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4113B1 -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4113B1
KR101984113B1 KR1020120083695A KR20120083695A KR101984113B1 KR 101984113 B1 KR101984113 B1 KR 101984113B1 KR 1020120083695 A KR1020120083695 A KR 1020120083695A KR 20120083695 A KR20120083695 A KR 20120083695A KR 101984113 B1 KR101984113 B1 KR 101984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re
shell
ligand
nanocomposite
tetraz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836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17727A (ko
Inventor
정경석
차순욱
김경찬
전일
박중필
지문배
조성희
장경국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836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4113B1/ko
Publication of KR201400177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177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4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4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5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ulfur
    • C09K11/562Chalcogenides
    • C09K11/565Chalcogenides with zinc cadm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7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C09K11/88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in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selenium, tellurium or unspecified chalcogen elements
    • C09K11/881Chalcogenides
    • C09K11/883Chalcogenides with zinc or cadmium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uminescent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나노 크기를 갖는 반도체 입자로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포함하여, 코어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으므로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을 개선할 수 있는 형광 나노 복합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Fluorescent nanocomposite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형광 나노 복합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코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쉘 구조를 갖는 양자점 또는 양자로드일 수 있다. 여기서, 코어는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질 수 있다. 형광 나노 복합체의 형광은 전도대(conduction band)에서 가전자대(valence band)로 들뜬 상태의 전자가 내려오면서 발생하는 빛이다.
이때, 형광 나노 복합체는 같은 물질로 이루어진 코어를 구비하더라도, 입자의 크기에 따라 형광파장이 달라진다. 이에 따라, 형광 나노 복합체는 일반적 형광염료와 달리, 형광 나노 복합체의 크기를 조절하면 원하는 파장의 가시광선 영역의 빛을 모두 낼 수 있다. 또한, 형광 나노 복합체는 고색순도, 높은 발광효율 및 다양한 발광 대역을 가진다. 이에 따라, 형광 나노 복합체는 LED 조명과 액정표시장치의 백라이트와 같은 광원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디스플레이소자로 이용될 수도 있다.
하지만, 코어는 산소와 반응하여 형광 수명 및 색재현이 감소될 수 있다. 이는 코어의 산화로 인해, 양자효율이 저하되며 형광 파장이 변화되기 때문이다. 특히, 형광 나노 복합체는 나노 크기를 가짐에 따라 산소와 반응할 수 있는 표면적이 증가되므로, 작은 양의 산화에도 전체 물성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종래,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코어를 감싸는 무기층의 쉘과 쉘의 주변에 리간드를 더 구비한다. 하지만, 종래 리간드는 벌크한 알킬 체인을 가지고 있을 뿐만 아니라 종래 리간드들은 서로 반발력을 가지고 있어, 종래 리간드는 쉘 또는 코어를 완전히 감쌀 수 없다. 또한, 종래 고온 및 고습의 환경에서 리간드 및 쉘등이 코어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여기서, 종래 쉘 또는 리간드는 코어를 완전히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없어, 코어의 산화를 방지하는데 한계가 있었다.
이에 따라, 코어를 완전히 외부로부터 차단하여 코어의 산화를 방지하여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을 개선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코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는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해결 수단의 형광 나노 복합체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나노 크기를 갖는 반도체 입자로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른 하나의 해결 수단의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하나의 해결 수단의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제조방법은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를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구비함에 따라, 코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을 개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UV 및 PL 스펙트럼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UV 및 PL 스펙트럼이다.
