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2031A -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2031A
KR20170122031A KR1020160051086A KR20160051086A KR20170122031A KR 20170122031 A KR20170122031 A KR 20170122031A KR 1020160051086 A KR1020160051086 A KR 1020160051086A KR 20160051086 A KR20160051086 A KR 20160051086A KR 20170122031 A KR20170122031 A KR 201701220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and
quantum dot
group
amino group
she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510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용
박찬우
류호현
이규동
김태협
Original Assignee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노캠텍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나노캠텍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510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22031A/ko
Publication of KR201701220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20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8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elenium, tellurium or unspecified chalcogen elem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ZnS 쉘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리간드의 말단을 이온화하여 다양한 용매에 녹을 수 잇는 양자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QUANTUM DO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ZnS 쉘 표면에 화학적으로 결합된 리간드의 말단을 이온화하여 다양한 용매에 녹을 수 잇는 양자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노미터 크기를 갖는 물질들은 물질의 크기가 나노미터로 작아지면 벌크상태에서는 볼 수 없었던 새로운 물리적 특성들이 나타나고, 이러한 나노 물질들의 크기와 모양이 변화하면, 거기에 따라서 이러한 새로운 특성들도 변화한다.
나노미터 크기에서의 물리적인 특성 변화는 단순히 크기가 줄어드는데서 오는 소위 '스케일 요인(scale factor)'에 의한 것뿐만이 아니라, 좀 더 근원적인 물질의 특성에 기인한다.
즉, 물질의 종류가 달라지면 나노 물질의 물리적인 특성도 그 원인을 달리해서 변화한다는 점이 단순히 크기에 의존하지는 않는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나노 물질 중, 양자점(quantum dot)은 나노 크기의 반도체 물질로서, 일정한 크기 이하로 작아지면 벌크 상태의 반도체 물질 내의 전자운동 특성이 더욱 제약을 받게 되어, 벌크상태와는 발광 파장이 달라지는 양자제한(quantum confinement) 효과를 나타내는 물질이다.
이러한 양자점은 여기원(excitation source)으로부터 빛을 받아 에너지 여기 상태에 이르면, 자체적으로 해당하는 에너지 밴드 갭(band gap)에 따른 에너지를 방출하게 된다.
따라서, 양자점의 크기를 조절하면 해당 밴드 갭을 조절할 수 있게 되어, 다양한 파장대의 에너지를 얻을 수 있고, 이로써 원래의 물성과는 전혀 다른 광학적, 전기적 및 자기적 특성을 보이게 된다.
특히, 양자점은 형광 특성에 있어서 유기 색소와 비교했을 때, 스펙트럼이 좁고 조절가능하며, 대칭적인 방출 스펙트럼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에서의 광화학적 안정성을 갖는 등 몇 가지 광학적 특성의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양자점은 예를 들어 발광소자(LED), 광 발전 기기 및 생체표시 등의 기술분야에서 다양하게 응용될 수 있다.
양자점은 화학적인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 알려진 합성방법은 유기 리간드 용액를 이용한 고온 합성법이다.
CdSe를 예를 들어 설명하면, 카드뮴전구체를 고온에서 리간드 용액에 용해시킨 후, 금속 셀레늄을 빠르게 주입하여 열분해함으로써 CdSe 나노결정을 합성하는 것이다. 나노결정의 합성에 있어 리간드는 나노결정의 표면에 배위결합함으로써 양자점의 크기를 조절하고 생성된 양자점이 용액 내에서 서로 뭉치는 현상을 방지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러한 리간드 용액의 대표적인 것으로 트리옥틸포스핀 (trioctylphosphine)과 트리옥틸포스핀옥사이드(trioctylphosphine oxide)가 이용되고 있으며, 또한 옥타데센 (octadecene)과 올레익산 (oleic acid)등도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간드로 배위되어 있는 양자점은 클로로포름이나 톨루엔 등과 같은 유기용매에만 분산되기 때문에, 수계 분산을 필요로 하는 분야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양자점 표면에 배위되어 있는 리간드를 친수성기를 가지는 리간드로 치환하는 과정이 필수적이다.
