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20563A - Electrostatic precipitator - Google Patents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20563A
KR20170120563A KR1020177017785A KR20177017785A KR20170120563A KR 20170120563 A KR20170120563 A KR 20170120563A KR 1020177017785 A KR1020177017785 A KR 1020177017785A KR 20177017785 A KR20177017785 A KR 20177017785A KR 20170120563 A KR20170120563 A KR 201701205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ging
dust collecting
section
electrode plat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778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481567B1 (en
Inventor
히로시 호소노
아츠시 가타타니
히카루 무라타
아키라 미즈노
Original Assignee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나소닉 아이피 매니지먼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205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563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15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1567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1Ionising-electr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3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USING LIQUIDS OR USING PNEUMATIC TABLES OR JIGS; 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MAGNETIC OR ELECTROSTATIC SEPARATION OF SOLID MATERIALS FROM SOLID MATERIALS OR FLUIDS; SEPARATION BY HIGH-VOLTAGE ELECTRIC FIELDS
    • B03C3/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 e.g. air, by electrostatic effect
    • B03C3/34Constructional details or accessories or operation thereof
    • B03C3/40Electrode constructions
    • B03C3/45Collecting-electrodes
    • B03C3/47Collecting-electrodes flat, e.g. plates, discs, gratings

Landscapes

  • Electrostatic Separation (AREA)

Abstract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 유닛(11)은 적어도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로 구성한 도전성 섬유부(20)를 가지는 복수의 대전부 하전 극판(15)과, 적어도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로 구성한 도전성 섬유부(20)를 가지는 복수의 대전부 접지 극판(14)을 구비한다. 또, 대전부 하전 극판(15)과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각 극판 간에는 도전성 섬유로 구성한 도전성 섬유부(20)를 가지도록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 대전부(12)를 갖는다. 또, 집진부 접지 극판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평행하게 배치한 집진부(13),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하전하는 대전부 고압 전원(18),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하전하는 집진부 고압 전원(19)을 갖는다. 더욱이, 풍향 상측에 대전부(12), 풍향 하측에 집진부(13)가 배치되어 있다.A dust collecting unit (11) of a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includes a plurality of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s (15) having conductive fiber portions (20) made of conductive fibers on at least one side and conductive fiber portions And a plurality of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s 14 having a plurality of charging section grounding plates 14. The charging section 12 is arranged alternately in parallel with the electroconductive fiber section 20 made of conductive fiber between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includes a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and a dust collecting section discharging electrode plate 17 disposed in parallel to each other. The charging section high voltage power source 18 for charging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the dust collect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7, And a high-voltage power supply 19. Further, the charging section 12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Figure P1020177017785
Figure P1020177017785

Description

전기 집진 장치{ELECTROSTATIC PRECIPITATOR}ELECTROSTATIC PRECIPITATOR

본 발명은 공기중의 부유 입자를 대전시켜 정전기력으로 포집하는 전기 집진 장치에 관한 것이다.TECHNICAL FIELD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collecting suspended particles in air by electrostatic force.

종래, 이런 종류의 전기 집진 장치는, 대전부의 방전 전극에 직류 고전압을 인가해, 정의 코로나 또는 부의 코로나를 발생시켜, 대전부를 통과하는 분진에 정 또는 부의 전하를 갖게 해, 분진을 대전시킨다. 이 대전한 분진을, 직류 고전압이 인가된 하전 전극과, 접지에 연결된 접지 극판을 가지는 집진부와의 고전계에 의해, 정전기력으로 접지 극판면 상으로 포집하는 기술이 넓게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참조).Conventionally, in this type of electrostatic precipitator, a direct current high voltage is applied to a discharge electrode of a charging section to generate a positive corona or a negative corona to have positive or negative charge in the dust passing through the charging section to charge the dust. A technique of collecting the charged dust by a high electric field between a charged electrode to which a direct current high voltage is applied and a dust collecting unit having a ground electrode plate connected to the ground on the ground electrode plate surface by electrostatic force is widely known , See Patent Document 1).

이하, 그 전기 집진 원리에 대해 도 2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principl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도 20은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 유닛의 전극 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다.20 schematically shows the electrode arrangement of the dust collecting uni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 집진 장치는 대전부(104)와 집진부(105)에 의해 구성된다. 통풍 방향은 대전부(104)로부터 집진부(105)로 향하는 방향(도 20에 있어서의 왼쪽에서 오른쪽의 방향)이다. 대전부(104)와 집진부(105)에는 각각 +11kV와 +8.3kV의 직류 고전압이 직류 고압 전원(109)으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대전부(104)는 돌기 형상의 방전 전극(104A)과 접지 극판(104B)에 의해 구성된다.As shown in Fig. 20,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s constituted by a charging section 104 and a dust collecting section 105. Fig. The ventilation direction is a direction from the charging section 104 to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05 (from left to right in FIG. 20). A direct current high voltage of +11 kV and +8.3 kV is supplied from the direct current high voltage power source 109 to the charging section 104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05, respectively. The charging section 104 is constituted by a projection electrode 104A and a grounding electrode plate 104B.

방전 전극(104A)에 +11kV의 직류 고전압이 인가되어 방전 전극(104A)과 접지 극판(104B) 사이의 공간에 정의 코로나 방전이 발생한다. 이 정의 코로나에 의해 발생한 정 이온이, 공간 중의 분진(도시되지 않음)에 정의 전하를 주어 분진은 정으로 대전한다. 대전한 분진은 후단의 집진부(105)에 있어서의, 하전 극판(105A)과 접지 극판(105B) 간에 형성되는 강전계에 의해, 정전기력으로 접지 극판(105B)상에 포집된다(집진 원리).A direct current high voltage of +11 kV is applied to the discharge electrode 104A, and a positiv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in the space between the discharge electrode 104A and the ground electrode plate 104B. The positive ions generated by this positive corona give a definite charge to the dust (not shown) in the space, and the dust is positively charged. The charged dust is collected on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05B by a strong electric field formed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plate 105A and the grounded electrode plate 105B in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05 at the rear stage (dust collecting principle).

코로나 방전을 이용한 일반적인 터널 환기 설비용 전기 집진 장치는 풍량 당 소비 전력이 110W/(m3/s) 정도이다. 이로부터 1m3/min 당 소비 전력은 약 2W가 된다.Electric dust collectors for general tunnel ventilation equipment using corona discharge have a power consumption of about 110 W / (m 3 / s) per air flow rate. From which the power consumption per 1m 3 / min is about 2W.

또, 다른 종래의 공기 청정기에서는, 처리 풍량이 0.3m3/min의 경우에 소비 전력은 3.5W이며, 이로부터 1m3/min 당 소비 전력은 약 12W가 된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2 참조).In another conventional air cleaner, when the air flow rate is 0.3 m 3 / min, the power consumption is 3.5 W, and the power consumption per 1 m 3 / min is about 12 W (se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2 ).

(선행 기술 문헌)(Prior art document)

(특허 문헌)(Patent Literature)

(특허 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9-225340호 공보(Patent Document 1) 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9-225340

(특허 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공보 평 9-239289호 공보(Patent Document 2) JP-A-9-239289

이러한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104)에서는, 코로나 방전에 의한 전력 소비가 발생하기 때문에, 소비 전력에 수반하는 전기료가 커진다고 하는 과제가 있었다.In the charging section 104 of such an electrostatic precipitator, power consumption due to the corona discharge is generated, so that there is a problem that the electricity cost accompanying the power consumption increases.

