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1682A - 트레드밀 - Google Patents

트레드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1682A
KR20170121682A KR1020170028546A KR20170028546A KR20170121682A KR 20170121682 A KR20170121682 A KR 20170121682A KR 1020170028546 A KR1020170028546 A KR 1020170028546A KR 20170028546 A KR20170028546 A KR 20170028546A KR 20170121682 A KR20170121682 A KR 2017012168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portion
width
reinforcing
slats
bas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285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랙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랙스
Priority to PCT/KR2017/004345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7188687A1/ko
Priority to CN201780039551.0A priority patent/CN109328093A/zh
Priority to EP17789871.5A priority patent/EP3449982B1/en
Publication of KR201701216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1682A/ko
Priority to US16/170,903 priority patent/US11007404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85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belt, e.g. material, surface, indicia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2/0207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having shock absorb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 A63B22/02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 A63B2022/0278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conditioning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aining agility or co-ordination of movements with movable endless bands, e.g. treadmills with reversible direction of the running surface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209/00Characteristics of used material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ardi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lind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트레드밀이 개시된다. 개시된 트레드밀은, 제1, 제2 프레임; 상기 제1, 제2 프레임 각각에 마련된 전방 롤러 및 후방 롤러; 및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배치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래트(sla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 중 적어도 일부 슬래트는, 제1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면을 제공하는 제2 보강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트레드밀{Treadmill}
본 발명은 트레드밀에 관한 것이다.
트레드밀은 무한 궤도로 회전하는 벨트를 이용하여 좁은 공간에서 걷거나 뛰는 운동 효과를 가져올 수 있는 운동 기구로서, 런닝 머신으로 불려진다. 트레드밀은, 날씨에 관계 없이, 적당한 온도의 실내에서 걷기 또는 런닝(running) 운동을 할 수 있으므로 나날이 그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최근 들어, 이러한 트레드밀에 대한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새로운 종류의 트레드밀이 개발되고 있다.
일 예로서, 트랙에서 느끼는 지면의 착지 효과를 재현하기 위하여 슬래트 벨트 구조를 가지는 트레드밀이 개발되고 있다. 슬래트 벨트 구조는,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벨트와, 벨트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2개의 벨트들 사이를 연결된 복수의 슬래트를 포함한다. 사용자는, 벨트 대신에 슬래트에 접촉하며 운동을 실시하게 되며, 그에 따라 기존의 단순한 벨트 구조의 트레드밀에서 운동을 실시할 때에 비해, 실제 트랙에 가까운 느낌을 받을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슬래트 벨트 구조는 사용자의 하중을 지탱하고 운동 중 충격을 흡수해야 하기 때문에, 슬래트의 강도가 소정 강도 이하일 경우 슬래트가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슬래트의 강도를 확보하면서도 제작 비용을 최적화할 수 있는 트레드밀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트레드밀은,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제2 프레임;
상기 제1, 제2 프레임 각각에 마련된 전방 롤러 및 후방 롤러;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배치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래트(sla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 중 적어도 일부 슬래트는, 제1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면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W2)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W1),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높이(h1) 및 상기 후방 롤러의 반경(R)에 대해 아래 관계식을 만족할 수 있다.
