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6558Y1 -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 Google Patents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6558Y1
KR200476558Y1 KR2020140007544U KR20140007544U KR200476558Y1 KR 200476558 Y1 KR200476558 Y1 KR 200476558Y1 KR 2020140007544 U KR2020140007544 U KR 2020140007544U KR 20140007544 U KR20140007544 U KR 20140007544U KR 200476558 Y1 KR200476558 Y1 KR 20047655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oling water
groove
injection molding
bracket
mol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754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형심
남궁봉준
Original Assignee
안형심
남궁봉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안형심, 남궁봉준 filed Critical 안형심
Priority to KR202014000754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558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55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55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72Heating or cooling
    • B29C45/73Heating or cooling of the mould
    • B29C45/7331Heat transfer elements, e.g. heat pip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15/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apparatus of groups G01F1/00 - G01F13/00 insofar as such details or appliances are not adapted to particular types of such apparatus
    • G01F15/02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 G01F15/026Compensating or correcting for variations in pressure, density or temperature using means to maintain zero differential pressure across the mot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2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by gauge glasses or other apparatus involving a window or transparent tube for directly observing the level to be measured or the level of a liquid column in free communication with the main body of the liqui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Inject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가 개시되는 것으로,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과 연결되어 냉각수가 입수되는 입수부(11)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출수되어 사출성형기측으로 공급하도록 사출성형기냉각수관(2)과 연결되는 출수부(12)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12)측으로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3)로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진 흐름 감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홈형브라켓(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홈형브라켓(30)에 대응되는 돌기형브라켓(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3)에는,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층(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cooling water flow sensor of injection molding apparatus}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냉각수가 흐름을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하고 회전되는 임펠러의 색상이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가변되도록 하며 냉각수의 수온을 감지하는 수온센서를 더 구비하여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가 적정한지를 빠르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브라켓에 의해 여러 개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를 연결하여 설치하도록 함으로써 여러 개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들을 깔끔하게 정리정돈 배치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라 함은 플라스틱 재료를 용융시킴과 아울러 일정한 형상의 금형 내부로 압출하여 소정형상으로 제조하는 장치를 의미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출성형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호퍼 등에서 플라스틱 재료가 공급되면 가열 밴드 등을 통해 이를 가열함과 아울러 용융시키게 되고, 플라스틱 재료가 용융되면 플런저를 동작시켜 용융된 상태인 프라스틱 수지가 게이트와 러너로 밀려 들어가 상/하부 금형 사이 파팅라인에 형성된 캐비티에 충진되며, 캐비티에 충진된 수지는 일정 시간 후 냉각되고 냉각 후 상/하부 금형을 이격시키면 고형화 된 수지가 제품 형상을 이루게 되는 것이다.
또한, 사출성형기의 수지 냉각은 금형에 의해 이루어지게 되는 것으로, 사출금형에는 다수의 냉각로와 이 냉각로에 근접되도록 냉각 채널이 구비되어 있으며, 캐비티에 수지가 충진되면 수지의 온도에 의해 금형이 가열됨과 아울러 열이 채널을 통해 냉각로에 전달되면서 수지가 냉각되는 것으로, 사출성형기의 금형은 충진되는 수지에 의해 매우 높게 가열되기 때문에 일정시간의 냉각과정을 거친 후 금형을 개방시켜 제품을 취출하고 있으며, 이러한 동작을 반복적으로 진행하면서 연속 사출작업을 진행하고 있다.
이와 같이 연속적인 사출작업을 진행하는 과정에서 수지의 냉각 및 수지의 유동성을 위해 금형의 온도가 약 80℃정도가 될 때 주입하게 되는 것으로, 이는 수지 주입 시 금형의 온도가 너무 높게 되면 냉각수에 의한 냉각 효율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사출 성형 사이클 타임이 너무 길어지게 되며, 너무 낮게 되면 수지의 유동성이 저하되어 사출 불량이 발생하기 때문에 상기한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따라, 사출성형기측으로 공급되는 냉각수의 흐름이 매우 중요하게 부각되고 있으며, 냉각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 사출작업에 따른 불량이 발생된다.
