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815A -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815A
KR20170115815A KR1020160043495A KR20160043495A KR20170115815A KR 20170115815 A KR20170115815 A KR 20170115815A KR 1020160043495 A KR1020160043495 A KR 1020160043495A KR 20160043495 A KR20160043495 A KR 20160043495A KR 20170115815 A KR20170115815 A KR 20170115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glass
protective substrate
adhesive
rear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곽재정
Original Assignee
(주)에이아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에이아이티 filed Critical (주)에이아이티
Priority to KR1020160043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815A/ko
Publication of KR20170115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32B37/2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with at least one layer not being coherent before laminating, e.g. made up from granular material sprinkled onto a substrate
    • B32B2037/243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1/00Decorative or ornamental articles

Landscapes

  • Ink Jet Recording Methods And Recording Media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보호기판은,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으로서, 글라스와; 시트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에 접합되는 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기판의 일부에 인쇄층이 형성되되, 상기 인쇄층은 잉크젯 점묘 화소층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경우, 상기 인쇄층은 전체 두께가 2~5㎛으로 형성되고, 상기 글라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과, 상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형성되는 백색의 하부 점묘 화소층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상부 점묘 화소층은 글라스의 후면에 직접 밀착되어 보상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 기기용 보호기판은, 박층의 인쇄층이 형성된 글라스 면으로 통상의 평면 레이어 형태의 접착 필름을 단순 가압하는 방식으로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고, 글라스에 대해 박층의 인쇄층을 잉크젯 점묘상으로 직접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및 고해상도의 화상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점착층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구성요소간 박리 현상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또한 이러한 인쇄층 두께의 감소와 함께 해당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접착필름의 점착층 두께도 얇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PROTECTIVE DECORATION PLATE FOR ELECTRONIC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전자 기기용 보호기판에 관한 것으로, 특히 휴대용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될 수 있으며, 이면에 인쇄층이 구비되어 전자 기기의 외장을 장식할 수 있는 보호기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휴대용 전자 기기의 경우 외부 충격 및 스크래치 등에 취약하기 때문에 기기의 전면 또는 배면에 접착 결합되는 보호기판 사용되고 있고, 최근에는 이러한 보호 목적 외에 장식용 인쇄층을 부가하는 경향이 있다. 장식용 인쇄층은 휴대형 전자 기기 특히 스마트폰과 같은 경우 전면부에는 디스플레이가 있으므로 디스플레이 주연 혹은 베젤부 영역에 대해 문양이나 화상 형성을 하고 디스플레이가 없는 배면부에는 카메라 윈도우를 제외한 전면적에 대해 장식용 인쇄층을 형성할 수 있다.
도 1은 보호기판 후면의 일부 영역에 인쇄층이 형성된 보호기판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보호기판(10)은 글라스(110)와 접착필름(120)이 결합된 구조로서, 글라스(110) 후면의 일부 영역에는 인쇄층(130)이 형성되어 있다. 접착필름(120)은 시트(122)와 그 상하면에 형성된 상부 접착층(124) 및 하부 접착층(126)으로 구성되고, 상부 접착층(124) 및 하부 접착층(126)은 점탄성 접착제 즉 점착제로 구성된다. 이 중 접착필름(120)의 상부 접착층(124)이 글라스(110)의 하면에 부착되는 방식으로 결합되어 제품형태의 보호기판(10)를 형성한다.
한편, 종래 글라스(110)에 대한 인쇄층(130)의 형성은 용제에 실리콘, 에폭시, 아크릴레이트계 등의 바인더, 유기 혹은 무기 안료 분산제 등이 첨가된 스텐실 페이스트를 이용하여 실크스크린 인쇄하는 것이 보통이며, 검정 또는 희색의 단일층으로 형성되거나 표면 문양이나 화상 표현을 위해 단위 실크린 인쇄공정을 복수회 실시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러한 인쇄층(130)을 단일층의 실크스크린 인쇄층으로 형성하는 경우, 현실적으로 다양하고 정밀한 고해상도의 화상을 구현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 또한, 실크스크린 인쇄용 제판을 미세한 점상으로 구성된 패턴의 집합인 망목 형태로 제작하여 CMYK 4색으로 분판하여 복수회에 걸쳐 인쇄를 시도할 수 있지만, 복수회 인쇄하는 동안 수 마이크로 크기의 점들을 정밀하게 정렬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고 망목의 점들이 상호 연결되는 등의 이유로 인쇄 품질이 저하되어 다양하고 고해상도의 장식 인쇄를 구현하는데 제약이 있다.