W2 ≤ (R-h1)/RW1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의 0.2 배 ~ 0.8 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2 보강부의 두께의 2 배 ~ 5 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폭은 3 mm ~ 150 mm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5배 이상 클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후방 롤러의 반경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의 1/2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평면이며,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된 이격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며, 상기 제2 면은 곡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무단(endless) 형태를 가지는 제1, 제2 벨트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인접한 슬래트들끼리 링크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에는 복수 개의 삽입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홀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트레드밀에 따르면, 슬래트의 구조를 변경 설계함으로써, 슬래트의 강도를 확보하고 제작 비용을 감소시키면서도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트레드밀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트레드밀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복수의 슬래트의 연결 구조의 다른 예를 개념적으로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원발명의 트레드밀의 복수의 슬래트가 이동 및 회전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후방 롤복수의 슬래트가 후방 롤러 부근에서 회전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도 7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a 내지 도 1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하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나 두께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하여 과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트레드밀(1)의 측면도이며, 도 3는 도 1의 트레드밀(1)의 단면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의 제1, 제2 프레임(11, 12)에 대한 도시를 생략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은, 제1 및 제2 프레임(11, 12), 복수의 베어링(20), 전방 및 후방 롤러(31, 32), 제1 및 제2 벨트(41, 42), 및 복수의 슬래트(slat, 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전방 및 후방은, 사용자(U)가 정상적인 운동을 실시할 때, 사용자(U)를 기준으로 전방 및 후방으로 정의한다.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은, 양 측에 서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제2 프레임(11, 12)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1 프레임(11)과 제2 프레임(12) 사이에는, 복수의 슬래트(50) 및 그 외 트레드밀(1)을 구성하는 다른 구성 부품(미도시)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더불어, 도 1에서는 제1, 제2 프레임(11, 12)이 별개의 구성인 것처럼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하나의 프레임에서 서로 이격 배치된 일부 부재들일 수 있음은 물론이다.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 각각에는 복수의 베어링(20)이 마련된다. 일 예로서, 베어링(20)은 볼 베어링일 수 있다. 복수의 베어링(20)에 의해, 제1, 제2 벨트(41, 42) 및 제1, 제2 벨트(41, 42)에 고정 연결된 복수의 슬래트(50)가 회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링(20)은 제1, 제2 벨트(41, 42)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그에 따라 제1, 제2 벨트(41, 42)에 고정 연결된 복수의 슬래트(50)가 베어링(20)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 각각의 전방에는 전방 롤러(31)가 배치된다. 제1 프레임(11) 및 제2 프레임(12) 각각의 후방에는 후방 롤러(32)가 배치된다. 전방 롤러(31), 후방 롤러(32)는, 상술한 베어링(20)과 함께, 제1, 제2 벨트(41, 42) 및 복수의 슬래트(50)를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전방 롤러(31) 및 후방 롤러(32)의 반경은 15 mm ~ 300 mm일 수 있다.
제1 벨트(41)는, 회전 가능하며, 무단(endless) 형상을 가진다. 제1 벨트(41)는 전방 롤러(31), 후방 롤러(32) 및 제1 프레임(11)에 마련된 복수의 베어링(2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1 벨트(41)는 전방 롤러(31), 후방 롤러(32) 및 베어링(20)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제2 벨트(42)는, 회전 가능하며, 무단(endless) 형상을 가진다. 제2 벨트(42)는 제1 벨트(41)와 이격되며, 제1 벨트(41)와 평행하게 배치된다. 제2 벨트(42)는 전방 롤러(31), 후방 롤러(32) 및 제2 프레임(12)에 마련된 복수의 베어링(20)에 접촉하도록 배치된다. 제2 벨트(42)는 전방 롤러(31), 후방 롤러(32) 및 베어링(20)에 의해 회전이 용이하게 된다.
복수의 슬래트(50)는 제1, 제2 벨트(41, 42)의 회전 방향을 따라 배열될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50) 각각은 제1, 제2 프레임(11, 12)의 배치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슬래트(50) 각각은, 제1, 제2 벨트(41, 42)의 회전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 단부가 제1 벨트(41) 및 제2 벨트(42)에 의해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슬래트(50)는 복수의 베어링(20), 전후방 롤러(31, 32), 제1 벨트(41) 및 제2 벨트(42)에 의해, 제1, 제2 프레임(11, 12)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슬래트(50)의 연결 구조로서 양 단부에 배치된 제1, 제2 벨트(41, 42)를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제2 벨트(41, 42) 없이, 도 4와 같이 인접한 슬래트(50)끼리 링크(L)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사용자(U)는 제1, 제2 프레임(11, 12)에 대하여 이동 가능한 슬래트(50)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운동을 실시한다. 슬래트(50)는 사용자(U)의 하중을 지탱하며, 양 단부에 고정 연결된 제1 벨트(41) 및 제2 벨트(42)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와 같이, 복수의 슬래트(50)가 사용자(U)의 하중을 지지하며 이동 및 회전되는 경우, 슬래트(50)는 사용자(U)의 하중은 물론 운동 중 발생하는 충격에 견딜 수 있는 강도를 가질 필요가 있다. 만일 슬래트(50)의 강도를 고려하지 않고 설계될 경우, 사용자(U)의 하중 또는 운동 중 발생하는 충격에 의해, 슬래트(50)가 과도하게 휘어지거나 파손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U)의 불안감 또는 부상을 초래할 수 있다.
