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988A -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 Google Patents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988A
KR20170117988A KR1020170129436A KR20170129436A KR20170117988A KR 20170117988 A KR20170117988 A KR 20170117988A KR 1020170129436 A KR1020170129436 A KR 1020170129436A KR 20170129436 A KR20170129436 A KR 20170129436A KR 20170117988 A KR20170117988 A KR 201701179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tern
light
photomask
film
transmitt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9436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2182505B1 (en
Inventor
노부히사 이마시끼
유따까 요시까와
히로유끼 스가와라
Original Assignee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1179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988A/en
Priority to KR102020015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4206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2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250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6Liquid crystal cell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a semi-conducting layer or substrate, e.g. cells forming part of an integrated circui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03F1/32Attenuating PSM [att-PSM], e.g. halftone PSM or PSM having semi-transparent phase shift portion;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1/00Originals for 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masks, photo-masks, reticles; Mask blanks or pellicles therefor;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therefor; Preparation thereof
    • G03F1/26Phase shift masks [PSM]; PSM blanks; Preparation thereof
    • G03F1/34Phase-edge PSM, e.g. chromeless PSM; Preparation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FPHOTOMECHANICAL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FOR PRINTING, FOR PROCESSING OF SEMICONDUCTOR DEVICES; MATERIALS THEREFOR; ORIGINALS THEREF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00Photomechanical, e.g. photolithographic, production of textured or patterned surfaces, e.g. printing surfaces; Materials therefor, e.g. comprising photoresists; Apparatu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G03F7/70Microphotolithographic exposure; Apparatus therefor
    • G03F7/708Construction of apparatus, e.g. environment aspects, hygiene aspects or materials
    • G03F7/7095Materials, e.g. materials for housing, stage or other support having particular properties, e.g. weight, strength, conductivity, thermal expansion coefficient
    • G03F7/70958Optical materials or coatings, e.g. with particular transmittance, reflectance or anti-reflection properties
    • H01L27/3262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1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 H10K59/1213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characterised by the geometry or disposition of pixel elements the pixel elements being TF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pidemi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ometry (AREA)
  • Preparing Plates And Mask In Photomechanical Process (AREA)
  • Exposure And Positioning Against Photoresist Photosensi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노광 환경에 유리하게 적합하고, 미세한 패턴을 안정적으로 전사할 수 있는 우수한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얻을 수 있다.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사용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전사용 패턴은, 직경 W1(㎛)의 주 패턴과, 상기 주 패턴의 근방에 배치된, 폭 d(㎛)의 보조 패턴과, 상기 주 패턴 및 상기 보조 패턴이 형성되는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 저투광부를 갖고, 상기 주 패턴 및 상기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대표 파장의 위상차가 대략 180도이며, 직경 W1, 폭 d, 상기 보조 패턴의 투과율 T1(%), 상기 저투광부의 투과율 T3(%) 및 상기 주 패턴의 중심과 상기 보조 패턴의 폭 방향의 중심과의 거리 P(㎛)가 소정의 관계를 갖는 포토마스크이다. INDUSTRIAL APPLICABILIT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excellent photomask which is suitable for exposure environment of a 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and is capable of stably transferring a fine patter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Wherein the transfer pattern has a main pattern of a diameter W1 (占 퐉), an auxiliary pattern of a width d (占 퐉)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pattern, Wherei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re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where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re formed, wherein the phase differe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and the diameter W1, the width d, The transmittance T3 (%) of the low transmittance portion, and the distance P (mu m) between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and the cent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pattern have a predetermined relationship.

Description

포토마스크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0001]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0002]

본 발명은, 액정이나 유기 EL로 대표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에 유리하게 사용되는 포토마스크 및 그것을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mask, which is typified by a liquid crystal or an organic EL, which is advantageously used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특허문헌 1에는, 반도체 장치의 제조에 사용되는 포토마스크로서, 주 투광부(홀 패턴)의 각 변에 평행하게, 4개의 보조 투광부가 배치되고, 주 투광부와 보조 투광부의 광 위상이 반전되도록 한 위상 시프트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 Patent Document 1 discloses a photomask used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in which four auxiliary light-transmitting portions are arranged parallel to the respective sides of the main light-transmitting portion (hole pattern) so that the optical phases of the main light-transmit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light- A phase shift mask is described.

특허문헌 2에는, 투명 기판과, 상기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반투명한 위상 시프트막을 갖는 대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가 기재되어 있다.Patent Document 2 discloses a large phase shift mask having a transparent substrate and a translucent phase shift film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일본 특허 공개 평3-15845호 공보Japanese Unexamined Patent Application Publication No. 3-15845 일본 특허 공개 제2013-148892호 공보Japanese Patent Application Laid-Open No. 2013-148892

현재, 액정 표시 장치나 EL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있어서는, 보다 밝고, 또한 전력 절약화임과 함께, 고정밀, 고속 표시, 광시야각 등의 표시 성능의 향상이 요망되고 있다. At present, in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EL display device, it is demanded to improve display performance such as high precision, high-speed display, and wide viewing angle in addition to being brighter and saving power.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에 사용되는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 「TFT」)라고 하면, TFT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턴 중, 층간 절연막에 형성된 콘택트 홀이, 확실하게 상층 및 하층의 패턴을 접속시키는 작용을 갖지 않으면 올바른 동작이 보증되지 않는다. 그 한편, 표시 장치의 개구율을 최대한 크게 하여, 밝고, 전력 절약화의 표시 장치로 하기 위해서는, 콘택트 홀의 직경이 충분히 작은 것이 요구된다. 이에 수반하여, 이와 같은 콘택트 홀을 형성하기 위한 포토마스크가 구비하는 홀 패턴의 직경도 미세화(예를 들어 3㎛ 미만)가 요망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직경이 2.5㎛ 이하, 나아가서는, 직경이 2.0㎛ 이하인 홀 패턴이 필요해지고, 가까운 장래, 이를 하회하는 1.5㎛ 이하의 직경을 갖는 패턴의 형성도 요망된다고 생각된다. 이러한 배경에 의해, 미소한 콘택트 홀을 확실하게 전사 가능하게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기술이 필요해지고 있다. For example, in the case of a thin film transistor ("TFT") used in the display device, among the plurality of patterns constituting the TFT, the contact hole formed in the interlayer insulating film surely connects upper and lower patterns If there is no action, correct operation is not guaranteed. On the other hand, in order to maximize the aperture ratio of the display device and obtain a bright display device with reduced power consumption, it is required that the diameter of the contact hole is sufficiently small. Along with this, it is desired that the diameter of the hole pattern provided in the photomask for forming such a contact hole is also reduced (for example, less than 3 mu m). For example, it is considered that a hole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2.5 占 퐉 or less, furthermore, a diameter of 2.0 占 퐉 or less is required, and a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1.5 占 퐉 or less which is less than this is desired in the near future. Such a background makes it necessary to manufacture a display device capable of reliably transferring a minute contact hole.

그런데, 표시 장치에 비해, 집적도가 높고, 패턴의 미세화가 현저하게 진행된 반도체 장치(LSI) 제조용 포토마스크의 분야에서는, 높은 해상성을 얻기 위해, 노광 장치에는 고NA(Numerical Aperture)(예를 들어 0.2 이상)의 광학계를 적용하고, 노광광의 단파장화가 진행된 경위가 있고, KrF나 ArF의 엑시머 레이저(각각, 248㎚, 193㎚의 단일 파장)이 다용되도록 되었다. However, in the field of a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LSI) in which the degree of integration is high and pattern miniaturization is remarkably advanced as compared with a display device, in order to obtain high resolution, an exposure apparatus is required to have a high numerical aperture (NA) 0.2 or more), and exposure light has been shortened in wavelength, and excimer lasers of KrF and ArF (single wavelengths of 248 nm and 193 nm, respectively) have been used.

그 한편, 표시 장치 제조용의 리소그래피 분야에서는, 해상성 향상을 위해, 상기와 같은 방법이 적용되는 것은, 일반적이지 않았다. 오히려, LCD(liquid crystal display, 액정 표시 장치)용 등으로서 알려지는 노광 장치의 NA는, 0.08 내지 0.10 정도이고, 노광 광원도 i선, h선, g선을 포함하는, 브로드 파장 영역을 사용함으로써, 해상성이나 초점 심도보다는 오히려, 생산 효율, 비용을 중시해 온 경향이 있다. On the other hand, in the field of lithography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it has not been general that the above-described method is applied to improve the resolution. Rather, the NA of an exposure apparatus known as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the like is about 0.08 to 0.10, and the exposure light source uses a broad wavelength region including i line, h line, and g line , Production efficiency and cost rather than resolution and depth of focus.

그러나, 상기와 같이 표시 장치 제조에 있어서도, 패턴의 미세화 요청이 종래에 없이 높아지고 있다. 여기서, 반도체 장치 제조용의 기술을, 표시 장치 제조에 그대로 적용하는 것에는, 몇 가지의 문제가 있다. 예를 들어, 고NA(개구수)를 갖는 고해상도의 노광 장치에의 전환에는, 큰 투자가 필요하게 되고, 표시 장치의 가격과의 정합성이 얻어지지 않는다. 혹은, 노광 파장의 변경(ArF 엑시머 레이저와 같은 단파장을, 단일 파장으로 사용함)에 대해서는, 대면적을 갖는 표시 장치에의 적용 자체가 곤란한 데다가, 가령 적용하면, 생산 효율이 저하되는 것 외에, 역시 상당한 투자를 필요로 하는 점에서 부적합하다. However, as described above, also in the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a request for miniaturization of a pattern has conventionally increased.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applying the technique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s to the manufacture of display devices. For example, in the case of switching to a high-resolution exposure apparatus having a high NA (numerical aperture), a large investment is required, and compatibility with the price of the display device is not obtained. Alternatively, it is difficult to apply the present invention to a display device having a large area for changing the exposure wavelength (using a single wavelength such as an ArF excimer laser for a single wavelength), and furthermore, It is unsuitable in that it requires significant investment.

또한, 표시 장치용의 포토마스크에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반도체 장치 제조용의 포토마스크와 다른, 제조상의 제약이나 특유한 각종 과제가 있다. In addition, as described later, the photomask for a display device has a manufacturing constraint and various problems different from those of a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상기 사정으로부터, 특허문헌 1의 포토마스크를 그대로 표시 장치 제조용에 전용하는 것에는 현실적으로는 곤란함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하프톤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는, 바이너리 마스크에 비교하여 광강도 분포가 향상된다고 하는 기재가 있지만, 또한 성능 향상의 여지가 있다. In view of the above circumstances, it is practically difficult to devote the photomask of Patent Document 1 directly to the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The halftone phase shift mask described in Patent Document 2 has a description that the light intensity distribution is improved as compared with the binary mask, but there is also room for improvement in performance.

따라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를 사용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과제를 극복하고, 미세한 패턴으로서, 피전사체 상에의 전사를 안정적으로 행하는 것이 요망되고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노광 환경에 유리하게 적합하고, 미세한 패턴을 안정적으로 전사할 수 있는 우수한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refore, in a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using a 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t has been desired to overcom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to stably transfer the pattern on a body as a fine pattern. Therefore,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obtain an excellent photomask which is suitable for the exposure environment of a 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which can stably transfer a fine patter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하의 구성을 갖는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성 1 내지 1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다음의 구성 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following configura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mask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s 1 to 14, and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having the following constitution (15).

(구성 1) (Configuration 1)

본 발명의 구성 1은,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사용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전사용 패턴은, 직경 W1(㎛)의 주 패턴과, 상기 주 패턴의 근방에 배치된, 폭 d(㎛)의 보조 패턴과, 상기 주 패턴 및 상기 보조 패턴이 형성되는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 저투광부를 갖고, 상기 주 패턴을 투과하는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과, 상기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과의 위상차가 대략 180도이며, 상기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을 T1(%)로 하고, 상기 저투광부를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을 T3(%)으로 하고, 상기 주 패턴의 중심과, 상기 보조 패턴의 폭 방향의 중심과의 거리를 P(㎛)로 할 때, 하기의 수학식 1 내지 4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이다. (1) A photomask having a transfer pattern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e transfer pattern comprising a main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W1 (mu m) and a width d ( And a low-transmittance portion dispos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wherein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the i-line to the g-line passing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a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is T 1 (%), and a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low-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attern in the width direction is P (占 퐉), the following expressions (1) to (4) are satisfied.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1
Figure pat00001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2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03
Figure pat00003

[수학식 4]&Quot; (4) "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4

(구성 2) (Composition 2)

본 발명의 구성 2는,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T1(%)의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In the second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attern is the photomask according to Structure 1, wherein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transmittance of T1 (%)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

(구성 3) (Composition 3)

본 발명의 구성 3은, 상기 반투광막의 상기 투과율 T1(%)이, 하기의 수학식 5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The constitution 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hotomask according to Structure 2,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ance T1 (%) of the semitransparent film satisfies the following expression (5).

[수학식 5]&Quot; (5) "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5

(구성 4) (Composition 4)

본 발명의 구성 4는, 상기 보조 패턴의 폭 d가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 또는 3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The constitution 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hotomask according to configuration 2 or 3, wherein the width d of the auxiliary pattern is 1 (탆) or more.

(구성 5) (Composition 5)

본 발명의 구성 5는, 상기 주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투광부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반투광막과,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이 순서대로, 또는, 이 반대의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According to a fif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in pattern, a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and the auxiliary pattern has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 light-transmittance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T2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order or vice versa. To (4).

(구성 6) (Composition 6)

본 발명의 구성 6은, 상기 주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에 패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투광부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반투광막과,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이 순서대로, 또는, 이 반대의 순서로 적층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 내지 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According to a six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in pattern, the depressed portion is form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a low light-transmittance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T2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order or vice versa. To (4).

