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974A -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 - Google Patents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974A
KR20170115974A KR1020170046112A KR20170046112A KR20170115974A KR 20170115974 A KR20170115974 A KR 20170115974A KR 1020170046112 A KR1020170046112 A KR 1020170046112A KR 20170046112 A KR20170046112 A KR 20170046112A KR 20170115974 A KR20170115974 A KR 2017011597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ield
coil
canceling
leakage magnetic
determi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6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21700B1 (ko
Inventor
안승영
김제독
Original Assignee
한국과학기술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과학기술원 filed Critical 한국과학기술원
Publication of KR201701159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9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217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217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6Electric or magnetic shields or screens
    • H01F27/365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34Special means for preventing or reducing unwanted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e.g. no-load losses, reactive currents, harmonics, oscillations, leakage fields
    • H01F27/346Preventing or reducing leakage f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4Inductive couplings
    • H02J5/005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005Mechanical details of housing or structure aiming to accommodate the power transfer means, e.g. mechanical integration of coils, antennas or transducers into emitting or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7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reduction of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leakage fiel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은 급전 코일과 집전 코일의 사이를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상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쇄 코일의 위치로 지정하는 단계, 누설 자기장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에 따른, 누설 자기장의 감소율 및 상쇄 자기장의 감소율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누설 자기장의 위상과 상쇄 자기장의 위상이 다르도록 상쇄 코일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METHOD FOR CANCELING LEAKED MAGNETIC FIELD}
본 발명은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자세하게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휴대용 전자 기기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전기 에너지의 충전이 요구되는 장치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의 적용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자기유도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휴대폰과 같은 소비자 가전 및 전기 자동차와 같은 충전이 요구되는 전기 장치에 대해 충전의 편의성을 목적으로 사용된다.
자기 유도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급전 장치와 집전 장치로 구성된다. 급전 장치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면 급전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고, 급전 코일에 전류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급전 자기장이 형성된다. 급전 코일로부터 발생한 급전 자기장은 집전 장치의 집전 코일에 여자되게 되며, 이에 따라 급전 장치와 집전 장치는 자기장을 통한 유도 결합 회로로서 도체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 없이 전기 에너지의 무선 전송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이러한 자기 유도 결합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전력 전송 과정에서 누설 자기장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자기 유도 결합을 통한 무선 전력 전송 과정에서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기술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기술적 과제가 도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은 급전 코일과 집전 코일의 사이를 상기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상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쇄 코일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감소율 및 상기 상쇄 자기장의 감소율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기초로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쇄 코일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결정하여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상쇄 코일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은 상기 급전 코일의 중심과 상기 집전 코일의 중심의 가운데 지점일 수 있다.
더불어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01
을 측정하고,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02
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상쇄 자기장 강도
Figure pat00003
을 측정하고,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상쇄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04
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Figure pat00005
에 대한 상기
Figure pat00006
의 비율과 상기
Figure pat00007
에 대한 상기
Figure pat00008