수계분산을 위한 친수성 리간드의 대표적인 유기화합물로는 머캡토산(mercaptoacid)으로서, 리간드 치환시 머캡토산의 싸이올 그룹 (-SH)이 양자점 표면과 결합을 형성하게 되고 카르복실 (-COOH) 그룹은 물과의 친화력을 제공하게 되어 물에 분산된 양자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상기 화합물을 리간드로 사용할 경우 고온합성을 통해 유기용매 분산된 양자점을 제조하고, 이를 다시 머캡토산과 같은 리간드로 표면을 치환하여 수계 분산한 양자점은 높은 온도와 복잡한 공정을 요구하는 단점 이외에도, 응용에 있어서도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 번째로 양자점 표면에 배위되어 있는 카르복실 그룹은 탈수소화(deprotonated)되어 있을 경우에만 물에 분산될 수 있기 때문에 산도 또는 수소이온농도 (pH)가 변화할 경우 양자점의 물에 대한 분산안정성이 현저하게 감소되면서 응집현상이 생기게 된다.
두 번째로 리간드 치환을 통해 물에 분산된 양자점은 유기용매에 분산되어 있을 경우에 비해 양자효율이 현저하게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대한 분산안정성이 우수한 리간드 화합물이 표면에 배위되어 있는 양자점의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오랜 기간 동안 예의 노력한 결과,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리간드가 부착된 양자점을 개발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은 전기적, 광학적 특성이 우수하며, 반치폭에 영향을 주지 않는 양자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물을 포함하는 용매에 대한 분산안정성이 우수하고, 또한 간단한 화학공정을 통해 물 및 유기용매에 대한 분산성을 선택적으로 조절할 수 있는 양자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측면은 CdSe 코어,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 및 상기 ZnS 쉘의 표면에 부착된 리간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간드는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ZnS 쉘의 표면에 결합된 양자점을 제공한다.
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기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알킬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아미노기는 1차 아미노기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와 이온성 상호 작용을 통해 결합된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음이온은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e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CdSe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CdSe 코어가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이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Zn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유기 용매 내에서 상기 ZnS 쉘과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반응시켜, 상기 ZnS 쉘의 표면에 상기 리간드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리간드는 1차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ZnS 쉘의 표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 후, (e)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C1-C6알킬 할라이드 또는 C1-C6(디)알킬 설페이트와 반응하여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e) 단계 후, (f)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를 이온성 액체로 처리하여 양이온성 작용기에 음이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는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은 4차 암모늄 또는 4차 포스포늄 기의 유리 말단을 갖는 리간드와 결합되어 있어, 물 또는 유기용매 분산시 분산 안정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은 ZnS 쉘층과 리간드가 입체 장애와 반발력이 작은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보다 강하게 결합되어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은 이온성 액체의 간단한 처리를 통해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될 수 있어 여러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은 반치폭(FWHM)이 늘어나지 않고, 양자 효율이 감소되지 않아 종래의 양자점 대비 전기적, 광학적으로 우수하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을 이용하여 발광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발광층을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는 높은 휘도 및 전류 효율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후술하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CdSe 코어,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 및 상기 ZnS 쉘의 표면에 부착된 리간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간드는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ZnS 쉘의 표면에 결합된 양자점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CdSe 코어 및 이를 둘러싸는 CdS 쉘은 CdSe와 CdS가 계면을 형성하여 접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본 발명의 CdS 쉘 및 이를 둘러싸는 ZnS 쉘은 CdS와 ZnS가 계면을 형성하여 접합된 구조를 취할 수 있다.
