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530A -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530A
KR20170119530A KR1020160047679A KR20160047679A KR20170119530A KR 20170119530 A KR20170119530 A KR 20170119530A KR 1020160047679 A KR1020160047679 A KR 1020160047679A KR 20160047679 A KR20160047679 A KR 20160047679A KR 20170119530 A KR20170119530 A KR 2017011953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curity
password
construction machine
management system
remote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6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성호
이창호
유욱현
김수종
Original Assignee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두산인프라코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76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9530A/ko
Priority to CN201710257719.7A priority patent/CN107306271A/zh
Publication of KR201701195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53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5/102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a signal being sent to a remote location, e.g. a radio signal being transmitted to a police station, a security company or the own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H04L63/0846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using time-dependent-passwords, e.g. periodically changing passw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15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using multiplexing techniqu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20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 B60R25/24Means to switch the anti-theft system on or off using electronic identifiers containing a code not memorised by the use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4Safety devices, e.g. for preventing over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08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 H04L63/083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authentication of entities using passwo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5/0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 B60R25/10Fittings or systems for preventing or indicating unauthorised use or theft of vehicles actuating a signalling device
    • B60R2025/1013Alarm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warning signal, e.g. visual, audi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40Special vehicles
    • B60Y2200/41Construction vehicles, e.g. graders, excav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은, 해제 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 비밀번호가 저장되며, 원격 관리 시스템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제1 비밀번호가 생성되고, 사용자는 제1 비밀번호를 이용하여 차량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Security system and security method for construction machinery}
본 발명은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과 원격 관리 시스템간에 통신이 되지 않을 때에 차량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설기계는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리를 받을 수 있다. 상기 관리에 대하여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작업 지역이 설정될 수 있고, 건설기계는 상기 작업 지역 내에서만 운전될 수 있다. 그리고 건설기계가 허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설정된 지역을 이탈하면, 원격 관리 시스템은 해당 건설기계의 작동을 중지시키거나 운전에 제재를 가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관리는 건설기계와 원격 관리 시스템은 통신이 연결되어야 하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어야 한다.
한편 통신은 음영직역에서 불가능할 수 있다. 음영지역은 예를 들면, 산간 벽지, 터널 내부, 지하, 건물 내부 등이 있을 수 있다.
즉, 건설기계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설정된 지역에 있더라도 통신이 불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건설기계는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리되지 않은 상황일 때에 보안이 설정될 수 있다. 보안이 설정되면 해당 건설기계는 시동이 걸리지 않거나 정상적인 운전을 실시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건설기계가 정상적인 지역 내에 있음에도 통신불능으로 인하여 보안이 설정되는 경우에 건설기계는 정상적으로 운전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 특허공보 제10-2003-0035455호(2003.05.09.)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2-327466호(2002.11.15.)
따라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건설기계가 정상적인 지역 내에서 있음에도 통신불능의 사유로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리되지 못하여 건설기계에 보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보안을 해제할 수 있도록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저장된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해제코드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상기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상기 차량의 보안이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되는 상기 통신단말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의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해제코드를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차량제어장치에서 해제코드와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차량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상기 제2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유지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은, 건설기계가 정상적인 지역 내에서 있음에도 통신불능의 사유로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리되지 못하여 건설기계에 보안이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보안을 해제할 수 있고 이로써 건설기계를 이용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를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이며,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와 다르게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요소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 및 구체적인 도시를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제축척대로 도시된 것이 아니라 일부 구성요소의 크기가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한편,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다른 한편,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설정된 용어들로서 이는 생산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에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차량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해제 코드가 저장될 수 있고,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제1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해제 코드는 랜덤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코드는 주기적으로 갱신되어 저장될 수도 있다. 해제 코드는 유효시간을 가질 수 있고, 해제 코드가 갱신됨에 따라제1 비밀번호도 함께 갱신될 수 있다. 따라서 해제 코드와제1 비밀번호를 암기할 필요가 없다. 또한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사람이 특정한 해제 코드와제1 비밀번호를 습득하였다고 할지라도 유효시간이 경과되면 무용지물이 되므로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해제 코드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될 수도 있다.
상기 해제 코드는 사용자의 요구에 의해 표시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건설기계를 운전할 목적이 있지만 통신이 불가능한 경우에,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관리될 수 없을 때에 사용자는 상기 해제 코드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도록 하는 것이다.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
사용자가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하는 것에 대하여 좀 더 구체적 설명한다. 해당 건설기계의 통신장비와 사용자는 보유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가 무선 또는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 등으로 연결되는 것일 수 있다. 유선 연결은 해당 건설기계의 계기판에 구비된 통신 단자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유선 케이블로 직접 연결하는 것일 수 있다. 즉, 해당 건설기계의 통신장비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가 연결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상기 해제 코드를 확보할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USB, SD카드 등의 저장장치를 해당 건설기계에 구비된 저장장치 연결부에 꽂아서 상기 해제 코드를 다운로드 받아서 확보할 수도 있다.