한편, 슬래트(5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슬래트(50)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설계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겠으나, 이와 같이 슬래트(50)의 전체 두께를 두껍게 할 경우, 불필요한 부분까지 두께가 두꺼워지게 되고, 이는 제작 비용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는, 슬래트(5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슬래트(50)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도록, 복수의 슬래트(50) 중 적어도 일부의 슬래트(50)의 구조를 개선하고자 한다. 이하에서는, 슬래트(50)의 개선된 구조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 및 도 5를 참조하면, 슬래트(50)는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면(P1)을 제공하는 베이스부(100)와, 상기 베이스부(100)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하여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돌출된 강도 보강부(400)를 포함한다.
슬래트(50)는 베이스부(100)와 강도 보강부(400)를 일체로 형성할 수 있다. 슬래트(50)는 성형이 가능한 재질, 예를 들어 사출 성형, 압출 성형 또는 압축 성형이 가능한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래트(50)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사용자를 지지할 수 있는 제1 면(P1)을 제공하기 위하여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면(P1)은 평면일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두께(t1)는 5 mm ~ 25 mm 일 수 있다. 베이스부(100)의 폭(W1)은 3 mm ~ 150 mm 일 수 있다. 여기서, 두께는 중력 방향으로의 두께를 의미하며, 폭은 슬래트(50)의 이동 방향으로의 폭을 의미한다.
슬래트(50)의 단면 형상은 개략적인 형상이 I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강도 보강부(400)의 단면 형상은 T 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강도 보강부(400)는 베이스부(100)로부터 돌출된 제1 보강부(200)와, 상기 제1 보강부(200)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면(P2)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보강부(300)를 포함한다. 제2 면(P2)은 평면일 수 있다.
제1 보강부(200)의 돌출 높이(h1; 도 7a 참조)는 후방 롤러(32)의 반경(R; 도 7a 참조)보다 작다. 제1 보강부(200)의 돌출 높이(h1)는 1 mm ~ 150 mm 이하일 수 있다. 제1 보강부(200)의 폭은 베이스부(100)의 폭(W1)의 1/2 이하일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제1 보강부(200)의 폭보다 크다. 일 예로서,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제1 보강부(200)의 폭보다 2배 이상 클 수 있다. 일 예로서,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제1 보강부(200)의 폭보다 5배 이상 클 수 있다. 다만,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베이스부(100)의 폭(W1)보다 작다.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2 mm ~ 100 mm 일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제2 보강부(300)의 두께(t2)의 2배 ~ 5배 일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두께(t2)는 1 mm ~ 25 mm 일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길이는 제1 보강부(200)의 길이와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보강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보강부(300)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과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면(P1)과 제2 면(P2)는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제1 보강부(200)가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슬래트(50)는 강도 보강부(400)에 의해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과 이격된 제2 면(P2)을 가지도록 설계함으로써, 단면 계수를 증가시킬 수 있으며, 중립선을 제1 면(P1)으로부터 멀어지도록 설계할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50) 각각의 무게는 0.1 kg ~ 4 kg 일 수 있다. 복수의 슬래트(50) 각각의 강도는 100 kgf/cm2 ~ 700 kgf/cm2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U)의 하중 및 충격에 대한 슬래트(50)의 강도를 보강하면서도 슬래트(50)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강도 보강부(400)의 길이(L2)는 베이스부(100)의 길이(L1)보다 작다. 베이스부(100)의 길이(L1)는 30 cm ~ 110 cm일 수 있으며, 강도 보강부(400)의 길이(L2)는 10 cm ~ 100 cm 일 수 있다. 강도 보강부(400)의 길이(L2)는 제1 프레임(11)에 설치된 베어링(20)과 제2 프레임(12)에 설치된 베어링(20)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강도 보강부(400)의 길이(L2)는 제1 프레임(11)에 설치된 전방 롤러(31)와 제2 프레임(12)에 설치된 전방 롤러(31)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또한, 강도 보강부(400)의 길이(L2)는 제1 프레임(11)에 설치된 후방 롤러(32)와 제2 프레임(12)에 설치된 후방 롤러(32) 사이의 간격보다 작다. 그에 따라, 슬래트(50)가 복수의 베어링(20), 전방 롤러(31) 및 후방 롤러(32)에 의해 이동 및 회전되는 과정에서, 강도 보강부(400)가 복수의 베어링(20), 전방 롤러(31) 및 후방 롤러(32)에 부딪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길이는 슬래트(50)의 이동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의 길이를 의미한다.