(구성 7) (Composition 7)

본 발명의 구성 7은, 상기 반투광막은, Zr, Nb, Hf, Ta, Mo 및 Ti 중 적어도 1개와, Si를 포함하는 재료, 또는, 이들 재료의 산화물, 질화물, 산화질화물, 탄화물, 또는 산화질화탄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2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In the constitution 7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Zr, Nb, Hf, Ta, Mo and Ti and Si or an oxide, a nitride, an oxynitride, A photomask according to any one of Structures 2 to 6, characterized in that it is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nitride carbide.

(구성 8) (Composition 8)

본 발명의 구성 8은,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In the structure 8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attern is the photomask described in Structure 1, wherein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구성 9) (Composition 9)

본 발명의 구성 9는, 상기 주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에 패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투광부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3(%)인 저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8에 기재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According to a ni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main pattern, a depressed portion is formed on a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by exposing a part of a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T3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구성 10) (Configuration 10)

본 발명의 구성 10은, 상기 주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의 주 표면에 패임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저투광부는,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3(%)인 저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8에 기재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According to a tenth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ttern is formed by exposing a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with a depressed portion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T3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구성 11) (Configuration 11)

본 발명의 구성 11은, 상기 주 패턴에 대응하여, 피전사체 상에, 전사 직경 W2가 3.0(㎛) 이하(단 W1>W2)인 홀 패턴을 형성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The constitution 11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a hole pattern having a transfer diameter W2 of not more than 3.0 (mu m) (W1 > W2) is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in pattern. Wherein the photomask is a photomask.

(구성 12) (Configuration 12)

본 발명의 구성 12는, 상기 주 패턴의 상기 직경 W1과, 상기 피전사체 상의 상기 전사 직경 W2와의 차 W1-W2를 바이어스 β(㎛)로 할 때,In the constitution 12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difference W1-W2 between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and the transfer diameter W2 on the body is defined as a bias? (占 퐉)

[수학식 6]&Quot; (6) "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6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1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Is a photomask as described in Structure 11 above.

(구성 13) (Composition 13)

본 발명의 구성 13은, 상기 저투광부의,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상기 투과율 T3(%)이, The constitution 13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transmittance T3 (%) of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low-

[수학식 7]&Quot; (7) "

Figure pat00007
Figure pat00007

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2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Of the first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구성 14) (Composition 14)

본 발명의 구성 14는, 상기 저투광부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성 1 내지 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이다. The constitution 14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photomask according to any one of constitutions 1 to 12, characterized in that the low-transmissive portion does not substantially transmit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구성 15) (Composition 15)

본 발명의 구성 15는, 구성 1 내지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포토마스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개구수(NA)가 0.08 내지 0.20이며,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광 광원을 갖는 노광 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전사용 패턴을 노광하고, 피전사체 상에, 직경 W2가 0.6 내지 3.0(㎛)인 홀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이다.A constitution (15)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cess for producing a photomask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a photomask according to any one of structures 1 to 14; exposing the photomask having a numerical aperture (NA) of 0.08 to 0.20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f i- And a step of exposing the transfer pattern using an exposure apparatus having a light source and forming a hole pattern having a diameter W2 of 0.6 to 3.0 mu m on the transferred body.

본 발명에 따르면,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의 노광 환경에 유리하게 적합하고, 미세한 패턴을 안정적으로 전사할 수 있는 우수한 포토마스크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xcellent photomask which is suitable for the exposure environment of a 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is capable of stably transferring a fine pattern and a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도 1은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일례의, 평면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다른 예의, 평면 모식도 (a) 내지 (f)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층 구성의 예 (a) 내지 (f)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제조 공정의 일례를 도시하는 단면 모식도 및 평면 모식도이다.
도 5는 비교예 1-1 및 1-2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의 평면 모식도, 치수 및 광학 시뮬레이션에 의한 전사 성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6은 비교예 1-1 및 1-2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한 경우의 (a)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광강도의 공간상 및 (b) 그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비교예 2-1 및 2-2와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의 평면 모식도, 치수 및 광학 시뮬레이션에 의한 전사 성능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8은 비교예 2-1 및 2-2와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한 경우의 (a)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광강도의 공간상 및 (b) 그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단면 형상을 도시하는 도면이다.
1 is a schematic plan view of an example of a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chematic plan view (a) to (f) of another example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 shows examples (a) to (f) of the layer structure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and a schematic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diagram showing a plan view, dimensions and transfer performance of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and Example 1, respectively, according to dimensions and optical simulation.
FIG. 6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the spatial phase of the light intensity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and (b)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ist pattern formed by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1-1 and 1-2 and Example 1 Fig.
FIG. 7 is a diagram showing a plan view, dimensions and transfer performance of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s 2-1 and 2-2 and Example 2, according to dimensions and optical simulation.
FIG. 8 is a graph show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 a spatial phase of light intensity formed on a subject to be imaged and (b) a cross-sectional shape of a resist pattern formed thereby, in the case of using the photomasks of Comparative Examples 2-1 and 2-2 and Example 2 Fig.

포토마스크가 갖는 전사용 패턴의 CD(Critical Dimension, 이하 패턴 선폭의 의미로 사용함)가 미세화되면, 이를 정확하게 피전사체(에칭 가공하고자 하는 박막 등, 피가공체라고도 함)에 전사하는 공정의 실시는 보다 곤란해진다. 표시 장치용의 노광 장치에 사양으로서 나타난 해상 한계는, 대부분의 경우 2 내지 3㎛ 정도이다. 이에 대해, 형성하고자 하는 전사용 패턴 중에는, 이미 이에 근접하거나, 혹은 이를 하회하는 치수의 것이 출현하고 있다. 또한, 표시 장치 제조용 마스크는, 반도체 장치 제조용 마스크에 비교하여 면적이 크기 때문에, 실제 생산상, 3㎛ 미만의 CD를 갖는 전사용 패턴을 면 내 균일하게 전사하는 것에는 큰 곤란함이 있다. When the CD (Critical Dimension) of the transfer pattern of the photomask is miniaturized, the step of accurately transferring the transfer medium to a transfer target body (also referred to as a thin film to be etched or a workpiece to be etched) It becomes more difficult. The marginal limit indicated as a specification in an exposure apparatus for a display device is about 2 to 3 탆 in most cases. On the other hand, among the transfer patterns to be formed, those having a size close to or below the transfer pattern already appear. In addition, since the 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s a larger area than a mask for manufacturing a semiconductor device, there is a great difficulty in uniformly transferring a transfer pattern having a CD of less than 3 mu m in the plane in actual production.

따라서, 순수한 해상도(노광 파장, 노광 광학계의 개구수에 의한) 이외의 요소를 고안함으로써, 실효적인 전사 성능을 인출하는 것이 필요해진다. Therefore, by designing elements other than pure resolution (due to the exposure wavelength and the numerical aperture of the exposure optical system), it becomes necessary to take out the effective transfer performance.

또한, 피전사체(플랫 패널 디스플레이 기판)의 면적이 크기 때문에, 노광에 의한 패턴 전사의 공정에서는, 피전사체의 표면 평탄도에 기인하는 디포커스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라고도 말할 수 있다. 이 환경 하에서, 노광 시의 초점의 여유도(DOF)를 충분히 확보하는 것은, 매우 의미가 있다.Further, since the area of the transferred body (flat panel display substrate) is large, it can be said that the step of pattern transfer by exposure is an environment in which defocus due to the surface flatness of the transferred body is likely to occur. Under this environment, it is very meaningful to sufficiently secure the DOF of the focus at the time of exposure.

또한, 표시 장치 제조용의 포토마스크는, 주지한 바와 같이 사이즈가 크고, 포토마스크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웨트 처리(현상이나 웨트 에칭)에 있어서는, 면 내의 여러 위치에서, CD(선 폭)의 균일성을 확보하는 것은 용이하지는 않는다. 최종적인 CD 정밀도를, 규정된 허용 범위 내에 수용하기 위해서도, 노광 공정에서의 충분한 초점 심도(DOF)의 확보가 긴요하고, 또한 이에 수반해서 다른 성능이 열화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s a large size as known in the art. In the wet process (development or wet etching) in the photomask manufacturing process, the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s uniformity of CD (line width) Is not easy to secure. In order to accommodate the final CD precision within the prescribed allowable range, it is desirable that the sufficient depth of focus (DOF) in the exposure process is critical and the performance deteriorates along with it.

본 발명은, 투명 기판 상에 성막된, 반투광막 및 저투광막을 각각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 전사용 패턴을 구비하는 포토마스크이다.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가 갖는 전사용 패턴의 평면 모식도를, 도 1에 예시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 photomask comprising a transfer pattern formed by patterning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respectively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 schematic plan view of the transfer pattern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llustrated in Fig.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사용 패턴은, 직경 W1(㎛)의 주 패턴과, 주 패턴의 근방에 배치된 폭 d(㎛)의 보조 패턴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주 패턴 및 상기 보조 패턴이 형성되는 이외의 영역에는, 저투광부가 형성되어 있다. As shown in Fig. 1, the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cludes a main pattern of a diameter W1 (占 퐉) and auxiliary patterns of a width d (占 퐉)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pattern. In addition, a low light-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여기서,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i선 내지 g선의 파장 영역 내의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을 T1, 저투광부를 투과하는, 해당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을 T3으로 한다. 또한, 주 패턴의 중심과, 상기 보조 패턴의 폭 방향의 중심과의 거리를 P(㎛)로 한다. 이때,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이하의 관계를 충족한다. Here, let T 1 be the transmittance for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i-line to g-line wavelength region that transmits the auxiliary pattern, and T 3 be the transmittance for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low-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attern in the width direction is P (mu m). At this tim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satisfies the following relationship.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8

[수학식 2]&Quot; (2) "

Figure pat00009
Figure pat00009

[수학식 3]&Quot; (3) "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0

[수학식 4]&Quot; (4) "

Figure pat00011
Figure pat00011

상기의 식 중, T1은, 바람직하게는 T1≥30이다. In the above formula, T1 is preferably T1? 30.

또한, 여기서 말하는 광투과율 T1 및 T3은, 투명 기판의 투과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것이며, 해당하는 부분의 층 구성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다. The light transmittances T1 and T3 referred to herein are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are determined by the layer structure of the corresponding portion.

이와 같은 전사용 패턴의 단면 모식도는, 예를 들어, 도 3의 (a)에 도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이를,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제1 형태로 하고, 도 3의 (a)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Th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of such transfer pattern can be, for example, as shown in Fig. 3 (a).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a).

본 형태에서는, 주 패턴은, 투명 기판이 노출된 투광부를 포함한다. 또한, 주 패턴에, 투과율이 높은 막이 형성되어도 좋다. 그러나, 최대의 투과율을 얻을 수 있는 점에서, 주 패턴에는, 투과율이 높은 막을 형성하지 않고, 투명 기판이 노출된 구성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embodiment, the main pattern includes a transparent portion in which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Further, a film having a high transmittance may be formed in the main pattern. However, from the point of view of obtaining the maximum transmittance, it is preferable that the main pattern is made such that a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without forming a film having a high transmittance.

또한, 본 형태의 보조 패턴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이 형성된, 반투광부를 포함한다. 이 반투광막은,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을 대략 180도 시프트하는 위상 시프트량을 갖고, 대표 파장에 대한 투과율 T1(%)을 갖는다. 또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을 둘러싸는 부분은, 투명 기판 상에, 적어도 저투광막이 형성된, 저투광부로 되어 있다. 즉, 도 1에 도시하는 전사용 패턴에 있어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이 형성된 영역 이외의 영역이, 저투광부로 되어 있다. 도 3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형태에서는, 저투광부는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이, 투명 기판 상에 적층되어 있다. 또한, 저투광부는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과,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이 순서대로, 또는, 이 반대의 순서로 적층될 수 있다. Further, the auxiliary pattern of this embodiment includes a semi-transparent portion having a translucent film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is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s a phase shift amount for shifting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the i-line to the g-line by approximately 180 degrees, and has the transmittance T1 (%)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Further, the portion surrounding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has a low light-transmitting portion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at least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formed. That is, in the transfer pattern shown in Fig. 1, the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re formed is a low light-projecting portion. As shown in Fig. 3 (a), in this embodiment, the translucent film and the low translucent film are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low translucent portion. Further, the low light-transmissive portion may be laminat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order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low light-transmissive film having the light transmittance T2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is order or vice versa.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저투광부는 노광광의 대표 파장에 대해, 소정의 낮은 투과율을 갖는다. 즉,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해, 저투광부는 반투광부를 포함하는 보조 패턴의 투과율 T1(%)보다 낮은 투과율 T3(%)을 갖는다. 따라서, 반투광부와 저투광부의 적층에 의해, 저투광부를 형성하고 있는 본 형태[도 3의 (a)]에 있어서는, 해당 적층에 의해, The low light transmitting portion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predetermined low transmittance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exposure light. That is, for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line to g-line,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has a transmittance T3 (%)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T1 (%) of the auxiliary pattern including the semi-light-transmitting portion. Therefore, in this embodiment (FIG. 3A) in which the low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formed by the lamination of the translucent portion and the low transparent portion,

T3<T1 T3 < T1

이 되도록, 저투광막의 투과율 T2(%)를 선택함으로써, 저투광부의 투과율 T3(%)을 조절하면 된다. , The transmittance T3 (%) of the low transmittance portion can be adjusted by selecting the transmittance T2 (%) of the low transmittance film.

여기서, 주 패턴의 직경(W1)을, 4㎛ 이하로 할 때, 이 주 패턴에 대응하여, 피전사체 상에, 직경 W2(㎛)(단 W1>W2)를 갖는 미세한 주 패턴(홀 패턴)을 형성할 수 있다. A fine main pattern (hole pattern) having a diameter W2 (mu m) (W1 > W2) is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in correspondence with the main pattern when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is 4 mu m or less. Can be formed.

