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016420A - 스케이트보드 - Google Patents

스케이트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016420A
KR20130016420A KR1020130008814A KR20130008814A KR20130016420A KR 20130016420 A KR20130016420 A KR 20130016420A KR 1020130008814 A KR1020130008814 A KR 1020130008814A KR 20130008814 A KR20130008814 A KR 20130008814A KR 20130016420 A KR20130016420 A KR 201300164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eck
support
skateboard
blad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8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명준
Original Assignee
송명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송명준 filed Critical 송명준
Priority to KR1020130008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016420A/ko
Publication of KR20130016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6420A/ko
Priority to KR1020140009573A priority patent/KR2014011332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01Skateboards
    • A63C17/011Skateboards with steer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12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driving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17/00Roller skates; Skate-boards
    • A63C17/26Roller skates; Skate-boards with special auxiliary arrangements, e.g. illuminating, marking, or push-off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CSKATES; SKIS; ROLLER SKATES; DESIGN OR LAYOUT OF COURTS, RINKS OR THE LIKE
    • A63C2203/00Special features of skates, skis, roller-skates, snowboards and courts
    • A63C2203/40Runner or deck of boards articulated between both feet

Landscapes

  • Motorcycle And Bicycle Fram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특히, 양 발로 각각 데크의 전,후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트는 동작을 통해서 상기 데크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퀴의 방향을 바꾸면서 주행방향을 전환하거나, 추진력을 발휘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굴절부를 통하여 대각선으로 휘도록 안내받아 다이에그널밴딩이 가능한 데크와, 상기 데크의 전,후방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바퀴와, 상기 데크의 좌,우 에지에 각각 허리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특히,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에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내부가 빈 장방형 형태를 취해서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부를 횡단하면서 구획하는 복수의 블록편과, 상기 블록편의 중심에 홈을 내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하드한 재질로 제공되며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는 장방형의 날 형태를 취하고 날이 세워진 상태로 상기 삽입홈에 개재되는 지지날과, 상기 지지날이 개재된 후에 상기 블록의 저면을 폐쇄하는 블록캡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스케이트보드{A Skateboard}
본 발명은 사용자가 데크를 양발로 딛고 서서 측면으로 주행하며 라이딩(riding)을 즐기는 스케이트보드(Skateboard)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특히, 양 발로 각각 데크의 전,후부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트는 동작을 통해서 상기 데크의 저면에 부착되는 바퀴의 방향을 바꾸면서 주행방향을 전환하거나, 추진력을 발휘하는 스케이트보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이러한 스케이트보드와 관련하여 등록특허 제10-0394848호(2003.8.4)가 개시되어 있으며 상기 등록특허는,
전방 데크(보드)와 후방 데크를 이격상태로 두고; 탄성요소를 포함하는 연결요소로 연결하며; 상기 전,후방 데크의 각 저면에 부착되는 바퀴는 인클라인드캐스터(Inclined Caster, 방향성캐스터)로 제공되어서; 상기 전,후방 데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면서 주행방향을 바꾸거나, 추진력을 가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전,후방 데크를 각각 별도로 두고 이격상태로 고정하여 연결하는 경우에, 데크 전체의 활용 면적이 줄어들어 사용자의 발을 딛을 폭이 좁아지고 따라서 스케이트보드 고유의 다양하고도 화려한 라이딩기술을 발휘하기 어렵다.
또한 상기 전,후방 데크의 서로 이격된 간격이 협소할시에는 상기 전,후방 데크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비틀 때 발이 끼이게 되는 위험도 따를 수 있다.
위와 같은 점을 해소하고자, 한 판으로 제공되되 허리가 꺽이지 않으면서도 전,후방이 반대방향으로 비틀릴 수 있도록 하는 등록특허 제10-1156927호(2012.6.9)가 제공되고 있는 바 이를 도 1과 함께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대각선으로 비틀림시에 발생하는 굴절부(섹션경계)(c)를 따라 제1측(11), 제2측(12), 제3측(13) 및 제4측(14)으로 구분될 수 있는 데크(판재)(10); 상기 데크의 제3측 및 제4측의 각 에지에 구비되어 허리의 굴절을 방지하는 지지수단(30); 상기 데크의 제1측 및 제2측에 각각 바퀴를 구비하여 제공되는 휠어셈블리(차륜부)(20); 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바퀴는 트럭(Truck) 또는 인클라인드캐스터 형태로 제공된다.
