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808A - 수처리장치 - Google Patents

수처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808A
KR20170116808A KR1020160044867A KR20160044867A KR20170116808A KR 20170116808 A KR20170116808 A KR 20170116808A KR 1020160044867 A KR1020160044867 A KR 1020160044867A KR 20160044867 A KR20160044867 A KR 20160044867A KR 20170116808 A KR20170116808 A KR 2017011680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 path
line
reverse osmosis
connection 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8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0446B1 (ko
Inventor
문형민
권태성
윤성한
조성곤
강상현
Original Assignee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웨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웨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8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0446B1/ko
Publication of KR201701168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8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04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04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8Apparatus therefor
    • B01D61/081Apparatus therefor used at home, e.g. kitche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10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1/00Apparatus for 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2201/002Construction details of the apparatus
    • C02F2201/005Valve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303/00Specific treatment goals
    • C02F2303/16Regeneration of sorbents, filters

Abstract

수처리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는 배출부;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면 상기 플러싱부와 연계하여 상기 역삼투압 필터가 플러싱되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수처리장치{WATER TREATMENT APPARATUS}
본 발명은 물을 여과하는 등 처리하는 수처리장치에 관한 것이다.
수처리장치는 물을 처리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장치이다.
수처리장치에서는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물을 전기분해하여 알칼리수 등으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거나, 물에 이산화탄소를 용해하여 탄산수로 만들어서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등의 처리를 한다.
물을 여과하여 사용자에게 공급하는 경우에, 수처리장치에는 물을 여과하도록 정수필터가 포함된다.
이러한 정수필터 중에는 역삼투막이 구비된 역삼투압 필터가 있다. 역삼투압 필터에서는 소정의 압력으로 물이 유입되며 역삼투막을 통과한 물은 여과된다. 그리고, 역삼투막을 통과하지 못한 물은 생활용수로 역삼투압 필터로부터 배수된다.
따라서,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을 중심으로 일측에는 TDS(Total Dissolved Solids; 총용존 고형물) 농도가 높은 물, 즉 여과되지 않은 물이 존재하고, 타측에는 TDS 농도가 낮은 물, 즉 여과된 물이 존재하게 된다.
예컨대,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에 의해서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획된다.
한편,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물이 여과되지 않는 동안에,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의 물은 삼투압에 의해서 비여과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의 물의 TDS 농도가 높아져서 비여과측의 물의 TDS 농도와 유사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역삼투압 필터를 통해 물의 여과가 재개되면, 초기에 역삼투압 필터의 여과측에 존재하는, TDS 농도가 높은 물이 사용자에게 공급되었고, 이러한 현상을 크립(Creep)현상이라고 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에서 발생하는 요구 또는 문제들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인식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일 측면은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는 경우 여과초기에 TDS 농도가 높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의 다른 측면은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로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들 중 적어도 하나의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일실시 형태와 관련된 수처리장치는 다음과 같은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른 수처리장치는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는 배출부;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면 상기 플러싱부와 연계하여 상기 역삼투압 필터가 플러싱되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가 닫힌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가 자동으로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가 닫히면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플러싱부로 유동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역삼투압 필터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된 후 상기 플러싱부에 저장된 여과된 물이 상기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하고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 또는 상기 배출부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1,2유로개폐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에 의해서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비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수라인과 상기 역삼투막를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생활용수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막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라인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원 연결구,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입수라인 연결구 및, 외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입수라인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배출부 연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와 배출부 연결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 및 드레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전환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와 전환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거나 상기 입수라인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전환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생활용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이나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선택 연결구와 외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배출부 연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드레인유로와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와 배출부 연결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드레인유로와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드레인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원 연결구와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입수라인 연결구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공급유로와 일측은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폐쇄되는 압력전달유로 및 상기 공급유로와 압력전달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는 상기 압력전달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싱부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제1플러싱라인; 일측은 상기 제1플러싱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생활용수라인 또는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플러싱라인; 및 상기 제1플러싱라인에 연결되는 플러싱탱크; 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플러싱라인에는 상기 플러싱탱크로부터 상기 역삼투압 필터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플러싱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싱탱크에는 공기층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플러싱탱크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의 저장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탱크 체크밸브가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배출부의 개폐에 따라, 밸브부에 의해서,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플러싱부와 연계하여 역삼투압 필터가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로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할 수 있다.
