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16763A -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 Google Patents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16763A
KR20150016763A KR1020130092621A KR20130092621A KR20150016763A KR 20150016763 A KR20150016763 A KR 20150016763A KR 1020130092621 A KR1020130092621 A KR 1020130092621A KR 20130092621 A KR20130092621 A KR 20130092621A KR 20150016763 A KR20150016763 A KR 201500167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orage tank
water
purified water
water storage
purifi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2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석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코그램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코그램
Priority to KR10201300926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16763A/ko
Publication of KR201500167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1676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61/00Processes of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e.g. dialysis, osmosis or ultrafiltration; Apparatus, accessories or auxiliary opera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61/02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Nanofiltration
    • B01D61/025Reverse osmosis; Hyperfiltr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001Processes for the treatment of water whereby the filtration technique is of importance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28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 C02F1/283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sorption using coal, charred products, or inorganic mixtures containing them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00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 C02F1/44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 C02F1/441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or sewage by dialysis, osmosis or reverse osmosis by reverse osm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2209/00Controlling or monitoring parameters in water treatment
    • C02F2209/42Liquid leve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anotechnology (AREA)
  • Water Treatment By Sorption (AREA)
  • Separation Using Semi-Permeable Membra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오픈형 정수수 저장탱크(또는 "압력탱크" 라고 함) 내부를 세척할 수 있고,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는,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기용 저장탱크에 있어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펌프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원수 여과필터 중 역삼투막 필터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며, 상기 정수수를 상기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가 구비되는 정수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open type storage tank for water purifier and purifing system}
본 발명은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특히 정수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오픈형 정수수 저장탱크(또는 "압력탱크" 라고 함) 내부를 세척할 수 있고,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용 밀폐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은,
수도꼭지(미 도시됨)에 연결된 호스를 통해 유입되는 원수(수도수, 지하수 등) 중에 포함된 녹, 흙, 모래, 부유되는 고형물을 부직포에 의해 미크론사이즈의 이물질을 제거하는 세디먼트 필터(sediment filter)(1)와,
콜의 광물질 또는 야자수나무를 고온에서 태워서 만든 활성탄의 흡착방식에 의해 수중에 잔류되는 염소성분(트리할로메탄), 유기화학물질 등을 제거하는 프리카본 필터(pre-carbon filter)(2)와,
폴리아마이드 복합막에 의해 0.0001미크론크기의 미세한 기공을 통하여 수중의 각종 오염물질, 세균, 무기물질, 중금속 등을 정수처리하는 역삼투막 필터(membrane filter, 또는 reverse osmosis filter(R/O))(3)와,
수중의 냄새, 가스 성분과 같은 이물질을 정수처리하여 물 맛을 개선하는 포스트카본 필터(post-carbon filter)(4)와,
상기 원수 여과필터(1,2,3,4)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저장탱크(6)를 포함한다.
상기 역삼투막 필터(3)에 의해 정수처리시 걸러지는 폐수(농축수)는 플로우 리스트릭터(flow restrictor)(8)를 경유하여 지정된 장소로 배출된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5는 정수수 저장탱크(6)에 채워지는 정수수 수위에 따라 설정된 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정수필터측에 원수 유입을 자동으로 차단하는 자동 차단밸브(A.S.V;automatic shut off valve)이고, 7은 정수수 저장탱크(6)의 압력이 설정압력에 도달되는 경우 정수수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이다.
상기 자동 차단밸브(5)는 역삼투막 필터(3) 사용으로 인해 정수수 배출량이 매우 적어(일 예로서 정수수와 농축수의 배출량 비율이 1:4 이다)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정수수 저장탱크(6)에 저장한 후, 필요한 경우 정수수 저장탱크(6)로부터 소정량의 정수수를 배출시킬 수 있도록 사용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6)가 밀폐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6) 내부를 세척할 수 없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6) 내부에 인체에 유해한 각종 세균들이 번식하여 정수수 저장탱크(6) 내부의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초래할 수 있는 문제점을 갖는다.