상기 인클라인드캐스터로 제공되는 바퀴(20)는 진행방향으로 기울임(Angle)을 준 캐스터(Caster)로서 스케이트보드의 좌우 기우는 측으로 방향이 전환되는 특성이 있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상기 등록특허들에 개시된 인클라인드캐스터(방향성캐스터)에 관한 설명을 인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전후방을 구분하지 않고 하나의 데크로 제공되는 기존의 스케이트보드는,
데크의 에지에 구비되는 지지수단이 상기 데크와 일체로 형성되어 동일 재질의 소재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데크가 대각선으로 비틀림 작용을 수행해야 하므로 유연하게 휨이 가능한 소재를 채택할 수 밖에 없고 따라서 동일 재질로 형성되는 지지수단만으로는 데크의 허리를 전혀 휘지 않게 제작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하다.
만일, 상기 지지수단이 다른 소재의 재질로 제공되는 경우 이를 상기 데크에 고정하는 것이 문제가 된다. 왜냐하면 상기 데크는 소프트한 재질이고 상기 지지수단은 하드한 재질인데다가 상기 데크가 비틀림 작용으로 계속 유동하여 마찰이 일어나기 때문에 리벳팅이나 나사로 고정하는 경우 금방 나사가 헐거워질 수 있고 또는 접착으로 고정하는 경우 접착부위가 떨어져 나갈 수 있어서 고정이 용이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상기 데크는 대각선으로 비틀림 작용을 수행하므로 상기 데크의 좌우 에지에 구성되는 지지수단은 세로 대비 가로의 폭이 적을 수록 바람직하다. 가령, 봉(Pipe)형태처럼 횡단면이 원형인 경우에는 직경이 적은 경우에는 하중에 의하여 휘거나 꺽일 수가 있고, 직경이 큰 경우에는 데크 에지의 폭을 크게 차지해서 비틀림을 수행하는 데크의 폭을 좁게할 수 있다.
한편, 도 1 B의 예시처럼 상기 데크(10)에 홈을 파서(cut) 상기 굴절부(c)를 형성시키면, 상기 굴절부의 두께(tv)가 데크의 두께에 비해서 훨씬 얇아져서 하중이 그 곳에 집중되므로 데크의 비틀림 동작시에 부러져 파손(break)되기 매우 쉽다. 주행중에 사용자의 몸을 싣는 데크의 파손은 안전문제에 치명적이 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대각선 비틀림을 용이하게 수행하는 구조, 구성를 가지면서 동시에 허리가 꺽이지 않는 스케이트보드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본 발명의 스케이트보드는,
굴절부를 통하여 대각선으로 휘도록 안내받아 다이에그널밴딩(Diagonal Bending)이 가능한 데크와,
상기 데크의 전,후방의 저면에 각각 고정되는 바퀴와,
상기 데크의 좌,우 에지에 각각 허리의 휨을 방지하도록 구비되는 지지수단,
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은,
상기 에지의 저면으로부터 하향 연장되어 내부가 빈 장방형 형태를 취해서 형성되는 블록과,
상기 블록의 내부를 횡단하면서 구획하는 복수의 블록편과,
상기 블록편의 중심에 홈을 내어 형성되는 삽입홈과,
하드한 재질로 제공되며 수직방향으로 힘을 받는 장방형의 날 형태를 취하고 날이 세워진 상태로 상기 삽입홈에 개재되는 지지날과,
상기 지지날이 개재된 후에 상기 블록의 저면을 폐쇄하는 블록캡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 발명의 의하면,
유연한 비틀림을 수행하는 데크와 상기 데크의 허리 휨을 방지하는 지지날이 각각 다른 소재의 재질로 제공되어서 유연한 비틀림을 수행하면서도 허리의 휨을 완벽하게 방지하며,
상기 데크와 상기 지지날의 고정에 있어서는 직접적인 리벳팅이나 접착을 하지 않고 끼움방식으로 개재시켜 고정하므로써 데크의 내구력을 향상하고, 제작의 편의를 도모하고, 유지보수를 위한 분해조립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다.