뿐만 아니라,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 역시 매우 중요하기 때문에 종래 사출성형기의 경우 냉각수의 흐름 즉 냉각수의 공급과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 또는 제어하기 위한 기술이 개발되어 오고 있다.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등록특허 10-0627185호인 사출시스템의 냉각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가 안출된 바 있으며, 이는 냉각수 저장고 내의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부에 의해 실시간으로 감지하여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설정 온도와 비교하고,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설정된 온도보다 낮을 경우, 상기 냉각수를 가열하기 위해 가열부를 동작시키는 반면, 상기 감지된 온도가 상기 설정된 온도보다 높을 경우, 상기 냉각수를 냉각시키기 위해 열전기적 냉각부와 냉각팬을 동작시키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의 경우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수단인 감지부는 구비되어 있으나, 냉각수의 흐름 즉 사출성형기측으로 냉각수가 원활하게 공급되는지의 여부는 외부에서 육안으로 확인할 수 없어 냉각수의 흐름이 원활하지 않거나 공급되지 않을 경우에 대처할 수 있는 시간이 지연되고 대처시간의 지연에 따른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어 생산성 및 작업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 기술의 감지부가 냉각수 저장고 내의 냉각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해당하는 전기적 신호를 콘트롤러에 출력하도록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냉각수온도를 사출성형기측에서 확인이 불가능함에 따라 작업자가 냉각수 온도를 쉽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10-0627185호(2006.09.15. 등록) 대한민국등록특허 10-1216899호(2012.12.21. 등록)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공급라인에 직접 설치되어 냉각수의 흐름을 외부에서 쉽게 식별하도록 하고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으며 여러 개의 감지구들을 서로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과 연결되고 냉각수가 입수되는 입수부와 상기 입수부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출수되어 사출성형기측으로 공급하도록 사출성형기냉각수관과 연결되는 출수부와 상기 입수부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측으로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로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덮개로 이루어진 흐름 감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홈형브라켓과, 상기 몸체의 외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홈형브라켓에 대응되는 돌기형브라켓을 포함하되, 상기 홈형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면과; 상기 제1연장면의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수직 연장되는 제1수직면 및 제2수직면과; 상기 제1수직면으로부터 요입되고 상향절곡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과; 상기 제2수직면으로부터 요입되고 하향절곡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과 제2슬라이딩홈을 연결하는 제1밀착면과; 상기 제1밀착면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홈형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끼움홈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형브라켓은, 상기 몸체의 외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면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과 제2슬라이딩홈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연장면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슬라이딩면 및 제2슬라이딩면과; 상기 제1슬라이딩면과 제2슬라이딩면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밀착면에 대응되는 제2밀착면과; 상기 제2밀착면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끼움홈부에 대응되고 상기 돌기형브라켓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끼움돌부로 구비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임펠러에는, 상기 입수부로부터 입수된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층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본 고안은 사출성형기의 사출성형기공급관에 냉각수가 출수되는 출수부가 직접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출성형기에서 바로 냉각수의 원활한 흐름유무를 파악할 수 있으며, 임펠러의 색상 가변에 의해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외부에서 쉽게 알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여러 개의 몸체들을 서로 연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기 때문에 사출성형기 공급관측에 연결되는 몸체들의 유동거리거나 흔들리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깔끔한 설치에 의해 주변환경을 어지럽히지 않는다.
도 1은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들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의 물흐름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의 임펠러에 시온안료층이 구비된 상태를 나타낸 평면구성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의 몸체와 또 다른 몸체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구성도이다.
이하, 상기 목적 외에 본 고안의 다른 목적 및 특징들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실시 예에 대한 설명을 통하여 명백히 드러나게 될 것이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인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는,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과 연결되어 냉각수가 입수되는 입수부(11)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출수되어 사출성형기측으로 공급하도록 사출성형기냉각수관(2)과 연결되는 출수부(12)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12)측으로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3)로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진 흐름 감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면 일측에는 홈형브라켓(30)이 더 구비되고, 상기 몸체(10)의 외면 타측에는 상기 홈형브라켓(30)에 대응되는 돌기형브라켓(4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3)에는,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층(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시온안료층(50)은, 상기 임펠러(13)의 표면에 도포되거나 또는 임펠러(13)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에서 임펠러(13)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수지에 시온안료를 혼합하여 임펠러(13)를 사출성형함으로써 시온안료층(50)을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의 시온안료층(50)은,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로 이루어지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는, 온도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안료로 상기 임펠러(13)에 시온안료층(50)이 더 구비됨에 따라 입수부(11)를 통해 입수된 냉각수의 온도를 임펠러(13) 색상에 의해 확인할 수 있다.
