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7711A -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7711A
KR20170117711A KR1020160045460A KR20160045460A KR20170117711A KR 20170117711 A KR20170117711 A KR 20170117711A KR 1020160045460 A KR1020160045460 A KR 1020160045460A KR 20160045460 A KR20160045460 A KR 20160045460A KR 20170117711 A KR20170117711 A KR 201701177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pper
food waste
stirring
washing water
s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54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한정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한정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한정밀
Priority to KR10201600454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7711A/ko
Publication of KR201701177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77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8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 B01F27/9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substantially vertical axis with paddles or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9DISPOSAL OF SOLID WASTE; RECLAMATION OF CONTAMINATED SOIL
    • B09BDISPOSAL OF SOLID WAS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09B3/00Destroying solid waste or transforming solid waste into something useful or harmless
    • B01F15/00123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7/18
    • B09B3/0058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3/00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 B65G33/08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 B65G33/14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 B65G33/16Screw or rotary spiral conveyors for fluent solid materials comprising a screw or screws enclosed in a tubular housing with flexible screws operating in flexible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5Mixing waste with other ingredients
    • B01F2215/0042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rocessing Of Solid Was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세척수를 분출하는 세척수분출수단을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를 통과한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이송시키되 이송과 동시에 세절하는 세절이송부와; 상기 세절이송부의 하류측에 연결되며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교반부 하부의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개폐부와; 상기 세절이송부와 교반부와 배출구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처리할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호퍼를 가지므로 밀려드는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일단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한 회분당 처리용량이 커 여유로운 처리가 가능하고,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날개부에 블레이드가 형성되므로 이송과 세절이 동시에 구현되어 그만큼 처리효율이 뛰어나며, 호퍼의 상단부로부터 세척수를 내려 보내어 호퍼 및 이송부의 내부 물청소를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팀을 통과시켜 살균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GARBAGE DISPOSAL DEVICE}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식당이나 급식시설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는 구성을 가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무분별하게 버려지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는 그 자체가 공해물질로서, 대기나 토양 또는 지하수 등을 크게 오염시키는 원인이 되며, 악취를 발생하고 해충의 번식을 유발하는 등 여러 가지 환경적 피해를 야기한다. 더욱 큰 문제는 음식물쓰레기의 양이 막대하다는 것이다. 특히 대규모 아파트단지나 식당 또는 군부대나 야외 취사시설 등에서 배출되는 음식물쓰레기는 일일이 처리하기가 힘들 정도이다.
이러한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다양한 처리방식 및 형태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다양하게 개발 및 보급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일반 가정에도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가 많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가정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싱크볼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로, 싱크볼에서 내려오는 음식물쓰레기를 분쇄 처리하여 그 부피를 줄이거나 건조시키는 기능을 한다. 가령 국내등록특허 제879400호의 음식물쓰레기처리장치는, 싱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싱크볼에서 배출되는 각종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분쇄하는 구조를 갖는다.
상기한 가정용 처리장치 이외에도, 식당 등의 급식시설에서 사용할 수 있는 이를테면 중대형 처리장치도 제안된 바 있다. 예컨대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10-0002054호의 음식물쓰레기용 탈수장치는, 식당 싱크대의 배수구에 장착하여 싱크대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를 바로 받아 탈수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런데 이러한 탈수식 처리장치는, 단지 음식물의 함수율을 낮출 뿐 음식물을 물리적으로 분쇄하는 것이 아니라는 한계가 있는 것이다.
상기 탈수식 이외에, 국내공개특허공보 제10-2002-0042298호에 개시되어 있는 처리장치는, 처리조내에 미생물을 투입하여 미생물로 하여금 음식물쓰레기를 분해하도록 하는 방식의 것이다. 이러한 발효식 처리장치는, 처리에 시간이 많이 소요되며 미생물의 처리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온도와 습도를 정확히 맞추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다.
또한, 국내등록특허공보 제10-1577344호의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는, 분쇄부와 압착부가 수직으로 배치되며 또한 이동이 가능한 구성을 가진다. 그런데 상기 처리장치는, 투입부의 바로 아래에 분쇄부가 설치되므로 사용에 부담이 있고, 가령 손가락을 다칠 염려가 있었다. 또한 세척수파이프가 밀폐커버에 배치되므로 밀폐커버가 무거워 사용이 불편하다는 불편함도 있었다.