의 비율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을 통과하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동일하도록 상기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위상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의 차이가 180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위상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의 차이가 17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에 쓰이는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하여 자기장 차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누설 자기장을 차단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구성을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코일의 반지름과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자기장의 감소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 및 도 7b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의 범주는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 실제로 필요한 경우 외에는 생략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 요소들을 포함한다는 표현은 개방형의 표현으로서 해당 구성 요소들이 존재하는 것을 단순히 지칭할 뿐이며, 추가적인 구성 요소들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나아가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될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은 급전 코일(110), 집전 코일(120) 및 상쇄 코일(130)을 포함한다.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120)은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의 기본적인 구성으로서, 급전 코일(110)에 전기 에너지를 공급하게 되면 급전 코일(110)에 전류가 발생하고 급전 코일(110)에 전류가 발생하게 됨에 따라 자기장이 형성된다. 이에, 급전 코일(110)로부터 발생한 자기장은 집전 코일(120)에 여자되어, 이에 따라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은 자기장을 통한 유도 결합 회로로서 도체에 의한 직접적인 접촉 없이 전기 에너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120)에 의해 발생하는 자기장의 합을 급집전 자기장이라고 한다. 한편, 급집전 자기장이 필요한 영역의 외부에도 급집전 자기장은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급집전 자기장이 필요한 영역 외부로 누설되는 급집전 자기장은 곧 누설 자기장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 사이에 상쇄 코일(130)을 두어 급집전 자기장이 필요한 영역 외부에 누설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누설 자기장을 차단하는 원리를 설명하기 위해 도 1의 구성을 x축 방향으로 자른 단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에 의해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09
)이 발생한다. 이때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의 사이에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0
)과 같은 크기, 반대 위상을 갖는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11
)을 생성시키도록 상쇄 코일(130)의 위치, 단면적, 턴(turn) 수, 캐패시터의 용량을 결정하여 급집전 자기장이 필요한 영역(도 2의 보강 영역) 이외의 영역(도 2의 상쇄 영역)에 누설되는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2
)을 상쇄시킬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의 단계를 도시하는 흐름도이다. 도 3에 따른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의 각 단계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세서에 의해 계산될 수 있으며, 각 단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에 의해 생성되는 급집전 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누설되는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3
)을 상쇄시키기 위해, 상쇄 코일(130)의 위치를 결정한다(S310).
이때 급집전 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영역 이외의 모든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4
)을 상쇄시키기 위해서는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5
)의 형태와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16
)의 형태가 일치해야 한다.
이를 위해,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7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18
)을 발생시키는 상쇄 코일(130)의 중심이 되도록 상쇄 코일(1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도 2를 참조할 때,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에 의해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19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20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과 일치하도록,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21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는 급전 코일(110)의 인덕턴스 및 집전 코일(120)의 캐패시턴스가 집전 코일(120)의 인덕턴스 및 급전 코일(110)의 캐패시턴스와 동일하므로, 급전 코일(110)의 중심과 집전 코일(120)의 중심의 가운데 지점이 상쇄 코일(130)의 중심이 되도록 상쇄 코일(130)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방법은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22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23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으로 결정하기 위한 하나의 예시일 뿐, 다양한 방법을 적용하여 누설 자기장(
Figure pat00024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과 상쇄 자기장(
Figure pat00025
)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일치시킬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코일의 단면적(또는 반지름)과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자기장의 감소율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코일이 원형인 경우 반지름에 따른 자기장의 감소 비율을 도시하고 있다.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면, 도 4a에 도시된 코일의 반지름 R1은 도 4b에 도시된 코일의 반지름 R2의 2배이다. 이때 도 4b의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자기장이 감소하는 비율은 도 4a의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자기장이 감소하는 비율의 2배가 크다. 즉, 코일의 반지름이 길수록 코일에 중심에서 거리가 멀어짐에 따라 자기장이 감소하는 비율이 줄어든다.
한편,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12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에 따른 누설 자기장의 감소율과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부터 멀어지는 거리에 따른 상쇄 자기장의 감소율이 동일해야 급집전 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영역 이외의 모든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킬 수 있다.
따라서 도 4a 및 도 4b와 함께 설명한 원리에 기초하여, 누설 자기장의 감소율과 상쇄 자기장의 감소율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130)의 단면적(또는 반지름)을 결정한다(S320).