그리고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는 경우 여과초기에 TDS 농도가 높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밸브부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밸브부의 제1유로개폐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밸브부의 제2유로개폐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13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특징들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와 관련된 수처리장치에 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하겠다.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을 이해시키기에 가장 적합한 실시예들을 기초로 하여 설명될 것이며,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특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들과 같이 본 발명이 구현될 수 있다는 것을 예시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아래 설명된 실시예들을 통해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이러한 변형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 범위 내에 속한다 할 것이다. 그리고, 이하 설명되는 실시예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첨부된 도면에 기재된 부호에 있어서, 각 실시예에서 동일한 작용을 하게 되는 구성요소 중 관련된 구성요소는 동일 또는 연장 선상의 숫자로 표기하였다.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
이하,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2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밸브부의 유로전환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3 내지 도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 배출부(300), 플러싱부(400) 및, 밸브부(5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과부(200)는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과 같은 물공급원(도시되지 않음)으로부터 공급된 물을 여과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여과부(200)는 역삼투압 필터(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막(M)에 의해서 비여과측(211)과 여과측(2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예컨대, 역삼투막(M)이 둥글게 말린 상태로 역삼투압 필터(210) 내부에 구비되는 것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가 비여과측(211)과 여과측(212)으로 구획될 수 있다.
그러나, 역삼투막(M)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가 비여과측(211)과 여과측(212)으로 구획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는 입수라인(LWI)과 생활용수라인(LLW)이 연결될 수 있다.
입수라인(LWI)을 통해서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역과측(211)에 물이 유입될 수 있다. 또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한 플러싱수가 입수라인(LWI)을 통해서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서는,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M)을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입수라인(LWI)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밸브부(500)에 포함되는 후술할 유로전환밸브(510)에 구비되는 입수라인 연결구(512)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후술하고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가 열리는 것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510)에 구비되는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가 연결되면, 물이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하고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가 닫힌 후 유로전환밸브(510)에 구비되는 드레인 연결구(513)가 입수라인 연결구(512)에 연결되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플러싱수가 입수라인(LWI)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생활용수라인(LLW)에는 생활용수밸브(VL)가 구비될 수 있다. 생활용수밸브(VL)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소정의 여과 압력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생활용수밸브(VL)를 통해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생활용수밸브(VL)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에 포함되는 후술할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대부분의 물이, 생활용수라인(LLW)으로 유동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210)의 플러싱을 위해서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으로 유동하여 유입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는 출수라인(LWO)이 연결될 수 있다. 출수라인(LWO)을 통해서 도3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M)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출수라인(LWO)에는 역삼투압 필터(210)로부터 배출되는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하는 체크밸브(CV)가 구비될 수 있다.
여과부(200)는 물의 여과를 위해서, 전술한 역삼투압 필터(210) 이외에도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처리 필터(220)와 후처리 필터(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여과부(200)에 물의 여과를 위해서 역삼투압 필터(210) 이외에 추가로 포함되는 정수필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정수필터라도 포함될 수 있다.
전처리 필터(22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LWS)에 의해서 수도 등의 원수공급원과 같은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전처리 필터(220)는 제1연결라인(LC1)에 의해서 밸브부(500)의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열려서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가 입수라인 연결구(512)에 연결되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LWS)을 통해 먼저 전처리 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 필터(220)에 의해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1연결라인(LC1)과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 입수라인 연결구(512) 및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에 유입될 수 있다.
후처리 필터(230)는 출수라인(LWO)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후처리 필터(230)는 제2연결라인(LC2)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510)에 구비되는 출수라인 연결구(51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유로전환밸브(510)에는 출수라인 연결구(514)에 연결되는 배출부 연결구(515)가 구비되고, 배출부 연결구(515)는 배출라인(LWD)에 의해서 배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열리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라인(LWO)을 통해 후처리 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후처리 필터(23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는 제2연결라인(LC2)과 유로전환밸브(510)의 출수라인 연결구(514)와 배출부 연결구(515) 및 배출라인(LWD)을 유동하여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부(300)는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될 수 있다. 예컨대, 배출부(300)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10)가 구비되고, 사용자가 개폐손잡이(310)를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으로, 예컨대 시계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열릴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개폐손잡이(310)를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측으로, 예컨대 시계반대방향으로 선회시키는 것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닫힐 수 있다.
그러나, 배출부(3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는 구성이라면, 콕크나 파우셋 등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300)는 배출라인(LWD)에 의해서 유로전환밸브(510)의 배출부 연결구(515)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손잡이(310)의 선회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 즉 정수가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개폐손잡이(310)의 선회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닫히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플러싱부(400)는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플러싱부(4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러싱라인(410), 제2플러싱라인(420) 및, 플러싱탱크(4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플러싱라인(410)은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되는 출수라인(LOW)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플러싱라인(420)의 일측은 제1플러싱라인(410)에 연결되고 타측은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제2플러싱라인(420)의 타측은 생활용수 밸브(VL) 전의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될 수 있다. 제2플러싱라인(420)에는 플러싱탱크(430)로부터 역삼투압 필터(210)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플러싱 체크밸브(CVF)가 구비될 수 있다.