그래서 본 발명은,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혹은 미소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켜, 분진을 대전시키는 것에 의해, 대전부에서의 전력 발생을 저감해, 소비 전력에 수반하는 전기료를 줄일 수 있는 전기 집진 장치를 제공한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electric dust collection device capable of reducing electric power generation in a charging section and reducing electric charges accompanying power consumption by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Device.

그리고,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는 분진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복수의 하전 전극과 복수의 접지 전극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다. 또, 하전 전극의 한쪽 면 또는 접지 전극의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고, 도전성 섬유가 하전 전극과 접지 전극의 각 극판 사이에 마련되고,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 대전부를 구비한다.Further, in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plurality of charge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are alternately disposed in parallel between an inflow portion and an outflow portion of a gas containing dust. The present invention also includes a charging section provided with conductive fibers on one surface of the charged electrode or one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the conductive fibers being provided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s and the respective electrode plates of the ground electrod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charged electrodes.

이러한 구성에 의해, 그라디언트력(gradient force)에 의해 도전성 섬유에 분진을 퇴적시키고, 퇴적한 분진이 비산시에 퇴적하고 있던 도전성 섬유와 동일한 극성으로 유도 대전에 의해 대전하고, 이 비산한 대전 분진을 상이한 극성의 대향하는 접지 전극 혹은 하전 전극으로 집진할 수 있는 것이다.With this configuration, dust is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s by a gradient force, and the deposited dust is charged by induced charging with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conductive fibers deposited at the time of scattering, and the scattered charged dust 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charges to the opposite ground electrodes or charged electrodes of different polarities.

게다가 대전부에서의 전력 발생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에 수반하는 전기료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generation of electric power in the charging section and to reduce the electricity cost accompanying the power consumption.

또,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는,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도전성 섬유의 단부로부터 방전을 발생시키고, 이 대전부의 방전을 전극의 면적에 대해서 1mm2 당 3×10-5~ 60×10-5μA의 범위로 해도 좋다.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charge electrodes to generate a discharge from the end of the conductive fiber, the charge-discharge unit to 3 × 10 -5 ~ 60 × per 1mm 2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electrode 10 < -5 > [ mu] A.

또, 하전 전극과 접지 전극의 극판 간격에 대한, 도전성 섬유의 길이의 비율을 0.01 ~ 0.3으로 하고, 하전 전극과 접지 전극의 극판 사이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 ~ 1kV/mm로 해도 좋다.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s to the distance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may be 0.01 to 0.3, and the electric field strength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may be 0.3 to 1 kV / mm.

또, 도전성 섬유를 탄소섬유로 해도 좋다.The conductive fibers may be carbon fibers.

또, 분진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부와 유출부간에 있어 복수의 집진부 하전 극판과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집진부 하전 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복수의 집진부 하전 극판과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을 집진부로 하고, 집진부를 대전부의 하류 측에 구비한 것으로 해도 좋다.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of the gas containing dust and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The dust collect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may be a dust collecting portion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may be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harging portion.

또,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해도 도전성 섬유의 단부로부터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으로 해도 좋다.Further, even if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d electrode, discharge may not occur from the end of the conductive fiber.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를 사용한 터널 환기 설비의 내부를 투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2-2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3-3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를 사용한 터널 환기 설비의 상면의 내부 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극판 배치를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의 인가 전압에 대한 전류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의 전계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의 분진이 퇴적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의 분진이 재비산하는 움직임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인가 전압을 제로로 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전압 인가를 대전부만으로 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전압 인가를 집진부만으로 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집진율의 비교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 인가 전압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 방전 전류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소비 전력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은 종래의 전기 집진 장치의 대전부와 집진부의 구성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side of a tunnel ventilation facility using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2-2 of Fig.
3 is a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3-3 of Fig.
4 is an inner perspective view of a top surface of a tunnel ventilation facility using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arrangement of the electrode plates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graph showing the electric current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charging s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an electric field region of a charging s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a)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dust in the electrification par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Fig. 9 (b) is a conceptual diagram showing the movement of the dust in the electrification part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the applied voltag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set to zero.
FIG. 12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only the charging section is applied with the voltag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3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only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s applied with the voltag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4 is a graph showing a comparison of the dust collection rates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15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charging por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6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charging current of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in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7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9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nfiguration of an electric dust collector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 charging section and a dust collecting section of a conventional electric dust collector.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BEST MODE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제1 실시 형태)(First Embodiment)

우선,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전기 집진 장치의 설치의 일례로서 터널 환기 설비에 사용되는 구성을 도 1 ~ 도 4를 이용해 설명한다.First, the configuration used in the tunnel ventilation equipment as an example of the installa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4. Fig.

도 1~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전기 집진 장치(3)는, 터널 본선(1)의 상부에서, 환기 흡입구(2)로부터 환기 토출구(6)에 이르는 환기 풍로(4) 내에 설치되고, 환기 풍로(4)의 하류 측에 환기 팬(5)이 설치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환기 풍로(4)는 3 계통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기 흡입구(2), 전기 집진 장치(3), 환기 풍로(4), 환기 팬(5)으로 1 계통을 구성한다. 모두는 도시하고 있지 않지만, 도 4에 도시하는 환기 풍로(4)의 양측에도 동일한 구성의 환기 풍로가 마련되어 있고, 공통의 환기 토출구(6)는 3 계통을 통합한 토출구로 되어 있다.1 to 4,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3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duct 3 in the upper part of a tunnel main line 1, a ventilation duct 4 extending from a ventilation inlet 2 to a ventilation / And a ventilation fan 5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ventilation air passage 4. [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re are three ventilation air ducts 4, and as shown in Fig. 4, one ventilation duct 2, an electric dust collector 3, a ventilation duct 4 and a ventilation fan 5 constitute one system . Although not shown, ventilation air ducts of the same configuration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ventilation air passage 4 shown in Fig. 4, and a common ventilation outlet 6 is a discharge port incorporating three systems.

전기 집진 장치(3)의 측방에는, 도 1에 나타냈듯이, 전기 집진 보조기(7)와, 전기 집진 장치(3)와 전기 집진 보조기(7)를 작동시키는 고압 발생반(8)과 제어반(9)이 설치되어 있다.1, a high voltage generating unit 8 for operat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3,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3 and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ssistant apparatus 7 and a control panel (not shown) for operating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7 are provided on the side of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3, 9) are installed.

전기 집진 장치(3)는, 도 5에 나타냈듯이, 케이싱(10) 내에, 대전부(12)와 집진부 (13)로 이루어지는 집진 유닛(11)을 구비하고, 집진 유닛(11)의 풍향 상측에는 댐퍼(31)를 구비하고, 풍향 하측의 상부에는 세정 배관(32)을 구비하고 풍향 하측의 하부에는 배선 단자 상자(33)를 갖추고 있다.5, the electric dust collector 3 is provided with a dust collecting unit 11 composed of a charging section 12 and a dust collecting section 13 in the casing 10, A damper 31, a cleaning piping 32 at an upper portion below the wind direction, and a wiring terminal box 33 at a lower portion below the wind direction.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진 유닛(11)은 케이싱(10)내에 복수 설치되어 있다.As shown in Fig. 2,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units 11 are provided in the casing 10. Fig.

