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851A -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 Google Patents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851A
KR20170114851A KR1020160042464A KR20160042464A KR20170114851A KR 20170114851 A KR20170114851 A KR 20170114851A KR 1020160042464 A KR1020160042464 A KR 1020160042464A KR 20160042464 A KR20160042464 A KR 20160042464A KR 20170114851 A KR20170114851 A KR 201701148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ing part
winch
building
rope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5310B1 (ko
Inventor
심성수
이우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닥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닥트
Priority to KR102016004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5310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8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8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53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53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BDEVICES, APPARATUS OR METHODS FOR LIFE-SAVING
    • A62B1/00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 A62B1/06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 A62B1/08Devices for lowering persons from buildings or the like by making use of rope-lowering devices with brake mechanisms for the winches or pulle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0Power-operated hoists with driving motor, e.g. electric motor, and drum or barrel contained in a common hou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DCAPSTANS; WINCHES; TACKLES, e.g. PULLEY BLOCKS; HOISTS
    • B66D3/00Portable or mobile lifting or hauling appliances
    • B66D3/18Power-operated hoists
    • B66D3/26Other details, e.g. housing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CTRANSMISSION SYSTEMS FOR MEASURED VALUES, CONTROL OR SIMILAR SIGNALS
    • G08C17/00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 G08C17/02Arrangements for transmitting signa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wireless electrical link using a radio link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mergency Lower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 발생 시 건물 외벽 위치에서 전동식으로 사용자를 하강시켜 화재로 인한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또한 조작이 편리한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탈출구인 창문 또는 배란다 외벽 내면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사용자를 외부로 탈출시키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연장되는 천장 및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대; 상기 회전대 끝단에 부착되며, 끝단에 고정부가 부착된 로프를 승하강 시키는 윈치; 및 상기 로프에 고정되며, 상기 윈치에 무선으로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Electrically driven emergency escape apparatus for building}
본 발명은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상시에 건물 안전 영역에서 신속하게 탈출할 수 있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에 관한 것이다.
국내에는 과거부터 지속적으로 다양한 형태의 고층 화재가 발생하고 있으나, 현재 국내 소방 장비 또는 소방 기술로는 15층 이상의 건물에 화재 발생시에는 신속한 화재 진압이 힘든 상태이다.
따라서, 고층 건물에서 화재 발생시 인명의 탈출 및 구조를 위한 방법들이 대두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탈출용 장비로 완강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완강기는 완강기는 빌딩이나 아파트와 같은 고층건물의 화재시에 조난자가 신속하게 화재 현장에서 안전한 장소로 탈출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서 이는 완강기의 루프에 조난자가 매달리게 되면 상기 루프가 조난자의 하중에 의해 서서히 지면쪽으로 하강하면서 화재현상을 안전한 장소로 탈출하도록 지원하는 장치로 다양한 구성들이 제안되었다.
예를 들면, 공개실용신안 제1998-026059호에는, 루프와; 상기 루프를 감아 올리기 위한 풀리와; 상기 풀리의 회전속도를 감속시키기 위한 감속부와; 상기 루프, 풀리, 감속부가 결합되도록 하는 결합판과; 그리고 결합판의 상부방향에 결합되는 덮개판 등으로 구성되는 완강기의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등록특허 제1311643호에는 V형브레이크에서 먼저 감속 효과를 줌으로써, 감속휠에서는 고체중자가 매달린 경우에도 저체중자가 매달린 것과 같은 하중을 느끼므로, 과체중자라도 저체중자와 마찬가지로 낮은 속도로 완강할 수 있으며, 또한, V 형브레이크가 피난자의 체중의 일부를 담당하므로, 다른 완강기 부품의 피로도가 감소하여 장기간 완강기를 사용할 수 있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완강기의 경우 10층 이하 건물에서만 설치되어 있으며, 실질적으로 화재 발생 시 사용법을 모르거나 관리소홀로 인하여 사용 빈도가 극히 낮아, 소방관 및 별도의 소방 장비에 의한 구조가 대부분인 실정이다.
한편, 통상의 완강기는, 벽체에 부착된 지지대에 별도로 구비되는 완강기의 일단을 고정한 후, 사용자가 완강기의 착용부를 몸에 고정한 후, 건물 외벽을 통하여 하방향으로 내려 오는 방식으로 사용한다.
