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9239A -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 Google Patents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9239A
KR20170119239A KR1020160047167A KR20160047167A KR20170119239A KR 20170119239 A KR20170119239 A KR 20170119239A KR 1020160047167 A KR1020160047167 A KR 1020160047167A KR 20160047167 A KR20160047167 A KR 20160047167A KR 20170119239 A KR20170119239 A KR 201701192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mold
cylindrical housing
supply pipe
water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71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5871B1 (ko
Inventor
장영현
Original Assignee
장영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영현 filed Critical 장영현
Priority to KR10201600471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587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92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92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58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58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1/00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 G01N11/02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 G01N11/04Investigating flow properties of materials, e.g. viscosity, plasticity;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flow properties by measuring flow of the material through a restricted passage, e.g. tube, apertur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0Staining; Impregnating ; Fixation; Dehydration; Multistep processes for preparing samples of tissue, cell or nucleic acid material and the like for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75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 G01N21/77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 G01N21/78Systems in which material is subjected to a chemical reaction, the progress or the result of the reaction being investigated by observing the effect on a chemical indicator producing a change of colou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lasma & Fusion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 Molds, Cores, And Manufacturing Method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금형 내부의 냉각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금형 외부에서 욱안으로 확인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내부공간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형의 내부공간 일측에 개방부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는 뚜껑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투명의 통형하우징;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벽 중앙부 또는 뚜껑의 내측 벽 중앙부 중 어느 한 곳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축핀; 상기 축핀에 끼워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중앙에 축핀결합홀이 형성되고 그 축핀결합홀의 외주 면에 방사상으로 회전날개을 복수 개 형성시켜 된 회전체; 상기 통형하우징의 일측 상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냉각수관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냉각수공급관; 상기 냉각수공급관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통형하우징의 타측 하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배수관; 상기 통형하우징을 원주방향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상기 냉각수공급관은 상기 통형하우징을 180° 회전시키기 전의 냉각수배수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배수관 역할을 하고, 상기 냉각수배수관은 상기 냉각수공급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공급관 역할을 하도록 형성된다.

Description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CONFIRMATION DEVICE OF COOLING WATER FOR MOLD}
본 발명은 금형에서 성형되는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진행시킬 때에 그 진행되는 냉각수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상기 제품의 냉각이 정성적으로 이루어지는지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에 관한 것이다.
금형에는 냉각유체 즉,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통로를 만들어 일정량의 냉각수를 흘려보내어 금형을 냉각시키도록 하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적용되고 있다.
이는 금형의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거나 필에 따른 온도로 조정하기 위함이며, 이러한 냉각기술에 있어 냉각수의 유량을 적절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냉각수의 유량이 너무 적으면 충분한 냉각이 이루어지지 않아 과열로 인한 문제점이 발생할 위험이 있다.
금형에서의 냉각수 흐름을 확인하는 기술로서, 대한민국 실용신안등록 제0461928호(2012.08.08, 금형의 냉각 유체 확인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기술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금형의 냉각수가 관류하는 냉각수관의 관로 상에 개입 설치되는 것으로서, 양단에 상기 냉각유체배관(P)에 연결하기 위한 연결부(12)가 설치되고 중간 부분은 투명 또는 반투명 소재의 통체(11)로 되어 있는 투시관체(10); 상기 투시관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는 것으로서 냉각유체의 흐름에 의해 상기 관로와 직각을 이루는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는 회전날개(20); 상기 회전날개(20)가 상기 투시관체(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도록 하는 날개설치수단; 상기 회전날개(20)의 끝단에 설치되는 것으로서 상기 회전날개(20)가 상기 축을 중심으로 회전됨에 따라 상기 투시관체(10)의 내벽면(11a)과 접촉하게 되는 닦개수단(40)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기술은 회전 날개로 인해 냉각수의 흐름을 시각적으로 확인이 용이한 장점이 있으나, 2개의 회전날개 설치구조상 후방에 위치한 회전날개가 역방향으로 회전될 가능성이 있어 냉각수가 원활히 진행하지 못하게 되고, 또한 닦개수단이 투시관체의 내벽면에 접촉한 상태임에 따라 냉각수의 압력이 일정 압력 이하인 경우에는 회전날개를 쉽게 회전시키지 못함에 따라 필수적으로 일정 압력 이상으로 냉각수를 인입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상기 기술은 그 설치구조상 제작상의 불편함 및 어려움이 있어 작업성이 좋지 않음은 물론, 원가의 상승으로 인해 구매비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461928호(2012.08.08, 금형의 냉각유체 확인장치)