도 1 제10-1156927호의 A 정면도; 측면도; 저면도; B 상태를 측면에서 보인 부분도;
도 2 A 및 B는 데크의 비틀림 동작을 보인 측면도
도 3 상기 비틀림에 따른 데크의 기울기와 상기 기울기에 따른 휠어셈블리로 제공되는 방향성캐스터 바퀴의 방향전환 동작을 보인, A 데크 및 앞바퀴의 정면도; B 데크 뒤의 정단면도 및 뒷바퀴 정면도;
도 4 저면도
도 5 확대된 저면 사시도
도 6 A 측면도; B 작용상태의 예시도; C 작용상태의 다른 예시도;
도 7 지지수단의 A 저면사시도; B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8 저면사시도 및 부분 확대도
도 9 A 작용상태를 보인 동작도; B 다른 동작도;
도 10 데크와 보조바퀴부의 분해된 상태를 보인 저면도
도 11 조립된 상태를 투시하여 스케이트보드 전체를 보인 평면도
도 12 보조바퀴부의 A 평면도; B 사시도; C 정면도; D 측면도;
단, 도 2, 도 5, 도 8 및 도 1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바퀴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먼저, 첨부된 도면과 함께 본 발명을 개시하기로 한다.
본 발명 스케이트보드의 데크, 휠어셈블리의 작동원리는 상기 제10-1156927호와 관련하며, 도 2 및 도 3의 도시는 그것과 관련하여 재도시 되어진 것이다.
도 2 A의 예시는 상기 데크가 대각선으로 형성되는 일측 굴절부(400a)를 따라 굴절을 수행하는 동작을 도시한 것이고, 도 2A의 예시는 타측 굴절부(400b)를 따라 반대방향으로 꺽이는 동작을 보인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휠어셈블리(200)로는 인클라인드캐스터를 채택한 실시를 예시한 것이다.
이때, 휠어셈블리(200)에 장착되는 바퀴의 동작은 인틀라인드캐스터의 원리에 따라 데크가 기우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한다. 도 3은 그것을 예시한 것으로서 가령, 도 3 A의 예시와 같이 앞바퀴(220a)는 좌측으로 기우는 데크 앞쪽을 따라 주행의 방향을 좌측(left)으로 전환하고, 도 3 B의 예시와 같이 뒷바퀴(220b)는 우측으로 기우는 데크 뒤쪽을 따라 주행의 방향을 우측(right)으로 향한다.
도 1 내지 도 5의 도시에서, 데크 상면은 사용자의 발으로부터 가해지는 하중을 지지하도록 평평하고, 데크 저면의 앞측 및 뒷측에는 각각 휠어셈블리(200)를 고정할 휠어셈블리부착부(210a, 210b)가 구성되고, 상기 휠어셈블리(200)에는 바퀴(220: 220a, 220b)가 각각 지면에서 구름운동 가능하게 회전결합된다.
상기 휠어셈블리(200)가 인클라인드캐스터로 제공되는 경우 도 3의 예시와 같이 상기 데크(100)가 기우는 방향으로 방향전환 회전을 가능케 하는 피봇축(pivot)이 구성된다.
이와 같은 동작 및 작용을 통하여 주행 방향을 전환하거나 신체의 회전력을 스케이트보드에 가하여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는 것이다. 추진력과 관련된 사항은 공지된 것을 인용하기로 한다.
도 4 내지 도 7의 도시에서, 지지수단(300)은 블록(310), 지지편(320), 삽입홈(330), 블록캡(340) 및 지지날(350)을 포함한다.
상기 블록(310)은, 상기 데크(100)의 좌,우측의 각 에지로부터 수직 아래로 돌출, 연장시켜 만든 수직벽으로 둘러싸여 내부가 빈 장방형, 직사각 형태를 취하여 형성된다.
상기 지지편(320)은, 상기 블록(310)의 내부에서 상기 블록(310)의 세로방향 즉, 길이를 따라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기 블록(310)을 가로로 횡단하여 상기 블록(310)의 내부를 구획하도록 상기 데크(100)의 에지로부터 수직 아래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320)의 중심에는 상기 블록(310)의 길이를 따라 일직선상으로 홈이 패인 삽입홈(330)이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지지날(350)은, 상기 블록(310)의 길이보다 짧은 직사각 형태의 수직 날로서, 날이 세워진 채로 상기 삽입홈(330)에 아래로부터 위로 끼워진다. 이때, 상기 지지날(350)의 둘레(테두리, 날 및 모서리)가 날카로운 경우 상기 데크(100)에 손상을 줄 수 있으므로 면취 작업을 가해주어서 부드러운 형상을 취하도록 하여야 한다. 상기 지지날(350)의 부재로는 금속과 같은 강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그 외에 상기 금속과 같은 강도를 보유한 합성수지, 탄소섬유 부재 등이 가능하다.
