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864A - 전기변색 소자 - Google Patents

전기변색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864A
KR20170115864A KR1020160043619A KR20160043619A KR20170115864A KR 20170115864 A KR20170115864 A KR 20170115864A KR 1020160043619 A KR1020160043619 A KR 1020160043619A KR 20160043619 A KR20160043619 A KR 20160043619A KR 20170115864 A KR20170115864 A KR 201701158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s electrode
layer
electrode
transparent electrode
electrochrom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6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359B1 (ko
Inventor
구상모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436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359B1/ko
Priority to US16/091,346 priority patent/US20190137841A1/en
Priority to PCT/KR2016/012651 priority patent/WO2017175941A1/ko
Publication of KR201701158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3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3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61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Filling or clos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1/00Inks
    • C09D11/52Electrically conductive ink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06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caused by electrodeposition, e.g. electrolytic deposition of an inorganic material on or close to an electrod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5Electro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2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metals or allo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4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carbon-silicon compounds, carbon or silic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inorganic substan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5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an electrochromic effect
    • G02F1/153Constructional details
    • G02F1/1533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2F2001/1536Constructional details structural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dditional, e.g. protective, layer inside the cel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romic Elements, Electrophoresis, Or Variable Reflection Or Absorption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변색속도가 향상된 전기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제1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1버스전극,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제1전기변색 층 및 상기 제1버스전극과 상기 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면적의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전기변색 소자{ELECTROCHROMIC DEVICE}
본 발명은 변색속도가 향상된 전기변색 소자에 관한 것이다.
전기변색(Electrochromism)은 전류의 인가 방향에 따라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의해 착색 또는 탈색이 이루어지는 현상이다. 전기변색 물질은 소정 색을 유지하다가 전류가 인가되면 다른 색으로 변색된다. 그리고 전류의 방향을 역전시키면 전기 변색물질의 본래 색으로 복원된다.
여기서, 전기변색 물질은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따라 흡수 스펙트럼이 변화한다. 즉, 상기 전기변색 물질은 그 자체로 발광을 하는 것이 아니라, 흡광을 통해 색을 띤다. 이러한 성질을 갖는 전기변색 소자는 차량용 미러와 썬루프, 스마트창, 옥외 디스플레이 등의 용도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전기변색 소자는 기판과 전극, 전기변색 물질, 전해질, 그리고 다시 전극과 기판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인가되는 전압에 따라 소자의 색을 가역적으로 변화시킬 수 있다.
전기변색 소자는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면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전기변색 소자의 면적이 넓어질 경우, 전기변색 물질에 대한 전하 공급이 불균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전기변색 소자의 변색속도가 느려진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반응면적이 넓어지더라도 빠른 변색속도를 가지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기변색 소자 내부에 포함된 버스전극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화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또는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제1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1버스전극,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제1전기변색 층 및 상기 제1버스전극과 상기 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절연물질은 SiO2 및 TiO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버스전극이 부식되는 것을 막고, 상기 제1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금속,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탄소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전기변색 층에 빠르게 전하를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전해질 층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이온저장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투명전극의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2 버스 전극 및 상기 제2버스전극과 상기 이온저장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2버스전극 및 상기 이온저장 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이온저장 층과 상기 제2버스전극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이온저장 층과 상기 제2버스전극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전해질 층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전기변색 층, 상기 제2투명전극의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2 버스 전극 및 상기 제2버스전극과 상기 제2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2버스전극 및 상기 제2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을 형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 상면에 접촉하고, 복수의 격벽들을 형성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층은 상기 격벽들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버스전극은 상기 제1전기변색 층에 빠르게 전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은 제1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1버스전극,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전극은 금속 및 전도성 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넓은 면적의 전기변색 소자의 전기변색 속도를 향상 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변색 소자를 장시간 구동함에 따라,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버스전극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버스전극으로 인해, 사용자가 이질감을 느끼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투명전극과 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이온저장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는 이온저장 층 및 복수의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는 복수의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의 접촉을 막도록 형성되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a 및 7b는 요철 구조를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8은 구형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9는 격벽을 형성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금속 및 전도성 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버스전극의 패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제1투명전극,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사이에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도 1을 참조하여 투명전극 및 두 개의 투명전극 사이에 포함된 구성요소들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1. 투명전극(110a 및 110b)
제1 및 제2투명전극은 광 투과성과 전도성이 있는 전극이다. 투명전극은 유리 또는 광투과성 필름으로 이루어진 기판 위에 형성될 수 있으며, 산화 주석, 산화 인듐, 백금 및 금으로 이루어진 박막 또는 전도성 폴리머로 이루어진 박막일 수 있다.
