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079110A -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079110A
KR20170079110A KR1020150189314A KR20150189314A KR20170079110A KR 20170079110 A KR20170079110 A KR 20170079110A KR 1020150189314 A KR1020150189314 A KR 1020150189314A KR 20150189314 A KR20150189314 A KR 20150189314A KR 20170079110 A KR20170079110 A KR 201700791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verse osmosis
osmosis membrane
water
membrane filter
purifi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8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04485B1 (ko
Inventor
정태호
최수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5018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04485B1/ko
Publication of KR20170079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79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044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0448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6Cleaning-out devices, e.g. for removing the cake from the filter casing or for evacuating the last remnants of liqu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01D35/04Plug, tap, or cock filters filtering elements mounted in or on a fauce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47Bypass or safety valves
    • B01D35/1475Pressure relief valves or pressure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14Safety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filtration; Devices for indicating clogging
    • B01D35/157Flow control valves: Damping or calibrated passages
    • B01D35/1573Flow control val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2Membrane cleaning or sterilisation ; Membrane regene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5/00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in general, for separation processes or apparatus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 B01D65/08Prevention of membrane fouling or of concentration polar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04Backflush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2Use of perme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2321/00Details relating to membrane cleaning, regeneration, sterilization or to the prevention of fouling
    • B01D2321/14Use of concentrate

Abstract

개시된 내용은 역삼투막필터(RO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 배출구를 닫을 경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저수탱크에 저장되는 정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차단밸브(auto shut off valve)를 닫아 원수 유입을 차단하고, 정수 배출구를 개방시켜 저수탱크로부터 정수 배출시 개방되는 자동차단밸브에 의해 원수가 역삼투막 필터에 유입되어 정수시스템이 재 가동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은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수탱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막 필터사이의 관로에서 분기된 분기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2저수탱크;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제2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water purifing system having cleaning device within RO filter}
본 발명은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역삼투막필터(RO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 배출구를 닫을 경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후 저수탱크에 저장되는 정수의 압력에 의해 자동차단밸브(ASV;auto shut off valve)를 닫아 원수 유입을 차단하고, 정수 배출구를 개방시켜 저수탱크로부터 정수 배출시 개방되는 자동차단밸브에 의해 원수가 역삼투막 필터에 유입되어 정수시스템이 재 가동될 수 있도록 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상기 TDS(total dissolved solids) 크립 현상이란 역삼투막 필터의 센트럴파이프(central pipe)의 내부에 정체되는 정수처리된 정수에 대해, 원수 또는 폐수(농축수를 말함) 중에 포함되는 TDS 유발물질이 농도 평형을 이루기 위하여 이동되어 혼합될 수 있는 현상(즉,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가 원수의 농도와 동일해져 오염되는 것을 말함)을 의미한다.
상기 TDS 크립 현상은 원수의 TDS 수치가 높은 경우, 역삼투막 필터의 용량(GPD)이 큰 경우, 또는 정수시스템의 가동 정지시간이 긴 경우일수록 현저하게 나타나게 된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은,
수도꼭지(미 도시됨)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수도수, 지하수를말함) 중에 포함되는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 등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1)와,
콜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2)와,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0.0001미크론크기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역삼투막 필터(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osmosis filter(R/O))(3)와,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정수처리하여 물 맛을 개선하는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4)와,
역삼투막 필터(3)를 통과하여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정수 저수탱크(7)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역삼투막 필터(3)에 의해 여과되는 폐수(농축수)는 농축수 조절밸브를 경유하여 지정된 장소로 배출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6은 정수 저수탱크(7)에 채워지는 정수의 수위에 따라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정수필터측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이고, 8은 정수 저수탱크(7)의 압력이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상기 자동차단밸브(6)는 역삼투막 필터(3)의 사용으로 인해 정수 배출량이 매우 적어(일 예로서 정수와 농축수의 배출량 비율이 1:4 정도이다) 정수처리된 정수를 정수 저수탱크(7)에 저장한 후, 필요할 경우 정수 저수탱크(7)로부터 소정량의 정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사용된다.