플러싱탱크(430)에는 공기층(A)이 항상 존재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플러싱탱크(430)에는 탱크 체크밸브(CVT)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후술할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될 때 플러싱탱크(430)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을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가 열린 경우에는, 후처리 필터(230) 측이 플러싱탱크(430) 측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게 된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어 출수라인(LWO)을 유동하는 물, 즉 정수는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처리 필터(230)로 유동할 수 있다. 이 경우, 플러싱탱크(430)에는 공기가 가득 차 있게 된다.
그리고,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가 닫힌 경우에는, 플러싱탱크(430) 측이 역삼투압 필터(210) 측보다 상대적으로 압력이 낮게 된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되어 출수라인(LWO)을 유동하는 물, 즉 정수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러싱라인(410)을 통해 플러싱탱크(43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플러싱라인(410)을 유동하는 물은 플러싱 체크밸브(CVF)에 의해서 제2플러싱라인(420)으로는 유동하지 못하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러싱탱크(430)에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유입되어 저장되는 동안에는, 플러싱탱크(430)에 존재하는 공기가 탱크 체크밸브(CVT)에 의해서 외부로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따라서, 플러싱탱크(430)에 존재하는 공기층(A)은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탱크(430)에 유입되고 저장되면서 압축된다. 그리고, 플러싱탱크(430)에 소정 양의 물이 저장되면, 유로전환밸브(510)에 의해서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로의 물의 공급이 중단되고, 플러싱탱크(430)에 존재하는 공기층(A)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이르게 된다.
이와 같이, 플러싱탱크(430)에 존재하는 공기층(A)의 압력이 소정 압력에 이르면,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 즉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정수는 제1플러싱라인(410)과 제2플러싱라인(420)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로 유동하여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다.
즉,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은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수라인(LWI)과 유로전환밸브(510)의 입수라인 연결구(512), 드레인 연결구(513) 및, 드레인라인(LDL)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러나, 플러싱부(400)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역삼투압 필터(210)에 연결되며 밸브부(500)와 연계하여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밸브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10)의 일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열리면,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에 물이 공급되고 여과부(200)에서 여과된 물이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50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개폐손잡이(310)의 타측으로의 선회에 의해서 배출부(300)가 닫히면, 도4와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와 연계하여 역삼투압 필터(210), 즉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이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도 TDS 농도가 낮은, 예컨대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의 TDS 농도와 유사한 물이 존재하게 된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를 포함하는 여과부(200)에서 물의 여과가 이루어지지 않는 동안에도, 삼투압에 의해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의 물이 비여과측(211)으로 이동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존재하는 물의 TDS 농도가 높아지지 않을 수 있다.
그러므로, 역삼투압 필터(210)를 포함하는 여과부(200)에서 물의 여과가 재개될 때, 여과 초기에도 TDS 농도가 낮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는 경우, 여과 초기에 TDS 농도가 높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밸브부(500)는 배출부(300)가 닫힌 후 소정 시간 내에 역삼투압 필터(210)가 자동으로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역삼투압 필터(210)는 배출부(300)가 닫힐 때마다 소정 시간 내에 자동으로 플러싱되어, 배출부(300)가 열리기 전까지 플러싱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밸브부(500)는 배출부(300)가 닫히면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플러싱부(400), 예컨대 플러싱부(400)의 전술한 플러싱탱크(430)로 유동하여 저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밸브부(500)는 플러싱부(400)에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역삼투압 필터(21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밸브부(500)는 플러싱부(400)에 역삼투압 필터(21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된 후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에 저장된 여과된 물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하고 외부로 배수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밸브부(500)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부(300)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510)를 포함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510)는 공급원 연결구(511), 입수라인 연결구(512) 및, 드레인 연결구(513)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원 연결구(511)는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원 연결구(511)는 제1연결라인(LC1)과 전처리 필터(220) 및 공급라인(LWS)을 통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공급라인(LWS)에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압밸브(VCD)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는 공급라인(LWS)에 직접 연결되어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등,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라인 연결구(512)는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되는 입수라인(LWI)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연결구(513)는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드레인 연결구(513)에는 외부에 연결된 드레인라인(LDL)이 연결되어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라인(LDL)은 도시되지 않았지만,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된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될 수도 있다.