결국, 종래 대부분의 중대형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그 크기가 성능에 비해 크고 동력소모가 심하며 사용에 부담이 있다는 단점이 있었으며, 이러한 이유로, 말하자면, 음식물쓰레기 처리공장 정도에나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반입되는 음식물쓰레기를 처리하는 정도로만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처리할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호퍼를 가지므로 밀려드는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일단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한 회분당 처리용량이 커 여유로운 처리가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날개부에 블레이드가 형성되므로 이송과 세절이 동시에 구현되어 그만큼 처리효율이 뛰어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퍼의 상단부로부터 세척수를 내려 보내어 호퍼 및 이송부의 내부 물청소를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팀을 통과시켜 살균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운용이 가능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처리할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여 하부로 내려 보내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출하는 세척수분출수단을 갖는 호퍼와; 상기 호퍼의 하부에 위치하며 호퍼를 통과한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이송시키되 이송과 동시에 세절하는 세절이송부와; 상기 세절이송부의 하류측에 연결되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바닥판에 배출구가 형성되어 있는 교반케이스와, 상기 교반케이스의 상부에 결합하며 급기구 및 배기구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커버와, 상기 교반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로터와,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커버의 급기구를 통해 교반케이스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배기구를 통해 교반케이스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기수단을 구비하는 교반부와; 상기 교반케이스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를 개폐하는 배출구개폐부와; 상기 세절이송부와 교반부와 배출구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호퍼와 세절이송부와 교반부와 배출구개폐부와 제어부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를 상부로 개방하는 개방구를 가지는 케이싱과, 상기 케이싱의 개방구에 설치되며 케이싱의 내부공간을 개폐하는 덮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배기수단을 통해 배출된 악취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정화한 후 케이싱 외부로 배기하는 탈취부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세척수분출수단은; 호퍼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호퍼의 내향면을 향해 개방된 다수의 세척수분출구를 가지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분출구를 통해 배출하는 세척수챔버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이송부 또는 교반부의 내부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유도하는 스팀공급관과, 상기 스팀공급관의 단부에 장착되는 전환밸브와, 상기 전환밸브와 교반부를 연결하며, 전환밸브의 조작에 따라 스팀공급관으로부터 스팀을 넘겨받아 교반부로 공급하는 제 1연결관과, 상기 전환밸브와 세절이송부를 연결하며, 전환밸브의 조작에 따라 스팀공급관으로부터 스팀을 넘겨받아 이송부로 전달하는 제 2연결관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세절이송부와 교반부의 사이에는, 세절이송부에서 교반부로 넘어가는 음식물쓰레기에 물리적인 힘을 인가하여 수분을 짜내는 압착부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배출구개폐부는; 상기 교반케이스의 배출구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에 고정된 랙기어와, 상기 랙기어와 치합하는 피니언기어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를 받아 피니언기어를 회전시켜 슬라이딩플레이트가 배출구를 개폐하게 하는 개폐모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처리할 음식물쓰레기를 수용하는 호퍼를 가지므로 밀려드는 많은 양의 음식물쓰레기를 일단 받아들일 수 있으므로 한 회분당 처리용량이 커 여유로운 처리가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음식물쓰레기를 이송하는 이송스크류의 날개부에 블레이드가 형성되므로 이송과 세절이 동시에 구현되어 그만큼 처리효율이 뛰어나다.
아울러, 본 발명은, 호퍼의 상단부로부터 세척수를 내려 보내어 호퍼 및 이송부의 내부 물청소를 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스팀을 통과시켜 살균은 물론 악취를 제거하여 더욱 위생적인 운용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교반부의 일부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교반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교반부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상기 도 2에 도시한 이송스크류의 특징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의 부분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는, 박스의 형태를 취하며 그 일측 상부에 개방구(13c)를 갖는 케이싱(13)과, 상기 케이싱(13)에 힌지(25a)를 통해 연결되며 상하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개방구(13c)를 개폐하는 덮개(25)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케이싱(13)이 제공하는 내부공간(13a)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호퍼(29)와, 세절이송부(도 2의 41)와, 교반부(47)와, 탈취부(19)와, 제어부(37) 등이 설치된다. 상기 각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후속 설명에서 자세히 다루어진다.
