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5011A -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5011A
KR20170115011A KR1020170121894A KR20170121894A KR20170115011A KR 20170115011 A KR20170115011 A KR 20170115011A KR 1020170121894 A KR1020170121894 A KR 1020170121894A KR 20170121894 A KR20170121894 A KR 20170121894A KR 20170115011 A KR20170115011 A KR 201701150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igital
digital photographing
external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218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태
오윤제
금동준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218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5011A/ko
Publication of KR201701150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501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04N5/23203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04N5/2252
    • H04N5/2254
    • H04N5/23241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Structure And Mechanism Of Camera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렌즈와, 셔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와,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를 결합한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촬영 시스템은 렌즈; 상기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 및 처리하는 스마트 마운트; 및 상기 스마트 마운트에서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편집, 저장 또는 삭제하는 바디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와, 셔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와,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가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바디에 대한 선택권을 줄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카메라 전용 바디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동이 가능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촬영을 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쉽게 인터넷으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Digital photographing system and method for operating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본 발명은 렌즈와, 셔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와,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를 결합한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들어 다양한 종류의 디지털 촬영 기기가 출시 되고 있다. 렌즈와 카메라 본체가 분리되어 다양한 렌즈의 교환이 가능한 렌즈 교환식 디지털 촬영 기기, 카메라 본체와 카메라 유닛으로 구성되어 카메라 유닛이 교환 가능한 카메라 유닛 교환 디지털 촬영기기, 초고가 캐논 및 니콘 SLR 카메라 렌즈를 사용할 수 있는 마운트를 애플 아이폰에 장착하여 영상을 촬영할 수 있는 시스템 등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는 렌즈와, 셔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와,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를 결합한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은 렌즈; 상기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 및 처리하는 스마트 마운트; 및 상기 스마트 마운트에서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편집, 저장 또는 삭제하는 바디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렌즈와 연결하는 렌즈 연결부; 셔텨; 상기 셔터 입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바디로 전송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와 결합되거나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을 상기 바디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바디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는 버튼이 외부에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내부에 구비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별도의 어댑터를 통하여 상기 바디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내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디지털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상기 스마트 마운트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는 모바일 단말 기기이고, 상기 스마트 마운트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영상 촬영 및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마운트를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바디에 장착하는 단계; 촬영 구도가 설정되면 촬영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마운트는 영상을 촬영하고 처리하여 상기 바디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삭제 또는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인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다른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영상 촬영 및 처리가 가능한 스마트 마운트 및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바디 사이에 무선 통신 환경을 설정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마운트를 이동시키면서 촬영 구도를 설정하고, 촬영신호를 입력하는 단계; 상기 촬영신호를 수신한 스마트 마운트는 영상을 촬영하고 처리하여, 무선 통신을 통하여 상기 바디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바디는 상기 전송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또는 편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바디가 모바일 단말 기기인 경우, 상기 스마트 마운트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촬영 신호 입력 시에 상기 바디가 촬영신호를 상기 스마트 마운트로 전송하거나, 스마트 마운트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스마트 마운트는 상기 바디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스마트 마운트 내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렌즈와, 셔터, 이미지 센서 및 이미지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와,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가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고, 사용자에게 바디에 대한 선택권을 줄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카메라 전용 바디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동이 가능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촬영을 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쉽게 인터넷으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외관도 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 이다.
도 4는 도 3에 개시된 스마트 마운트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5는 3에 개시된 스마트 마운트와 바디의 결합 관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단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실행하여 스마트 마운트를 제어하는 도면이다.
도 7은 도 2에 개시된 바디가 카메라 바디인 경우의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 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외관도 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시스템은 렌즈(100), 스마트 마운트(200) 및 바디(300)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서 바디(300)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이거나 카메라 바디(302)일 수 있다.