구체적으로는, W1(㎛)을, 하기 수학식 1 Concretely, W1 (占 퐉) is expressed by the following formula 1

[수학식 1][Equation 1]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2

의 관계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주 패턴(홀 패턴)의 직경 W2(㎛)는, 3.0(㎛) 이하, 구체적으로는, To be the relationship At this time, the diameter W2 (mu m) of the main pattern (hole pattern)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is 3.0 mu m or less, specifically,

0.6≤W2≤3.0 0.6? W2? 3.0

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표시 장치 제조에 유용한 미세 사이즈의 패턴을 형성하는 목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 패턴의 직경 W1이, 3.0(㎛) 이하일 때, 본 발명의 효과가 보다 현저하게 얻어진다. 바람직하게는, 주 패턴의 직경 W1(㎛)을, Further,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used for the purpose of forming a fine-size pattern useful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For example, when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is 3.0 mu m or less,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re remarkably obtained. Preferably, the diameter of the main pattern W1 (mu m)

1.0≤W1≤3.0 1.0? W1? 3.0

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직경 W1과 직경 W2와의 관계를, W1=W2로 할 수도 있지만, 바람직하게는 W1>W2로 한다. 즉, β(㎛)를 바이어스값으로 할 때, .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ameter W1 and the diameter W2 may be W1 = W2, but preferably W1 > W2. That is, when? (占 퐉) is a bias value,

β=W1-W2>0(㎛) beta = W1-W2 > 0 (mu m)

일 때, when,

0.2≤β≤1.00.2??? 1.0

보다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0.2≤β≤0.8 0.2??? 0.8

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할 때, 후술하는 바와 같이, 피전사체 상에 있어서의, 레지스트 패턴의 손실을 저감하는 등의, 유리한 효과가 얻어진다. . In this case, as described below, advantageous effects such as reduction in the loss of the resist pattern on the transferred body can be obtained.

상기에 있어서, 주 패턴의 직경 W1은, 원의 직경, 또는 그에 근사되는 수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주 패턴의 형상이 정다각형일 때는, 주 패턴의 직경 W1은, 내접원의 직경으로 한다. 주 패턴의 형상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정사각형이면, 주 패턴의 직경 W1은 1변의 길이이다. 전사된 주 패턴의 직경 W2에 있어서도, 원의 직경 또는 그에 근사되는 수치로 하는 점에서 마찬가지이다. In the above,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means the diameter of the circle, or a numerical value approximate thereto. For example, when the shape of the main pattern is a regular polygon,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is the diameter of the inscribed circle. If the shape of the main pattern is a square as shown in Fig. 1,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is the length of one side. The diameter W2 of the transferred main pattern is also the same as the diameter of the circle or a numerical value approximate thereto.

물론, 보다 미세화된 패턴을 형성하고자 할 때, W1이 2.5(㎛) 이하, 또는 2.0(㎛) 이하로 하는 것도 가능하고, 나아가서는, W1을 1.5(㎛) 이하로 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도 있다. Of course, when a finer pattern is to be formed, it is also possible to set W1 to be not more than 2.5 (mu m) or not more than 2.0 (mu m), and furthermore, have.

또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의 주 패턴의 직경 W1, 피전사체 상의 주 패턴의 직경 W2 및 바이어스의 설정에 관한 상기의 바람직한 범위는, 이하의 제2 내지 제6 형태에 관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로 적용할 수 있다. The preferable range of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the diameter W2 of the main pattern on the transferred object, and the bias in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above-described preferred range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ng to the second to sixth embodiments The same can be applied to the mask.

이와 같은 전사용 패턴을 갖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 노광에 사용하는 노광광의 대표 파장에 대해, 주 패턴과 보조 패턴과의 위상차 φ가, 대략 180도이다. 즉, 주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과,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과의 위상차 φ1이 대략 180도가 된다. 대략 180도라고 함은, 120 내지 240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φ1은 150 내지 210도, 더욱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도이다.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exposure light used in the photomask exp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transfer pattern. That is, the phase difference? 1 between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becomes approximately 180 degrees. About 180 degrees means 120 to 240 degrees. Preferably, the phase difference? 1 is 150 to 210 degrees, more preferably 170 to 190 degrees.

또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i선, h선, 또는 g선을 포함하는 노광광을 사용할 때에 효과가 현저하므로,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광광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i선, h선 및 g선을 포함하는 브로드 파장광을 노광광으로서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대표 파장으로서는, i선, h선, g선 중 어느 하나로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선을 대표 파장으로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구성할 수 있다. Further, sinc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remarkably effective when using exposure light including i-line, h-line, or g-line, exposure light including at least one of i-line, h-line and g- have. In particular, it is preferable to apply broad wavelength light including i-line, h-line and g-line as exposure light. In this case,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can be any one of i-line, h-line, and g-line. For exampl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constructed with the h-line as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이와 같은 위상차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주 패턴은, 투명 기판 주 표면이 노출되어 이루어지는 투광부로 하고, 보조 패턴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을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반투광부로 하고, 이 반투광막의,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을, 대략 180도로 하면 된다. In order to form such a phase difference, the main pattern is a translucent portion formed by exposing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 semi-transparent portion formed by forming a translucent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phase shift amount with respect to the wavelength may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또한, 주 패턴과 보조 패턴과의 위상차의 바람직한 범위 및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적용하는 노광광의 파장에 대해서는, 이하의 제2 내지 제6 형태에 관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이다. The preferable range of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nd the wavelength of the exposure light applied to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he same also in the photomasks of the second to sixth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 즉, 도 3의 (a)에 도시하는 포토마스크에 있어서, 반투광부가 갖는 광투과율 T1은, 이하와 같이 할 수 있다. 즉, 반투광부에 형성된 반투광막의,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한 투과율이, T1(%)일 때, In the photomask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photomask shown in FIG. 3A, the light transmittance T1 of the translucent portion can be obtained as follows. That is, when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lucent film formed on the translucent portion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T1 (%),

30≤T1≤80 30? T1? 80

으로 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40≤T1≤75 40? T1? 75

이다. 또한, 투과율 T1(%)은, 투명 기판의 투과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기 대표 파장의 투과율로 한다. to be. The transmittance T1 (%) is defined as the transmitta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with reference to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이 형성된 이외의 영역에 배치되고,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의 주위에 형성된 저투광부는,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할 수 있다. In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formed around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rranged in a region other than the region where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re formed.

저투광부는 노광광(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이 경우 저투광막 단체로, 상기 대표 파장을 실질적으로 투과하지 않는 것(즉 차광막)이며, T2≤0.01 즉 광학 농도 OD≥2인 저투광막을 적용해도 좋고, 또는, 저투광막과 반투광막의 적층막으로, 실질적인 차광막(광학 농도 OD≥2)으로 해도 좋다. And the low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not substantially transmit the exposure light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 line to g line). In this case,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transmit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hat is, a light-shielding film) and satisfies T2? 0.01 or an optical density OD? 2 may be used as the single low light- As a laminated film, a substantially light-shielding film (optical density OD? 2) may be used.

혹은, 저투광부는, 소정 범위에서 노광광을 투과하는 것으로 해도 좋다. 단, 소정 범위에서 노광광을 투과하는 경우이며, 저투광부의 투과율 T3(%)(여기서,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의 적층 경우에는, 그 적층막의 투과율)이,Alternatively, the low light transmitting portion may transmit the exposure light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However, when the exposure light is transmitted in a predetermined range and the transmittance T3 (%) of the low-transmittance portion (where the transmittance of the laminated film in the case of lamination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T3<T1 T3 < T1

을 충족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Preferably,

0.01<T3<30 0.01 < T3 < 30

보다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0.01<T3≤20 0.01 <T3? 20

을 충족한다. 투과율 T3(%)에 대해서도, 투명 기판의 투과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기 대표 파장의 투과율로 한다. . The transmittance T3 (%) is also defined as the transmittance of the above-mentioned representative wavelength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또한, 이와 같이 저투광부가 소정의 투과율로 노광광을 투과하는 경우에는, 저투광부의 투과광과, 투광부의 투과광과의 위상차 φ3은, 90도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이다. 「90도 이하」란, 라디안 표기하면, 상기 위상차가 「(2n-1/2)π 내지 (2n+1/2)π(여기서 n은 정수)」인 것을 의미한다. 상기와 마찬가지로, 노광광에 포함되는 대표 파장에 대한 위상차로서 계산한다. When the low light transmittance portion transmits the exposure light at the predetermined transmittance, the phase difference? 3 between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low light transmittance portion and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is preferably 9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to be. Means that the phase difference is "(2n-1/2)? To (2n + 1/2)? (Where n is an integer)" in radians. Is calculated as the phase difference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cluded in the exposure light as described above.

따라서, 이 경우에는 본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사용되는 저투광막의 단독의 성질로서는, 30(%) 미만의 투과율[T2(%)]을 갖고(즉, 0<T2<30), 위상 시프트량(φ2)이 대략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180도라고 함은, 120 내지 240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φ1은 150 내지 21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도이다. 이에 의해, 적층을 포함하는 저투광부의 위상 시프트 특성에 대해서는, φ3을 상술한 범위로 할 수 있다. Therefore, in this case, the property of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used in the photomask of this embodiment is such that the transmittance [T2 (%)] of less than 30 (% 2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About 180 degrees means 120 to 240 degrees. Preferably, the phase difference? 1 is 150 to 210 degrees, more preferably 170 to 190 degrees. As a result, the phase shift characteristics of the low transmissive portion including the lamination can be set to the above-mentioned range of? 3.

여기서의 투과율도, 상기와 마찬가지로, 투명 기판의 투과율을 기준으로 했을 때의, 상기 대표 파장의 투과율로 한다. Here, similarly to the above, the transmittance is the transmitta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based on the transmittan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전사용 패턴에 있어서, 보조 패턴의 폭을 d(㎛)로 할 때,In the transfer pattern, when the width of the auxiliary pattern is d (占 퐉)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13
Figure pat00013

가 성립될 때에, 발명의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즉,√(T1/100)×d가, 상기의 범위 내에 있을 때,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광량이, 주 패턴의 그것과 밸런스 좋게 상호 작용하고, 주 패턴의 전사성을 향상시킨다. The excellent effect of the invention can be obtained. That is, when the value of? (T1 / 100) 占 d is within the above range, the amount of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well interacts with that of the main pattern and improves the transferability of the main pattern.

이때, 주 패턴의 중심과, 보조 패턴의 폭 방향의 중심 거리를 피치 P(㎛)로 하고, 피치 P는, At this time,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and the center distanc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auxiliary pattern are defined as the pitch P (占 퐉)

1.0<P≤5.0 1.0 <P? 5.0

의 관계가 성립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Is satisfied.

보다 바람직하게는, 피치 P는,More preferably,

1.5<P≤4.5 1.5 <P? 4.5

로 할 수 있다. .

본 발명에 있어서, 보조 패턴은, 설계상 고립된 주 패턴에 대해, 의사적으로 밀집 패턴(Dense Pattern)과 같은 광학적 작용을 미치는 효과가 있지만, 상기의 관계식이 충족될 때,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을 투과한 노광광이, 서로 양호한 상호 작용을 발휘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우수한 전사성을 나타낼 수 있다.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uxiliary pattern has an effect of giving an optical effect such as a dense pattern to the main pattern isolated in design, but when the above relation is satisfied,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Can exert a good interaction with each other and exhibit excellent transferability as shown in Examples described later.

보조 패턴의 폭 d(㎛)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적용하는 노광 조건(사용하는 노광 장치)에 있어서, 해상 한계 이하의 치수이며, 구체적인 예로서는, The width d (占 퐉) of the auxiliary pattern is a dimension below the resolution limit in the exposure conditions (the exposure apparatus to be used) applied to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d≥0.7 d? 0.7

보다 바람직하게는, More preferably,

d≥0.8 d? 0.8

더욱 바람직하게는, 보조 패턴의 폭 d(㎛)는 1(㎛) 이상이다. More preferably, the width d (占 퐉) of the auxiliary pattern is 1 占 퐉 or more.

또한, d≤W1인 것이 바람직하고, d<W1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Further, it is preferable that d? W1, and more preferably d <W1.

또한,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수학식 2의 관계식은, 다음의 수학식 2-1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다음의 수학식 2-2이다. More preferably, the relational expression of the expression (2) is the following expression (2-1), and more preferably, the following expression (2-2).

[수학식 2-1][Mathematical Expression 2-1]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4

[수학식 2-2][Equation 2-2]

Figure pat00015
Figure pat00015

상술한 바와 같이, 도 1에 도시하는 포토마스크의 주 패턴은 정사각형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도 2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포토마스크의 주 패턴은, 팔각형이나 원을 포함하는, 회전 대칭인 형상일 수 있다. 그리고 회전 대칭의 중심을, 상기 P의 기준이 되는 중심으로 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main pattern of the photomask shown in Fig. 1 is square,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as illustrated in Fig. 2, the main pattern of the photomask may be a rotationally symmetric shape including an octagon or a circle. Then, the center of the rotational symmetry can be set as the center of the reference point P.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포토마스크의 보조 패턴의 형상은, 팔각형띠이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보조 패턴의 형상은 홀 패턴의 중심에 대해, 3회 대칭 이상의 회전 대상의 형상으로 일정한 폭을 부여한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의 형상은, 도 2의 (a) 내지 (f)에 예시된 형상이며, 주 패턴의 디자인과 보조 패턴의 디자인은, 서로 도 2의 (a) 내지 (f)의 다른 것을 조합해도 좋다.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of the photomask shown in Fig. 1 is an octagonal band,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is. It is preferable that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be a uniform width in the shape of the object to be rotated three or more times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hole pattern. 2 (a) to 2 (f), and the design of the main pattern and the design of the auxiliary patter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other patterns shown in Figs. 2 (a) to 2 May be combined.