먼저, 상기 케이싱(13)은 대략 김치냉장고의 사이즈를 가지며, 상기 개방구(13c)의 측부에 터치패널(37a)과, 조작스위치(37b,37c)와, 비상스위치(37d)를 구비한다.
상기 터치패널(37a)과 조작스위치(37b,37c)와 비상스위치(37d)는 제어부(37)의 일부 구성요소로서, 사용자가 수시로 조작할 수 있도록 케이싱(13)의 상면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터치패널(37a)에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내의 처리 진행상황이나 운전시간은 물론 각 요소의 작동여부와 교반부(47) 내의 온도 정보가 디스플레이된다. 또한 터치패널(37a)을 통해 세척수분출수단과 세절이송부(41)와, 교반부(47)와, 배출구개폐부 등을 개별 조작할 수 도 있다.
상기 터치패널(37a)의 측부에 구비되어 있는 두 개의 조작스위치(37b,37c) 중, 일측 조작스위치(37b)는 전력선(31)을 통해 전력을 공급받는 말하자면 스타트스위치이고, 나머지 조작스위치(37c)는 전력을 차단하는 스톱스위치이다. 또한 비상스위치(37d)는 비상시 처리장치(11)의 작동을 정지시키는 스위치이다. 가령 전력이 공급되어 작동하고 있는 상황에서, 비상 상황 발생시 내부 회로를 급히 차단하여 작동을 정지시키는 기능을 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싱(13)의 전면에는 점검도어(15)가 구비되어 있다. 상기 점검도어(15)는 손잡이(15a)를 가지는 회동식 도어로서 필요시 사용자에 의해 개방된다. 사용자는 유지보수가 필요하거나 또는 후술할 전환밸브(도 2의 33e)를 조작하기 위하여 상기 점검도어(15)를 개방하고 케이싱(13) 내부를 들여다 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점검도어(15)의 측부에는 처리물받이통(17)이 구비된다. 상기 처리물받이통(17)은 상부로 개방된 서랍형 케이스로서, 교반케이스(도 2의 47a) 하부에 위치한 상태로 교반케이스(47a)로부터 낙하하는 처리물(z)을 받아 저장한다. 사용자는 상기 처리물받이통(17)을 수시로 인출하여 비운 후 재장착한다. 도면부호 17a는 손잡이이다.
한편, 상기 개방구(13c)의 내측에는 걸림턱부(13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걸림턱부(13b)는 안내커버(27)의 테두리부가 걸쳐지는 부분이다.
상기 안내커버(27)는 일정두께를 갖는 사각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그 중앙에 관통구(27b)를 갖는다. 상기 관통구(27b)는 그 내경이 호퍼(29) 상단부의 내경과 같게 형성된 구멍으로서, 안내커버(27)가 걸림턱부(13b)에 걸쳐진 상태로 호퍼(29)의 연직 상부에 위치한다. 특히 상기 안내커버(27)의 테두리부와 관통구(27b)의 사이는, 관통구(27b)를 향하여 하향 경사진 경사면(27a)을 이룬다.
상기 안내커버(27)는 음식물쓰레기를 호퍼(29)로 옮기는 과정에서, 부주의로 인해, 음식물쓰레기가 케이싱(13) 내부로 떨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받침판의 역할을 한다. 상기 안내커버(27)가 없다면, 케이싱의 바닥면은 물론 케이싱내의 구성요소들 이를테면 세절이송부(41)나 이송모터(41e)나 체인(41g)이나 전환밸브(33e) 등이 음식물쓰레기나 음식물쓰레기로부터 빠져나온 물에 의해 크게 오염되어 악취를 발생하고 벌레를 발생시키게 된다.
상기 받침판(27)은 스텐레스스틸판을 펀칭 가공하여 제작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호퍼(29)의 상단부 내향면에는 다수의 세척수분출구(29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분출구(29a)는 물공급관(29b)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내측으로 분사하는 노즐형 구멍으로서, 호퍼(29) 상단부의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이룬다. 상기 세척수분출구(29a)에 대한 설명은 도 2를 통해 추가하기로 한다.
