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808A -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808A
KR20170119808A KR1020160047918A KR20160047918A KR20170119808A KR 20170119808 A KR20170119808 A KR 20170119808A KR 1020160047918 A KR1020160047918 A KR 1020160047918A KR 20160047918 A KR20160047918 A KR 20160047918A KR 20170119808 A KR20170119808 A KR 20170119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reen display
cover
light
connecting member
fast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22146B1 (ko
Inventor
방채원
Original Assignee
방채원
주식회사 유비스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채원, 주식회사 유비스타 filed Critical 방채원
Priority to KR1020160047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22146B1/ko
Priority to PCT/KR2017/004190 priority patent/WO2017183904A1/ko
Publication of KR20170119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221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221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6Combining plural substrates to produce large-area displays, e.g. tiled display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06F3/1423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 G06F3/1446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controlling a plurality of local displays, e.g. CRT and flat panel display display composed of modules, e.g. video wall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form or geometrical disposition of the individual elements
    • G09F9/3026Video wall, i.e. stackable semiconductor matrix display modul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Overhead Projectors And Projection Scree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하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투광커버(10)와,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00)와, 선단이 화면표시부(20)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연결부재(110)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선단에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이에 의하면,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쉽고 안전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A FASTENING DEVICE FOR TRANSPARENT COVER OF DISPALY APPARATUS}
본 발명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특히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이루고 있는 복수의 화면표시부 사이로 체결부재를 삽입 설치하고 화면표시부의 자체 하중에 의해서 이 삽입된 체결부재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CD(Liquid Crystal Display), PDP(Plasma Discharge Panel) LED패널과 같은 평판 디스플레이는 고해상도 구현이 용이하며, 고화질 대화면 디스플레이장치로서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하지만, 대형화면 디스플레이는 제조상의 문제로 인하여 대형 화면을 생산하는데 많은 제조비용과 화면표시부[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의 크기에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일반적으로는 여러 대의 화면표시부를 사용하는 멀티스크린 방식을 사용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있다.
도 10에는 일반적인 다중의 화면표시부(20)를 이용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개념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화면표시부(20)를 행과 열을 갖도록 배치하여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성하고, 각 화면표시부(11)의 사이의 경계에는 섀시 등과 같은 외장 구성품인 베젤(Bezel)(21)이 구비된다.
그런데, 이러한 베젤(21)에 의해서 영상이 표시될 때 테두리 줄간격이 생김으로써 영상정보를 전달하는데 많은 문제가 야기되었다.
상기와 같은 베젤 영역에서 화면이 단절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개발된 기술로서 본원발명의 출원인에 의해서 출원되어서 특허등록된 대한민국 제10-1426726호(등록일: 2014.07.30.)에 의한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가 알려져 있다.
이 등록특허 제10-1426726호에 의한 기술은 베젤 사이에 투광커버를 구비되도록 하여서 기하광학적 착시 현상에 의해서 베젤이 완벽하게 보이지 않도록 하는 기술이었다.
그러나, 등록특허 제10-1426726호에 의한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어떻게 부착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적 과제가 있었고, 이러한 기술적 과제는 현재까지 해결되고 있지 않고 있다.
