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849A -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849A
KR20170119849A KR1020160048018A KR20160048018A KR20170119849A KR 20170119849 A KR20170119849 A KR 20170119849A KR 1020160048018 A KR1020160048018 A KR 1020160048018A KR 20160048018 A KR20160048018 A KR 20160048018A KR 20170119849 A KR20170119849 A KR 201701198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conductive layer
antenn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0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34098B1 (ko
Inventor
김윤건
고승태
임상호
최동규
홍원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80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4098B1/ko
Priority to PCT/KR2017/004197 priority patent/WO2017183907A1/en
Priority to EP17786175.4A priority patent/EP3446359B1/en
Priority to US15/491,400 priority patent/US10374295B2/en
Priority to CN201780024752.3A priority patent/CN109075428B/zh
Publication of KR201701198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40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40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273Adaptation for carrying or wearing by persons or anima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58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 H01Q1/2266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with computer equipment disposed inside the comput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29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used in bluetooth or WI-FI devices of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WLA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36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 H01Q1/38Structural form of radiating elements, e.g. cone, spiral, umbrella; Particular materials used therewith formed by a conductive layer on an insulating suppor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4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using equipment having another main function to serve additionally as an antenna, e.g. means for giving an antenna an aesthetic aspec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48Earthing means; Earth screens; Counterpoi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3/00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 H01Q3/24Arrangements for changing or varying the orientation or the shape of the directional pattern of the waves radiated from an antenna or antenna system varying the orientation by switching energy from one active radiating element to another, e.g. for beam switch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21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a shorting wall or a shorting pin at one end of the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42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tu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9/00Electrically-short antennas having dimensions not more than twice the operating wavelength and consisting of conductive active radiating elements
    • H01Q9/04Resonant antennas
    • H01Q9/040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 H01Q9/045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 H01Q9/0457Substantially flat resonant element parallel to ground plane, e.g. patch antenna with particular feeding means electromagnetically coupled to the feed li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01L2227/3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Waveguide Aerials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를 안테나로 활용하는 전자 장치와 관련된 다양한 실시예들이 기술된 바,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키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인가받는 기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외에도 다양한 다른 실시예들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고,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무선 통신 기능을 구현하는 전자 장치에 관련된 것이다.
최근 휴대폰, MP3 플레이어,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테블릿 PC, 갤럭시텝, 아이패드 및 전자책 단말기와 다양한 전자 장치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고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다양한 전자 장치를 휴대하면서 다양한 콘텐츠를 접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는 정보 통신 기술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사용자의 다양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본래의 기능 외에 음악 및 동영상의 재생, 게임, 카메라 기능, 일정 관리, 사전 등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고 있으며, 나아가서 다양한 정보 검색 및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추가하는 기능까지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전자 장치들은 이동 통신 단말기를 필두로 최근에는 인체에 착용하는 웨어러블(wearable) 전자 장치가 가세하여, 점차 경박 단소화됨과 동시에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여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고 있다.
또한, 이동 통신 단말기는 무선통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안테나 장치를 필요로 한다. 안테나 장치는 다른 회로 장치들과 충분한 거리를 두고 설치됨으로써, 고주파 신호를 송수신하는 과정에서 다른 회로 장치들과 간섭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 장치는 주로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에 내장되는 구조이다.
이러한 안테나 장치의 경우에는 슬림화되고 소형화되는 상기 이동 통신 단말기의 디자인 추세에 부합되도록 작은 부피내에서도 우수한 방사 성능과 넓은 대역폭을 가져야 하는 요구가 뒤따른다. 특히, 내장형 안테나 장치의 경우에는 이동 통신 단말기내에서 실장될 수 있는 안테나 영역이 점점 더 협소화되고 있는 추세에 있기 때문에 전체 안테나 장치의 크기를 변화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우수한 방사 성능을 얻어내야만 한다는 점이 안테나 설계에 있어서 큰 관건이다.
그러나, 이동 통신 단말기에 안테나 장치를 별도로 구비할 경우, 이동 통신 단말기내에 안테나 실장 공간을 확보해야하고, 이로인해 이동 통신 단말기의 크기가 증가할 뿐만 아니라, 비활성 영역이 증가되어 단말기의 슬림화 및 소형화에 역행하는 원인으로 작용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는 전자 장치에 구비된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할 수 있는 전자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스에 포함된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성능을 향상시키고, 별도로 안테나를 전자 장치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전자 장치내에 안테나를 위한 별도의 실장 공간 및 활성 영역이 필요 없어 전자 장치를 소형화 및 슬림화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을 도시한 블록도.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구비된 엘씨디(LCD)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구비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에 구비된 엘씨디(LC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의 구성 중 전도층인 TFT 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필름 및 쇼팅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된 필름 및 쇼팅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사 성능을 나타내는 그래프.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도면.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중 패치 안테나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중 그라운드 및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중 그라운드 및 패치 안테나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름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도 2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 1, 2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안테나 빔 패턴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 동작시 적용된 안테나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동작시 적용된 안테나 빔 패턴을 나타내는 도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장치에 연결되는 전자 장치에 대해서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의 적용예로는, 다양한 통신 시스템들에 대응되는 통신 프로토콜들에 의거하여 동작하는 모든 이동통신 단말기(mobile communication terminal)를 비롯하여, 화상전화기, 전자북 리더기(e-book reader), 랩탑 PC(laptop personal computer),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MPEG-1 audio layer-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camera),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예: 전자 안경과 같은 head-mounted-device(HMD), 전자 의복, 전자 팔찌, 전자 목걸이, 전자 앱세서리(appcessory), 전자 문신, 또는 스마트 와치(smart watch))등 모든 정보통신기기와 멀티미디어 기기 및 그에 대한 응용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스마트 가전 제품(smart home appliance)일 수 있다. 스마트 가전 제품은, 예를 들자면, 텔레비전, DVD(digital video disk) 플레이어,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TV 박스(예를 들면, 삼성 HomeSyncTM, 애플TVTM, 또는 구글 TVTM), 게임 콘솔(game consoles),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camcorder),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GPS 수신기(global positioning system receiver),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및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또는 상점의 POS(point of sale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들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통신 기능을 포함한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입력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101)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환경(100)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101)는 버스(110),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를 포함할 수 있다. 버스(110)는 전자 장치(102)의 구성요소들을 서로 연결하고, 구성요소들 간의 통신(예: 제어 메시지)을 전달하는 회로일 수 있다.
