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8639A -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 Google Patents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8639A
KR20170118639A KR1020170126800A KR20170126800A KR20170118639A KR 20170118639 A KR20170118639 A KR 20170118639A KR 1020170126800 A KR1020170126800 A KR 1020170126800A KR 20170126800 A KR20170126800 A KR 20170126800A KR 20170118639 A KR20170118639 A KR 201701186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fting
fixed
drill
frame
ro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68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2192B1 (ko
Inventor
우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금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금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금화
Priority to KR10201701268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219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86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86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21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21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CCONSTRUCTION OF, OR SURFACES FOR, ROADS, SPORTS GROUNDS, OR THE LIKE; MACHINES OR AUXILIARY TOOLS FOR CONSTRUCTION OR REPAIR
    • E01C3/00Foundations for pavings
    • E01C3/04Foundations produced by soil stabilis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3/00Improving or preserving soil or rock, e.g. preserving permafrost soil
    • E02D3/12Consolidating by placing solidifying or pore-filling substances in the soi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Soil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arth Dril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통행하중 또는 노상의 지반 약화에 따른 지반침하시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그라우트 액 주입을 위한 천공작업을 수월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천공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천공과정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좌, 우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C 형강이 마주보며 수직으로 장착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장착고정되며, 승강실린더(410) 및 복합 천공장치에 착탈식으로 탑재되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과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승강실린더(4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310)이 구비된 전원공급부(300)와, 상기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며 승강프레임(500)을 일정구간 승강시키는 승강부(400)와, 상기 승강부(400)와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시 일정구간 승강되는 승강프레임(500)과, 상기 승강프레임(500)과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어 연동하며, 상측에는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이 착탈식으로 구정되는 장착부(610)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이 착탈식으로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620)가 구비된 좌, 우 한 쌍의 장착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Multi punching device for grouting method to road subsided by weak ground}
본 발명은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차량의 통행하중 또는 노상의 지반 약화에 따른 지반침하시 그라우팅 공법을 적용함에 있어 그라우트 액 주입을 위한 천공작업을 수월하고 간편하게 할 수 있으며, 천공과정에서 발생 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의 예방은 물론, 천공과정에 소요되는 인적, 물적 자원을 대폭 절감할 수 있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도로의 단면을 살펴보면 도 1 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아래 방향 순으로 표층(10), 기층(20), 보조기층(30), 노상(40)으로 구분될 수 있다.
여기서 표층이라 함은 차량이 통행하는 차도의 표면으로 당 업계에서는 '본 포장 콘크리트 층'이라 하며, 기층은 차량이 통행하는 표층의 바로 아래에 시공되는 층으로 당 업계에서는 '린 콘크리트 층'이라고 하며, 보조기층은 표층과 기층의 밑부분으로 거친 자갈을 빽빽하게 채워 표층을 튼튼하게 하는 기능을 수행하며, 노상은 기층과 보조기층을 지지하는 층으로 배수가 이루어지는 부분이다.
침하가 발생 되어 육안식별이 용이한 부분이 표층과 기층이 되는데, 침하의 원인으로는 과적 차량 통행에 의한 하중 및 연약지반이 될 수 있으며, 현재까지는 침하가 발생 된 부분에는 그라우팅 공법을 실시하여 보수공사를 하였다.
그라우팅(grouting)이라 함은 지반의 개량, 누수 등의 방지를 목적으로 토사 또는 암반의 틈새 등에 시멘트, 골재, 벤토나이트 등과 물의 혼합물인 그라우트(grout) 액을 주입하여 충진 함으로써 암반의 고결도를 높이고, 암반의 역학적 특성 및 투수성을 개량하는 공법으로 최근에는 침하 된 도로 및 연약지반에도 적용하여 도로를 보수하기도 한다.
상기와 같은 그라우팅 공법을 이용하여 침하가 발생 된 부분의 공극(50)에 그라우트 액을 주입하여 침하 된 도로를 보수하도록 한 선행기술로는 본원 출원인이 특허권자로 등재된 특허등록 제10-1178138호(발명의 명칭: 침하 된 노면 및 연약지반의 그라우팅 시공방법)가 있다.
상기 특허에서는 그라우트 액을 주입하기 위한 주입 홈을 천공할 때 코아드릴을 이용한다고만 개시되어 있을 뿐 구체적인 천공 장치에 대한 언급은없다.
그리고 상기 코아드릴을 이용한 천공작업은 작업자의 수작업에 의존하였기 때문에 항상 안전사고의 위험이 도사리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수직으로 곧게 천공되지 못하였음은 물론, 천공작업에 많은 시간과 노동력이 투입되는 불합리함이 있었다.