또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6)로부터 정수수 배출에 따른 내부의 압력 감소에 따라 역삼투막 필터(3)로부터 정수수가 정수수 저장탱크(6)에 유입되므로, 정수수 저장탱크(6)에 정수수 채워지는 시간이 길어져 정수기 사용자들로부터 이에 대한 개선사항이 끊임없이 요구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가 오픈형으로 되어 있어 그 내부 세척이 용이해지고,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역삼투막 필터의 여과작용으로 인해 정수수 량이 감소되는 것을, 펌프에 의해 정수수를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수 저장탱크 내에 내장되는 항균필터에 의해 위생적인 정수수를 음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정수수 저장탱크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정수수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을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과 관련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는,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기용 저장탱크에 있어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펌프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원수 여과필터 중 역삼투막 필터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며, 상기 정수수를 상기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가 구비되는 정수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은,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
상기 원수 여과필터 중 역삼투막 필터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배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
상기 배출관로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코크부 차단시 상기 배출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상기 코크부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을 제공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위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펌프와 고압차단스위치 사이의 배출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코크부 차단에 따라 상승되는 압력이 상기 펌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로서 포스트카본 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그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플랜지 소정위치에 2단형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탑커버 소정위치에 상기 제1체결공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2체결공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상기 탑커버를 결합시 일치되는 상기 제1,2체결공에 결합되는 로커, 상기 제1,2체결공에 결합되는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체결공은 상기 로커가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상기 로커에 의해 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로커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슬라이딩이동되는 체결홈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커는
상판과,
상기 상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중간에 슬롯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 하단부에 측면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탑커버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로커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결합홈으로 슬라이딩이동시 상기 탑커버로부터 상기 로커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탑커버 가장자리에 연장형성되는 날개형 로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상에 상기 탑커버를 밀착시킨 후 상기 걸림턱에 상기 날개형 로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수도꼭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
상기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배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코크부 차단시 상기 배출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상기 코크부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이뤄지는 언더싱크형 정수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로커는 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대해 상기 탑커버를 착탈하기 위해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은 아래와 같은 이점을 갖는다.
정수처리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가 오픈형으로 되어 있어 그 내부를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고,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하므로 사용자에게 신뢰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역삼투막 필터의 여과작용으로 인해 정수수 량이 감소되는 것을, 펌프에 의해 정수수를 원활하게 공급하므로 정수시스템을 유용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정수수 저장탱크 내에 내장되는 항균필터에 의해 위생적인 정수수를 음용하므로 이용자들의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다.
또한, 정수수 저장탱크를 사각형상으로 형성하여 정수수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을 최대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의한 정수기용 밀폐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의 분리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에서, 정수수 저장탱크에 탑커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로커의 저면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로커의 사용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의 개략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에서, 정수수 저장탱크에 탑커버를 착탈가능하게 고정하는 로커의 변형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되,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지,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 것이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는,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기용 저장탱크에 있어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10) 및 펌프(11)가 구비되는 베이스(12)(base);
상기 베이스(12)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원수 여과필터(A) 중 역삼투막 필터(c)로부터 유입구(14)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며, 상기 정수수를 펌프(11)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15)가 구비되는 정수수 저장탱크(16); 및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정수수 저장탱크(16)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17)(top cover);를 구비한다.
도 2 내지 도 6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은,
원수 공급원(일 예로서 수도꼭지 등을 말함)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A);
상기 원수 여과필터(A) 중 역삼투막 필터(c)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16);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배출관로(37)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18)(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
상기 배출관로(37)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11);
상기 펌프(11)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37)에 설치되고, 코크부(18)를 차단시 상기 배출관로(37) 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펌프(11)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19)(H.P.S;high pressure switch);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19)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상기 코크부(18)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20)를 구비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에 설치되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에 발생되는 세균 등의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필터(21)(일 예로서 세라믹필터 등이 사용될 수 있음)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에 설치되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량보다 적을 경우 펌프(11)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위검출센서(22)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정수수 저장탱크(16)의 형상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펌프(11)와 고압차단스위치(19) 사이의 배출관로(37)에 설치되며, 코크부(18) 차단에 따라 상승되는 압력이 펌프(11)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2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고압차단스위치(18)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키는 여과필터(20)로서 포스트카본 필터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는 그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플랜지(24) 소정위치에 2단형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25)과,
상기 탑커버(17) 소정위치에 제1체결공(25)과 동일한 크기로 2단형으로 형성되는 제2체결공(26)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탑커버(17)를 결합시 일치되는 제1,2체결공(25,26)에 결합되는 로커(27), 제1,2체결공(25,26)에 결합되는 로커(27)에 의해 정수수 저장탱크(16)와 탑커버(17)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2체결공(25,26)은 로커(27)가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결합홈(28)과,
상기 결합홈(28)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정수수 저장탱크(16)와 탑커버(17) 사이의 틈새를 로커(27)에 의해 압착시키기 위해 로커(27)가 결합홈(28)으로부터 슬라이딩이동되는 체결홈(29)으로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로커(27)는
상판(30)과,
상기 상판(30)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중간에 슬롯(31)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레그부(32)와,
상기 레그부(32) 하단부에 측면으로 돌출형성되고, 탑커버(17)를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로커(27)를 체결홈(29)으로부터 결합홈(28)으로 슬라이딩이동시 탑커버(17)로부터 로커(17)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33)을 구비할 수 있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걸림턱(34)과,
상기 탑커버(17) 가장자리에 연장형성되는 날개형 로커(35), 정수수 저장탱크(16) 상에 탑커버(17)를 밀착시킨 후 걸림턱(34)에 날개형 로커(35)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 정수수 저장탱크(16)와 탑커버(17)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한다.