도면부호 19는 탈취부이다. 상기 탈취부(19)는 교반케이스(47a)로부터 배출되는 악취를 정화처리하는 것으로서, 정화된 공기를 배기부(19a)를 통해 케이싱(13) 외부로 배출한다.
도 2는 상기 도 1에 도시한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11)의 전체적인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구성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케이싱(13)의 내부공간(13a)에 프레임(39)이 배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프레임(39)은 후술할 각 구성요소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그 구조는 필요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진다.
한편, 상기 호퍼(29)의 상부에 안내커버(27)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안내커버(27)는 내측으로 하향 경사진 플레이트형 부재로서 호퍼(29) 내에 음식물쓰레기를 옮기는 과정에서 음식물쓰레기를 실수로 떨어뜨리더라도 음식물쓰레기가 호퍼(29)로 무사히 투입될 수 있도록 받쳐준다. 더욱이 하향 경사진 경사면(27a)은 음식물쓰레기가 호퍼(29)로 미끄러져 내려가도록 한다.
또한, 상기 호퍼(29)의 상단부에는 세척수챔버(29d)가 마련되어 있다. 상기 세척수챔버(29d)는 커넥터(29c)를 통해 물공급관(29b)과 연통하는 공간으로서, 물공급관(29b)을 통해 공급된 세척수를 그 내부에 받아들임과 동시에 세척수분출구(29a)를 통해 호퍼(29) 내측으로 배출한다. 상기 세척수챔버(29d)는 호퍼(29) 상단 테두리부를 따라 연장된 링의 형태를 취한다.
경우에 따라 세척수챔버(29d)를 대신하는 호스를 적용할 수 도 있다. 이를테면, 일정길이를 갖는 가요성호스를 물공급관(29b)과 연결하고 호퍼(29)의 상단부 내측에 매달아 놓는 것이다. 이 때 호스에도 물배출구멍이 형성되어 있어야 함은 당연하다.
도면부호 29e는 밸브이다. 상기 밸브(29e)는 제어부(37)를 통해 개폐되는 솔레노이드 밸브일 수 도 있고, 작업자에 의해 조작되는 수동밸브 일 수 도 있다. 어쨌거나 상기 밸브(29e)가 개방됨에 의해 세척수분출구(29a)을 통한 세척수의 분출이 이루어진다.
상기 세척수분출구(29a)를 통해 분출된 물, 즉, 세척수는 호퍼(29)의 내벽면을 따라 흘러내리며 호퍼(29)에 붙어 있는 불순물을 씻어낸 후 세절이송부(41)의 하우징(41a)을 경유하여 배수관(35)으로 배출된다. 이 과정에서 세절이송부(41) 내부의 이물질도 함께 씻어냄은 물론이다.
상기 배수관(35)을 통해 배수된 물은 별도의 필터(미도시)를 통과한 후 하수관으로 버려진다.
한편, 상기 세절이송부(41)는, 호퍼(29)의 하부에 위치하며 호퍼(29)를 통해 내려온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세절하며 압착부(43)로 이송한다.
상기 세절이송부(41)는, 내부공간을 제공하는 하우징(41a)과, 상기 하우징(41a)의 내부에 축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이송스크류(41b)와, 상기 이송스크류(41b)를 축회전 시키는 이송모터(41e)를 포함한다.
상기 이송스크류(41b)가 이송모터(41e)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이송스크류(41b)의 스크류샤프트(41c)는 하우징(41a)의 외부로 연장되고 연장단부에 종동스프로킷(41d)을 갖는다. 또한 상기 이송모터(41e)의 구동축에는 구동스프로킷(41f)이 고정되고, 구동스프로킷(41f)과 종동스프로킷(41d)은 체인(41g)으로 이어진다.
상기 이송모터(41e)의 작동에 의해 출력되는 회전토오크는, 구동스프로킷(41f)과 체인(41g)과 종동스프로킷(41d)을 통해 이송스크류(41b)로 전달되어 이송스크류(41b)를 강력한 힘으로 회전시킨다.