유로전환밸브(510)는 배출부(300)가 열리면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LWS)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어 전처리 필터(220)와 역삼투압 필터(210) 및 후처리 필터(230)에서 차례대로 여과된 후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유로전환밸브(510)는 배출부(300)가 닫히고 플러싱부(400)에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입수라인 연결구(512)와 드레인 연결구(513)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 예컨대 여과부(200)의 역삼투압 필터(21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되고, 플러싱부(400), 예컨대 플러싱부(400)의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후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유로전환밸브(510)에는 출수라인 연결구(514)와 배출부 연결구(515)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출수라인 연결구(514)는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되는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라인 연결구(514)는 제2연결라인(LC2)과 후처리 필터(230)를 통해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출수라인 연결구(514)는 출수라인(LWO)에 직접 연결되는 등,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 연결구(515)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WD)에 의해서 배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유로전환밸브(510)에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PDC)와 전환유로(PC)및 연결부(PL)가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PDC)는 출수라인 연결구(514)와 배출부 연결구(515)에 연결될 수 있다. 전환유로(PC)는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 및 드레인 연결구(513)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PL)는 배출유로(PDC)와 전환유로(PC)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PL)의 일측은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HC)에 의해서 배출유로(PDC)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PL)의 타측은 전환유로(PC)와 이어져서 전환유로(PC)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PL)가 배출유로(PDC)와 전환유로(PC)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유로전환밸브(510)는 전환부재(516)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재(516)는 전환유로(PC)와 연결부(PL)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전환부재(516)는 배출유로(PDC)의 압력에 따라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가 연결되거나 입수라인 연결구(512)와 드레인 연결구(513)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전환부재(516)는, 예컨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환부(516a)와 전달부(516b)를 포함할 수 있다. 전환부(516a)는 유로전환밸브(510)의 전환유로(PC)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공급원 연결구(511)와 드레인 연결구(513)가 개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환부재(516)의 전달부(516b)는 유로전환밸브(510)의 연결부(PL)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유로(PDC)의 압력에 따라 전환부재(516)가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전환부(516a)와 전달부(516b)는 적어도 접촉되거나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전환부재(516)의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유로전환밸브(510)의 전환유로(PC)와 연결부(PL)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어, 배출유로(PDC)의 압력에 따라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가 연결되거나 입수라인 연결구(512)와 드레인 연결구(513)가 연결되도록 하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배출부(300)가 열리면, 유로전환밸브(510)의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510)의 전환부재(516)가 전환유로(PC)와 연결부(PL)에서 배출유로(PDC) 측으로 이동하여, 드레인 연결구(513)는 폐쇄되고 공급원 연결구(511)와 입수라인 연결구(512)는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도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는 공급라인(LWS)을 통해 전처리 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된 후 제1연결라인(LC1)과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 전환유로(PC), 입수라인 연결구(512) 및,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 중 역삼투막(M)을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않은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외부로 배수된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 중 역삼투막(M)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LWO)을 통해 후처리 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후처리 필터(230)에서 여과된 물은 제2연결라인(LC2)과 유로전환밸브(510)의 출수라인 연결구(514), 배출유로(PDC), 배출부 연결구(515), 배출라인(LWD) 및,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한편, 배출부(300)가 닫히면,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높아진다. 이에 따라, 유로전환밸브(510)의 전환부재(516)가 전환유로(PC)와 연결부(PL)에서 배출유로(PDC)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공급원 연결구(511)는 폐쇄되고 입수라인 연결구(512)와 드레인 연결구(513)는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배출부(300)가 닫히고 전환부재(516)가 배출유로(PDC) 반대측으로 이동하는 동안에는,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M)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LWO)과 플러싱부(400)의 제1플러싱라인(410)을 통해 플러싱탱크(43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그리고, 유로전환밸브(510)의 전환부재(516)가 배출유로(PDC) 반대측으로 완전히 이동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공급원 연결구(511)는 폐쇄되고 입수라인 연결구(512)와 드레인 연결구(513)는 연결된다.
이에 의해서,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의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이 제1플러싱라인(410)과 제2플러싱라인(420)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하고 입수라인(LWI)과 유로전환밸브(510)의 입수라인 연결구(512), 전환유로(PC), 드레인 연결구(513) 및, 드레인라인(LDL)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
이하, 도6 내지 도11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7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밸브부의 제1유로개폐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8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밸브부의 제2유로개폐밸브의 단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또한, 도9 내지 도11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1실시예와, 제2플러싱라인(420)이 입수라인(LWI)에 연결되며, 밸브부(500)가 제1,2유로개폐밸브(520,530)를 포함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5를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2실시예에서, 플러싱부(400)의 제2플러싱라인(420)은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되는 입수라인(LWI)에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의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은 제1플러싱라인(410)과 제2플러싱라인(420) 및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할 수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한 플러싱수는 생활용수라인(LLW)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LB)과 제1유로개폐밸브(520) 및 드레인라인(LDL)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2실시예에서, 밸브부(500)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2유로개폐밸브(520,5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2유로개폐밸브(520,530)는 배출부(300)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다.
제1유로개폐밸브(520)에는 선택 연결구(521)와 드레인 연결구(522)가 구비될 수 있다.