사용자에 의해 정수 배출구(5)(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를 일시적으로 닫을 경우, 상기 자동차단밸브(6)에 의해 역삼투막 필터(3)로의 원수 유입이 중단되고, 역삼투막 필터(3)의 내부에서 유체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즉 역삼투막 필터(3)의 센트럴 파이프(미 도시됨)의 내부 및 역삼투막 필터(3)의 내부에는 정수처리된 정수가 잔류되고, 역삼투막 필터(3)의 외부 및 필터하우징의 내부에는 원수 및 농축수가 잔류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수 배출구(5)를 닫아 정수시스템의 가동을 일시적으로 정지시킨 후 상기 정수 배출구(5)를 개방시켜 재가동시키는 초기에, 상기 역삼투막 필터(3)를 통과하는 정수처리된 정수에 포함되는 TDS 유발물질이 일시적으로 높아지게 되므로 정수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정수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을 갖는다.
출원번호 10-2007-0067513호에 보조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 배출구(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를 임의시간동안 차단시킨 후 개방시켜 재사용하는 경우 역삼투막 필터 내의 정수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수탱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막 필터사이의 관로에서 분기된 분기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2저수탱크;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제2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및 기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을 제공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역삼투막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에 있어서, 정수 배출구를 임의시간동안 차단시킨 후 개방시켜 재사용하는 경우 정수를 역삼투막 필터의 내부의 멤브레인 경계부위에서 농축수측으로 재 투입시킴에 따라, 역삼투막 필터의 내측 멤브레인 표면에 남아 있는 농축수를 배출시키게 되므로 정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정수시스템에 대한 신뢰성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RO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사용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사용상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은,
원수(수돗물, 지하수 등)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처리 필터(세디먼트 필터(10), 프리카본 필터(11)를 말함);
상기 전처리 필터(10,1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12)(RO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수탱크(13)(메인 저수탱크를 말함);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14)(일 예로서 faucet를 말함);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15);
상기 자동차단밸브(15)와 역삼투막 필터(12)사이의 관로(16)에서 분기된 분기관로(17)에 설치되고,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2저수탱크(18)(보조 저수탱크를 말함);
상기 자동차단밸브(15)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제2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임의시간(역삼투막 필터(12)의 용량 등에 가변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구비한다.
상기 제1저수탱크(13)와 정수 배출구(14)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저장된 후 정수 배출구(14)로 배출되는 정수의 물 맛을 개선하는 포스트카본 필터(20)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자동차단밸브(15)와 역삼투막 필터(12)사이의 관로(16)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수탱크(13)로부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2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단밸브(15)는 상기 제1저수탱크(13) 및 제2저수탱크(18)에 채워지는 정수의 압력(제1저수탱크(13)의 압력 = 제2저수탱크(18)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오프(OFF)상태로 자동 전환된다.
상기 분기관로(17) 및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저수탱크(18)로부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22) 및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부터 상기 제2저수탱크(18)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체크밸브(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자동차단밸브(15)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킬 경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 내의 잔수는 농축수쪽으로 배출되므로 상기 역삼투막 필터(12) 내부의 압력은 제로(zero) 상태이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의 압력과 상기 역삼투막 필터(12)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저수탱크(18) 내의 정수를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통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공급할 수 있다(즉, 상기 제2저수탱크(18)의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공급하기 위한 별도의 펌프의 사용이 불필요하게 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24는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부터 프리카본 필터(1)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4체크밸브이다.
