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6663A -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 Google Patents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6663A
KR20170116663A KR1020160044513A KR20160044513A KR20170116663A KR 20170116663 A KR20170116663 A KR 20170116663A KR 1020160044513 A KR1020160044513 A KR 1020160044513A KR 20160044513 A KR20160044513 A KR 20160044513A KR 20170116663 A KR20170116663 A KR 2017011666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splay
electronic device
display order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4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2973B1 (ko
Inventor
이화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4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2973B1/ko
Priority to EP17782627.8A priority patent/EP3428771A4/en
Priority to PCT/KR2017/003878 priority patent/WO2017179872A1/ko
Priority to US16/088,906 priority patent/US10754383B2/en
Publication of KR2017011666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666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29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29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including at least an additional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84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 G06F1/168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related to integrated I/O peripherals not covered by groups G06F1/1635 - G06F1/1675 the I/O peripheral being an integrated camera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80Camera processing pipelines; Components thereof
    • H04N5/225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들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며, 제2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이 외에도 명세서를 통해 파악되는 다양한 실시 예가 가능하다.

Description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영상 처리 기술과 관련된다.
최근 들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보급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화면(또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거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에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디스플레이에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거나, 유/무선 통신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기존의 전자 장치는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을 획득하게 되면, 기출력된 영상을 획득된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순위로 지정하고, 제1 순위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가 상기 제1 순위와 인접하지 않을 수 있어, 상기 기출력된 영상을 재출력하기 위해서는 여러 단계를 수행할 수 밖에 없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은, 전술한 문제 및 본 문서에서 제기되는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개시되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들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며, 제2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문서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함으로써, 기출력된 영상의 재출력을 빠르게 수행되도록 제공할 수 있다.
이 외에, 본 문서를 통해 직접적 또는 간접적으로 파악되는 다양한 효과들이 제공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와 관련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실시 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 균등물(equivalent),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문서에서, "A 또는 B",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및 B 중 하나 또는 그 이상" 등의 표현은 함께 나열된 항목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A 또는 B", "A 및 B 중 적어도 하나", 또는 "A 또는 B 중 적어도 하나"는, (1) 적어도 하나의 A를 포함, (2) 적어도 하나의 B를 포함, 또는 (3) 적어도 하나의 A 및 적어도 하나의 B 모두를 포함하는 경우를 모두 지칭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사용자 기기와 제2 사용자 기기는,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사용자 기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표현 "~하도록 구성된(또는 설정된)(configured to)"은 상황에 따라, 예를 들면, "~에 적합한(suitable for)", "~하는 능력을 가지는(having the capacity to)", "~하도록 설계된(designed to)", "~하도록 변경된(adapted to)", "~하도록 만들어진(made to)", 또는 "~를 할 수 있는(capable of)"과 바꾸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은 하드웨어적으로 "특별히 설계된(specifically designed to)"것만을 반드시 의미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어떤 상황에서는, "~하도록 구성된 장치"라는 표현은, 그 장치가 다른 장치 또는 부품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문구 "A, B, 및 C를 수행하도록 구성(또는 설정)된 프로세서"는 해당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전용 프로세서(예: 임베디드 프로세서), 또는 메모리 장치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들을 실행함으로써, 해당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범용 프로세서(generic-purpose processor)(예: CPU 또는 application processor)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 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 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 PC(tablet personal computer), 이동 전화기(mobile phone),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e-book reader), 데스크탑 PC (desktop PC), 랩탑 PC(laptop PC), 넷북 컴퓨터(netbook computer),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서버,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모바일 의료기기, 카메라, 또는 웨어러블 장치(wearable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웨어러블 장치는 엑세서리 형(예: 시계, 반지, 팔찌, 발찌, 목걸이, 안경, 콘택트 렌즈, 또는 머리 착용형 장치(head-mounted-device(HMD)), 직물 또는 의류 일체 형(예: 전자 의복), 신체 부착 형(예: 스킨 패드(skin pad) 또는 문신), 또는 생체 이식 형(예: implantable circuit)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들에서, 전자 장치는 가전 제품(home appliance)일 수 있다. 