도 1a 내지 도 1c는 모바일 단말기기(301)와 결합된 렌즈(100) 및 스마트 마운트(2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1a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 1b는 모바일 단말기(301)와 스마트 마운트(200)가 분리된 도면을, 도 1c는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 2a 내지 도 2c는 카메라 바디(302)와 결합된 렌즈(100) 및 스마트 마운트(200)를 보여주고 있다. 도 2a는 측면에서 바라본 도면을, 도 2b 및 도 2c는 뒤쪽에서 바라본 도면을 나타낸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카메라 바디(302)와 스마트 마운트(200)는 분리가 가능하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개시된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는 스마트 마운트(200)의 상세 구성도 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마트 마운트(200)는 렌즈(100)와 연결하는 렌즈 연결부(210), 셔터(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센서 PCB(240), 이미지 프로세서(250), 바디(300)와 연결되는 바디 연결부(260)를 포함한다. 도면에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스마트 마운트(200) 외부에는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제어할 수 있는 기능 버튼이 구비되어 있어 바디(300)의 제어 없이 자체적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처리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렌즈(100)를 통해 입력되는 빛을 PD(photo diode)에 의해 전하로 변환시키고, 전하를 다시 전압으로 변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이미지 센서(230)로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또는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미지 센서(230)는 이미지 센서(230)를 구동시키기 위한 회로가 구비된 이미지 센서 PCB(240)에 실장된다.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이미지 센서(2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저장부(도 7의 251)에 저장하거나, 코덱을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고, 외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이미지 센서(2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신호가 아날로그 신호인 경우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디지털 영상 신호에 대하여 각종의 화상 처리를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사람의 시각에 맞게 영상 데이터를 변환하도록 오토 화이트 밸런스(Auto White Balance)나 오토익스포저(Auto Exposure), 감마 코렉션(Gamma Correction) 등의 신호 처리를 행하여 화질을 개선하고, 개선된 화질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한다.
스마트 마운트(200)와 바디(3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 통신은 USB(도 7의 261)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바디(300)로 전송하거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 송수신 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가 무선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카메라 전용 바디가 아닌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모바일 단말 기기와의 연동이 가능하여 모발 단말 기기에서 고품질의 영상 촬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5는 3에 개시된 스마트 마운트(200)와 바디(300)의 결합 관계를 보이는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바디(302)가 종래의 카메라와 같이 접점 포인트(360)를 제공한다면, 접점 포인트(360)를 가지고 스마트 마운트(200)의 접점 포인트(바디 연결부(260))와 연결할 수 있으며, 또는 USB(도 7의 261, 361)와 같은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연결할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연결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새로운 어댑터(400)를 이용하여 스마트 마운트(200)와 바디(300)를 연결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의 접점 포인트(바디 연결부(260)) 또는 USB(도 7의 261)와 어댑터(400)의 일 단(410)을 연결하고,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바디(302)의 접점 포인트(360) 또는 USB(도 7의 361)와 어댑터(400)의 타 단(42-0)을 연결하면 된다.
도 6은 도 1에 개시된 모바일 단말 기기가 어플리케이션을 다운/실행하여 스마트 마운트를 제어하는 도면이다.
모바일 단말 기기(301)를 바디(300)로 사용하는 경우, 스마트 마운트(200)를 제어하기 위해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하여야 한다. 기존의 펌웨어 업데이트에 국한되어 있던 방식에서 벗어나,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제공함으로써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고품질의 이미지를 다양하게 수정할 수도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와 모바일 단말 기기(301)와의 연결을 예로, Remote Viewfinder를 들 수 있다. Remote Viewfinder는 카메라를 모바일 단말 기기(301)와 연결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카메라를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이다 먼저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Remote Viewfinder 어플리케이션(도 6a)을 다운로드 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 설치한다(도 6b). 이어서,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Remote Viewfinder를 실행하여 모바일 기기(301)와 스마트 마운트(200)를 연결한다(도 6c). 이때 비밀번호 입력이 필요하다. 이후, 모바일 단말 기기(301)가 스마트 마운트(200)를 제어(플래시 온/오프 타이머, 줌 등)하여 영상을 촬영하면, 스마트 마운트(200)는 촬영한 영상을 모바일 단말 기기(301)로 전송하고, 모바일 단말 기기(301)는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거나, 저장하거나, 편집한다(도 6d).