본 발명의 목적은, 냉각수공급관으로 공급되는 냉각수가 통형하우징을 통하여 냉각수배수관으로 원활하게 배출되는지 여부를 상기 통형하우징 내에 설치된 회전체의 회전 여부에 따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여 이상발생시 바로 조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양질의 금형성형 제품을 생산할 수 있도록 한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구성은,
금형의 냉각수주입구 또는 냉각수배출구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금형 내부의 냉각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형의 내부공간 일측에 개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는 뚜껑(13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투명의 통형하우징(100);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벽 중앙부 또는 뚜껑의 내측 벽 중앙부 중 어느 한 곳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축핀(500);
상기 축핀에 끼워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중앙에 축핀결합홀(210)이 형성되고 그 축핀결합홀의 외주 면에 방사상으로 회전날개(220)을 복수 개 형성시켜 된 회전체(200);
상기 통형하우징의 일측 상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냉각수관(P)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냉각수공급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통형하우징의 타측 하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배수관(400);
상기 통형하우징(100)을 원주방향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상기 냉각수공급관(300)은 상기 통형하우징을 180° 회전시키기 전의 냉각수배수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배수관 역할을 하고, 상기 냉각수배수관(400)은 상기 냉각수공급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공급관 역할을 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으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는,
금형에서 성형되는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금형 내부로 진행시킬 때에 그 진행되는 냉각수가 원활하게 진행되어 상기 금형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냉각이 정성적으로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생산제품의 불량 율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양질의 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금형의 냉각 유체 확인장치의 사시도,
도 2는 종래의 금형의 냉각 유체 확인장치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결합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설치 상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의 결합 단면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설치 상태도이다.
상기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형(M) 내부에 형성되는 냉각수로(W)와 연결되는 냉각수주입구 또는 냉각수배출구의 냉각수관(P)에 연결 설치되는 것으로,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는 금형(M)의 냉각수로(W)와 연결되는 입측 또는 출측 냉각수관(P) 중 어느 1곳 또 2곳 모두에 설치하여 사용해도 무방하다.
상기와 같이 금형의 냉각수관(P)에 설치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부공간(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형의 내부공간(110) 일측에 개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120)에는 뚜껑(13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투명의 통형하우징(100)이 마련된다.
그리고 상기 내부공간(110)의 내측 벽 중앙부 또는 뚜껑(130)의 내측 벽 중앙부 중 어느 한 곳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축핀(500)을 형성시키다.
상기와 같은 통형하우징(100)은, 내부에 아래에서 설명되는 회전체(200)가 냉각수공급관(300)을 통하여 공급되는 냉각수의 수압에 의해 축핀(500)을 축으로 회전될 수 있도록 내부공간(110)이 확보되는데, 이와 같은 내부공간(110)이 확보되는 통형하우징(100)은 원통형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회전체(200)의 회전시 회전체(200)의 회전날개(220) 끝단부와 상기 통형하우징(100)의 내부공간 내주면 간에 동일한 미세 간극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냉각수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에 의해 회전체(200)가 원활하게 회전되면서 냉각수를 냉각수배수관(400)으로 원활하게 배출 유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냉각수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수압은 회전체(200)의 회전날개(220)에 전달되고 그에 따라 회전체(200)가 핀축(500)을 중심으로 회전되면서 냉각수를 냉각수배수관(400)으로 펌핑시켜 금형 내부 냉각수로(W)로의 냉각수 진행을 원활하게 함은 물론, 그에 따른 금형 내부의 성형제품 냉각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져 양질의 금형제품을 생산할 수 있는 것이다.
한편, 상기 통형하우징(100)의 일측에 형성된 개방부(120)에는 뚜껑(130)이 결합 또는 분리되게 결합 되는데, 그 결합 또는 분리되게 구조는, 개방부(120)의 외주 면에 숫 나사(140)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130)의 내주 면에 상기 숫 나사(140)와 나사 결합되는 암 나사(150)를 형성시켜 나사결합 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단 상기 개방부(120)에 뚜껑(130)을 결합하는 구조는 상기에서 설명한 숫 나사(140)와 암 나사(150)의 결합구조 외에 뚜껑(130)이 개방부(120)에 분해결합 가능하며 수밀성이 유지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개방부(120)의 단부와 뚜껑(130)의 내부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오링 또는 가스킷이나 패킹과 같은 실링부재(160)를 구비시켜 뚜껑(130)의 결합 후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뚜껑(130)과 마주보는 통형하우징(100)의 내벽 중앙부 또는 뚜껑(130)의 내벽 중앙부 중 어느 한 곳에는 아래에서 설명되는 회전체(200)를 회전 가능하게 결합함과 동시에 회전체(200)를 지지하는 축핀(500)을 형성시키는데, 그와 같은 축핀(500)은 통형하우징(100) 또는 뚜껑(130)과 일체로 형성시키거나 또는 분해결합 가능하게 형성시켜도 무방하다.