프로세서(12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다른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메모리(130),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으로부터 명령을 수신하여, 수신된 명령을 해독하고, 해독된 명령에 따른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예: 입출력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통신 인터페이스(160) 등)로부터 수신되거나 프로세서(120) 또는 다른 구성요소들에 의해 생성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30)는, 예를 들면, 커널(131), 미들웨어(132),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 등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래밍 모듈들은 소프트웨어, 펌웨어, 하드웨어 또는 이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커널(131)은 나머지 다른 프로그래밍 모듈들, 예를 들면,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 구현된 동작 또는 기능을 실행하는 데 사용되는 시스템 리소스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을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커널(131)은 미들웨어(132),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에서 전자 장치(102)의 개별 구성요소에 접근하여 제어 또는 관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미들웨어(132)는 API(133) 또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과 통신하여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도록 중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미들웨어(132)는 어플리케이션(134)으로부터 수신된 작업 요청들과 관련하여, 예를 들면, 어플리케이션(134) 중 적어도 하나의 어플리케이션에 전자 장치(10)의 시스템 리소스(예: 버스(110), 프로세서(120) 또는 메모리(130) 등)를 사용할 수 있는 우선 순위를 배정하는 등의 방법을 이용하여 작업 요청에 대한 제어(예: 스케쥴링 또는 로드 밸런싱)를 수행할 수 있다.
API(133)는 어플리케이션(134)이 커널(131) 또는 미들웨어(132)에서 제공되는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로, 예를 들면, 파일 제어, 창 제어, 화상 처리 또는 문자 제어 등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터페이스 또는 함수(예: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달력 어플리케이션, 알람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health care) 어플리케이션(예: 운동량 또는 혈당 등을 측정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예: 기압, 습도 또는 온도 정보 등을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어플리케이션(134)은 전자 장치(102)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 사이의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정보 교환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에 특정 정보를 전달하기 위한 알림 전달(notification relay)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를 관리하기 위한 장치 관리(device management)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전자 장치(101)의 다른 어플리케이션(예: SMS/MMS 어플리케이션, 이메일 어플리케이션, 건강 관리 어플리케이션 또는 환경 정보 어플리케이션 등)에서 발생한 알림 정보를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로 전달하는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 알림 전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로부터 알림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장치 관리 어플리케이션은,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1)와 통신하는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의 적어도 일부에 대한 기능(예: 외부 전자 장치 자체(또는, 일부 구성 부품)의 활성화/비활성화 또는 디스플레이의 밝기(또는, 해상도) 조절),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동작하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에서 제공되는 서비스(예: 통화 서비스 또는 메시지 서비스)를 관리(예: 설치, 삭제 또는 업데이트)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외부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4))의 속성(예: 전자 장치의 종류)에 따라 지정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전자 장치가 MP3 플레이어인 경우, 어플리케이션(134)은 음악 재생과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외부 전자 장치가 모바일 의료기기인 경우, 어플리케이션(134)은 건강 관리와 관련된 어플리케이션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134)은 전자 장치(101)에 지정된 어플리케이션 또는 외부 전자 장치(예: 서버(106) 또는 전자 장치(104))로부터 수신된 어플리케이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입출력 장치(예: 센서, 키보드 또는 터치 스크린)를 통하여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에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의 터치에 대한 데이터를 프로세서(120)로 제공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예를 들면, 버스(110)를 통해 프로세서(120), 메모리(130), 통신 인터페이스(160)로부터 수신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장치(예: 스피커 또는 디스플레이)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140)는 오디오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사용자에게 각종 정보(예: 멀티미디어 데이터 또는 텍스트 데이터 등)을 표시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예: 전자 장치(104) 또는 서버(106)) 간의 통신을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인터페이스(160)는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162)에 연결되어 외부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어,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또는 셀룰러(cellular) (예: LTE, LTE-A, CDMA, WCDMA, UMTS, WiBro 또는 GSM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162)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일 수 있다. 통신 네트워크는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 인터넷(internet),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또는 전화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1)와 외부 장치(104) 간의 통신을 위한 프로토콜(예: transport layer protocol, data link layer protocol 또는 physical layer protocol)은 어플리케이션(134), API(133), 미들웨어(132), 커널(131)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160) 중 적어도 하나에서 지원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프로세서(120)와 프로세서(120)에 의해 요구되는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는 중앙처리장치로서 전자 장치(101)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고,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후술하는 바와 같이 무선 통신을 위해 안테나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더불어, 앞서 언급한 상기 LTE 통신 규격과 같은 4, 5세대 이동통신 규격을 따르는 전자 장치는 다양한 주파수 대역을 통해 상용 통신망에 접속하게 된다. 하나의 전자 장치에서 다양한 주파수 대역의 접속을 위해서 안테나는 주파수 대역의 수에 상응하는 복수의 안테나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무선 통신은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셀룰러, WIFI, BT, GPS, NFC, 및 RF (radio frequency)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안테나는 통신망을 통해서 음성 통화, 영상 통화, 문자 서비스, 또는 인터넷 서비스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WIFI, 상기 BT, 상기 GPS 또는 상기 NFC 각각은, 모듈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각의 모듈은 해당하는 단말기를 통해서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처리하기 위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일부 (예: 두 개 이상)는 하나의 integrated chip (IC) 또는 IC 패키지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RF 모듈은, 예를 들면, 통신 신호 (예: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상기 RF 모듈은, 예를 들면, 트랜시버 (transceiver), PAM (power amp module), 주파수 필터 (frequency filter), LNA (low noise amplifier), 또는 안테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셀룰러 모듈, WIFI 모듈, BT 모듈, GPS 모듈 또는 NFC 모듈 중 적어도 하나는 별개의 RF 모듈을 통하여 RF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이하에서 이러한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1)는 앞서 언급한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 노트북, 넷북, 스마트 폰(Smart Phone), 테블릿 PC, 갤랙시 탭, 아이패드 및 무선 충전 장치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웨어러블 기기(wearable device)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신체인 손목에 착용할 수 있다.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사용자의 손목이외에 다른 신체에도 착용할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웨어러블 기기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신호 급전부, 기판 및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는 사용자의 손목에 올려 놓은 상태에서 손목을 감는 방식으로 착용하도록 연결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는 금속, 가죽, 러버, 실리콘, 우레탄 중 적어도 하나의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개시된 재질이외에 다른 재질도 적용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구성함으로써, 디스플레이의 시인성을 향상시킴은 물론 터치 기능 저하 방지 및 안테나의 방사 성능 저하를 방지시킬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안테나의 방사 성능이란 안테나의 송수신 능력을 의미한다. 즉 안테나가 타 단말기들이 송신한 신호를 최소의 손실을 가지도록 수신하는 능력과 송신하고자 하는 신호를 최소의 손실을 가지도록 공기 중으로 송신하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안테나는 웨어러블 기기에 대하여 도시하고, 디스플레이에 구비된 전도층을 안테나로 기여되는 구성에 대하여 기술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데,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아닌 안테나 방사체로 적용되는 금속 기구물을 포함하는 다양한 통신용 전자 장치에 적용될 수 있다. 이러한 금속 기구물은 무선신호를 송수신하는 장치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음은 자명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를 도면과 함께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a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2b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 이며, 도 2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면도 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이다.