댐퍼(31)는 대전부(12) 및 집진부(13)를 구성하는 극판을 물세정 할 때에 닫아, 케이싱(10)의 밖으로의 물비산을 방지하는 기능이 있고, 세정 배관(32)은 극판이나 애자를 세정하기 위한 기내 배관으로, 그 재질은 스테인리스 또는 수지로 구성되어 있다.The damper 31 has a function of closing the electrode plate constituting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when the water is cleaned and preventing scattering of water out of the casing 10. The cleaning pipe 32 is a plate This is an in-cabinet piping for cleaning the insulator, and its material is made of stainless steel or resin.

배선 단자 상자(33)는 고압 발생반(8)으로부터의 배선을 일단 단자수용하는 상자로, 이 상자의 단자로부터 대전부(12)와 집진부(13)로 배선해 고전압을 인가한다.The wiring terminal box 33 is a box which temporarily receives the wiring from the high voltage generator 8 and which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from the terminal of this box and applies a high voltage.

다음에,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인, 집진 유닛(11)의 대전부(12)의 구성에 대해 설명한다.Next, the configur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12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1, which is a feature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도 6에 나타냈듯이, 집진 유닛(11)은, 접지 전극으로서의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하전 전극으로서의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 대전부(12)와,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 집진부(13)와,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하전하는 대전부 고압 전원(18),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하전하는 집진부 고압 전원(19)으로 구성된다. 풍향 상측에 대전부(12), 풍향 하측에 집진부(13)가 배치되어 있다.6, the dust collecting unit 11 includes a charging section 12 in which a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s a charging electrode as a ground electrode and a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s a charging electrode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A dust collecting section 13 in which the ground electrode plate 16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charge collecting electrode plate 17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to each other, a charging section high voltage power source 18 for charging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The charge is constituted by a dust collecting section high voltage power source 19. A charging section 12 is arranged on the upp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and a dust collecting section 13 is arranged on the low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대전부(12)는 예를 들면,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깊이(길이) L1은 40mm, 높이(도시하지 않음)는 32mm이며,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극판 간격 D1은 10mm이다.The depth (length) L1 of the charging section 12 is 40 mm, the height (not shown) is 32 mm, and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 And the charging plate charging electrode plate 15 is 10 mm.

집진부(13)는, 예를 들면,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의 깊이(길이) L2는 280mm, 높이(도시하지 않음)는 90mm이며,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의 극판 간격 D2는 10mm이다. 또, 집진부 접지 극판(16)은 6매, 집진부 하전 극판(17)은 6매 사용하고 있다.The depth (length) L2 of the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discharging electrode plate 17 is 280 mm and the height (not shown) is 90 mm. For example, the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The interval D2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of the charge electrode plate 17 is 10 mm. Six dust-collecting-section grounding plates 16 and six dust-collecting picking-up electrodes 17 are used.

대전부(12), 집진부(13)의 극판 재질은, 예를 들면 SUS304이고, 판두께는 0.4~0.6mm 정도이며, 재질로서는 도전체이면 사용가능하다.The electrode plate material of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is, for example, SUS304, and the plate thickness is about 0.4 to 0.6 mm.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은 한쪽에 다수의 도전성 섬유를 식모한 도전성 섬유부(20)가 마련되어 있고, 서로 마주보는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 중 어느 한쪽은 도전성 섬유부(20)를 가지도록 배치되어 있다.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and discharging electrode plate 15 of the charging section are provided with a conductive fiber section 20 in which a plurality of conductive fibers are formed on one side. The charging electrode grounding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15) is arranged so as to have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도전성 섬유부(20)는, 예를 들면 선 직경 5~10μm 정도, 길이 0.1에서 3mm 정도의 다수의 활성 탄소 섬유로 구성되고, 도전성 접착제를 이용해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에 접착되어 있다.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made of a large number of activated carbon fibers having a line diameter of about 5 to 10 mu m and a length of about 0.1 to 3 mm and is electrically connected to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electrode charging plate 15).

아울러, 대전부 하전 극판(15)과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극판 간격 D1에 대한, 도전성 섬유부(20)의 길이의 비율은 0.01~0.3이 바람직하다. 이 비율이 0.01 이상, 즉 본 실시 형태에서 도전성 섬유부(20)의 길이가 0.1mm이상이면, 도전성 섬유부(20) 단부에 발생하는 그라디언트력(gradient force)이 강해져,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 또, 극판 간격 D1에 대한 도전성 섬유부(20)의 길이의 비율이 0.3 이하, 즉 본 실시 형태에서 도전성 섬유부(20)의 길이가 3mm 이하이면,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간에 스파크(국부 단락)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to the electrode plate interval D1 between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the charging por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is preferably 0.01 to 0.3. If the ratio is 0.01 or more,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0.1 mm or more in this embodiment, the gradient force generated at the end portion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strengthened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increased . If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to the electrode plate interval D1 is 0.3 or less, that is,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n this embodiment is 3 mm or less, the charging por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portion charge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park (local short circuit) between the electrode plates 15 is lowered, so that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increased.

또, 도전성 섬유부(20)는 탄소 섬유가 바람직하다.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preferably a carbon fiber.

이 구성에 의하면, 도전성을 가지면서 금속 등과 비교해 비중이 가볍기 때문에, 장치를 경량화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weight of the device can be reduced because the specific gravity is smaller than that of metal or the like while having conductivity.

식모는 정전기력을 이용해 실시한다.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20~30mm정도의 간격으로 대향 배치하고, 대전부 하전 극판(15)에 DC -5kV 정도의 고전압을 인가한다.It is carried out using electrostatic force.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electrode charging electrode plate 15 coat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are disposed to face each other at intervals of about 20 to 30 mm and a high voltage of about DC -5 kV is applied to the charging electrode charging electrode plate 15.

이 상태로 다수의 도전성 섬유를 포함하는 공기를 도입하면, 유전 분극에 의해 도전성 섬유의 한쪽 단이 도전성 접착제를 도포한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상에 고정된다.When air containing a plurality of conductive fibers is introduced in this state, one end of the conductive fiber is fixed on the charging sec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coated with the conductive adhesive by dielectric polarization.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섬유를 식모했지만, 식모 이외 방법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도전성 섬유부(20)를 부직포 형상으로 가공한 것을 접착 고정해도 좋다.In addition, although the conductive fiber is implan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a method other than implantation may be employed. For example, the non-woven fabric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may be bonded and fixed.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도전성 섬유부(20)를 표면에 미세 구멍이 있는 활성 탄소 섬유로 구성했지만, 도전성을 가지는 섬유 형상의 것이면 활성 탄소 섬유가 아니어도 좋다. 예를 들면 탄소 등의 도전물을 혼합한 수지 섬유, 금속 세선, 혹은 금속 등의 도전물을 도금한 수지 섬유 등이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made of activated carbon fiber having fine holes on its surface, but it may not be the activated carbon fiber as long as it is a conductive fiber. For example, resin fibers obtained by mixing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carbon, metal wires, or resin fibers plated with conductive materials such as metals.

도전성 접착제는 예를 들면 도전물로서의 은과 바인더로서의 실리콘을 주성분으로 해, 약 180℃로 경화하는 것이고, 경화 후의 체적 저항율은 2.5×10-6Ωㆍcm이다.The conductive adhesive agent is, for example, a conductive material containing silver as a binder and silicon as a main component and is cured at about 180 캜. The volume resistivity after curing is 2.5 10 -6 Ω · cm.

또한, 도전물은 도전성을 가지는 것이면 은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금, 동 등이다.In addition, the conductive material may be other than those having conductivity. For example, gold and copper.