또한, 이러한 실크스크린 인쇄층의 두께는 최소 5 ~ 20㎛ 로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표면 문양이나 화상 형성을 위해 상기 글라스(110)의 일부 영역에만 복수의 실크스크린 인쇄를 수행하는 경우, 인쇄층(130)과 글라스 후면 사이에 형성된 단차(S) 크기가 증가함으로써 글라스(110)와 접착필름(120)의 접착이 불완전하고 반복적인 탈부착과정에서 보호기판이 휘어지는 기계적 스트레스, 사용 온도 변화로 인한 열적 스트레스 등에 기인하여 단차가 있는 곳을 따라 박리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단차가 커지면 이에 비례하여 접착층의 두께를 증가시켜야 하므로 제품이 두꺼워 지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단차(S) 크기의 증가에 따른 글라스(110)와 접착필름(120) 간 박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 인쇄층(130)에 의한 단차(S)를 보상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다. 일례로, 제품상태의 접착필름(120) 자체에서 미리 상부 접착층(120)의 일부분에 대해서만 선택적으로 두께를 얇게 하거나, 인쇄층(130)이 형성되는 글라스(110)의 일부를 얇게 하게 하여 인쇄층(130)에 의한 단차(S)를 보상하는 방법이 시도되고 있으나 합지 공정에서 글라스(110)와 접착필름(120)의 정렬 과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글라스(110)와 접착필름(120)간 합지 공정 이전에 글라스(110)에서 인쇄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영역에 대해 상부 접착층(120)과 동종의 재질로 충진하는 방법도 시도되고 있으나 공정이 복잡해지고 충진과정에서 인쇄층(130)에 대한 오염이 수반되는 또 다른 문제가 있다.
이상과 같이, 휴대용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의 경우 외장 액세서리를 구성하기 때문에 상품 가치를 위해 박형으로 제작될 필요가 있으나, 종래 보호기판의 경우 상술한 제반 문제로 인해 고품질 고해상도의 장식용 인쇄층을 보호기판의 일부에 구비하면서 이와 동시에 박형으로 구현하는 데 한계가 있는 실정이다.
상술한 종래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간단하고 저비용으로,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색상과 고해상도의 인쇄층이 구비된 박형의 전자 기기용 보호기판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자들은, 일부 영역에만 인쇄층이 구비된 보호기판에 있어서 추가 공정이나 비용 상승없이 단차 문제에 따른 보호기판의 구성요소 간 박리 현상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인쇄층이 박층으로 제공될 필요성이 있음을 인식하고, 박층으로 제공되면서도 다양한 색상 및 고해상도의 화상을 나타낼 수 있는 인쇄층을 구현하는 방법을 도모하는 과정에서 해당 인쇄층을 글라스 배면에 잉크젯 점묘상으로 직접 구현하는 것에 착안하여 본 발명에 도달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착안 및 상기 해결과제의 인식에 기초한 본 발명의 요지는 아래와 같다.
(1) 전자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으로서, 글라스와; 시트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에 접합되는 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기판에 인쇄층이 형성되되, 상기 인쇄층은 잉크젯 점묘 화소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2) 상기 인쇄층은 전체 두께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보호기판.
(3) 상기 잉크젯 점묘 화소층은 상기 글라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과, 상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형성되는 백색의 하부 점묘 화소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보호기판.
(4)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글라스의 후면 측에 접합되되, 평면상의 상기 점착층이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글라스의 후면 영역에 직접 밀착되어 보상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보호기판.
(5) 상기 보상층의 두께는 상기 인쇄층보다 크되, 1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4)의 보호기판.
(6) 상기 시트의 하부가 재접착 가능한 점착층이 있는 시트이거나 상기 시트가 자가 점착성이 있어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자가 점착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보호기판.
(7) 상기 글라스 또는 상기 시트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의 보호기판.
(8) 글라스의 일부영역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접착필름을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글라스의 후면 측으로 가압 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을 잉크젯 방식으로 글라스의 후면에 형성한 후, 상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백색의 하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체 두께가 2~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 제조방법.
