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485A -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 Google Patents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485A
KR20170119485A KR1020160047565A KR20160047565A KR20170119485A KR 20170119485 A KR20170119485 A KR 20170119485A KR 1020160047565 A KR1020160047565 A KR 1020160047565A KR 20160047565 A KR20160047565 A KR 20160047565A KR 20170119485 A KR20170119485 A KR 2017011948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closing
branch
opening
sewer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5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36935B1 (ko
Inventor
오강원
Original Assignee
오강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강원 filed Critical 오강원
Priority to KR10201600475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6935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48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48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693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693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3/00Sewer pipe-line systems
    • E03F3/04Pipes o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sew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13/00Non-disconnectible pipe-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01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the wall being a pipe plat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1/00Branching pipes; Joining pipes to walls
    • F16L41/08Joining pipes to walls or pipes, the joined pipe axis being perpendicular to the plane of the wall or to the axis of another pipe
    • F16L41/082Non-disconnectible joints, e.g. soldered, adhesive or caulk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이 설치된 분기부분에 수밀성을 확보하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특히,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지하의 동공현상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전면판과 양측의 측면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본체와, 상기 전면판의 중앙에 "U"자형의 수직하 방향 분기관 끼움부와, 상기 분기관 끼움부에 끼움결합을 이루는 개폐부를 갖추게 하되, 상기 개폐부는 외주면에 원형의 결합홈이 갖춰진 개폐용 끼움원판과, 하부에 호형의 하면이 갖춰지고 상기 하면에는 개폐용 원판의 원형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갖춰지며 양측면에 측면홈부가 갖춰진 폐쇄용 끼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함으로써, 지면 아래의 협소한 공간에서 분기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 타설작업을 최소한의 작업시간으로 효율적으로 할 수 있고, 상기 개폐부가 개폐용 끼움원판과 폐쇄용 끼움판이 조립식으로 일체를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밀폐형 폐쇄판과 개방형 폐쇄판으로 각각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Concrete formwork for sealing a branch part of the sewage pipe}
본 발명은 하수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이 설치된 분기부분에 수밀성을 확보하여 지하수의 오염을 방지하고, 특히,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지하의 동공현상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방지하기 위한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생태환경의 보존을 위하여 주거지역이나 상업지역은 물론 공단지역 등 사람이 생활하고 거주하는 지역에는 생활하수와 공업용수로 사용하여 일차 정화처리한 폐수를 처리하기 위한 하수시설이 지하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 하수시설은 기본적으로 주거단지나 상업단지 또는 공업단지 등을 조성할 때 기반시설로 지하에 매설되는데, 각 단지로부터 배출되는 하수(생활하수나 공장폐수)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주하수관이 매설되어 있다.
상기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는 일정 간격으로 집수정 기능을 하는 맨홀이 설치되어 있어 주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하수에 포함된 토사와 같은 침전물은 맨홀에서 침전되어 하수는 주하수관을 따라 하수종말처리장으로 원활히 유입된다.
상기와 같이 지하에 주하수관이 매립된 상태에서 각 건축물에서 배출되는 하수는 분기하수관을 통해 주하수관으로 유입되는데, 여기서, 분기하수관을 주하수관과 연결시키기 위해서는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의 직경보다 큰 관통홀을 천공하고, 상기 주하수관의 관통홀에 고무재질의 연결구를 끼워 넣고 분기하수관을 설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고무재질의 연결구를 통해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하는 기술은 동종업계에 공지된 기술이며, 특히 상기 고무재질의 연결구는 다양한 구조로 개발되어 분기하고자 하는 연결부분의 수밀성을 확보해 왔으며, 특히 고무재질의 연결구를 통해 분기하수관을 용이하게 설치하고 있다.