이때, 상기 세디먼트 필터(10), 프리카본 필터(11), 역삼투막 필터(12), 포스트카본 필터(20), 제1저수탱크(13) 및 정수 배출구(14)를 포함하는 정수시스템의 구성은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의 정수시스템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실예에 따른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닫은 상태에서, 상기 원수공급원으로부터 호스 등을 통해 공급되는 원수는 상기 세디먼트 필터(10)를 통과한 후, 온(ON) 상태를 유지하는 자동차단밸브(15), 프리카본 필터(11), 제4체크밸브(24)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프리카본 필터(11)로부터 역삼투막 필터(12)로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에 설치된 제3체크밸브(23)에 의해 상기 제2저수탱크(18)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역삼투막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 일부는 상기 관로(16)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21), 자동차단밸브(15)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저장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역삼투막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 일부는 상기 관로(16)에 분기접속된 분기관로(17)의 제2체크밸브(22)를 통과하여 상기 제2저수탱크(18)에 저장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여과된 농축수(폐수)는 농축수 조절밸브를 통과하여 지정된 장소로 배출된다.
이때,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가 저장되는 상기 제1저수탱크(13) 및 제2저수탱크(18)는 도면상, 상이한 사이즈로 도시되어 있으나, 상기 제1저수탱크(13) 및 제2저수탱크(18)에 설정된 레벨로 채워질 경우 제1저수탱크(13) 및 제2저수탱크(18) 내부의 정수의 압력은 동일하게 된다.
상기 제1저수탱크(13) 및 제2저수탱크(18)에 채워지는 정수 량이 증가되어 내부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상기 자동차단밸브(15)를 오프(OFF)상태로 전환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자동차단밸브(15)에 의해 원수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프리카본 필터(11)에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게 되므로, 원수가 유입되지않는 상기 역삼투막 필터(12) 내부에서는 유체의 이동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12) 내의 잔수를 농축수쪽으로 배출시킴에 따라 역삼투막 필터(12) 내부의 압력은 제로(zero)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의 압력과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내의 잔수의 압력차이(제2저수탱크(18)의 정수 압력 〉역삼투막 필터(12) 내의 잔수 압력)에 의해 상기 제2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의 제3체크밸브(23)를 통과하여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의 유입구측에 공급된다. 이때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저장된 정수는 상기 관로(16)에 설치된 제1체크밸브(21)에 의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측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2저수탱크(18)로부터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통해 공급되는 정수가 상기 역삼투막 필터(18) 내부에 채워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의 멤브레인 내부 및 외부를 저농도의 TDS로 유지하게 되므로 역삼투막 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제2저수탱크(18)로부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공급되는 정수에 의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3) 내의 잔수를 농축수 배출라인을 통해 배출시켜 플러싱시키는 구성은 당해분야에서 사용되는 것이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따라서,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임의시간동안 폐쇄시킨 후 사용자에 의해 정수 배출구(14)를 재 개방시킬 경우,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통하여 초기 배출되는 정수의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개방시킬 경우, 상기 제1저수탱크(13)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포스트카본 필터(20)를 통과하여 상기 정수 배출구(14)로 배출된다. 즉 상기 제1저수탱크(13)로부터 정수가 배출되어 내부의 정수 압력이 다운(down) 되므로 상기 자동차단밸브(15)가 온(ON) 상태로 전환된다.
이로 인해, 원수공급원으로 공급되는 원수가 상기 세디먼트 필터(10), 자동차단밸브(15), 프리카본 필터(11), 자동차단밸브(15)를 차례로 통과하여 역삼투막 필터(12)에 공급되어 정수처리되는 정수시스템이 재 가동된다.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일시적으로 닫은 후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재 개방시킬 경우, 일반적인 정수기와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서 발생되는 정수 성능의 변화됨을 아래표에 표기하였다.