도 6는 비교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험예 1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험예 2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신뢰성 테스트 결과를 보여주는 그래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형광 나노 복합체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어지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 코어를 감싸는 쉘,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특정 조성 및 크기에 따라 특정 밴드 갭(bandgap)을 가져 빛을 흡수하여 고유의 파장으로 방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코어는 나노 크기를 갖는 반도체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는 CdSe, CdTe, CdS, InP, ZnSe, ZnTe, ZnSe(Mn), ZnSe(Cu), ZnS(Cu), ZnInS, ZnInSe, ZnInTe 및 CuInS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는 도트 또는 로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코어의 형태에 따라, 형광 나노 복합체는 양자점 또는 양자로드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쉘은 코어를 감싸도록 배치되어, 코어의 화학적 변성을 방지하는 보호막의 기능을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코어는 쉘에 의해 반도체 특성을 유지할 수 있다. 쉘은 무기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쉘은 CdS, ZnS, SiO, TiO, ZnO, MgO 및 ZnSe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쉘의 뎅글링 본드(dangling bond)를 제거하여 쉘의 결함을 줄일 수 있다. 또한,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분산매 상에서 형광 나노 복합체의 분산특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형광 나노 복합체간의 응집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더하여,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종래의 리간드에 비해 코어 또는 쉘의 산화를 더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종래 벌크한 알킬 체인을 갖는 리간드에 비해 코어 또는 쉘을 조밀하게 감싸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는 종래의 리간드에 비해 코어 또는 쉘을 외부로부터 완전히 커버할 수 있어, 코어 또는 쉘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의 예로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지용성 리간드일 수 있다.
Figure 112012061193153-pat00001
여기서, 형광 나노 복합체의 용해도를 고려하여, N은 2 내지 100일 수 있다.
여기서, 테트라졸 리간드는 코어 또는 쉘을 조밀하게 감쌀뿐만 아니라 다른 리간드에 비해 쉘과 큰 결합세기를 가진다. 이는, 테트라졸 리간드는 질소에 의한 다양한 결합자리(binding site)를 가지게 되어, 단일 결합 자리를 갖는 결합 세기 외에 분자체에 의해 제공되는 추가적인 결합세기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또한, 테트라졸 리간드는 쉘과 결합하는 부분외에는 반응성기를 가지고 있지 않아, 테트라졸 리간드는 쉘에 안정적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테트라졸 리간드는 다른 리간드에 비해 코어 또는 쉘과 결합하는 결합세기가 클뿐만 아니라 코어 또는 쉘을 조밀하게 감싸도록 형성할 수 있어, 더욱 효과적으로 코어 또는 쉘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테트라졸 리간드의 말단은 알킬기를 가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테트라졸 리간드의 말단은 분산매의 성질에 따라, 지용성 유기 결합체 및 수용성 유기 결합체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테트라졸 리간드의 말단은 아크릴기, 에테르기, 카르복실기, 비닐기, 실리콘, 에스테르기, 알콜기, 할로겐기, 아릴기, 케톤기 및 수소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쉘 및 테트라졸 리간드를 포함한 형광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생산성 및 양자 구속 효과(quantum confinement effect)를 고려하여 3 내지 100nm를 가질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형광 나노 복합체는 쉘의 외주면에 테트라졸 리간드 외에 다른 리간드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다른 리간드의 예로서는 TOP(Trioctyl phosphine), TOPO(Trioctyl phosphine oxide), 올레인산(Oleic acid) 및 헥사데실 아민(Hexadecyl ami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광 나노 복합체는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를 구비함에 따라, 쉘 또는 코어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쉘 또는 코어의 산화를 효과적으로 방지될 수 있어, 우수한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을 가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적용분야, 예컨대 조명 및 표시장치등의 광원으로 사용되거나 형광 나노 복합체 자체가 디스플레이 소자로 이용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종래 나노 복합체의 리간드를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하여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종래 나노 복합체는 코어와 코어를 감싸는 쉘과 쉘을 감싸는 리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종래의 리간드는 고온 및 고습 환경에서 쉘로부터 쉽게 분리되어 쉘의 산화를 완전히 방지할 수 없었다. 이때, 쉘의 산화는 코어로 전이되어, 결국 코어의 산화로 이어질 수 있어,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이 저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리간드는 쉘을 조밀하게 감싸며 다른 리간드에 비해 쉘과 큰 결합세기를 갖는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하여, 쉘의 산화를 방지 및 코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종래의 형광 나노 복합체에 구비된 리간드를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함에 따라, 우수한 생산성으로 인해 대량 생산이 용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와 같이, 치환 방법으로 형성할 경우 3층 이상의 쉘을 가지도록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를 감싸는 쉘을 형성한 후, 쉘을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테트라졸 리간드를 형성하는 공정은 쉘을 형성하는 반응기내에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광 나노 복합체를 쉘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직접적으로 테트라졸 리간드를 형성할 경우, 3층 이하의 쉘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형광 나노 복합체를 쉘을 형성하는 공정에서 직접적으로 테트라졸 리간드를 형성할 경우,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순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하기의 실험예를 통해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코어, 쉘 및 리간드를 포함한 양자점을 제공하였다. 여기서, 코어는 CdSe로 형성되어 있다. 쉘은 ZnS로 형성되어 있다. 리간드는 트리옥틸포스핀(Trioctylphosphine;TOP)와 올레인산(Oleci acid)로 형성되어 있다.