상기 분기하수관 연결구의 공지된 선행기술을 살펴 보면,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26738호(명칭:하수관 분기 구조물, 이하 "선행기술1" 이라고 함)와 실용신안등록 제0195784호(명칭:주하수관에 분기 하수관 연결구, 이하 "선행기술2"라고 함)와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97594호(명칭:하수관 연결구, 이하 "선행기술3"이라고 함) 외에도 다수의 선행기술이 개발되어 현장에서 실시되고 있는데, 상기 선행기술1·2·3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선행기술1은 지하에 매설된 하수관의 외주면에 분기관을 설치하기 위한 관통홀을 뚫고 지지판과 고정판을 설치하되, 상기 고정판의 중앙에는 하측으로 돌출되며 내면에 나사산으로 이루어진 체결홈을 갖춘 하수관고정홀이 갖춰지고, 상기 하수관고정홀에는 연결관이 나합되면서 그 상부에 압입링과 상하 너트체를 포함하는 연결소켓이 결합되어 분기관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선행기술2는 주하수관의 외주면에 분기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을 뚫고 하부에 결합부와 상부에 회절부를 갖춘 연결소켓을 설치하여 분기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선행기술3은 본 출원인이 개발하여 현장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으로서, 2011년12월16일 출원하여 2013년 8월 13일 특허권이 설정되었고, 그 구조는 내부에 링 장착홈부이 갖춰지고 외부에 돌출누름부가 갖춰진 연결구본체와, 신축절곡부를 갖춘 직경가변형 고정링과, 상기 돌출누름부에 의해 주배관(주하수관)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수밀링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선행기술1·2·3은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하는데 있어서, 주하수관의 외주면에 분기하수관을 연결하기 위한 관통홀을 뚫고, 하수관 고정홀을 갖춘 고정판과 지지대를 한 쌍의 "U"볼트로 고정시키고 상기 고정홀에 연결관과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분기관을 설치하거나, 결합부와 회절부를 갖춘 연결소켓을 이용하여 분기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수밀성을 갖춘 상태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 3은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하는 있어서, 주하수관의 관통홀 내주면에 연결구본체의 일측이 끼워지되, 상기 끼워진 연결구본체의 내주면에 형성된 링장착홈부에 직경가변형 링을 설치하여 그 직경을 확장시키게 되면, 상기 관통홀에 끼워진 연결구본체는 관통홀 내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되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분기하수관을 연결구본체로 끼워 넣으면 확장된 직경가변형 링을 끼워진 분기하수관이 지지하게 되어 수밀성을 갖춘 상태로 분기하수관을 설치할 수 있었다.
그러나 선행기술1·2·3은 분기관(분기하수관)을 주하수관에 설치하는데 있어서, 설치 당시에는 수밀성을 갖춘 상태로 설치가 되나, 지하에 매설된 상태인 분기관은 고무패킹 또는 고무소재의 연결구를 이용하여 주하수관과 수밀성을 갖춘 상태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시간이 흐름에 따라 고무패킹 또는 고무소재의 연결구는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장기간 오폐수와 접촉을 하면서 부식되어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은 일반적으로 국유지인 도로변에 설치됨으로 도로 위를 주행하는 차량의 하중으로 인한 충격이 연결부분에 가해지면서 순간적으로 틈새가 발생하여 결과적으로 연결부분의 수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하여 요즘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지하 동공현상이 발생되고 있으며, 이러한 지하 동공현상에 따른 도로 함몰로 인하여 안전사고가 발생하고 있어 도로를 주행하는 차량들과 도로변의 인도를 이용하는 다수의 보행자들에게 불안감을 심어주는 문제점이 대두되고 있다.
특허문헌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0726738호 "하수관 분기 구조물"(2007.07.04.등록) 특허문헌2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195784호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 결합구"(2000.07.03. 등록) 특허문헌3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297594호 "하수관 연결구"(2013.08.12.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선행기술들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개발된 것으로서, 주하수관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분에 콘크리트 몰타르를 투입하여 연결부분을 밀폐시킬 수 있도록 한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분기하수관을 설치하거나 분기하수관을 폐쇄시키고자 할 때, 공용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개폐수단을 갖춘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지하배수관로인 하수관로는 수십년을 지하에 매설된 상태로 그 기능을 수행함에 따라 분기하수관의 연결부분에서 누수현상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누수현상으로 인하여 지반이 약해지면서 지반침하의 주 된 원인으로 대두 되고 있는 지하의 동공현상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는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전면판과 