또한, ZnS 쉘은 상대적으로 큰 밴드 갭을 갖는 물질로서, 코어와의 밴드 갭 차이에 의해, CdSe 코어 및 CdS 쉘만 존재하는 경우에 비하여 더 큰 양자 효율을 구현하는데 기여한다. 이러한 ZnS 쉘은 ZnS 외에 ZnSe, ZnSeS, ZnP 중 1종 이상의 물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양자점의 구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양자점은 ZnS 쉘 표면에 부착된 리간드를 포함한다.
양자점은 예를 들어, 약 10nm 이상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이에 비례하여 높은 양자 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ZnS 쉘 표면에 도입된 상기 리간드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8,000,000개,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5,000,000개일 수 있다.
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기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알킬을 통해 연결될 수 있다.
본원에서, C1-C6 알킬은, 1 내지 6 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직쇄 알킬기, 분쇄 알킬기, 사이클로알킬(알리사이클릭)기, 알킬 치환된 사이클로알킬기 및 사이클로알킬 치환된 알킬기를 포함하는 포화 지방족기의 라디칼을 의미한다.
도 1은 리간드의 유리 말단이 4차 암모늄 기인 경우이며, ZnS 쉘과 결합된 1차 아미노기가 양이온성 작용기와 2개의 비치환 탄소로 연결된 것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의 리간드는 아미노기를 통해 ZnS 쉘에 도입될 수 있는데, 상기 아미노기는 1차 아미노기일 수 있다.
1차 아미노기는 입체 장애와 반발력이 작기 때문에, ZnS 쉘과 보다 강하게 결합될 수 있어 안정적인 구조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3차 아미노기 또는 3차 포스피노기를 포함할 수 있고, 이는 C1-C6알킬 할라이드 또는 C1-C6(디)알킬 설페이트와 알킬화 반응을 통해 4차 암모늄기 또는 4차 포스포늄기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의 R1은 상기 알킬 할라이드 또는 (디)알킬 설페이트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상기 R1은 예를 들어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s-부틸, i-부틸, t-부틸, 펜트-1-일, 펜트-2-일, 펜트-3-일, 3-메틸부트-1-일, 3-메틸부트-2-일, 2-메틸부트-2-일일 수 있다.
상기 알킬화반응에 따라 결합되는 알킬의 길이에 따라 리간드의 물성이 변할 수 있고, 탄소의 길이가 길수록 유성계열 용매에 보다 잘 용해될 수 있다.
이 때,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은 트리옥틸포스핀(trioctylphosphine: TOP), 산화트리옥틸포스핀(trioctylphosphineoxide: TOPO) 계열의 리간드를 제거할 필요 없이,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리간드가 도입되어 있기 때문에 양자효율 감소화가 최소화될 수 있다.
즉, 양자점 표면에 손상을 가하지 않으면서, 추가로 도입되는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바인딩된 리간드들이 표면 손상을 오히려 막아주기 때문에 반치폭(FWHM)이 늘어나지 않고, 양자 효율이 감소되지 않아 종래의 양자점 대비 전기적, 광학적으로 우수한 양자점의 구현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함으로써, 이온성 액체와 이온성 상호 작용을 통해 결합된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는데, 이러한 음이온 교환 반응을 통해 상기 양자점은 다양한 유기용매에 분산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 종류에 따라 양자점의 용매에 대한 선택적인 용해도 부여가 가능하다.
예를 들어, 상기 음이온은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양자점은 할로겐 이온, 설페이트 음이온, NO3 - 등으로 교환된 경우 수성계열 일 수 있고, BF4 -, PF6 -- 등의 경우 유성계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은 ZnS 쉘에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부착된 리간드의 유리 말단을 이온성 액체로 변환하여 양자점 리간드 복합체의 물성을 변환하고, 음이온을 다양하게 변환시킴으로써 다양한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a)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e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CdSe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CdSe 코어가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이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Zn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유기 용매 내에서 상기 ZnS 쉘과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반응시켜, 상기 ZnS 쉘의 표면에 상기 리간드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a) 단계는 CdSe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로, 카드뮴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에 Se 전구체를 포함하는 용액을 투입하여 약 10 내지 15시간 반응시킨다. 예를 들어, 상기 코어의 직경은 1 내지 20nm일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0nm이다.