도 2a,b,c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00)는 윈도우(210), 터치 패널(220), 전도층(230a)이 포함된 디스플레이(230), 신호 급전부(240), 기판(250) 및 리어 케이스(26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윈도우(210)는 상기 터치 패널(220)을 보호하도록 상기 터치 패널(220)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터치 패널(220)은 터치 입력할 수 있도록 상기 윈도우(21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할 수 있도록 전도층(230a)이 포함될 수 있고, 상기 터치 패널(22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240)는 상기 전도층(230a)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230a)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250)은 상기 신호 급전부(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240)를 통해 상기 전도층(230a)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도록 상기 디스플레이(230)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230)와 상기 기판(2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어 케이스(260)는 상기 기판(250)을 지지함과 동시에 사용자의 손목에 착용시키는 연결부(미도시 됨)가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230)의 전도층(230a)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전자 장치(200)의 안테나 기능으로 사용함으로써, 기존에 별도로 안테나를 전자 장치(200)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230)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함은 물론, 기존 안테나를 위한 별도의 실장 공간 및 활성 영역이 필요 없으므로 전자 장치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상기 전도층(230a)의 너비 또는 길이 중 하나 이상의 N x λ/4 ~ N x λ/2(N=1, 2, 3,… 자연수)의 공진 현상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전도층의 너비방향의 안테나 파장을 활용하거나, 상기 전도층의 길이방향의 안테나 파장을 활용할 수 있다. 또 한예로, 상기 전도층의 너비 및 길이의 크기에 따라서 안테나 파장을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엘씨디(LCD)(23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230)는 상기 개시된 디스플레이이외에 다른 디스플레이도 적용될 수 있다.(예컨데, 엘이디(LDE) 및 아몰레드(AMOLED) 등)
또한, 상기 엘씨디(LCD)(23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에 구비된 전도층(230a)(231a)에 대해서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엘씨디(LCD)(230)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200)에 구비된 엘씨디(LCD)(230) 및 유기발광다이오드 (OLED)(231)의 구성 중 전도층인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 층의 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엘씨디(LCD)(230)는 윈도우(210), 터치 패널(220), 편광필름층(POL)(230f), 컬러필터층(color filter)(230e), 픽셀층(cell)(230d), 티에프티(TFT)층(230a), 편광필름층(POL)(230b) 및 백라이트 유닛(BLU)(230c)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디스플레이(230)의 전도층(230a)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층(230a)은 티에프티 어레이 (TFT array)층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도층(230a)은 티에프티 에레이(TFT array)층이외에 전도성 물질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층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전도층(230a)은 터치 패널(220), 픽셀층(230d), 백라이트 유닛(230c)등을 포함할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는 윈도우(210), 터치 패널(220), 편광필름층(POL)(231j), 캐소드층(cathode)(231i), 전자주입층(EIL)(231h), 전자수송층(ETL)(231g), 발광층(EML)(231f), 정공수송층(HTL)(231e), 정공주입층(HIL)(231d), 애노드층(anode)(231c),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231a) 및 블랙 엠보(black embo)(231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의 전도층(231a)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전도층(231a)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전도층(231a)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이외에 전도성 물질을 기반으로 이루어진 층이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전도층은 터치 패널(220), 캐소드층(cathode) 및 애노드층(anode)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엘씨디(LCD)(230) 및 상기 유기발광다이오드(OLED)(231)에 구비된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230a)(231a)은 티에프티(TFT) 소자에 전원 공급, 데이터(data) 전달, GND Bias 등을 주기 위한 전도성 라인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230a)(231a)은 디스플레이의 내부 구조상 전도도가 가장 높은 구성이므로,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는 엘씨디(LCD) 디스플레이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도층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전도층과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240)는 상기 전도층(230a)(231a)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호 급전부(240)의 다양한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7a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며, 도 7c는 본 발명의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 급전부(240)는 상기 디스플레이(230)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 제 1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240)는 터치 패널(220)과 디스플레이(230)를 기판(250)과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에피씨비(FPCB)를 기준으로 좌측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에프피씨비(FPCB)의 좌우의 영역에는 전기장(A1)(E-field)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자 장치는 디스플레이(230)의 길이방향 반파장 공진 주파수 또는 한파장 공진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 급전부(340)는 상기 디스플레이(3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패널(320)의 제 1 측면(예컨데, 좌측면)에 상기 기판(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프피씨비(FPCB)를 배치하고, 상기 디스플레이(330)의 상기 터치 패널(320)의 제 1 측면의 반대편 제 2 측면(예컨데, 우측면)에 상기 기판(3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프피씨비(FPCB)를 배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신호 급전부(340)는 상기 디스플레이(330)의 중심 영역에 배치됨과 동시에 전기장(E-field)(A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자 장치(300)는 디스플레이(330)의 너비방향 반파장 공진 주파수 또는 한파장 공진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또한, 도 7c를 참조하면, 상기 신호 급전부(440)는 상기 디스플레이(430)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 상기 제 1 영역(예컨데, 좌측영역)의 반대편 제 2 영역(예컨데,우측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터치 패널(420) 또는 디스플레이(430)의 제 1 측면(예컨데, 우측면)에 상기 기판(450)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에프피씨비(FPCB)를 배치하고, 상기 제 1 측면의 반대편 제 2 측면(예컨데, 좌측면)에 전기장(E-field)(A1)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전자 장치(400)는 λ/4, 3λ/4 및 5λ/4으로 발생된 공진 주파수를 활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대편 제 2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50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500)는 원도우(510), 터치 패널(520), 디스플레이(530), 신호 급전부(540), 패치 안테나(570), 기판(550) 및 리어 케이스(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510), 상기 터치 패널(520), 상기 디스플레이(530) 및 리어 케이스(560)는 앞선 실시예의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패치 안테나(570)가 상기 디스플레이(530)와 상기 신호 급전부(5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540)는 전자 장치(5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패치 안테나(5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다. 상기 기판(550)은 상기 신호 급전부(5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540)를 통해 상기 패치 안테나(570)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520)와 상기 신호 급전부(540)의 사이에 별도로 패치 안테나(570)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500)의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630)의 전도층(미도시 됨)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9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600)는 원도우(610), 터치 패널(620), 전도층이 포함된 디스플레이(630), 신호 급전부(640), 기판(650) 및 리어 케이스(6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610), 상기 터치 패널(620), 상기 디스플레이(630), 상기 신호 급전부(640) 및 리어 케이스(6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상기 신호 급전부(640)의 하부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 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구현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하기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6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640)는 전자 장치(6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630)의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 되고, 상기 기판(650)은 상기 신호 급전부(6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급전부(640)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670)는 전도층이 안정정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는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상기 전도층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구현시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의 하부에는 그라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70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700)는 원도우(710), 터치 패널(720), 디스플레이(730), 신호 급전부(740), 패치 안테나(770), 기판(750) 및 리어 케이스(7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710), 상기 터치 패널(720), 상기 디스플레이(730) 및 리어 케이스(7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패치 안테나(770)가 상기 디스플레이(730)와 상기 신호 급전부(7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740)는 전자 장치(7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패치 안테나(7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 될 수 있다. 