또 상기 축핀(500)에 회전되도록 끼워 결합되는 회전체(200)는 중앙에 축핀결합홀(210)이 형성되고 그 축핀결합홀(210)의 외부에는 방사상으로 회전날개(220)을 복수 개 형성시켜 된 것으로, 상기의 구조를 갖는 회전체(200)를 설치하는 이유는, 냉각수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를 통형하우징(100) 내부를 통하여 냉각수배수관(400)으로 원활하게 배출 유도시키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냉각수공급관(300)으로 공급되는 냉각수는 그 공급되는 수압에 의하여 축핀(500)에 설치된 회전체(200)를 회전시키게 되고 그에 따라 냉각수도 회전체(200)와 함께 회전되면서 냉각수배수관(400)으로 원활하게 배출된다.
상기와 같은 역할을 하는 회전체(200)의 구성은, 중앙에 축핀결합홀(210)이 형성되고 그 축핀결합홀(210)의 외부에는 방사상으로 회전날개(220)을 복수 개 형성시켜 된 것으로, 상기 축핀결합홀(210)의 직경은 축핀(500)이 긴밀히 끼워 결합된 상태에서 원활하게 회전될 수 있으면 되고, 회전날개(220)는 냉각수공급관(300)으로부터 공급되는 냉각수의 수압을 최대로 받아 회전체(200)를 회전시키는 판형의 형태로 형성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회전날개(220)를 포함하는 회전체(200)의 색상은 컬러로 함이 바람직한데 그 이유는, 투명의 통형하우징(100) 외부에서 회전체(200)의 회전 여부를 용이하게 목측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회전체(200)는 통상의 수지에 열변색성 컬러염료가 함유되어 회전체(200)의 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 되면 회전체(200) 고유의 색상이 변함으로 냉각수의 공급 및 배출온도를 투명의 통형하우징(100) 외부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그 이유는, 금형으로 공급 및 배출되는 냉각수의 온도가 목적하는 온도 이상일 경우 이를 육안으로 목측하여 적정의 냉각수 온도를 금형으로 공급 및 배출하도록 조절하기 위함이다.
상기 냉각수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성 컬러염료는 시중에서 판매되고 있는 일반적인 원료인 것으로, 그에 대하여 간단하게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 아 래 -
열변색성 컬러염료는, 온도 변화에 따라 가역적으로 물질의 화학구조가 달라지고 따라서 색상이 변화하는 현상은 thermochromism이라 하며 thermochromism을 나타내는 물질을 감온변색성염료라 한다.
이러한 감온변색성염료의 응용은 단일 물질인 경우도 있지만 이의 효과를 크게 하기 위하여 복합물질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즉, 색소 또는 색원체라 부르는 color former에 발색조제(현색제)를 혼합하거나 나아가서 제3의 조제를 포함하는 경우가 많다.
이 염료는 처음에는 온도 변화를 알려주는 온도계를 대신할 수 있는 열변색성염료로 개발되었으며 무기 화합물과 유기화합물이 있다.
무기화합물로서의 일예로는 Ag2Hg14, Ca2Hg14등이 실용화되어 있으나 최근 액정기술의 발달과 함께 종류가 많은 유기 화합물들이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상기 회전체(200)는 컬러로 형성시켜 회전체(200)가 통형하우징(100) 내에서 회전되는 것을 외부에서 용이하게 목측 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통형하우징(100)의 일측 상부에는 통형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냉각수를 통형하우징(100) 내부로 공급하는 냉각수공급관(300)이 형성되고, 상기 통형하우징(100)의 타측 하부에는 통형하우징(100)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어 통형하우징(100)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하는 냉각수배수관(400)이 형성된다.
이때 상기 통형하우징(100)에 형성된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은 상기 통형하우징(100)을 원주방향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상기 냉각수공급관(300)은 상기 통형하우징(100)을 180° 회전시키기 전의 냉각수배수관(400)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배수관(400) 역할을 하고, 또 상기 냉각수배수관(400)은 상기 냉각수공급관(300)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공급관(300) 역할을 하도록 형성시켰다.