투명전극은 전기변색 물질에 전압을 인가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투명전극의 일단에는 전원 공급 장치가 연결된다. 전원 공급 장치는 서로 마주보는 두 개의 투명전극 사이에 전위차가 발생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소자에서 제1 및 제2투명전극은 소정 면적을 가지며, 제1투명전극(110a) 상면의 적어도 일부와 제2투명전극(110b) 하면의 적어도 일부가 서로 마주본다.
투명전극은 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기변색 물질에 전하를 전달하여, 전기변색 물질이 산화 또는 환원되도록 한다. 투명전극의 면적이 일정 면적 이하인 경우, 두 개의 투명전극 사이에 퍼져있는 전기변색 물질들은 거의 동시에 투명전극으로부터 전하를 전달받을 수 있으며, 거의 동시에 변색된다.
하지만, 투명전극의 면적이 일정 면적 이상인 경우, 전기변색 물질의 위치에 따라, 투명전극으로부터 전하를 전달받는 시간이 크게 차이가 나게 된다. 이에 따라, 전기변색 물질은 그 위치에 따라 변색되는 시간이 눈에 띄게 달라진다.
본 발명은 두 개의 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한 전기변색 물질의 변색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제1 및 제2투명전극, 제1버스전극(120), 전해질 층(130), 전기변색 층(140), 패시베이션 층(150)을 포함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에 포함된 구성요소를 우선하여 설명하나,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구성요소들 외에도 다른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첨부된 다른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2. 제1버스전극(120)
제1버스전극(120)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형성된다. 본 명세서에서,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형성된다는 것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해당 구성요소가 접촉하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1투명전극(110a)과 제1버스전극(110a) 사이에는 패시베이션 층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즉,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본 명세서에서 제1버스전극(120)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접촉한다.
한편, 제1버스전극(120)은 소정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소정 패턴이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서 형성되는 제1버스전극(120)의 무늬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제1버스전극(120)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격자무늬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버스전극이 가질 수 있는 패턴에 대해서는 도 11 및 12에서 후술한다.
한편, 제1버스전극(120)은 상술한 투명전극보다 전도성이 높은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버스전극은 금속,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탄소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히, 전도성이 높은 은, 금, 백금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버스전극(120)는 투명전극보다 따르게 전기변색 층에 전하를 전달할 수 있게 된다.
3. 전해질 층(130)
전해질 층(130)은 제1 및 제2투명전극 사이에 전압을 인가하였을 때, 두 전극 사이의 전하를 전기변색 층(140)에 전달하며, 액상, 준고상, 고상 전해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해질 층(130)에 사용된 전해질은 종래 전기변색 소자에 사용되는 물질이므로, 전해질 층을 이루는 물질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전해질 층(130)은 제1버스전극(120) 및 제2투명전극 사이(110b)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전해질 층은 제1버스전극(120)과 접촉하지 않으며, 전해질 층(130)과 제1버스전극(120)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전기변색 층(14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전해질 층(130)은 제2투명전극(110b)과 접촉하거나, 접촉하지 않을 수 있다. 전해질 층(130)이 제2 투명전극(110b)과 접촉하지 않는 경우, 전해질 층(130)과 제2투명전극(110b) 사이에는 다른 층이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4. 제1전기변색 층(140)
제1전기변색 층(140)은 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전기변색 물질이란, 전기화학적 산화 또는 환원반응에 의해 착색 또는 탈색이 이루어지는 물질이다.
제1전기변색 층(140)을 이루는 전기변색 물질은 특정 물질에 한정되지 않고, 제1 및 제2투명전극 사이에서 산화 또는 환원되어 변색될 수 있는 모든 물질일 수 있다.
제1전기변색 층(140)은 제1투명전극(110a) 및 전해질 층(130) 사이에 위치하고, 전해질 층(130)과 접촉한다. 전해질 층(130)은 제1전기변색 층(140)에 전하를 전달하여, 제1전기변색 층(140)에 포함된 전기변색 물질이 산화 또는 환원되도록 한다.