특히 상기 이송스크류(41b)는 음식물쓰레기를 압착부(43)측으로 밀어내는 동안 세절작용을 동시에 수행한다. 세절이라 함은 음식물쓰레기를 절단하여 부피를 감소시키는 일을 의미한다. 상기 이송스크류(41b)가 이송과 세절을 동시에 수행하게 할 수 있도록, 도 6에 도시한 바와같이, 이송스크류(41b)의 날개부(41h)에 블레이드(41j)가 형성되어 있다.
도 6을 통해 상기 이송스크류(41b)의 세부 구조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상기 이송스크류(41b)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이송스크류(41b)는, 그 일단부에 종동스프로킷(도 2의 41d)이 고정되는 스크류샤프트(41c)와, 상기 스크류샤프트(41c)의 주연부에 고정되며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날개부(41h)로 구성된다.
특히, 상기 날개부(41h)에는 다수의 블레이드(41j)가 형성된다. 상기 블레이드(41j)는 이송스크류(41b)가 화살표 r 방향으로 회전함에 의해 화살표 s 방향으로 이동하는 음식물쓰레기를 통과시키며 세절하는 역할을 한다. 음식물쓰레기를 이송시킴과 동시에 세절할 수 있는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한 블레이드(41j)나 날개부(41h)의 형상은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세절이송부(41)의 하류측, 즉, 도면상 우측부에 압착부(43)가 설치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압착부(43)는, 하우징(41a)의 길이방향(음식물쓰레기의 이송방향) 단면적보다 작은 유동단면적을 가지는 통로로서, 투입구(47p)와의 사이에 탄력판(도 3의 42)를 갖는다.
상기와 같이 압착부(43)의 내부 유동단면적이 하우징(41a)의 유동단면적보다 작으므로, 압착부(43)로 압입되는 음식물쓰레기에 물리적인 압축력이 작용한다. 이는 음식물쓰레기에 포함되어 있은 수분을 압착하여 짜내는 효과로 이어진다. 상기 효과를 배가시키기 위하여 압착부(43)의 내주면에 테이퍼를 줄 수 도 있다. 이를테면 압착부(43)의 내경이 투입구(47p)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할 수 도 있는 것이다.
상기 탄력판(42)은 탄력고무로 제작된 원판상 부재로서 일정두께를 가지며 도 3에 도시한 바와같이, 그 중앙부에 열십자 형태의 압출슬릿(42a)을 갖는다. 상기 압출슬릿(42a)은 압착부(43)를 통과하는 음식물쓰레기가 비집고 나오는 통로이다. 음식물쓰레기가 압출슬릿(42a)을 통과하는 동안 다시 한 번 압착된다.
상기 탄력판(42)의 두께나 물성은 물론 압출슬릿(42a)의 형상이나 사이즈도 경우에 따라 얼마든지 달라질 수 있다. 특히 상기 탄력판(42)은 압착부(43)와 투입구(47p)가 맞닿은 부위에 개재된 상태로 연결클램프(45)에 의해 조여지므로 밀폐용 실(seal)의 역할을 겸하며 교체도 매우 간단하다.
상기 압착부(43)와 탄력판(42)을 통과한 음식물쓰레기는 교반부(47)로 이송되어 건조처리된 후 처리물받이통(17)으로 낙하한다.
상기 교반부(47)는 원통의 형태를 취하며 투입구(47p)을 음식물쓰레기를 넘겨받는 교반케이스(47a)와,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로터(47d)와, 상기 로터(47d)를 구동하는 교반모터(47b) 및 감속기(47c)와, 교반케이스(47a)의 외부에 채워지며 교반케이스(47a)를 가열하는 밴드히터(47e)를 포함한다.