도 7은 도 2에 개시된 바디가 카메라 바디인 경우의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내부 구성도 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디지털 촬영 시스템은 크게 렌즈(100), 스마트 마운트(200) 및 카메라 바디(302)로 구성된다. 여기서 카메라 바디(302)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로 대체 될 수도 있다.
렌즈(100)는 피사체로부터의 광학 신호를 집광한다. 렌즈(100)는 초점 거리(focal length)에 따라 화각이 좁아지거나 또는 넓어지도록 제어하는 줌 렌즈 및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포커스 렌즈 등을 포함하며, 줌 렌즈 및 피사체 렌즈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성될 수도 있지만, 복수의 렌즈들의 군집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렌즈(100)는 집광된 광학 신호를 스마트 마운트(200)로 전송한다. 렌즈(100)에는 스마트 마운트(200)와 연결을 위한 제1 연결부(110)가 구비되어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는 영상을 촬영하고 처리하며, 카메라 바디(302)와 연결된다. 스마트 마운트(200)는 렌즈(100)와 연결하기 위한 제2 연결부(210)(도 3 및 도 4의 렌즈 연결부와 동일)를 포함한다.
또한 스마트 마운트(200)는 선막(미도시) 및 후막(미도시)을 포함하는 셔터(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셔터(220)는 포컬 플레인 셔터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포컬 플레인 셔터(focal plane shutter)는 렌즈의 초점 면 직전에 설치된 두 장의 포막이나 금속 막이 좌우 또는 상하로 달리는 셔터로, 선막과 후막의 슬릿(slit)이나, 선/후막의 이동 속도를 조절하여 감광 재료 면에 적당한 노출을 하게 된다. 포컬 플레인 셔터는 렌즈 교환이 가능한 카메라에 많이 설치 되어 있다. 이와 같은 포컬 플레인 셔터는 보통 6×6cm 판 이하의 카메라에 많이 설치되며, 막의 속도를 일정하게 하고 조속기나 전기 제어되는 전자석 등을 이용하여 슬릿 폭만을 조절함으로써 노출시간을 결정하게 되어 있다. 포컬 플레인 셔터의 최대 특징은 렌즈 교환 사용이 가능하고, 용이하게 고속 셔터를 구현할 수 있는 점이다.
렌즈(100)를 투과한 광학 신호는 이미지 센서(230)의 수광면에 이르러 피사체의 상을 결상한다. 이미지 센서(230)는 광학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는 CCD(charge coupled device), CI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image sensor) 또는 고속 이미지 센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미지 센서(230)는 촬상소자 제어부(116)에 의해 감도 등이 조절될 수 있다.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이미지 센서(230)를 통해 입력된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251)에 저장하거나, 코덱을 사용하여 이미지 데이터를 압축하고, 외부 장치들과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입력된 영상 데이터에 대해 노이즈를 저감하고, 감마 보정(gamma correction), 색필터 배열보간(color filter array interpolation), 색 매트릭스(color matrix), 색보정(color correction), 색 향상(color enhancement) 등의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질 개선을 위한 영상 신호 처리를 통하여 생성한 영상 데이터를 압축 처리하여 영상 파일을 생성할 수 있으며, 또는 상기 영상 파일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영상의 압축 형식은 가역 형식 또는 비가역 형식이어도 된다. 적절한 형식의 예로서, RAW 데이터, JPEG(joint photographic experts group)형식이나 JPEG 2000 형식 등으로 변환도 가능하다. 압축한 데이터가 저장부(251)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서(250)에서는 기능적으로 선명 처리, 색채 처리, 블러 처리, 엣지 강조 처리, 영상 해석 처리, 영상 인식 처리, 영상 이펙트 처리 등도 행할 수 있다. 