상기 블록캡(340)은, 상기 블록(310)의 저면에 부착하며 외부로부터 상기 블록(310)의 내부를 차단하여서, 상기 지지날(350)의 이탈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지면의 오물로부터 상기 지지날(350)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블록캡(340)은 상기 데크(100)와 동일 부재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지수단(300)의 구성에 따른 작용에 있어서, 도 6 및 도 7의 예시와 함께 상기 지지날(350)의 작용을 살펴보면,
도 6 A의 예시와 같이 데크(100)의 허리에 사용자 체중에 의한 수직방향 하중(f1)이 가해지면은 상기 하중은 결국 상기 지지수단(300)에 전해져서 도 6 B의 예시처럼 상기 수직방향 하중(f1)이 그대로 상기 지지날(350)을 가압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지지날(350)은 수평방향의 폭(t2)은 좁고 수직방향의 폭(t1)은 매우 크다. 따라서 도 6 B의 예시처럼 수평방향 하중(f2)에 대하여는 휘거거나 꺽일 수 있다. 그러나 수직방향 하중(f1)에 대하여는 절대로 꺽이거나 부러지지 않는다. 그래서 상기 수직방향 하중(f1)에 대하여 버티는 힘을 상기 지지수단(300) 및 상기 데크(100)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상기 지지날(350)의 수평방향 폭(t2)을 가능한 좁게 하는 이유는 상기 데크(100) 저면에서 상기 지지수단(300)이 차지하는 좌우폭을 최소한으로 하기 위함이다. 이에따라 상기 데크(100)의 폭을 다른 용도로 넓게 활용할 수 있는 바, 상기 데크(100)상에 형성되는 상기 굴절부(400)의 자유로운 배치 영역을 크게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날(350)에 대하여 자연상태에서 상기 수직방향 하중(f1)을 가하게 되면은 그 힘은 방향을 틀어서 상기 지지날(350)의 수평방향으로 향할 수가 있다. 이 경우 도 6 C의 예시처럼 상기 지지날(350)은 옆으로 휘거나 부러져 파손되는 현상(f1`)이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블록(310)의 내부에 지지편(320)을 형성하며 상기 지지편은 상기 지지날(350)이 옆으로 휘지 않도록 지지해 받쳐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지지편(320)의 형성은 상기 블록(310)의 외벽 및 상기 데크(100)의 저면으로부터 내부로 돌출, 연장되어서 이루어진다. 상기 지지편(320)은 2개 이상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데크(100)의 앞뒤 방향 길이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지지편(320)의 중간에 홈을 내어서 상기 지지날(350)을 끼울 수 있는 삽입홈(330)을 형성한다. 상기 지지날(350)의 전체가 끼워져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삽입홈(330)은 상기 복수의 지지편(320) 모두에 형성되며 상기 데크(100)의 앞뒤 방향으로 일직선상에 배치된다.
상기 지지날(350)에 가해지는 수직방향 하중이 방향을 틀어서 수평방향 향하더라도 도 7 A의 예시처럼 상기 지지편(320)이 좌,우(321, 322) 양측 옆에서 지지하여 주므로 상기 지지날(350)이 옆으로 휘지 않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도 7 B에서, 상기 지지날(350)에 강한 충격이 가해지거나 상기 데크(100)가 대각선으로 비틀리면서 가해지는 뒤틀림 힘에 대하여 상기 지지날(350)이 소폭 좌우로 진동하거나 움직(330‘)여서 이를 흡수할 수 있도록 상기 블록(310)의 내부에는 지지편(320)과 지지편(320) 사이에 상기 지지날(350)의 좌우 방향으로 빈 공간(sp)이 제공된다. 만일, 덩어리 형태 것에 상기 지지날(350)을 매몰하는 방식을 취한다면 이러한 역할을 기대할 수 없으며, 상기 지지날(350)의 수리, 교체에 있어서도 이를 수행하기가 어렵다. 상기 공간(sp)이 제공되는 블록(310)에서는 상기 공간에 손이나 도구를 집어넣어서 상기 지지날(350)을 꺼내거나 장착하기가 쉬워서 수리, 교체가 용이하다.