또, 바인더는 열경화성을 가지는 것이면 실리콘 이외의 것이어도 좋다. 예를 들면 에폭시 수지, 우레탄 수지, 아크릴 수지 등이다.The binder may be other than silicon as long as it has a thermosetting property. For example, an epoxy resin, a urethane resin, and an acrylic resin.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전부(12)는 바람의 흐름 방향으로 2 분할 되어 있고, 전단과 후단에서 각각 대전부 접지 극판(14)을 6매,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6매 사용하고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charging section 12 is divided into two in the wind flow direction, and six charging electrode grounding plates 14 and six charging charging electrode plates 15 are used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respectively have.

또, 전단과 후단에서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는 배치 방향이 반대로 되어 있다.The conductive fiber portions 20 of the charg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t the front end and the rear end are arranged in opposite directions.

또한, 이 2 분할한 사이의 거리 B는 예를 들면 40mm이다.The distance B between the two halves is, for example, 40 mm.

도 7에 도전성 섬유부(20)가 있는 경우(●에 실선)와 없는 경우(▲에 점선)의 대전부(12)의 인가 전압에 대한 전류치를 나타낸다.7 shows the current value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charging section 12 when there is the conductive fiber section 20 (solid line in Fig.

도 7에 나타냈듯이, 도전성 섬유부(20)가 없는 경우는, -10.5kV이상(절대치 10.5kV이상)에서 전류가 상승한 것에 대해, 도전성 섬유부(20)가 있는 경우는, -6kV 이상(절대치 6kV 이상)에서 전류의 상승을 볼 수 있다.7, in the case where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not provided, the current rises at -10.5 kV or more (the absolute value is 10.5 kV or more), whereas whe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present, An absolute value of 6 kV or more).

또한, 도 7에 나타내는 전류치는, 3시간의 에이징(고압을 인가한 상태로 경과한 시간)을 실시한 후의 값이다. 대전부 접지 극판(14), 대전부 하전 극판(15), 및 도전성 섬유부(20)는 단부에 가공시의 버(burr)가 있기 때문에, 이 버의 영향으로 전류치가 변화한다. 에이징에 의해, 시간과 함께 전류치는 내려가고, 일정시간 경과하면 전류도 거의 일정한 값으로 안정된다.In addition, the current value shown in Fig. 7 is a value obtained after 3 hours of aging (time elapsed in a state in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Since the charging electrode 14, the charging electrode 15, and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have burrs at their ends, the current value changes due to the burrs. By the aging, the current value decreases with time, and the current is also stabilized to a substantially constant value after a certain time elapses.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부에서의 전력 소비를 억제하기 위해 도전성 섬유부(20)가 없는 집진부(13)의 인가 전압은 -9kV로 했다.In this embodiment, in order to suppress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dust collecting portion, the voltage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3 without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set to -9 kV.

이러한 구성에 있어, 터널 본선(1)내는 차의 주행에 의해 발생하는 분진에 의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환기 팬(5)을 운전해, 환기 흡입구(2)로부터 분진을 포함한 오염 공기를 빨아들이고, 환기 풍로(4)내에서 전기 집진 장치(3)에 의해 집진해, 환기 토출구(6)로부터 분진을 제거한 공기를 터널 본선(1) 밖으로 배출한다(도 1 참조).In this configuration, in order to prevent contamination by the dust generated by running of the car in the tunnel main line 1, the ventilation fan 5 is operated to suck the polluted air including the dust from the ventilation inlet 2 , And dust collected by the electric dust collector 3 in the ventilation air passage 4 is removed from the ventilation discharge port 6 to discharge the air outside the tunnel main line 1 (see Fig. 1).

전기 집진 장치(3)는, 집진 유닛(11)의 대전부(12)로 환기 흡입구(2)로부터 빨아들인 오염 공기 중의 분진을 대전시키고, 집진부(13)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에 부착시켜, 오염 공기 중으로부터 분진을 제거한다(도 6 참조).The electric dust collector 3 charges the dust in the contaminated air sucked from the ventilation inlet 2 into the charging portion 12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1 and charges the dust collecting portion ground electrode plate 16 of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3, And attached to the electrode plate 17 to remove dust from the contaminated air (see Fig. 6).

본 실시 형태의 특징은, 대전부 고압 전원(18)을 이용하지만,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고, 혹은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그라디언트력과 유도 대전에 의해 분진을 부착, 대전시키는 것에 있고, 이 작용을 도 8 ~ 도 10을 이용해 설명한다.The present embodiment is characterized in that dust is adhered to and charged by the gradient force and induced electrification by using the charging high voltage power source 18 but without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or by a minute corona discharge,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8 to 10. Fig.

도 8은 도 6의 X부 확대도이며, 도 8에 나타냈듯이, 대전부 고압 전원(18)에 의해 대전부 하전 극판(15)에 부의 고전압을 거는 것에 의해, 대전부 접지 극판(14)으로부터 대전부 하전 극판(15)으로 향하는 전기력선이 작용한다. 이 전기력선은,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 상의 도전성 섬유부(20)가 조밀하게 되도록 만곡하여,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고 있다.As shown in Fig. 8, by applying a negative high voltage to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by the charging section high voltage power supply 18, An electric line of force directed to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cts. The electric lines of force are curved so that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of the charging portion and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re densely formed to form an unequal electric field.

여기서, 그라디언트력이란, 유전체가 불평등 전계 중에서,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받는 힘을 지칭하고, 도 8에서 전기력선이 조밀하게 되어 있는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상의 도전성 섬유부(20)를 향해 작용한다.Here, the gradient force refers to a force applied to move the dielectric in the direction of the stronger electric field in the unequal electric field. In the case of FIG. 8,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unit charging electrode plate 15, To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n the surface.

이 불평등 전계 중으로 날아오는 분진의 거동에 대해, 도 9(a), 도 9(b)를 이용해 설명한다.The behavior of dust coming into this unequal electric field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9 (a) and 9 (b).

아울러, 도 9(a)에 나타내는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의 각 도전성 섬유를 풍향 상측(도 9(a)의 좌측)으로부터 도전성 섬유(20a), 도전성 섬유(20b), 도전성 섬유(20c), 도전성 섬유(20d)로서 설명한다.Each of the conductive fibers of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of the charging section and the conductive fiber section 20 of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shown in Fig. 9 (a) The conductive fibers 20a, the conductive fibers 20b, the conductive fibers 20c, and the conductive fibers 20d.

또, 도 9(a)에서는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도전성 섬유부(20)에서의 분진의 거동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지만,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에 있어서도 분진은 동일한 거동을 한다.9 (a) schematically shows the behavior of dust i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but also i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Dust has the same behavior.

도 9(a)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12)로 날아온 분진은, 그라디언트력에 의해,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의 풍향 상측에 있는 도전성 섬유(20a)에 끌어 들여져 퇴적한다.As shown in Fig. 9 (a), the dust that has flown into the charging section 12 is attracted toward the upper side of the wind direction of the conductive fiber section 20 of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by the gradient force And is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s 20a.

또,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a)에 끌어 들여지지 않은 분진은, 최초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a)보다 풍향 하측(도 9(a)의 우측)의 도전성 섬유(20b)에 끌어 들여져 퇴적한다.The dust not attracted to the conductive fibers 20a of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passes through the area of the first unequilibrium electric field and passes through the area of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15, (The right side in Fig. 9 (a)) than the conductive fibers 20a of the charged electrode plate 15 and are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s 20b.

