 예시하며, 3상 교류전원에 의해 작동되는 모터는 유도 전동기를 예시한다.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는 3상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단계(S1)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을 보상할 보상전압을 생성한다. 이와 같이, 보상전압을 생성하기 위해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는 토크 축 전류값을 변환하는 단계(S2-1)와, 부스트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S2-2), 및 토크 축 전류값과 부스트 변수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3)를 포함한다.
토크 축 전류값을 변환하는 단계(S2-1)는 부하인 유도 전동기와 인버터 사이의 실제 출력전류를 제2 좌표변환부가 변환한다. 이에 따라, 동기 좌표계 상의 토크 축 전류값이 변환된다.
부스트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S2-2)는 부스트 변수 생성부가 기본 전압 이득과 저항 성분을 곱하여 부스트 변수를 생성한다. 여기서, 기본 전압 이득은 기본적으로 설정된 전압 이득이며, 저항 성분은 모터의 파라메타 정보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 중 하나이다. 즉, 기본 전압 이득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는 정보이며, 저항 성분은 모터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정보이다. 물론, 저항 성분 역시 모터의 종류에 따라 메모리에 테이블화하여 저장할 수는 있으나, 본 발명은 메모리를 추가적으로 사용하지 않기 위해서 모터로부터 실시간으로 획득하는 것을 예시한다.
토크 축 전류값과 부스트 변수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3)는 토크 축 전류값을 변환하는 단계(S2-1)에서 변환된 토크 축 전류값과 부스트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S2-2)에서 생성된 부스트 변수를 곱하여 보상전압을 생성한다.
보상전압에 따라 유도 전동기를 제어하는 단계(S3)는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에서 생성된 보상전압에 따라 모터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이러한 보상전압에 따라 유도 전동기를 제어하는 단계(S3)는 보상전압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하는 단계(S3-1)와, 3상 출력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단계(S3-2), 자동 전압 조정 단계(S3-3),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4)를 포함한다.
보상전압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하는 단계(S3-1)는 전압지령 생성부가 설정된 운전지령 주파수로부터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할 때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S2)에서 생성된 보상전압만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한다.
3상 출력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단계(S3-2)는 보상전압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하는 단계(S3-1)에서 보상전압만큼 보상된 출력전압 지령값으로 전압지령 생성부가 3상 출력전압 지령을 생성한다. 여기서, 전압지령 생성부는 보상전압만큼 보상된 출력전압 지령값의 위치 정보로부터 좌표변환을 통해 정지 좌표계 상의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할 수 있다.
자동 전압 조정 단계(S3-3)는 3상 출력전압 지령을 생성하는 단계(S3-2)에서 생성된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의 전압을 자동 전압조정부가 자동으로 조정한다. 이에 따라,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의 전압은 흔들림 없이 모터의 정격에 맞게 자동으로 조정된다.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S3-4)는 자동 전압 조정 단계(S3-3)에서 자동으로 전압이 조정된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제어신호 발생부가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변환하여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또한, 생성된 제어 신호에 따라 교류 전원을 정류하는 단계(S1)에서 정류된 직류전원이 제어되어 모터에 인가된다.
전술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Claims (3)

  1. 교류 전원을 모터를 구동하는 직류전원으로 정류하는 단계와,
    상기 모터의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모터의 파라메타 중 저항 성분 및 상기 모터의 기본 전압이득값으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의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모터의 파라메타 중 저항 성분 및 상기 모터의 기본 전압이득값으로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모터와,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 사이의 출력전류를 동기 좌표계 상의 토크 축 전류값으로 변환하는 단계와,
    상기 기본 전압 이득값과 상기 저항 성분을 곱하여 부스트 변수 생성부가 부스트 변수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토크 축 전류값과 상기 부스트 변수를 곱하여 보상전압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출력전압 지령값을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보상하여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는,
    상기 보상전압에 따라 출력전압 지령값을 보상하는 단계와,
    상기 출력전압 지령값으로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3상 출력전압 지령값을 펄스 폭 변조 방식으로 변환하여 상기 직류전원을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KR1020160051134A 2016-04-26 2016-04-26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KR1025467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34A KR102546709B1 (ko) 2016-04-26 2016-04-26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134A KR102546709B1 (ko) 2016-04-26 2016-04-26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50A true KR20170122050A (ko) 2017-11-03
KR102546709B1 KR102546709B1 (ko) 2023-06-21

Family

ID=603839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134A KR102546709B1 (ko) 2016-04-26 2016-04-26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4670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270A (ko) * 2018-02-01 2019-08-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979A (ja) * 1997-07-11 1999-02-12 Hitachi Ltd 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41979A (ja) * 1997-07-11 1999-02-12 Hitachi Ltd インバータの制御方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3270A (ko) * 2018-02-01 2019-08-09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인버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46709B1 (ko) 2023-06-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83568B2 (en) Motor drive using flux adjustment to control power factor
US9312779B2 (en) Position sensorless open loop control for motor drives with output filter and transformer
US9257931B2 (en) Power conversion apparatus
EP2858233B1 (en) High dynamic control apparatus for current source converter background
US20100231150A1 (en) Power converter and motor driving system
US20130181654A1 (en) Motor drive system employing an active rectifier
US9800189B2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inverter
US11601080B2 (en) Motor control device
KR102546709B1 (ko) 모터 제어용 인버터의 전압보상 방법
AU2020371391B2 (en) Power conversion device
JP6769050B2 (ja) モータ制御装置
KR101996838B1 (ko) 유도 전동기 제어 시스템
JP2020137286A (ja) 電動機駆動システムおよび電動機駆動システムにおけるインバータ制御方法
RU2666125C1 (ru) Трехфазное устройство преобразования мощности с фиксированной нейтральной точкой
US11682998B2 (en) Motor control method and motor control apparatus
JP4061517B2 (ja) 交流電動機の可変速制御装置
JP7356395B2 (ja) 電力変換装置
JPH10262399A (ja) 誘導電動機の制御装置
JP5334920B2 (ja) 負荷駆動装置
JPH0731192A (ja) 可変速駆動システムの制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