선택 연결구(521)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생활용수라인(LLW)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LB)에 연결될 수 있다. 분기라인(LB)은, 예컨대 생활용수밸브(VL) 전의 생활용수라인(LLW)으로부터 분기될 수 있다.
드레인 연결구(522)는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드레인 연결구(522)는, 예컨대 외부에 연결된 드레인라인(LDL)에 연결되어 외부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배출부(300)가 열리면 선택 연결구(521)와 드레인 연결구(522)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배출부(300)가 닫히고 플러싱부(400)에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선택 연결구(521)와 드레인 연결구(52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해서, 제1유로개폐밸브(520)에는 출수라인 연결구(523)와 배출부 연결구(524)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출수라인 연결구(523)는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되는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라인 연결구(523)는 제4연결라인(LC4)과 후처리 필터(230)를 통해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출수라인 연결구(523)는 출수라인(LWO)에 직접 연결되는 등,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다.
배출부 연결구(524)는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라인(LWD)에 의해서 배출부(300)에 연결될 수 있다.
제1유로개폐밸브(520)에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드레인유로(PDL)와 배출유로(PDC) 및 연결부(PL)가 형성될 수 있다.
드레인유로(PDL)는 선택 연결구(521)와 드레인 연결구(52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출유로(PDC)는 출수라인 연결구(523)와 배출부 연결구(524)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PL)는 드레인유로(PDL)와 배출유로(PDC)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PL)의 일측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HC)에 의해서 배출유로(PDC)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연결부(PL)의 타측은 드레인유로(PDL)와 이어져서 드레인유로(PDL)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PL)가 드레인유로(PDL)와 배출유로(PCD)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한편,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개폐부재(525)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525)는 드레인유로(PDL)와 연결부(PL)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25)는 배출유로(PDC)의 압력에 따라 드레인유로(PDL)를 개폐할 수 있다.
배출부(300)가 열리면,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낮아진다. 이에 따라,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개폐부재(525)가 드레인유로(PDL)와 연결부(PL)에서 배출유로(PDC) 측으로 이동하여, 선택 연결구(521)가 폐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는 닫히게 된다.
또한, 배출부(300)가 닫히면,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개폐부재(525)가 드레인유로(PDL)와 연결부(PL)에서 배출유로(PDC)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선택 연결구(521)가 개방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는 열리게 된다.
이러한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1실시예의 유로전환밸브(510)의 공급원 연결구(511)를 폐쇄하여 사용할 수 있다. 그러나,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배출부(300)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개폐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유로개폐밸브(530)에는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급원 연결구(531)는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원 연결구(531)는 제3연결라인(LC3)과 전처리 필터(220) 및 공급라인(LWS)을 통해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공급원 연결구(531)는 공급라인(LWS)에 직접 연결되어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등,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물공급원에 연결될 수 있다.
입수라인 연결구(532)는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되는 입수라인(LWI)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밸브(530)는 배출부(300)가 열리면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가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라인(LWS)을 통해 여과부(200)에 공급되어 전처리 필터(220)와 역삼투압 필터(210) 및 후처리 필터(230)에서 차례대로 여과된 후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또한, 제2유로개폐밸브(530)는 배출부(300)가 닫히고 플러싱부(400)에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가 연결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 예컨대 여과부(200)의 역삼투압 필터(21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될 수 있다.
이 경우, 전술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선택 연결구(521)와 드레인 연결구(522)는 연결될 수 있다. 즉,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는 열릴 수 있다.
이에 따라,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부(400), 예컨대 플러싱부(400)의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이 역삼투압 필터(210)를 플러싱한 후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밸브(530)에는 출수라인 연결구(533)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출수라인 연결구(533)는 역삼투압 필터(210)의 여과측(212)에 연결되는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출수라인 연결구(533)는 제5연결라인(LC5)과 제4연결라인(LC4), 후처리 필터(230)를 통해 출수라인(LWO)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출수라인 연결구(533)는 출수라인(LWO)에 직접 연결되는 등,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는 구성이라면 주지의 어떠한 구성으로도 출수라인(LW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유로개폐밸브(530)에는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유로(PP)와 압력전달유로(PPT) 및 연결부(PL)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급유로(PP)는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압력전달유로(PPT)의 일측은 출수라인 연결구(533)에 연결되고 타측은 폐쇄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PL)는 공급유로(PP)와 압력전달유로(PPT)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연결부(PL)의 일측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구멍(HC)에 의해서 압력전달유로(PPT)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연결부(PL)의 타측은 공급유로(PP)와 이어져서 공급유로(PP)에 연결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부(PL)가 공급유로(PP)와 압력전달유로(PPT)에 연결되는 구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주지의 어떠한 구성이라도 가능하다.