예를 들어, 보조 패턴의 외주가, 정사각형, 정육각형, 정팔각형, 정십각형 등의 정다각형(바람직하게는 정2n각형, 여기서 n은 2 이상의 정수) 또는 원형인 경우가 예시된다. 그리고, 보조 패턴의 형상으로서는, 보조 패턴의 외주와 내주가 거의 평행한 형상, 즉, 거의 일정 폭을 갖는 정다각형 또는 원형의 띠와 같은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띠 형상의 형상을, 다각형띠 또는 원형띠라고도 부른다. 보조 패턴의 형상으로서는, 이와 같은 정다각형띠 또는 원형띠가, 주 패턴의 주위를 둘러싸는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주 패턴의 투과광과, 보조 패턴의 투과광과의 광량의 밸런스를 거의 동등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얻기 위한, 광의 상호 작용을 얻기 쉽다. For example, the case where the outer periphery of the auxiliary pattern is a regular polygon (preferably a regular 2n square, where n is an integer of 2 or more) or a circular shape such as a square, a regular hexagon, a regular octagon, or a tetragon. As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it is preferable that the outer and inner peripheries of the auxiliary pattern are substantially parallel, that is, a shape such as a regular polygonal or circular band having a substantially constant width. This strip-like shape is also called a polygonal strip or a circular strip. As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it is preferable that the regular polygonal band or the circular b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main pattern. At this time, since the balance between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main pattern and the transmitted light of the auxiliary pattern can be made substantially equal, the interaction of light can be easily obtained in order to obtain the operation and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특히,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표시 장치 제조용의 포토마스크로서 사용하는 경우, 즉,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표시 장치 제조용의 포토 레지스트와 조합해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피전사체 상에 있어서 보조 패턴에 대응하는 부분의 레지스트 손실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하다. Particularly, when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as a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that is, when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n combination with a photoresist for producing a display device,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sist loss in the portion where the resist is formed.

혹은, 보조 패턴의 형상은, 주 패턴의 주위를 완전히 둘러싸지 않고, 상기 다각형띠 또는 원형띠의 일부가 결락된 형상이어도 좋다. 보조 패턴의 형상은, 예를 들어, 도 2의 (f)와 같이, 사각형띠의 코너부가 결락된 형상이어도 좋다. Alternatively,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may be such that the polygonal band or a part of the ring-shaped band is partially missing without completely surrounding the periphery of the main pattern. The shape of the auxiliary pattern may be a shape in which the corner portion of the rectangular band is missing, for example, as shown in Fig. 2 (f).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방해하지 않는 한, 본 발명의 주 패턴, 보조 패턴 외에, 부가적으로 다른 패턴을 사용해도 상관없다. In addition to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other patterns may be used as long as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hindered.

본 형태의 포토마스크의 제조 방법의 일례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An example of a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of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reference to Fig.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한다. As shown in Fig. 4 (a), a photomask blank is prepared.

이 포토마스크 블랭크는, 글래스 등을 포함하는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이 이 순서대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1 포토 레지스트막이 도포되어 있다. In this photomask blank, a semitransparent film and a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are formed in this order on a transparent substrate including glass or the like, and a first photoresist film is coated.

반투광막은, 투명 기판의 주 표면 상에, i선, h선, g선 중 어느 하나를 대표 파장으로 할 때, 그 투과율이 30 내지 80(%)[T1(%)을 투과율로 할 때, 30≤T1≤80], 보다 바람직하게는, 40 내지 75(%)이며, 또한, 이 대표 파장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이, 대략 180도와 같은 막이다. 이와 같은 반투광막에 의해,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과, 반투광부를 포함하는 보조 패턴 사이의 투과광 위상차를 대략 180도로 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반투광막은,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 위상을 대략 180도 시프트한다. 반투광막의 성막 방법으로서는, 스퍼터법 등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When the transmissivity is 30 to 80 (%) (T1 (%) is the transmittance), when the transmissivity is a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i-line, h-line or g-line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30? T1? 80], more preferably 40 to 75 (%), and the phase shift amount with respect to this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With such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the transmitted light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main pattern including the light-projecting portion and the auxiliary pattern including the semi-light-projecting portion can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Such a semitransparent film shifts the optical phas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line to g-line by about 180 degrees. As a film forming method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 known method such as a sputtering method can be applied.

반투광막은, 상기의 투과율과 위상차를 충족하고,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웨트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웨트 에칭 시에 발생하는, 사이드 에칭의 양이 지나치게 커지면, CD 정밀도의 열화나, 언더 컷에 의한 상층막의 파괴 등 문제가 발생하므로, 막 두께의 범위는, 2000Å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300 내지 2000Å의 범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0 내지 1800Å이다. 여기서 CD란, Critical Dimension이며, 본 명세서에서는 패턴 선폭의 의미로 사용한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semitransparent film satisfies the transmittance and the retardation as described above and is made of a material that can be wet-etched as described below. However, if the amount of the side etching generated during the wet etching becomes too large,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the CD precision and destruction of the upper layer film due to undercut occur. Therefore, the film thickness is preferably 2000 angstroms or less. For example, in the range of 300 to 2000 angstroms, and more preferably in the range of 300 to 1800 angstroms. Here, CD is a Critical Dimension, which i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s a meaning of a pattern line width.

또한, 이들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서는, 반투광막 재료는, 노광광에 포함되는 대표 파장(예를 들어 h선)의 굴절률이 1.5 내지 2.9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4이다. In order to satisfy these conditions, it is preferable that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material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9 at a representative wavelength (for example, h line) included in the exposure light. More preferably, it is from 1.8 to 2.4.

또한, 위상 시프트 효과를 충분히 발휘하기 위해서는, 웨트 에칭에 의한 패턴 단면(피에칭면)이, 투명 기판 주 표면에 대해 수직에 가까운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sufficiently exhibit the phase shift effect, it is preferable that the cross-section of the pattern (etched surface) by wet etching is nearly perpendicular to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상기 성질을 고려할 때, 반투광막의 막 재료로서는, Zr, Nb, Hf, Ta, Mo, Ti 중 적어도 1개와 Si를 포함하는 재료, 또는, 이들 재료의 산화물, 질화물, 산화질화물, 탄화물, 또는 산화질화탄화물을 포함하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할 수 있다. Considering the above properties, the material of the semitransparent film is preferably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Zr, Nb, Hf, Ta, Mo, and Ti and Si, or an oxide, a nitride, an oxynitride, a carbide, And may be made of a material containing nitride carbide.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반투광막 상에는, 저투광막이 형성된다. 성막 방법으로서는, 반투광막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스퍼터법 등 공지의 수단을 적용할 수 있다. On the semitransparent film of the photomask blank, a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is formed. As a film forming method, a known means such as a sputtering method can be applied as in the case of the semitransparent film.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저투광막은, 실질적으로 노광광을 투과하지 않는 차광막일 수 있다. 또는, 노광광의 대표 파장에 대해, 소정의 낮은 투과율을 갖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제조에 사용하는 저투광막은,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해, 반투광막의 투과율 T1(%)보다 낮은 투과율 T2(%)를 갖는다. T2는 실질적으로 제로(0.01 이하)이어도 상관없다.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of the photomask blank may be a light shielding film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transmit the exposure light. Alternatively, it is possible to have a predetermined low transmittance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exposure light.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used in the production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transmittance T2 (%) which is lower than the transmittance T1 (%) of the semi-light transmittance film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 line to g line. T2 may be substantially zero (0.01 or less).

한편, 저투광막이 노광광을 투과할 수 있는 경우에는, 노광광에 대한 저투광막의 투과율 및 위상 시프트량은,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저투광부의 투과율 및 위상 시프트량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인 것이 요구된다. 바람직하게는, 저투광막과 상기 반투광막과의 적층 상태에서, 노광광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 T3(%)이, 0.01<T3<30, 바람직하게는 0.01<T3≤20이며, 또한, 위상 시프트량 φ3이, 9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로 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low-transmittance film can transmit the exposure light, the transmittance and the phase shift amount of the low-transmittance film with respect to the exposure light are set so that the transmittance and the phase shift amount of the low- . Preferably, the transmittance T3 (%)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he exposure light is 0.01 <T3 <30, preferably 0.01 <T3 20 in the laminated state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 And the phase shift amount 3 is 9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저투광막의 단독의 성질로서는, 실질적으로 상기 대표 파장의 광을 투과하지 않는 것이거나, 또는, 30(%) 미만의 투과율[T2(%)]을 갖고(즉, 0<T2<30), 위상 시프트량(φ2)이 대략 180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대략 180도라고 함은, 120 내지 240도를 의미한다. 바람직하게는, 위상차 φ1은 150 내지 210(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70 내지 190(도)이다. As the solitary property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it is preferable that substantially no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transmitted, or that the transmittance [T2 (%)] of less than 30 (% It is preferable that the shift amount phi 2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About 180 degrees means 120 to 240 degrees. Preferably, the phase difference? 1 is 150 to 210 (degrees), more preferably 170 to 190 (degrees).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저투광막의 재료는, Cr 또는 그 화합물(산화물, 질화물, 탄화물, 산화질화물, 또는 산화질화탄화물)이어도 좋고, 또는, Mo, W, Ta, Ti를 포함하는 금속의 실리사이드, 또는, 그 실리사이드의 상기 화합물이어도 좋다. 단,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저투광막의 재료는 반투광막과 마찬가지로 웨트 에칭이 가능하고, 또한, 반투광막의 재료에 대해 에칭 선택성을 갖는 재료가 바람직하다. 즉, 반투광막의 에칭제에 대해 저투광막은 내성을 갖고, 또한, 저투광막의 에칭제에 대해, 반투광막은 내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material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of the photomask blank may be Cr or a compound thereof (oxide, nitride, carbide, oxynitride, or oxynitride carbide), or a silicide of a metal including Mo, W, Ta, The above-mentioned compound of the silicide may be used. However, the material of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of the photomask blank is preferably a material capable of wet etching as in the case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having etching selectivity to the material of the semitransparent film. 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has resistance to the etching agent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has resistance to the etching agent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저투광막 상에는, 또한 제1 포토 레지스트막이 도포된다.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바람직하게는 레이저 묘화 장치에 의해 묘화되므로, 그에 적합한 포토 레지스트로 한다. 제1 포토 레지스트막은 포지티브형이어도 네가티브형이어도 좋지만, 이하에서는 포지티브형으로서 설명한다. On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of the photomask blank, a first photoresist film is further coated. Sinc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drawn by a laser beam drawing apparatus, a photoresist suitable therefor is used. The first photoresist film may be a positive type or a negative type, but will be described as a positive type hereinafter.

다음에, 도 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 묘화 장치를 사용하고, 전사용 패턴에 기초한 묘화 데이터에 의한 묘화를 행한다(제1 묘화). 그리고, 현상에 의해 얻어진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저투광막을 웨트 에칭한다. 이에 의해, 저투광부가 되는 영역이 획정되고, 또한 저투광부에 의해 둘러싸인 보조 패턴(저투광막 패턴)의 영역이 획정된다. 웨트 에칭하기 위한 에칭액(웨트 에천트)은, 사용하는 저투광막의 조성에 적합한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Cr을 함유하는 막이면, 웨트 에천트로서 질산 제2세륨암모늄 등을 사용할 수 있다. Next, as shown in Fig. 4 (b), a drawing apparatus is used for the first photoresist film, and drawing is performed by drawing data based on the transfer pattern (first drawing). Then, using the first resist pattern obtained by the development as a mask,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is subjected to wet etching. Thereby, a region to be a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is defined, and an area of an auxiliary pattern (low-light-transmitting film pattern) surrounded by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is defined. As the etching solution (wet etchant) for wet etching, a known one suitable for the composition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to be used may be used. For example, if the film contains Cr, a wet etchant such as ceric ammonium nitrate can be used.

다음에, 도 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한다. Next, as shown in Fig. 4 (c), the first resist pattern is peeled off.

다음에, 도 4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형성된 저투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전체면에, 제2 포토 레지스트막을 도포한다. Next, as shown in Fig. 4 (d), the second photoresist film is coated on the entire surface including the formed low light-transmitting film pattern.

다음에, 도 4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포토 레지스트막에 대해, 제2 묘화를 행하고, 현상에 의해 형성된 제2 레지스트 패턴을 형성한다. 이 제2 레지스트 패턴과, 상기 저투광막 패턴을 마스크로 하여, 반투광막의 웨트 에칭을 행한다. 이 에칭(현상)에 의해,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의 영역이 형성된다. 또한, 제2 레지스트 패턴은, 보조 패턴이 되는 영역을 덮고,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이 되는 영역에 개구를 갖는 것임과 함께, 상기 개구로부터, 저투광막의 엣지가 노출되도록, 제2 묘화의 묘화 데이터에 대해 사이징을 행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제1 묘화와 제2 묘화 사이에 서로 발생하는 얼라인먼트 어긋남을 흡수하고, 전사용 패턴의 CD 정밀도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저투광막과 반투광막의 소재가 갖는, 서로의 막에 대한 에칭 선택성을 이용한 효과이다. Next, as shown in Fig. 4 (e), second imaging is performed on the second photoresist film, and a second resist pattern formed by development is formed. Using this second resist pattern and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pattern as a mask, wet etching of the semitransparent film is performed. By this etching (development), a region of the main pattern including the transparent portion w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is formed. The second resist pattern covers the area to be the auxiliary pattern and has an opening in a region to be the main pattern including the transparent portion and is provided with an opening for exposing the edge of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from the opening, It is preferable to perform sizing for the data. By doing so, it is possible to absorb the alignment deviation that occurs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imaging, and to prevent deterioration of the CD accuracy of the transfer pattern. This is an effect using the etching selectivity of the films of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with respect to each other.

또한, 본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을 에칭 선택성이 없는, 공통의 에칭 특성을 갖는 소재에 의해 구성하고, 양쪽 막의 사이에, 에칭 스토퍼막을 형성해도 좋다. In the photomask of this embodiment,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may be made of a material having no etching selectivity and having a common etching property, and an etching stopper film may be formed between both films.