양측의 측면판 및 바닥판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본체와, 상기 전면판의 중앙에 "U"자형의 수직하 방향 분기관 끼움부와, 상기 분기관 끼움부에 끼움결합을 이루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외주면에 원형의 결합홈이 갖춰진 개폐용 끼움원판과, 하부에 호형의 하면이 갖춰지고 상기 하면에는 개폐용 원판의 원형 결합홈에 끼워지는 결합돌기가 갖춰지며 양측면에 측면홈부가 갖춰진 폐쇄용 끼움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개폐부는 전면판의 중앙에 갖춰진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와 일치하도록 외주면이 상면부와 측면부는 직선면을 이루고 하면부는 원형의 곡면을 이루되, 상기 측면부와 하면부에는 전면판의 분기관 끼움부가 끼워지는 홈부가 갖춰진 밀폐용 폐쇄판과; 상면부와 측면부는 직선면을 이루되, 하면부에는 상방향으로 반원형의 호형면이 갖춰지고, 상기 직선면을 이루고 있는 측면부에 전면판의 분기관 끼움부가 끼워지는 직선홈부가 갖춰진 개방형 폐쇄판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거푸집 본체의 양측면을 이루는 측면판은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과 접하게 되는 일 측 단이 단면상 주하수관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부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분기부분 개폐용 거푸집은 거푸집 본체의 전면판에 개폐부를 갖추게 함으로서, 지면 아래의 협소한 공간에서 분기부분을 밀폐시키기 위한 콘크리트 몰탈 타설작업을 최소한의 작업시간으로 효율적으로 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분기부분 개폐용 거푸집은 거푸집 본체의 전면판에 갖춰진 개폐부가 개폐용 끼움원판과 폐쇄용 끼움판이 조립식으로 일체를 이루게 할 수도 있으며, 밀폐형 폐쇄판과 개방형 폐쇄판으로 각각 제작하여 사용할 수 있으므로 현장상황에 따라 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어 작업의 효율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분기부분 개폐용 거푸집은 거푸집 본체의 측면판이 주하수관의 외주면과 접하는 부분이 주하수관의 외주면 곡면과 동일한 곡면부를 이루고 있으므로 타설되는 콘크리트 몰탈이 외부로 누수되지 않는 상태로 양생됨으로 분기부분의 밀폐성을 보다 확보할 수 있어 작업의 신뢰성으로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설치상태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부기하수관의 폐쇄상태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2의 A-A선 단면도,
b)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설치상태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폐쇄상태 예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6의 C-C선 단면도,
b)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분해사시도 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설치상태예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부기하수관의 폐쇄상태예시도 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2의 A-A선 단면도, b)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3의 B-B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일 실시예를 설명하면, 바닥판(130)과 양측의 측면판(120)과 수직하방향의 "U"자형 분기관 끼움부(111)가 갖춰진 전면판(110)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본체(100)와, 상기 "U"자형 분기관 끼움부(111)에 끼움결합을 이루는 개폐용 끼움원판(210)과 폐쇄용 끼움판(220)으로 이루어진 개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거푸집 본체(100)의 구성요소인 양측의 측면판(120)은 일단부가 만곡형의 곡면부(121)을 이루고 있으며, 개폐부(200)의 구성요소인 개폐용 끼움원판(210)은 그 외주면에 원형 결합홈(211)이 갖춰지고, 폐쇄용 끼움판(220)은 하면부(221)가 상방향으로 원호형의 곡면을 이루면서 결합돌기(222)가 갖춰져 상기 개폐용 끼움원판(210)의 원형 결합홈(211)과 끼움결합을 이루고, 측면부(223)에는 상기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111)의 수직면에 끼워지는 측면홈부(224)가 갖춰진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참고도 도1 참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한 분기하수관 설치상태를 설명하기에 앞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하는 배경과 설치작업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새로운 건축물이 들어설 경우 건축물에 거주하는 사람들로 인하여 발생 되는 생활하수를 처리하기 위하여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에 분기하수관을 설치하게 되는데, 이때 지하에 매설되어 있는 주하수관의 외면을 천공기를 이용하여 분기하수관의 외경에 준하는 홀을 뚫고 고무재질의 연결구(본체와 고정링과 다수의 고정밴드로 이루어진 연결부재)를 주하수관의 홀에 설치하고 분기하수관을 연결구에 끼워 넣는 것으로 분기하수관 설치작업은 완료된다.
이때, 상기 분기하수관을 설치하는 위치는 주하수관을 흐르는 생활하수가 분기하수관측으로 역류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단면상 주하수관의 수평선중심선보다 윗쪽으로 설치하고, 또한, 분기하수관을 통해 배출되는 생활하수의 원활한 흐름을 위하여 일정한 구배(물매:경사면)를 설치한다.