제2유로개폐밸브(530)는 개폐부재(534)를 포함할 수 있다. 개폐부재(534)는 공급유로(PP)와 연결부(PL)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개폐부재(534)는 압력전달유로(PPT)의 압력에 따라 공급유로(PP)를 개폐할 수 있다.
배출부(300)가 열리면,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낮아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배출유로(PDC)에 연결된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압력전달유로(PPT)의 압력도 낮아진다.
이에 따라,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개폐부재(534)가 공급유로(PP)와 연결부(PL)에서 압력전달유로(PPT) 측으로 이동하여,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가 연결될 수 있다. 즉,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유로(PP)가 열리게 된다.
이 경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개폐부재(525)의 이동으로 드레인유로(PDL)가 닫히게 된다.
이에 의해서, 도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는 공급라인(LWS)을 통해 전처리 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된 후, 제3연결라인(LC3)과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원 연결구(531), 공급유로(PP), 입수라인 연결구(532) 및,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 중 역삼투막(M)을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않은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된 물 중 역삼투막(M)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LWO)을 통해 후처리 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된다. 또한, 후처리 필터(230)에서 여과된 물은 제4연결라인(LC4)과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출수라인 연결구(523), 배출유로(PDC), 배출부 연결구(524), 배출라인(LWD) 및,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될 수 있다.
배출부(300)가 닫히면,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배출유로(PDC)의 압력은 높아진다. 그리고, 이에 의해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배출유로(PDC)에 연결된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압력전달유로(PPT)의 압력도 높아진다.
이에 따라,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유로개폐밸브(520)는 개폐부재(525)의 이동으로 드레인유로(PDL)가 열리게 된다.
또한,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개폐부재(534)는 공급유로(PP)와 연결부(PL)에서 압력전달유로(PPT)의 반대측으로 이동하여, 공급원 연결구(531)와 입수라인 연결구(532)가 연결되지 않게 된다. 즉, 제2유로개폐유로(530)의 공급유로(PP)는 닫히게 된다.
배출부(300)가 닫힌 후,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를 열기 위해서 개폐부재(525)가 이동하며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유로(PP)를 닫기 위해서 개폐부재(534)가 이동하는 데에는 시간이 걸린다.
이 동안에는, 도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M)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은 출수라인(LWO)과 제1플러싱라인(410)을 통해 플러싱탱크(430)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후,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가 열리고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유로(PP)가 닫히면,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 예컨대 여과부(200)의 역삼투압 필터(21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된다.
그리고, 도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이 제1플러싱라인(410)과 제2플러싱라인(420) 및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한 플러싱수는 분기라인(LB)과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선택 연결구(521), 드레인유로(PDL), 드레인 연결구(522) 및, 드레인라인(LDL)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
이하, 도12 내지 도15를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12은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13 내지 도15는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의 작동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에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3실시예는 상기 도6 내지 도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의 제2실시예와, 플러싱부(400)의 제2플러싱라인(420)이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되고,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선택 연결구(521)가 입수라인(LWI)에 연결된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그러므로, 이하에서는 차별되는 구성을 중점적으로 설명하고, 나머지 구성에 대해서는 상기 도1 내지 도11을 참조로 하여 설명한 것으로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100)의 제3실시예에서, 플러싱부(400)의 제2플러싱라인(420)은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연결되는 생활용수라인(LLW)에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선택 연결구(521)는 입수라인(LWI)에 연결될 수 있다. 예컨대, 선택 연결구(521)는 도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연결라인(LC6)에 의해서 입수라인(LWI)에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배출부(300)가 열리면,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의 물, 예컨대 원수가 공급라인(LWS)을 통해 전처리 필터(22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그리고, 전처리 필터(220)에서 여과된 물은 제3연결라인(LC3),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원 연결구(531), 공급유로(PP), 입수라인 연결구(532), 입수라인(LWI)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역삼투막(M)을 통과하지 못한 물, 즉 생활용수는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그리고, 역삼투압 필터(210)의 역삼투막(M)을 통과한 물, 즉 정수는 출수라인(LWO)으로 배출되어 후처리 필터(230)에 유입되어 여과될 수 있다.
후처리 필터(230)에서 여과된 물은 제4연결라인(LC4),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출수라인 연결구(523), 배출유로(PDC), 배출구 연결구(524), 배출라인(LWD)을 유동한 후 배출부(30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구(300)가 닫히면,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개폐부재(525)가 드레인유로(PDL)가 열리도록 이동하며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개폐부재(534)가 공급유로(PP)가 닫히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동안에는, 도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삼투압 필터(210)에서 여과된 물이 출수라인(LWO)과 플러싱부(400)의 제1플러싱라인(410)을 통해 플러싱탱크(430)에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드레인유로(PDL)가 열리고 제2유로개폐밸브(530)의 공급유로(PP)가 닫히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200)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된다.