문헌1. 등록특허공보 제10-1426726호(공고일: 2014년08월05일) 문헌2. 공개특허공보 제2001-0094205호(공개일: 2001년10월31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발명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의 목적은,
첫째, 투광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상하 또는 좌우의 화면표시부의 사이로 삽입하여서 설치하는 방식의 채택에 의해서 투광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고,
또한 그 중에서도 상하로 삽입되는 방식의 채택에 의해서 이 삽입된 체결부재를 누르는 화면표시부의 하중으로 체결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획기적인 기술적 사상에 의해서 투광커버를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둘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인접한 투광커버를 연결하고, 이 연결부재를 체결부재의 선단에 고정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안정감 있게 투광커버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하며,
셋째, 체결부재를 화면표시부 사이에 삽입 구비하고, 연결부재를 투광커버의 측면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 인서트되어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투광커버를 고정하는 장치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화면표시부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투광커버와,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와, 선단이 화면표시부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웃한 화면표시부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부재의 선단에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체결부재가, 이웃한 화면표시부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몸체부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부와, 상기 몸체부의 후단에서 상기 몸체부에 형성되는 플랜지부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체결돌부에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플랜지부에는 볼트공이 형성되고, 선단이 화면표시부의 배면에 닿도록 상기 볼트공에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체결부재를 화면표시부에 고정시키는 장착볼트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체결부재가 상하로 이웃한 화면표시부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체결부재가 좌우로 이웃한 화면표시부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몸체부가 박판의 플레이트 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몸체부의 선단에 앵커(anchor)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는 인접하는 투광커버의 둘레면의 대향하는 일 면과 타 면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연결부재가 적어도 두 개의 측면이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 형상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 중에서 일 측면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일 투광커버의 타 면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 중에서 타 측면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타 투광커버의 일 면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일 측면과 타 측면은 접착수단에 의해서 투광커버의 타 면과 일 면에 각각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연결부재에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홀에 삽입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체결부재에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체결홀은 상기 연결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통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돌부는 상기 체결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상기 연결부재는 일 측면과 타 측면과 저면이 형성되어 있는 삼각기둥 형상이고, 상기 체결홀은 길이방향을 따라서 관통 형성되어 있고, 상기 체결홀에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절개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몸체부가 절개부에 통과되어서 상기 체결돌부가 상기 체결홀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서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투광커버를 고정하기 위한 체결부재를 상하의 화면표시부의 사이로 삽입하여서 설치하고, 이 삽입된 체결부재를 누르는 화면표시부의 하중에 의해서 체결부재를 고정하도록 하는 획기적인 기술적 사상에 채택에 의해서 투광커버를 화면표시부의 전면에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연결부재를 이용하여 인접한 투광커버를 연결하고, 이 연결부재를 체결부재의 선단에 고정함으로써, 견고하면서도 안정감 있게 투광커버를 고정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체결부재를 화면표시부 사이에 삽입 구비하고, 연결부재를 투광커버의 측면이 이루는 공간 내부에 인서트되어서 투광커버를 연결 고정할 수 있고, 그 결과 투광커버를 고정하는 장치(체결부재 및 연결부재)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서 깔끔한 외관을 구현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설치된 사용 상태의 측면 구성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2는 도 1의 A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의 연결부재(110)가 투광커버(10)에 부착된 상태의 사시도 및 요부 확대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에 있어서, 연결부재(110)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에 있어서, 체결부재(200)의 부분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1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에 있어서, 체결부재(200)의 체결돌부(220)에 연결부재(110)가 부착된 투광커버(10)를 체결하는 동작 개념도이다.
도 8은 도 1의 변형된 실시예이다.
도 9는 도 8의 요부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일반적인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구성 개념도이다.
다음은 본 발명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의미하는 물리적인 장치적 개념으로 사용되었음을 밝힌다.
본 발명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는, 투광커버(10)를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장치로서, 복수의 화면표시부(20)로 이루어지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투광커버(10)와 연결부재(100)와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선단이 화면표시부(20)의 전면(20c)으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웃한(구체적으로는 서로 접촉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연결부재(110)는 체결부재(200)의 선단에 체결됨으로써,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된다.
상기 투광커버(10)는 배면(10a)과 전면(10c)과 둘레면(10b)으로 구성되고, 상기 둘레면(10b)은 전방으로 갈수록 외향으로 확개 경사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에 구비되는 경우, 전면(10c)의 외주연이 서로 접하여서 구비된다.
그리고,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대향하는 둘레면(10b)과 둘레면(10b) 사이에 화면표시부(20)의 경계가 위치하도록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에 구비됨으로써 화면표시부(20)의 경계인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10)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투광커버의 배면(10a)은 내측으로 굴곡된 굴곡부(10a')와 상기 굴곡부(10a')에서 연장된 평탄부(10a")로 구성되어서 화면표시부(20)와 배면(10a) 간에는 이격공간(Sa)이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에는 4 개의 면(10b',10b",10b''')이 있는데, 도시된 그림을 기준으로 윗면(10b')과 아랫면(10b")과 좌우면(10b''')이 그것이다.