그 이유는, 본 발명의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를 금형의 설치 개소에 설치할 때에 앞·뒤 구분없이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그 앞·뒤 구분없이 금형의 설치 개소에 설치해도 원래의 냉각수공급관(300) 형성 위치와 냉각수배수관(400) 형성 위치가 변하지 않고 본 발명에 따른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본연의 역할을 원활하게 수행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본 발명의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의 위치는 본 발명의 일실시 예이고, 다른 실시 예로 냉각수공급관(300)을 냉각수배수관(400)으로 또 냉각수배수관(400)을 냉각수공급관(300)으로 사용해도 무방하다.
또한, 상기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의 입구 내주면 각각에는 나사부(310.410)가 형성되고 외주 면에는 보강 링(320.420)이 설치되는데, 상기 나사부(310.41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냉각수관(P)의 단부와 견고한 나사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고, 상기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의 외주 면에 보강 링(320.420)을 설치하는 이유는,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의 단부 취약함을 보강하기 위함이다.
상기 보강 링(320.420)의 형태는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은 평판형의 보강 링, 또는 코일스프링 형태의 보강 링, 그 외에도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의 단부를 감싸면 그 단부의 취약함을 보강할 수 있는 링이면 모두 가능하다.
그리고 상기 냉각수공급관(300) 및 냉각수배수관(400)과 냉각수관(P)과의 결합구조도 상기에서 설명한 나사부(310.410)에 의한 나사결합 외에 분해결합 가능하며 수밀성이 유지되게 결합할 수 있는 구조면 모두 가능하다.
상기 나사부(310.410)를 형성시키는 이유는, 냉각수관(P)의 뚜껑(130)의 외주 면에 요철(131)이 형성되는데, 그 이유는, 뚜껑(130)을 개폐하기 위하여 뚜껑(130)에 힘을 가할 때에 파지 력을 향상시켜 가해지는 힘을 극대화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뚜껑(13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뚜껑에는 냉각수가 목적온도 이상에서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성 컬러염료로 문자 또는 무늬모양(132)을 형성시켜 상기 금형의 냉각수 공급 및 배출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일 때에 상기 열변색성 컬러염료로 형성된 문자 또는 무늬모양(132)의 색상이 변하여 문자 또는 무늬모양을 부각시킴은 물론, 냉각수 온도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예측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에서 회전체(200)가 통형하우징(100) 내에서 회전되지 않거나 회전속도가 느리면 금형(M)의 냉각수로(W)에 이상이 발생하여 성형제품의 냉각이 비정상적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상기 금형(M)의 냉각수로(W)를 수리 후 제품을 생산해야 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는, 금형에서 성형되는 제품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냉각수를 금형 내부로 진행시킬 때에 그 진행되는 냉각수가 원활하게 진행되는지 여부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간편하게 확인할 수 있음으로 금형에서 성형되는 제품의 냉각을 효율적으로 할 수 있음은 물론, 양질의 제품의 생산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100 : 통형하우징 110 : 내부공간
120 : 개방부 130 : 뚜껑
131 : 요철 140 : 숫 나사
150 : 암 나사 160 : 실링부재
200 : 회전체 210 : 축핀결합홀
220 : 회전날개 300 : 냉각수공급관
310.410 : 나사부 320.420 : 보강 링
400 : 냉각수배수관 500 : 축핀
M : 금형 P : 냉각수관

Claims (8)

  1. 금형의 냉각수주입구 또는 냉각수배출구 중 어느 한 곳에 설치되어 금형 내부의 냉각수 진행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 여부를 금형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에 있어서,
    내부공간(110)이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그 원통형의 내부공간 일측에 개방부(120)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에는 뚜껑(130)을 개폐 가능하게 설치하여 된 투명의 통형하우징(100);
    상기 내부공간의 내측 벽 중앙부 또는 뚜껑의 내측 벽 중앙부 중 어느 한 곳에 일측단이 고정되어 수평을 이루도록 형성된 축핀(500);
    상기 축핀에 끼워 결합되어 회전되도록 중앙에 축핀결합홀(210)이 형성되고 그 축핀결합홀의 외주 면에 방사상으로 회전날개(220)을 복수 개 형성시켜 된 회전체(200);
    상기 통형하우징의 일측 상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냉각수관(P)에서 공급되는 냉각수를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로 공급하도록 형성된 냉각수공급관(300);
    상기 냉각수공급관과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통형하우징의 타측 하부에 통형하우징의 내부와 상호 연통되게 형성되어 상기 통형하우징 내부의 냉각수를 배출하도록 형성된 냉각수배수관(400);