가전 제품은, 예를 들면, 텔레비전, DVD 플레이어(Digital Video Disk player), 오디오, 냉장고, 에어컨, 청소기, 오븐, 전자레인지, 세탁기, 공기 청정기, 셋톱 박스(set-top box), 홈 오토매이션 컨트롤 패널(home automation control panel), 보안 컨트롤 패널(security control panel), TV 박스(예: 삼성 HomeSync™, 애플TV™, 또는 구글 TV™), 게임 콘솔(예: Xbox™, PlayStation™), 전자 사전, 전자 키, 캠코더, 또는 전자 액자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각종 의료기기(예: 각종 휴대용 의료측정기기(혈당 측정기, 심박 측정기, 혈압 측정기, 또는 체온 측정기 등), MRA(magnetic resonance angiography), MRI(magnetic resonance imaging), CT(computed tomography), 촬영기, 또는 초음파기 등),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위성 항법 시스템(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EDR(event data recorder), FDR(flight data recorder), 자동차 인포테인먼트(infotainment) 장치, 선박용 전자 장비(예: 선박용 항법 장치, 자이로 콤파스 등), 항공 전자기기(avionics), 보안 기기, 차량용 헤드 유닛(head unit), 산업용 또는 가정용 로봇, 금융 기관의 ATM(automatic teller's machine), 상점의 POS(point of sales), 또는 사물 인터넷 장치(internet of things)(예: 전구, 각종 센서, 전기 또는 가스 미터기, 스프링클러 장치, 화재경보기, 온도조절기(thermostat), 가로등, 토스터(toaster), 운동기구, 온수탱크, 히터, 보일러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가구(furniture) 또는 건물/구조물의 일부, 전자 보드(electronic board), 전자 사인 수신 장치(electronic signature receiving device), 프로젝터(projector), 또는 각종 계측 기기(예: 수도, 전기, 가스, 또는 전파 계측 기기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전술한 다양한 장치들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조합일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플렉서블 전자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의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전술한 기기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기술 발전에 따른 새로운 전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가 설명된다. 본 문서에서, 사용자라는 용어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사람 또는 전자 장치를 사용하는 장치 (예: 인공지능 전자 장치)를 지칭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와 관련된 전자 장치를 나타낸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거나,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각각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된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또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 실행 화면이 특정 기능 실행에 의해 서로 연관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상기 특정 기능 실행으로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함으로써, 상기 기출력된 영상을 다시 출력하기 위한 단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상기 영상의 표시 순서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순서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들의 표시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상기 영상들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들의 표시 순서는 상기 영상들이 메모리(170)에 저장된 시간, 또는 상기 영상들의 식별자(예: 파일 이름 등) 등을 기반으로 설정될 수 있다.
상술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전자 장치(100)는 도 1을 참조하면, 제1 디스플레이(111), 제2 디스플레이(113), 프로세서(130), 카메라 모듈(150), 메모리(170), 및 통신 모듈(19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전자 자치(100)의 구성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상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생략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100)는 제3 디스플레이(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는 사용자에게 각종 컨텐츠(예: 텍스트, 이미지, 비디오, 아이콘, 또는 심볼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 또는 제2 디스플레이(113)는 예를 들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 (LED))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ED (OLED)) 디스플레이, 또는 마이크로 전자기계 시스템(microelectromechanical systems, MEMS) 디스플레이, 또는 전자 종이(electronic paper)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는 각각 패널 및 상기 패널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Display driver IC(DDI))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패널은 복수 개의 화소들(또는 픽셀들)을 포함하며, 각 화소에는 빛의 삼원색인 RGB를 표시하는 부화소들(또는 하부 픽셀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화소들은 각각 적어도 하나의 트랜지스터를 포함하고, 트랜지스터에 걸리는 전압(또는 흐르는 전류)의 크기에 따라 화소를 조정하고 색을 표현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온/오프(On/Off) 기능을 갖고 상기 부화소의 게이트를 제어하는 게이트 드라이버(Gate Driver) 회로부 및 상기 부화소의 영상 신호를 조절하여 색상의 차이를 만드는 소스 드라이버(Source Driver) 회로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부화소의 트랜지스터를 조정하며 전체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구동 회로는 이미지 데이터를 프로세서(130)로부터 수신하여, 상기 패널에 영상 또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동작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에 포함된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플랫하게, 유연하게, 또는 구부러질 수 있게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상기 패널들 중 적어도 하나는 터치 패널 및/또는 펜 센서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 중 적어도 하나는 또 다른 영상 출력 방식을 지원하는 모듈(예: 홀로그램 장치, 프로젝터 등, 이상 미도시) 및/또는 이들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100)를 구현하는 실시 예들에 있어서, 전자 장치(100)의 여러 모듈 및 장치에서 변화하는 내용(예를 들어, 이미지 데이터, 이미지 데이터 스트림 등)의 적어도 일부를 프로세서(130)를 이용하여 처리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변화하는 내용을 제1 디스플레이(111) 또는 제2 디스플레이(113)중 적어도 하나에 출력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디스플레이(111)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고, 제2 디스플레이(113)는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90)을 기반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출력하게 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서,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된 영상을 제2 디스플레이(113)에 전환, 확장하여 표시하거나, 제2 디스플레이(113)에 출력된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111)에 전환, 확장하여 표시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 (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 (CP))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들의 제어 및/또는 통신에 관한 연산이나 데이터 처리를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예를 들면, 운영 체제 또는 응용 프로그램을 구동하여 