예를 들어, 상쇄 코일(130)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S320)는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26
을 측정하고,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27
을 측정하는 단계,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쇄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28
을 측정하고, 상쇄 코일(130)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쇄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29
를 측정하는 단계 및
Figure pat00030
에 대한
Figure pat00031
의 비율과
Figure pat00032
에 대한
Figure pat00033
의 비율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130)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특정 지점에서 코일에 의해 생성된 자기장의 세기를 계산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코일의 반지름이 R이고, 코일에 I의 전류가 흐를 때,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d 거리만큼 떨어진 p 지점에서의 자기장 세기를 계산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수학식을 통해 및
Figure pat00034
에 대한
Figure pat00035
의 비율과
Figure pat00036
에 대한
Figure pat00037
의 비율이 같아지는 반지름을 계산하여 상쇄 코일(130)의 단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도 4a, 도 4b 및 도 5에서는 코일이 원형 형태인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원형의 모양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양한 코일의 모양에 따른 단면적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급집전 자기장을 필요로 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 누설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기 위해 모든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과 상쇄 자기장의 크기가 같아야 한다. 이를 위해, S320 단계에서 결정된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기초로 누설 자기장의 크기와 같은 크기의 상쇄 자기장을 생성시키도록 상쇄 코일(130)의 턴(turn) 수 결정한다(S330).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같아지도록 상쇄 코일(130)의 턴수를 결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상쇄 코일(130)의 단면을 통과하는 누설 자기장의 자속
Figure pat00038
)과 상쇄 자기장의 자속(
Figure pat00039
)이 동일해지도록
Figure pat00040
에서의 n을 계산하여 턴 수를 결정할 수 있다. 이때
Figure pat00041
는 유전율,
Figure pat00042
는 상쇄 코일(130)에 여자되는 유도 전류이며, 유도 전류를 구하는 방법은 공지된 방법이므로 생략한다.
한편, 특정 지점에서 누설 자기장과 상쇄 자기장의 크기가 같다고 하더라도 위상이 반대에 가까워야 자기장 간의 상쇄가 발생한다. 따라서 상쇄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조절하기 위해 상쇄 코일과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결정한다(S340). 도 7a 및 도 7b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기 위한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a를 참조하면, 공진조건 하에서 급전 코일(110)과 집전 코일(120) 간 무선 전력 전송이 이루어지는 경우,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120)에서 발생하는 자기장은 90도의 위상차를 가지게 된다. 이때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120)의 캐패시턴스의 수치가 동일한 경우, 급전 자기장과 집전자기장의 결합 자기장인 누설 자기장의 위상은 45도를 가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쇄 자기장이 누설 자기장 벡터와 180의 위상 차이를 가지는 경우 가장 높은 차폐 효율을 얻을 수 있다.
그러나 여자되는 상쇄 자기장이 누설 자기장과 180도의 위상차를 갖게 하는 것은 캐패시터 용량이 이론상 무한대가 되어야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불가능하다.
따라서 도 7b와 같이, 누설 자기장 벡터와 차폐 자기장 벡터의 위상차가 170도 이상 180도 미만이 되도록 상쇄 코일(130)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정할 수 있다. 한편, 코일과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여 자기장의 위상을 변경하는 과정은 공지된 방법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술한 실시예에 따르면, 무선 전력 전송에 쓰이는 급전 코일(110) 및 집전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을 상쇄하여 자기장 차폐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급전 코일
120: 집전 코일
130: 상쇄 코일

Claims (10)

  1. 급전 코일 및 집전 코일에 의하여 발생하는 누설 자기장의 상쇄 방법에 있어서,
    상기 급전 코일과 상기 집전 코일의 사이를 상기 누설 자기장을 상쇄시키는 상쇄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상쇄 코일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에 따른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감소율 및 상기 상쇄 자기장의 감소율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기초로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상쇄 코일에 연결되는 캐패시터의 용량을 결정하여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코일의 위치로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기력 선이 만나는 지점은,
    상기 급전 코일의 중심과 상기 집전 코일의 중심의 가운데 지점인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일 방향으로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43
    을 측정하고,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누설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44
    을 측정하는 단계;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1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상쇄 자기장 강도
    Figure pat00045
    을 측정하고, 상기 상쇄 코일의 중심으로부터 상기 일 방향으로 상기 제2 거리만큼 떨어진 지점에서 상기 상쇄 자기장의 강도
    Figure pat00046
    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Figure pat00047
    에 대한 상기
    Figure pat00048
    의 비율과 상기
    Figure pat00049
    에 대한 상기
    Figure pat00050
    의 비율이 같아지도록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적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코일의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상쇄 코일의 단면을 통과하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자속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자속이 동일하도록 상기 턴수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위상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의 차이가 180도에 수렴하도록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을 조절하는 단계는,
    상기 누설 자기장의 위상과 상기 상쇄 자기장의 위상의 차이가 170도 이상 180도 미만의 범위가 되도록 상기 캐패시터의 용량을 조절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누설자기장 상쇄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의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9. 제1항 내지 제7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제1항 내지 제7항의 방법을 프로세서가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매체.