상기 홈형브라켓(30)과 돌기형브라켓(40)은, 서로 대응되게 위치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몸체(10)와 또 다른 하나의 몸체(10a)에 각각 구비되는 홈형브라켓(30)과 돌기형브라켓(40)을 서로 연결함으로써 여러 개의 몸체들을 연결하여 설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여러 개의 몸체들을 각각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과 사출성형기냉각수관(2)에 연결하여 설치함에 있어서 여러 개의 몸체들이 서로 고정되지 않아 유동하거나 흔들거리는 것을 방지하여 줄 수 있으며, 회전되는 임펠러를 더욱 쉽고 용이하게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본 고안은, 상기 몸체(10)의 입수부(1)를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에 연결하고 몸체(10)의 출수부(2)를 사출성형기측의 사출성형기냉각수관(2)과 연결하여 설치하면 되는 것으로, 이 때의 연결방법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나 일반적인 호스연결방식으로 연결하면 된다.
이와 같이 연결된 본 고안은 상기 입수부(1)를 통해 몸체(10)의 내부로 입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2)를 통해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상기 임펠러(13)가 회전되기 때문에 외부에서 작업자가 쉽게 임펠러(13)의 회전동작만으로 냉각수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냉각수의 온도가 적정한지의 여부를 임펠러(13)에 구비되는 시온안료층(50)의 가변색상에 의해 쉽게 파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냉각수의 공급이 원활하지 않거나 또는 냉각수의 온도가 적정하지 않으면 이를 임펠러(13)에 의해 바로 파악할 수 있어 빠른 대처가 가능하여 사출성형에 따른 불량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홈형브라켓(30)은, 상기 몸체(10)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면(31)과, 상기 제1연장면(31)의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수직 연장되는 제1수직면(32) 및 제2수직면(33)과, 상기 제1수직면(32)으로부터 요입되고 상향절곡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34)과, 상기 제2수직면(33)으로부터 요입되고 하향절곡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35)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을 연결하는 제1밀착면(36)과, 상기 제1밀착면(36)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홈형브라켓(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끼움홈부(37)로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은, 상기 몸체(10)의 외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면(41)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연장면(41)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슬라이딩면(42) 및 제2슬라이딩면(43)과, 상기 제1슬라이딩면(42)과 제2슬라이딩면(43)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밀착면(36)에 대응되는 제2밀착면(44)과, 상기 제2밀착면(44)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끼움홈부(37)에 대응되고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끼움돌부(45)로 구비되어 이루어진다.
이와 같이 구비되는 홈형브라켓(30)과 돌기형브라켓(40)은, 서로에 대응되게 구비됨으로써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몸체(10)와 또 다른 하나의 몸체(10a)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의 제1슬라이딩면(42) 및 제2슬라이딩면(43)은, 상기 홈형브라켓(30)의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에 각각 슬라이딩 방식으로 끼워지는 것으로, 이와 같이 간단하게 돌기형브라켓(40)과 홈형브라켓(30)을 서로 밀어주는 방식으로 간단하게 몸체(10)와 또 다른 하나의 몸체(10a)를 연결할 수 있어 연결작업성이 크게 향상된다.
이 때, 본 고안은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의 제1슬라이딩면(42) 및 제2슬라이딩면(43)이 상기 홈형브라켓(30)의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에 슬라이딩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의 끼움돌부(45)가 상기 홈형브라켓(30)의 끼움홈부(37)에 더 끼워짐에 따라 돌기형브라켓(40)과 홈형브라켓(30)과의 지지성 및 견고성을 크게 향상시킨다.
상기 덮개(20)에는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여 전기적인 신호로 출력하는 온도감지센서(6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온도감지센서(60)는 상기 몸체(10)의 내부를 흐르는 냉각수의 온도를 감지하는 것으로, 이 때 온도감지센서(60)는 디지털온도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같이 온도감지센서(60)가 더 구비됨에 따라 몸체(10)의 내부를 흘러 공급되는 냉각수의 온도를 더욱 정확하게 외부에서 감지할 수 있다.