프로세서(130)에 연결된 다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을 제어할 수 있고, 각종 데이터 처리 및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예를 들면, SoC(system on chip)로 구현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GPU(graphic processing unit) 및/또는 이미지 신호 프로세서(image signal processor)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의 출력을 제어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에 서로 다른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출력하거나 또는 동일한 어플리케이션의 서로 다른 기능 실행 화면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제2 디스플레이(113)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각종 컨텐츠를 포함하는 영상으로서 예컨대, 텍스트, 이미지, 및 동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2 디스플레이(113)에 카메라 모듈(150)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 또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예: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디스플레이(111)에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이 출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영상들의 출력을 변경할 수 있다. 한 예로,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터치 객체(예: 전자 펜 또는 사용자의 신체 일부 등)를 접촉시킨 상태에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상기 터치 객체의 접촉점을 이동시키는 입력(예: 플릭(flick) 입력)이 발생하면, 기출력된 영상을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기반으로 출력될 영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 순위인 경우, 상기 플릭 입력에 대응하여 제n 순위와 인접한 표시 순서인 제(n-1) 순위 또는 제(n+1) 순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될 영상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러나, 출력될 영상을 판단하는 방법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플릭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터치 객체의 접촉점의 이동 거리를 판단하고 이동 거리의 크기에 비례하여 영상들의 표시 순서 상의 이동 단계를 판단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표시 순서 상의 이동 단계는 기출력된 영상과 출력될 영상 사이에 존재하는 영상들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컨대, 기출력된 영상이 제n 순위에 해당하는 영상이고 출력될 영상이 제(n-m) 순위 또는 제(n+m) 순위에 해당하는 영상인 경우, 상기 표시 순서 상의 이동 단계는 m으로 지정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이동 거리의 크기가 커질수록 제n 순위로부터 표시 순서 상 이동 단계가 큰 영상을 출력될 영상으로 판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을 획득하면, 획득된 영상을 메모리(17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n-1) 순위 또는 제(n+1)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기출력된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함으로써, 기출력된 영상을 획득된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하더라도 기출력된 영상을 다시 출력하기 위한 단계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예컨대,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획득된 영상을 출력한 상태에서 플릭 입력이 한 번만 발생되면 기출력된 영상을 재출력시킬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획득된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영상이 획득되더라도 기출력된 영상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또 다른 영상을 획득하면, 획득된 영상을 메모리(170)에 저장하고,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전에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재지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30)는 제1 디스플레이(111)에 제1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5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영상을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하거나 또는 상기 제1 영상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5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3 영상이 획득되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 중인 상기 제1 영상 또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이전에 획득된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재지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예: 제1 순위) 또는 최후순위 예컨대,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의 개수가 n개인 경우 제(n+1) 순위로 지정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카메라 모듈(15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영상들이 획득되는 경우, 획득 시간에 따라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디스플레이(111)에 제1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카메라 모듈(150) 또는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지정된 시간 내에 제2 영상 및 제3 영상이 순차적으로 획득되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고,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한 예로,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n-1) 순위(또는, 제(n+1) 순위)로 지정하고,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n-2) 순위(또는, 제(n+2)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150)은 예를 들면, 정지 영상, 및 동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카메라 모듈(150)은 피사체의 영상 광을 받아들여 화상으로 결상시키는 렌즈, 렌즈를 통과하는 광의 양을 조절하는 조리개, 렌즈를 통과하는 광에 의해 이미지 센서가 일정 시간 동안 노출되도록 조리개를 여닫는 기능을 하는 셔터, 렌즈에 결상된 화상을 광신호로서 수광하는 이미지 센서, 및 내부 메모리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메모리는 촬영된 영상을 임시로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내부 메모리는 셔터를 조작하기 전 이미지 센서를 통해 촬상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을 프리뷰 또는 라이브뷰 등의 영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프로세서(130)는 셔터가 조작되어 촬상된 영상을 상기 내부 메모리에 저장하고, 지정된 사용자 입력이 발생하거나 또는 설정된 정보에 의해 상기 영상을 메모리(170)로 전달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70)는 예를 들면, 전자 장치(100)의 적어도 하나의 다른 구성요소에 관계된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70)는 전자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예로, 메모리(170)는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앨범 어플리케이션, 카메라 모듈(150)을 기반으로 촬영을 지원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 통신 모듈(190)을 기반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 정보 및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예: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 