굴절부(400)에 관하여는 도 2, 도 4의 도시에서, 데크(100)에 굴절부(400)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굴절부(400)는, 데크(100) 앞측의 좌측으로부터 데크(100) 뒷측의 우측으로 일직선상에서 굴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1부(400a) 및 상기 데크(100) 앞측의 우측으로부터 상기 데크(100) 뒷측의 좌측으로 일직선상에서 굴절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400b)로 이루어진다. 상기 굴절부(400)에 의하여 상기 데크(100)는 제1측(110), 제2측(120), 제3측(130) 및 제4측(140)으로 구획된다.
도 8의 실시에 상기 데크(100)의 제1측(110)과 제3측(130)을 구획하는 굴절부(400)의 제1부(400a)가 부분 확대되어 도시되어 있다. 상기 굴절부(400)는 데크(100)와 유사한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고, 적어도 한 개의 골(420) 및 산(410)으로 이루어진 주름을 갖는다. 더욱 구체적으로, 데크(100)의 상면에 골이 형성되면 그 저면에는 산이 형성되고, 데크(100)의 상면에 산(410)이 형성되면 그 저면에는 골(420)이 형성되어서 일정한 상기 두께가 유지되는 주름이 형성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주름은 골(420) 또는 산(410)을 2개 이상 복수개 갖는 것이, 설령 내구성을 높이기 위하여 상기 데크(100)를 조금은 하드한 재질로 선택하더라도 용이하게 굴절을 수행할 수 있다. 사실 상기 데크(100)가 다소 하드한 강재로 이루어지더라도 상기 골(420) 및 산(410)으로 이루어지는 주름을 무수히 제공하면 얼마든지 부드러운 굴절 작용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골(420) 및 산(410)은 개수가 많아질 수록 하중 및 굴절각이 분산되므로 내구성 및 굴절 유연성이 좋아진다.
도 9의 예시는 상기 주름으로 이루어진 굴절부(400)의 동작, 작용을 도시한 것으로, 굴절의 방향에 따라 산(410)과 골(420)이 좁혀지고 펴지면서 굴절이 이루어진다.
도 10, 도 11 및 도 12의 실시는, 데크(100)의 저부 좌우측에 형성되는 보조바퀴부(500: 500a, 500b)에 대한 도시이다. 상기 앞뒤 휠어셈블리(200a, 200b) 바퀴와 함께 바퀴가 4륜으로 제공되어서 중심잡기에 용이한 구조를 제공한다. 상기 보조바퀴부(500)는 데크(100)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제공되는 윙바디고정부(510: 510a, 510b)와, 상기 윙바디고정부(510: 510a, 510b)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윙바디(530)를 갖는다.
상기 윙바디(530)는 윙바디탈부착부(530m)와; 상기 윙바디탈부착부(530m) 좌우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윙(530a, 530b)과; 상기 윙(530a, 530b)의 각 단부에 보조바퀴를 장착하여 구비되는 보조바퀴휠어셈블리(540: 540a, 54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보조바퀴휠어셈블리(540)는 상기 윙바디(530)의 각 단부 즉, 상기 윙(530a, 530b)의 각 단부에 구성되는 보조바퀴휠어셈블리피봇축(541)을 통하여 장착된다.
상기 윙바디고정부(510a, 510b)는 돌출부를 삽입할 수 있는 제1삽입공 및 제2삽입공(510: 511, 512)으로 이루어졌고 상기 윙바디탈부착부(530m)의 좌우측에는 상기 제1, 2삽입공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돌출하여 삽입될 수 있는 제1삽입돌기 및 제2삽입돌기(520: 521, 522)가 형성되어 상기 제1, 2삽입공(510; 511, 512)에 각각 끼워진다. 삽입공과 삽입돌기의 결합에 있어서, 상기 제1삽입공과 상기 제2삽입공으로 나누어 상기 제1, 2삽입돌기를 각각 고정하게 되면 상기 데크(100)가 비틀어질 때 상호 보완적으로 작용하여 보다 더 부착을 견고히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보조바퀴부(500: 500a, 500b)가 장착되는 경우에는 저속주행 때 또는 초심자라고 하여도 중심잡기가 용이하며, 상기 지지날(350)을 장착하지 않거나 제거하여도 데크(100)의 허리가 꺽이지 않는다.