또,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b)에 끌어 들여지지 않은 분진은, 2번째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b)보다 풍향 하측의 도전성 섬유(20c)에 끌어 들여져 퇴적한다.The dust that is not attracted to the conductive fibers 20b of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passes through the area of the second unequal field of electric field, Is attracted to and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s 20c on the lower side in the wind direction than the conductive fibers 20b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5. [

또,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c)에 끌어 들여지지 않은 분진은, 3번째의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통과하고,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20c)보다 풍향 하측의 도전성 섬유(20d)에 끌어 들여져 퇴적한다.The dust that is not attracted to the conductive fibers 20c of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passes through the region of the third unequilibrium electric field, And is attracted to and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s 20d on the lower side in the wind direction than the conductive fibers 20c on the negative electrode plate 15. [

즉, 도 6에 나타낸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은, 그 도전성 섬유부(20) 부근에서 전기력선이 조밀한 강전계로 되어, 불평등 전계를 형성하여, 날아온 분진을 끌어 들여 퇴적시킨다.That is,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of the charging section and the charging electrode plate 15 of the charging section shown in FIG. 6 are in the form of a strong electric field in which the electric lines of force are tightly close to the conductive fiber section 20 to form an unequal electric field, And sediment.

그리고,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에 퇴적한 분진은 다량으로 퇴적하면 박리하고, 이때, 부착해 있던 극판과 동일한 전기극성으로 대전(이 대전을 유도 대전이라고 함)하여 재비산한다.The dust deposited on the conductive ground electrode plate 14 of the charging section and the conductive fiber section 20 of the charging section 15 is peeled off when a large amount of the dust is deposited. At this time, Charging is referred to as induction charging).

구체적으로는, 도 9(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도전성 섬유부(20)에 퇴적하고 있던 분진은 정의 극성,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에 퇴적하고 있던 분진은 부의 극성으로 대전하여 재비산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b), the dust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has the positive polarity,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 Are charged with negative polarity and re-dispersed.

이 재비산하고 대전한 입자는, 도 6에 나타내는 집진부(13)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의 표면에 정전기력으로 포집된다.This re-scattered and charged particles are collected by the electrostatic force on the surface of the dust-collect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or the dust-collect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7 of the dust-collecting portion 13 shown in Fig.

이와 같이, 적어도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부(20)를 가지는 대전부 접지 극판(14) 및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한 것에 의해, 분진을 유도 대전에 의해 대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평행이라 함은 몇도 기울어진 대략 평행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Thus, dust particles can be charged by induced electrification by alternately arranging the electrification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electrify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having the conductive fiber portions 20 on at least one side in parallel . Here, the term " parallel " includes an approximately parallel degree inclined by several degrees.

즉,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대전부 접지 극판(14),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적어도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부(20)를 마련하는 것에 의해, 각 극판의 도전성 섬유부(20)에서 전기력선이 만곡해 조밀하게 되어, 불평등 전계의 영역을 다수 형성할 수 있다.8,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is provided on at least one side of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electrode charging plate 15 of the charging portion, The electric lines of force are curved and dense, so that a large number of unequal electric field regions can be formed.

그리고, 보다 강전계의 방향으로 작용하는 그라디언트력에 의해 대전부 접지 극판(14),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도전성 섬유부(20)에 분진을 끌어 들여 퇴적시켜, 다량으로 퇴적한 분진이 비산시에 퇴적하고 있던 대전부 접지 극판(14) 또는 대전부 하전 극판(15)과 동일한 극성으로 유도 대전에 의해 대전시킬 수 있다.The dust is attracted to and deposited o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of the charg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by the gradient force acting in the direction of the stronger electric field, It can be charged by induced charging with the same polarity as that of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or the charg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which has been deposited at the time of scattering.

이 비산한 대전 분진을 집진부(13)의 상이한 극성의 집진부 접지 극판(16) 또는 집진부 하전 극판(17)으로 집진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대전부 접지 극판(14), 대전부 하전 극판(15)간에 고전압을 거는 것만으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고서 혹은 미소한 코로나 방전으로 분진을 대전시켜, 집진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collect the charged electrified dust scattered by the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or the dust collecting section electrifying electrode plate 17 having different polarities of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As a result, it is possible to collect dust by charging the dust with a small corona discharge without generating a corona discharge only by applying a high voltage between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그 때문에, 대전부(12)에서의 전력 발생을 저감하여, 소비 전력에 수반하는 전기료를 줄일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얻는다.Therefore, the power generation in the charging section 12 is reduced, and the effect of reducing the electricity cost accompanying the power consumption is obtained.

본 실시 형태에서는, 집진부(13)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행 평판내에 발생하는 정전기력을 이용하고 있고, 이것은 물리 접촉에 의한 필터식보다 압력 손실이 적어 분진의 포집율도 높다.In the present embodiment, as shown in Fig. 7, the dust collecting unit 13 uses the electrostatic force generated in the parallel flat plate, which has less pressure loss than the filter type by physical contact and has a high dust collecting rate.

또, 필터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정전 필터식보다 강전계를 얻을 수 있기 때문에, 압력 손실이 작고, 또한 분진의 포집율이 높다고 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strong electric field system can be obtained by using the electrostatic filter type which applies a high voltage to the filter, there is an effect that the pressure loss is small and the dust collecting rate is high.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는 경우의 집진 효과에 대해, 도 10~도 14를 이용해 설명한다. 또한, 도 10~도 14에 나타내는 결과는, 대전부(12)의 에이징을 실시하고 있지 않는 것이다.The dust collecting effect in the case where the corona discharge is not genera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0 to 14. Fig. The results shown in Figs. 10 to 14 indicate that the agitation of the charging section 12 is not performed.

도 10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전부(12)의 인가 전압을 -2.4kV로 했을 경우의, 풍속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0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wind speed when the applied voltage to the charging section 12 in this embodiment is -2.4 kV.

아울러, 집진율은 파티클 카운터에 의해, 공기중의 분진의 개수 농도를 계측하고, 집진율은 집진 유닛(11)의 입구측과 출구측의 농도비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산출했다.The dust collection rate was calculated by the following equation from the concentration ratio at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the dust collecting unit 11 by measuring the concentration of dust in air by the particle counter.

집진율 = (1-출구측 개수 농도/입구측 개수 농도)×100(%)Dust collection rate = (1-outlet side number concentration / inlet side number concentration) 100 (%)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풍속 11m/s 이하에서 전력을 소비하는 일 없이 10% 이상의 집진율을 가지고, 특히 풍속 2m/s에서는 40% 이상의 집진율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0, it has a dust collection rate of 10% or more without consuming electric power at an air velocity of 11 m / s or less, and particularly a dust collection rate of 40% or more at an air velocity of 2 m / s.

도 11은 비교를 위해 대전부(12) 및 집진부(13)의 인가 전압을 0kV로 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1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the applied voltage to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is 0 kV for comparison.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의 집진율은 5% 미만이다.As shown in Fig. 11,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no voltage is applied is less than 5%.

전압을 인가하지 않는 경우, 도전성 섬유부(20) 부근에 그라디언트력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유도 대전에 의해 분진을 대전시킬 수 없어, 집진율이 낮다고 생각된다.When no voltage is applied, no gradient force is generated in the vicinity of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so dust can not be charged by induced charging,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is considered to be low.