해당 건설기계는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해제 코드를 확보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한 곳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휴대하고 있는 통신 단말기 예를 들면 휴대폰 등을 이용하여 원격 관리 시스템에 연결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는 해제 코드를 원격 관리 시스템에 송신하고, 원격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로부터 제공되는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한다. 생성된 제2 비밀번호는 사용자에게 제공된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한 상태에서 해당 건설기계로 되돌아와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한다. 이때 사용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해당 건설기계와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를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하여 자동으로 입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할 수도 있다.
이후,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된다. 그러나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상기 차량의 보안이 유지된다.
한편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는 통신이 가능한 통신기기이면 어떠한 종류이든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통신 단말기는 휴대폰, PDA, 노트북 등이 있을 수 있다.
다른 한편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는 건설기계와 원격 관리 시스템에 사전에 등록된 것일 수 있다. 이로써 원격 관리 시스템은 해당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제1 비밀번호가 요청될 때에 허가된 사용자의 통신 단말기인지의 여부를 추가로 확인할 수 있다. 즉, 통신 단말기를 인증함으로써 사용자가 허가된 사용자인지 신원을 확인하는 절차를 간소화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 상기 해제 코드가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통신 단말기로 전달될 때에, 근거리 무선 통신 등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전달될 수 있고, 사용자가 수동으로 직접 메모하거나 입력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건설기계가 통신이 불가능한 음영지역에 있더라도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작업이 가능한 지역으로 설정된 지역에 존재하는 경우에,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하여 건설기계의 보안을 해제할 수 있다. 그리고 건설기계는 보안이 해제됨으로써 운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일 수 있다.
즉, 이미 노출되거나 사용된 해제 코드 또는 제2 비밀번호는 시간이 무용지물이 되도록 할 수 있다. 이로써 건설기계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일 수 있다.
이로써, 건설기계의 내부에서 생성된제1 비밀번호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제2 비밀번호는 동일하게 생성될 수 있다. 즉, 차량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 해제 코드가 원격 관리 시스템에 제공되는 경우에,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제2 비밀번호가 생성되기 때문에 차량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제1 비밀번호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제2 비밀번호는 동일하게 된다.
나아가, 해제 코드가 차량 제어 장치에서 갱신되는 경우에 변경된 해제 코드가 원격 관리 시스템에 제공될 것이므로, 차량 제어 장치에서 생성된제1 비밀번호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생성된 제2 비밀번호는 항상 동일하게 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로써,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었는지 여부를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만약, 사용자가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에, 잘못 입력하였다면, 디스플레이 장치에는 차량의 보안이 설정되어 있다는 취지의 메시지를 출력하게 된다.
즉, 사용자가 단순한 입력 실수로 잘못 입력했다면 다시 입력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제2 비밀번호를 입력할 때에, 해제 코드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함께 표시될 수도 있다. 이로써 해제 코드를 올바르게 인지한 상태에서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한 것인지 다시 한번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입력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다음의 각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먼저, 제1 단계는, 해제 코드가 저장되고,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생성된제1 비밀번호가 저장될 수 있다.
상기 해제 코드는 갱신주기마다 자동으로 갱신될 수 있고, 해제 코드가 갱신될 때에제1 비밀번호가 함께 갱신될 수 있다. 갱신된 해제코드와 갱신된제1 비밀번호는 다시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는 유효기간이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갱신주기 또는 유효기간은 짧게 설정될수록 차량의 보안은 강화될 수 있다. 즉, 해제 코드 또는 제2 비밀번호가 노출되더라도 상기 갱신주기 또는 상기 유효기간이 경과되면 무효화되므로 차량의 보안이 강화될 수 있는 것이다.
제2 단계는, 상기 해제 코드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고,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는 단계이다. 이로써 사용자는 현재의 해제 코드가 무엇인지 확인할 수 있고,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확보할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제2 비밀번호의 확보는 원격 관리 시스템에 요청하여 확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는 해제 코드를 확보한 상태에서 통신이 가능한 지역으로 이동하고, 이후 해제 코드를 원격 관리 시스템에 송신한다. 원격 관리 시스템은 수신된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제2 비밀번호를 사용자에게 전송한다. 이후, 사용자는 건설기계로 돌아와서 제2 비밀번호를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하여 입력한다.
제3, 4 단계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일치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판단된 결과에 따라 보안 해제 여부를 실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될 수 있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상기 차량의 보안이 유지될 수 있다.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해당 건설기계를 운전할 수 있고, 소망하는 작업을 실시할 수 있다.