(9) 상기 점착층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글라스의 후면에 직접 밀착되어 150㎛ 이하의 보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8)의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전자 기기용 보호기판은, 글라스에 대해 박층의 인쇄층을 잉크젯 점묘상으로 직접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색상 및 고해상도의 화상 구현이 가능함은 물론, 인쇄층 경계에서의 단차 크기가 감소되어 점착층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구성요소간 박리 현상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호기판은, 이러한 인쇄층 두께의 감소와 함께 해당 단차를 보상하기 위한 접착필름의 점착층 두께도 얇게 할 수 있어 전체적으로 박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이러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색상과 고해상도의 화상이 표현된 박형의 보호기판은, 박층의 인쇄층이 형성된 글라스 면으로 통상의 평면 레이어 형태의 접착필름을 단순 가압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간단하게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인쇄층이 형성된 보호기판의 구조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판의 구조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판의 제조 과정에 관한 모식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면에서 동일 또는 균등물에 대해서는 동일 또는 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였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시트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선택적으로' 제공, 구비 또는 포함된다고 할 때, 이는 본 발명의 해결과제를 위한 필수적으로 채택되는 구성요소는 아니나 그러한 해결과제와 견련성을 가지고 임의적으로 채택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판을 구성하는 각 층은 설명의 편의상 확대 내지 과장하여 도시하였다. 또한 보호기판의 구성하는 각 층의 방위와 관련해서는 외부로 노출되는 측을 전면으로 전자 기기에 부착되는 면측을 후면으로 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판의 구조도를 나타낸다. 상기 보호기판(20)은 전자 기기(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탈부착 가능하게 사용되며,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이 접합된 구조이다. 실시예에서는 보호기판(20)의 전자 기기(30)의 전면, 즉 디스플레이 영역에 부착되는 것을 예시하였다.
상기 글라스(210)는 박형이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갖도록 화학적으로 또는 열적으로 강화처리된 강화유리 또는 기타 투명 재질의 열경화성 수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필름(220)은 시트(222)와, 시트(222)의 상부 및 하부에 제공되는 상부 접착층(224)과 하부 접착층(226)으로 구성된다. 상기 시트(222)는 접착필름(220)의 모재를 구성하며 예컨대 PET와 같은 합성수지 필름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접착층(224)은 시트(222)의 상부층을 구성하며 기본적으로 글라스(210)와 시트(222)를 접합시키는 역할을 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글라스(210)에 접착필름(220)을 합지하는 과정에서 인쇄층(230)이 형성되지 않은 글라스(210)의 후면의 영역에 대해 점탄성 거동에 의해 직접 밀착되어 보상층을 형성하는 역할을 동시에 한다. 이를 위해, 보상층은 인쇄층(230)에 의한 단차에 의한 글라스(210)와 시트(222) 사이의 갭을 충진하여 보강할 수 있도록 인쇄층(230) 두께 보다 크되, 박형의 보호기판(20)으로 제작될 수 있도록 15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부 접착층(224)은 점탄성 접착제로서 다양한 형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특히 광투과성 및 부착력이 우수한 아크릴계 광학 투명 접착제(OCA; Optically Clear Adhesive)로 구성될 수 있다. 제품상태의 접착필름(220) 자체에서, 상기 상부 접착층(224) 평면상 레이어층으로 형성된다.
상기 하부 접착층(226)은 시트(226)의 하부층을 구성하며, 휴대용 전자 기기(30)에 용이하게 탈착할 수 있도록 실리콘계 점착층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시트(226)가 자가 점착성 재질인 경우, 시트(226) 자체로 하부 접착층(226)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상기 인쇄층(230)은 글라스(210) 후면 일부 영역에만 형성된다. 예컨대, 보호기판(20)이 전자 기기(30)의 전면에 부착되는 제품의 경우 디스플레이 활성영역을 제외한 베젤부에 형성될 수 있지만, 전자 기기(30)의 후면이나 여타의 전자 기기의 외면에 부착되는 경우에는 이러한 인쇄층(230)은 다양한 이미지를 포함하는 문양으로서 그 형성 위치에 특별한 제한은 없다.