도 12는, 대전부(12)만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또 도 13은, 집진부(13)만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2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in the case where only the charging section 12 is applied with a voltage. 13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hen only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is applied with a voltage.

일반적으로, 집진율 a%의 대전부(12)와, 집진율 b%의 집진부(13)를 직렬로 배치했을 경우의 합성한 집진율 c%는, 서로 간섭이 없다고 생각했을 경우, 이하의 식으로 계산할 수 있다.Generally, when it is considered that there is no interference between the dust collecting ratios c% when the charging portion 12 of the dust collecting rate a%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13 of the dust collecting rate b% are arranged in series, have.

집진율 c = (1-(1-a/100)×(1-b/100))×100(%)(1-a / 100) x (1-b / 100) x 100 (%)

도 14는, 상기 계산식을 이용해 대전부(12)만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집진율과 집진부(13)만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집진율로부터 구한 합성 집진율(점선)과 대전부(12)와 집진부(13) 모두에 전압을 인가했을 경우의 집진율(실선)을 비교한 그래프이다.14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ust collecting rate when the voltage is applied only to the charging unit 12 and the dust collecting rate when the voltage is applied only to the dust collecting unit 13, 13) in a case where a voltage is applied to all of the electrodes.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산으로 구한 합성 집진율보다 실측의 집진율이 높은 값이 된다.As shown in Fig. 14, the actual dust collection rate is higher than the synthetic dust collection calculated by calculation.

이것은, 집진부(13)가 평행 평판에 고전압을 인가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대전부(12)에서 일단 접촉 혹은 포집된 분진이 유도 대전에 의해 대전한 상태로 재비산하고, 이것이 후단의 집진부(13)의 평행 평판 중의 강전계에 의해 정전기적으로 포집되는 효과가 더해졌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This is because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applies a high voltage to the parallel flat plate so that the dust once contacted or collected by the charging section 12 is re-charged in a state of being charged by induced charging, It is considered that the effect of electrostatic collecting by the strong electric field system in the parallel flat plate is added.

이와 같이 도 7에서 나타내는 것 같은 집진부(13)를 평행 평판으로 구성하고 고전압을 인가하는 것에 의해, 상술한 구성의 대전부(12)와의 상승 효과를 창출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by forming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as shown in Fig. 7 as a parallel flat plate and applying a high voltage, a synergistic effect with the charging section 12 having the above-described configuration can be created.

다음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미소한 코로나 방전을 이용했을 경우의 집진 효과에 대해, 도 15~도 17을 이용해 설명한다. 아울러, 도 15~도 17에 나타내는 결과는, 대전부(12)의 에이징을 실시하고 있는 것이다.Next, the dust collecting effect when a minute corona discharge is used in the present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5 to 17. Fig. In addition, the results shown in Figs. 15 to 17 indicate that the charging section 12 is aged.

도 15는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전부(12)의 인가 전압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울러, 풍속은 2m/s이고, 도 15의 실선은 5회 측정시의 평균치를 나타내고 있다.15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applied voltage of the charging section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wind speed is 2 m / s, and the solid line in Fig. 15 represents the average value at the time of five measurements.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12)의 인가 전압이 -3kV 부근으로부터 집진율의 상승 경향을 볼 수 있다. 더욱이, -4kV 이상(절대치 4kV 이상)에서 집진율의 상승을 현저하게 볼 수 있고, -7kV에서는 80% 이상의 집진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3kV에서의 대전부(12)의 전계 강도는,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극판 간격 D1이 10mm이기 때문에 0.3kV/mm이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4kV에서의 대전부(12)의 전계 강도는, 0.4kV/mm이다.As shown in Fig. 15, the rising tendency of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seen from the vicinity of -3 kV. Furthermore, the rise of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remarkably observed at -4 kV or more (the absolute value is 4 kV or more), and at the -7 kV, the dust collection rate is 80% or more.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charging section 12 at -3 kV in this embodiment is 0.3 kV / mm because the electrode plate interval D1 between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is 10 mm . The electric field strength of the charging section 12 at -4 kV in this embodiment is 0.4 kV / mm.

대전부 하전 극판(15)과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극판간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는 0.3~1kV/mm가 바람직하다. 전계 강도가 0.3kV/mm 이상이면, 그라디언트력에 의한 집진율의 향상이 기대된다. 또, 전계 강도가 1kV/mm 이하이면,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간에 스파크(국부 단락)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electric field strength between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the charging plat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is 0.3 to 1 kV / mm. When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is 0.3 kV / mm or more, improvement of the dust collection rate by the gradient force is expected. When the electric field strength is 1 kV / mm or less, the frequency of occurrence of spark (local short circuit) between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of the charging section and the charging electrode plate 15 of the charging section is lowered, so that the dusting rate can be increased.

도 16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전부(12)의 방전 전류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아울러, 풍속은 2m/s이며, 대전부(12)에 인가하는 전압을 -7kV 부근에서 약간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방전 전류를 변화시키고 있다.16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charging section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In addition, the wind speed is 2 m / s, and the discharge current is changed by slightly var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section 12 in the vicinity of -7 kV.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12)의 방전 전류가 1μA에서 집진율은 70% 이상으로 되고, 방전 전류가 2μA 이상에서는, 80% 이상의 집진율을 가지고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대전부(12)의 방전 전류 1μA는, 전극 면적 1mm2 당으로 환산하면 3×10- 5μA로 된다(전극 면적 = 전극 1매당의 면적(40mm×32mm)×전극 매수(접지 극판 6매+가전 극판 6매)×2층 = 30,720mm2).As shown in Fig. 16, when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charging section 12 is 1 占 A, the dust collection rate is 70% or more, and when the discharge current is 2 占 A or more, the dust collection rate is 80% or more. In addition, the discharge current 1μA of the charging unit 12 in this embodiment, the electrode surface area when converted into 1mm 2 per 3 × 10 - is a 5 μA (electrode area = Area (40mm × 32mm of the electrode per sheet) × Number of electrodes (6 pieces of grounding plate + 6 pieces of electrode plate) × 2 layers = 30,720mm 2 ).

본 실시 형태에서, 대전부(12)의 극판 간격 D1(도 6 참조)이 10mm의 경우의 방전 전류가 20μA 정도이기 때문에, 대전부(12)의 방전 전류는 1~20μA, 즉 전극 면적 1mm2 당 방전 전류는 3×10-5~60×10- 5μA가 바람직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see Fig. 6) plate spacing D1 of the charging portion 12 is because the degree of the discharging current in the case of 10mm 20μA,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charging part 12 is 1 ~ 20μA, that is the electrode area 1mm 2 per discharge current is 3 × 10 -5 ~ 60 × 10 - 5 μA is preferred.

전극 면적 1mm2 당 방전 전류가 3×10- 5μA 이상, 즉 본 실시 형태에서 대전부(12)의 방전 전류가 1μA 이상이면, 도전성 섬유부(20) 단부에 발생하는 그라디언트력이 강해져,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Electrode area 1mm 2 per discharge current is 3 × 10 - not less than 5 μA, that is more than 1μA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charging part 12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adient force generated in the conductive fiber portion 20 ends stronger, jipjinyul Can be increased.

또, 전극 면적 1mm2 당 방전 전류가 60×10- 5μA 이하, 즉 본 실시 형태에서 대전부(12)의 방전 전류가 20μA 이하이면,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간에 스파크(국부 단락)가 발생하는 빈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집진율을 높게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rea of 1mm 2 and discharging current per 60 × 10 - 5 μA or less, that is, if the discharge current of the charging unit 12 in this embodiment is 20μA or less, electrification ground electrode plate 14 and the electrification charge electrode plate (15 (Local short circuit) occurs,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increased.