상기 몸체(10)와 덮개(20)는,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12)를 통해 흐르는 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13)를 외부에서 육안으로 식별하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본 고안은 작업자가 외부에서 직접 냉각수의 흐름을 쉽게 식별하고 냉각수의 온도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작업자가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따라 회전되는 임펠러(13)의 회전동작을 외부에서 식별하기 위해서는 상기 몸체(10)와 덮개(20)의 재질이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몸체(10)의 상부에는 상기 덮개(20)가 체결되는 나사체결돌부(14)가 더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내측에는 상기 나사체결돌부(14)에 대응되는 나사체결홈부(21)가 더 구비되어 상기 몸체(10)와 덮개(20)는 나사체결에 의해 체결되며, 상기 몸체(10)와 덮개(20) 사이에는 기밀성을 유지하는 기밀부재(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덮개(20)에 나사체결홈부(21)가 더 구비되고 몸체(10)에 나사체결돌부(14)가 구비됨에 따라, 상기 덮개(20)와 몸체(10)는 나사체결방식으로 체결되거나 분리되는 것으로 덮개(20)와 몸체(10)를 분리하는 이유는, 상기 몸체(10)의 내부에 구비되는 임펠러(13)의 시온안료층(50)이 수명이 다하거나 또는 몸체(10)의 내부를 청소하거나 할 경우에 몸체(10)와 덮개(20)를 분리하는 것이며, 나사체결방식 이외에 몸체(10)와 덮개(20)를 억지끼움방식으로 끼우거나 분리하여도 무방하다.
상기 몸체(10)의 내부 바닥면(10b) 중앙에는 회전샤프트(80)가 상기 몸체(10)의 내부 바닥면(10b) 중앙으로부터 더 돌출되어 구비되고 상기 덮개(20)의 내측 중앙에는 상기 회전샤프트(80)의 상단부가 끼워지는 샤프트끼움부(8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임펠러(13)는 상기 회전샤프트(80)에 끼워지는 끼움원통(131)과, 상기 끼움원통(131)의 둘레에 방사상으로 돌출 구비되고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블레이드(13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되는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12)측으로 빠져나가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상기 블레이드(132)가 흐르는 냉각수와 부딪히기 때문에 상기 블레이드(132) 및 끼움원통(131)이 상기 회전샤프트(80)를 축으로 하여 회전되는 것으로 상기 회전샤프트(80)가 상기 몸체(10)의 내부 바닥면(10b)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회전샤프트(80)의 상단부가 덮개(20)의 샤프트끼움부(81)에 끼워져 고정되고, 고정된 회전샤프트(80)에 끼워지는 임펠러(13)의 끼움원통(131)과 블레이드(132)가 회전되기 때문에 블레이드(132)의 회전에 따른 간섭이 전혀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임펠러(13)의 회전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고안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고안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고안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 몸체 11 : 입수부
12 : 출수부 13 : 임펠러
14 : 나사체결돌부 20 : 덮개
21 : 나사체결홈부 30 : 홈형브라켓
31 : 제1연장면 32 : 제1수직면
33 : 제2수직면 34 : 제1슬라이딩홈
35 : 제2슬라이딩홈 36 : 제1밀착면
37 : 끼움홈부 40 : 돌기형브라켓
41 : 제2연장면 42 : 제1슬라이딩면
43 : 제2슬라이딩면 44 : 제2밀착면
45 : 끼움돌부 50 : 시온안료층
60 : 온도감지센서 70 : 기밀부재
80 : 회전샤프트 81 : 샤프트끼움부
131 : 끼움원통 132 : 블레이드

Claims (6)

  1. 냉각수가 공급되는 공급관(1)과 연결되어 냉각수가 입수되는 입수부(11)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출수되어 사출성형기측으로 공급하도록 사출성형기냉각수관(2)과 연결되는 출수부(12)와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가 상기 출수부(12)측으로 출수되는 냉각수의 흐름동작에 의해 회전되는 임펠러(13)로 구비된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상부를 덮어 개폐하는 덮개(20)로 이루어진 흐름 감지구에 있어서,
    상기 몸체(10)의 외면 일측에 구비되는 홈형브라켓(30)과,
    상기 몸체(10)의 외면 타측에 구비되고 상기 홈형브라켓(30)에 대응되는 돌기형브라켓(40)을 포함하되,
    상기 홈형브라켓(30)은,
    상기 몸체(10)의 외면 일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연장면(31)과;
    상기 제1연장면(31)의 상방향과 하방향으로 각각 수직 연장되는 제1수직면(32) 및 제2수직면(33)과;
    상기 제1수직면(32)으로부터 요입되고 상향절곡연장되는 제1슬라이딩홈(34)과;
    상기 제2수직면(33)으로부터 요입되고 하향절곡연장되는 제2슬라이딩홈(35)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을 연결하는 제1밀착면(36)과;