10mg의 상기 양자점과 5㎖의 1-옥타데신(1-Octadecene)를 반응기에 넣고 수분 및 산소를 제거하기 위해 진공 분위기에서 60℃로 1시간동안 교반하였다. 이후, 질소 기류하에서 일정시간동아 계속 교반하였다.
이후, 상기 반응기로 1-옥타데신(1-Octadecene)에 용해된 100mg의 테트라졸을 주입한 후, 30분간 교반하여,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된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를 합성하였다.
이후, 합성된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된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는 헥산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후 아세톤을 이용한 침전법으로 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된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는 톨루엔에 분산시켰다.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된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의 분산액을 흡수(UV-Vis absorption)과 발광(Photoluminescence, PL) 스펙트럼으로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4에 나타내었다. 이때, 테트라졸 리간드로 치환된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9nm였다.
도 4에서와 같이,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의 중심 파장은 542nm였고, 발광 반폭값(Full-Width at Half-Maximum Value; FWHM)은 34n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양자 수율은 쿠마린과 비교하여 22%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CdSe 코어의 합성
642.05mg의 CdO, 14.1㎖의 올레인산, 35.9㎖의 1-옥타데신(1-Octadecene)을 반응 용기에 주입한 후, 120℃로 진공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분 및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질소 기류하에서 280℃에서 20분간 가열한 후, 120℃로 냉각 후 진공 상태를 유지하여 수분을 제거하고, 50℃로 교반하여, 제 1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제 1 조성액의 형성과 별도로, 10㎖의 1-옥타데신(1-Octadecene)과 0.4mmol의 Se를 글러브 박스안에서 주입하여 초음파 분산기를 이용하여 분산시켜, 제 2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한편, 25.682mg의 CdO와 0.17g의 스테아르산을 반응용기에 넣고 100℃에서 수분 및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200℃로 교반한 후, 제 2 조성액을 주입하여 CdSe의 핵화와 함께 반도체 입자를 성장시켰다.
이후, 일정 크기의 반도체 입자가 성장되면, 상기 반응기에 2㎖의 상기 제 1 조성액을 적하한 후, 헥산과 메탄올을 이용한 침전법을 통해 불순물을 제거하여 CdSe 코어를 합성하였고, 합성된 CdSe 코어는 헥산에 분산시켰다.
ZnS 쉘의 합성
5mmol의 ZnO, 14.1㎖의 올레인산 및 35.9㎖의 1-옥타데신(1-Octadecene)을 반응 용기에 주입한 후, 120℃로 진공분위기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여 수분 및 산소를 제거하였다. 이후, 질소 기류하에서 280℃에서 교반하며 가열하여, 제 3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제 3 조성액의 형성과 별도로, 5mmol의 ZnO, 50㎖의 1-옥타데신(1-octadecene)과 테트라졸 10mmol을 반응 용기에 주입하여 120℃로 진공 분위기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수분과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280℃에서 교반하며 가열하여, 제 4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또한, 5mmol의 황과 50㎖의 1-옥타데신(1-Octadecene)을 120℃로 진공 분위기에서 1시간동안 교반하여 수분과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180℃에서 교반하며 가열하여, 제 5 조성액을 형성하였다.