상기 기판은 상기 신호 급전부(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740)를 통해 상기 패치 안테나(770)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730)와 상기 신호 급전부(740)의 사이에 별도로 패치 안테나(770)를 구비하여 전자 장치(700)의 안테나로 사용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상기 신호 급전부의 하부에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740)는 전자 장치(7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패치 안테나(7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 되고, 상기 기판(750)은 상기 신호 급전부(7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기 신호 급전부를 통해 상기 패치 안테나의 안테나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780)는 패치 안테나(770)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 구현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780)는 상기 패치 안테나를 안테나로 활용시 상기 패치 안테나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구현시켜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가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는 전자 장치(800)의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800)는 원도우(810), 터치 패널(8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830), 신호 급전부(840), 기판(850), 리어 케이스(860) 및 필름(8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810), 상기 터치 패널(820), 상기 디스플레이(830), 상기 신호 급전부(840) 및 리어 케이스(8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상기 터치 패널(820)과 상기 디스플레이(830)의 사이에 상기 신호 급전부(840)와 커플링되는 필름(8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840)는 전자 장치(8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830)의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 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870)과도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기판(850)은 상기 신호 급전부(8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840)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 및 필름(870)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870)에는 상기 신호 급전부(840)와 커플링되는 커플링 급접부(871)가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커플링 급전부(871)는 상기 필름(870)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840)와 커플링을 위해 대면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급전부(871)는 상기 신호 급전부(840)에 형성된 면과 대면되도록 커플링면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필름(870)은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메탈 메쉬 필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800)는 디스플레이(830)의 전도층 및 추가 필름(870)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고, 상기 신호 급전부(840)는 상기 전도층 및 필름(870)을 동시에 커플링함으로써, 안테나 방사체의 방사 패턴을 뚜렷하게 형성하여 전자 장치의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필름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도 12와 같이, 전자 장치에 추가로 필름을 적용시키고, 디스플레이의 전도층 및 필름을 동시에 안테나 방사체로 사용될 때,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이 그래프를 통해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 알 수 있고, 특히 1500~2000MHz의 주파수 대역에서 디스플레이의 전도층 및 필름을 적용할 때와 적용하지 않을 때의 안테나 방사 효율 차이가 많이 발생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의 전도층만을 사용할때와 상기 전도층과 필름을 동시에 사용할때에는 안테나 방사 효율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으나, 상기 전도층 및 필름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안테나 방사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의 전도층만을 사용할 때와 상기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의 전도층과 필름을 동시에 적용하여 함께 사용할때에는 안테나 방사 효율의 향상으로 안테나 성능이 개선된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커플링되는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은 메탈 메쉬 필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필름에는 상기 신호 급접부와 커플링되는 커플링 급전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는 전자 장치(900)의 또 다른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900)는 원도우(910), 터치 패널(9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930), 신호 급전부(940), 기판(950), 리어 케이스(960), 필름(970) 및 쇼팅부(9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910), 상기 터치 패널(920), 상기 디스플레이(930), 상기 신호 급전부(940) 및 리어 케이스(9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터치 패널(920)과 상기 디스플레이(930)의 사이에 상기 신호 급전부(940)와 커플링되는 필름(970)이 구비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930)의 하부에는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및 상기 필름(970)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구현시킬 수 있도록 쇼팅부(98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940)는 전자 장치(9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930)의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 됨과 동시에 상기 필름(970)과도 커플링될 수 있다. 상기 기판(950)은 상기 신호 급전부(9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940)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필름(970)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필름(970)에는 상기 신호 급전부(940)와 커플링되는 커플링 급접부(971)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커플링 급전부(971)은 앞선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의 커플링 급전부와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전자 장치(900)는 디스플레이(930)의 전도층 및 필름(970)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고, 이 상태에서 추가로 쇼팅부(980)를 구비함으로써, 상기 쇼팅부를 밴드패스 필터로 활용하여 상기 전도층을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활용할 수 있다.
상기 멀티 밴드는 블루투스(BT), GPS 및 와이파이(Wifi)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개시된 멀티 밴드이외에 다른 밴드로 적용될 수 있다.(예컨데, 2G, 3G, 4G, 5G, NFC, Zigbee등)
도 1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로 필름 및 쇼팅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방사 효율을 나타내는 그래프 이다.
도 14와 같이, 전자 장치에 추가로 필름 및 쇼팅부를 적용시키고, 디스플레이의 전도층 및 필름을 안테나 방사체로 사용하고, 추가로 쇼팅부(980)를 구비하며, 상기 쇼팅부를 밴드패스 필터로 활용하여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사용될 때,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을 나타낸 그래프로써,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이 향상된 것을 확인 알 수 있고, 특히 도 14와 같이,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적용시 GPS의 주파수 1.575GHz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고, 블루투스(BT) 및 와이파이(Wifi)의 주파수 2.4~2.48 GHz 대역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의 전도층과 필름을 동시에 적용하여 사용시 안테나 방사 효율이 향상된 것을 알 수 있고, 이때, 추가로 쇼팅부를 밴드패스 필터로 활용하여 멀티 밴드인 GPS, 블루투스(BT) 및 와이파이(Wifi)의 주파수 대역에서도 안테나로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에 디스플레이의 전도층 및 필름과 동시에 사용하고, 추가로 쇼팅부를 적용하여 전자 장치의 안테나 방사 효율의 향상시킴은 물론 쇼팅부를 밴드패스 필터로 활용하여 상기 전도층을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커플링되는 필름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는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구현시키는 쇼팅부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2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1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회로도 이며, 도 1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구성 중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15 내지 도 17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200)는 윈도우(1210), 터치 패널(12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230),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1240), 기판(1250) 및 리어 케이스(12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210), 상기 터치 패널(1220), 상기 디스플레이(1230) 및 리어 케이스(12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1240)는 상기 디스플레이(1230)의 일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124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상기 기판(1250)에 직접 인가하도록 상기 기판(12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1240)는 무선으로 디스플레이(1230)의 전도층과 커플링되는 구성이 아니고, 상기 신호 급전부(1240)의 제1단이 상기 디스플레이(1230)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240)의 상기 제1 단의 반대편 제 2 단은 기판(12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컨데, 상기 신호 급전부(1240)의 제 1 단이 디스플레이(1230)의 전도층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240)의 제1 단의 반대편 제2단이 기판(12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이러한 신호 급전부에 의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활용 및 전기적 연결을 향상시킬 수 있고, 또한, 기존에 별도로 안테나를 전자 장치(1200)내에 구비할 필요가 없어 디스플레이의 시인성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기존 안테나를 위한 별도의 실장 공간 및 활성 영역이 필요 없어 전자 장치(1200)를 소형화 및 슬림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도 1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300)의 구성 중 패치 안테나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300)는 원도우(1310), 터치 패널(1320), 디스플레이(1330), 신호 급전부(1340), 패치 안테나(1370), 기판(1350) 및 리어 케이스(13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310), 상기 터치 패널(1320), 상기 디스플레이(1330) 및 리어 케이스(13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패치 안테나(1370)가 상기 디스플레이(1330)와 상기 신호 