    상기 제1밀착면(36)의 중앙에 구비되고 상기 홈형브라켓(30)의 길이방향을 따라 파여진 끼움홈부(37)로 이루어지고,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은,
    상기 몸체(10)의 외면 타측으로부터 연장되는 제2연장면(41)과;
    상기 제1슬라이딩홈(34)과 제2슬라이딩홈(35)에 각각 대응되도록 상기 제2연장면(41)으로부터 각각 경사지게 돌출되는 제1슬라이딩면(42) 및 제2슬라이딩면(43)과;
    상기 제1슬라이딩면(42)과 제2슬라이딩면(43)을 연결하고 상기 제1밀착면(36)에 대응되는 제2밀착면(44)과;
    상기 제2밀착면(44) 중앙으로부터 돌출되되 상기 끼움홈부(37)에 대응되고 상기 돌기형브라켓(40)의 길이방향을 따라 돌출되는 끼움돌부(45)로 구비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임펠러(13)에는,
    상기 입수부(11)로부터 입수된 냉각수의 온도에 따라 색상이 가변되는 시온안료(plasol thermochromic colors)층(50)이 더 구비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KR2020140007544U 2014-10-17 2014-10-17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KR20047655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44U KR200476558Y1 (ko) 2014-10-17 2014-10-17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7544U KR200476558Y1 (ko) 2014-10-17 2014-10-17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558Y1 true KR200476558Y1 (ko) 2015-03-12

Family

ID=530481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7544U KR200476558Y1 (ko) 2014-10-17 2014-10-17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558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43A1 (ko) * 2015-04-13 2016-10-20 김진영 유체흐름 확인장치
KR20170119239A (ko) * 2016-04-18 2017-10-26 장영현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41A (ja) * 1991-10-02 1993-04-16 Hitachi Ltd 流体計測計
KR200250395Y1 (ko) * 2001-06-07 2001-11-16 박철수 유체의 이송 표시장치
KR200271481Y1 (ko) * 2002-01-25 2002-04-09 (주)메디온테크 유량측정기
KR20100121079A (ko) * 2009-05-08 2010-11-17 정한필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3641A (ja) * 1991-10-02 1993-04-16 Hitachi Ltd 流体計測計
KR200250395Y1 (ko) * 2001-06-07 2001-11-16 박철수 유체의 이송 표시장치
KR200271481Y1 (ko) * 2002-01-25 2002-04-09 (주)메디온테크 유량측정기
KR20100121079A (ko) * 2009-05-08 2010-11-17 정한필 배관용 파이프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67443A1 (ko) * 2015-04-13 2016-10-20 김진영 유체흐름 확인장치
KR20170119239A (ko) * 2016-04-18 2017-10-26 장영현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KR101885871B1 (ko) * 2016-04-18 2018-08-06 장영현 금형 냉각수 흐름 확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58721B1 (en) Mold apparatus
KR101142158B1 (ko) 가스배출식 사출금형용 핫런너시스템
CN107175799B (zh) 热流道系统和相关的喷嘴加热装置
US10471637B2 (en) Side gating hot runner apparatus with continuous valve pin movement
JP4155826B2 (ja) 被成形部材の収縮を制御する方法
KR200476558Y1 (ko) 사출성형기의 냉각수 흐름 감지구
JP4927880B2 (ja) 共射出ノズルアセンブリ装置
CA2742230A1 (en) Injection molding method and injection molding machine
WO2016036549A1 (en) Method of injection molding with localized heating in flow challenge regions
JP2018527228A (ja) 熱可塑性プラスチックを射出するための金型および当該金型を使用する方法
CN108454025A (zh) 一种塑料制品的制造方法
JPH07148786A (ja) 射出成形用金型装置
KR20030043350A (ko) 분리식으로 구성된 사출기 금형용 핫런너 매니폴드와 그제작방법
KR100925280B1 (ko) 사출성형용 핫런너시스템
JP2020157599A (ja) 射出成形機
JP2010094937A (ja) サイドバルブゲート式ホットランナーシステム
JP2011011368A (ja) 加熱シリンダカバー
JP6488120B2 (ja) 射出成型機
CN105500631A (zh) 在末端具有温度控制的侧浇口热浇道
CN103402729A (zh) 注塑成型机
CN106584755A (zh) 一种自动化笔记本电脑塑件注塑设备
CN105397988A (zh) 温度可控的注塑模具
KR101410018B1 (ko) 유량조절장치가 구비된 핫런너 시스템의 매니폴드
CN205167434U (zh) 温度可控的注塑模具
CN106696200A (zh) 热流道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2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