상기 교반부(47)에 대해 도 3 내지 도 5를 통해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상기 교반부(47)의 일부 구조를 별도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교반부의 평면도이다. 또한,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교반부 내부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절제 분해 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교반케이스(47a)는 일정직경을 갖는 원통형 부재로서 상부로 개방되고 바닥판(47z)에 사각의 배출구(47u)를 갖는다. 상기 배출구(47u)는 건조처리가 완료된 처리물을 하부로 낙하시키기 위한 통로로서 슬라이딩플레이트(47k)에 의해 개폐된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7k)는 일정두께를 가지며 그 저면에 랙기어(47m)를 구비한 사각판으로서 배출구(47u)의 하부에 형성되어 있는 가이드홈(47v)에 지지되며 슬라이딩 운동 가능하다.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7k)의 작동에 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상부에는 케이스커버(47n)가 씌워진다. 상기 케이스커버(47n)는 교반케이스(47a)의 내부공간을 밀폐함과 동시에 감속기(47c)와 교반모터(47b)를 지지한다. 상기 교반모터(47b)는 제어부(37)로부터 작동신호를 받아 토오크를 발생하고 감속기(47c)를 구동한다.
상기 감속기(47c)는 케이스커버(47n)의 중앙부에 고정되며 로터(47d)의 수직샤프트(47w)를 축회전시킨다.
상기 로터(47d)는, 감속기(47c)의 구동축에 연결되며 수직으로 연장된 수직샤프트(47w)와, 상기 수직샤프트(47w)에 고정된 상태로 수평 연장된 회동아암(47x)와, 일부 회동아암(47x)의 연장단부에 고정된 스위핑플레이트(47y)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핑플레이트(47y)는 탄성변형 가능한 판상부재로서, 일측 에지부가 교반케이스(47a)의 내주면에 접하며, (로터(47d)의 작동시) 내주면에 붙어있는 음식물쓰레기 찌꺼기를 긁어낸다. 상기 스위핑플레이트(47y)로서 금속판이나 합성수지판 또는 고무판을 적용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케이스커버(47n)에는 두 개의 배기구(47q)와 하나의 급기구(47r)가 관통 형성되어 있고, 각 배기구(47q)에는 배기팬(47s)이 급기구(47r)에는 급기팬(47t)이 설치된다.
상기 급기팬(47t)은 교반케이스(47a) 내부로 건조용 공기를 주입하는 역할을 하며, 배기팬(47s)는 교반케이스(47a) 내부의 습한 공기를 빼내는 역할을 한다. 이와같이 급기팬(47t) 및 배기팬(47s)을 적용하여 교반케이스(47a) 내부의 공기를 계속적으로 교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상승시킬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밴드히터(47e)는 외부로부터 공급된 전력에 의해 발열하여 교반케이스(47a)를 가열한다.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함과 동시에 가열함으로써 건조효율을 배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교반부(47)는 프레임(39)에 의해 견고히 지지된 상태로 그 하부에 개폐모터(47f)와 처리물받이통(17)을 갖는다.
즉, 도 2에 도시한 바와같이,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하부에는 개폐모터(47f)가 설치된다. 상기 개폐모터(47f)는 제어부(37)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피니언기어(47g)를 구동한다. 피니언기어(47g)가 회전함에 의해 슬라이딩플레이트(47k)가 가령 화살표 c 방향으로 이동하여 배출구(47u)가 개방되게 된다.
상기 과정을 통해 배출국(47h)가 개방되며 교반케이스(47a) 내부에서 처리를 마친 처리물이 하부로 낙하하며 처리물받이통(17)에 모이게 된다.
또한, 상기 교반부(47)의 상부에는 탈취부(19)가 설치된다. 상기 탈취부(19)는 배기팬(47s)의 작동시 올라오는 악취를 흡기부(19b)를 통해 받아들여 탈취한 후 배기부(19a)로 내보내는 작용을 한다. 상기 탈취부(19)의 작용 자체는 공지의 탈취기와 마찬가지이다.
한편, 상기 세절이송부(41)와 교반부(47)의 내부를 스팀 살균하기 위한 것으로서, 스팀공급관(33a)과 전환밸브(33e)와 제 1연결관(33c)과 제 2연결관(33d) 및 스팀배출관(33b)이 적용된다.
상기 전환밸브(33e)는 한 개의 유입구와 두 개의 유출구를 갖는 이른바 3-way 밸브로서, 프레임(39)에 지지된 상태로 적절한 위치에 고정된다. 적절한 위치라 함은 상기 점검도어(15)를 개방했을 때 사용자의 손이 용이하게 닿을 수 있는 위치이다.
상기 스팀공급관(33a)은 외부의 스팀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전환밸브(33e)로 유도하는 파이프이다. 상기 스팀공급관(33a)이 전환밸브의 유입구에 연결됨은 물론이다.