전기변색 물질이 산화 또는 환원을 반복하는 경우, 제1전기변색 층(140)과 인접한 제1버스전극(120)이 산화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버스전극(120)의 전하 전달 능력이 저하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에서 제1버스전극(120)과 제1전기변색 층(140)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다만 예외적으로, 제1버스전극(120)과 제1전기변색 층(140)이 접촉하는 경우가 있으나, 이에 대해서는 도 10에서 별도로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별도의 언급이 없는 한 제1버스전극(120)과 제1전기변색 층(140)은 서로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제1버스전극(120)은 외부 광에 의하여 반짝인다. 제1버스전극(120)의 반짝임은 전기변색 소자를 바라보는 사용자의 시야를 방해한다.
제1버스전극(120)과 제1전기변색 층(140)의 접촉을 방지하고, 제1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패시베이션 층(150)을 포함한다.
5. 패시베이션 층(150)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버스전극(120)과 제1전기변색 층(140)의 접촉을 막도록, 제1버스전극(120) 및 제1전기변색 층(140) 사이에 형성되며, 제1버스전극(120)을 에워싼다.
한편,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버스전극(120)을 에워싸는 방식에 따라, 절연물질 및 전도성물질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절연물질은 SiO2 및 TiO2 중 어느 하나일 수 있고, 전도성물질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인듐이 도핑된 주석산화물(Indium-doped Tin Oxide) 및 산화알루미늄아연(Zinc Aluminum Oxide)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과 같이, 패시베이션 층(150)이 제1버스전극(120)을 에워싸지만, 제1투명전극(110a)과 제1전기변색 층(140)의 접촉을 막지 않는 경우, 패시베이션 층(150)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진다. 절연물질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버스전극(120)의 부식을 막는다. 다만, 이러한 경우, 패시베이션 층(150)의 전기전도도가 낮기 때문에, 제1버스전극(120)은 주로 제1투명전극(110a)을 통해 제1전기변색 층(140)으로 전하를 전달한다.
한편, 패시베이션 층(150)이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경우에 대해서는 도 2에서 후술한다.
한편, 패시베이션 층(150)은 외부 광을 흡수하거나 난반사 시켜, 제1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전기변색 물질의 반응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전기 변색 소자 전체에 고르게 퍼져 전하를 빠르게 전달하는 제1버스전극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제1버스전극의 부식을 막도록, 제1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한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은 넓은 면적에 퍼져있는 전기변색 물질에 대한 변색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전기변색 소자를 장기적으로 구동함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성능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제1버스전극이 외부 광에 의하여 반짝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의 다양한 구현 예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는 투명전극과 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이루어지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투명전극(110a)과 제1전기변색 층(140)의 접촉을 막도록, 제1투명전극(110a)과 제1전기변색 층(140) 사이에 형성된다.
이러한 경우, 패시베이션 층(150)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제1버스전극(120)으로부터 전달되는 전하는 주로 패시베이션 층(150)을 통해, 제1전기변색 층(140)으로 전달된다.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진 패시베이션 층(150)은 전기변색 소자를 장시간 구동함에 따라 그 일부가 산화될 수 있지만, 제1버스전극(120)이 산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도 1 및 2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패시베이션 층(150)은 두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 1 및 2 에서 설명한 패시베이션 층(150)의 형태 각각을 '제1형태' 및 '제2형태'라 한다.
도 3은 이온저장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이온저장 층(16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온저장 층(160)은 전기변색 소자의 전하 전달력을 강화하는 역할을 하며, Antimon doped Tin Oxide 등의 고이온 전도성 무기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온저장 층(160)은 제2투명전극(110b)과 전해질 층(130) 사이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투명전극(110b) 및 전해질 층(130)과 접촉할 수 있다.
한편, 제2투명전극(110b) 하면에는 제1버스전극(120a)과 다른 제2버스전극(120b)이 위치할 수 있다.
제2버스전극(120b)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제1버스전극(120a)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한편, 제2버스전극(120a)이 이온저장 층(160)과 접촉하는 경우, 장기간 전기변색 소자를 구동함에 따라 제2버스전극(120a)은 산화된다.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복수의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도 4a 및 4b에서 설명한다.
도 4a 및 4b는 이온저장 층 및 복수의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a 및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투명전극(110b)의 하면에 제2버스 전극(120b)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버스전극(120b)과 이온저장 층(160)의 접촉을 막도록, 제2버스전극(120b) 및 이온저장 층(160) 사이에 별도의 패시베이션 층(150b)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버스전극(120b) 및 이온저장 층(160) 사이에 형성되는 패시베이션 층(150b)은 제2버스전극(120b)을 에워싸는 형태일 수 있다.