한편, 5㎖의 1-옥타데신(1-Octadecene), 1.5㎖의 앞서 형성된 헥산에 분산된 CdSe 코어 용액(15㎖의 헥산에 1×10-4mmol의 CdSe를 분산시켜 형성됨) 및 1g의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을 반응용기에 넣고 100℃에서 수분 및 산소를 제거한 후, 질소 기류하에서 200℃로 교반한 후, 0.93㎖의 제 3 조성액을 주입한 후, 0.93㎖의 제 5 조성액을 주입하여, CdSe 코어를 감싸는 ZnS 쉘을 형성하였다.
이후, CdSe 코어를 감싸는 ZnS 쉘이 형성된 상기 반응기에 0.17㎖의 제3조성액과 0.22㎖의 제5조성액을 적하한 후, 0.29㎖의 제 4 및 제 5 조성액을 적하하였다. 이후, 0.38㎖의 제 4 조성액을 적하하여,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이후, 합성된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는 헥산과 메탄올을 이용하여 추출한 후, 아세톤을 이용하여 침전법으로 정제하였다.
이후, 정제된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는 톨루엔에 분산하였다.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의 분산액의 흡수(UV-Vis absorption)과 발광(Photoluminescence, PL) 스펙트럼을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는 도 5에 나타내었다. 이때, 테트라졸 리간드를 갖는 CdSe-ZnS 형광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5nm였다.
도 5에서와 같이, 발광 스펙트럼의 피크의 중심 파장은 554nm였고, 발광 반폭값(Full-Width at Half-Maximum Value; FWHM)은 34nm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때, 양자 수율은 쿠마린과 비교하여 20%임을 확인하였다.
이후, 비교예, 실험예 1 및 실험예 2 각각에 따른 형광 나노 복합체에 대한 신뢰성 평가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는 각각 도 6 내지 도 8에 나타내었다.
여기서, 비교예에 따른 신뢰성 평가는 종래의 여러 형태의 형광 나노 복합체에 대해서 측정하였다. 예컨대, 종래 형광 나노 복합체의 예로서는 CdSe/ZnS 및 lnP/ZnS등의 코아/쉘 구조를 가지며, 옥타데실아민(Octadecylamine)과 oleic acid로 이루어진 리간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신뢰성 평가는 비교예, 실험예 1 및 실험예 2 에서 동일한 조건, 85℃의 온도와 85%의 습도를 갖는 환경에서 시간에 따른 발광 스펙트럼을 측정하였다.
도 6에서와 같이, 종래 형광 나노 복합체는 초기의 발광특성에 비해 6일 이후의 발광특성이 50 내지 90%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도 7에서와 같이, 실험예 1을 통해 형성된 형광 나노 복합체는 초기의 발광특성에 비해 7일 이후의 발광특성이 11%로 감소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도 8에서와 같이, 실험예 2을 통해 형성된 형광 나노 복합체는 초기의 발광특성에 비해 7일 이후의 발광특성이 거의 변화되지 않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와 같이, 형광 나노 복합체는 코어를 감싸는 테트라졸 리간드를 구비함에 따라, 코어의 산화를 방지할 수 있어 형광 수명 및 색재현율을 개선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0)

  1. 나노 크기를 갖는 반도체 입자로 형성된 코어(Core);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Shell); 및
    상기 쉘을 완전히 감싸 상기 코어 또는 상기 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한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포함하는 형광 나노 복합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양자점 및 양자로드 중 어느 하나의 형태를 갖는 형광 나노 복합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의 크기는 3 내지 100 nm인 형광 나노 복합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는 InP, ZnTe, ZnSe(Mn), ZnSe(Cu), ZnS(Cu), ZnInS, ZnInSe, ZnInTe 및 CuInS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형광 나노 복합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쉘은 SiO, TiO, ZnO 및 MgO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된 형광 나노 복합체.