그리고, 플러싱탱크(430)에 저장된 물이 도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플러싱라인(410)과 제2플러싱라인(420) 및 생활용수라인(LLW)을 통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에 유입되어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할 수 있다.
역삼투압 필터(210)의 비여과측(211)을 플러싱한 플러싱수는 입수라인(LWI)과 제6연결라인(LC6), 제1유로개폐밸브(520)의 선택 연결구(521), 드레인유로(PDL), 드레인 연결구(522) 및, 드레인라인(LDL)을 통해 외부로 배수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수처리장치를 사용하면, 배출부의 개폐에 따라, 밸브부에 의해서, 물공급원으로부터 여과부로 물이 공급되거나, 플러싱부와 연계하여 역삼투압 필터가 플러싱되도록 할 수 있으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로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할 수 있고, 역삼투압 필터를 사용하여 물을 여과하는 경우 여과초기에 TDS 농도가 높은 물이 배출되어 사용자에게 공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수처리장치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의 구성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0 : 수처리장치 200 : 여과부
210 : 역삼투압 필터 211 : 비여과측
212 : 여과측 220 : 전처리 필터
230 : 후처리 필터 300 : 배출부
310 : 개폐손잡이 400 : 플러싱부
410 : 제1플러싱라인 420 : 제2플러싱라인
430 : 플러싱탱크 500 : 밸브부
510 : 유로전환밸브 511, 531 : 공급원 연결구
512, 532 : 입수라인 연결구 513, 522 : 드레인 연결구
514, 523, 533 : 출수라인 연결구 515, 524 : 배출부 연결구
516 : 전환부재 516a : 전환부
516b : 전달부 520 : 제1유로개폐밸브
521 : 선택 연결구 525, 534 : 개폐부재
530 : 제2유로개폐밸브 VL : 생활용수밸브
CVF : 플러싱 체크밸브 CVT : 탱크 체크밸브
CV : 체크밸브 VCD : 갑압밸브
LWI : 입수라인 LWO : 출수라인
LLW : 생활용수라인 LB : 분기라인
LDL : 드레인라인 LWS : 공급라인
LWD : 배출라인 LC1 : 제1연결라인
LC2 : 제2연결라인 LC3 : 제3연결라인
LC4 : 제4연결라인 LC5 : 제5연결라인
LC6 : 제6연결라인 PDC : 배출유로
PC : 전환유로 PL : 연결부
PDL : 드레인유로 PP : 공급유로
PPT : 압력전달유로 HC : 연결구멍
M : 역삼투막 A : 공기층

Claims (27)

  1. 역삼투압 필터를 포함하는 여과부;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외부로 배출되도록 개폐되는 배출부;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연결되는 플러싱부; 및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여과부에 물이 공급되고 상기 여과부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배출부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면 상기 플러싱부와 연계하여 상기 역삼투압 필터가 플러싱되도록 하는 밸브부;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가 닫힌 후 소정 시간 내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가 자동으로 플러싱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가 닫히면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상기 플러싱부로 유동하여 저장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 상기 물공급원으로부터 상기 역삼투압 필터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로의 물의 공급이 중지된 후 상기 플러싱부에 저장된 여과된 물이 상기 역삼투압 필터를 플러싱하고 외부로 배수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부는 상기 배출부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전환하는 유로전환밸브 또는 상기 배출부의 개폐에 따른 압력의 변화에 의해서 유로를 개폐하는 제1,2유로개폐밸브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역삼투압 필터는 역삼투막에 의해서 비여과측과 여과측으로 구획되는 수처리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비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 물이 유입되도록 하는 입수라인과 상기 역삼투막를 통과하지 못하여 여과되지 않은 생활용수가 외부로 배수되는 생활용수라인이 연결되고,
    상기 여과측에는 상기 역삼투막을 통과하여 여과된 물이 배출되는 출수라인이 연결되는 수처리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원 연결구,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입수라인 연결구 및, 외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연결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입수라인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배출부 연결구가 더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와 배출부 연결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와,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 및 드레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전환유로 및, 상기 배출유로와 전환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유로전환밸브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거나 상기 입수라인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상기 전환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전환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생활용수라인으로부터 분기된 분기라인이나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선택 연결구와 외부에 연결되는 드레인 연결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와 상기 배출부에 연결되는 배출부 연결구가 더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선택 연결구와 드레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드레인유로와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와 배출부 연결구에 연결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드레인유로와 배출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드레인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드레인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1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물공급원에 연결되는 공급원 연결구와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입수라인 연결구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는 상기 배출부가 열리면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배출부가 닫히고 상기 플러싱부에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이 저장된 후에는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가 연결되지 않도록 하는 수처리장치.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출수라인 연결구가 더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에는 상기 공급원 연결구와 입수라인 연결구에 연결되는 공급유로와 일측은 상기 출수라인 연결구에 연결되고 타측은 폐쇄되는 압력전달유로 및 상기 공급유로와 압력전달유로에 연결되는 연결부가 형성되는 수처리장치.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유로개폐밸브는 상기 압력전달유로의 압력에 따라 상기 공급유로를 개폐하도록 상기 공급유로와 연결부에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개폐부재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4.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부는
    상기 출수라인에 연결되는 제1플러싱라인;
    일측은 상기 제1플러싱라인에 연결되고 타측은 상기 생활용수라인 또는 상기 입수라인에 연결되는 제2플러싱라인; 및
    상기 제1플러싱라인에 연결되는 플러싱탱크;
    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제2플러싱라인에는 상기 플러싱탱크로부터 상기 역삼투압 필터 방향으로만 물이 유동하도록 플러싱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탱크에는 공기층이 항상 존재하는 수처리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싱탱크에는 상기 역삼투압 필터에서 여과된 물의 저장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지 않도록 탱크 체크밸브가 구비되는 수처리장치.