한편, 도 4a와 같이, 제2버스전극(120b)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150b)은 상기 제1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형태를 가지는 패시베이션 층(150b)은 절연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b와 같이, 패시베이션 층(150b)은 상기 제2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형태를 가지는 패시베이션 층(150b)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5a 및 5b는 복수의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a 및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서로 다른 두 개의 전기변색 층(140a 및 140b)을 포함할 수 있다.
두 개의 전기변색 층(140a 및 140b)은 같은 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지거나, 서로 다른 전기변색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두 개의 전기변색 층을 이루는 전기변색 물질에 대한 설명은 도 1에서 설명한 전기변색 층에 대한 설명으로 갈음한다.
전기변색 층이 두 개인 경우, 각각의 전기변색 측에 대한 변색 속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두 개의 버스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제1 및 제2버스전극(120a 및 12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a 및 5b와 같이, 제1버스전극(120a)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위치하고, 제2버스전극(120b)은 제2투명전극(110b)의 하면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제1 및 제2버스전극의 부식을 막고, 제1 및 제2버스전극의 반짝임을 방지하기 위해,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b)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 중 어느 하나(150a)는 제1버스전극(120a) 및 제1전기변색 층(140a) 사이에 위치하며, 제1버스전극(120a)을 에워싼다.
다른 하나의 패시베이션 층(150b)은 제2버스전극(120b)과 제2전기변색 층(140b)의 접촉을 막도록, 제1버스전극(120a) 및 제1전기변색 층(140a) 사이에 형성되고, 제2버스전극(120b)을 에워싼다.
한편, 도 5a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b)은 상기 제1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b)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5b와 같이, 상기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b)은 상기 제2형태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두 개의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b)은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투명전극과 버스전극의 접촉을 막도록 형성되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과 같이,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투명전극(110a)과 제1버스전극(120)의 접촉을 막도록, 제1투명전극(110a)과 제1버스전극(120)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버스전극(120)은 상면 및 하면을 포함한다. 도 1에서 설명한 패시베이션 층은 제1버스전극(120)의 상면의 반짝임을 막을 수는 있지만, 제1버스전극(120)의 하면의 반짝임을 막을 수 없다.
도 6의 패시베이션 층(150)은 제1버스전극(120)의 상면 및 하면이 반짝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a 및 7b는 요철 구조를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제1버스전극(120)의 하면이 반짝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 6과는 다른 구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제1투명전극(110a)은 제1투명전극(110a)과 제1버스전극(120)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111)을 형성한다. 이때, 요철(111)은 제1투명전극(110a)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111)은 전기변색 소자 제조 시 기판 상면에 생성된 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투명전극(110a)은 제1기판(170a) 상면에 박막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데, 제1투명전극(110a)이 적층되기 전, 제1기판(170a)의 상면에 흠집을 내는 경우, 상기 흠집 사이로 제1투명전극(110a)을 이루는 물질이 충진 된다. 이에 따라, 제1투명전극(110a)의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이와 달리, 도 7b와 같이, 제1버스전극(120)은 제1투명전극(110a)과 제1버스전극(120)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121)을 형성한다. 이때, 요철(121)은 제1버스전극(120)의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요철(121)은 전기변색 소자 제조 시 제1투명전극(110a)에 생성된 흠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버스전극(120)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박막 형태로 적층될 수 있는데, 제1버스전극(120)이 적층되기 전, 제1투명전극(110a)의 상면에 흠집을 내는 경우, 상기 흠집 사이로 제1버스전극(120)을 이루는 물질이 충진 된다. 이에 따라, 제1버스전극(120)의 하면에 요철이 형성된다.
도 7a 및 7b에서 설명한 요철(111 및 121)은 제1버스전극의 하면이 반짝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8은 구형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전기변색 소자는 제1버스전극의 상면 및 하면이 반짝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구형 나노입자(122)로 이루어진 제1버스전극(12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나노입자(122)는 도 1에서 설명한 제1버스전극(120)과 동일한 전도성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나노입자(122)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실제 크기보다 크게 도시되었으며, 제1버스전극을 구성하는 나노입자(122)의 입경은 10nm 내지 500nm이다.
나노입자(122)들은 외부 광을 산란시켜, 제1버스전극(120)이 반짝이는 것을 방지한다.