또, 전극 면적 1mm2 당 방전 전류가 3×10-5~15×10- 5μA, 즉 본 실시 형태에서 대전부(12)의 방전 전류가 1~5μA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 구성에 의하면, 소비 전력이 극히 작고, 또한 집진율도 70% 이상으로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lectrode area 1mm 2 discharge current is 3 × 10 -5 ~ 15 × 10 per - more preferably of 5 μA, i.e., the discharging current is 1 ~ 5μA of the charging unit 12 in this embodiment.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power consumption is extremely small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can be set to 70% or more.

도 17은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에 대한 집진율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17 is a graph showing the dust collection rate with respect to the power consumption in the present embodiment.

또한, 풍속은 2m/s이며, 대전부(12)에 인가하는 전압을 -7kV 부근에서 약간 변동시키는 것에 의해, 소비 전력을 변화시키고 있다.In addition, the wind speed is 2 m / s, and the power consumption is changed by slightly varying the voltage applied to the charging section 12 in the vicinity of -7 kV.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소비 전력이 15mW 이상이고 집진율은 80% 이상을 가지고 있다.As shown in Fig. 17, in this embodiment, the power consumption is 15 mW or more and the dust collection rate is 80% or more.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처리 풍량은 단면적(높이 32mm×극판 간격 10mm×극판 매수 12매)×풍속(2m/s)로부터, 0.46m3/min이다. 이로부터, 1m3/min 당 소비 전력은 약 0.03W로 되고, 이것은 예를 들면 선행 특허 문헌 2의 전기 집진 장치와 비교해 약 4백분의 1의 소비 전력이다.The process air volume in this embodiment is 0.46 m 3 / min from the cross-sectional area (height 32 mm × pitch 10 mm × number of plates 12) × wind speed (2 m / s). From this, the power consumption per 1 m 3 / min is about 0.03 W, which is about one-fourth of the power consumption of the electric dust collector of the prior art document 2, for example.

다음으로, 대전부(12) 및 집진부(13)의 조립 방법에 대해, 도 18, 도 19를 이용해 설명한다.Next, a method of assembling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8 and 19. Fig.

대전부(12)의 구조는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대전부 접지 극판(14)과 대전부 하전 극판(15)이 극판 간격 유지관(2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각 극판은 복수의 극판 유지봉(23)이 관통해, 양단의 대전부 프레임(21)의 사이에 평행하게 지지 고정되어 있다.The structure of the charging section 12 is such that a plurality of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s 14 and a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y an electrode plate spacing tube 22 as shown in Fig.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penetrates the plurality of electrode plate holding rods 23 and is supported and fixed in parallel between the charging unit frames 21 at both ends.

또, 대전부 프레임(21)에는 애자(24)가 설치되어 있고, 대전부 하전 극판(15)을 포함한 전압 인가 부품을 지지하고, 또한 대전부 접지 극판(14)을 포함한 접지 부품으로부터 전기 절연하고 있다.An insulator 24 is provided in the charging section frame 21 to electrically support the voltage applying component including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also to electrically ground the grounding component including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have.

집진부(13)는, 도 6에서도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 접지 극판(14), 대전부 하전 극판(15)의 매수와 각각 대략 동일한 매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을 평행하게 배치하고 있다.6, the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7, which are substantially equal in number to the number of the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and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are arranged in parallel.

또, 집진부(13)는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전부(12)와 마찬가지로, 양단의 집진부 프레임(25) 사이에,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16)과 집진부 하전 극판(17)이 극판 간격 유지관(22)에 의해 일정 간격으로 배치되고, 각 극판에 4개씩의 극판 유지봉(23)을 이용해 평행하게 지지 고정하고 있다.19, the dust collect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6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7 are sandwiched between the dust collecting section frames 25 at both ends, as in the charging section 12, Are arranged at regular intervals by a holding tube (22), and are supported and fixed in parallel by using four pole plate holding rods (23) on each pole plate.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전부(12)와 집진부(13)를 마련했지만, 집진부(13)를 마련하지 않고, 대전부(12)만의 구성이라도 좋다.In this embodiment,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are provided. However,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may not be provided.

또, 높은 집진 효율이 필요한 경우에는, 대전부 하전 극판(15) 및 대전부 접지 극판(14)의 각각 대향 위치에 예리한 돌기를 마련하고, 보조적으로 코로나 방전을 이용해 유입하는 분진의 대전을 촉진시키는 구성이어도 좋다.Further, when high dust collection efficiency is required, sharp projections are provided at opposed positions of the charging section charging electrode plate 15 and the charging sec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 14, respectively, and the charging of the dust that flows in additionally using the corona discharge is accelerated .

아울러, 본 실시 형태에서는, 대전부(12)와 집진부(13)의 접지 전극 및 하전 전극은 평판 형상의 극판을 이용했지만, 섬유 형상 또는 봉 형상의 극을 이용해도 좋다.Further,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ound electrode and the charging electrode of the charging section 12 and the dust collecting section 13 are plate-shaped electrode plates, but a fiber or rod-shaped electrode may also be used.

(산업상 이용가능성)(Industrial applicability)

이와 같이 본 발명과 관련되는 전기 집진 장치는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지 않거나 혹은 미소한 코로나 방전을 발생시키는 것에 의해, 대전부에서의 전력 발생을 저감해, 전력 절감이 가능해지므로, 넓은 범위에서 유용하다.As described above,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generate corona discharge or generates minute corona discharges, thereby reducing power generation in the charging section and saving electric power, so that it is useful in a wide range.

1 : 터널 본선
2 : 환기 흡입구
3 : 전기 집진 장치
4 : 환기 풍로
5 : 환기 팬
6 : 환기 토출구
7 : 전기 집진 보조기
8 : 고압 발생반
9 : 제어반
10 : 케이싱
11 : 집진 유닛
12, 104 : 대전부
13, 105 : 집진부
14 : 대전부 접지 극판
15 : 대전부 가전 극판
16 : 집진부 접지 극판
17 : 집진부 가전 극판
18 : 대전부 고압 전원
19 : 집진부 고압 전원
20 : 도전성 섬유부
21 : 대전부 프레임
22 : 극판 간격 유지관
23 : 극판 유지봉
24 : 애자
25 : 집진부 프레임
31 : 댐퍼
32 : 세정 배관
33 : 배선 단자 상자
1: Tunnel Main Line
2: Ventilation inlet
3: Electrostatic precipitator
4: Ventilation air passage
5: Ventilation fan
6: Ventilation outlet
7: Electrical dust collectors
8: High-pressure generator
9: Control panel
10: Casing
11: Collecting unit
12, 104:
13, 105:
14: Grounding plate of charging part
15: electrification unit electrification plate
16: Ground plate of dust collector
17: Dust collector electrode plate
18: High-voltage power source for charging
19: High voltage power source for dust collector
20: conductive fiber part
21:
22: Plate spacing maintenance tube
23: Plate retaining rods
24: Insulator
25: dust collecting frame
31: Damper
32: Cleaning piping
33: Wiring terminal box

Claims (10)