특히, 상기 특허등록 제10-1178138호에 개시된 보수 공법을 이용하여 보수를 하였을 때 보수시공 후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보수가 된 상태가 유지되었으나, 일정시간 사용(통행) 후에는 기존의 침하 현상이 그대로 재현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이는 노상 부분을 견고하게 보수하지 못하였기 때문이며 현재까지는 노상 부분을 천공할 수 있는 장비도 없었거니와 시도조차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의 해소와 필요에 의해 안출한 것으로, 이동이 가능하면서 코아드릴을 이용한 천공과 노상 부분을 천공할 수 있는 착암드릴을 이용한 천공을 하나의 장치로 선택실시 할 수 있도록 함은 물론, 일정 깊이 이상 천공이 되더라도 수직 천공이 용이한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그라우트 액 주입용 주입 홈을 수작업에 의해 천공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각종 안전사고를 사전에 방지함은 물론, 천공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적, 물적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D)는,
좌, 우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C 형강이 마주보며 수직으로 장착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장착고정되며, 승강실린더(410) 및 복합 천공장치에 착탈식으로 탑재되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과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승강실린더(4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310)이 구비된 전원공급부(300)와, 상기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며 승강프레임(500)을 일정구간 승강시키는 승강부(400)와, 상기 승강부(400)의 체인(420)과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시 일정구간 승강되는 승강프레임(500)과, 상기 승강프레임(500)과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어 연동하며, 상측에는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이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장착부(610)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이 착탈식으로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620)가 구비된 좌, 우 한 쌍의 장착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4개 가장자리 일측에는 천공장치(D)의 균형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구(110)가 장착되되, 상기 수평조절구(110)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너트결합체(111)와, 상기 너트 결합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핸들(112)과, 상기 핸들(112)의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해주는 받침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복합 천공장치(D)가 수동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동 롤러(120)와, 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12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주입 홈(60) 천공과정에서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수직으로 주입 홈(60)이 천공될 수 있도록 전, 후, 좌, 우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릴 거치대(130)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를 가로 질러 장착되되, 상기 드릴 거치대(130)는 가운데에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이 관통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거치홈(131)이 형성된 거치편(132)과, 상기 거치편(132)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지지파이프(133)가 삽입되는 이동용 바(134)와, 상기 지지파이프(133)의 외측에 장착되어 거치편(132)이 이동용 바(134)에서 정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트(135)와, 상기 이동용 바(134)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이동용 바(134)를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일정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136)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13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발전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400)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410)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더(411)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기어(421)와, 상기 체인기어(421)의 회전시 구동을 하며 일측 끝단은 승강프레임(500)과 연결 고정되며, 그 타측 끝단은 지지프레임(200)에 장착고정되는 체인(420) 및 상기 승강프레임(500)의 좌, 우측에 장착 고정되어 승강프레임(500) 승강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프레임(50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장착부(610)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611)이 장착프레임(6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11)의 하측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하단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612)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612)의 사이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림(6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은 착암드릴(7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은 코아드릴(8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는 근거리 이동이 가능하기 때문에 인접된 다수의 주입 홈을 코아드릴과 착암드릴을 선택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천공할 수 있으며, 일정 깊이 이상을 천공하더라도 수직 천공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작업자의 수작업에서 탈피함에 따라 천공과정에서 발생 되었던 안전사고를 사전에 차단할 수 있음은 물론, 천공 작업에 소요되는 시간과 인적, 물적 자원의 투입을 최소화하여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도 1은 침하가 발생 된 일반적인 도로의 단면을 도시한 단면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정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측면도
도 5는 착암드릴과 코아드릴이 장착된 상태를 도시한 사용상태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요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요부 중 드릴 거치대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이동 롤러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요부 중 방향 전환 롤러를 도시한 요부 확대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승강부를 도시한 정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요부 중 장착프레임을 도시한 사시도
도 12는 코아드릴이 장착되어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도 13은 착암드릴이 장착되어 구동되는 상태를 도시한 작동상태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 발명 제공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D)를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먼저, 도 2 및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D)는, 좌, 우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C 형강이 마주보며 수직으로 장착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00)이 구성 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4개 가장자리 일측에는 천공장치(D)의 균형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구(110)가 장착되되, 상기 수평조절구(110)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너트결합체(111)와, 상기 너트 결합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핸들(112)과, 상기 핸들(112)의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해주는 받침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복합 천공장치(D)가 수동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동 롤러(120)와, 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121)가 구성된다.