도 9는 격벽을 형성하는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제1버스전극(120)은 전기변색 층(140)에 3차원적으로 전하를 공급하도록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1버스전극(120a 및 120c)은 제1투명전극(110a) 상면에 접촉하고, 복수의 격벽들을 형성한다. 제1버스전극(120a 및 120c)에 의해 형성된 격벽 사이에는 제1전기변색 층(140)이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 9와 같이, 제1버스전극(120a 및 120c)은 제1전기변색 층(140)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c)은 전해질 층에 접촉하게 된다. 즉, 패시베이션 층(150a 및 150c)의 상면과 전해질 층(130)의 하면 사이에는 제1전기변색 층(140)이 위치하지 않는다.
여기서, 제1버스전극(120a 및 120c)의 높이는 5μm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즉, 상기 격벽의 높이는 5μm 내지 100 μm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버스전극(120a 및 120c) 및 제1투명전극(110a)은 제1전기변색 층(140)에 3차원적으로 전하를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제1전기변색 층(140)의 변색 속도가 향상될 수 있다.
도 10은 금속 및 전도성 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버스전극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기변색 소자는 제1투명전극(110a), 제1투명전극(110a)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110b), 제1투명전극(110a)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버스전극(120), 제1버스전극(120)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130), 제1투명전극(110a) 및 전해질 층(130) 사이에 위치하고, 전해질 층(130)과 접촉하는 전기변색 층(140)을 포함한다.
도 10에서 설명한 전기변색 소자는 도 1에서 설명한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지 않는다. 따라서, 도 10에서 설명한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제1버스전극(120)은 산화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도 10에 도시된 제1버스전극(120)은 금속 및 전도성 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전도성 카본 블랙일 수 있다.
상기 전도성 잉크는 제1버스전극(120)을 구성하는 금속의 산화를 억제하고, 제1버스전극(120)의 흡광도를 향상 시켜, 반짝임을 막는다.
한편, 도 1 내지 10에서 설명한 버스전극은 다양한 패턴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11 및 12는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에 포함된 버스전극의 패턴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버스전극은 도 11에 도시된 패턴으로 투명전극 상면 또는 하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버스전극은 도 11에 도시된 패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버스전극이 소정 패턴으로 투명전극의 일면에 형성되는 경우, 전기변색 소자는 도 12와 같은 모습으로 보여지게 된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버스전극에 의해 일정한 무늬를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변색 소자는 상기 무늬로 인하여 발생하는 이질감을 최소화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Claims (20)

  1. 제1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1버스전극;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제1전기변색 층; 및
    상기 제1버스전극과 상기 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제1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포함하는 전기변색 소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절연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물질은 SiO2 및 TiO2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금속, 전도성 고분자 및 전도성 탄소 나노튜브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이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이루어지는 경우,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전도성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물질은 불소가 도핑된 산화주석(Fluorine-doped Tin Oxide), 인듐이 도핑된 주석산화물(Indium-doped Tin Oxide) 및 산화알루미늄아연(Zinc Aluminum Oxide) 중 어느 하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층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이온저장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투명전극의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2 버스 전극; 및
    상기 제2버스전극과 상기 이온저장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2버스전극 및 상기 이온저장 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이온저장 층과 상기 제2버스전극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이온저장 층과 상기 제2버스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해질 층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제2전기변색 층;
    상기 제2투명전극의 하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2 버스 전극; 및
    상기 제2버스전극과 상기 제2전기변색 층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2버스전극 및 상기 제2전기변색 층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버스전극을 에워싸는 패시베이션 층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의 접촉을 막도록,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투명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과 상기 제1버스전극이 접촉하는 영역에 요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입경이 10nm 내지 500nm 인 나노입자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은 상기 제1투명전극 상면에 접촉하고, 복수의 격벽들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상기 제1전기변색 층은 상기 격벽들 사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버스전극의 높이는 5μm 내지 100 μ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패시베이션 층은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19. 제1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과 마주하는 제2투명전극;
    상기 제1투명전극의 상면에 형성되는 소정 패턴의 제1버스전극;
    상기 제1버스전극 및 상기 제2투명전극 사이에 위치하는 전해질 층;
    상기 제1투명전극 및 상기 전해질 층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전해질 층과 접촉하는 전기변색 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버스전극은 금속 및 전도성 잉크의 혼합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잉크는 전도성 카본 블랙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변색 소자.