도 6은 본원발명의 트레드밀(1)의 복수의 슬래트(50)가 이동 및 회전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a는 복수의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 부근에서 회전하는 모습을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7b는 도 7a의 일부를 확대 도시한 것이다. 도 6에서는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에 의해 회전되는 모습을 중심으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전방 롤러(31)에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원발명의 복수의 슬래트(50)는 베어링(20)에 의해 이동되며, 후방 롤러(32)에 의해 회전된다. 복수의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인접한 제2 보강부(300) 사이의 간격(G1)은, 복수의 슬래트(50)가 베어링(20)에 의해 이동되는 과정에서 인접한 제2 보강부(300) 사이의 간격(G2)보다, 좁아지게 된다.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에서는, 복수의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에 의해 회전되어 제2 보강부(300) 사이의 간격(G1)이 좁아지더라도, 인접한 제2 보강부(300)끼리 서로 부딪히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에 따라, 복수의 슬래트(50)의 제2 보강부(300)끼리 부딪히면서 나타나는 소음을 방지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복수의 슬래트(50) 중 적어도 일부 슬래트(50)는 제2 보강부(300)의 폭(W2)이 베이스부(100)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일 예로써,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베이스부(100)의 폭(W1)의 0.2배 ~ 0.8 배일 수 있다.
다른 예로써, 복수의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를 회전하는 과정에서 제2 보강부(300)가 인접한 제2 보강부(300)에 부딪히지 않는 최대 폭(W2max)(이하, '제2 보강부(300)의 최대 폭(W2max)'이라 한다)을 고려하여, 제2 보강부(300)의 폭을 제2 보강부(300)의 최대 폭(W2max) 이하가 되도록 설계할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최대 폭(W2max)은 베이스부(100)의 폭(W1), 제1 보강부(200)의 돌출 높이(h1) 및 후방 롤러(32)의 반경(R)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100)의 양 단부와 후방 롤러(32)의 회전 중심(A)을 연결하는 가상의 삼각형이 정의될 수 있다. 슬래트(50)가 후방 롤러(32)에 의해 회전되는 과정에서, 제2 보강부(300)가 이러한 가상의 삼각형 내에 위치될 경우, 인접한 슬래트(50)의 제2 보강부(300)에 부딪히지 않는다.
제2 보강부(300)에 부딪히지 않는 최대 폭(W2max)은 베이스부(100)의 폭(W1), 제1 보강부(200)의 돌출 높이(h1) 및 후방 롤러(32)의 반경(R)의 관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보강부(300)의 두께(t2)의 영향을 무시하면, 제2 보강부(300)의 최대 폭(W2max)은 아래와 같은 관계식 (1)을 만족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제2 보강부(300)의 폭(W2)은 아래와 같은 관계식 (2)을 만족할 수 있다.