  6. 나노 크기를 갖는 반도체 입자로 형성된 코어,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 및 상기 쉘을 감싸는 리간드를 포함한 나노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쉘을 완전히 감싸 상기 코어 또는 상기 쉘의 산화를 방지하는 위해 상기 리간드를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로 치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리간드는 TOP(Trioctyl phosphine), TOPO(Trioctyl phosphine oxide), 올레인산(Oleic acid) 및 헥사데실 아민(Hexadecyl amine)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이상을 포함하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양자점 또는 양자로드의 형태를 갖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9. 나노 크기의 반도체 입자로 이루어진 코어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코어를 감싸는 쉘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쉘을 완전히 감싸 상기 코어 또는 상기 쉘의 산화를 방지하기 위해 테트라졸 리간드(Tetrazole ligand)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 복합체는 양자점 또는 양자로드의 형태를 갖는 형광 나노 복합체의 제조 방법.


KR1020120083695A 2012-07-31 2012-07-31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1984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695A KR101984113B1 (ko) 2012-07-31 2012-07-31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83695A KR101984113B1 (ko) 2012-07-31 2012-07-31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27A KR20140017727A (ko) 2014-02-12
KR101984113B1 true KR101984113B1 (ko) 2019-05-31

Family

ID=502661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83695A KR101984113B1 (ko) 2012-07-31 2012-07-31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411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6843B1 (ko) * 2015-03-20 2017-02-16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형광체,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는 발광소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6404A1 (en) 2008-10-03 2011-10-20 Eric Tulsky Nanocrystals with functional ligands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9020436A1 (en) * 2007-08-06 2009-02-12 Agency For Science, Technology And Research Process of forming a cadmium and selenium containing nanocrystalline composite and nanocrstalline composite obtained therefro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56404A1 (en) 2008-10-03 2011-10-20 Eric Tulsky Nanocrystals with functional ligand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17727A (ko) 2014-02-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48957B1 (en) Stable inp quantum dots with thick shell coating and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JP7308433B2 (ja) 半導体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デバイス
JP7070826B2 (ja) 半導体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発光デバイス
JP5519091B2 (ja) 硫黄前駆体としてチオール化合物を用いた硫化金属ナノ結晶の製造方法
US10611958B2 (en) InP quantum dots with GaP and AlP shells and methods of producing the same
JP5682902B2 (ja) 水分散性を有する高発光効率ナノ粒子
JP6293710B2 (ja) 半導体ナノ粒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Cho et al. Highly efficient blue-emitting CdSe-derived core/shell gradient alloy quantum dots with improved photoluminescent quantum yield and enhanced photostability
US8313969B2 (en) Method of preparing luminescent nanocrystals, the resulting nanocrystals and uses thereof
KR20210027276A (ko) 양자점, 및, 그 제조 방법
Singh et al. Magic-sized CdSe nanoclusters: a review on synthesis, properties and white light potential
TW201831657A (zh) 發出可見螢光之不含Cd之膠體量子點及其之製造方法
JP7456591B2 (ja) 半導体ナノ粒子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発光デバイス
JP2022048169A (ja) 半導体ナノ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発光デバイス
KR101984113B1 (ko) 형광 나노 복합체 및 이의 형성방법
KR102093625B1 (ko) 퀀텀 로드 및 그 제조 방법
CN111748349A (zh) 量子点及其制造方法
JP2020033245A (ja) 半導体ナノ粒子、その製造方法及び発光デバイス
KR102103009B1 (ko) 양자점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자점 나노입자,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나노입자, 및 발광소자
EP4073202B1 (en) Rohs compliant quantum dot films
KR102236316B1 (ko) 양자점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자점 나노입자,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나노입자, 및 발광소자
CN113498405A (zh) 掺杂的半导体纳米晶体、其制备方法及其应用
KR20210017999A (ko) 양자점 나노입자의 제조방법,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양자점 나노입자, 코어-쉘 구조의 양자점 나노입자, 및 발광소자
JP2023031002A (ja) 半導体ナノ粒子の製造方法及び発光デバイ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