또한, 제 1연결관(33c)은 전환밸브(33e)의 일측 유출구와 교반케이스(47a)를 연결하는 파이프이고, 제 2연결관(33d)은 타측 유출구와 세절이송부(41)의 하우징(41a)을 연결한다. 아울러 스팀배출관(33b)은 하우징(41a)을 통과한 스팀을 외부로 배출하는 파이프이다.
상기 구조를 갖는 스팀살균수단에 있어서, 전환밸브(33e)를 조작하여 교반부(47)와 세절이송부(41)에 선택적으로 스팀을 공급함으로써, 교반부(47)와 세절이송부(41)의 내부를 살균세척함은 물론 악취까지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세절이송부(41)로 공급된 스팀은 스팀배출관(33b)을 통해 외부로 빠져나온다. 이에 비해 교반케이스(47a)로 공급된 스팀은 상기 배기팬(47s) 및 급기팬(47t)을 상향 통과한 후 탈취부(19)를 거쳐 케이싱(13) 외부로 빠져나간다.
결국 상기한 바와같이 구성되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는, 세척수를 분출하여 호퍼(29)와 세절이송부(41)의 내부를 물청소 할 수 있고, 또한 스팀을 이용해 살균까지 가능하므로, 그만큼 위생적인 관리가 가능한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13:케이싱 13a:내부공간
13b:걸림턱부 13c:개방구 15:점검도어
15a:손잡이 17:처리물받이통 17a:손잡이
19:탈취부 19a:배기구 19b:흡기부
25:덮개 25a:힌지 27:안내커버
27a:경사면 27b:관통구 29:호퍼
29a:세척수분출구 29b:물공급관 29c:커넥터
29d:세척수챔버 29e:밸브 31:전력선
33a:스팀공급관 33b:스팀배출관 33c:제 1연결관
33d:제 2연결관 33e:전환밸브 35:배수관
37:제어부 37a:터치패널 37b,37c:조작스위치
37d:비상스위치 39:프레임 41:세절이송부
41a:하우징 41b:이송스크류 41c:스크류샤프트
41d:종동스프로킷 41e:이송모터 41f:구동스프로킷
41g:체인 41h:날개부 41j:블레이드
42:탄력판 42a:압출슬릿 43:압착부
45:연결클램프 47:교반부 47a:교반케이스
47b:교반모터 47c:감속기 47d:로터
47e:밴드히터 47f:개폐모터 47g:피니언기어
47k:슬라이딩플레이트 47m:랙기어 47n:케이스커버
47p:투입구 47q:배기구 47r:급기구
47s:배기팬 47t:급기팬 47u:배출구
47v:가이드홈 47w:수직샤프트 47x:회동아암
47y:스위핑플레이트 47z:바닥판

Claims (6)

  1. 처리할 음식물쓰레기를 받아들여 하부로 내려 보내는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분출하는 세척수분출수단을 갖는 호퍼(29)와;
    상기 호퍼(29)의 하부에 위치하며 호퍼(29)를 통과한 음식물쓰레기를 받아 이송시키되 이송과 동시에 세절하는 세절이송부(41)와;
    상기 세절이송부(41)의 하류측에 연결되며 원통의 형태를 취하고 바닥판에 배출구(47u)가 형성되어 있는 교반케이스(47a)와,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상부에 결합하며 급기구(47r) 및 배기구(47q)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커버(47n)와,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내부에 설치되어 음식물쓰레기를 교반하는 로터(47d)와, 상기 로터(47d)를 회전시키는 구동수단과, 상기 케이스커버(47n)의 급기구(47r)를 통해 교반케이스(47a)내에 공기를 공급하는 에어공급수단과, 상기 배기구(47q)를 통해 교반케이스(47a)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는 에어배기수단을 구비하는 교반부(47)와;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하부에 설치되며 상기 배출구(47u)를 개폐하는 배출구개폐부와;
    상기 세절이송부(41)와 교반부(47)와 배출구개폐부를 제어하는 제어부(3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호퍼(29)와 세절이송부(41)와 교반부(47)와 배출구개폐부와 제어부(37)를 그 내부에 수용하는 것으로서, 상기 호퍼(29)를 상부로 개방하는 개방구(13c)를 가지는 케이싱(13)과,
    상기 케이싱(13)의 개방구(13c)에 설치되며 케이싱(13)의 내부공간(13a)을 개폐하는 덮개(2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케이싱(13)의 내부에는 상기 에어배기수단을 통해 배출된 악취를 그 내부로 통과시켜 정화한 후 케이싱(13) 외부로 배기하는 탈취부(19)가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수분출수단은;
    호퍼(29)의 상단부에 설치되며, 호퍼(29)의 내향면을 향해 개방된 다수의 세척수분출구(29a)를 가지고, 외부로부터 공급된 세척수를 상기 세척수분출구(29a)를 통해 배출하는 세척수챔버(29d)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이송부(41) 또는 교반부(47)의 내부를 살균 처리하기 위한 것으로서,
    외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을 유도하는 스팀공급관(33a)과,
    상기 스팀공급관(33a)의 단부에 장착되는 전환밸브(33e)와,
    상기 전환밸브(33e)와 교반부(47)를 연결하며, 전환밸브(33e)의 조작에 따라 스팀공급관(33a)으로부터 스팀을 넘겨받아 교반부(47)로 공급하는 제 1연결관(33c)과,