W2max = (R-h1)/RW1 ... (1)
W2 ≤ (R-h1)/RW1 ... (2)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강도 보강부(400)로써 제1 보강부(200)에 하나의 제2 보강부(300)가 연장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슬래트(50)의 강도 보강부(400)는 제2 보강부(300)가 단수 개로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슬래트(51)의 강도 보강부(401)는 도 8a과 같이, 가상의 삼각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보강부(200)로부터 연장된 복수의 제2 보강부(300, 5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들에서는 강도 보강부(400)로써 제1 보강부(200)의 단부에 제2 보강부(300)가 연장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슬래트(50)의 강도 보강부(400)는 제2 보강부(300)의 배치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슬래트(51)의 강도 보강부(402)는 도 8b과 같이, 가상의 삼각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 보강부(200)의 단부가 아닌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제2 보강부(30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9a 내지 도 12c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A, 50B, 50C, 50D, 50E, 50F, 50G)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a 내지 도 12c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실시예와 차이점을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9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A)의 강도 보강부(400A)는 제1 보강부(200A) 및 제2 보강부(300)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200A)는 소정의 높이를 가지는 제1 영역(221)과, 길이 방향을 따라 단부로 갈수록 높이가 작아지는 제2 영역(222)을 포함한다. 제1 영역(221)은 베이스부(100)와 제2 보강부(3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보강부(200A)의 길이는 제2 보강부(300)의 길이보다 크다.
제2 보강부(300)의 폭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제2 보강부(300)의 폭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9b와 같이 제2 보강부(300-1)는 길이 방향에 따라 중앙부에서 양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도 10a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B)의 강도 보강부(400B)는 제1 보강부(200B) 및 제2 보강부(300A)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200B)는 길이 방향으로 중심으로부터 양 단부로 돌출 높이가 낮아질 수 있다.
제2 보강부(300A)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 영역(301)과, 이러한 이격 영역(301)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베이스부(100)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302)을 포함한다. 제2 보강부(300)의 제2 면(P21)은 곡면이며,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은 평면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0b 및 도 10c를 참조하면, 제2 보강부(300A)는 상기 베이스(100)로부터 이격되도록 배치된 이격 영역(301)(301-1)을 포함하고, 접촉 영역(302)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제2 보강부(300)의 제2 면(P21)은 곡면이며,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은 평면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0b를 참조하면, 이격 영역(301)의 폭은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할 수 있다. 다만, 이격 영역(301)의 폭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한다. 예를 들어, 도 10c와 같이 이격 영역(301-1)의 폭은 길이 방향에 따른 중앙부에서 양 단부로 갈수록 폭이 좁아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C, 50D)의 강도 보강부(400C, 400D)는 제1 보강부(200A), 제2 보강부(300) 및 적어도 하나의 리브(250) (250A)를 포함한다.
리브(250, 250A)는 베이스부(100)로부터 돌출되며 제2 보강부(300)와 베이스부(100) 사이에 배치된다. 리브(250, 250A)는 제1 보강부(200A)를 지지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리브(250, 250A)는, 슬래트(50C, 50D)의 길이 방향으로 이격 배치된 복수 개의 리브(250, 250A)일 수 있다.
일 예로서, 리브(250)는 도 11a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에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리브(250A)는 도 11b와 같이,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강도 보강부(400C, 400D)는, 이러한 리브(250, 250A)를 더 포함함으로써, 강도를 추가적으로 보완할 수 있다.
도 12a 내지 도 12c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E, 50F, 50G)의 강도 보강부(400E, 400F, 400G)는 제1 보강부(200C, 200D) 및 제2 보강부(300, 300A)를 포함한다.
제1 보강부(200C, 200D)는 슬래트(50E, 50F, 50G)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서, 도 12a 및 도 12b와 같이, 제1 보강부(200C)는 지그재그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강부(200C)는, 제1 면(P1)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일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도 12c와 같이, 제1 보강부(200D)는 물결 형태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보강부(200D)는, 제1 면(P1)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면 형상이 물결 형상일 수 있다.