급전부(13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1340)는 전자 장치(1300)의 안테나로 사용하기 위해 상기 패치 안테나(13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350)은 상기 신호 급전부(13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340)를 통해 상기 패치 안테나(1370)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1340)의 제1단은 상기 패치 안테나(13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340)의 제 1 단의 반대편 제 2 단은 기판(13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상기 디스플레이(1330)와 상기 신호 급전부(1340)의 사이에 별도로 패치 안테나(1370)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신호 급전부(1340)가 상기 패치 안테나(1370) 및 상기 기판(1350)을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패치 안테나(1370)와 기판(1350)과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하고, 이로인해 전자 장치(1300)의 안테나 사용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400)의 구성 중 그라운드 및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400)는 원도우(1410), 터치 패널(14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430), 신호 급전부(1440), 기판(1450) 및 리어 케이스(14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410), 상기 터치 패널(1420), 상기 디스플레이(1430) 및 리어 케이스(14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상기 디스플레이(1430) 및 상기 기판(1450)의 사이에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전도층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14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1440)의 제 1 단은 상기 디스플레이(1430)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440)의 제 1 단 반대편 제 2 단은 상기 기판(14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신호 급전부(14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4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상기 기판(1450)에 직접 인가할 수 있다. 이때,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14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전도층의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 구현을 제공하여 안테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1500)의 구성 중 그라운드 및 패치 안테나와 직접 전기적으로 신호 급전부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500)는 원도우(1510), 터치 패널(1520), 디스플레이(1530), 신호 급전부(1540), 패치 안테나(1570), 기판(1550) 및 리어 케이스(156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510), 상기 터치 패널(1520), 상기 디스플레이(1530) 및 리어 케이스(15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상기 패치 안테나(1570)가 상기 디스플레이(1530)와 상기 신호 급전부(154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1540)의 제 1 단은 패치 안테나(15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540)의 제 1 단의 반대편 제 2 단은 상기 기판(15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신호 급전부(1540)는 상기 패치 안테나(1570)와 상기 기판(1550)를 직접 전기적을 연결하여 상기 패치 안테나(1570)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상기 기판(1550)에 인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는 상기 패치 안테나(1570)와 상기 기판(1550)을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시키는 신호 급전부(1540)를 구성함과 동시에 추가적으로 상기 패치 안테나(1570) 및 상기 기판(1550)의 하부에 확장형 그라운드(1580)를 구비함으로써, 패치 안테나의 안테나 신호를 기판(1550)에 안정적으로 직접 인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확정인 그라운드(1580)는 패치 안테나(1570)가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장형 그라운드는 상기 패치 안테나(1570)를 안테나로 활용시 패치 안테나의 안정적인 동작을 구현위해 제공하여 안테나의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추가적으로 필름이 구비되고, 디스플레이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6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600)는 원도우(1610), 터치 패널(16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630), 신호 급전부(1640), 기판(1650), 리어 케이스(1660) 및 필름(16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610), 상기 터치 패널(1620), 상기 디스플레이(1630), 상기 신호 급전부(1640) 및 리어 케이스(16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상기 터치 패널(1620)과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사이에 상기 신호 급전부(164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름(167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1640)은 상기 필름(1670) 및 상기 디스플레이(1640)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상기 기판(166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기판(1660)은 상기 신호 급전부(164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64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필름(1670)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1640)는 상기 필름(1670)과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전도층을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시키기 위해 제 1, 2 및 3 급전부(1641)(1642)(1643)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제 1 급전부(1641)는 상기 필름(1670)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필름(167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2 급전부(1642)는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측면에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 3 급전부(1642)는 상기 제 1, 2 급전부(1641)(1642)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기판(1650)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상기 신호 급전부(1640)의 제 1, 2 급전부(1641)(1642)는 상기 필름(1670)과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전도층을 동시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고, 상기 신호 급전부(1640)의 제 3 급전부(1643)는 상기 제 1, 2 급전부(1641) (1642) 및 상기 기판(1650)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함으로써, 상기 디스플레이(1630)의 전도층 및 상기 필름(1670)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할 수 있고, 이로인해 안테나 방사체의 방사 패턴을 뚜렷하게 형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테나 성능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름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동시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필름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급전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급전부; 및 상기 기판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급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전자 장치(17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23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이다.
도 22 및 도 23을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700)는 원도우(1710), 터치 패널(17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730), 신호 급전부(1740), 쇼팅부(1770), 기판(1750), 리어 케이스(1760) 및 그라운드(17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710), 상기 터치 패널(1720), 상기 디스플레이(1730) 및 상기 리어 케이스(17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신호 급전부(1740)는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730) 및 상기 기판(17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추가적으로 신호 급전부(1740)의 이웃한 위치에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한 쇼팅부(177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750)은 상기 신호 급전부(1740) 및 상기 쇼팅부(17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740) 및 상기 쇼팅부(177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상기 쇼팅부(1770)의 튜닝된 신호를 인가받도록 상기 신호 급전부(1740) 및 상기 리어 케이스(17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1780)는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및 상기 쇼팅부(1770)의 주파수 튜닝의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750)과 상기 리어 케이스(17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운드(1780)는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 및 쇼팅부(1770)를 안테나 주파수 튜닝으로 활용시 안테나 성능 및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1740)는 급전 패드 형상을 변경시킴으로써, 공진 주파수의 하향 또는 증가를 조정할 수 있다.
또한, 추가된 상기 쇼팅부(1770)는 공진 주파수의 하향을 조정 및 추가 공진 유도할 수 있다.
또한, 추가된 상기 그라운드(1780)는 추가 공진을 유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 및 쇼팅부(1770)를 안테나 주파수 튜닝으로 활용시 추가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 성능 및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급전부(1740)는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 및 상기 쇼팅부(17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1740)는 상기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 및 상기 쇼팅부(17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1740)는 디스플레이(17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쇼팅부(17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해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한 쇼팅부;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쇼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쇼팅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상기 쇼팅부의 튜닝된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는 급전 패드 형상을 변경시켜 공진 주파수의 하향 또는 증가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쇼팅부는 공진 주파수의 하향을 조정 및 추가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그라운드는 추가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18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2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이다.