    상기 통형하우징(100)을 원주방향으로 180° 회전시켰을 때 상기 냉각수공급관(300)은 상기 통형하우징을 180° 회전시키기 전의 냉각수배수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배수관 역할을 하고, 상기 냉각수배수관(400)은 상기 냉각수공급관 위치와 준하는 위치에 위치되어 냉각수공급관 역할을 하도록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120)의 외주 면에는 숫 나사(140)가 형성되고, 상기 뚜껑의 내주 면에는 상기 숫 나사와 나사 결합되는 암 나사(150)가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의 단부와 뚜껑의 내부가 접촉되는 부분에는 실링부재(160)를 구비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의 폭은 상기 통형하우징(100)의 폭과 동일하거나 그보다 작게 형성되고, 상기 복수 개의 회전날개(220)는 판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의 색상은 컬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체(200)는 통상의 수지에 열변색성 컬러염료가 함유되어 냉각수의 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수공급관(300)과 냉각수배수관(400) 각각의 내주 면에는 나사부(310.410)가 형성되고 그 각 나사부가 형성된 냉각수공급관과 냉각수배수관 외주 면에는 보강 링(320.420)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30)의 외주 면에는 요철(131)이 형성된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뚜껑(130)은 투명재질로 형성되고 그 뚜껑에는 냉각수온도가 목적온도 이상이 되면 색상이 변하는 열변색성 컬러염료로 문자 또는 무늬모양(132)을 형성시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KR1020160047167A 2016-04-18 2016-04-18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KR1018858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67A KR101885871B1 (ko) 2016-04-18 2016-04-18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7167A KR101885871B1 (ko) 2016-04-18 2016-04-18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9239A true KR20170119239A (ko) 2017-10-26
KR101885871B1 KR101885871B1 (ko) 2018-08-06

Family

ID=603009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7167A KR101885871B1 (ko) 2016-04-18 2016-04-18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58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40185B1 (ko) 2019-07-01 2021-04-14 이능우 금형 냉각수 라인 내면 코팅방법
KR102445778B1 (ko) 2020-12-10 2022-09-20 최기범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장치
KR102445776B1 (ko) 2020-12-10 2022-09-20 최기범 진단키트용 바이러스 검체 채취봉 제조방법
KR20230026910A (ko) 2021-08-18 2023-02-27 조익효 다이캐스팅 금형 냉각수 배출 온도를 통한 통수 모니터링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820A (ja) * 1983-01-27 1984-08-08 Oval Eng Co Ltd 流量計式弁開度指示計
KR20070096403A (ko) * 2006-03-24 2007-10-02 윤만실 유자형 플로우 미터
KR200476558Y1 (ko) * 2014-10-17 2015-03-12 안형심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KR20160121988A (ko) * 2015-04-13 2016-10-21 (주)에프엔씨 유체흐름 확인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37820A (ja) * 1983-01-27 1984-08-08 Oval Eng Co Ltd 流量計式弁開度指示計
KR20070096403A (ko) * 2006-03-24 2007-10-02 윤만실 유자형 플로우 미터
KR200476558Y1 (ko) * 2014-10-17 2015-03-12 안형심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KR20160121988A (ko) * 2015-04-13 2016-10-21 (주)에프엔씨 유체흐름 확인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5871B1 (ko) 2018-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5871B1 (ko)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US3570537A (en) Mixing tap
US8356627B2 (en) Three-valves manifold for differential pressure type flow meter
CA1312323C (en) Valves
US20080283787A1 (en) Ball Valve
CA2939737C (en) Sanitary fitting
KR20140126713A (ko) 단일 레버 믹서 카트리지
US20050092103A1 (en) Distribution valve comprising a flowmeter for installing in an inlet
US20140326342A1 (en) Single-lever mixing cartridge
KR20180044572A (ko) 플러그 밸브
KR101893491B1 (ko) 사출성형기 냉각수 공급관 설치용 냉각수 순환 표시장치
US20160369908A1 (en) Ball Valve Assembly
CN115654176B (zh) 一种恒温阀
KR102135309B1 (ko) 비압축성 유체 혼합용 비례제어 밸브 장치
KR20120070238A (ko) 역류방지용 수도 계량기
KR100944387B1 (ko) 원통형 밸브
JP2008107321A (ja) 流量計
KR20160091999A (ko) 날개차 지지 부재, 이것을 사용한 날개차 지지 구조 및 수도 미터
KR20040101702A (ko) 역류방지용 체크밸브 및 물공급 제어용 제어밸브가 일체로장착된 익차형 수도 미터기
RU2253786C2 (ru) Многоходовое переключа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CN104197045A (zh) 一种粘性流体密封输送装置
JP2005083579A (ja) Tsバルブ
JP4248958B2 (ja) 流体小分け装置
JP4780641B2 (ja) 水道メータシステム
CN202182213U (zh) 内混水柱塞式混水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