다만, 제1 보강부(200C, 200D)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한 형태를 가지며 슬래트(50E, 50F, 50G)의 길이 방향과 평행하지 않은 방향으로 연장될 수도 있다.
도 13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슬래트(50)를 나타낸 부분 사시도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슬래트(50)는 베이스부(100)와 강도 보강부(402)를 포함한다. 강도 보강부(402)는 제1 보강부(201)와 제2 보강부(300)을 포함한다. 상술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하였으며,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제1 보강부(201)는 베이스부(100)의 제1 면(P1) 방향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보강부(201)에는 적어도 하나의 삽입부(210)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부(210)의 형상은 제1 보강부(201)를 관통하는 홀 형상일 수 있다. 삽입부(210)가 제1 보강부(201)에 형성됨으로써, 슬래트(50)의 재료를 절감할 수 있다.
삽입부(210)의 형상은 원형일 수 있다. 다만, 삽입부(210)의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입부(210)의 형상은 다각형, 예를 들어, 삼각형, 사각형 등일 수 있다.
삽입부(210)는 복수 개일 수 있다. 복수 개의 삽입부(210)의 간격은 일정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다를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삽입부(201)의 크기 및 모양이 모두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크기 및 모양 중 적어도 하나가 다를 수도 있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제1, 제2 프레임(11, 12)에 마련된 복수의 베어링(20)이 직선으로 배열된 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밀(1)의 복수의 베어링(20)의 배열은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예를 들어, 복수의 베어링(20)은 중심부가 오목하게 배열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트레드밀(1)은, 제1, 제2 벨트(41, 42)를 회전시키기 위한 별도의 구동원이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트레드밀(1)은 사용자(U)의 다리에 의해 회전되는 무동력 트레드밀(1)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트레드밀(1)은 무동력 트레드밀(1)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별도의 구동원이 포함된 동력 트레드밀(1)일 수도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이러한 일반적이고 구체적인 측면이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어떠한 시스템, 방법, 컴퓨터 프로그램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
1 : 트레드밀 11, 12 : 제1, 제2 프레임
20 : 베어링 31, 32 : 전방 및 후방 롤러
41, 42 : 제1, 제2 벨트 50 : 슬래트
100 : 베이스부 200 : 제1 보강부
300 : 제2 보강부 400 : 강도 보강부
P1 : 제1 면 P2 : 제2 면

Claims (25)

  1.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제1, 제2 프레임;
    상기 제1, 제2 프레임 각각에 마련된 전방 롤러 및 후방 롤러;
    상기 제1, 제2 프레임의 배치 방향과 수직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제2 프레임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슬래트(slat);를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슬래트 중 적어도 일부 슬래트는, 제1 면을 제공하는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강도 보강부를 포함하며,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된 제1 보강부와,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며, 제2 면을 제공하는 적어도하나의 제2 보강부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보다 작은, 트레드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W2)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W1),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높이(h1) 및 상기 후방 롤러의 반경(R)에 대해 아래 관계식을 만족하는, 트레드밀.
    W2 ≤ (R-h1)/RW1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의 0.2 배 ~ 0.8 배인, 트레드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2 보강부의 두께의 2 배 ~ 5 배인, 트레드밀.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의 폭은 3 mm ~ 150 mm인, 트레드밀.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큰, 트레드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2배 이상 큰, 트레드밀.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의 폭은 상기 제1 보강부의 폭보다 5배 이상 큰, 트레드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의 단면 형상은 T자 형상인, 트레드밀.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돌출 높이는 상기 후방 롤러의 반경보다 작은, 트레드밀.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의 폭은 상기 베이스부의 폭의 1/2 이하인, 트레드밀.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의 길이는 상기 베이스부의 길이보다 작은, 트레드밀.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과 상기 제2 면은 평면이며, 서로 평행한, 트레드밀.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이격된 이격 영역과,
    상기 이격 영역의 양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베이스부에 접촉하는 접촉 영역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면은 평면이며, 상기 제2 면은 곡면인, 트레드밀.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강도 보강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돌출되며, 상기 제2 보강부와 상기 베이스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보강부를 지지하는, 적어도 하나의 리브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돌출된, 트레드밀.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리브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상기 제1 면과 예각 또는 둔각을 이루는 방향으로 돌출된, 트레드밀.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는,
    상기 제1 면과 평행한 방향으로 단면 형상이 지그재그 형상 또는 물결 형상인, 트레드밀.