어플리케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메모리(170)는 카메라 모듈(150) 및 통신 모듈(190)을 기반으로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통신 모듈(190)은 전자 장치(100)와 외부 전자 장치 간의 통신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 모듈(190)은 무선 통신 또는 유선 통신을 통해서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로서, 예를 들면 LTE(Long-Term Evolution), LTE-A(LTE-Advanced),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CDMA(Wideband CDMA),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WiBro(Wireless Broadband), 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예를 들면, 근거리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근거리 통신은, 예를 들면, Wi-Fi(Wireless Fidelity), 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MST(magnetic stripe transmission), 또는 GNSS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GNSS는 사용 지역 또는 대역폭 등에 따라, 예를 들면,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Beidou Navigation Satellite System(이하 "Beidou") 또는 Galileo(the European global satellite-based navigation system)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문서에서는, "GPS"는 "GNSS"와 혼용되어 사용(interchangeably used)될 수 있다.
유선 통신은, 예를 들면, USB(universal serial bus),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RS-232(recommended standard 232), 또는 POTS(plain old telephone service)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 네트워크(telecommunications network), 예를 들면, 컴퓨터 네트워크(computer network)(예: LAN 또는 WAN), 인터넷, 또는 전화 망(telephone network)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는 통신 모듈(19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에 영상을 전송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예: 제1 디스플레이(111) 및 제2 디스플레이(113)),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예: 메모리(170)), 및 상기 디스플레이들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30))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1 디스플레이(예: 제1 디스플레이(111))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2 디스플레이(예: 제2 디스플레이(113))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며, 제2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상은 촬영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전자 장치는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선택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 또는 최후순위로 재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의 획득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와 관련된 전자 장치의 운용 방법을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동작 210에서, 제1 디스플레이(예: 제1 디스플레이(111))에 메모리(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제1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대한 지정된 사용자 입력(예: 플릭 입력)이 발생하면, 기출력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다른 영상으로 변경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기반으로 출력될 영상을 판단할 수 있다.
동작 220에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예: 제2 디스플레이(113))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예: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할 수도 있다.
동작 23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제2 영상을 획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이 출력된 상태에서 촬영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셔터 조작 입력 또는 촬영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 선택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상기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예: 영상)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 선택 입력이 발생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지 않는 경우 동작 220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제2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동작 240에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촬영 입력이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하고, 상기 촬영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고, 상기 데이터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동작 250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n-1) 순위 또는 제(n+1)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작 260에서,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예: 영상)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동작 260의 수행을 생략할 수도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상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제2 영상을 지정된 시간 동안 출력한 후, 상기 제2 영상의 출력을 종료하여 상기 제1 영상을 재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술한 동작 210 내지 동작 260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전까지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한 후, 제3 영상을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하면, 상기 제3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상기 제1 영상(또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3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재지정할 수도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 또는 최후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영상을 획득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도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 순위에 해당하고,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가 제(n-1) 순위(또는, 제(n+1) 순위)에 해당하는 경우,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n-2) 순위(또는, 제(n+2)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제1 디스플레이에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은 촬영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선택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제3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 또는 최후순위로 재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 처리 방법은 상기 제2 영상의 획득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에 출력되는 