본 발명에서 상기 인쇄층(230)은 박층의 잉크젯 점묘 화소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점묘 화소층을 형성하기 위한 잉크젯 인쇄는 각 점의 혼색에 의해 문양 및 칼라를 구현하는 방식의 인쇄로서 CMYK 감산 혼합 및 병치혼합을 위한 점묘 인쇄를 따른다. 이러한 잉크젯 인쇄, 특히 디지털 방식의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인쇄층(230)을 인쇄함으로써 고품질의 색상을 구현할 수 있다. 즉, 스펙트로 포토메터로 인쇄 출력물의 각색상에 대한 세부적인 값을 측정하여 ICC 프로파일을 작성하고 이를 프린터 드라이버 소프트웨어나, RIP 소프트웨어 등에 입력하여 바로 적용할 수 있으므로 인쇄층(230) 출력 색상에 대한 색보정을 보다 정교하게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고 인쇄 공정 중에 주기적으로 측정하여 색상을 보정하는 것이 가능하여, 종전의 실크스크린 인쇄 공정에서 잉크 관리나 복잡한 공정 조건 관리에 따라 인쇄 품질에 편차가 발생하는 문제을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색상의 정확도 및 품질 향상을 용이하게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박층의 인쇄층(230) 전체 두께는 2~5㎛ 범위에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두께가 2㎛ 미만으로 너무 얇으면 충분한 색 표현이 어렵고, 반대로 두께가 3㎛로 너무 두꺼우면 인쇄층(230) 경계에서의 글라스(210) 후면과의 단차가 너무 커져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 간 박리가 발생될 수 있다.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인쇄층층(230)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토출되는 잉크 드롭릿의 크기, 잉크의 점도 또는 기판과의 접촉각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고, 안정적인 잉크 토출을 위해 5cP이하의 저점도의 잉크를 사용하는 경우 1 마이크로미터 이하로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상기 인쇄층(230)은 복층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글라스(210)의 일부 영역에 칼라 CMYK 색상을 점으로 잉크젯 인쇄하여 상부 점묘 화소층(232)을 형성하고, 상부 점묘 화소층(232)의 후면에 백색을 점으로 인쇄하여 하부 점묘 화소층(234)를 형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부 점묘 화소층(232)은 전체 인쇄층(230)의 전경층을 구성하여 다양한 색상의 디지털 이미지를 표현하고, 하부 점묘 화소층(234)는 전체 인쇄층(234)의 배경층을 구성하여 상부 점묘 화소층(234)에 대한 발색 효과를 유도하여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색도 및 해상도를 증가시키게 된다. 즉, 상기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형성된 상부 점묘 화소층(232)은 1 마이크로미터 전후의 얇은 막 두께로 인해 투광에 의해 색상의 선명도가 오히려 떨어질 수 있고 이러한 단점을 백색의 점묘 화소층(234)를 단층 혹은 광학 밀도를 높이기 위해 복층으로 형성함으로써 보완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인쇄층(230)을 복층으로 형성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그 전체 두께의 상한은 인쇄층(230) 경계에서의 단차로 인한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 상호 간의 박리를 억제하기 위해 상술한 수치범위로 제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보호기판의 제조과정에 관한 모식도를 나타낸다.
먼저, 강화처리된 글라스(210)가 제공되고, 글라스(210)의 후면 일부에 대해 칼라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232) 및 백색 하부 점묘 화소층(234) 잉크젯 방식으로 각각 형성한다(도 5(a) ~ (c)).
이 경우, 상부 점묘 화소층(232) 및 백색 하부 점묘 화소층(234)에 대한 인쇄에서는 시안, 마젠타, 옐로우, 블랙, 라이트시안, 라이트 마젠타, 백색 등의 안료가 함유된 내열 수성 안료 잉크를 사용하며, 잉크 분사(jetting)가 가능하고 유로(즉, 잉크 저장소, 관로, 카트리지 및 잉크젯 헤드 노즐부 까지의 경로)가 막히지 않기 위해서는 10cP 이하 바람직하게는 5cP 이하의 잘 분산된 저점도 잉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젯 인쇄용 잉크는 안료를 감싸고 코팅하고 글라스에 잘 접착되기 위해 잉크 내에 포함되는 바인더로서 내열성이 우수한 수성 아크릴레이트 레진이 첨가될 수 있다. 또한, 잉크젯 인쇄용 잉크는 인쇄 품질의 제고하기 위해 속성 건조 및 경화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잉크젯 헤드 내의 노즐로부터 잉크 드롭릿이 토출되어 글라스(210)에 직접 화소를 형성하는 경우, 이러한 글라스(210)는 종이와는 달리 잉크가 흡수되지 않아 낙하와 동시에 퍼져 화소가 바람직하지 않게 커지거나 주변의 화소와 연결됨으로써 인쇄 품질이 저하될 수 있고,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도출된 잉크 드롭릿이 신속히 건조 및 경화되고 사이즈 증가는 최소화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잉크 드롭릿의 신속한 건조 및 경화를 위해서는 잉크에 포함된 수분이나 유기 용매가 신속히 휘발되어 건조되어야 하고 동시에 잉크 내에 포함된 바인더가 신속히 경화되어 안료를 글라스 견고히 부착되어야 하고, 이를 위해 필요에 따라 잉크젯 인쇄기의 인쇄 베드 하부 혹은 상부에 기판을 가열시키는 열 발생 장치가 구비되거나 글라스(210)를 일정 온도로 승온시킬 수 있는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부 점묘 화소층(232) 및 백색 하부 점묘 화소층(234)의 전체 층 두께는 적절한 색표현이 가능하면서도 단차 문제를 고려하여 2~5㎛ 범위로 한다. 