영상 인식 처리로 얼굴 인식, 장면 인식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휘도 레벨 조정, 색 보정, 콘트라스트 조정, 윤곽 강조 조정, 화면 분할 처리, 캐릭터 영상 등 생성 및 영상의 합성 처리 등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이미지 프로세서(250)는 카메라 바디(302)로부터 전송되는 촬영 신호, 오토 포커싱, 줌 변경, 초점 변경, 자동 노출 보정, 셔터 구동 등의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하며, 구비된 구성 요소들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먼지 제거부(252)는 이미지 센서(230)에 붙은 먼지를 제거하기 위해 먼지 센서(미도시) 및 압전 소자(미도시)를 포함한다. 먼지센서는 이미지 센서(230)로 입사되어 먼지 입자에 의해 산란되는 광을 감지하는 포토 디텍터(미도시)일 수 있다. 먼지센서는 광송신부(미도시) 및 광수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는데, 광송신부는 이미지 센서(230)에 존재하는 먼지를 향하여 광을 발사하고, 광수신부는 먼지에 의해 반사된 광을 수신한다. 압전소자는 진동 신호에 따라 이미지 센서(230)를 진동시킨다. 일반적으로 압전소자란, 비대칭 결정구조를 갖는 결정체에 외력으로 인한 기계적 일그러짐이 발생하면, 이와 동시에 그 결정의 표면에 전하가 유기되어 전기적인 분극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미소한 전하가 발생하는 소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압전소자는 역으로 그 결정에 전계를 인가하여도 전하의 발생과 동시에 기계적인 일그러짐이 발생하는 역효과를 유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압전소자에 그 압전소자의 고유한 공진주파수에 해당하는 고주파전원을 인가하면, 압전소자가 공전주파수로 진동이 발생한다. 먼지 제거부(252)는 먼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먼지양을 측정하여 압전소자로 진동신호를 출력하여, 이미지 센서(230)의 먼지는 떨어냄으로써 먼지를 제거한다.
또한 스마트 마운트(200) 버튼(25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버튼(254)는 카메라 바디(302)의 제어를 받지 않고 독립적으로 스마트 마운트(200)를 구동할 수 있는 버튼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정해진 시간 동안 이미지 센서(230)를 빛에 노출하여 영상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스 버튼이거나, 스마트 마운트(200)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는 경우, 스마트 마운트(200)의 전원을 동작시키는 전원 버튼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254)는 버튼(253) 입력을 수신하여 해당 신호를 이미지 프로세서(250)로 전송한다.
USB(261)는 스마트 마운트(200)가 카메라 바디(302)와 연결되는 경우, 각 종 신호를 카메라 바디(302)로 전송한다.
전원 연결부(262)는 카메라 바디(302)로부터 전원을 수신하여 전원부(270)로 전원을 공급한다. 여기서 스마트 마운트(200)가 카메라 바디(302)와 유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전원 연결부(262) 및 전원부(270)는 카메라 바디(302)로부터 전송되는 전원에 의해 동작하지만, 스마트 마운트(200)가 카메라 바디(302)와 무선으로 연결되는 경우, 스마트 마운트(200)에는 자체 배터리(미도시)가 구비되어 동작한다.
카메라 바디(302)는 스마트 마운트(200)로부터 촬영되어 처리된 영상을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저장, 삭제 또는 편집한다.
카메라 바디(302)는 핫 슈(310), 플래시(320), 마이크(331), 스피커(332), 오디오 처리부(333), 표시부(340), 표시부 인터페이스(341), 제어부(350), 버튼(351), 사용자 인터페이스(352), USB1(361), 전원 연결부(362), USB2(363), SD(364), USB 인터페이스(365), SD 카드 인터페이스(367), 배터리(370) 및 전원부(371)를 포함한다.
핫 슈(310)는 카메라 바디(302)의 플래시 연결부이고, 플래시(320)는 어두운 곳에서 촬영할 경우 밝은 빛을 순간적으로 비추어 피사체를 밝게 해주는 발광 장치이다.
마이크(331), 스피커(332), 오디오 처리부(333)는 음성 신호를 출력하여 영상 촬영 시의 동작 상태 등을 알리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스피커(332)는 오디오 처리부(333)에 의해 음성의 종류, 음성 크기 등이 제어될 수 있다.