KR1020160044867A 2016-04-12 2016-04-12 수처리장치 KR1025704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867A KR102570446B1 (ko) 2016-04-12 2016-04-12 수처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867A KR102570446B1 (ko) 2016-04-12 2016-04-12 수처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808A true KR20170116808A (ko) 2017-10-20
KR102570446B1 KR102570446B1 (ko) 2023-08-25

Family

ID=602992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867A KR102570446B1 (ko) 2016-04-12 2016-04-12 수처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0446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15105A (zh) * 2018-10-16 2018-12-18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削液管理系统
KR20190078762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19240526A1 (ko) * 2018-06-15 2019-12-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WO2020085645A1 (ko) * 2018-10-24 2020-04-3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21085924A1 (ko) * 2019-10-29 2021-05-0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22270819A1 (ko) * 2021-06-21 2022-12-2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23096192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정수 시스템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520A (ko) * 2007-08-17 2009-02-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수형 정수 장치
KR20120000328U (ko) * 2010-07-05 2012-01-11 (주)스톰테크 자동 개폐 밸브
KR2015006817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8520A (ko) * 2007-08-17 2009-02-20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수형 정수 장치
KR20120000328U (ko) * 2010-07-05 2012-01-11 (주)스톰테크 자동 개폐 밸브
KR20150068170A (ko) * 2013-12-11 2015-06-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정수기 및 그 제어방법.

Cited B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78762A (ko) * 2017-12-27 2019-07-05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19240526A1 (ko) * 2018-06-15 2019-12-19 웅진코웨이주식회사 직수식 정수기
US11802062B2 (en) 2018-06-15 2023-10-31 Woongjin Coway Co., Ltd. Direct water purifier
CN109015105A (zh) * 2018-10-16 2018-12-18 尤洛卡(山东)矿业科技有限公司 一种切削液管理系统
WO2020085645A1 (ko) * 2018-10-24 2020-04-30 웅진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21085924A1 (ko) * 2019-10-29 2021-05-06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CN114555532A (zh) * 2019-10-29 2022-05-27 科唯怡株式会社 净水器
WO2022270819A1 (ko) * 2021-06-21 2022-12-2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WO2023096192A1 (ko) * 2021-11-29 2023-06-01 주식회사 경동나비엔 정수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0446B1 (ko) 2023-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6808A (ko) 수처리장치
CN107176651B (zh) 净水器以及净水器的控制方法
KR20210048149A (ko) 정수기
RU2681629C1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20170079110A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20170105940A (ko) 수처리장치
KR20220045130A (ko) 정수필터 연결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수처리장치
JP2006289334A (ja) 廃棄水及び浄水を利用可能な逆浸透膜純水装置
WO2019069520A1 (ja) 濾過装置
KR20190078762A (ko) 정수기
CN105585075B (zh) 净水系统及其冲洗方法
CN205435113U (zh) 带自动切换及自清洗功能的并联过滤装置
CN108128910B (zh) 净水系统及其控制方法
KR20100118323A (ko) 자동역세척이 가능한 배관연결체
US20230295016A1 (en) Water purifier
KR20180076121A (ko) 수처리장치
CN210286987U (zh) 一种可自动反冲洗的超滤净水装置
RU2668909C1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EP2982805B1 (de) Multifunktionales anschlusszwischenstück und verwendungen des anschlusszwischenstücks
CN105523652B (zh) 净水设备
KR100747624B1 (ko) 수돗물의 불순물 제거장치
KR20200022867A (ko) 정수기
RU2676283C1 (ru) Система фильтрации воды
KR100943206B1 (ko) 역류방지 장치를 형성한 엘보형 스트레나 체크 밸브
DE105211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