상기 체결부재(200)는, 이웃한 화면표시부(20)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0)로 구성되고, 이때 연결부재(110)가 체결돌부(220)에 체결됨으로써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부(230)에는 복수의 볼트공(230a)이 형성되고, 상기 볼트공(230a)에 나사체결되었을 때, 선단이 화면표시부(20)의 배면(20a)에 닿도록 볼트공(230a)에 나사체결됨으로써,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20)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하는 장착볼트(P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체결부재(200)는 상하로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데, 구체적으로 아래에 위치한 화면표시부(20)의 윗면(20b)과 위에 위치한 화면표시부(20)의 아랫면(20b')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이다.
이에 의하면, 상측에 위치한 화면표시부(20)의 하중에 의해서 체결부재(200)가 설치될 수 있으므로 별도의 수단이 필요 없이도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20)에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몸체부(210)는 박판의 플레이트 형상이고, 상기 플랜지부(230)는 박판 플레이트의 몸체부(210)에 직교하는 판상으로 구성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T" 형상으로 구현된다.
상기와 같이 몸체부(210)를 얇은 플레이트로 구성하면 아래와 위의 화면표시부(20) 사이의 이격거리가 짧아지는 이점이 있고, 이격거리가 짧아지면 화면 단절 내지 왜곡을 줄일 수 있고, 전체 디스플레이가 불필요하게 커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체결돌부(22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의 선단에 앵커(anchor)[닻] 또는 화살촉 형태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하면,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연결부재(110)의 체결홀(112)에 삽입된 후에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는 이웃하는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일 면(10b')과 타 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고, 투광커버(10)의 일 면(10b')과 타 면(10b")에 각각 부착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상기 연결부재(110)는 아래에 위치한 투광커버(10)의 일 면인 윗면(10b')과 위에 위치한 투광커버(10)의 타 면인 아랫면(10b")의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투광커버(10)의 윗면(10b')과 아랫면(10b")에 각각 부착되어서 상하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고 있다.
한편, 도시된 도면에서는, 체결부재(200)가 상하로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체결부재(200)가 좌우로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될 수도 있으며, 이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체결부재(200)가 좌우로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경우, 연결부재(110)는 좌우로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대향하는 일 면인 좌측면(10b''')과 타 면인 우측면(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좌우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00)는 일 측면(100a)과 타 측면(100b)과 저면(100c)이 형성되어 있고, 길이방향의 일 단면이 윗면(100e)이고 타 단면이 아랫면(100f)으로 이루어지는 삼각기둥 형상이며, 길이방향을 따라서 체결홀(112)이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체결홀(112)에 연통되도록 길이방향으로 따라서 절개부(114)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일 측면(100a)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일 투광커버(10)[상측의 투광커버(10)]의 타 면인 아랫면(10b")에 체결되고, 상기 연결부재(110)의 타 측면(100b)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타 투광커버(10)[아래의 투광커버(10)]의 일 면인 윗면(10b')에 각각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한다.
상기 연결부재(110)의 일 측면(100a)과 타 측면(100b)은 접착수단에 의해서 투광커버(10)의 타 면(10b")과 일 면(10b')에 각각 체결된다.
상기 접착수단은 양면테이프(T1) 또는 접착제 중에서 어느 하나이다. 이에 의하면, 좁은 공간에서 연결부재(100)를 투광커버(10)에 쉽고 편리하게 체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체결돌부(220)가 체결홀(112)에 삽입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110)가 체결부재(200)에 체결된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몸체부(210)가 절개부(114)에 통과되어서 상기 체결돌부(220)가 체결홀(112)에 슬라이드식으로 삽입되어서 체결된다.