표시부(340)는 스마트 마운트(200)로부터 전송된 영상 신호를 제어부(350)의 제어 하에 소정 영상으로 사용자에게 보여 질 수 있도록 한다. 표시부(340)는 촬영 모드를 진행하는 동안에 이미지 센서(230)에 의해 얻어진 영상 신호를 연속적으로 표시하여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한 뷰 파인더 수단으로서의 역할을 하기도 한다. 이와 같은 표시부(340)로 액정 표시장치(LCD), 유기 발광 표시장치(OLED), 전기 영동 표시장치(EDD) 등 다양한 표시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표시부 인터페이스(240)는 제어부(350)의 제어 하에 표시부(340)를 구동할 수 있도록 하는 각종 제어 신호를 송수신한다.
제어부(350)는 저장된 운용 시스템 및 응용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를 연산 처리하고, 상기 연산 결과를 임시 저장하며, 상기 연산 결과에 따라 해당 구성부를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350)는 촬영 범위를 결정하기 위해 스마트 마운트(200)로부터 전송되는 라이브뷰 영상을 표시부(240)에 제공하고, 영상 촬영 신호를 스마트 마운트(200)로 전송하며, 스마트 마운트(200)가 촬영한 영상을 표시부(340)에 표시하도록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0)는 표시부(34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편집할 수 있도록 각종 기능을 제공하고, 표시부(340)에 디스플레이된 영상 또는 편집된 영상이 SD 카드 인터페이스(367)을 통하여 SD(364)에 저장 되도록, 또는 SD(364)에 저장된 영상이 삭제될 수 있도록 제어한다.
버튼(351)은 사용자 등의 외부로부터의 제어 신호를 입력할 수 있는 곳 이다. 버튼(351)은 정해진 시간 동안 촬상 소자(115)를 빛에 노출하여 사진을 촬영하는 셔터-릴리스 신호를 입력하는 셔터-릴리스 버튼, 전원의 온-오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입력하는 전원 버튼, 입력에 따라 화각을 넓어지게 하거나 화각을 좁아지게 하는 광각-줌 버튼 및 망원-줌 버튼과, 문자 입력 또는 촬영 모드, 재생 모드 등의 모드 선택, 화이트 밸런스 설정 기능 선택, 노출 설정 기능 선택 등의 다양한 기능 버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튼(351)은 상기와 같이 다양한 버튼의 형태를 가질 수도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키보드, 터치 패드, 터치스크린, 원격 제어기 등과 같이 사용자가 입력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사용자 인터페이스(352)는 제어부(350)에 각종 버튼 입력 신호를 송신한다.
USB1(361) 또는 USB2(363)는 스마트 마운트(200)의 USB(261)와 연결되어 각종 신호를 송수신한다.
전원 연결부(362)는 스마트 마운트(200)의 전원 연결부(262)와 연결되어, 배터리(370)를 통한 전원을 스마트 마운트(200)로 전송한다.
배터리(370)의 전원은 전원부(371)에도 공급되어 카메라 바디(302)를 동작시킨다.
스마트 마운트(200)와 바디(300)는 유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유선 통신은 USB(도 7의 261)과 같은 다양한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촬영된 이미지를 실시간으로 바디(300)로 전송하거나, 구동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은 Wi-Fi(wireless fidelity), BT(bluetooth),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실시간 송수신 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가 무선 통신을 지원함으로써, 카메라 전용 바디가 아닌 무선 통신이 가능한 다양한 모바일 단말 기기와의 연동이 가능하여 모발 단말 기기에서 고품질의 영상 촬영을 제공할 수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와 카메라 바디(302)가 유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USB(261, 361)을 통하여 양자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스마트 마운트(200)와 카메라 바디(302)가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무선 통신 모듈이 양자간 구비되어 있어, 무선 통신 모듈을 통하여 양자간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렌즈(100)와 결합된 스마트 마운트(200)를 바디(300)에 장착한다(S801). 여기서 스마트 마운트(200)는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위해 셔터(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센서 PCB(240), 이미지 프로세서(2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디(300)는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촬영되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편집, 삭제 또는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일 수 있다.