  2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플라스틱 또는 알루미늄으로 구성된, 트레드밀.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무단(endless) 형태를 가지는 제1, 제2 벨트에 의해 연결된, 트레드밀.
  2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슬래트는, 인접한 슬래트들끼리 링크에 의해 연결된, 트레드밀.
  2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보강부에는 복수 개의 삽입부가 형성된, 트레드밀.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홀 형상을 가지는, 트레드밀.
KR1020170028546A 2016-04-25 2017-03-06 트레드밀 KR2017012168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7/004345 WO2017188687A1 (ko) 2016-04-25 2017-04-25 트레드밀
CN201780039551.0A CN109328093A (zh) 2016-04-25 2017-04-25 跑步机
EP17789871.5A EP3449982B1 (en) 2016-04-25 2017-04-25 Treadmill
US16/170,903 US11007404B2 (en) 2016-04-25 2018-10-25 Treadm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0124 2016-04-25
KR1020160050124 2016-04-25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04A Division KR101982184B1 (ko) 2016-04-25 2018-07-02 트레드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1682A true KR20170121682A (ko) 2017-11-02

Family

ID=60383337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28546A KR20170121682A (ko) 2016-04-25 2017-03-06 트레드밀
KR1020180076504A KR101982184B1 (ko) 2016-04-25 2018-07-02 트레드밀
KR1020180127699A KR101982185B1 (ko) 2016-04-25 2018-10-24 트레드밀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6504A KR101982184B1 (ko) 2016-04-25 2018-07-02 트레드밀
KR1020180127699A KR101982185B1 (ko) 2016-04-25 2018-10-24 트레드밀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007404B2 (ko)
EP (1) EP3449982B1 (ko)
KR (3) KR20170121682A (ko)
CN (1) CN10932809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206A (zh) * 2018-06-07 2018-09-14 上海永利输送系统有限公司 弹簧减震跑步机带及跑步机
KR102062492B1 (ko) * 2019-06-15 2020-01-0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854101S1 (en) 2018-01-05 2019-07-16 Peloton Interactive, Inc. Treadmill
KR102080163B1 (ko) * 2019-02-11 2020-04-07 주식회사 디랙스 트레드밀
USD961703S1 (en) * 2019-05-17 2022-08-23 Rexon Industrial Corp., Ltd. Slat for slat-belt treadmill
KR102237692B1 (ko) * 2019-06-15 2021-04-08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및 이를 포함하는 트레드밀
KR102185087B1 (ko) * 2019-06-15 2020-12-01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을 포함하는 트레드밀
WO2022204038A1 (en) * 2021-03-22 2022-09-29 Woodway Usa, Inc. Slat for a running belt of a treadmill
TW202239445A (zh) * 2021-04-06 2022-10-16 富安健康科技股份有限公司 彈跳跑步機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41173A1 (de) * 1977-09-23 1979-04-05 Schoenenberger Rolf Endlosband-vorrichtung fuer das koerpertraining, insbesondere fuer den skilanglauf
JP2926381B2 (ja) * 1994-03-02 1999-07-28 東急車輛製造株式会社 スラットコンベア
US6042514A (en) * 1998-05-30 2000-03-28 Abelbeck; Kevin G. Moving surface exercise device
CN2600132Y (zh) * 2003-01-08 2004-01-21 辅祥实业股份有限公司 跑步机的跑步台的缓冲组件
JP4417296B2 (ja) * 2005-06-30 2010-02-17 日立機材株式会社 梁補強金具および梁補強構造