그리고, 상기 체결부재(200)는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측 및 하측에도 구비될 수 있다.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상측 및 하측에 구비되는 체결부재(200')는 실시예에 따라서 심미감을 고취시키기 위한 마감재로서의 기능을 발휘하기 위해서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부(210)에 장식부재(br)이 더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연결부재(100)가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윗면(10b)과 아래면(10b")에 간격을 두고 복수로 접착 구비되는 것을 예를 들어서 설명하고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며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윗면(10b)과 아래면(10b") 전체에 걸쳐서 하나의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경우에도 본원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속함은 물론이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체결부재(200)와 연결부재(100)를 이용하여 투광커버(10)를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하는 조립 작업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양면테이프(T1) 또는 접착제를 이용하여 연결부재(100)를 인접한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윗면(10b')과 아랫면(10b")에 간격을 두고 부착함으로써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해 둔다.
그리고, 체결부재(200)의 체결돌부(22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20c)로 돌출되도록 체결부재(200)를 아래위의 화면표시부(20) 사이에 끼움 설치한다.
이와 같이 몸체부(210)를 화면표시부(20) 사이에 끼우면, 위의 화면표시부(20)의 하중에 의해서 사이에 끼워진 박판 플레이트의 몸체부(210)가 가압되어서 체결부재(200)가 고정되는 것이다.
장착볼트(P1)의 선단이 화면표시부(20)의 배면(20a)에 닿을 때까지 장착볼트(P1)를 볼트공(230a)에 나사 체결하면, 체결부재(200)는 더욱더 견고하게 화면표시부(20)에 장착된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투광커버(10)를 상기와 같이 설치된 체결부재(200)로 접근하고, 연결부재(110)가 체결돌부(220)와 체결돌부(220)의 사이의 공간으로 위치하도록 하여서 연결부재(100)가 부착된 투광커버(10)를 체결부재(200) 쪽으로 전진시킨다(도 7의 D1 방향).
이후 체결부재(200)의 몸체부(210)의 길이방향을 따라서(도 7의 D2 방향) 투광커버(10)를 슬라이딩하면, 체결돌부(220)가 체결홀(112)에 슬라이드식으로 끼움 체결되어서 연결부재(100)가 체결부재(200)에 체결되고, 그 결과 투광커버(10)가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설치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20 : 화면표시부 20a : 화면표시부의 배면
20c 화면표시부의 전면 20b : 화면표시부의 윗면
20b' : 화면표시부의 아랫면 10 : 투광커버
10a : 투광커버의 배면 10a' : 투광커버의 배면의 굴곡부
10a" : 투광커버의 배면의 평탄부 10b : 투광커버의 둘레면
10b' : 투광커버 둘레면의 윗면 10b" : 투광커버 둘레면의 아랫면
10b''': 투광커버 둘레면의 좌우면 10c : 투광커버의 전면
S1 : 인접하는 투광커버의 대향하는 측면 사이의 공간
Sa : 화면표시부(20)와 투광커버의 배면(10a) 간의 이격공간
100 : 연결부재 100a : 연결부재의 일 측면
100b : 연결부재의 타 측면 100c : 연결부재의 저면
100e : 연결부재의 윗면 100f : 연결부재의 아랫면
112 : 체결홀 114 : 절개부
200 : 체결부재 210 : 몸체부
220 : 체결돌부 230 : 플랜지부
230a : 볼트공 P1 : 장착볼트
br : 장식부재

Claims (5)

  1.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복수의 화면표시부(20)에 일대일로 대응되어서 화면표시부(20)를 커버하도록 화면표시부(20)의 전면에 구비되는 복수의 투광커버(10)와,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부재(100)와,
    선단이 화면표시부(20)로부터 전방으로 노출되도록 이웃한 화면표시부(20)의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체결부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체결부재(200)의 선단에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체결부재(200)는,
    이웃한 화면표시부(20) 사이에 끼워져서 설치되는 몸체부(210)와,
    상기 몸체부(210)의 선단에 돌출 형성되는 체결돌부(220)와,
    상기 몸체부(210)의 후단에서 상기 몸체부(210)에 형성되는 플랜지부(230)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110)는 상기 체결돌부(220)에 체결되어서 상기 연결부재(100)에 의해서 상호 연결된 복수의 투광커버(10)가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부(230)에는 볼트공(230a)이 형성되고,
    선단이 화면표시부(20)의 배면(20a)에 닿도록 상기 볼트공(230a)에 나사체결되어서 상기 체결부재(200)를 화면표시부(20)에 고정시키는 장착볼트(P1)가 더 포함되어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10)는 인접하는 투광커버(10)의 둘레면(10b)의 대향하는 일 면(10b')(10b''')과 타 면(10b")(10b''') 사이의 공간(S1)에 구비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0)는 적어도 두 개의 측면(100a,100b)이 형성되어 있는 입방체 형상이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100a,100b) 중에서 일 측면(100a)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일 투광커버(10)의 타 면(10b")(10b''')에 체결되고,