스마트 마운트(200)가 바디(300)에 장착되고, 전원이 공급되면, 바디(300)는 현재 스마트 마운트(200)가 장착된 바디(300)가 모바일 단말 기기(301)인지, 카메라 전용 바디(302)인지 판단한다(S803).
바디(300)가 모바일 단말 기기(301)인 경우,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805).
모바일 단말 기기(301) 내에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 예를 들어, Remote Viewfinder를 다운로드 하고(S807), 실행한다(S809).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표시되는 라이브뷰 영상을 보면서 촬영 구도를 설정한다(S811).
촬영 구도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구비된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한다(S813).
스마트 마운트(200)는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구도의 영상을 촬영 및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815).
이후 스마트 마운트(200)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신호를 유선 통신 방식 예를 들어 USB(261, 361)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로 전송한다(S817).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는 스마트 마운트(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편집, 저장 또는 삭제한다(S819).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다른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보이는 흐름도 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렌즈(100)와 결합된 스마트 마운트(200) 및 바디(300) 사이에 무선 통신 환경을 설정한다(S901). 여기서, 스마트 마운트(200)는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위해 셔터(220), 이미지 센서(230), 이미지 센서 PCB(240), 이미지 프로세서(250)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바디(300)는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촬영되어 처리된 영상을 디스플레이, 편집, 삭제 또는 저장하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일 수 있다. 사용자가 스마트 마운트(200) 및 바디(300)의 전원을 각각 입력하고, 바디(300)에서 스마트 마운트(200)로 무선 통신 개시를 나타내는 신호를 송신하고,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이를 수신하면, 양자간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이 설정된다. 스마트 마운트(200) 및 바디(300)에는 무선 통신 모듈이 각각 구비되어 있어, 양자간 무선 통신이 가능하다.
스마트 마운트(200)와 바디(300) 사이에 무선 통신 환경이 설정되면, 바디(300)는 현재 스마트 마운트(200)가 장착된 바디(300)가 모바일 단말 기기(301)인지, 카메라 전용 바디(302)인지 판단한다(S903).
바디(300)가 모바일 단말 기기(301)인 경우,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는지 판단한다(S905).
모바일 단말 기기(301) 내에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에서 스마트 마운트 구동 프로그램 예를 들어, Remote Viewfinder를 다운로드 하고(S907), 실행한다(S909).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표시되는 라이브뷰 영상을 보면서 촬영 구도를 설정한다(S911). 현재 스마트 마운트(200)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장착되어 있지 않고,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스마트 마운트(200)를 이동시켜 가면서 촬영 구도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스마트 마운트(200)가 설정하는 촬영 구도는 무선을 통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라이브뷰 영상으로 표시된다.
촬영 구도 설정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에 구비된 셔터-릴리즈 버튼을 입력한다(S913).
스마트 마운트(200)는 셔터-릴리즈 버튼 입력 신호에 따라 현재 구도의 영상을 촬영 및 디스플레이 가능한 신호로 처리한다(S915).
이후 스마트 마운트(200)는 디스플레이 가능한 영상 신호를 무선 통신 모듈(미도시)을 통하여 무선 통신 방식으로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로 전송한다(S917).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전용 바디(302)는 스마트 마운트(200)로부터 수신한 영상 신호를 디스플레이, 편집, 저장 또는 삭제한다(S919).
종래의 렌즈 교환 카메라 시스템에서는 플렌지 백 즉, 마운트나 렌즈 후면으로부터 센서까지의 거리나 백 포커스를 확보하기 위한 제약으로 인하여 렌즈의 광학 성능과 컴팩트한 디자인을 동시에 실현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종래의 렌즈 교환 카메라 구조상 이미지 센서와 이미지 프로세서가 모두 카메라 바디 내부에 있어, 부피가 크고 무거운 단점을 가지고 있다. 또한 외부 모바일 단말 기기와 통신을 위해서는 사용자가 추가적인 작업을 해야 하는 등 많은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하지만, 본 발명은 렌즈(100)와, 셔터(220), 이미지 센서(230) 및 이미지 프로세서(250)를 포함하는 스마트 마운트(200)와, 카메라 바디(302)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301)가 분리형으로 되어 있어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사이즈를 크게 줄일 수 있다.