JP2007238710A (ja) * 2006-03-07 2007-09-20 Denki Kagaku Kogyo Kk 粘着テープ
KR101371607B1 (ko) * 2008-01-07 2014-03-07 주식회사 두비원 트레드밀의 데크 지지 구조
WO2010107632A1 (en) * 2009-03-17 2010-09-23 Woodway Usa, Inc. Power generating manually operated treadmill
US9005085B2 (en) * 2009-11-02 2015-04-14 Alex Astilean Leg-powered treadmill
US8790222B2 (en) * 2010-07-29 2014-07-29 George Burger Single belt omni directional treadmill
CN202892783U (zh) * 2012-11-08 2013-04-24 广州一康医疗设备实业有限公司 一种履带式医用跑步机
CN104138650B (zh) * 2014-08-07 2016-06-29 厦门奥力龙科技有限公司 一种跑步机的跑板
CN204671808U (zh) * 2015-04-09 2015-09-30 厦门奥力龙科技有限公司 一种跑步机的跑板结构
CN204734905U (zh) * 2015-07-07 2015-11-04 宁波嘉达健康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跑步机的跑板
KR200487810Y1 (ko) * 2017-07-04 2018-11-06 주식회사 디랙스 무동력 트레드밀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525206A (zh) * 2018-06-07 2018-09-14 上海永利输送系统有限公司 弹簧减震跑步机带及跑步机
CN108525206B (zh) * 2018-06-07 2023-07-18 上海永利输送系统有限公司 弹簧减震跑步机带及跑步机
KR102062492B1 (ko) * 2019-06-15 2020-01-03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WO2020256321A1 (ko) * 2019-06-15 2020-12-24 장보영 트러스 구조를 갖는 슬랫
US11918848B2 (en) 2019-06-15 2024-03-05 Bo Young Chang Slat having truss structu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2185B1 (ko) 2019-05-24
KR20180119541A (ko) 2018-11-02
US20190060705A1 (en) 2019-02-28
EP3449982A1 (en) 2019-03-06
CN109328093A (zh) 2019-02-12
KR101982184B1 (ko) 2019-05-24
US11007404B2 (en) 2021-05-18
EP3449982B1 (en) 2024-06-26
EP3449982A4 (en) 2020-01-08
KR20180078218A (ko) 2018-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82184B1 (ko) 트레드밀
KR101660909B1 (ko) 트레드밀
US20190009128A1 (en) Motorless treadmill
CA2548825C (en) Conveying device for bulk material
CN213994706U (zh) 跑步机的履带
US20150335982A1 (en) Soft caps for dasher board assemblies
US20090181830A1 (en) Fitness treadmill
KR20170142102A (ko) 트레드밀 및 트레드밀의 프레임 구조물
KR20160150084A (ko) 트레드밀
KR100991453B1 (ko) 인라인 스케이트
US11364411B2 (en) Treadmill
CN113905788B (zh) 具有桁架结构的板条
KR101982183B1 (ko) 무동력 트레드밀 및 무동력 트레드밀의 프레임 제조방법
CN113323319A (zh) 一种地板龙骨、运动地板及施工方法
CN107407095A (zh) 便携式弹性悬浮的击剑用地板系统
CN216340628U (zh) 一种拼接式地板龙骨及运动地板
CN106741251A (zh) 一种无支撑轮的防缠绕履带轮
KR20130016420A (ko) 스케이트보드
CN217988330U (zh) 一种轮滑鞋支架
KR200265010Y1 (ko) 충격완충부재를 구비한 인-라인 스케이트
KR102365976B1 (ko) 선로 주행용 보조장치
KR101499164B1 (ko) 스케이트보드
US11369836B2 (en) Motorless treadmill
KR102579917B1 (ko) 월풀용 무동력 트레드 밀 구조체
JP2002263238A (ja) 特にインラインスケート靴用のフレー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8101004071;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81001

Effective date: 20200130

J302 Written judgement (patent court)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20201002819; JUDGMENT (PATENT COURT)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200319

Effective date: 2020102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