즉, 이와 같이 제2 묘화 시의 제2 레지스트 패턴의 사이징을 행함으로써, 피전사체 상에 고립 홀 패턴을 형성하고자 할 때, 차광막과 반투광막과의 패터닝에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도 1에 예시하는 바와 같은 전사용 패턴에 있어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의 무게 중심을 정교하고 치밀하게 일치시킬 수 있다. In other words, when the second resist pattern is subjected to the sizing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positional deviation in the patterning of the light-shielding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when the isolation hole pattern is to be formed on the body. The center of gravity of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can be precisely and closely matched in the transfer pattern as illustrated in Fig.

반투광막용의 웨트 에천트는, 반투광막의 조성에 따라서 적절히 선택한다. The wet etchant for the semitransparent film is appropriately selected in accordance with the composition of the semitransparent film.

다음에, 도 4의 (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레지스트 패턴을 박리하여,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가 완성된다. Next, as shown in Fig. 4 (f), the second resist pattern is peeled off to complet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표시 장치용 포토마스크의 제조에 있어서,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차광막 등의 광학막을 패터닝할 때, 적용되는 에칭으로서는, 드라이 에칭 및 웨트 에칭이 있다. 어느 것을 채용해도 좋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웨트 에칭이 특히 유리하다. 이것은, 표시 장치용의 포토마스크는, 사이즈가 비교적 크고, 또한 다종류의 사이즈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포토마스크의 제조 시에, 진공 챔버를 사용하는 드라이 에칭을 적용하면, 드라이 에칭 장치의 크기나 제조 공정에 비효율이 발생하게 된다. In the production of a photomask for a display device, when an optical film such as a light-shielding film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patterned, dry etching and wet etching are applicable. Either may be employed, but wet etching is particularly advantageous in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because the photomask for a display device has a relatively large size and a large variety of sizes. When dry etching using a vacuum chamber is applied in the production of such a photomask, inefficiency occurs in the size and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dry etching apparatus.

단, 이와 같은 포토마스크의 제조 시에 웨트 에칭을 적용하는 것에 수반하는 과제도 있다. 웨트 에칭은 등방 에칭의 성질을 가지므로, 소정의 막을 깊이 방향으로 에칭해서 용출시키고자 할 때에는, 깊이 방향에 대해 수직인 방향으로도 에칭이 진행된다. 예를 들어, 막 두께 F(㎚)의 반투광막을 에칭해서 슬릿을 형성할 때, 에칭 마스크가 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개구는, 원하는 슬릿 폭보다 2F(㎚)[즉, 편측 F(㎚)]만큼 작게 하지만, 미세 폭의 슬릿으로 될수록, 레지스트 패턴 개구의 치수 정밀도를 유지하기 어렵다. 이로 인해, 보조 패턴의 폭 d는 1(㎛) 이상, 바람직하게는 1.3(㎛) 이상으로 하는 것이 유용하다. However, there is also a problem associated with application of wet etching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such a photomask. Since the wet etching has the property of isotropic etching, when the predetermined film is to be etched in the depth direction, the etching proceeds also i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depth direction. For example, when a slit is formed by etching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film thickness F (nm), the opening of the resist pattern to be an etching mask is 2F (nm) (that is, one side F (nm) However, it is difficult to maintain the dimensional accuracy of the opening of the resist pattern as the slit becomes a fine width. For this reason, it is useful that the width d of the auxiliary pattern is not less than 1 (mu m), preferably not less than 1.3 (mu m).

또한, 상기 막 두께 F(㎚)가 큰 경우에는, 사이드 에칭량도 커지므로, 막 두께가 작아도 대략 180도의 위상 시프트량을 갖는 막 재료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고, 이 결과, 상기 파장에 대해 반투광막의 굴절률이 높은 것이 요망된다. 이로 인해,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한 1.5 내지 2.9, 바람직하게는 1.8 내지 2.4와 같은 재료를 사용해서, 반투광막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addition, when the film thickness F (nm) is large, the amount of side etching becomes large. Thus, it is advantageous to use a film material having a phase shift amount of about 180 degrees even if the film thickness is small. It is desired that the refractive index of the translucent film is high. For this reason, it is preferable to use a material such as 1.5 to 2.9, preferably 1.8 to 2.4 for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as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그런데, 도 1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형태 외에도, 다른 층 구성에 의해 마찬가지의 광학적인 작용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있다. Incidentally, as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1, 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form, there is one that exhibits similar optical and action effects by different layer structures.

본 발명의 제2 형태는, 도 3의 (b)에 단면을 도시하는 층 구성을 갖는다. 이 포토마스크의 평면 모식도는, 상기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지만, 단면에서 보았을 때의 적층 구조가 다르다. 즉, 도 3의 (b)에 도시하는 저투광부에 있어서는, 저투광막과 반투광막의 적층순이 상하 역전되어 있고, 저투광막이 기판측에 배치되어 있다.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layer structure shown in cross section in Fig. 3 (b). The plan view of this photomask is similar to that of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1, but has a different laminated structure when viewed in cross section. That is, in the low light-transmissive portion shown in FIG. 3 (b), the stacked layers of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are reversed upside down, and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disposed on the substrate side.

이 경우,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로서의, 패턴의 설계나 그 각 파라미터, 그들에 의한 광학적인 작용 효과는,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와 마찬가지이며, 설계 디자인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변형예가 적용 가능한 것도 동일하다. 또한, 사용하는 막 소재의 물성도 동일하게 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design of the pattern as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spective parameters thereof, and the optical action effects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type of photomask, and as a design design, The same is true. In additi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the membrane material used can be the same.

단, 제2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는, 제조 방법상, 이하의 점에서 제1 형태와의 약간의 차이가 있고, 이로 인해, 사용하는 막 소재에 있어서도, 반드시 제1 형태와 마찬가지일 필요는 없다. In the photomask of the second embodiment, however, there is a slight difference from the first embodiment in the following points in term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e, the film material used is not necessarily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

예를 들어, 제1 형태에 있어서는, 도 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을 적층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고, 이에 대해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을 2회 적용하고, 포토마스크를 제조했지만, 제2 형태에 있어서는, 투명 기판 상에 저투광막만이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 For example, in the first embodiment, as shown in Fig. 4A, a photomask blank in which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are laminated is prepared, a photolithography process is applied twice to the photomask blank, In the second embodiment,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hotomask blank in which only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그리고, 이 저투광막을 먼저 에칭하고, 저투광막 패턴을 형성한다. 계속해서, 이 저투광막 패턴이 형성된 기판 상의 전체면에, 반투광막을 성막하고, 이를 패터닝한다. 이 경우,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웨트 에칭으로 패터닝을 행할 수 있는 소재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본 형태에서는, 저투광막과 반투광막이 서로의 에천트에 대한 내성을 갖는 것이 필수는 아니다. 즉, 양쪽 막에, 서로 에칭 선택성이 없어도 에칭이 가능하다. 따라서, 소재의 선택에 관해서는, 제1 형태보다 자유도가 높다. Then,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first etched to form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pattern. Subsequently,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is formed on the entire surface of the substrate on which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pattern is formed and patterne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o select a material capable of performing patterning by wet etching as in the first embodiment. However, in this embodiment, it is not essential that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semitransparent film have mutual resistance to the etchant. That is, both films can be etched even if there is no etching selectivity between them. Therefore, the degree of freedom is higher in the selection of the material than in the first embodiment.

다음에,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제3 형태에 대해, 도 3의 (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형태에 있어서도, 평면 모식도는, 도 1과 마찬가지이며, 또한, 패턴의 설계나 그 각 파라미터, 그들에 의한 광학적인 작용 효과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와 마찬가지이며, 설계 디자인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변형예가 적용 가능한 것도 동일하다. Next, a third embodiment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c). In this embodiment, the plan view is the same as in Fig. 1, and the design of the pattern, its parameters, and the optical action effects thereof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except for the following points, As a design design, the modifications shown in Fig. 2 are applicable.

도 3의 (c)에 도시하는 제3 형태의 포토마스크가, 제1 및 제2 형태의 포토마스크와 다른 점은, 반투광막이 갖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이, 대략 180도로 제약되지 않는 점이며, 이와 관련해서, 주 패턴 부분에 있어서, 투명 기판이 소정량 파들어가는 점이다. 즉, 이 형태의 주 패턴은, 재료가 된 투명 기판의 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는 대신에, 상기 주 표면에 대해 에칭에 의해 소정량의 패임부를 형성한 패임면이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반투광막이 형성된 보조 패턴과, 패임부가 형성된 주 패턴 사이에서, 서로를 투과하는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위상차가 대략 180도로 조정되어 있다. 제1 및 제2 형태의 포토마스크와 마찬가지로, 저투광부는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과,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이 순서대로, 또는, 이 반대의 순서로 적층되는 구조일 수 있다. The third type photomask shown in FIG. 3 (c) differs from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photomask in that the phase shift amount of the translucent film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And in this connection, in the main pattern portion, the transparent substrate enters a predetermined amount of wave. That is, in the main pattern of this type, instead of exposing a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made of the material, the depressed surface formed with a predetermined amount of depression portion by etching against the main surface is exposed.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s in the wavelength range of the i-line to the g-line passing through each other between the auxiliary pattern formed with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main pattern having the depressed portion is adjusted to about 180 degrees. Similarly to the first and second types of photomasks,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includes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a low-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T2 (%) of a representative wavelength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in this order, As shown in FIG.

제1 형태 또는 제2 형태에 있어서는, 반투광막의 소재와 막 두께에 의해, 투과율 T1의 조건과,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대표 파장의 위상차가 대략 180도라고 하는 조건을, 모두 충족할 필요가 있었지만, 제3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는, 투과율 T1의 조건을 우선적으로 반투광막의 조성이나 막 두께를 결정하고, 위상차의 조정은, 주 패턴의 패임량에 의해 행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In the first or second aspect, it is necessary to satisfy both the condition of the transmittance T1 and the condition that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depending on the material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film thickness In the photomask of the third embodiment, the composition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film thickness are preferentially determined under the condition of the transmittance T1, and the phase difference can be adjusted by the amount of punching of the main pattern.

이 점으로부터, 본 형태의 포토마스크는, 반투광막이 갖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은, 90도 이하, 또는, 60도 이하이어도 좋다. 주 패턴의 패임량과, 반투광막이 갖는 위상 시프트량과의 합에 의해,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대표 파장의 위상차가 대략 180도가 되도록 조정되면 된다. From this point, in the photomask of this embodiment, the phase shift amount of the translucent film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may be 90 degrees or less, or 60 degrees or less. The phase differe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may be adjusted to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by the sum of the amount of projection of the main pattern and the amount of phase shift of the semitransparent film.

또한, 제3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 투명 기판의 패임부 형성에는, 웨트 또는 드라이 에칭이 사용되지만, 보다 바람직하게는 드라이 에칭을 적용한다. 또한, 본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도, 반투광막과 저투광막 사이에, 에칭 스토퍼막을 형성해도 좋다. In the photomask of the third embodiment, wet or dry etching is used to form the depressions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but dry etching is more preferably used. Also in the photomask of this embodiment, an etching stopper film may be formed between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예를 들어,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이 적층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준비하고, 먼저, 주 패턴 부분의 양쪽 막을 에칭 제거하고, 계속해서, 투명 기판을 패임부 에칭하는 공정을 적용할 수 있다. 다음에, 제2 포토리소그래피 공정에 의해, 보조 패턴 부분의 저투광막을 에칭 제거함으로써, 제3 형태의 포토마스크를 제조할 수 있다. 이 경우, 막 소재로서는, 제1 형태와 마찬가지로 할 수 있다. For example, a photomask blank in which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are lamin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is prepared. First, both films of the main pattern portion are removed by etching, and then a step of etching the recessed por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applied . Next, the third photomask can be manufactured by etching away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by the second photolithography process. In this case, the film material may be the same as the first embodiment.

또한, 상기 제1 형태와 제2 형태와의 관계와 마찬가지로, 제3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도, 반투광막과 저투광막의 적층순을 상하 역전시켜도 좋다. Also in the photomask of the third embodiment, the stacking order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may be reversed upside down, lik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다음에, 도 3의 (d)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제4 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형태에서도 평면 모식도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다. 제4 형태는, 제3 형태와 마찬가지로, 주 패턴 부분의 투명 기판에 패임부를 형성하지만, 제3 형태와 달리, 반투광막을 사용하지 않고, 보조 패턴 부분의 투명 기판(주 표면의 일부)은 노출되어 있다. 그리고, 주 패턴 부분의 패임부 깊이의 선택에 의해, 제1 내지 제3 형태와 마찬가지로,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을 각각 투과하는 대표 파장의 광 위상차가, 대략 180도로 되어 있다. Next, a fourth embodiment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d). Also in this embodiment, the plan view is shown in Fig. The fourth embodiment differs from the third embodiment in that the transparent substrate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is formed of a translucent film It is exposed. By selecting the depression depth of the main pattern portion, the optical phase differe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respectively,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as in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이 제4 형태에 있어서는, 보조 패턴 부분에 반투광막이 존재하지 않으므로, 투과율(T1)은, 100(%)이 된다. 이 경우, 성막 횟수를 감소할 수 있고, 그에 의해, 제3 형태로부터 생산 효율의 향상 및 결함 발생 확률의 저하와 같은 장점이 얻어진다. In the fourth embodiment, since the semitransparent film does not exist in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the transmittance T1 becomes 100 (%). In this case, the number of times of film formation can be reduced, whereby advantages such as improvement in production efficiency and reduction in the probability of defect occurrence are obtained from the third embodiment.

이 경우, T1=100(%)을, 수학식 2에 적용하고, In this case, T1 = 100 (%) is applied to Equation (2)

[수학식 2]&Quot; (2) &quot;

Figure pat00016
Figure pat00016

즉, In other words,

0.5≤d≤1.5 0.5? D? 1.5

가 된다. 바람직하게는, d<W1이다. . Preferably, d < W1.