수도꼭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A);
상기 원수 여과필터(A)에 의해 여과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16);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배출관로(37)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18);
상기 배출관로(37)에 설치되고,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11);
상기 펌프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37)에 설치되고, 코크부(18) 차단시 배출관로(37)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펌프(11)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H.P.S)(19);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19)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코크부(18)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20);를 구비하여 이뤄지는 언더싱크형 정수기에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로커(27)는 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대해 탑커버(17)를 착탈하기 위해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27a)을 구비할 수 있다.
도면중 미 설명부호 38은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임의의 설정압을 초과하는 압력 발생시,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여과필터(A)에 원수 유입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자동차단밸브(A.S.V;automatic shut off valve)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의 사용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6에서와 같이, 수도꼭지 등의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가 원수 여과필터(A)를 이루는 세디먼트필터(a), 프리카본필터(b), 역삼투막필터(c)를 차례로 경유하여 통과할 경우,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시켜 정수처리한다. 상기 역삼투막필터(c)에 의해 정수 처리시 배출되는 농축수는 정수수와 별도로 분리되어 처리된다. 이때 상기 원수 여과필터(A)에 유입되는 원수를 정수처리하는 구성은 본원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사용되는 기술내용이므로 이들 구성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원수 여과필터(A)에 의해 정수처리된 정수수는 관로(39) 및 유입구(14)를 통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유입되어 저장된다. 이때 유입구(14)를 통해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정수수가 유입될 경우, 정수수 량이 임의의 상한 설정량을 초과할 경우 볼탑(40)에 의해 유입구(14)를 차단하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의 압력이 임의의 설정압력을 초과할 경우 상기 자동차단밸브(38)에 의해 관로(39)를 차단하게 된다. 이로 인해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원수 여과필터(A)에 원수 유입이 차단되므로 원수 여과필터(A)에 의한 정수 처리기능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한편, 상기 원수 여과필터(A)를 통과한 정수수가 유입구(14)를 통해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유입될 경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에 설치된 수위검출센서(22)에 의해 수위가 계측된다. 이때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량보다 적을 경우에 상기 펌프(11)는 구동을 멈추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상기 펌프(11) 구동에 의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의 정수수를 배출관로(37)를 통해 배출시킨다. 이때 상기 배출관로(37) 단부에 설치된 코크부(18)는 개방되어 정수수를 배출하게 된다.
즉,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저장된 정수수는 배출구(10), 관로(15), 펌프(11), 체크밸브(23), 고압차단스위치(19), 여과필터(20) 및 배출관로(37)를 차례로 통과하여 상기 코크부(18)(일 예로서 파우셋을 말함) 쪽으로 이동된다.
이때,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배출되는 정수수가 배출관로(37)에 설치된 여과필터(20)를 경유하여 재 여과된 후, 상기 코크부(18)를 통해 배출되므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의 오염원(일 예로서 인체에 유해한 세균 등을 말함)에 의해 정수수 2차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코크부(18)를 폐쇄시킬 경우 상기 배출관로(37) 내의 압력은 상기 고압차단스위치(19)에 의해 감지된다. 이때 상기 배출관로(37) 내의 압력이 상승되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고압차단스위치(19)에 의해 펌프(11) 구동을 정지시킨다.