화면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310) 및 제2 디스플레이(330)를 포함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310)에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하도록 지원하는 앨범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기반으로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될 영상을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메모리(350)에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351), 제2 순위에 해당하는 제2 영상(352), 제3 순위에 해당하는 제3 영상(353), 제4 순위에 해당하는 제4 영상(354),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355),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356), 및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357)이 저장된 경우,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351)부터 순차적으로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앨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디스플레이(310)에 최선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351)을 출력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앨범 어플리케이션이 실행되면, 제1 디스플레이(310)에 최후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357)을 출력할 수도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전자 장치는 상기 앨범 어플리케이션이 종료되기 직전에 출력한 영상을 상기 앨범 어플리케이션이 재실행되면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들에 대응되는 간략화된 영상들(예: 섬네일 영상(thumbnail image))을 제1 디스플레이(310)의 일정 영역(예: 하단 영역)에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는 제1 영상(351)에 대응되는 제1 섬네일 영상(311), 제2 영상(352)에 대응되는 제2 섬네일 영상(312), 제3 영상(353)에 대응되는 제3 섬네일 영상(313), 제4 영상(354)에 대응되는 제4 섬네일 영상(314), 제5 영상(355)에 대응되는 제5 섬네일 영상(315), 제6 영상(356)에 대응되는 제6 섬네일 영상(316), 및 제7 영상(357)에 대응되는 제7 섬네일 영상(317)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디스플레이(310)의 일정 영역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메모리(350)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 중인 영상에 대응되는 섬네일 영상에 강조 효과를 적용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섬네일 영상의 배경 색, 테두리 색, 또는 테두리 굵기 등을 다르게 출력하여 강조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 중인 제4 영상(354)에 대응되는 제4 섬네일 영상(314)의 테두리를 굵게 출력하여 강조한 상태를 나타낸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지정된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여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플릭 입력(373)이 발생하면,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되는 영상을 변경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플릭 입력(373)이 발생하면, 제1 디스플레이(310)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한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4 영상(354)을 출력한 상태에서, 우측 방향의 플릭 입력(373)이 발생하면 제4 영상(354)의 출력을 종료하고 제5 영상(355)을 출력할 수 있다. 또는, 전자 장치는 제4 영상(354)을 출력한 상태에서, 좌측 방향의 플릭 입력(373)이 발생하면 제4 영상(354)의 출력을 종료하고 제3 영상(353)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섬네일 영상을 선택하는 입력(371)이 발생하면, 선택된 섬네일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4 영상(354)을 출력한 상태에서, 제3 섬네일 영상(313)을 선택하는 입력(371)이 발생하면 제4 영상(354)의 출력을 종료하고 제3 섬네일 영상(313)에 대응되는 제3 영상(353)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330)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 또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예: 영상)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디스플레이(330)에 출력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 또는 통신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화면을 제2 디스플레이(33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330)의 일정 영역(예: 하단 영역)에 기능 버튼(331)을 출력할 수도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330)에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330)의 일정 영역에 촬영 기능을 수행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331)(예: 촬영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330)에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제2 디스플레이(330)의 일정 영역에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331)(예: 저장 버튼)을 출력할 수 있다. 어떤 실시 예에서는, 전자 장치가 기능 버튼(331)을 메뉴(예: 팝업 메뉴)에 포함시켜 출력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능 버튼(331)을 선택하는 입력(375)이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촬영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전자 장치는 상기 저장 버튼이 선택되면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메모리(400)는 영상들을 저장할 수 있다. 제1 상태(401)에서와 같이, 메모리(400)는 표시 순서가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410), 표시 순서가 제2 순위에 해당하는 제2 영상(420), 표시 순서가 제3 순위에 해당하는 제3 영상(430), 표시 순서가 제4 순위에 해당하는 제4 영상(440), 표시 순서가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450), 표시 순서가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460), 및 표시 순서가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470)을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상기 영상들은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 또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어떤 실시 예에서, 상기 영상들은 전자 장치에 포함된 어플리케이션의 실행 중 획득된 영상(예: 스냅샷 영상(snapshot image))을 포함할 수도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00)는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예: 제8 영상(480))이 획득되면, 획득된 영상을 저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00)는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예: 제1 디스플레이(111))에 출력 중인 영상(예: 제4 영상(440))과 인접하도록 저장할 수 있다. 