잉크젯 인쇄 방식으로 형성되는 인쇄층(230)의 두께는 기본적으로 토출되는 잉크 드롭릿의 크기, 잉크의 점도 또는 기판과의 접촉각을 조정하는 것 등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다음으로, 시트(222)를 중심으로 상부 및 하부에 상부 접착층(224)과 하부 접착층(226)이 각각 구비된 접착필름(220)을 제공된다(도 5(d)). 이 경우, 시트(222)는 물론, 상부 접착층(224) 및 하부 접착층(224) 자체는 전체 면적에 대해 일정한 두께를 갖는 평면 상으로 제공되며, 후속의 합지 과정에서 인쇄층(30)에 의한 단차를 보상하는 층으로 기능하는 상부 접착층(224)은 150㎛이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최종적으로,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을 합지 과정을 수행한다(도 5(e)). 이러한 합지 과정은 인쇄층(230)이 형성된 글라스(210)의 후면 측으로 접착필름(220)으로 배치한 후 가압 밀착하는 방식으로 수행되며, 이에 따라 제품형태의 보호기판(20)을 완성하게 된다. 경우에 따라, 상기 글라스(210)의 상면과 접착필름(220)의 하부 접착층(226) 표면에는 제품형태의 보호기판(20)에 이물질이 흡착되지 않도록 보호지(도면 미도시)가 부착될 수 있으며, 보호지를 제거하고 상기 하부 접착층(226)을 휴대용 전자 기기(30)의 전면 또는 후면에 접착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 제조 공정 중 특히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의 합지 공정과 관련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글라스(210) 후면의 일부 영역에만 인쇄층(230)이 형성되는 경우, 인쇄층을 경계로 단차(S)가 발생하는데,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을 가압 밀착하는 과정에서 상부 접착층(224)이 인쇄층(130)이 형성되지 않은 글라스(210) 후면 영역으로 밀리는 방식으로 변형되어 시트(222)와 글라스(210) 사이의 갭을 충진하고 보상층을 형성하게 된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상부 접착층(224)이 갭을 충진하여 보상층을 형성하는 과정은 점탄성 거동에 의한 탄성변형이 때문에,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혹은 전자 기기에 대한 보호기판(20)의 반복적인 탈부착시 면방향으로의 인장력으로 인해, 탄성변형에 의한 복원력으로 상기 단차(S) 부위에서 상부 접착층(224)의 표면 접착력이 열화됨으로써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이 의도하지 않게 박리될 가능성이 내재되어 있다.
이에 불구하고 본 발명의 경우, 상기 인쇄층(230)을 잉크젯 점묘 인쇄층으로 하여 다양한 색상 및 고해상도의 화상을 표현하면서도 그 전체 두께를 총 2~5㎛로 박층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단차(S) 크기가 감소되어 글라스(210)와 접착필름(220)의 접착이 보다 완전하고 상부 점착층(224)의 탄성 복원력으로 인한 보호기판(20) 구성요소간 박리 현상도 효과적으로 억제될 수 있고, 또한 이에 수반하여 상부 접착층(224) 즉 단차 보상층의 두께도 150㎛ 이하로 감소시킬 수 있어 결과적으로 내구성이 우수하고 박형 경량의 보호기판 제조가 가능하다. 이러한 내구성이 향상되고 다양한 색상과 고해상도의 화상이 표현된 박형의 보호기판(20)은, 박층의 인쇄층(230)이 형성된 글라스(210) 면으로 통상의 평면 레이어 형태의 접착필름(220)을 단순 가압하는 방식으로, 별도의 추가 공정 없이 간단하게 저비용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한 것이나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실시예는 설명의 목적으로 개시된 사항이고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되지는 않으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을 벗어나지 아니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러한 모든 수정과 변경은 특허청구범위에 개시된 발명의 범위 또는 이들의 균등물에 해당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20: 보호기판
210: 글라스
220: 접착필름
222: 시트
224: 상부 접착층
226: 하부 접착층
230: 인쇄층
232: 상부 점묘 화소층
234: 하부 점묘 화소층
S: 단차부

Claims (9)

  1. 전자 기기의 일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으로서, 글라스와; 시트의 적어도 어느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되어 상기 글라스에 접합되는 접착필름;을 포함하고, 상기 보호기판에 인쇄층이 형성되되, 상기 인쇄층은 잉크젯 점묘 화소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층은 전체 두께가 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잉크젯 점묘 화소층은 상기 글라스의 후면에 형성되는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과, 상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형성되는 백색의 하부 점묘 화소층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필름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상기 글라스의 후면 측에 접합되되, 평면상의 상기 점착층이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은 글라스의 후면 영역에 직접 밀착되어 보상층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보상층의 두께는 상기 인쇄층보다 크되, 150㎛ 이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는 하부가 재접착 가능한 점착층이 있는 시트이거나 상기 시트가 자가 점착성이 있어 전자 기기에 부착 가능한 자가 점착성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글라스 또는 상기 시트는 투명 재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기판.