KR1020170046112A 2016-04-08 2017-04-10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 KR1019217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347 2016-04-08
KR20160043347 2016-04-0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974A true KR20170115974A (ko) 2017-10-18
KR101921700B1 KR101921700B1 (ko) 2018-11-26

Family

ID=602966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6112A KR101921700B1 (ko) 2016-04-08 2017-04-10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2170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16A (ko) * 2017-05-11 2018-11-21 (주)윈인텍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이를 위한 전자파 감쇄장치
KR101974597B1 (ko) * 2018-04-06 2019-05-02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장 차폐 방법 및 장치
US11381117B2 (en) 2019-09-03 2022-07-05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agnetic field cancellation between adjacent coils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64421B2 (ja) 2013-11-28 2017-07-19 Tdk株式会社 送電コイルユニット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JP5839020B2 (ja) 2013-11-28 2016-01-06 Tdk株式会社 送電コイルユニット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JP6432251B2 (ja) 2013-11-28 2018-12-05 Tdk株式会社 送電コイルユニット及びワイヤレス電力伝送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4216A (ko) * 2017-05-11 2018-11-21 (주)윈인텍 무선충전장치를 구비한 자동차 및 이를 위한 전자파 감쇄장치
KR101974597B1 (ko) * 2018-04-06 2019-05-02 한국과학기술원 자기장 차폐 방법 및 장치
US11381117B2 (en) 2019-09-03 2022-07-05 Lg Electronics Inc. Wireless charging apparatus for preventing magnetic field cancellation between adjacent coi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21700B1 (ko) 2018-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18308B2 (ja) 検知装置、送電装置、給電システム、検知方法および検知プログラム
JP6614272B2 (ja) 給電装置、受電装置、給電システム、および、給電装置の制御方法
JP6624390B2 (ja) 異物検出装置、無線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JP6741985B2 (ja) 異物検出装置、無線送電装置、及び無線電力伝送システム
US9570231B2 (en) Detecting device, power supply system, and detecting device control method
NL2019616B1 (en) Device and method for foreign object detection in wireless energy transfer
US10923966B2 (en) Coil structures for alignment and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WO2012157374A1 (ja) 電磁結合状態検知回路、送電装置、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及び電磁結合状態検知方法
KR101921700B1 (ko) 누설 자기장 상쇄 방법
JP6059522B2 (ja) 無線電力供給システム、給電装置、受電装置、及び、磁界空間の形成方法
JP2016019305A (ja) 送電装置及び受電装置
US9912198B2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device
JP2014204603A (ja) 給電装置および給電システム
JP2020129953A (ja) 受電ユニット、送電ユニット及び無線給電装置
JP2018521612A (ja) 位相ずれフィールドを軽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JP2013102593A (ja) 磁気結合装置および磁気結合システム
CN107370249B (zh) 电力发送装置以及非接触电力提供系统
JP5957748B2 (ja) コイルの交流抵抗計算方法
Stein et al. Figure of merit for resonant wireless power transfer
JP2017184363A (ja) 非接触受電装置
JP2019030155A (ja) コイルユニット
JP2013158196A (ja) 伝送システム及び受電装置
Kiran et al. Analysis of inductive resonant coupled WPT system using Reflected Load Theory
WO2017214015A1 (en) Coil structures for alignment and inductive wireless power transfer
JP2015023595A (ja) 非接触給電装置用の異物検出装置と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