또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주입 홈(60) 천공과정에서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수직으로 주입 홈(60)이 천공될 수 있도록 전, 후, 좌, 우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릴 거치대(130)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를 가로 질러 장착되되, 상기 드릴 거치대(130)는 가운데에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이 관통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거치홈(131)이 형성된 거치편(132)과, 상기 거치편(132)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지지파이프(133)가 삽입되는 이동용 바(134)와, 상기 지지파이프(133)의 외측에 장착되어 거치편(132)이 이동용 바(134)에서 정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트(135)와, 상기 이동용 바(134)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이동용 바(134)를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일정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136)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137)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는 전원공급부(300)가 장착고정되는바, 상기 전원공급부는 승강실린더(410) 및 복합 천공장치에 착탈식으로 탑재되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과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승강실린더(4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310)이 구비되어 승강슬린더(410)를 구동시키게 되고 승강실린더(410)가 승강을 하는 순간 이와 연동된 승강프레임(500) 및 장착프레임(600)이 동시에 승강을 한다.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전원인가가 주기능이기 때문에 공지의 발전기 또는 충전식 배터리 중 선택된 어느 하나를 채택하여 장착할 수 있으며, 상기 지지프레임(200)의 일측에는 도 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승강부(400)가 구비되는바, 상기 승강부(400)는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며 승강프레임(500)을 일정구간 승강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상기 승강부(400)는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410)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더(411)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기어(421)와, 상기 체인기어(421)의 회전시 구동을 하며 일측 끝단은 승강프레임(500)과 연결 고정되며, 그 타측 끝단은 지지프레임(200)에 장착고정되는 체인(420) 및 상기 승강프레임(500)의 좌, 우측에 장착 고정되어 승강프레임(500) 승강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프레임(50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승강부(400)의 체인(420)과 일체형으로 승강프레임(500)이 장착고정되어 승강부(400)의 승강실린더(410) 구동시 동시에 승강 작동을 하며, 상기 승강프레임(500)의 일측에는 좌, 우 한 쌍의 플레이트로 구성되는 장착프레임(600)이 장착고정되는바, 상기 장착프레임(600)은 도 1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에는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이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장착부(610)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이 착탈식으로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620)가 구비된다.
또한, 상기 장착부(610)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611)이 장착프레임(6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11)의 하측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하단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612)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612)의 사이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림(613)이 구성된다.
상기 장착프레임에 각각 착탈식으로 장착고정되는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과,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은 도 2 내지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부(610)과 클램프(620)에 장착한 다음 다수 개의 볼트를 체결해주면 견고한 고정상태를 제공받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은 착암드릴(7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채용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은 코아드릴(8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로 구성될 수 있기 때문에 수시로 탈부착이 용이하도록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적 특징을 갖는 본원 발명의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D)에 대한 작동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본원 발명의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D)를 보수 공사가 필요가 도로의 노면 위에 위치시킨다.
일반적으로 보수가 필요한 노면의 경우 평평하지 못하기 때문에 수평조절구(110)를 조절하여 장치 전체의 수평과 균형을 조절한다.
상기와 같이 수평조절이 완료되면, 코아드릴이 축 이음 연결된 코아드릴용 구동수단(800) 중 하나인 유압모터를 선택하여 클램프(620)에 장착고정시킨 다음, 유압 및 전원이 인가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유압 및 전원이 인가되면 조작버튼(310)을 작동시켜 승강부 및 이와 연동하는 승강프레임, 장착프레임을 하강시켜 도 1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주입 홈(60) 천공을 실시한다.
상기와 같이 코아드릴을 이용한 천공작업이 종료되면,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 중 하나인 유압모터를 선택하여 장착부(610)에 장착고정시키고 이어서 착암드릴(710)도 유압모터와 축 이음 고정시킨다.
착암드릴은 긴 환봉의 형태로 이루어져 있어 회전을 시키게 되면 상당한 요동이 발생하기 되는데 이를 대비할 수 있도록 착암드릴(710)을 드릴거치대(130)의 거치홈(131)에 관통시킨 상태에서 구동 및 천공작업을 실시하면 요동을 최소화하면서 천공 작업이 가능하다.
또한, 상기 착암드릴(710)은 도 1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노상(40)까지 천공을 할 수 있어 노상 부분에 대한 그라우트 액의 주입이 가능해지고, 아울러 재발성 침하를 방지할 수 있는 복구공사를 할 수 있다.