그러나, 획득된 영상의 저장 위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획득된 영상의 저장 위치는 메모리(400)의 저장 공간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제2 상태(403) 및 제3 상태(405)에서는, 획득된 영상이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영상과 인접하도록 저장된 상태를 나타내지만, 이는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이해하기 쉽도록 설명하기 위함이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400)에 제8 영상(480)이 저장되면, 프로세서(예: 프로세서(130))는 제8 영상(480)의 표시 위치를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제4 영상(440)의 표시 위치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제8 영상(480)의 표시 순서를 제4 영상(440)의 표시 순서와 인접한 제5 순위로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제8 영상(480)의 표시 순서가 제5 순위로 지정되면, 기존에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450)의 표시 순서는 제6 순위로 변경되고,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460)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되며,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470)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는 획득된 영상을 디스플레이에 출력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는 디스플레이에 기출력된 영상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도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1 상태(501)에서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510)에 메모리(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표시 순서가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551), 표시 순서가 제2 순위에 해당하는 제2 영상(552), 표시 순서가 제3 순위에 해당하는 제3 영상(553), 표시 순서가 제4 순위에 해당하는 제4 영상(554), 표시 순서가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555), 표시 순서가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556), 및 표시 순서가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557) 중 제4 영상(554)을 출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530)에 기능 버튼(531)과 함께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능 버튼(531)을 선택하는 입력(571)이 발생하면,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예: 제8 영상(558))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503)에서와 같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획득된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 중인 제4 영상(554)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를 제4 영상(554)의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제4 순위와 인접한 제5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에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555)의 표시 순서는 제6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556)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하며,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557)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제8 영상(558)을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503)에서 기능 버튼(531)을 선택하는 입력(573)이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또 다른 영상(예: 제9 영상(559))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제9 영상(559)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존에 획득한 제8 영상(558)과 다른 제9 영상(559)을 획득한 경우에도, 제3 상태(505)에서와 같이, 제9 영상(559)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제9 영상(559)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 중인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9 영상(559)의 표시 순서를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제5 순위와 인접한 제6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555)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556)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하며, 기존에 제8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557)의 표시 순서는 제9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제9 영상(559)을 제1 디스플레이(510)에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존에 획득한 제8 영상(558)과 다른 제9 영상(559)을 획득한 경우, 제4 상태(507)에서와 같이,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를 재지정할 수도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예: 제1 순위) 또는 최후순위(예: 제9 순위)로 재지정할 수도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제8 영상(558)의 표시 순서를 제9 순위로 재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9 영상(559)의 표시 순서는 제5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555)의 표시 순서는 제6 순위로 변경하며, 기존에 제8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556)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9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557)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1 상태(601)에서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610)에 메모리(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디스플레이(6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제1 영상(651), 제2 영상(652), 제3 영상(653), 제4 영상(654), 제5 영상(655), 제6 영상(656), 및 제7 영상(657) 중 제4 영상(654)을 출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630)에 기능 버튼(631)과 함께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능 버튼(631)을 선택하는 입력(671)이 발생하면,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예: 제8 영상(658))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603)에서와 같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610)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획득된 제8 영상(658)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610)에 출력 중인 제4 영상(654)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610)에 출력된 제4 영상(654)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603)에서 기능 버튼(631)을 선택하는 입력(673)이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또 다른 영상(예: 제9 영상(659))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제9 영상(659)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고, 제9 영상(659)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610)에 출력 중인 제4 영상(654)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존의 표시 순서가 제9 영상(659)의 표시 순서와 겹치는 영상은 표시 순서가 변경될 수 있으며, 표시 순서의 변경에 따라 다른 영상의 표시 순서도 순차적으로 변경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지정하는 또 다른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100))는 제1 상태(701)에서와 같이, 제1 디스플레이(710)에 메모리(예: 메모리(170))에 저장된 영상들을 출력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적어도 하나를 제1 디스플레이(710)에 출력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표시 순서가 제1 순위에 해당하는 제1 영상(751), 