카메라 유닛 교환 카메라의 경우, 렌즈 교환 카메라에 비해 좀 더 유연하지만, 전용 연결 커넥터를 사용해야 하는 단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들은 카메라 유닛 교환 카메라 전용 바디만을 사용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다른 모바일 단말 기기와의 통신이 되지 않는 등 기술적으로 풀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하지만, 스마트 마운트(200)는 다양한 모바일 단말 기기와 연결할 수 있으며, 전용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스마트 마운트(200)를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획득할 수 있다.
아이폰 카메라 렌즈 마운트는 기존 DSLR의 렌즈를 단순히 아이폰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로서, 이 어댑터를 이용해 아이폰에 영상을 디스플레이 하는 경우, 영상이 뒤집혀서 디스플레이 된다. 이는 단순히 렌즈를 통해 입력되는 빛이 아무런 변형없이 아이폰에 장착되어 있는 카메라로 입력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폰 마운트는 영상 촬영을 아이폰에서 하고, 영상 처리도 아이폰에서 수행한다. 따라서 영상의 품질은 기존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촬영한 이미지 품질과 동일하다. 그러나, 스마트 마운트(200)는 이미지 센서(230) 및 이미지 프로세서(250)가 내장되어 있어, 모든 작업을 스마트 마운트(200)에서 처리하고 단지 결과물만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바디(302)에 전달하게 된다. 따라서 아이폰 마운트에 비해 스마트 마운트(200)는 고품질의 영상 데이터를 모바일 단말 기기(301) 또는 카메라 바디(302)에 전달할 수 있으며, 스마트 마운트(200) 사용자는 기존의 모바일용 카메라 대신 고 사양의 렌즈(100)와 이미지 센서(230)를 통해 고 화질의 영상을 모바일 단말 기기(301)에서 획득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디지털 촬영 시스템은 유무선 통신을 지원하여 카메라 전용 바디뿐만 아니라, 모바일 단말기와의 연동이 가능하여,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촬영을 할 수 있고, 촬영한 영상을 쉽게 인터넷으로 업로드 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 기기에서 고화질의 영상 수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본 발명의 명세서(특히 특허청구범위에서)에서 “상기”의 용어 및 이와 유사한 지시 용어의 사용은 단수 및 복수 모두에 해당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범위(range)를 기재한 경우 상기 범위에 속하는 개별적인 값을 적용한 발명을 포함하는 것으로서(이에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상기 범위를 구성하는 각 개별적인 값을 기재한 것과 같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을 구성하는 단계들에 대하여 명백하게 순서를 기재하거나 반하는 기재가 없다면, 상기 단계들은 적당한 순서로 행해질 수 있다. 반드시 상기 단계들의 기재 순서에 따라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모든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예들 들어, 등등)의 사용은 단순히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한정되지 않는 이상 상기 예들 또는 예시적인 용어로 인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당업자는 다양한 수정, 조합 및 변경이 부가된 특허청구범위 또는 그 균등물의 범주 내에서 설계 조건 및 팩터에 따라 구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100: 렌즈 200: 스마트 마운트
210: 렌즈 연결부 220: 셔터
230: 이미지 센서 240: 이미지 센서 PCB
250: 이미지 프로세서(250) 260: 바디 연결부
300: 바디 301: 모바일 단말 기기
302: 카메라 바디

Claims (16)

  1. 디지털 촬영 시스템에 있어서,
    셔터 버튼을 포함하는 디지털 촬영 장치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로부터 입력되는 피사체 영상을 촬영 및 처리하고,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셔터 버튼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상기 외부 장치에 부착하는 어댑터로서,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한 상기 어댑터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어댑터는 원통형이고,
    상기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은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렌즈와 연결하는 렌즈 연결부;
    상기 셔터 입력에 의해 상기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피사체 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 및
    상기 이미지 센서의 데이터를 디스플레이 또는 저장 가능한 신호로 처리하여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이미지 처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영상을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와 결합되거나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을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제어 신호에 따라 영상 촬영 및 처리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연결부를 통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내부 전원 공급을 위한 배터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디지털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단말 기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는 모바일 단말 기기이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