도 24 및 도 25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1800)는 원도우(1810), 터치 패널(18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1830), 신호 급전부(1840), 능동 소자(1870), 기판(1850), 리어 케이스(1860) 및 그라운드(18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1810), 상기 터치 패널(1820), 상기 디스플레이(1830) 및 상기 리어 케이스(1860)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신호 급전부(1840)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해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1830) 및 상기 기판(18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능동 소자(1870)는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1840)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기판(1850)은 상기 신호 급전부(1840) 및 상기 능동 소자(18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1840) 및 상기 능동 소자(1870)를 통해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상기 능동 소자(1870)의 튜닝된 신호를 송수신받도록 상기 신호 급전부(1840) 및 상기 리어 케이스(18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그라운드(1880)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그라운드(1880) 및 상기 능동 소자(1870)의 주파수 튜닝의 그라운드로 동작할 수 있도록 상기 기판(1850)과 상기 리어 케이스(186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운드(1880)는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추가 공진을 유도할 수 있고, 상기 그라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 및 능동 소자(1870)를 안테나 주파수 튜닝으로 활용시 추가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 성능 및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능동 소자(1870)는 가변용량 반도체 다이오드(varactor diode)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능도 소자(1870)는 가변용량 반도체 다이오드(varactor diode)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을 아니다. 즉, 상기 능동 소자(1870)는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한 소자라면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능동 소자(1870)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하부 외곽 둘레에 하나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1880)는 추가 공진을 유도하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 및 하나의 능동 소자(1870)를 안테나 주파수 튜닝으로 활용시 추가 공진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안테나 성능 및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급전부(1840)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 및 상기 능동 소자(18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1840)는 상기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 및 상기 능동 소자(18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1840)는 디스플레이(18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한 능동 소자(18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1800)에 추가로 상기 쇼팅부(미도시 됨)를 구비하고, 상기 쇼팅부는 상기 능동 소자(1870) 및 직류 정압(DC Biasing)을 통해 공진 주파수를 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해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한 능동 소자;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능동 소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능동 소자들을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 신호 및 상기 능동 소자들의 주파수 튜닝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됨과 아울러 추가 공진을 유도하기 위해 구비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소자는 가변용량 반도체 다이오드(varactor diode)로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한 실시예로, 도 2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2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측단면도 이고, 도 2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복수의 능동 소자를 이용하여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하는 전자 장치(2100)의 구성을 나타내는 등가 회로도 이다.
도 26 및 도 27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100)에 구비되는 능동 소자(2170)는 복수개로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복수의 능동 소자(2170)들은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능동 소자(2170)는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양단 방사 슬롯(radiating slot)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라운드(2180)는 추가 공진을 유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그라운드는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 및 복수의 능동 소자(2170)를 안테나 주파수 튜닝으로 활용시 추가 공진을 유도함과 동시에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안테나 성능 및 안테나 주파수 튜닝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신호 급전부(2140)는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전도층 및 상기 복수의 능동 소자(2170)와 전기적으로 커플링될 수 있고, 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신호 급전부(2140)는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전도층 및 상기 복수의 능동 소자(21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신호 급전부(2140)는 상기 디스플레이(2130)의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한 복수의 능동 소자(2170)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능동 소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 실시예로, 도 28는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전자 장치의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안테나 빔 패턴을 선택하는 제 1, 2 패드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 이고, 도 29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안테나 빔 패턴을 선택하는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회로도 이다.
도 28 및 도 29를 참조하면, 상기 전자 장치(2200)는 원도우(미도시 됨), 터치 패널(2220), 전도층(미도시 됨)이 포함된 디스플레이(2230), 제 1, 2 패드(2270)(2280), 센서부(2290), 제어부(2291), 스위치(2292), 신호 급전부(2240), 기판(2250), 리어 케이스(미도시 됨)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윈도우(미도시됨), 상기 터치 패널(2220), 상기 디스플레이(2230) 및 리어 케이스는 앞선 도 2a에 도시된 실시예의 구성들과 동일하여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상기 제 1 패드(2270)는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2200)의 길이(L1)의 한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A1)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2230)와 상기 기판(22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 패드(2280)는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동시에 상기 전자 장치의 너비(L2)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A2)을 형성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2230)와 상기 기판(2250)의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2290)는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동작(예컨데, 사용 시나리오)을 감지할 수 있다. 이러한 움직임 동작는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2291)는 상기 센서부(2290)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2200)의 사용 시나리오를 판단하여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를 통해 상기 안테나 빔 패턴(A1)(A2)을 선택하도록 스위치(229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사용 시나리오는 예를 들면, 워킹(Walking), 런닝(Running),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용 시나리오는 상기 개시된 시나리오이외에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다른 시나리오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92)는 상기 제어부(2291)에 의해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를 스위칭할 수 있다.
상기 신호 급전부(2240)는 상기 스위치(2292)의 스위칭된 신호를 인가받을 수 있다. 상기 기판(2250)은 상기 신호 급전부(224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2292)를 통해 스위치(2292)된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의 안테나 신호를 송수신받을 수 있다.
상기 제 1, 2 패드를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3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 동작시 제 1 패드(2270)의 안테나 빔 패턴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고, 도 3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동작시 제 2 패드(2280)의 안테나 빔 패턴을 적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이다.