이때 상기 지지대는 건물 내벽에 위치하여 완강기 고정 후, 회전에 의하여 탈출구 측으로 끝단이 위치하나, 여전히 건물 내부에 위치한다.
특히 건물 내부 화재 시에는 탈출하고자 하는 창문이 있는 위치는 화재 위험 지역에 해당되므로, 탈출 초기에 화재 위험에 노출되고, 추가적으로 완강기 역시 지속적으로 화재에 노출되는 단점이 있으며, 또한 근력이 약한 노약자나 장애인의 경우 사용하기 어려운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비상 발생 시 건물 외벽 위치에서 전동식으로 사용자를 하강시켜 화재로 인한 위험성을 최소화 하고, 또한 조작이 편리한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 달성을 위하여 본 발명은, 건물 탈출구인 창문 또는 배란다 외벽 내면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사용자를 외부로 탈출시키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연장되는 천장 및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대; 상기 회전대 끝단에 부착되며, 끝단에 고정부가 부착된 로프를 승하강 시키는 윈치; 및 상기 로프에 고정되며, 상기 윈치에 무선으로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고정부는: 천정과 접촉하는 상단 고정부; 상기 상단 고정부와 삽입 결합하며,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결합 깊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 하단과 삽입결합하며,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상단 고정부 및 하단 고정부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연장 형성되는 3개의 로드,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가압나사 및 상기 가압나사 끝단에 부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나사의 결합 길이에 따라, 천장 및 바닥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회전대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이 완료된 경우, 끝단이 외벽 안전지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상기 윈치는 원치모터, 상기 윈치모터 회전축에 결합하는 풀리, 상기 풀리에 권취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끝단에 부착되는 고정구, 상기 윈치모터와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윈치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마스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트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와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는 건물 외벽 내부에 장착되어, 비상시에는 지지대를 회전시켜 사용자를 하강하는 윈치가 건물 외벽 안전 지대에서 작동하여 사용자의 화재에 대한 위험도를 최소화하는 효과가 있으며, 또한 장치의 동작은 사용자 인근에 위치하여 하강 시에도 장치를 조정할 수 있어 외부의 환경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고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상단 및 하단 고정부의 구성도이며,
도 4는 도 1에 도시된 회전 구동부의 구성도이며,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하단지지부의 구성도이며,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윈치의 구성도이며,
도 8은 도 7의 구성도이며,
도 9는 도 1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벽(1) 내면(2), 즉, 아파트 배란다 벽면에 부착되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20)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대(70), 상기 회전대(70) 끝단에 부착되는 윈치(80) 및 상기 윈치(80)에 귄취된 로프 끝단에 부착되는 조작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먼저, 상기 고정부(1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 고정부(30), 회전구동부(40), 하단지지부(50) 및 하단 고정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상단 고정부(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의 몸체(31)에 3방향으로 로드(32)가 연장 형성되며, 각 로드(32)에는 가압나사(33)가 나사 결합한다.
상기 가압나사(33)의 끝단에는 탄성체(34)가 부착된다.
이때 상기 가압나사(33)는 몸체(31)에도 추가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가압나사(33)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 상기 상단 고정부(30)가 베란다 천정에 고정된다.
또한, 상기 하단 고정부(60) 역시 상기 상단 고정부(30)와 동일한 구성으로, 원형의 몸체(61), 로드(62), 그리고 각 로드(62)에 결합하고, 역시 탄성체(64)를 포함하는 가압나사(6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필요한 경우, 상기 고정부(30)와 같이 상기 가압나사(65)는 상기 몸체(61)에 추가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상단 고정부(30)의 몸체(31)는 후술하는 회전구동부(40)에 삽입 결합하고, 상기 하단 고정부(60)의 몸체(61)는 후술하는 하단지지부(50)에 삽입결합한다.
한편, 상기 회전구동부(4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 형상의 구동몸체(41), 상기 구동몸체(41) 내부에 위치하는 구동 모터(20), 상기 구동 모터(20) 회전축에 결합하는 회전부(4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구동 모터(20)는 내부에 변속기를 포함하며, 또한 회전축의 회전량을 감지할 수 있는 센서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 사전에 설정된 회전 각도로 회전하며,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부(42) 역시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또한, 상기 회전구동부(40) 중앙부에는 회전손잡이(43)가 결합부(44)에 결합하여 구성된다. 상기 회전손잡이(43)는 탑승자의 안전을 도모하는 장점이 있다.