    상기 전환밸브(33e)와 세절이송부(41)를 연결하며, 전환밸브(33e)의 조작에 따라 스팀공급관(33a)으로부터 스팀을 넘겨받아 세절이송부(41)로 전달하는 제 2연결관(33d)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세절이송부(41)와 교반부(47)의 사이에는, 세절이송부(41)에서 교반부(47)로 넘어가는 음식물쓰레기에 물리적인 힘을 인가하여 수분을 짜내는 압착부(43)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구개폐부는;
    상기 교반케이스(47a)의 배출구(47u) 하부에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배치되는 슬라이딩플레이트(47k)와,
    상기 슬라이딩플레이트(47k)에 고정된 랙기어(47m)와,
    상기 랙기어(47m)와 치합하는 피니언기어(47g)와,
    상기 제어부(37)의 제어신호를 받아 피니언기어(47g)를 회전시켜 슬라이딩플레이트(47k)가 배출구(47u)를 개폐하게 하는 개폐모터(47f)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20160045460A 2016-04-14 2016-04-1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177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60A KR20170117711A (ko) 2016-04-14 2016-04-1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5460A KR20170117711A (ko) 2016-04-14 2016-04-1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7711A true KR20170117711A (ko) 2017-10-24

Family

ID=60299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5460A KR20170117711A (ko) 2016-04-14 2016-04-14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7711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63B1 (ko) * 2018-06-05 2019-11-05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면과 물을 분리하는 장치
KR102278065B1 (ko) * 2020-11-05 2021-07-16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 처리장치
WO2023282443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0963B1 (ko) * 2018-06-05 2019-11-05 최정환 라면자판기의 면과 물을 분리하는 장치
KR102278065B1 (ko) * 2020-11-05 2021-07-16 성진하이쿨(주) 음식물쓰레기 감량 처리장치
WO2023282443A1 (ko) * 2021-07-05 2023-01-12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식물 처리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089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4485533B2 (ja) 台所用食べ物残り生屑処理装置
KR100624005B1 (ko) 폐 음식물의 처리장치
KR102156548B1 (ko) 가정용 음식물 처리기
CN107442553B (zh) 厨余处理设备
KR101106332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170117711A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118714B1 (ko) 음식 폐기물의 재활용이 가능한 음식물 처리기
KR1017113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 장치
KR10144569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200006463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JP3953448B2 (ja) 台所用食べ物屑処理装置
KR100233231B1 (ko) 주방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345258Y1 (ko) 주방용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101686915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44971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80048582A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479873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90030394A (ko) 업소용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0715273B1 (ko) 주택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시스템
CN110374173A (zh) 一种多功能厨余垃圾处理器及其实现方法
KR200158821Y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장치
KR200366030Y1 (ko) 싱크대 부착형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20020033935A (ko) 가정용 음식물 쓰레기 탈수 건조장치
CN213009959U (zh) 一种智能垃圾分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