10: 표층 20: 기층
30:보조기층 40: 노상
50: 공극 60: 주입 홈
100: 베이스프레임 110: 수평조절구
111: 너트결합체 112: 핸들
113: 받침대 120: 이동롤러
121: 방향 전환 롤러 130: 드릴 거치대
131: 거치홈 132: 거치편
133: 지지파이프 134: 이동용 바
135: 고정볼트 136: 장공
137: 고정브라켓 200: 지지프레임
300: 전원공급부 310: 조작버튼
400: 승강부 410: 승강실린더
411: 로더 420: 체인
421: 체인기어 430: 승강롤러
500: 승강프레임 600: 장착프레임
610: 장착부 611: 고정홈
612: 고정브라켓 613: 고정림
620: 클램프 700: 착암드릴 구동수단
710: 착암드릴 800: 코아드릴 구동수단
810; 코아드릴 D: 복합 천공장치

Claims (9)

  1. 좌, 우 복수 개의 베이스프레임(1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상측에 고정되며 C 형강이 마주보며 수직으로 장착고정된 복수 개의 지지프레임(200)과,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일측에 장착고정되며, 승강실린더(410) 및 복합 천공장치에 착탈식으로 탑재되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과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에 전원을 인가시키는 한편, 승강실린더(410)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버튼(310)이 구비된 전원공급부(300)와, 상기 전원공급부(300)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며 승강프레임(500)을 일정구간 승강시키는 승강부(400)와, 상기 승강부(400)의 체인(420)과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며, 승강부(400)의 구동시 일정구간 승강되는 승강프레임(500)과, 상기 승강프레임(500)과 일체형으로 장착고정되어 연동하며, 상측에는 착암드릴용 구동수단(700)이 착탈식으로 고정되는 장착부(610)가 구비되며, 하측에는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이 착탈식으로 장착 고정되는 클램프(620)가 구비된 좌, 우 한 쌍의 장착프레임(600)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4개 가장자리 일측에는 천공장치(D)의 균형과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수평조절구(110)가 장착되되, 상기 수평조절구(110)는 베이스 프레임(100)과 일체형으로 고정되는 너트결합체(111)와, 상기 너트 결합체에 나사 결합되어 수평을 조절하는 핸들(112)과, 상기 핸들(112)의 하단에 고정되어 지지해주는 받침대(113)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임(100)의 일측에는 복합 천공장치(D)가 수동으로 이동을 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이동 롤러(120)와, 이동 및 방향전환이 가능하도록 하는 복수 개의 방향 전환 롤러(121)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프레임(100)의 사이에는 주입 홈(60) 천공과정에서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의 유동을 방지하면서 수직으로 주입 홈(60)이 천공될 수 있도록 전, 후, 좌, 우 선택된 어느 한 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드릴 거치대(130)가 베이스프레임(100) 사이를 가로 질러 장착되되, 상기 드릴 거치대(130)는 가운데에 코아드릴(810) 또는 착암드릴(710)이 관통되면서 유동을 방지하는 거치홈(131)이 형성된 거치편(132)과, 상기 거치편(132)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지지파이프(133)가 삽입되는 이동용 바(134)와, 상기 지지파이프(133)의 외측에 장착되어 거치편(132)이 이동용 바(134)에서 정 위치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고정볼트(135)와, 상기 이동용 바(134)의 양측 끝단에 고정되어 이동용 바(134)를 베이스프레임(100)에 고정되도록 하면서 일정구간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공(136)을 구비하는 고정브라켓(137)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부(300)는 충전식 배터리 또는 발전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부(400)는 전원공급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작동을 하는 승강실린더(410)와, 상기 승강실린더의 로더(411)에 장착되어 회전되는 한 쌍의 체인기어(421)와, 상기 체인기어(421)의 회전시 구동을 하며 일측 끝단은 승강프레임(500)과 연결 고정되며, 그 타측 끝단은 지지프레임(200)에 장착고정되는 체인(420) 및 상기 승강프레임(500)의 좌, 우측에 장착 고정되어 승강프레임(500) 승강시 유동을 방지할 수 있도록 승강프레임(500)의 양측 끝단에 장착되는 한 쌍의 승강롤러(4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610)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상단이 고정될 수 있도록 고정홈(611)이 장착프레임(600)의 일측에 형성되며, 상기 고정홈(611)의 하측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의 하단을 고정 시킬 수 있는 고정브라켓(612)이 구비됨과 동시에 상기 고정브라켓(612)의 사이에는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이 