도 30 및 도 31과 같이, 상기 제 1 패드(2270)의 빔 패턴(A1)은 모노폴 타입 빔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고, 상기 제 2 패드(2280)의 빔 패턴(A2)은 패치 타입 빔 패턴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앞서 언급한 도 28 및 도 29와 같이, 사용자가 신체에 전자 장치(2200)를 착용하고,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으로 동작 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에 구비된 센서부(2290)가 이러한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2290)는 자이로 센서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이로 센서는 사용자의 동작에 따른 상기 전자 장치(2200)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서부(2290)는 자이로 센서이외에 사용자의 동작을 감지할 수 있는 다른 센서부도 적용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센서부(2290)은, 예를 들면, 물리량을 계측하거나 전자 장치(2200)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여, 계측 또는 감지된 정보를 전기 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센서부(2290)는, 예를 들면, 제스처 센서, 자이로 센서, 기압 센서, 마그네틱 센서, 가속도 센서, 그립 센서, 근접 센서, 컬러(color) 센서(예: RGB(red, green, blue) 센서), 생체 센서, 온/습도 센서, 조도 센서, 또는 UV(ultra violet) 센서중의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체적으로(additionally or alternatively), 센서부는, 예를 들면, 후각 센서(E-nose sensor), EMG 센서(electromyography sensor), EEG 센서(electroencephalogram sensor), ECG 센서(electrocardiogram sensor), IR(infrared) 센서, 홍채 센서 및/또는 지문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부는 그 안에 속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에서는, 전자 장치(2200)는 제어부의 일부로서 또는 별도로, 센서부를 제어하도록 구성된 제어부를 더 포함하여, 제어부가 슬립(sleep) 상태에 있는 동안, 센서부(229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센서부(2290)는 사용자의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과 같은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291)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2291)는 감지된 상기 센서부(229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 중에서 상기 제 1 패드(2270)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패드(2270)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229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92)는 상기 제어부(2291)에 의해 선택한 상기 제 1 패드(2270)를 스위칭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패드(227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1 패드(2270)는 상기 전자 장치(2200)의 길이(L1)의 한파장 공진을 유도함과 동시에 모노폴 타입 빔 패턴(A1)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92)는 선택된 상기 제 1 패드(2270)의 한파장 공진 신호를 상기 신호 급전부(2240)를 통해 상기 기판(2250)에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 동작시 상기 제 1 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1 패드의 선택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 기능을 최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2290)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전자 장치(2200)의 움직임 동작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은 센서부(2290) 대신에 제어부(2291)가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또 한예로, 사용자가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으로 동작을 할 경우 상기 전자 장치(2200)에 구비된 센서부(2290)가 이러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센서부(2290)는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고, 이러한 신호를 상기 제어부(2291)에 인가하고, 상기 제어부(2291)는 감지된 상기 센서부(2290)의 신호에 따라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 중에서 상기 제 2 패드(2280)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패드(2280)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스위치(2292)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92)는 상기 제어부(2291)에 의해 선택한 상기 제 2 패드(2280)를 스위칭함과 동시에 상기 제 2 패드(2280)와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제 2 패드(2280)는 상기 전자 장치의 너이(L1)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함과 동시에 패치 타입 빔 패턴(A2)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2292)는 선택된 상기 제 2 패드(2280)의 반파장 공진 신호를 상기 신호 급전부(2240)를 통해 상기 기판(2250)에 송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상기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동작시 상기 제 2 패드를 선택하고, 상기 제 2 패드의 선택에 따른 전자 장치의 안테나 기능을 최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한 실시예에서, 상기 센서부(2290)를 사용하여 감지한 상기 전자 장치(2200)의 움직임 동작에 기반하여 사용자의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동작을 감지하는 동작은 센서부(2290) 대신에 제어부(2291)가 실행하도록 구현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장치는 사용자의 사용 시나리오에 따라 제 1, 2 패드(2270)(2280)를 선택함과 동시에 상기 제 1, 2 패드(2270)(2280)의 안테나 빔 패턴을 선택함으로써, 사용자가 일상 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사용 시나리오에 따른 안테나의 빔 패턴를 간편하게 선택할 수 있고, 이로인해 안테나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아울러 한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드;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아울러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2 패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나리오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2 패드를 선택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2 패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된 신호를 인가받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스위칭된 제 1, 2 패드의 안테나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 1 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길이의 한 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모노폴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너비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패치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 움직임 동작을 센서부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패드와 스위칭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패드의 한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모노폴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 움직임 동작을 센서부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패드와 스윙칭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패드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패치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의 전자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전자 장치 : 101 원도우 : 210
터치 패널 : 220 디스플레이 : 230, 231
신호 급전부 : 240 기판 : 250
리어 케이스 : 260

Claims (29)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신호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는 엘씨디(LCD) 및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층은 티에프티 어레이(TFT array)층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전도층과 무선으로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중심 영역을 벗어나 제 1 영역 또는 상기 제 1 영역의 반대편 제 2 영역에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부의 중심 영역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9.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의 하부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가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0.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커플링되는 필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은 메탈 메쉬 필름으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필름에는 상기 신호 급접부와 커플링되는 커플링 급전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3.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커플링되는 필름이 구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하부에는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여 멀티 밴드의 안테나로 구현시키는 쇼팅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6.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사이에는 패치 안테나가 구비되고,
    상기 패치 안테나와 상기 기판의 사이에는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이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시 안정적인 안테나 동작을 위해 확장형 그라운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8.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사이에는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해 상기 신호 급전부와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필름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필름과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을 동시에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고,
    상기 신호 급전부는, 상기 필름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1 급전부;
    상기 디스플레이의 전도층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2 급전부; 및
    상기 기판과 직접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 3 급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0.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해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한 쇼팅부;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쇼팅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쇼팅부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 및 상기 쇼팅부의 튜닝된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1.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신호 급전부는 급전 패드 형상을 변경시켜 공진 주파수의 하향 또는 증가를 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2.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쇼팅부는 공진 주파수의 하향을 조정 및 추가 공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3. 제 20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운드는 추가 공진을 유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4.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 및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을 위해 상기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되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의 이웃한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안테나 방사체의 주파수 튜닝(tuning)을 위한 능동 소자;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능동 소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신호 급전부 및 상기 능동 소자를 통해 상기 전도층의 안테나 방사체의 신호 및 상기 능동 소자들의 주파수 튜닝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 및
    상기 기판의 하부에 구비되고, 상기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추가 공진을 유도하는 그라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소자는 가변용량 반도체 다이오드(varactor diode)로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6.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능동 소자는 복수개로 이루어지고, 상기 디스플레이의 양측에 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상기 디스플레이의 외곽 둘레를 따라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7. 전자 장치에 있어서,