  8. 글라스의 일부영역에 인쇄층을 형성하는 단계; 및 적어도 일면에 점착층이 구비된 접착필름을 상기 인쇄층이 형성된 글라스의 후면 측으로 가압 밀착하여 합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인쇄층은 CMYK 색상의 상부 점묘 화소층을 잉크젯 방식으로 글라스의 후면에 형성한 후, 상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잉크젯 방식으로 백색의 하부 점묘 화소층의 후면에 형성하는 방식으로 전체 두께가 2~5㎛가 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 제조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층은 상기 인쇄층이 형성되지 않는 글라스의 후면에 직접 밀착되어 150㎛ 이하의 보상층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기기의 전면 또는 후면에 부착되어 사용되는 보호기판 제조방법.
KR1020160043495A 2016-04-08 2016-04-08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70115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95A KR20170115815A (ko) 2016-04-08 2016-04-08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3495A KR20170115815A (ko) 2016-04-08 2016-04-08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815A true KR20170115815A (ko) 2017-10-18

Family

ID=602967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3495A KR20170115815A (ko) 2016-04-08 2016-04-08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81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5583A (zh) * 2019-01-08 2020-07-14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415583A (zh) * 2019-01-08 2020-07-14 三星显示有限公司 可折叠装置
EP3680749A3 (en) * 2019-01-08 2020-10-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evice
US11204627B2 (en) 2019-01-08 2021-12-21 Samsung Display Co., Ltd. Foldable devic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04821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display device using the color filter, and electronic equipment comprising the display device
EP0761440A2 (en) Ink-jet printing method and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color filter
WO2013008077A3 (en) Open perforated material and method of imaging to form a vision control panel
SE514286C2 (sv) Displayskydd och förfarande för tillverkning av detsamma
US20180047710A1 (en) Method for Fabricating an Emissive Display using Laminated Printed Color Conversion Phosphor Sheets
US20190091999A1 (en) Waveform generating device and ink jet recording apparatus
CN101665026B (zh) 液体喷射装置、及喷嘴检查图案形成方法
KR20170115815A (ko) 전자 기기의 장식용 보호기판 및 그 제조방법
US11720142B2 (en) Sheet for display panel
KR101606573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CN106507618B (zh) 外装面板及其制造方法
JP2016037006A (ja) 印刷物の製造方法、印刷方法、及び印刷装置
US6328434B1 (en) Inkjet head, its manufacturing method and recording device
KR20150116767A (ko) 장식 필름이 부착된 창유리
JP2005321343A (ja) 表示板の製造方法
KR101734923B1 (ko) 백릿 기능이 있는 디지털글라스 판넬 및 이의 제조방법
JP5020624B2 (ja) ヘッドカートリッジ、保護テープ、インクジェット記録ヘッドカートリッジの吐出口封止方法
US8783812B2 (en) Printing apparatus and printing method
KR20210024271A (ko) 이미지 플레이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윈도우 제조방법
JP4023092B2 (ja) 液晶表示装置の製造方法
JP4509876B2 (ja) 光学フィルター
EP3882694A1 (en) Color filter in a color electrophoretic display arrangem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reof
WO2018133058A1 (zh) 半导体芯片模组及增强图案层视觉效果的制作方法
KR101755436B1 (ko) 디스플레이 기기의 비활성영역에 대한 장식 인쇄방법
KR20140141805A (ko) 교체가능한 태그 스티커를 갖는 rfid 태그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