상기와 같이 분기하수관이 주하수관에 설치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설치하여 하수관의 분기부분에 대한 밀폐성을 확보하게 되는데,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기하수관(2)은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111)에 위치하도록 하고 거푸집 본체(100)의 바닥판(130) 하부를 안정되게 흙을 메우거나 돌로 받쳐주면, 분기하수관(2)의 하부는 분기관 끼움부(111)에 밀착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 외면에 흙이나 돌로 메우면 측면판(120)에 갖춰진 곡면부(121)가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고, 상기 분기하수관(2)이 끼워진 분기관 끼움부(111)에는 폐쇄용 끼움판(220)이 결합되어 거푸집 본체(100)내부로 콘크리트 몰탈(5)을 투입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하수관 분기부분은 밀폐성을 갖추게 된다.(참고도 도 2과 도 4a 참조)
이와는 반대로 기존 설치되어 있던 분기하수관(2)을 폐쇄 시켜야 할 경우에는, 연결구(3)에서 분기하수관(2)을 분리시키고 폐쇄용 마개(4)를 결합하여 밀폐시키게 되는데, 상기 연결구부분의 밀폐성을 보다 확보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하여 콘크리트 몰탈을 투입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밀폐성을 갖추게 된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연결구(3)에 마개(4)를 결합시킨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형성된 분기관 끼움부(111)에 개폐용 끼움원판(210)과 폐쇄용 끼움판(220)으로 이루어진 개폐부(200)를 설치하되, 상기 개폐용 끼움원판(210)은 그 외주면에 원형 결합홈(211)이 갖춰져 있어 분기관 끼움부(111)의 수직면을 따라 끼워져 분기관 끼움부(111)의 하측 즉 원형부분을 밀폐시기게 된다.
이어서, 폐쇄용 끼움판(220)을 분기관 끼움부(111)에 끼우게 되는데, 상기 폐쇄용 끼움판(220)은 양 측면부(223)에 측면홈부(224)가 갖춰져 있어 분기관 끼움부(111)의 내면을 따라 끼움결합을 이루게 되고, 상기 폐쇄용 끼움판(220)의 하면부(221)는 상방향으로 원형의 호형을 이루고, 하면부(221)에 갖춰진 결합돌기(222)가 이미 끼워져 있는 개폐용 끼움원판(210)의 원형 결합홈(211)에 끼움결합을 이루게 되어 전면판(110)에 형성되어 있는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111)는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의 내부에 마개(4)가 결합된 연결구(3) 부분이 위치하도록 주하수관(1)에 밀착시키기 위해, 거푸집 본체(100)의 바닥판(130) 하부와 전면판(110)의 외부에 흙이나 돌로 메우면 거푸집 본체(100)의 측면판(120)에 갖춰진 곡면부(121)가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거푸집 본체(100)의 내부에 콘크리트 몰탈(5)을 투입하여 양생시키는 것으로 주하수관(1)의 연결구(3) 부분은 밀폐된 상태를 이루게 된다.(참고도 도 3과 도 4b 참조)
상기와 같이 주하수관(1)에 분기하수관(2)을 설치하거나 폐쇄 시키고자 할 때에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을 이용하여 배수되는 생활하수의 누수 위험성을 갖고있는 부분인 분기부분(즉, 연결구 부분)을 콘크리트 몰탈(5)로 완전히 밀폐 시킴으로서, 생활하수는 누수 없이 하수처리장으로 배출시키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설치상태예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한 분기하수관의 폐쇄상태 예시도 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의 다른 실시예를 이용하여 하수분기관을 설치하거나 폐쇄 시키는 상태의 단면도로서, a)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6의 C-C선 단면도, b)는 콘크리트가 투입된 상태의 도 7의 D-D선 단면도이다.
상기 도면에 표현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U"자형 분기관 끼움부(111)를 밀폐시키는 개폐부(200)의 다른 실시 예를 설명하면, 밀폐용 폐쇄판(230)과 개방용 폐쇄판(240)으로 개폐부(200)는 이루어져 있다.
상기 밀폐용 폐쇄판(230)은 상면부(231)와 양측의 측면부(232) 및 하면부(233)로 이루어 지되, 상기 상면부(231)와 양측의 측면부(232)는 직면을 이로고 하면부(233)는 원형의 곡면을 이루고 있으며, 상기 측면부(232)와 하면부(233)에는 홈부(234가 갖춰져 있다.