상기(b) 및 (c) 단계는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과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을 형성하는 단계로, 이러한 코어/쉘 구조를 갖는 양자점은 단일 코어 구조보다 우수한 발광효율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쉘들은 코어부분 보다 더 큰 밴드갭을 가지며, 코어를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보호층 역할을 한다.
각 단계에서, 유기 용매로는 헥사데실아민, 트리옥틸아민, 옥타데센, 옥타데칸, 트리옥틸포스핀 등이 이용될 수 있으며, 이들이 단독으로 혹은 2종 이상 혼합되어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분산성 향상을 위하여, 유기 용매에, 올레인산(oleic acid), 스테아르산(stearic acid), 팔미트산(palmitic acid), 헥실 포스포닉산(hexyl phosphonic acid), n-옥틸 포스포닉산(n-octyl phosphonic acid), 테트라데실 포스포닉산(tetradecyl phosphonic acid), 옥타데실 포스포닉산(octadecyl phosphonic acid), n-옥틸 아민(n-octyl amine), 미리스틱산(myristic acid) 또는 헥사데실 아민(hexadecyl amine) 등과 같은 분산제가 첨가될 수 있다.
상기 (d) 단계는 상기 ZnS 쉘에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리간드를 도입하는 단계로, 상기 리간드가 도입됨으로써 양자점에 원하는 화학적 또는 물리적 특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리간드는 1차 아미노기와 3차 아미노기 또는 3차 포스피노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ZnS쉘의 표면에 1차 아미노기를 통해 보다 강하게 결합할 수 있다.
상기 (d) 단계 후, (e)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C1-C6알킬 할라이드 또는 C1-C6(디)알킬 설페이트와 반응하여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과 알킬 할라이드 또는 알킬 설페이트에서 알킬화 반응이 진행되는데, 톨루엔, 클로로포름, 헥산, 프로필렌카보네이트, 부티로락톤, 디메틸포름아마이드, 아세토니트릴 등의 유기 용매 내에서 반응시킨다.
이 때, 상기 알킬화반응(4차 암모늄화 또는 4차 포스포늄화)을 통해 리간드는 이온성 액체 구조를 갖게 되고 구체적으로, 상기 양자점은 4차 암모늄 기 또는 4차 포스포늄 기를 포함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수용성으로 물성이 전환될 수 있다.
따라서, 이 때 물을 투입하는 경우 층 분리가 발생하고 양자점은 수용액 상에 용해될 수 있다.
상기 (e) 단계 후, (f)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를 이온성 액체로 처리하여 양이온성 작용기에 음이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온성 액체로 상기 양자점을 캡핑하는 것으로, 이온성 액체를 통해 음이온을 치환함으로써 유기용매에 선택적으로 양자점을 분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이온성 액체는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을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음이온의 종류에 따라 양자점의 물성이 변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양자점은 이온성 액체의 음이온 교환 반응을 통해, 양자점의 용매 용해도를 변환시킬 수 있어 다양한 응용 분야에 적용 가능하다.

Claims (10)

  1. CdSe 코어;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 및
    상기 ZnS 쉘의 표면에 부착된 리간드;를 포함하며,
    상기 리간드는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ZnS 쉘의 표면에 결합된,
    양자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포함하며,
    상기 아미노기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는 치환 또는 비치환 C1-C6 알킬을 통해 연결된,
    양자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미노기는 1차 아미노기인,
    양자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양자점은 상기 양이온성 작용기와 이온성 상호 작용을 통해 결합된 음이온을 포함하는,
    양자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이온은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인,
    양자점.