KR1020160043619A 2016-04-08 2016-04-08 전기변색 소자 KR1025333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19A KR102533359B1 (ko) 2016-04-08 2016-04-08 전기변색 소자
US16/091,346 US20190137841A1 (en) 2016-04-08 2016-11-04 Electrochromic device and electrochormic system
PCT/KR2016/012651 WO2017175941A1 (ko) 2016-04-08 2016-11-04 전기변색 소자 및 전기변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619A KR102533359B1 (ko) 2016-04-08 2016-04-08 전기변색 소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64A true KR20170115864A (ko) 2017-10-18
KR102533359B1 KR102533359B1 (ko) 2023-05-17

Family

ID=602965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619A KR102533359B1 (ko) 2016-04-08 2016-04-08 전기변색 소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359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19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KR20190071996A (ko) 2017-12-15 2019-06-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기변색 소자용 전해질
WO2019151801A1 (ko) * 2018-01-31 2019-08-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9199012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9199011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362A (ko) * 2005-02-17 2006-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4431A (ko) * 2005-09-23 2007-03-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체 무기전해질 보호막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10131719A (ko) * 2010-05-31 2011-12-07 (주)에이엠피테크놀로지 금속 나노입자들을 이용하여 칼라를 제어하는 광학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86211A (ko) * 2011-01-25 2012-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50076780A (ko) *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7012A (ko) * 2014-01-21 2015-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 디바이스
KR20150109020A (ko) * 2014-03-19 2015-10-01 전자부품연구원 매립형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0553A (ko) * 2016-01-28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극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
KR20190127459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60092362A (ko) * 2005-02-17 2006-08-23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070034431A (ko) * 2005-09-23 2007-03-28 재단법인서울대학교산학협력재단 고체 무기전해질 보호막을 이용한 전기변색소자 및 그제조방법
KR20110131719A (ko) * 2010-05-31 2011-12-07 (주)에이엠피테크놀로지 금속 나노입자들을 이용하여 칼라를 제어하는 광학 윈도우 및 그 제조 방법
KR20120086211A (ko) * 2011-01-25 2012-08-0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의 제조 방법
KR20150076780A (ko) * 2013-12-27 2015-07-0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7012A (ko) * 2014-01-21 2015-07-29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전기변색 디바이스
KR20150109020A (ko) * 2014-03-19 2015-10-01 전자부품연구원 매립형 전기 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170090553A (ko) * 2016-01-28 2017-08-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극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전기 변색 소자
KR20190127459A (ko) * 2018-05-04 2019-11-1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기변색 소자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3719A (ko) * 2017-11-30 2019-06-1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 제어장치
KR20190071996A (ko) 2017-12-15 2019-06-25 한양대학교 에리카산학협력단 전기변색 소자 및 그 제조 방법, 그리고 전기변색 소자용 전해질
WO2019151801A1 (ko) * 2018-01-31 2019-08-08 청주대학교 산학협력단 전기변색 디바이스용 다층박막 투명전극 및 이의 제조방법
US11474407B2 (en) 2018-01-31 2022-10-18 Cheongju University Industry & Academy Cooperation Foundation Multilayered thin film transparent electrode for electrochrom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WO2019199012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WO2019199011A1 (ko) * 2018-04-09 2019-10-17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기변색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359B1 (ko) 2023-05-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70115864A (ko) 전기변색 소자
US9507233B2 (en) Electrochromic multi-layer devices with current modulating structure
KR102021011B1 (ko) 전기변색소자 디바이스
US7277219B2 (en)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device and particle movement-type display apparatus
KR102175577B1 (ko)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US9128288B2 (en) Light-controlling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11675242B1 (en) Electrochromic devices with patterned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US9213180B2 (en) Electrowetting display device
CN108628051B (zh) 光学元件
US10649298B2 (en) Electrochromic device and smart window provided with electrochromic device
US20190346731A1 (en) Electrochromic devices with patterned electrically conductive layers configured to minimize diffraction effects
US10409131B2 (en) Electro-optical apparatus, display apparatus
CN216248709U (zh) 一种电致变色器件
KR20140073754A (ko) 투명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08828B1 (ko) 전극기판 및 이를 포함하는 전기변색미러
JP2019191220A (ja) 光学デバイス
CN111542781A (zh) 可视范围调节器件及其驱动方法、可视范围调节装置和显示装置
KR20180067137A (ko) 전기변색소자
KR102623481B1 (ko)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515345B1 (ko)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20180009019A (ko) 전기 변색 소자
KR20200067535A (ko) 전기 변색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JP2019204064A (ja) 光学デバイス
KR20080067067A (ko) 미소 캡슐, 이를 포함한 전기영동 표시장치 및 이의제조방법
CN117850112A (zh) 一种电致变色玻璃制备工艺流程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