한편, 상기 코크부(18)를 차단시킴에 따라 배출관로(37) 내의 압력이 상승될 경우, 상기 펌프(11)와 고압차단스위치(19) 사이의 배출관로(37)에 설치된 체크밸브(23)에 의해 펌프(11)측으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A)가 오픈형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에 대해 탑커버(17)를 분리시켜 세척할 수 있다. 즉 정수수 저장탱크(16) 상에 탑커버(17)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킨 로커(27)를 언로킹상태로 전환시킴에 따라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탑커버(17)를 분리할 수 있다.
이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상단의 플랜지(24)에 형성된 제1체결공(25)과 이와 동일한 크기로 탑커버(17) 소정위치에 형성된 제2체결공(26)으로부터 로커(27)를 분리할 수 있다. 즉 제1,2체결공(25,26)의 체결홈(29)에 결합된 로커(27)의 레그부(32)를 상기 체결홈(29)과 연통된 결함홈(28)으로 슬라이딩이동시킬 경우, 레그부(32)는 이의 탄성력 및 슬롯(31)에 의해 초기상태로 복원되므로 결합홈(28)에 밀착되어진다.
따라서, 상기 로커(27)의 로킹이 해제되므로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탑커버(17)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로커(27)는 상기 레그부(32)의 하단부에 형성된 걸림턱(33)에 의해 탑커버(17)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의 내부 또는 상기 탑커버(17)의 내측면에 달라붙은 이물질 등을 청결하게 세척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의 외형이 사각형상으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를 싱크대 내부에 설치할 경우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에 의해 제약받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싱크대 내부의 협소한 공간을 최대한 유용하게 활용하여 정수수 저장탱크(16)를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역삼투막 필터(c)의 여과기능에 의해 감소되는 정수수 량을 펌프(11) 구동에 의해 정수수 저장탱크(16)로부터 정수수를 일정하게 배출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역삼투막 필터(c)를 통과하는 정수수가 유입구(14)를 통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16) 내부의 수위에 따라 유입되므로, 정수수 저장탱크(16)에 정수수가 임의의 상한 설정값만큼 채워지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10; 배출구
12; 베이스
14; 유입구
16; 정수수 저장탱크
18; 코크부
20; 여과필터
22; 수위검출센서
24; 플랜지
26; 제2체결공
28; 결합홈
30; 상판
32; 레그부
34; 걸림턱

Claims (14)

  1.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정수처리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기용 저장탱크에 있어서:
    정수수가 배출되는 배출구 및 펌프가 구비되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상에 착탈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원수 여과필터 중 역삼투막 필터로부터 유입구를 통해 유입되는 정수수를 저장하며, 상기 정수수를 상기 펌프에 공급하기 위한 관로가 구비되는 정수수 저장탱크; 및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키기 위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상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탑커버;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2. 원수 공급원으로부터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
    상기 원수 여과필터 중 역삼투막 필터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배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
    상기 배출관로 소정위치에 설치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코크부 차단시 상기 배출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상기 코크부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발생되는 오염원으로 인한 정수수 2차 오염을 방지하기 위한 항균필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에 설치되며,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량보다 적을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기 위한 수위검출센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가 설치되는 장소의 공간에 의해 간섭받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사각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펌프와 고압차단스위치 사이의 배출관로에 설치되며, 상기 코크부 차단에 따라 상승되는 압력이 상기 펌프로 역류되는 것을 방지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키는 여과필터로서 포스트카본 필터가 사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그 내부를 육안으로 식별할 수 있도록 투명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플랜지 소정위치에 2단형으로 관통형성되는 제1체결공과,
    상기 탑커버 소정위치에 상기 제1체결공과 동일한 크기로 형성되는 제2체결공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상기 탑커버를 결합시 일치되는 상기 제1,2체결공에 결합되는 로커, 상기 제1,2체결공에 결합되는 상기 로커에 의해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2체결공은 상기 로커가 결합되는 사각형상의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게 형성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상기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상기 로커에 의해 압착시키기 위해 상기 로커가 상기 결합홈으로부터 슬라이딩이동되는 체결홈으로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상판과,