표시 순서가 제2 순위에 해당하는 제2 영상(752), 표시 순서가 제3 순위에 해당하는 제3 영상(753), 표시 순서가 제4 순위에 해당하는 제4 영상(754), 표시 순서가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755), 표시 순서가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756), 및 표시 순서가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757) 중 제4 영상(754)을 출력한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2 디스플레이(730)에 기능 버튼(731)과 함께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기능 버튼(731)을 선택하는 입력(771)이 발생하면, 카메라 모듈(예: 카메라 모듈(150)) 또는 통신 모듈(예: 통신 모듈(190))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영상(예: 제8 영상(758))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703)에서와 같이, 획득된 영상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710)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도시된 도면에서는, 전자 장치가 획득된 제8 영상(758)의 표시 순서를 제1 디스플레이(710)에 출력 중인 제4 영상(754)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한 상태를 나타낸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8 영상(758)의 표시 순서를 제4 영상(754)의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제4 순위와 인접한 제5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에 제5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755)의 표시 순서는 제6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756)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하며,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757)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710)에 출력된 제4 영상(754)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2 상태(703)에서 지정된 시간 내에 기능 버튼(731)을 선택하는 입력(773)이 발생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 또는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또 다른 영상(예: 제9 영상(759))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획득된 제9 영상(759)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지정된 시간 내에 복수 개의 영상들을 획득하는 경우(예: 연속 촬영 기능이 수행되는 경우), 획득 시간에 따라 획득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를 지정할 수 있다. 한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는 제8 영상(758)을 획득한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제9 영상(759)을 획득한 경우, 제3 상태(705)에서와 같이, 제9 영상(759)의 표시 순서를 제8 영상(758)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할 수 있다. 예컨대, 전자 장치는 제9 영상(759)의 표시 순서를 제8 영상(758)의 표시 순서에 해당하는 제5 순위와 인접한 제6 순위로 지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전자 장치는 기존에 제6 순위에 해당하는 제5 영상(755)의 표시 순서는 제7 순위로 변경하고, 기존에 제7 순위에 해당하는 제6 영상(756)의 표시 순서는 제8 순위로 변경하며, 기존에 제8 순위에 해당하는 제7 영상(757)의 표시 순서는 제9 순위로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는 제1 디스플레이(710)에 출력된 제4 영상(754)의 출력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 "모듈"은, 예를 들면,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firmware)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하는 단위(unit)를 의미할 수 있다. "모듈"은, 예를 들면, 유닛(unit), 로직(logic), 논리 블록(logical block), 부품(component), 또는 회로(circuit) 등의 용어와 바꾸어 사용(interchangeably use)될 수 있다. "모듈"은, 일체로 구성된 부품의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 있다. "모듈"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기능을 수행하는 최소 단위 또는 그 일부가 될 수도 있다. "모듈"은 기계적으로 또는 전자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모듈"은, 알려졌거나 앞으로 개발될, 어떤 동작들을 수행하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칩, FPGAs(field-programmable gate arrays) 또는 프로그램 가능 논리 장치(programmable-logic device)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장치(예: 모듈들 또는 그 기능들) 또는 방법(예: 동작들)의 적어도 일부는, 예컨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computer-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로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명령어가 프로세서(예: 프로세서(77720))에 의해 실행될 경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가 상기 명령어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예를 들면, 메모리(77730)가 될 수 있다.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마그네틱 매체(magnetic media)(예: 자기테이프),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예: CD-ROM, DVD(Digital Versatile Disc),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예: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 하드웨어 장치(예: ROM, RAM, 또는 플래시 메모리 등)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다양한 실시 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또는 프로그램 모듈은 전술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거나, 일부가 생략되거나, 또는 추가적인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모듈 또는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heuristic)한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동작은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개시된, 기술 내용의 설명 및 이해를 위해 제시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문서의 범위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근거한 모든 변경 또는 다양한 다른 실시 예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
    적어도 하나의 영상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및
    상기 디스플레이들 및 상기 메모리와 기능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1 디스플레이에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고, 상기 디스플레이들 중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며, 제2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촬영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촬영 영상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외부 전자 장치와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은 상기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선택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획득된 상기 데이터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 또는 최후순위로 재지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영상의 획득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게 지정하도록 설정된 전자 장치.