  6. (a)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e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CdSe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b) 상기 CdSe 코어가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Cd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CdSe 코어를 감싸는 CdS 쉘이 포함된 유기 용매 내에서 Zn 함유 화합물 및 S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 상기 CdS 쉘을 감싸는 ZnS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d) 유기 용매 내에서 상기 ZnS 쉘과 아미노기를 포함하는 리간드를 반응시켜, 상기 ZnS 쉘의 표면에 상기 리간드를 부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상기 리간드는 1차 아미노기를 통해 상기 ZnS 쉘의 표면에 결합되는,
    양자점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 후, (e)상기 리간드의 유리 말단은 C1-C6알킬 할라이드 또는 C1-C6(디)알킬 설페이트와 반응하여 4차 암모늄 기 및 4차 포스포늄 기로부터 선택되는 양이온성 작용기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 후, (f)상기 양이온성 작용기를 이온성 액체로 처리하여 양이온성 작용기에 음이온을 결합시키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이온성 액체는 Br-, Cl-, I-, ClO4 -, NO3 -, CH3SO4 -, CH3COO-, BF4 -, PF6 -, CH3COO- 및 (CF3SO2)2N- 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음이온을 포함하는,
    양자점 제조 방법.
KR1020160051086A 2016-04-26 2016-04-26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KR201701220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086A KR20170122031A (ko) 2016-04-26 2016-04-26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1086A KR20170122031A (ko) 2016-04-26 2016-04-26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2031A true KR20170122031A (ko) 2017-11-03

Family

ID=603838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51086A KR20170122031A (ko) 2016-04-26 2016-04-26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220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5083A1 (en) * 2020-10-16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85083A1 (en) * 2020-10-16 2022-04-20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18789B2 (en) 2020-10-16 2023-08-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Quantum dots and device including the sam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1380B1 (en) Semiconductor nanocrystal particles and devices including the same
CN107022354B (zh) 量子点、其制造方法、量子点-聚合物复合物和包括其的电子装置
US9701896B2 (en) Quantum dot-containing compositions including an emission stabilizer, products including same, and method
JP5175426B2 (ja) 多重波長で発光する硫化カドミウムナノ結晶の製造方法、それにより製造された硫化カドミウムナノ結晶、およびこれを用いた白色発光ダイオード素子
US9212056B2 (en) Nanoparticle including multi-functional ligand and method
JP5519899B2 (ja) キャップ分子が表面に結合しているナノ粒子用分散剤、これを用いたナノ粒子を分散させる方法、及びこれを含むナノ粒子含有薄膜
JP5519091B2 (ja) 硫黄前駆体としてチオール化合物を用いた硫化金属ナノ結晶の製造方法
JP5689575B2 (ja) 青色発光半導体ナノクリスタル物質
KR101616968B1 (ko) 관능화된 나노입자 및 방법
US10611958B2 (en) InP quantum dots with GaP and AlP shell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US7175778B1 (en) Self-aligning QCA based nanomaterials
JP2007528612A5 (ko)
JP5303880B2 (ja) ナノ粒子の製造方法
KR20180108012A (ko) 전이 금속으로 도핑된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71688B1 (ko) 티올기와, 하이드록시기 또는 카르복시기를 포함하는 양자점 리간드를 포함하는 양자점 입자, 상기 양자점 입자를 포함하는 양자점 입자 조성물, 및 상기 양자점 리간드의 제조방법
WO2013138618A1 (en) Semiconductor nanocrystals
KR20170122031A (ko) 양자점 및 양자점 제조방법
Bera et al. Phosphor quantum dots
KR102220957B1 (ko) 이온성 액체가 이온결합된 양자점 및 이의 제조방법
EP3617292A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quantum dots
KR20200012368A (ko) 유-무기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입자의 보관 방법
KR102284320B1 (ko) 이온성 액체가 이온결합된 양자점 입자
KR101984113B1 (ko)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2284319B1 (ko) 이온성 액체가 이온결합된 양자점 입자
KR102284321B1 (ko) 이온성 액체가 이온결합된 양자점 입자의 제조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