또한, 상기 개방용 폐쇄판(240)은 상면부(241)와 양측의 측면부(242)와 하면부(243)로 이루어지되, 상기 하면부(243)는 상방향으로 반원형의 호형면(244)이 갖춰지고, 양 측의 측면부(242)에는 직선홈부(245)가 갖춰져 있다.(참고도 도 5 참조)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을 이용하여 분기하수관(2)을 설치하거나 폐쇄시키는 상태를 설명하면, 개방용 폐쇄판(240)을 이용하여 분기하수관(2)을 설치하고, 밀폐용 폐쇄판(230)을 이용하여 분기하수관(2)을 폐쇄 시키게 되는데, 분기하수관(2)을 설치하거나 분기하수관(2)을 폐쇄 시키기 위해 거푸집 본체(100)를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밀착시키는 것은 앞에 설명한 기술내용과 같이 거푸집 본체(100)의 바닥판(130)과 전면판(110) 외부에 돌이나 흙으로 메워 받쳐주는 것으로 밀착된다.
상기와 같이 거푸집 본체(100)가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에서 설치된 분기하수관(2)은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분기관 끼움부(111)를 통해 설치되고, 개방용 폐쇄판(240)을 통과되는 분기하수관(2)의 상부인 분기관 끼움부(11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거푸집 본체(100)는 전면판(110)의 분기관 끼움부(111)부분이 폐쇄된다.
상기 개방용 폐쇄판(240)의 측면부(242)에 갖춰진 직선홈부(245)에 분기관 끼움부(111)의 내측면이 끼워지면서 개방용 폐쇄판(240)의 하면부(243)를 이루고 있는 호형면(244)이 통과되는 분기하수관(2)의 외주면에 밀착되어 밀폐성을 갖추게 된다.(참고도 도 6과 도 8a 참조)
이와는 반대로 분기하수관(2)을 폐쇄 시키고자 할 경우에는 주하수관(1)에 설치된 연결구(3)에서 분기하수관(2)을 분리시켜 마개(4)를 결합시키고, 거푸집 본체(100)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밀착시킨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분기관 끼움부(111)에는 밀폐용 폐쇄판(230)을 결합시키게 되는데, 상기 분기관 끼움부(111)의 내주면이 밀폐용 폐쇄판(230)의 홈부(234)에 끼워지는 것으로 거푸집 본체(100)의 전면판(110)에 갖춰진 분기관 끼움부(111) 분분은 폐쇄된다.
상기와 같은 상태에서 콘크리트 몰탈(5)을 거푸집 본체(100)의 상부를 통해 투입하면 주하수관(1)의 외주면에 설치된 연결구(3)부분은 콘크리트 몰탈(5)에 의해 완벽하게 밀폐되어 콘크리트 몰탈(5)이 양생되는 것으로 밀폐성이 확보된다.(참고도 도 7과 도 8b 참조)
이상에서 설명한 것은 본 발명에 따른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을 실시하기 위한 실시예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이하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은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경 실시가 가능한 범위까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있다고 할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은 하수관 연결 부분의 밀폐성을 갖추기 위해서 사용하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지하게 매설된 모든 관로의 연결부분("T"자형으로 연결되는 부분)의 수밀성 또는 밀폐성을 포함한 관로의 신뢰성을 보다 확보하기 위해서 보다 폭 넓게 이용할 수 있으며, 상기와 같이 관로의 밀폐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관로의 신뢰성으로 인하여 지하수의 오염방지는 물론 최근 사회문제화되고 있는 지하의 동공으로 인한 지반침하를 사전에 예방할 수 있어 산업상 이용가능성이 다양하다 할 것이다.
100 - 거푸집 본체,
110 - 전면판,
111 - 분기관 끼움부,
120 - 측면판,
121 - 곡면부,
130 - 바닥판,
200 - 개폐부,
210 - 개폐용 끼움원판,
211 - 원형 결합홈,
220 - 폐쇄용 끼움판,
221 - 하면부, 222 - 결합돌기,
223 - 측면부, 224 - 측면홈부,
230 - 밀폐용 폐쇄판,
231 - 상면부, 232 - 측면부,
233 - 하면부, 234 - 홈부,
240 - 개방용 폐쇄판,
241 - 상면부, 242 - 측면부,
243 - 하면부, 244 - 호형면,
245 - 직선홈부,
1 - 주하수관, 2 - 분기하수관,
3 - 연결구, 4 - 마개,
5 - 콘크리트 몰탈.