또한, 제4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사용하는 저투광막이 갖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은 대략 180도일 필요는 없고, 90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이다. Further, the amount of phase shift relative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cluded in the low light-transmittance film used in the photomask of the fourth embodiment need not be approximately 180 degrees, but is preferably 9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제4 형태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도, 도 1에 도시하는 패턴의 설계나, 특기한 이외의 각 파라미터, 그들에 의한 광학적인 작용 효과는,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와 마찬가지이며, 설계 디자인으로서, 도 2에 도시된 변형예가 적용 가능한 것도 동일하다. 또한, 저투광막에 사용하는 막 소재나 그 물성도 제1 형태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즉, 저투광부는, 상기 대표 파장의 투과율이 T3(%)이지만, 이것은,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형성되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T2=T3의 경우이다. In the photomask of the fourth embodiment, the design of the pattern shown in Fig. 1, the parameters other than the special parameters, and the optical action effect by them are the same as the photomask of the first embodiment, 2 are applicable. The film material used in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and its physical properties can also be made the same as those of the first embodiment. That is, the transmittance of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is T3 (%) at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but it may be a structure in which a low light-transmittance film having a transmittance of T2 (%)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That is, T2 = T3.

그런데, 제4 형태에 있어서의,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의 단면 구조를 반대로 한 것이, 제5 형태[도 3의 (e)]이다. 제5 형태의 주 패턴은, 투명 기판의 주 표면의 일부가 노출되어 있고, 보조 패턴은 투명 기판의 주 표면에 패임부가 형성되어 있다. 즉, 주 패턴 부분의 투명 기판 패임부 형성의 변화에, 보조 패턴 부분의 투명 기판을 파들어감으로써,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 위상차를 대략 180도로 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도, 평면에서 본 디자인이나 그 광학적인 작용 효과가 제4 형태와 동일한 것은 물론이다. 또한, 그 제조 방법이나 적용하는 막재 등에 대해서도, 특별히 차이는 없다. 따라서, 제5 형태의 저투광부는, 투명 기판 상에,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이 T2(%)인 저투광막이 형성되어 있다.Incidentally, the fifth embodiment (Fig. 3 (e)) is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tructures of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are reversed. In the main pattern of the fifth aspect, a part of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with a depressed portion on the main surface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That is, the optical phase differe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by ripp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of the auxiliary pattern portion into the change of formation of the transparent substrate depression portion of the main pattern portion. In this case as well, it is a matter of course that the design in plan view or its optical action effect is the same as the fourth embodiment. Also, there is no particular difference in the manufacturing method and the applied materials. Therefore, in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of the fifth embodiment,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a light transmittance of a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T2 (%)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도 3의 (f)에 도시하는, 본 발명의 제6 형태는, 제1 내지 제5 형태에 있어서 채용한 구성에 대해[도 3의 (f)에서는 대표하여,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 단면 모식도를 사용], 차광막 패턴을 부가할 가능성을 나타내는 것이다. 이것은, 저투광막이 실질적인 투과율을 갖는 경우에, 고려할 가치가 있다. The six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wn in Fig. 3 (f) is a modification of the first embodiment to the fifth embodiment Quot; is used), indicating the possibility of adding a light-shielding film pattern. This is worth considering if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has a substantial transmittance.

즉,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의 근방에 있어서는, 역위상의 광의 간섭 작용을 이용하지만, 상기로부터 이격된 저투광부의 영역에서는, 저투광막을 투과하는 광의 존재는 불필요하거나, 오히려, 피전사체 상에 형성하는 레지스트 패턴의 잔막량을 감소시키는 단점을 초래할 리스크가 있다. 이 리스크를 배제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으로부터 이격된 저투광부의 영역에서, 차광막 패턴을 부가하여 완전히 차광을 행하는 것도 유용하다. That is, in the vicinity of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the interference action of the opposite phase light is utilized, but in the region of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ttern, the light passing through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unnecessary, There is a risk that the residual amount of the resist pattern to be formed will decrease. In order to exclude this risk, it is also useful to completely shield light by adding a light-shielding film pattern in the region of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spaced apart from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는, 그 작용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이와 같은 차광막 패턴의 사용을 방해하지 않는다. 또한, 차광막이란, 실질적으로 노광광(상기 i선 내지 g선 범위의 대표 파장의 광)을 투과하지 않는, OD(광학 농도) 2 이상의 막을 말한다. 그 소재는, 크롬(Cr)을 주성분으로 한 것을 들 수 있다. Therefo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 of such a light-shielding film pattern is not hindered unless the action and effect are not impaired. The light-shielding film means a film having OD (optical density) 2 or more that does not substantially transmit exposure light (light having a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range of i line to g line). The material includes chromium (Cr) as a main component.

본 발명은, 상기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노광 장치에 의해 노광하여, 피전사체 상에, 상기 전사용 패턴을 전사하고, 홀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포함한다.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manufacturing method of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step of forming a hole pattern by transferring the transfer pattern onto a transfer body by exposing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by an exposure apparatus do.

본 발명의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먼저, 상술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준비한다. 다음에, 개구수(NA)가 0.08 내지 0.20이며,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광 광원을 갖는 노광 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전사용 패턴을 노광하고, 피전사체 상에, 직경 W2가 3.0㎛ 이하, 바람직하게는 0.6 내지 3.0㎛인 홀 패턴을 형성한다. 또한, 노광 장치의 노광 광원은, i선, h선 및 g선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광에는, 등배 노광을 적용하는 것이 일반적이며, 유리하다. In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display device of the present invention, first, the above-described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pared. Next, the transfer pattern is exposed using an exposure apparatus having a numerical aperture (NA) of 0.08 to 0.20 and an exposure light source including at least one of i-line, h-line and g-line, , A hole pattern having a diameter W2 of 3.0 mu m or less, preferably 0.6 to 3.0 mu m is formed. It is also preferable that the exposure light source of the exposure apparatus includes i line, h line and g line. For exposure, it is general and advantageous to apply equal exposure.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해서, 전사용 패턴을 전사할 때에 사용하는 노광기로서는, 등배의 프로젝션 노광을 행하는 방식이며, 이하의 것을 들 수 있다. 즉, LCD(액정 표시 장치)용(혹은 FPD용, 액정용)으로서 사용되는 노광기이며, 그 구성은, 광학계의 개구수(NA)가 0.08 내지 0.15[코히런스 팩터(σ)가 0.4 내지 0.9]이며,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노광광에 포함하는 광원(브로드 파장광원이라고도 함)을 갖는 것이다. 단, 개구수 NA가 0.10 내지 0.20이 되는 노광 장치에 있어서도, 본 발명을 적용해서 발명의 효과를 얻는 것이 물론 가능하다. As an exposure device used when transferring a transfer pattern using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method of performing projection exposure in the same direction, and the following can be given. That is, the exposure apparatus is used as an exposure apparatus for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FPD, liquid crystal), and has a configuration in which the numerical aperture NA of the optical system is 0.08 to 0.15 [coherence factor? , And has a light source (also referred to as a broad wavelength light source) including at least one of i line, h line and g line in the exposure light. However, it is of course possible to obtain the effect of the invention by applying the present invention to an exposure apparatus having a numerical aperture NA of 0.10 to 0.20.

또한, 사용하는 노광 장치의 광원은, 변형 조명(윤대 조명 등)을 사용해도 좋지만, 비변형 조명이어도, 발명의 우수한 효과가 얻어진다. The light source of the exposure apparatus to be used may be modified illumination (annular illumination or the like), but even in the case of unmodified illumination, an excellent effect of the invention can be obtained.

본 발명은, 제1 내지 제3 형태(및 이를 적용한 제6 형태)의 포토마스크의 원료로서,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과 저투광막(및 필요에 따라서 또한 차광막)을 적층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사용한다. 그리고, 또한 표면에 레지스트막을 도포 형성하여, 포토마스크의 제조를 행한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hotomask blank in which a semi-light-transmitting film and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and also a light-shielding film, if necessary) are laminat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as raw materials for the photomask of the first to third embodiments Lt; / RTI &gt; Then, a resist film is applied and formed on the surface, and a photomask is produced.

반투광막 및 저투광막의 물리적 성질, 막질 및 조성에 대해서는, 상기에 기재한 바와 같다. The physical properties, film quality and composition of the semitransparent film and the low light transmittance film are as described above.

즉, 상기 포토마스크 블랭크의 반투광막은,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에 대한 투과율 T1이 30 내지 8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반투광막은,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해, 굴절률이 1.5 내지 2.9이며, 대략 180도의 위상 시프트량을 갖는 막 두께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굴절률을 갖는 반투광막의 막 두께는, 충분히 얇아도 원하는 위상 시프트량을 가지므로, 반투광막의 웨트 에칭 시간을 짧게 할 수 있다. 이 결과, 반투광막의 사이드 에칭을 억제할 수 있다.That is, it is preferable that the transmittance T1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of the photomask blank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line to g-line is 30 to 80 (%). Further,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s a refractive index of 1.5 to 2.9 with respect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and has a film thickness having a phase shift amount of approximately 180 degrees. Since the film thickness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ving such a refractive index has a desired phase shift amount even if it is sufficiently thin, the wet etching time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can be shortened. As a result, the side etching of the semitransparent film can be suppressed.

또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모든 형태에 있어서, 저투광막이 성막된 포토마스크 블랭크를 사용해서 제조할 수 있다. Further, in all the forms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a photomask blank in which a low light-transmitting film is formed can be used.

이 저투광막은, 실질적으로 상기 대표 파장의 광을 투과하지 않거나, 또는, 30% 미만의 투과율을 갖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저투광막이 갖는 i선 내지 g선 범위 내의 대표 파장에 대한 위상 시프트량은, 제1 및 제2 형태에 의한 포토마스크에서는 대략 180도로 하고, 제3, 제4 및 제5 형태에 의한 포토마스크에서는, 90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도 이하로 하면 된다. The low light-transmitting film may not transmit substantially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r may have a transmittance of less than 30%. The amount of phase shift relative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i-line to the g-line range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is approximately 180 degrees in the photomask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In the mask, it may be 90 degrees or less, more preferably 60 degrees or less.

[실시예][Example]

도 5에 도시하는, 3종류(비교예 1-1 및 1-2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에 대해서, 광학 시뮬레이션에 의해, 그 전사 성능을 비교하여 평가했다. 즉, 피전사체 상에, 직경이 2.0㎛인 홀 패턴을 형성하기 위한 전사용 패턴을 갖는 3개의 포토마스크에 대해서, 노광 조건을 공통으로 설정했을 때에, 어떤 전사 성능을 나타내는지에 대해, 광학 시뮬레이션을 행했다. The photomasks of three types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and Example 1) shown in Fig. 5 were evaluated by optical simulation by comparing their transfer performances. That is, for three photomasks having a transfer pattern for forming a hole pattern having a diameter of 2.0 mu m on the transferred body, optical simulation was performed to determine what transfer performance was exhibited when exposure conditions were set in common I did.

(비교예 1-1) (Comparative Example 1-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1의 포토마스크는,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한 차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소위 바이너리 마스크의 패턴을 갖는다. 비교예 1-1의 포토마스크에서는,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이, 차광부에 둘러싸여져 있다. 주 패턴의 직경 W1(정사각형의 1변)은 2.0(㎛)이다. As shown in Fig. 5,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1-1 has a so-called binary mask pattern including a light-shielding film pattern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1-1, the main pattern including the light transmitting portion to which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is surrounded by the light shielding portion. The diameter W1 (one side of the square) of the main pattern is 2.0 (占 퐉).

(비교예 1-2) (Comparative Example 1-2)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1-2의 포토마스크는, 노광광 투과율(쌍 h선)이 5%이며 위상 시프트량이 180도의 반투광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 1변(직경)(즉 W1)이 2.0(㎛)인 사각형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을 갖는, 하프톤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이다.5,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1-2 has one side (diameter) (that is, W1 (diameter)) formed by patterning a translucent film having an exposure light transmittance (pair h line) of 5% and a phase shift amount of 180 deg. ) Is 2.0 (占 퐉), which is a halftone type phase shift mask.

(실시예 1) (Example 1)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는, 본 발명의 전사용 패턴을 갖는다. 여기서 주 패턴은, 1변(직경)(즉 W1)이 2.0(㎛)인 정사각형으로 하고, 보조 패턴은 폭 d가 1.3(㎛)인 팔각형띠로 하고, 주 패턴 중심과, 보조 패턴의 폭 중심과의 거리인 피치 P는, 4(㎛)로 했다. As shown in Fig. 5, the photomask of Example 1 has the transfer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Here, the main pattern is a square having one side (diameter) (i.e., W1) of 2.0 占 퐉,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n octagonal band having a width d of 1.3 占 퐉 and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The pitch P,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electrodes, is 4 (占 퐉).

보조 패턴은,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는, 상기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를 상정한 것이다. 이 반투광막의 노광광(대 h선) 투과율 T1은, 70(%), 위상 시프트량은 180도이다. 또한, 주 패턴 및 보조 패턴을 둘러싸는 저투광부는, 실질적으로 노광광을 투과하지 않는 차광막(OD>2)으로 이루어진다. The auxiliary pattern is a photomask of the first type in which a translucent film is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The transmittance T1 of the exposed light (h-line) of this semi-light-transmitting film is 70 (%) and the phase shift amount is 180 degrees. Further, the low-light-transmitting portion surrounding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composed of a light-shielding film (OD> 2) which does not substantially transmit the exposure light.

비교예 1-1 및 1-2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 중 어느 것에 대해서도, 피전사체 상에, 직경 W2가 2.0㎛(W1=W2이다. 즉,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직경 W2는, 포토마스크의 전사용 패턴이 갖는 주 패턴의 직경 W1과 동일함)인 홀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적용한 노광 조건은, 이하와 같다. 즉, 노광광은 i선, h선, g선을 포함하는 브로드 파장으로 하고, 강도비는, g선:h선:i선=1:0.8:1로 했다. In both of the photomasks of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and Example 1, the diameter W2 was 2.0 mu m (W1 = W2, that is, the diameter W2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was 2.0 mu m Which is the same as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of the transfer pattern of the mask). The exposure conditions applied by the simulation are as follows. That is, the exposure light has a broad wavelength including i-line, h-line, and g-line, and the intensity ratio is g-line: h-line: i-line = 1: 0.8: 1.