그러나 차량의 보안이 유지되면 비상운전을 제외한 일반적인 건설기계의 운전은 실시할 수 없다. 비상운전은 사고를 방지할 목적으로 차량을 긴급하게 이동시켜야 하는 상황일 때에, 또는 건설기계의 자세가 불안정한 자세인 경우에 안정된 자세로 복귀하는 상황 등으로 제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제5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어떤 형태로든 이미 노출되고 사용된 해제코드와 제2 비밀번호를 무효화할 수 있으며, 이로써 건설기계의 보안을 더욱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차량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과 원격 관리 시스템에 탑재된 보안 알고리즘이 동일할 수 있다. 이로써 해제 코드가 동일한 경우에, 차량에서 생성되는제1 비밀번호와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생성되는 제2 비밀번호가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비정상적인 해제 코드를 입력하는 경우에는 틀린제1 비밀번호가 생성되는 것으로써 악의적인 목적을 가진 자로부터 건설기계의 보안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될 수 있다. 이로써 제2 비밀번호가 올바르게 입력되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었다는 취지의 메시지가 출력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비밀번호가 잘못 입력되면, 사용자는 제2 비밀번호를 다시 확인하고 입력할 수 있고, 해제 코드를 잘못 확인하였는지를 재확인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은, 건설기계가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이 불가능한 상황일 때에, 허가된 사용자에 의해 차량의 보안을 해제하는 데에 이용될 수 있다.

Claims (12)

  1. 저장된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보안 알고리즘에 의해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고 상기 해제코드를 통신 단말기에 전송하는 차량 제어 장치;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원격 관리 시스템;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입력 받아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상기 상기 차량 제어 장치에 제공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차량 제어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고,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상기 제1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상기 차량의 보안이 유지되는 것
    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되는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것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표시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기는 상기 해제코드를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전송하고 상기 제2 비밀번호를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받는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7. 차량제어장치에서 해제코드와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1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원격관리시스템에서 상기 해제코드를 바탕으로 제2 비밀번호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차량제어장치에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되고,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를 비교하고, 상기 제1 비밀번호와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일치하면 차량의 보안을 해제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제어장치는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상기 제2 비밀번호와 불일치되면 차량의 보안이 유지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의 보안이 해제되면 상기 해제 코드와 상기 제1 비밀번호가 새롭게 생성되어 저장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는 상기 보안 알고리즘과 동일한 보안 알고리즘이 탑재된 원격 관리 시스템에서 상기 해제 코드를 바탕으로 생성된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과 통신되는 통신 단말기는 상기 차량 제어 장치 또는 상기 원격 관리 시스템에 등록된 것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비밀번호가 입력된 후에 상기 차량의 보안해제 여부가 디스플레이장치에 표시되는 것
    을 포함하는 건설기계의 보안 방법.
KR1020160047679A 2016-04-19 2016-04-19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KR20170119530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79A KR20170119530A (ko) 2016-04-19 2016-04-19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CN201710257719.7A CN107306271A (zh) 2016-04-19 2017-04-19 工程机械的安保装置及安保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679A KR20170119530A (ko) 2016-04-19 2016-04-19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530A true KR20170119530A (ko) 2017-10-27

Family

ID=601503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679A KR20170119530A (ko) 2016-04-19 2016-04-19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170119530A (ko)
CN (1) CN107306271A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20124374A1 (en) * 2010-11-12 2012-05-17 Nxp B.V. Secured acknowledge protocol for automotive remote keyless entry systems and for networked sensor devices
CN102174867A (zh) * 2011-03-28 2011-09-07 长沙中联重工科技发展股份有限公司 工程机械的移动控制方法与移动控制系统以及工程机械
CN102592340B (zh) * 2012-02-29 2017-09-12 深圳市赛格导航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工程车辆紧急解锁方法和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7306271A (zh)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122311B (zh) 车辆虚拟钥匙实现方法及系统
US20160150407A1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ng A Mobile Communication Device To An Automobile
KR101480880B1 (ko) 자물쇠 시스템의 무선 제어 및 제어 권한 전송이 가능한 전자키 장치, 시스템 및 그 방법
US8437886B1 (en) Vehicle use control system and method thereof
JP6588518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JP6717793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装置
JP2019012337A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及びカーシェアリング用プログラム
CN106154997B (zh) 车载控制设备、终端设备、车辆控制程序更新方法及系统
JP2013231281A (ja) 電子キー登録システム
JP2019191753A (ja) 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JP6633589B2 (ja) カーシェアリングシステム
US1028465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NFC to establish a secure connection
CN104583026A (zh) 单向密钥卡和交通工具配对的验证、保留及撤销
CN107010007B (zh) 用于外部操作设备的方法和装置
WO2020138093A1 (ja) 融着接続装置のロック解除システム
US1041208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peripheral device, wireless communication chip, computer-readable non-transitory storage medium having application program stored therein, and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KR200478030Y1 (ko) 무선통신을 이용한 원격 자물쇠 시스템
JP6898139B2 (ja) ユーザ認証システム及びユーザ認証方法
US20190322190A1 (en) Electrically operated vehicle having charging cable
JP2015031035A (ja) キー権限貸出システム
WO2020110999A1 (ja) 運転者支援システム及び運転者支援方法
JP7206794B2 (ja) 移動体制御システム
KR20150081387A (ko) 사용자 인증 시스템 및 방법
JP6924167B2 (ja) 共用システム及びインロック防止方法
KR20170119530A (ko) 건설기계의 보안 장치 및 보안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