Claims (4)

  1. 전면판(110)과 양측의 측면판(120) 및 바닥판(130)으로 이루어진 거푸집 본체(100)와, 상기 전면판(110)의 중앙에는 수직하 방향으로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111)를 갖추고, 상기 분기관 끼움부(111)에 끼움결합을 이루는 개폐부(2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2.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부(200)는 외주면에 원형 결합홈(211)이 갖춰진 개폐용 끼움원판(210)과, 하부에 호형의 하면부(221)이 갖춰지고 상기 하면부(221)에는 개폐용 원판(210)의 원형 결합홈(211)에 끼워지는 결합돌기(222)가 갖춰지며, 양 측면부(223)에 측면홈부(224)가 갖춰진 폐쇄용 끼움판(22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3. 제 1 항에 있어서, 개폐부(200)는 전면판(110)의 중앙에 갖춰진 "U"자형의 분기관 끼움부(111)과 일치하도록 외주면이 상면부(231)와 측면부(232)는 직선면을 이루고 하면부(233)는 원형의 곡면을 이루되, 상기 측면부(232)와 하면부(233)에는 전면판(110)의 분기관 끼움부(111)의 내면이 끼워지는 홈부(234)가 갖춰진 밀폐용 폐쇄판(230)과; 상면부(241)와 측면부(242)는 직선면을 이루되, 하면부(243)에는 상방향으로 반원형의 호형면(244)이 갖춰지고, 상기 직선면을 이루고 있는 측면부(242)에 전면판(110)의 분기관 끼움부(111) 내면이 끼워지는 직선홈부(245)가 갖춰진 개방용 폐쇄판(240)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4. 제 1 항에 있어서, 거푸집 본체(100)의 양 측면을 이루는 측면판(120)은 지하에 매설된 주하수관(1)과 접하게 되는 일 측 단이 단면상 주하수관(1)의 외주면과 동일한 곡면부(121)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20160047565A 2016-04-19 2016-04-19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183693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65A KR101836935B1 (ko) 2016-04-19 2016-04-19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565A KR101836935B1 (ko) 2016-04-19 2016-04-19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485A true KR20170119485A (ko) 2017-10-27
KR101836935B1 KR101836935B1 (ko) 2018-03-09

Family

ID=60300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565A KR101836935B1 (ko) 2016-04-19 2016-04-19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6935B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29216B2 (ja) * 1993-03-18 1998-11-25 大阪瓦斯株式会社 逆巻き工法におけるコンクリートの打設方法および打設用シュート
KR100704145B1 (ko) * 2004-07-05 2007-04-05 김성배 관 연결방법 및 그 장치
KR101448610B1 (ko) * 2013-12-31 2014-10-13 주식회사 성은특수콘크리트 조립식 맨홀의 관연결부의 콘크리트타설 거푸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36935B1 (ko) 2018-03-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3252Y1 (ko) 하수도, 도로, 하천, 환경시설공사 등에 사용되는 맨홀누수방지구조
KR101836935B1 (ko) 하수관 분기부분 밀폐용 콘크리트 거푸집
KR100623240B1 (ko) 배수관이 일체로 형성된 맨홀.
KR101901154B1 (ko) 콘크리트 케이스 관 연결장치
KR200408861Y1 (ko) 랙기어와 수밀링을 이용한 맨홀의 높이조절장치
KR20070036101A (ko) 지수단관 일체형 맨홀
JP6159295B2 (ja) マンホール補修方法
KR101396514B1 (ko) 수자원 취수를 위한 조립식 취수탑의 도수관 연결장치 구조
KR101069882B1 (ko) 침하 및 수밀방지용 연결부를 갖는 맨홀
JP6636381B2 (ja) マンホール撤去工法
CN204151887U (zh) 一种排污水用检查井
KR100680871B1 (ko) 배관 접속구 소켓 일체형 인버트 맨홀
JP2006274652A (ja) 排水ますおよび排水ますの埋設位置の調整方法
KR102642702B1 (ko) 침하방지수단이 구비된 배전용 맨홀
KR101287038B1 (ko) 맨홀 접속구 및 맨홀 접속관 연결구조
KR101175907B1 (ko) 매립용 흄관의 받침 구조물
JP2006002481A (ja) コンクリ−ト製ますの補修法およびその装置
KR102382132B1 (ko) 맨홀의 배관 연결구조
KR200367355Y1 (ko) 맨홀 유니트
KR101304987B1 (ko) 소켓 및 커넥터 일체형 조립식 pc맨홀
KR200462219Y1 (ko) 유속 변환구조를 갖는 매립용 흄관의 시공 구조물
KR100613881B1 (ko) 도로맨홀 인버트용 거푸집
KR200416955Y1 (ko) 관접속장치
KR100746715B1 (ko) 파이프 부속을 이용한 맨홀시스템
CN204151829U (zh) 一种便于排污除杂的检查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