분진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부와 유출부 사이에 복수의 하전 전극과 복수의 접지 전극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하전 전극의 한쪽 면 또는 상기 접지 전극의 한쪽 면에 도전성 섬유를 구비하고,
상기 도전성 섬유는 상기 하전 전극과 상기 접지 전극의 각 극판 사이에 마련되고,
상기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한 대전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A plurality of charged electrodes and a plurality of ground electrod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the inflow part and the outflow part of the gas including dust,
Conductive fibers are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charged electrode or one surface of the ground electrode,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is provided between each of the electrode plates of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And a charging section to which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d electrode
Wherein the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is an electric dust collecting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함으로써 상기 도전성 섬유의 단부로부터 방전을 발생시키고,
상기 대전부의 상기 방전은 전극의 면적에 대해서 1mm2 당 3×10-5 ~ 60×10- 5μA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Generating a discharge from an end of the conductive fiber by applying a high voltage to the charged electrode,
The discharge the charged portion is 1mm 2 per 3 × 10 -5 ~ 60 × 10 with respect to the area of the electrode, the electric dust collector, characterized in that in the range of 5 μA.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전극과 상기 접지 전극의 극판 간격에 대한, 상기 도전성 섬유의 길이의 비율을 0.01 ~ 0.3으로 하고,
상기 하전 전극과 상기 접지 전극의 극판 간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 ~ 1kV/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s to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is 0.01 to 0.3,
And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electrode plate of the ground electrode is 0.3 to 1 kV / mm.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전극과 상기 접지 전극의 극판 간격에 대한, 상기 도전성 섬유의 길이의 비율을 0.01 ~ 0.3으로 하고,
상기 하전 전극과 상기 접지 전극의 극판간에 있어서의 전계 강도를 0.3 ~ 1kV/mm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ratio of the length of the conductive fibers to the spacing between the electrodes of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ground electrode is 0.01 to 0.3,
And the electric field intensity between the charged electrode and the electrode plate of the ground electrode is 0.3 to 1 kV / mm.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is carbon fib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is carbon fi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is carbon fiber.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도전성 섬유는 탄소 섬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5.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conductive fiber is carbon fiber.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분진을 포함한 기체의 유입부와 유출부 간에 있어 복수의 집진부 하전 극판과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을 교대로 평행하게 배치하고,
상기 집진부 하전 극판에 고전압을 인가하고,
상기 복수의 집진부 하전 극판과 상기 복수의 집진부 접지 극판을 집진부로 하고,
상기 집진부를 상기 대전부의 하류 측에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9.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s and a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s are alternately arranged in parallel between an inlet portion and an outlet portion of the gas including dust,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dust collecting part charged electrode plate,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ortion charging electrode plates and the plurality of dust collecting portion grounding electrode plates are provided as dust collecting portions,
And the dust collecting portion is provided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charging portion.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전 전극에 고전압을 인가해도 상기 도전성 섬유의 단부로부터 방전이 발생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집진 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no discharge is generated from the end of the conductive fiber even if a high voltage is applied to the charged electrode.
KR1020177017785A 2015-02-27 2016-02-26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481567B1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5-038459 2015-02-27
JP2015038459 2015-02-27
JPJP-P-2015-183961 2015-09-17
JP2015183961 2015-09-17
PCT/JP2016/001042 WO2016136270A1 (en) 2015-02-27 2016-02-26 Electrostatic precipit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563A true KR20170120563A (en) 2017-10-31
KR102481567B1 KR102481567B1 (en) 2022-12-26

Family

ID=56789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7785A KR102481567B1 (en) 2015-02-27 2016-02-26 Electrostatic precipitator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6837192B2 (en)
KR (1) KR102481567B1 (en)
WO (1) WO2016136270A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827864B2 (en) * 2017-03-24 2021-02-10 三菱重工業株式会社 Coagulation device and exhaust gas treatment device equipped with this
MY182128A (en) * 2017-06-29 2021-01-18 Mitsubishi Electric Corp Dust collecting device and air conditioning apparatus
JP7109194B2 (en) 2018-01-15 2022-07-29 三菱重工パワー環境ソリューション株式会社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2066479B1 (en) * 2018-10-10 2020-01-15 주식회사 알링크 Conductive filter unit, conductive filter module comprising conductive filter unit, and fine dust removal system comprising conductive filter modul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131515A (en) *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0110171094A1 (en) * 2010-01-13 2011-07-14 Karim Zahedi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Particles and VOC from an Airstream
JP2012154621A (en) * 2000-03-03 2012-08-16 Panasonic Ecology System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130585A (en) * 1977-04-19 1978-11-1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Electric dust collector
JP3066833B2 (en) * 1989-09-08 2000-07-17 高砂熱学工業株式会社 Air cleaning device, air cleaning method and clean room
JPH04135661A (en) * 1990-09-25 1992-05-11 Matsushita Electric Works Ltd Electrostatic precipitator
DE4400420A1 (en) * 1994-01-10 1995-07-13 Maxs Ag Method and device for electrostatically separating contaminants, such as suspended matter or the like, from a gas stream
JP3393270B2 (en) * 1994-10-17 2003-04-07 増田 佳子 Corona discharge unit
JPH08260942A (en) * 1995-03-28 1996-10-08 Hideo Yoshikawa Emission control device
JPH09262500A (en) * 1996-03-28 1997-10-07 Toto Ltd Electrical precipitator
JP2004355885A (en) * 2003-05-28 2004-12-16 Serumi Medical Instruments Co Ltd Negative ion generator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4621A (en) * 2000-03-03 2012-08-16 Panasonic Ecology Systems Co Ltd Dust collecting apparatus and air-conditioning apparatus
JP2010131515A (en) * 2008-12-04 2010-06-17 Panasonic Corp Electrostatic precipitator
US20110171094A1 (en) * 2010-01-13 2011-07-14 Karim Zahedi Apparatus and Method for Removal of Particles and VOC from an Airstre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6837192B2 (en) 2021-03-03
WO2016136270A1 (en) 2016-09-01
KR102481567B1 (en) 2022-12-26
JPWO2016136270A1 (en) 2017-12-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60489B1 (en) Electric precipitator and air cleaner comprising the same
KR920004208B1 (en) Dust collector for a air cleaner
KR101039281B1 (en) Electric Dust Collector
US4689056A (en) Air cleaner using ionic wind
KR102481567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KR101754712B1 (en) Electric dust collecting apparatus for air conditioner
SA111330109B1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having a collecting electrode plate assembly
JP6263736B2 (en) Electric dust filter unit
US2798572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s
PL233491B1 (en) Electrostatic air filter
CN102188871A (en) Plate type static-electricity filter
WO2017212688A1 (en) Charging device, electric dust collector, ventilation device, and air cleaner
JP2018051507A (en) Electric dust collector
Bendaoud et al. Experimental study of corona discharge generated in a modified wire–plate electrode configuration for electrostatic process applications
KR20110046420A (en) Air purifier using carbon fiber woven fabrics
KR101287913B1 (en) Two-way induction electrostatic filter using multi-cross pin ionizer
KR101973013B1 (en) Micro particle separator using direct voltage
RU2431785C2 (en) Ion fan filter
El Dein et al. Experimental and simulation study of V–I characteristics of wire–plate electrostatic precipitators under clean air conditions
KR20100101969A (en) Air purifier using carbon fiber woven fabrics
US20200188929A1 (en) Electrostatic air cleaner
KR20200070216A (en) Electrostatic precipitator
JP6684986B2 (en) Electric dust collector
KR101549600B1 (en) Harmful nano-aerosol removal apparatus
KR101569629B1 (en) Apparatus for purifying ai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