노광 장치의 광학계는, NA가 0.1이며, 코히런스 팩터 σ가 0.5이다.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단면 형상을 얻기 위한, 포지티브형 포토 레지스트의 막 두께는, 1.5㎛로 했다. The optical system of the exposure apparatus has NA of 0.1 and coherence factor sigma of 0.5. The film thickness of the positive type photoresist for obtaining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ist pattern formed on the transfer target body was set to 1.5 탆.

상기 조건 하에, 각 전사용 패턴의 성능 평가를 도 5에 도시한다. 또한, 피전사체 상에 형성되는, 광강도의 공간상 및 그에 의해 형성되는 레지스트 패턴의 단면 형상을 도 6에 도시한다. The performance evaluation of each transfer pattern under the above conditions is shown in Fig. Fig. 6 shows a spatial image of light intensity formed on the transfer target and a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ist pattern formed thereby.

(포토마스크의 광학적 평가) (Optical evaluation of photomask)

예를 들어, 직경이 작은 미세한 투광 패턴을 전사하기 위해서는, 포토마스크 투과 후의 노광광이, 피전사체 상에 형성하는 공간상, 즉, 투과광 강도 곡선의 프로파일이 양호하지 않으면 안된다. 구체적으로는, 투과광 강도의 피크를 형성하는 경사가 날카롭고, 수직에 가까운 상승 방향을 하고 있는 것 및 피크의 광강도의 절대값이 높은 것(주위에 서브 피크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그 강도에 대해 상대적으로, 충분히 높은 것) 등이 긴요하다. For example, in order to transfer a fine light transmitting pattern with a small diameter, the profile of the space image formed on the body to be exposed, that is,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curve should be good in exposure light after the photomask has penetrated. Specifically, it is preferable that the inclination forming the peak of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is sharp and the upward direction is close to vertical and that the absolute value of the optical intensity of the peak is high (when the sub-peak is formed around the peak, Relatively high, relatively high, etc.).

보다 정량적으로, 포토마스크를, 광학적인 성능으로부터 평가할 때, 이하와 같은 지표를 사용할 수 있다. More quantitatively, when the photomask is evaluated from the optical performance, the following indexes can be used.

(1) 초점 심도(DOF) (1) depth of focus (DOF)

목표 CD에 대해, ±10%의 범위 내가 되기 위한 초점 심도의 크기. DOF의 수치가 높으면, 피전사체(예를 들어 표시 장치용의 패널 기판)의 평탄도의 영향을 받기 어려워, 확실하게 미세한 패턴을 형성할 수 있어, 그 CD(선 폭) 편차가 억제된다. For the target CD, the magnitude of the depth of focus to be in the range of ± 10%. If the numerical value of the DOF is high, it is difficult to be affected by the flatness of the transferred body (for example, a panel substrate for a display device), and a fine pattern can surely be formed, and CD (line width) deviation is suppressed.

(2) MEEF(Mask Error Enhancement Factor) (2) MEEF (Mask Error Enhancement Factor)

Mask CD 오차와 피전사체 상에 형성된 패턴의 CD 오차의 비율을 나타내는 수치이며, MEEF가 낮을수록 피전사체 상에 형성된 패턴의 CD 오차를 저감할 수 있다.The mask error is a numerical value representing the ratio of the CD error of the pattern formed on the transferred body and the CD error. The lower the MEEF, the CD error of the pattern formed on the body can be reduced.

(3) Eop (3) Eop

표시 장치 제조용의 포토마스크에 있어서, 특히 중요한 평가 항목에, Eop가 있다. 이것은, 얻고자 하는 패턴 사이즈를 피전사체 상에 형성하기 위해 필요한 노광광량이다. 표시 장치 제조에 있어서는 포토마스크 사이즈가 크므로(예를 들어, 주 표면의 1변이 300 내지 1400㎜ 정도의 정사각형 또는 직사각형), Eop 수치가 낮은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면, 스캔 노광의 속도를 올리는 것이 가능하여, 생산 효율이 향상된다. Eop is a particularly important evaluation item in the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This is the amount of exposure light necessary to form the pattern size to be obtained on the transferred body. In the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the photomask size is large (for example, a square or a rectangle of 300 to 1,400 mm on one side of the main surface), and a photomask having a low Eop value is used, So that the production efficiency is improved.

이상을 근거로 하여, 시뮬레이션 대상의 각 샘플의 성능을 평가하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는 초점 심도(DOF)가, 55㎛ 이상으로 확대되는 등, 비교예에 비교하여 매우 우수한 점이며, 패턴의 안정된 전사성을 나타낸다. 이것은, MEEF의 값이 작은 것과 함께, 미세한 패턴의 CD 정밀도의 높이를 의미한다. 5, the photomask of Example 1 has a depth of focus (DOF) of 55 mu m or more, as shown in Fig. 5, And shows a stable transferability of the pattern. This means a height of CD precision of a fine pattern in addition to a small value of MEEF.

또한,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 Eop의 값이 매우 작다. 이것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의 경우에는, 대면적의 표시 장치 제조에 있어서도, 노광 시간이 증대하지 않거나, 또는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을 나타내고 있다. In addition, the value of the photomask Eop in Example 1 is very small. This shows that the photomask of Example 1 has the advantage that the exposure time does not increase or can be shortened even in the manufacture of a large-area display device.

또한, 도 6에 도시하는 투과광 강도의 공간상을 참조하면,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의 경우에는, 레지스트가 감광하는 임계값이 되는 레벨(Eth)에 대해, 주 패턴부의 피크를 높게 하는 것이 가능하고, 그 피크의 경사도, 충분히 세울 수 있는(피전사체의 표면에 대해 수직에 근접함) 것이 가능한 것을 알 수 있다. 이 점은, 비교예 1-1 및 1-2와 비교해서 우위에 있다. 여기서는,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광을, 주 패턴 위치의 광강도 증강에 이용하는 것을 통해서, Eop의 증가와 MEEF의 저감을 달성하고 있다. 또한,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에서는, 주 패턴의 전사상 위치의 양측에 사이드 피크가 발생하고 있지만, Eth 이하이므로, 주 패턴의 전사에는 영향이 없다. 6, in the case of the photomask of Example 1, it is possible to raise the peak of the main pattern portion to a level Eth at which the resist becomes a critical value to be sensitized , And the inclination of the peak can be sufficiently set up (close to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f the body to be transferred). This point is superior to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Here, the increase in the Eop and the reduction in the MEEF are achieved by using the light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for increasing the light intensity at the main pattern position. Further, in the photomask of Example 1, side peaks were generated on both sides of the transfer position of the main pattern, but the transfer efficiency of the main pattern is not affected because it is less than Eth.

또한, 이 사이드 피크에서 유래하는 레지스트 잔막의 손실을 저감하는 방법에 대해서, 이하에 설명한다. A method of reducing the loss of the resist remnant film derived from this side peak will be described below.

포토마스크에 형성하는 전사용 패턴의 디자인을 변경하고, 도 7에 도시하는 비교예 2-1, 비교예 2-2와 실시예 2의 샘플을 사용해서, 시뮬레이션을 행했다. 여기서는, 각 샘플 모두, 주 패턴의 직경 W1을 2.5(㎛)로 하고 있는 점에서, 상기 샘플(비교예 1-1, 비교예 1-2와 실시예 1)과 다르다. Simulations were conducted using the samples of Comparative Example 2-1, Comparative Example 2-2, and Example 2 shown in Fig. 7 by changing the design of the transfer pattern formed on the photomask. Here, all samples are different from the above samples (Comparative Example 1-1, Comparative Example 1-2 and Example 1) in that the diameter W1 of the main pattern is 2.5 (탆).

(비교예 2-1) (Comparative Example 2-1)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2-1의 포토마스크는, 투명 기판 상에 형성한 차광막 패턴을 포함하는, 소위 바이너리 마스크의 패턴이다. 비교예 2-1의 포토마스크에서는, 투명 기판이 노출되는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이, 차광부에 둘러싸여져 있다. 이 주 패턴의 직경 W1(정사각형의 1변)은 2.5(㎛)이다. As shown in Fig. 7,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2-1 is a so-called binary mask pattern including a light-shielding film pattern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In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2-1, the main pattern including the light-transmitting portion where the transparent substrate is exposed is surrounded by the light-shielding portion. The diameter W1 (one side of the square) of the main pattern is 2.5 (占 퐉).

(비교예 2-2) (Comparative Example 2-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교예 2-1의 포토마스크는, 노광광 투과율(대 h선)이 5%이며 위상 시프트량이 180도의 반투광막을 패터닝함으로써 형성된, 주 패턴의 직경 W1(정사각형의 1변)이 2.5(㎛)인 사각형의 투광부를 포함하는 주 패턴을 갖는, 하프톤형 위상 시프트 마스크이다. As shown in Fig. 7,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 2-1 has a main pattern having a diameter W1 (square) of a main pattern formed by patterning a semitransparent film having an exposure light transmittance (hue line) of 5% and a phase shift amount of 180 degrees 1 side) of 2.5 (占 퐉) is a half tone type phase shift mask having a main pattern including a quadrangular translucent portion.

(실시예 2) (Example 2)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는, 본 발명의 전사용 패턴이다.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의 주 패턴은, 주 패턴의 직경 W1(정사각형의 1변)이 2.5(㎛)인 정사각형이며, 보조 패턴은 폭 d가 1.3(㎛)인 팔각형띠이며, 주 패턴 중심과, 보조 패턴의 폭 중심의 거리인 피치 P는, 4(㎛)로 했다. 여기서도,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는, 제1 형태의 포토마스크를 상정하고 있다. As shown in Fig. 7, the photomask of Example 2 is a transfer patter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ain pattern of the photomask of Example 2 is a square having a diameter W1 (one side of a square) of 2.5 (mu m) and the auxiliary pattern is an octagonal band having a width d of 1.3 (mu m) , And the pitch P, which is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s of the widths of the auxiliary patterns, was 4 (占 퐉). Here again, the photomask of the second embodiment is assumed to be the photomask of the first embodiment.

비교예 2-1, 비교예 2-2와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해서, 피전사체 상에, 직경이 2.0㎛인 홀 패턴을 형성하는 것으로 한다. 즉, 이들 포토마스크의 마스크 바이어스(β=W1-W2)를 0.5(㎛)로 했다. 시뮬레이션에 의해 적용한 노광 조건은, 상술한 비교예 1-1 및 1-2와 실시예 1의 포토마스크 경우와 동일하다. Hole patterns having a diameter of 2.0 占 퐉 are formed on the transferred object using the photomasks of Comparative Example 2-1, Comparative Example 2-2, and Example 2. [ That is, the mask bias (? = W1-W2) of these photomasks was 0.5 (占 퐉). Exposure conditions applied by simulation are the same as those of the photomask of Comparative Examples 1-1 and 1-2 and Example 1 described above.

도 7에 도시된 데이터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우수한 DOF, MEEF와 함께, 비교예 2-1 및 2-2에 대해 유리한 성능을 나타냈다.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에서는, 특히 DOF가, 35㎛를 초과하는 수치로 되어 있다. As is evident from the data shown in Fig. 7, when the photomask of Example 2 was used, good performance was shown for Comparative Examples 2-1 and 2-2 together with excellent DOF and MEEF. In the photomask of Example 2, in particular, the DOF has a numerical value exceeding 35 mu m.

또한, 도 8에 도시하는 투과광 강도의 공간상과, 피전사체 상의 레지스트 패턴 단면 형상을 참조하면, 또한, 실시예 2의 샘플이 갖는 우수한 특성이 명백하게 된다.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실시예 2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한 경우에는, 주 패턴에 대응하는 피크가, 양쪽 사이드에 형성되는 사이드 피크보다 각별히 높아, 레지스트 데미지가 거의 발생하지 않는다. Further, referring to the spatial image of the transmitted light intensity shown in Fig. 8 and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resist pattern on the transferred body, the excellent characteristics possessed by the sample of Example 2 become clear. As shown in Fig. 8, in the case of using the photomask of Example 2, the peak corresponding to the main pattern i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side peaks formed on both sides, and resist damage hardly occurs.

이상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한 패턴 전사의 경우에는, 마스크 바이어스 β가 0.5(㎛) 정도, 구체적으로는, 0.2 내지 1.0(㎛)의 범위인 전사용 패턴에 있어서, 보다 실용에 이바지하기 쉬운, 우수한 전사상을 얻을 수 있는 것이 명백하게 되었다. From the above results, it can be seen that, in the case of pattern transfer using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 transfer pattern in which the mask bias? Is in the range of about 0.5 (占 퐉), specifically in the range of 0.2 to 1.0 It is now clear that an excellent transfer can be obtained.

이상에 의해,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우수한 성능이 확인되었다. 특히,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면, 2㎛ 이하의 미세한 패턴에 있어서, MEEF가 2.5 이하의 수치를 얻을 수 있는 것은, 장래의 표시 장치 제조에 있어서의 의의가 크다.Thus, the excellent performance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was confirmed. Particularly, when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used, it is significant in the future manufacture of a display device that a MEEF value of 2.5 or less can be obtained in a fine pattern of 2 탆 or less.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의 용도에 특별히 제한은 없다.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액정 표시 장치나 EL 표시 장치 등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시에, 바람직하게 사용할 수 있다. The use of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particularly limited.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preferably used at the time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including a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an EL display device.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 의하면, 주 패턴과 보조 패턴의 양쪽을 투과하는 노광광의 상호 간섭을 제어하고, 노광 시에 제로 차광을 저감시켜, ±1차광의 비율을 상대적으로 증대시킬 수 있다. 이로 인해, 투과광의 공간상을 대폭으로 개선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mutual interference of the exposure light transmitted through both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can be controlled, and the zero-order shielding can be reduced during exposure, and the ratio of the ± first-order light can be relatively increased. As a result, the spatial image of the transmitted light can be greatly improved.