  11. 복수 개의 디스플레이들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제1 디스플레이에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 중 제1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제2 디스플레이에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메모리에 저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은,
    촬영을 위한 카메라 모듈로부터 획득된 프리뷰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은,
    촬영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카메라 모듈로부터 촬영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멀티미디어 영상을 출력하는 동작은,
    통신 모듈을 통해 연결된 외부 전자 장치와의 송수신된 정보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를 출력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7. 청구항 16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은,
    상기 데이터를 수신하도록 설정된 기능 버튼이 선택되는 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외부 전자 장치로부터 상기 데이터를 획득하는 동작을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제3 영상을 획득하는 동작; 및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1 디스플레이에 출력 중인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19.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영상들의 표시 순서 중 최선순위 또는 최후순위로 재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0. 청구항 18에 있어서,
    상기 제2 영상의 획득 후 지정된 시간 내에 상기 제3 영상이 획득되면, 상기 제3 영상의 표시 순서를 상기 제2 영상의 표시 순서와 인접하도록 지정하는 동작을 더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KR1020160044513A 2016-04-12 2016-04-12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4529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13A KR102452973B1 (ko) 2016-04-12 2016-04-12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EP17782627.8A EP3428771A4 (en) 2016-04-12 2017-04-10 PICTUR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IT
PCT/KR2017/003878 WO2017179872A1 (ko) 2016-04-12 2017-04-10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US16/088,906 US10754383B2 (en) 2016-04-12 2017-04-10 Image processing method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4513A KR102452973B1 (ko) 2016-04-12 2016-04-12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6663A true KR20170116663A (ko) 2017-10-20
KR102452973B1 KR102452973B1 (ko) 2022-10-11

Family

ID=600418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4513A KR102452973B1 (ko) 2016-04-12 2016-04-12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0754383B2 (ko)
EP (1) EP3428771A4 (ko)
KR (1) KR102452973B1 (ko)
WO (1) WO201717987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13208B (zh) * 2018-11-15 2021-04-09 深圳市腾讯信息技术有限公司 对象的显示方法、装置、存储介质及电子装置
KR20220067325A (ko) * 2020-11-17 2022-05-24 삼성전자주식회사 확장 가능한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13794923A (zh) * 2021-09-16 2021-12-14 维沃移动通信(杭州)有限公司 视频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及可读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16A (ja) * 2000-11-29 2002-06-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070035616A1 (en) * 2005-08-12 2007-0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12073747A (ja) * 2010-09-28 2012-04-12 Nintendo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35968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7778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182485B2 (ja) 2004-07-01 2008-11-19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電子フォトアルバム
JP4366487B2 (ja) 2005-04-25 2009-11-18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00321527A1 (en) 2006-09-29 2010-12-23 Van Schalkwyk Mark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displaying images
KR101592296B1 (ko) 2008-09-03 2016-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객체 선택과 실행 방법
KR102061881B1 (ko) * 2012-10-10 2020-01-06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US9818196B2 (en) 2014-03-31 2017-11-14 Xiaomi Inc. Method and device for positioning and navigating
KR20150126193A (ko) 2014-05-02 2015-11-11 삼성전자주식회사 복수의 디스플레이를 이용한 컨텐츠 출력 방법 및 그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165116A (ja) * 2000-11-29 2002-06-07 Fuji Photo Film Co Ltd ディジタル・カメラおよびその動作制御方法
US20070035616A1 (en) * 2005-08-12 2007-02-15 Lg Electronics Inc.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with dual-display unit having function of editing captured image and method thereof
JP2012073747A (ja) * 2010-09-28 2012-04-12 Nintendo Co Ltd 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135968A (ko) * 2014-05-26 2015-12-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KR20160027778A (ko) * 2014-09-02 2016-03-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디스플레이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754383B2 (en) 2020-08-25
EP3428771A4 (en) 2019-03-20
EP3428771A1 (en) 2019-01-16
KR102452973B1 (ko) 2022-10-11
US20190121395A1 (en) 2019-04-25
WO2017179872A1 (ko) 2017-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40714B (zh) 拍摄设备及其控制方法
US10484600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CN108351697B (zh) 包括多个显示器的电子设备和用于操作其的方法
US9942484B2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image therein
KR102622754B1 (ko) 이미지 합성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102537922B1 (ko) 디스플레이 사이의 각도를 측정하는 방법 및 이를 사용하는 전자 장치
KR102311489B1 (ko) 운동 기록에 대한 설명 정보를 제공하는 전자 장치 및 방법
US10586390B2 (en) Virtual reality electronic device for displaying combined graphic object and image frame and corresponding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20160378270A1 (en) Method for providing usability notification for extendable area of display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KR102299774B1 (ko) 화면 구성 방법, 전자 장치 및 저장 매체
US20160147498A1 (en) Method for displaying image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KR20160105242A (ko) 스크린 미러링 서비스 제공장치 및 방법
KR20180104940A (ko) 표시 설정에 따른 감마 전압 운용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70009069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처리 방법
AU2017266815A1 (en) Operating method for display corresponding to luminance, driving circuit, and electronic device supporting the same
CN108475165B (zh) 电子设备及其控制方法
KR20170000618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파노라마 영상 표시 제어 방법
KR20160085173A (ko) 하나 이상의 아이템들을 동시에 표시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전자 장치
KR20160114434A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이미지 촬영 방법
KR20170092772A (ko) 이미지 처리장치 및 방법
KR20170116663A (ko) 영상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KR20160065704A (ko) 화면 표시 장치 및 방법
KR20170119964A (ko)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334174B2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a viewing angle of at least one lens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60035649A (ko) 전자 장치에서 컨텐츠의 선호도를 표시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