  13. 영상 촬영 및 처리가 가능한 디지털 촬영 장치를 카메라 바디 또는 모바일 기기를 포함하는 바디에 장착하는 단계;
    촬영 구도가 설정되면 상기 셔터 버튼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영상 촬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로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상기 셔터 버튼 또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의 상기 영상 촬영 신호를 수신하는 것에 응답하는, 상기 영상 촬영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가 상기 영상 촬영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를 이용하여 상기 피사체 영상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촬영된 영상을 무선 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렌즈와 셔터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장치는 카메라 바디 및 모바일 단말 기기 중 적어도 하나이고,
    상기 어댑터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및 상기 어댑터는 원통형이고,
    상기 촬영 및 처리된 영상은 상기 외부 장치에 전송되기 전에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에 저장되고,
    상기 촬영 장치는 무선 통신을 이용하여 상기 외부 장치와 통신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장치가 모바일 단말 기기인 경우,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의 촬영 및 영상 처리 동작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받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15. 제 13항에 있어서, 촬영 신호 입력 시에
    상기 외부 장치가 촬영신호를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로 전송하거나, 디지털 촬영 장치에 구비된 버튼을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원을 공급받거나, 또는 상기 디지털 촬영 장치 내에 배터리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1020170121894A 2017-09-21 2017-09-2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11501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94A KR20170115011A (ko) 2017-09-21 2017-09-2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21894A KR20170115011A (ko) 2017-09-21 2017-09-2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27860A Division KR20130061511A (ko) 2011-12-01 2011-12-0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13823A Division KR102212213B1 (ko) 2019-02-01 2019-02-0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5011A true KR20170115011A (ko) 2017-10-16

Family

ID=602958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21894A KR20170115011A (ko) 2017-09-21 2017-09-21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5011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79873B2 (en) Attachable digital photographing system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US10542216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storing moving image portions
JP5276308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KR101113730B1 (ko) 교환 렌즈를 장착할 수 있으며 스마트폰에 착탈 가능한 외장형 카메라 모듈
US20080181460A1 (en) Imaging apparatus and imaging method
JP2004077517A (ja) オートフォーカス機能付きカメラ
JP2011166756A (ja) 撮影装置及び撮影システム
US8712231B2 (en) Camera body, and camera system
JP2011172094A (ja) 撮像装置
JP2010026120A (ja) カメラシステム及びアダプタ
US20140293108A1 (en) Imaging device, camera body, and method for controlling imaging device
US20110164867A1 (en) Digital photographing apparatus and method that apply high-speed multi-autofocusing (af)
JP2011172093A (ja) 撮像装置
JP2003319232A (ja) 電子撮像装置およびレンズシステム
KR102212213B1 (ko)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KR20170115011A (ko) 디지털 촬영 시스템 및 디지털 촬영 시스템의 동작 방법
JP2007047603A (ja) 撮影装置
JP2012010134A (ja) 画像記録装置
JP2017009815A (ja) 焦点検出装置、焦点検出方法、およびカメラシステム
KR101436326B1 (ko) 디지털 촬영장치, 그 제어방법 및 제어방법을 실행시키기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JP2012156916A (ja) 撮像装置
JP2012186726A (ja) 撮影装置
US10848679B2 (en) Optical apparatus
KR20110029004A (ko) 디지털 촬영 장지,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JP2017055256A (ja) 撮像装置、撮像装置の制御方法、撮像システム、及び携帯表示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9101000386;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90201

Effective date: 201910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