상기 회전구동부(40) 하단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단지지부(50)가 삽입된다. 상기 하단지지부(50) 역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단지지부(50)에 삽입 결합하며, 상기 회전구동부(40)와 상기 하단지지부(50)와 결합하는 부위에는 다수의 홀이 원주 및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필요한 길이에서 상기 홀에 나사를 체결하여 회전구동부(40)와 하단지지부(50)가 결합한다.
상기 방식은 전체 고정부(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전체 고정부(10)는 상기 상단 고정부(30) 및 하단 고정부(60)에 결합한 가압나사(35, 65)의 결합 길이를 조정하는 경우 배란다 바닥 및 천정에 고정된다.
한편, 상기 회전부(42)에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70)의 일단이 연결된다. 상기 회전대(70)는 90도로 꺾어진 형태('ㄱ'자 형태)로 구성되며, 상기와 같은 구성은 회전 후, 탑승자를 외벽(1) 중 안전지대로 위치시켜 안전한 하강을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회전대(70)는 상기 회전부(42)와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
상기 회전부(42)의 타단에는 윈치(80)가 결합한다.
상기 윈치(8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윈치모터(81), 상기 윈치모터(81)의 회전축에 결합되는 풀리(82), 상기 풀리(82)에 권취되는 로프(83), 상기 로프(83) 끝단에 부착되는 고정구(84)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윈치모터(81)의 회전에 따라 상기 고정구(84)가 하강 또는 상승하나, 화재 또는 위험 발생 시 하강이 주를 이루고, 위험 상황 해제 후에는 상승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하는 형태로 운영된다.
또한 상기 윈치(80)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별도의 배터리(85)를 포함하며, 상기 베터리(85)는 상기 구동 모터(20)의 동작을 위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도 수행한다.
필요한 경우, 상기 배터리(85)는 상기 회전구동부(40) 내부에 위치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베터리(85)는 외부와 연결된 전원에 의하여 충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한다.
또한, 상기 고정구(84)에 부착되는 조작부(9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조작부(90)는 무선으로 상기 제어부(86)와 통신을 수행하며, 사용자는 상기 조작부(90)를 조작하여 전체 장치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부(86)에도 조작 장치를 설치하여 배란다에서 조작은 상기 제어부(86)에 설치된 조작 장치로 수행하고, 하강 중에는 상기 조작부(90)를 통하여 조작하도록 구성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100)는 상기한 바와 같이 개별 부품들로 제조한 후, 배란다에서 조립한 후, 전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대(70)가 배란다 측 안쪽에 위치한 상태로 설치되고, 비상 시 상기 고정구(84)에 휠체어 등을 연결한 후, 제어부(86) 또는 조작부(90)를 조작하는 경우, 상기 회전대(70)가 회전하여 외벽(1) 중 화재에 의한 위험도가 적은 안전지대에 휠체어를 위치시키고, 이후 윈치(80)가 동작하여 휠체어를 하강시켜 대피 동작을 완료한다.
상기와 같은 절차는 상기 제어부(86)에 구현하여 사용자가 한 번의 조작으로 모든 동작이 순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요한 경우, 개별 아파트에 설치된 조작부(90)와 통신 가능한 마스트 조작부를 추가할 수 있으며, 상기 마스트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90)와 무선으로 음성 신호를 전송하여 탑승자와 음성 통화가 가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상기 구성은 비상시 탑승자의 심적 안전을 유도하여 안전한 탈출을 지원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실시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실시예들을 모두 포함한다.