    윈도우;
    터치 패널;
    전도층이 포함되는 디스플레이;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아울러 한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1 패드;
    상기 전도층을 안테나 방사체로 활용하기 위하여 전도층과 전기적으로 커플링됨과 아울러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안테나의 빔 패턴을 형성하는 제 2 패드;
    상기 전자 장치의 움직임 동작를 감지하는 센서부;
    상기 센서부를 사용하여 상기 전자 장치의 사용 시나리오를 판단하고 상기 제 1, 2 패드를 선택하도록 스위치를 제어하는 제어부;
    상기 제어부에 의해 상기 제 1, 2 패드를 스위칭하는 스위치;
    상기 스위치의 스위칭된 신호를 인가받는 신호 급전부;
    상기 신호 급전부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를 통해 스위칭된 제 1, 2 패드의 안테나 신호를 송수신받는 기판; 및
    상기 기판을 지지하는 리어 케이스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8.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길이의 한 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모노폴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 2 패드는 상기 전자 장치의 너비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패치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워킹(Walking) 및 런닝(Running)의 움직임 동작을 센서부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1 패드와 스위칭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아울러 상기 제 1 패드의 한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모노폴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 시나리오 중에서 웨이크 업(Wake-up) 및 사이클링(Cycling)의 움직임 동작을 센서부가 감지하고, 상기 감지된 신호에 따라 상기 스위치를 통해 상기 제 2 패드와 스윙칭시켜 전기적으로 연결시킴과 동시에 상기 제 2 패드의 반파장 공진을 유도하여 패치 타입 빔 패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KR1020160048018A 2016-04-20 2016-04-20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KR1023340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18A KR102334098B1 (ko) 2016-04-20 2016-04-20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PCT/KR2017/004197 WO2017183907A1 (en) 2016-04-20 2017-04-1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EP17786175.4A EP3446359B1 (en) 2016-04-20 2017-04-1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US15/491,400 US10374295B2 (en) 2016-04-20 2017-04-19 Electronic device including display
CN201780024752.3A CN109075428B (zh) 2016-04-20 2017-04-19 包括显示器的电子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018A KR102334098B1 (ko) 2016-04-20 2016-04-20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49A true KR20170119849A (ko) 2017-10-30
KR102334098B1 KR102334098B1 (ko) 2021-12-03

Family

ID=600897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018A KR102334098B1 (ko) 2016-04-20 2016-04-20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374295B2 (ko)
EP (1) EP3446359B1 (ko)
KR (1) KR102334098B1 (ko)
CN (1) CN109075428B (ko)
WO (1) WO2017183907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30A1 (ko) * 2018-03-06 2019-09-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가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안테나
WO2021145734A1 (ko) * 2020-01-15 2021-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275473B2 (en) 2019-06-13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728562B2 (en) 2020-04-21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structures in multiple layer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315B1 (ko) * 2017-08-21 2022-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및 그것으로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58204B1 (ko) * 2017-08-24 2020-09-22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필름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10727570B2 (en) 2018-01-30 2020-07-28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antennas that radiate through a display
KR102654617B1 (ko) * 2018-08-07 2024-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외부의 매질에 따라 공진 주파수를 조정하여 위성 신호를 수신하는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1381712B (zh) * 2018-12-31 2023-06-06 乐金显示有限公司 具有集成天线的显示设备
CN109904592B (zh) * 2019-04-02 2021-07-20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天线结构及通信终端
CN112448126B (zh) * 2019-08-30 2024-02-09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天线装置及电子设备
US11404766B2 (en) * 2019-10-30 2022-08-02 Verily Life Sciences Llc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overlapping communications antenna
CN111026289B (zh) * 2019-11-29 2023-07-14 北京空间技术研制试验中心 用于载人航天器的人机交互终端
US11573599B2 (en) * 2020-06-11 2023-02-07 Apple Inc. Electrical connectors for electronic device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7243A (ja) * 2012-09-13 2014-03-27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実装方法、表示装置、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40104157A1 (en) * 2012-10-15 2014-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antennas on a display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65453A (en) 1989-03-20 1991-11-12 General Electric Company Electrically-tunable bandpass filter
US6973709B2 (en) * 2001-04-19 2005-12-13 Chunghwa Picture Tubes Method of manufacturing printed-on-display antenna for wireless device
KR20060085879A (ko) * 2005-01-25 2006-07-28 주식회사 파인옵틱스 박막 안테나가 일체형으로 형성이 된 액정 디스플레이
JP4999922B2 (ja) * 2007-03-30 2012-08-15 三菱電機株式会社 半導体チップおよび高周波回路
KR20090051633A (ko) * 2007-11-19 2009-05-22 이비엔코리아 주식회사 내장형 안테나와 그 제조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이동통신단말기
FR2940872B1 (fr) * 2009-01-07 2012-05-18 Commissariat Energie Atomique Ecran plat avec antenne integree
US8217843B2 (en) 2009-03-13 2012-07-10 Ruckus Wireless, Inc. Adjustment of radiation patterns utilizing a position sensor
KR101714537B1 (ko) * 2010-11-24 201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미모 안테나 장치
US8947627B2 (en) 2011-10-14 2015-02-03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having displays with openings
US8912809B2 (en) * 2012-06-12 2014-12-16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wafer-level testing on antenna tuning elements
US9329314B2 (en) * 2012-07-13 2016-05-03 Apple Inc. Touch screen display with transparent electrical shielding layer
CN105075006B (zh) * 2013-03-15 2018-08-03 Lg电子株式会社 天线模块以及包括该天线模块的移动终端
US9293806B2 (en) 2014-03-07 2016-03-22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display frame antenna
US9356661B2 (en) 2014-04-23 2016-05-31 Apple Inc. Electronic device with near-field antenna operating through display
KR102139217B1 (ko) * 2014-09-25 2020-07-29 삼성전자주식회사 안테나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057243A (ja) * 2012-09-13 2014-03-27 Nec Saitama Ltd 携帯端末、携帯端末の実装方法、表示装置、携帯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
US20140104157A1 (en) * 2012-10-15 2014-04-17 Qualcomm Mems Technologies, Inc. Transparent antennas on a display device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72630A1 (ko) * 2018-03-06 2019-09-12 동우화인켐 주식회사 안테나가 결합된 화상 표시 장치 및 화상 표시 장치용 안테나
CN111801845A (zh) * 2018-03-06 2020-10-20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集成有天线的图像显示装置和用于图像显示装置的天线
CN111801845B (zh) * 2018-03-06 2024-01-30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集成有天线的图像显示装置和用于图像显示装置的天线
US11275473B2 (en) 2019-06-13 2022-03-1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US11635861B2 (en) 2019-06-13 2023-04-25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145734A1 (ko) * 2020-01-15 2021-07-22 삼성전자 주식회사 안테나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728562B2 (en) 2020-04-21 2023-08-15 Samsung Display Co., Ltd. Wireless electronic device with antenna structures in multiple lay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446359A4 (en) 2019-05-01
EP3446359A1 (en) 2019-02-27
EP3446359B1 (en) 2021-10-27
KR102334098B1 (ko) 2021-12-03
US10374295B2 (en) 2019-08-06
WO2017183907A1 (en) 2017-10-26
CN109075428B (zh) 2021-05-25
CN109075428A (zh) 2018-12-21
US20170309995A1 (en) 2017-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34098B1 (ko) 디스플레이가 포함된 전자 장치
US9813532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EP3392888B1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multiple coils
EP3586498B1 (en) Multi feeding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390488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199719B2 (en) Antenna and electronic device having the same
KR102245184B1 (ko) 안테나를 갖는 전자 장치
KR102177285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38910B1 (ko) 링형 안테나를 갖는 전자 장치
CN107408755B (zh) 天线设备和具有该天线设备的电子设备
KR102410706B1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151056B1 (ko) 안테나 및 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CN106575818B (zh) 天线装置以及具有该天线装置的电子设备
KR102143103B1 (ko) 전자 장치의 부품을 활용한 안테나 장치
KR102258191B1 (ko) 전자 장치
KR102152924B1 (ko) 전도체를 이용한 안테나 및 전자 장치
KR20180029326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012571A (ko) 다중 대역 안테나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52253A (ko) 안테나 장치 및 그것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1502388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 antenna
KR102508922B1 (ko) 안테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20160024428A (ko) 커플링 구조를 포함하는 안테나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US10211516B2 (en) Electronic device including antenna
EP3616391B1 (en) Electronic device outputting a signal using an antenna disposed adjacent to a conductive member of a connector
CN109804502A (zh) 天线和包括所述天线的电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