    상기 적어도 두 개의 측면(100a,100b) 중에서 타 측면(100b)이 인접하는 투광커버 중에서 타 투광커버(10)의 일 면(10b')(10b''')에 체결되어서 인접하는 투광커버(10)를 상호 연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KR1020160047918A 2016-04-20 2016-04-20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KR1018221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18A KR101822146B1 (ko) 2016-04-20 2016-04-20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PCT/KR2017/004190 WO2017183904A1 (ko) 2016-04-20 2017-04-19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918A KR101822146B1 (ko) 2016-04-20 2016-04-20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808A true KR20170119808A (ko) 2017-10-30
KR101822146B1 KR101822146B1 (ko) 2018-03-08

Family

ID=601168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918A KR101822146B1 (ko) 2016-04-20 2016-04-20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822146B1 (ko)
WO (1) WO2017183904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5096A1 (zh) * 2019-12-30 2021-07-08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锁合装置
WO2023206601A1 (zh) * 2022-04-28 2023-11-02 浙江大彩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41956B1 (ko) * 2008-02-19 2014-09-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멀티패널 표시장치
KR20110065627A (ko) * 2009-12-10 2011-06-16 유장호 멀티비전의 스크린 장치
KR101178634B1 (ko) * 2012-04-04 2012-08-30 김정중 다중 디스플레이장치 연결에 따른 불연속 영상-갭 제거장치 구조
KR101426726B1 (ko) * 2013-11-22 2014-08-05 방채원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89959B1 (ko) * 2015-06-08 2016-02-12 임명관 평판 투광커버와 평판 투광커버 고정장치를 구비한 베젤 프리 멀티 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35096A1 (zh) * 2019-12-30 2021-07-08 深圳市洲明科技股份有限公司 拼接锁合装置
WO2023206601A1 (zh) * 2022-04-28 2023-11-02 浙江大彩光电技术有限公司 一种led显示屏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83904A1 (ko) 2017-10-26
KR101822146B1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67936B2 (ja) 曲面ディスプレイ装置
KR101426726B1 (ko) 베젤이 보이지 않는 투광커버를 구비한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
TWI537639B (zh) 顯示裝置
KR20150027969A (ko) 터치 스크린 패널 일체형 액정표시장치
WO2011093119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
US9519100B2 (en) Apparatus having light guide for illuminating a display unit and for illuminating a patterned region
TW201350970A (zh) 平面顯示裝置
US9606286B2 (en) Display device
WO2014073425A1 (ja) 照明装置、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WO2014199988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像機
KR101822146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의 투광커버 고정장치
WO2013191051A1 (ja) 表示装置、及びテレビ受信装置
KR102001855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80071614A (ko) 액정표시장치
KR20100113196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530800B1 (ko) 액정표시장치
KR102204870B1 (ko) 바텀 커버와 이를 갖는 액정 표시 모듈 및 평판 표시 장치
KR20180038195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WO2015079485A1 (ja) バックライト装置及び表示装置
KR101822149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고정부재
EP2821819A1 (en) Reflectors for the corners of a direct backlight in a display device
JP4644746B1 (ja) 光源モジュール、及びそれを備えた電子機器
KR10178470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42623B1 (ko) 멀티스크린 디스플레이 장치의 투광커버 연결부재
JP5646001B2 (ja) 直下型バックライトおよびテレビジョン受像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