[표1]
Figure pat00001
상기 표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 의하면,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일시적으로 닫은 후 상기 정수 배출구(14)를 재 개방시킬 경우, 일반적인 정수기에 적용되는 역삼투막 필터에서 변화되는 TDS값 대비 본 발명의 정수시스템에 적용되는 역삼투막 필터(12)에서 변화되는 TDS값 비교를 통해 정수 성능의 회복됨을 명확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별도의 저수탱크에 저장하지 않고 정수 배출구(파우셋을 말함)쪽으로 직접 배출시키는 직수형 정수시스템을 말함)은,
원수(수돗물, 지하수 등)가 순차적으로 유입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전처리 필터(세디먼트 필터(10), 프리카본 필터(11)를 말함);
상기 전처리 필터(10,11)로부터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12);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18);
상기 저수탱크(18)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14);
상기 저수탱크(18)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15);
상기 자동차단밸브(15)가 오프(OFF)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25);를 구비한다.
상기 밸브(25)로서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전환되어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개폐시키도록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되, 상기 밸브(25)는 타이머(26)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임의시간 간격으로 개폐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18)와,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개폐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타이머(26)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임의시간 간격으로 개폐시키는 밸브(25)를 제외한 정수시스템의 구성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시스템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들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고 중복되는 구성에 대한 도면부호는 동일하게 표기한다.
즉, 상기 타이머(26)에 의해 설정된 임의시간 간격마다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에 설치된 밸브(25)가 외부로부터의 전기적신호에 의해 개방될 경우,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에 의해 정수처리되어 상기 저수탱크(18)에 저장된 정수가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을 따라 이동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의 입구측에 공급된다.
따라서, 상기 저수탱크(18)로부터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19) 및 밸브를 통과하는 정수가 상기 역삼투막 필터(18) 내부에 채워지므로, 상기 역삼투막 필터(12)의 멤브레인 내부 및 외부를 저농도의 TDS로 유지하게 되므로 역삼투막 크립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 상술한 본 발명에서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할 수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세디먼트 필터
11; 프리카본 필터
12; 역삼투막 필터
13; 제1저수탱크
14; 정수 배출구
15; 자동차단밸브(ASV)
16; 관로
17; 분기관로
18; 제2저수탱크
19;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
20; 포스트카본 필터

Claims (8)

  1.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1저수탱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
    상기 제1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막 필터사이의 관로에서 분기된 분기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제2저수탱크;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제2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2. 유입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 및 농축수로 분리시켜 배출하는 역삼투막 필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를 저장하는 저수탱크;
    상기 저수탱크에 연결되는 정수 배출구;
    상기 저수탱크에 저수되는 정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연동되어 폐쇄상태로 전환시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는 자동차단밸브(ASV);
    상기 자동차단밸브가 오프상태로 전환되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를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임의시간동안 공급하기 위한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에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에 의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제2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의 압력과 상기 역삼투막 필터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제2저수탱크 내의 정수를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와 역삼투막 필터사이의 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제1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1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는 상기 제1저수탱크 및 제2저수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의 압력이 설정값에 도달되는 경우 정수 압력에 의해 오프상태로 자동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기관로 및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에 각각 설치되고, 상기 제2저수탱크로부터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2체크밸브 및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부터 상기 제2저수탱크로 정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제3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로서 외부로부터 전기적신호 인가시 