이와 같은 작용 효과를 유리하게 얻을 수 있는 용도로서, 액정이나 EL 장치에 다용되는 콘택트 홀 등, 고립된 홀 패턴의 형성을 위해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다. 패턴의 종류로서는, 일정한 규칙성을 갖고 다수의 패턴이 배열됨으로써, 이들이 서로 광학적인 영향을 서로 미치는 밀집(Dense) 패턴과, 이러한 규칙적 배열의 패턴이 주위에 존재하지 않는 고립 패턴을 구별해서 호칭하는 경우가 많다.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는 피전사체 상에 고립 패턴을 형성하고자 할 때 바람직하게 적용된다. In order to obtain such an advantageous effect, it is advantageous to use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forming an isolated hole pattern such as a liquid crystal or a contact hole widely used in an EL device. As a kind of the pattern, a plurality of patterns having a regular regularity are arranged, thereby distinguishing a dense pattern in which the mutual optical effects are mutu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n isolated pattern in which the pattern of such regular arrangement does not exist around There are many cases.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applied when it is desired to form an isolated pattern on a body to be transferred.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본 발명의 포토마스크에는 부가적인 광학막이나 기능막을 사용해도 좋다. 예를 들어, 저투광막이 갖는 광투과율이, 검사나 포토마스크의 위치 검지에 지장을 주는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전사용 패턴 이외의 영역에 차광막이 형성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한, 반투광막에 있어서는, 그 표면에 묘화광이나 노광광의 반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반사 방지층을 형성해도 좋다.To the extent that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impaired, an additional optical film or functional film may be used for the photomask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example, in order to prevent the problem that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low light transmitting film hinders the inspection or the position detection of the photomask, the light shielding film may be formed in an area other than the transfer pattern. Further, in the semitransparent film, an antireflection layer for reducing reflection of imaging light and exposure light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thereof.

Claims (14)

투명 기판 상에 형성된 전사용(轉寫用) 패턴을 구비하는 표시 장치 제조용의 포토마스크로서, 상기 포토마스크는 개구수(NA) 0.08-0.20의 광학계를 가지는 노광 장치에 의해 피전사체 상에 전사 직경 W2(㎛)의 홀 패턴을 형성하고, 상기 전사용 패턴은,
직경 W1(㎛)의 주 패턴(단 W1>W2)과,
상기 주 패턴의 근방에 배치된, 폭 d(㎛)의 보조 패턴과,
상기 주 패턴 및 상기 보조 패턴이 형성되는 이외의 영역에 배치된 차광부를 갖고,
상기 주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이 노출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주 패턴을 투과하는 i선 내지 g선의 파장 범위에 있는 대표 파장의 광과, 상기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과의 위상차가 170 내지 190도이며,
상기 차광부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광학 농도 OD가 2 이상이며,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차광부를 통해 상기 주 패턴의 주위를 둘러싸는 정다각형의 띠 또는 원형의 띠 형상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A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having a transfer pattern formed on a transparent substrate, characterized in that the photomask has a transfer diameter (?) Formed on a transferred body by an exposure apparatus having an optical system with a numerical aperture (NA) of 0.08-0.20 W2 (占 퐉) is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transfer pattern,
A main pattern (W1 > W2) of a diameter W1 (mu m)
An auxiliary pattern having a width d (占 퐉) arranged in the vicinity of the main pattern,
And a light shielding portion disposed in an area other than the main pattern and the auxiliary pattern,
Wherein the main pattern is formed by exposing the transparent substrate,
The phase difference between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in the wavelength range of i-line through g-line passing through the main pattern and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passing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is 170 to 190 degrees,
Wherein the light-shielding portion has an optical density OD for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of 2 or more,
Wherein the auxiliary pattern has a regular polygonal band or a circular band shape surrounding the main pattern through the light shielding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을 투과하는 상기 대표 파장의 광투과율을 T1(%)로 하고,
상기 주 패턴의 중심과, 상기 보조 패턴의 폭 방향의 중심과의 거리를 P(㎛)로 할 때, 다음의 수학식 1 내지 3
[수학식 1]
Figure pat00017

[수학식 2]
Figure pat00018

[수학식 3]
Figure pat00019

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light transmittance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transmitted through the auxiliary pattern is T1 (%),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center of the main pattern and the center of the auxiliary pattern in the width direction is P (mu m), the following equations 1 to 3
[Equation 1]
Figure pat00017

&Quot; (2) &quot;
Figure pat00018

&Quot; (3) &quot;
Figure pat00019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β=W1-W2로 할 때, 0.2≤β≤1.0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when? = W1-W2, satisfies 0.2???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마스크는 등배의 프로젝션 노광 방식의 노광 장치를 이용하여 노광하기 위한 포토마스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hotomask is a photomask for exposure using an exposure apparatus of the same projection exposur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사용 패턴은, 표시 장치용 노광 장치에 의한 노광에 의해, MEEF 2.5 이하로 피전사체 상에 전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ransfer pattern is transferred onto a transfer body at a MEEF of 2.5 or less by exposure using a display apparatus exposure apparatu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T1(%)의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30 ≤ T1 ≤ 80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a translucent film having a transmittance T1 (%)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30? T1? 80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상기 대표 파장의 광에 대한 투과율이 T1(%)의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40 ≤ T1 ≤ 75
를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with a translucent film having a transmittance T1 (%) with respect to the light of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40? T1? 75
Is satisfi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 패턴 직경 W1(㎛)은
1.0 ≤ W1 ≤ 3.0
을 충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main pattern diameter W1 (mu m)
1.0? W1? 3.0
Is satisfied. &Lt; / RTI &gt;
제1항에 있어서,
d≥0.7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d &gt; / = 0.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패턴은 상기 투명 기판 상에 반투광막이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상기 반투광막은, Zr, Nb, Hf, Ta, Mo 및 Ti 중 적어도 하나와 Si를 포함하는 재료, 또는, 이들 재료의 산화물, 질화물, 산화질화물, 탄화물, 또는 산화질화탄화물을 포함하는 재료이고, 또한 웨트 에칭 가능한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auxiliary pattern is formed by forming a translucent film on the transparent substrate,
Wherein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is a material containing at least one of Zr, Nb, Hf, Ta, Mo and Ti and Si or an oxide, nitride, oxynitride, carbide or oxynitride carbide of these materials, And a wet-etchable material.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광막의 재료는,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해 1.5-2.9의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terial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s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1.5-2.9 relative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광막의 재료는, 상기 대표 파장에 대해 1.8-2.4의 범위의 굴절률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포토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material of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s a refractive index in the range of 1.8-2.4 relative to the representative wavelengt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반투광막은 표면에 묘화광 또는 노광광의 반사를 저감시키기 위한 반사 방지층을 갖는, 포토마스크.
11. The method of claim 10,
Wherein the semi-light-transmitting film has an antireflection layer for reducing reflection of imaging light or exposure light on a surface thereof.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토마스크를 준비하는 공정과,
개구수(NA)가 0.08 내지 0.20이며, i선, h선 및 g선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노광 광원을 갖는 노광 장치를 사용해서, 상기 전사용 패턴을 노광하고, 피전사체 상에, 홀 패턴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패턴 전사 방법.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photomask, comprising the steps of: preparing the photomask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13;
The transfer pattern is exposed using an exposure apparatus having an exposure number NA of 0.08 to 0.20 and an exposure light source including at least one of i line, h line and g line, To form a pattern.
KR1020170129436A 2014-09-29 2017-10-11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18250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54522A KR102304206B1 (en) 2014-09-29 2020-11-18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199013 2014-09-29
JP2014199013A JP6335735B2 (en) 2014-09-29 2014-09-29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27A Division KR20160037806A (en) 2014-09-29 2015-09-25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522A Division KR102304206B1 (en) 2014-09-29 2020-11-18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988A true KR20170117988A (en) 2017-10-24
KR102182505B1 KR102182505B1 (en) 2020-11-24

Family

ID=55605593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27A KR20160037806A (en) 2014-09-29 2015-09-25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0170129436A KR102182505B1 (en) 2014-09-29 2017-10-11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0200154522A KR102304206B1 (en) 2014-09-29 2020-11-18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927A KR20160037806A (en) 2014-09-29 2015-09-25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4522A KR102304206B1 (en) 2014-09-29 2020-11-18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6335735B2 (en)
KR (3) KR20160037806A (en)
CN (2) CN105467745B (en)
TW (4) TWI604264B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86A (en) * 2020-01-07 2021-07-15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케이 일렉트로닉스 Photomask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259509B1 (en) * 2016-12-28 2018-01-10 株式会社エスケーエレクトロニクス Halftone mask, photomask blan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halftone mask
JP6808665B2 (en) * 2017-03-10 2021-01-06 Hoya株式会社 Photo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s and manufacturing method for display devices
JP7080070B2 (en) * 2017-03-24 2022-06-03 Hoya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JP6368000B1 (en) * 2017-04-04 2018-08-01 株式会社エスケーエレクトロニクス Photomask, photomask blank, and photomask manufacturing method
TWI659262B (en) * 2017-08-07 2019-05-11 日商Hoya股份有限公司 Method of repairing a photomask, method of manufacturing a photomask, photo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TWI742885B (en) * 2017-09-12 2021-10-11 日商Hoya股份有限公司 Photomask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JP6731441B2 (en) * 2018-05-01 2020-07-29 Hoya株式会社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KR102254646B1 (en) 2018-07-30 2021-05-2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Method for correcting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367141B1 (en) * 2019-02-27 2022-02-23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7437959B2 (en) * 2019-03-07 2024-02-26 Hoya株式会社 Modified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845A (en)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Mask and production of mask
KR20060012332A (en) * 2003-06-24 2006-02-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Mask data manufacturing method
JP2013148892A (en) 2011-12-21 2013-08-01 Dainippon Printing Co Ltd Large phase shift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35751A (en) * 2012-06-01 2013-12-1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hotomask and pattern transfer method
KR20140052890A (en) * 2012-10-25 2014-05-07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pattern transfer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95360A (en) * 1992-09-10 1994-04-08 Fujitsu Ltd Optical mask
JP2000019710A (en) * 1998-07-07 2000-01-21 Hitachi Ltd Manufacture of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JP2000181048A (en) * 1998-12-16 2000-06-30 Sharp Corp Photomask, its production and exposure method using the same
JP4645076B2 (en) * 2004-06-28 2011-03-09 凸版印刷株式会社 Phase shift mask,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pattern transfer method
EP1746460B1 (en) * 2005-07-21 2011-04-06 Shin-Etsu Chemical Co., Ltd. Photomask blank, photomask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JP3971775B2 (en) * 2005-10-17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hoto mask
JP3971774B2 (en) * 2005-10-17 2007-09-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Pattern formation method
JP2007219038A (en) * 2006-02-15 2007-08-30 Hoya Corp Mask blank and photomask
JP4484909B2 (en) * 2007-07-24 2010-06-16 キヤノン株式会社 Original data creation method, original data creation method, exposure method, and original data creation program
US8709681B2 (en) * 2009-04-16 2014-04-29 Hoya Corporation Mask blank, transfer mask, and film denseness evaluation method
JP5611581B2 (en) * 2009-12-21 2014-10-22 Hoya株式会社 Mask blan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transfer mask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2013140236A (en) * 2011-12-29 2013-07-18 Hoya Corp Mask blan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phase shift mask
KR101624435B1 (en) * 2012-02-15 2016-05-25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hase shift mask and method for forming resist pattern using phase shift mask
JP6139826B2 (en) * 2012-05-02 2017-05-31 Hoya株式会社 Photomask, pattern transfer method, and flat panel display manufacturing method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5845A (en) 1989-06-14 1991-01-24 Hitachi Ltd Mask and production of mask
KR20060012332A (en) * 2003-06-24 2006-02-07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Mask data manufacturing method
JP2013148892A (en) 2011-12-21 2013-08-01 Dainippon Printing Co Ltd Large phase shift 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130135751A (en) * 2012-06-01 2013-12-11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photomask and pattern transfer method
KR20140052890A (en) * 2012-10-25 2014-05-07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pattern transfer method
JP2014102496A (en) * 2012-10-25 2014-06-05 Hoya Corp Photo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pattern transfer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89086A (en) * 2020-01-07 2021-07-15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케이 일렉트로닉스 Photomas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04206B1 (en) 2021-09-17
KR102182505B1 (en) 2020-11-24
TW201740184A (en) 2017-11-16
TW201928507A (en) 2019-07-16
TW201627751A (en) 2016-08-01
TWI635353B (en) 2018-09-11
TWI694302B (en) 2020-05-21
JP2016071059A (en) 2016-05-09
KR20160037806A (en) 2016-04-06
TWI658320B (en) 2019-05-01
JP6335735B2 (en) 2018-05-30
TW201743129A (en) 2017-12-16
TWI604264B (en) 2017-11-01
KR20200132813A (en) 2020-11-25
CN105467745A (en) 2016-04-06
CN105467745B (en) 2019-12-20
CN110824828A (en) 2020-02-21
CN110824828B (en) 2023-12-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206B1 (en)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2195658B1 (en) Photomask, the method of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blank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101544324B1 (en) Photomask for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pattern transfer method
JP2016071059A5 (en)
JP2016024264A5 (en)
KR102207837B1 (en) Method for correcting photomask, method for manufacturing photomask, photomask,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KR20210011481A (en) Photomask for use in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a display device
JP7231667B2 (en) Photomask blan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photomask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device
JP6731441B2 (en) Photomask and display device manufacturing method
JP2019012280A (en) Photomask, production method thereof, photomask blank, and production method of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