1: 외벽 2: 내면
10: 고정부 20: 구동 모터
30: 상단 고정부 31: 몸체
32: 로드 33: 가압나사
34: 탄성체 40: 회전 구동부
41: 구동몸체 42: 회전부
43: 회전손잡이 44: 결합부
50: 하단지지부 60: 하단 고정부
61: 몸체 62: 로드
63: 가압나사 70: 회전대
80: 윈치 81: 윈치모터
83: 로프 84: 고정구
85: 배터리 86: 제어부
90: 조작부 100: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Claims (6)

  1. 건물 탈출구인 창문 또는 배란다 외벽 내면에 설치되어 건물 내부의 사용자를 외부로 탈출시키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에 있어서,
    상기 내면에 연장되는 천장 및 바닥에 고정되어 수직으로 설치되는 고정부;
    상기 고정부에 설치되는 구동 모터;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축에 결합하여 상기 구동 모터의 동작에 의하여 회전하는 회전대;
    상기 회전대 끝단에 부착되며, 끝단에 고정부가 부착된 로프를 승하강 시키는 윈치; 및
    상기 로프에 고정되며, 상기 윈치에 무선으로 동작 명령을 전송하는 조작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천정과 접촉하는 상단 고정부;
    상기 상단 고정부와 삽입 결합하며, 상기 구동 모터가 설치되는 회전 구동부;
    상기 회전 구동부에 삽입되어 결합하며, 결합 깊이에 따라 전체 길이를 조절하는 하단지지부; 및
    상기 하단지지부 하단과 삽입결합하며, 바닥과 접촉하는 하단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상단 고정부 및 하단 고정부는 원통형상의 몸체, 상기 몸체에 연장 형성되는 3개의 로드, 상기 로드에 결합되는 가압나사 및 상기 가압나사 끝단에 부착되는 탄성체를 포함하며, 상기 가압나사의 결합 길이에 따라, 천장 및 바닥에 가압력을 인가하여 상기 고정부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회전대는 'ㄱ'자 형상으로 구성되어, 회전이 완료된 경우, 끝단이 외벽 안전지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윈치는 원치모터, 상기 윈치모터 회전축에 결합하는 풀리, 상기 풀리에 권취되는 로프, 상기 로프의 끝단에 부착되는 고정구, 상기 윈치모터와 구동 모터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및 상기 구동 모터와 윈치모터의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조작부와 무선 통신을 수행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마스트 조작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마스트 조작부는 상기 조작부와 음성 통화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1020160042464A 2016-04-06 2016-04-06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KR1018153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64A KR101815310B1 (ko) 2016-04-06 2016-04-06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2464A KR101815310B1 (ko) 2016-04-06 2016-04-06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851A true KR20170114851A (ko) 2017-10-16
KR101815310B1 KR101815310B1 (ko) 2018-01-04

Family

ID=602958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2464A KR101815310B1 (ko) 2016-04-06 2016-04-06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531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1660A (zh) * 2017-12-06 2018-06-26 王建东 一种高楼逃生装置
KR102261775B1 (ko) * 2020-12-11 2021-06-08 문진태 축 지지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1443B1 (ko) * 2018-09-18 2020-02-25 구현우 이동식 인명구조 확보대
KR102362388B1 (ko) * 2020-09-28 2022-02-11 이근옥 화재 대피 장치
WO2023140392A1 (ko) * 2022-01-18 2023-07-27 이근옥 화재 대피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53666B1 (ko) 2004-05-24 2006-02-24 이종찬 완강기 설치대
KR200454064Y1 (ko) 2009-03-13 2011-06-15 주식회사 원평 박스형 완강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01660A (zh) * 2017-12-06 2018-06-26 王建东 一种高楼逃生装置
KR102261775B1 (ko) * 2020-12-11 2021-06-08 문진태 축 지지 장치
KR20220083543A (ko) * 2020-12-11 2022-06-20 문진태 축 지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5310B1 (ko) 2018-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15310B1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EP3030325B1 (en) Device for evacuating individuals
US4949812A (en) Descent system
KR101815311B1 (ko) 지능형 승강 장치
KR20170089692A (ko) 전동식 건물 비상 탈출 장치
JP2005518846A (ja) 個人降下装置
KR101026277B1 (ko) 고층건물용 비상 완강장치
KR101646497B1 (ko) 인명 구조용 리프팅 장치
CN108704224A (zh) 一种高空缓降器
JP2005305076A (ja) 火災避難用昇降装置
EP1478439B1 (en) Descent apparatus
JP3129440U (ja) 避難装置
KR200190542Y1 (ko) 구조(救助)용 기구
CN109381809B (zh) 一种高层建筑安全救生装置
CN207062604U (zh) 一种内置逃生绳的晾衣杆
CN1820805A (zh) 高楼逃生救生系统
JP2019181118A (ja) 回転制御装置
CN204709668U (zh) 一种逃生器
CN103071249A (zh) 一种手动升降器
JP6184988B2 (ja) 火災時に建築物から避難させるための電気機械装置
CN203154628U (zh) 自适应消防逃生缓降器
AU641898B2 (en) Descent system
RU80881U1 (ru) Подоконник со средством самоэвакуации людей из высотных зданий
JPH01170478A (ja) 非常用降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