전환되어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개폐시키도록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되, 상기 밸브는 타이머에 연결되어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임의시간 간격으로 개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차단밸브에 의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로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경우, 상기 저수탱크에 저장된 정수의 압력과 상기 역삼투막 필터 내부의 압력차에 의해 상기 저수탱크 내의 정수를 상기 플러싱용 정수공급라인을 통해 상기 역삼투막 필터에 공급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1020150189314A 2015-12-30 2015-12-30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KR10180448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14A KR101804485B1 (ko) 2015-12-30 2015-12-30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89314A KR101804485B1 (ko) 2015-12-30 2015-12-30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79110A true KR20170079110A (ko) 2017-07-10
KR101804485B1 KR101804485B1 (ko) 2017-12-04

Family

ID=593560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89314A KR101804485B1 (ko) 2015-12-30 2015-12-30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04485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9466A (zh) * 2019-04-03 2019-06-14 中山活水来智慧物联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冲洗的饮水机
CN110844972A (zh) * 2019-12-03 2020-02-28 徐州聚西廷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单级反渗透纯净水装置
CN111908640A (zh) * 2020-08-21 2020-11-10 佛山尚之水净水科技有限公司 时序联动式直饮水净化系统
CN113311883A (zh) * 2021-05-24 2021-08-2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压力桶失效检测方法、装置及中央水处理设备
CN114195225A (zh) * 2020-09-18 2022-03-18 武汉大学 一种无动力的单户净水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1421B1 (ko) * 2017-12-06 2018-02-22 (주)씨앤씨엔텍 고농도 액비 생성장치를 구비한 역삼투막 시스템
KR102267130B1 (ko) 2019-03-07 2021-06-18 경남대학교 산학협력단 고온고염 지하수 처리를 위한 막 증발시스템
KR102453513B1 (ko) * 2020-11-05 2022-10-12 주식회사 리송 친환경 살균 소독이 가능한 초정밀 초음파세척기용 필터살균시스템
KR20220111593A (ko) 2021-02-02 2022-08-09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20220169769A (ko) 2021-06-21 2022-12-28 코웨이 주식회사 정수기
KR102541602B1 (ko) 2022-01-10 2023-06-08 김주언 Ro 수 처리시스템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879466A (zh) * 2019-04-03 2019-06-14 中山活水来智慧物联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冲洗的饮水机
CN109879466B (zh) * 2019-04-03 2024-02-23 中山活水来智慧物联网有限责任公司 一种可自动冲洗的饮水机
CN110844972A (zh) * 2019-12-03 2020-02-28 徐州聚西廷新型材料科技有限公司 一种单级反渗透纯净水装置
CN111908640A (zh) * 2020-08-21 2020-11-10 佛山尚之水净水科技有限公司 时序联动式直饮水净化系统
CN114195225A (zh) * 2020-09-18 2022-03-18 武汉大学 一种无动力的单户净水装置
CN113311883A (zh) * 2021-05-24 2021-08-2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压力桶失效检测方法、装置及中央水处理设备
CN113311883B (zh) * 2021-05-24 2024-04-05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压力桶失效检测方法、装置及中央水处理设备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4485B1 (ko) 2017-1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485B1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EP3427807B1 (en) Water purifier and control method for water purifier
US20200277206A1 (en) Single-stage water treatment system
RU2652705C1 (ru) Установка очистки и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воды
KR102622548B1 (ko) 수처리장치
KR100872340B1 (ko) 보조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KR100278516B1 (ko) 정수장치
KR100191863B1 (ko) 역삼투압 정수장치 및 그 제어방법
US20170296975A1 (en) Raw water filtration treatment system, and method for cleaning filtration device
KR101481075B1 (ko) 침지식 연속유동 막여과장치 및 그의 역세척방법
KR20180074851A (ko) 체크밸브가 내장된 ro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시스템
KR100974184B1 (ko) 역삼투막을 이용한 계곡수 또는 지하수 처리 소규모 수도시설 장치
KR101400921B1 (ko) 연속유동 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수처리방법
JP2007289899A (ja) 膜分離手段の膜洗浄方法及び水処理装置
US201902181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JP6664673B1 (ja) 濾過システム
KR101334651B1 (ko) 저류조가 없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이용한 정수처리방법
KR101782545B1 (ko) 여과수 공급 장치
KR101427478B1 (ko) 선박의 발라스트수 처리장치의 해수 유동 조절 시스템
KR102422723B1 (ko) 수질 성상에 대응하여 운전모드를 변경할 수 있는 정수처리장치 및 이를 기반으로 하는 정수처리방법
KR20150016763A (ko)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101586319B1 (ko) 플러싱 기능을 가지는 정수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방법
JP3175413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