    상기 상판 하방으로 연장형성되고 중간에 슬롯이 상하방향으로 형성되는 레그부와,
    상기 레그부 하단부에 측면으로 돌출형성되고, 상기 탑커버를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분리시키기 위해 상기 로커를 상기 체결홈으로부터 결합홈으로 슬라이딩이동시 상기 탑커버로부터 상기 로커 이탈을 방지하는 걸림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는,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의 상단 가장자리에 빙둘러 형성되는 걸림턱과,
    상기 탑커버 가장자리에 연장형성되는 날개형 로커,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상에 상기 탑커버를 밀착시킨 후 상기 걸림턱에 상기 날개형 로커를 착탈가능하게 고정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와 탑커버 사이의 틈새를 압착시켜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 내부를 밀폐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13. 제2항에 있어서, 수도꼭지를 경유하여 공급되는 원수 중에 포함되는 이물질을 여과하는 원수 여과필터;
    상기 원수 여과필터에 의해 여과된 정수수를 저장하는 정수수 저장탱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배출관로를 통해 연결되는 코크부;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채워지는 정수수 량이 임의의 하한 설정값보다 많을 경우 구동하여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로부터 정수수를 배출시키는 펌프;
    상기 펌프 하류측으로 상기 배출관로에 설치되고, 상기 코크부 차단시 상기 배출관로 내의 압력이 설정값을 초과할 경우 상기 펌프 구동을 정지시키는 고압차단스위치; 및
    상기 고압차단스위치를 통과하는 정수수를 재 여과시켜 상기 코크부로 토출시키는 여과필터;를 구비하여 이뤄지는 언더싱크형 정수기에 적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14. 제9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로커는 이의 상면에 형성되고, 상기 정수수 저장탱크에 대해 상기 탑커버를 착탈하기 위해 파지시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하는 엠보싱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KR1020130092621A 2013-08-05 2013-08-05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KR2015001676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1A KR20150016763A (ko) 2013-08-05 2013-08-05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2621A KR20150016763A (ko) 2013-08-05 2013-08-05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16763A true KR20150016763A (ko) 2015-02-13

Family

ID=52573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2621A KR20150016763A (ko) 2013-08-05 2013-08-05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16763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5213A (zh) * 2018-05-30 2020-01-0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净水机及控制方法
CN112717541A (zh) * 2020-12-13 2021-04-30 陈玉凤 一种物联网节流净水器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655213A (zh) * 2018-05-30 2020-01-07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净水机及控制方法
CN110655213B (zh) * 2018-05-30 2022-03-15 艾欧史密斯(中国)环境电器有限公司 净水机及控制方法
CN112717541A (zh) * 2020-12-13 2021-04-30 陈玉凤 一种物联网节流净水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4485B1 (ko)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막 세정장치가 구비된 정수시스템
JP2008100123A (ja) 水処理機器
KR102639274B1 (ko) 자가 관리형 정수기
KR102189170B1 (ko) 커버부재 연동 안전 수처리장치
JP2006289334A (ja) 廃棄水及び浄水を利用可能な逆浸透膜純水装置
KR20150016763A (ko) 정수기용 오픈형 저장탱크 및 이를 이용한 정수시스템
CA2477939A1 (en) Multiple barrier filter apparatus
KR200459279Y1 (ko) 커넥터를 이용하여 용이하게 교체되는 원터치방식의 정수시스템
JP3174016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KR20160115576A (ko) 농축수를 이용하여 압력탱크의 정수수를 토출시키는 정수기
KR101117748B1 (ko) 역 세척 정수장치
KR100872340B1 (ko) 보조 역삼투막 필터를 포함하는 정수장치
KR102365494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WO2008013068A1 (fr) Purificateur d'eau
KR20040024777A (ko) 폐수절감형 정수시스템
KR20180074851A (ko) 체크밸브가 내장된 ro모듈 및 이를 구비하는 정수시스템
US2019021811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cleaning water filtration systems
JP3175413U (ja) 逆浸透膜式浄水器
KR100794103B1 (ko) 압력센서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160121292A (ko) 휴대용 수동식 정수기
KR20090025019A (ko) 정수기용 감압밸브
KR100576256B1 (ko) 이온 정수기의 세균제거장치
KR101720508B1 (ko) 도어 개폐시 연동되는 유로개폐용 밸브를 구비하는 정수기
KR200442330Y1 (ko) 정수시스템용 자동 차단밸브
KR20190068053A (ko) Ro필터용 정수 량 확인 및 농축수 배출량 조절밸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