삽입고정되는 고정림(613)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착암드릴 구동수단(700)은 착암드릴(7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공압에 의해 구동되는 에어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드릴 구동수단(800)은 코아드릴(810)이 축 이음 연결 고정될 수 있으며, 유압에 의해 구동되는 유압모터 또는 전기에 의해 구동되는 전기모터 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KR1020170126800A 2017-09-29 2017-09-29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KR1018821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00A KR101882192B1 (ko) 2017-09-29 2017-09-29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6800A KR101882192B1 (ko) 2017-09-29 2017-09-29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8639A true KR20170118639A (ko) 2017-10-25
KR101882192B1 KR101882192B1 (ko) 2018-07-26

Family

ID=60300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6800A KR101882192B1 (ko) 2017-09-29 2017-09-29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219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7361A (zh) * 2023-06-20 2023-08-18 深圳市天健坪山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施工用路基加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44A (ko) * 1997-01-27 1997-04-28 서정구 굴삭기를 이용한 지반 천공장치
JP2000352043A (ja) * 1999-06-09 2000-12-19 Tatenuma Kensetsu Kk スウェーデン式サウンディング試験機の操作装置
KR20030026964A (ko) * 2003-03-20 2003-04-03 (주)우진특수개발 자주식 무소음 천공기
KR100824688B1 (ko) * 2007-10-25 2008-04-24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지반보강용 작업대차
KR100954446B1 (ko) * 2010-02-17 2010-04-22 주식회사 에튼이엔씨 고정 거치식 더블 스핀들 구조의 회전 굴착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944A (ko) * 1997-01-27 1997-04-28 서정구 굴삭기를 이용한 지반 천공장치
JP2000352043A (ja) * 1999-06-09 2000-12-19 Tatenuma Kensetsu Kk スウェーデン式サウンディング試験機の操作装置
KR20030026964A (ko) * 2003-03-20 2003-04-03 (주)우진특수개발 자주식 무소음 천공기
KR100824688B1 (ko) * 2007-10-25 2008-04-24 주식회사고려이엔시 지반보강용 작업대차
KR100954446B1 (ko) * 2010-02-17 2010-04-22 주식회사 에튼이엔씨 고정 거치식 더블 스핀들 구조의 회전 굴착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607361A (zh) * 2023-06-20 2023-08-18 深圳市天健坪山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施工用路基加固装置
CN116607361B (zh) * 2023-06-20 2024-02-06 深圳市天健坪山建设工程有限公司 一种公路施工用路基加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2192B1 (ko) 2018-07-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206493B (zh) 一种全套管全回转钻孔灌注桩施工工艺
CN113322990B (zh) 一种适用于薄覆盖层硬质河床的锁扣钢管桩围堰施工方法
CN1718938A (zh) 砼芯水泥土搅拌桩机及其施工工艺方法
KR101919920B1 (ko) 지면에 트렌치를 생성하기 위한 다이아프램 벽 장치 및 방법
CN211735428U (zh) 岩质边坡导向引孔施工平台
CN109441501B (zh) 一种地铁隧道防塌方施工方法
CN108867647A (zh) 一种桩柱一体化施工用多功能钢管柱调垂机
CN107989042B (zh) 一种植桩机的施工方法
CN109406199B (zh) 拱顶混凝土现场取样检测装置及检测的方法
CN111945714B (zh) 钢套管导向法结合钢立柱插设施工方法
JP2021126886A (ja) 穿孔装置
KR101882192B1 (ko) 지반 약화에 의해 침하 된 도로의 그라우팅 공법 적용을 위한 복합 천공장치
JP2012031680A (ja) 基礎施工用装置
KR100592530B1 (ko) 교량의 연결판 천공용 드릴장치
CN206987509U (zh) 供电线路电杆栽杆装置
CN111395344A (zh) 一种可重复使用咬合桩定位装置及施工方法
CN110778279A (zh) 一种升降式同步钻孔设备
CN214944030U (zh) 一种适用于桥梁桩基冲击钻钻机的锁定固定装置
CN115030527B (zh) 一种门式钢架厂房钢结构安装设备
CN111042173B (zh) 一种流沙层沉井施工方法
JP2013053475A (ja) 掘削機及び掘削孔の形成方法
JP2003064974A (ja) 斜面穿孔機と斜面穿孔設備と斜面穿孔工法
JP5577284B2 (ja) トンネル覆工背面充填工法およびトンネル覆工背面充填装置
JP5876353B2 (ja) 鋼管杭の構築方法
CN218934314U (zh) 一种建筑施工高效挖坑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