더하여, 도 12의 실시와 같이 상기 윙바디(530)의 윙(530a, 530b) 각 단부에는 상기 보조바퀴휠어셈블리(540: 540a, 540b)를 장착하되 경사각(an)을 주어서 장착하도록 윙 경사면(540an)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윙 경사면(540n)은 상기 보조바퀴휠어셈블리(540)에 대하여 인클라인드캐스터 역할을 하도록 기울기를 제공한다.
따라서, 스케이트보드 데크에 장착되는 앞바퀴(220a) 및 뒷바퀴(220b)가 인클라인드캐스터가 아닌 보통의 트럭을 장착한 바퀴 형태로 제공되는 경우에도 상기 보조바퀴휠어셈블리(540)가 인클라인드캐스터의 역할을 하여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앞,뒷바퀴가 인클라인드캐스터로 제공되는 경우에는 함께 더불어서 더욱 강력한 추진력을 제공할 수 있다.
데크(100); 휠어셈블리(200); 지지수단(300); 굴절부(400); 보조바퀴부(500);

Claims (3)

  1. 대각선을 굴절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굴절부가 형성된 데크와,
    상기 데크의 전,후방의 저면에 각각 구비되는 휠어셈블리와,
    상기 데크의 좌,우 에지에 각각 구비되는 지지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지지수단은,
    지지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저면 좌우측에 각각 윙바디고정부가 형성되고,
    상기 윙바디고정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되는 윙바디로 이루어지는,
    보조바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데크의 굴절부는 주름이 형성되어 상기 굴절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케이트보드
KR1020130008814A 2013-01-25 2013-01-25 스케이트보드 KR2013001642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14A KR20130016420A (ko) 2013-01-25 2013-01-25 스케이트보드
KR1020140009573A KR20140113322A (ko) 2013-01-25 2014-01-27 스케이트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08814A KR20130016420A (ko) 2013-01-25 2013-01-25 스케이트보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11396A Division KR101499164B1 (ko) 2014-01-29 2014-01-29 스케이트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6420A true KR20130016420A (ko) 2013-02-14

Family

ID=4789577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8814A KR20130016420A (ko) 2013-01-25 2013-01-25 스케이트보드
KR1020140009573A KR20140113322A (ko) 2013-01-25 2014-01-27 스케이트보드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9573A KR20140113322A (ko) 2013-01-25 2014-01-27 스케이트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2013001642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04A1 (ko) * 2014-02-04 2015-08-13 (주)타이젠 스케이트보드
KR20160002496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19304A1 (ko) * 2014-02-04 2015-08-13 (주)타이젠 스케이트보드
KR20160002496A (ko) * 2014-06-30 2016-01-08 주식회사 랜드웨이스포츠 스케이트보드의 보조바퀴유니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113322A (ko) 2014-09-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264813T3 (es) Un monopatin.
US7686025B1 (en) Beach cane flip-flop system
US8915506B2 (en) Inline skateboard with differentiated wheels
KR200410530Y1 (ko) 스케이트보드
KR200371540Y1 (ko) 스케이트보드
KR101265864B1 (ko) 보조바퀴 모듈이 설치된 스케이트 보드
RU2348562C2 (ru) Колес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развлечений или занятий спортом, приводимое в движение ногой
JPH0225417Y2 (ko)
KR20130016420A (ko) 스케이트보드
KR200462622Y1 (ko) 스프링 탄력 주행 보드
US20020158430A1 (en) Gliding apparatus having two boards
CA2786390A1 (en) Molded snowshoe with compound deck
US9010778B1 (en) Large wheel, low center of gravity casterboard system
KR20080004092A (ko) 스케이트보드
KR101499164B1 (ko) 스케이트보드
KR20060019495A (ko) 스케이트보드
KR102362952B1 (ko) 주행 속도 표시장치 및 비상 정지 기능을 포함하는 무동력 슬랫 포함 트레드밀
US20100127468A1 (en) Skateboard
US20100290835A1 (en) Trench cover
US6089580A (en) Chassis for in-line roller skates
US8746707B2 (en) Skate
KR101010015B1 (ko) 링크식 스케이트 보드
WO2015119304A1 (ko) 스케이트보드
KR20060082830A (ko) 스케이트보드
US8002296B2 (en) Skate board with wear resisting mea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