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4524A -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4524A
KR20170114524A KR1020160041592A KR20160041592A KR20170114524A KR 20170114524 A KR20170114524 A KR 20170114524A KR 1020160041592 A KR1020160041592 A KR 1020160041592A KR 20160041592 A KR20160041592 A KR 20160041592A KR 20170114524 A KR20170114524 A KR 2017011452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frame
cylinder
caliper
caliper body
ca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15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83732B1 (ko
Inventor
성시영
한범석
김세훈
신재혁
김진평
Original Assignee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자동차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자동차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600415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373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4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4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37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37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65/00Parts or details
    • F16D65/005Components of axially engaging brak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6D65/0068Brake cali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9/00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 B22D19/16Casting in, on, or around objects which form part of the product for making compound objects cast of two or more different metals, e.g. for making rolls for rolling mi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55/00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 F16D55/02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 F16D55/04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moving discs or pads away from one another against radial walls of drums or cylinders
    • F16D55/06Brakes with substantially-radial braking surfaces pressed together in axial direction, e.g. disc brakes with axially-movable discs or pads pressed against axially-located rotating members by moving discs or pads away from one another against radial walls of drums or cylinders without self-tightening action
    • F16D55/10Brakes actuated by a fluid-pressure device arranged in or on the bra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raking Arrang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노 블록 알루미늄 캘리퍼의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열 변형 및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제 1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캘리퍼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Caliper device and brake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본 발명은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 상세하게는 모노 블록 알루미늄 캘리퍼의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열 변형 및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제동장치(Brake System)는 주행할 때 주로 사용하는 주브레이크와 자동차를 주차할 때 사용하는 주차브레이크로 분류된다. 상기 주브레이크는 브레이크페달의 조작에 의해 발생된 유압을 매개로 제동시키도록 된 유압식브레이크와 대형자동차등 큰 제동력을 필요로 하는 경우에 사용하도록 된 배력식 브레이크 및 압축공기의 압력을 이용해 제동력을 발생시키도록 된 공기브레이크로 분류되며, 상기 유압식 브레이크에는 바퀴와 함께 회전되는 디스크의 양 쪽에서 제동패드를 유압에 의해서 눌러서 제동하도록 된 디스크브레이크가 있다.
여기서, 상기 브레이크에서의 캘리퍼의 일반적인 구성은 안장모양으로 형성되어 너클 스핀들에 부착되도록 된 제 1, 2캘리퍼 하우징, 상기 캘리퍼 하우징의 양측부에 구비되어 유압에 의해 진퇴되는 가압수단, 상기 각 가압수단으로 유압을 공급하기 위해서 별도로 외부에 설치되는 이송호스, 상기 가압수단에 의해 진퇴되며 디스크의 양 측면에 위치되어 마찰력을 발생함으로 디스크를 제동하도록 마찰패드가 부착된 제 1, 2패드플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가압수단의 내부로 수분이나 먼지 등의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피스톤 부트와 오일 씰이 각각 구비되어 있고, 상기 두 캘리퍼 하우징은 볼트 결합되어 있다.
또한, 고성능 자동차의 경우에는 브레이크 패드를 눌러주는 피스톤을 1개가 아니라 2개 및 4개 이상으로 늘리는 멀티 피스톤이 적용되고 있으며, 멀티 피스톤 블록의 경우에는 경량화를 위하여 알루미늄을 적용하고 있다. 알루미늄 캘리퍼는 주조공법으로 제조하는 모노 블록과 단조 및 기계가공으로 조립하는 멀티 블록으로 나누어지며, 모노 블록은 유압라인을 주조 공법으로 제조하여 더욱 경제적인 특징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의 모노 블록 캘리퍼는 강성 확보를 위하여 주조품의 크기가 커져야 하며, 그럼에도 불구하고 브레이크 작동 시 변형 및 소음방지를 위하여 강화재를 채결하는 구조를 가져야 했다. 또한, 모노 블록의 강화를 위하여 강화재를 삽입한 후 주조하더라도 강성은 확보되지만 유압 라인의 구성이 어려운 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포함하여 여러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모노 블록의 알루미늄 캘리퍼의 경량화를 유지하면서 일정 온도 및 일정 사용 기간 후의 열 변형 및 변형에 따른 편마모 소음 발생을 원천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캘리퍼 장치는, 제 1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캘리퍼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부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실린더 연결부는, 상기 실린더부에 작동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캘리퍼 몸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을 주조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제 1 재질은 철 또는 철 합금이고, 상기 제 2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르면, 상기 캘리퍼 몸체는, 디스크의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1 측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부; 및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실린더 연결부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연결부와 이웃하는 상기 다른 실린더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보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보강 프레임은, 볼트 부재에 의해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 또는 상기 실린더 연결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부 또는 하부 보강부에 설치되는 너트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브레이크 장치는, 제 1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둘러싸서 형성되는 캘리퍼 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제조 방법은,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1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을 준비하는 보강 프레임 준비 단계; 주조 금형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삽입하는 보강 프레임 인서트 단계; 상기 보강 프레임이 삽입된 상기 주조 금형에 제 2 재질을 주입하여 캘리퍼 몸체를 형성하는 캘리퍼 몸체 주조 단계; 및 내측에 상기 보강 프레임이 인서트 주조 완료된 상기 캘리퍼 몸체를 상기 주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노 블록 캘리퍼 주조 시 현재 중자로 중공의 형태로 제조해야 하는 유압라인에 실린더부와 실린더 연결부를 형성하고 강화재 역할을 할 수 있는 보강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제조한 후에 금형에 삽입 후 일체형으로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캘리퍼 주조 시 강성 확보를 위하여 크게 적용하던 알루미늄 부위를 최적화시킴으로서, 보강 프레임을 삽입하여 늘어난 무게 증가를 보상하고 열 변형 및 소음발생이 적고, 보강 프레임이 인서트 주조시 지그 역할을 하여 제조를 용이하게 하며, 브레이크 패드를 교체 가능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을 구현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효과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캘리퍼 몸체를 주조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여러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예들은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상기 캘리퍼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먼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100)는, 크게 보강 프레임(10)과 캘리퍼 몸체(20)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프레임(10)은 제 1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예컨대, 상기 캘리퍼 몸체(20)는,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 재질은 철 또는 철 합금이고, 상기 제 2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캘리퍼 몸체(20)는, 디스크의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1 측부(21)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부(22) 및 상기 제 1 측부(21)와 상기 제 2 측부(22)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부(23)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예컨대,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캘리퍼 장치(100)는, 상기 캘리퍼 몸체(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주조 금형(M)에 삽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주조는, 주물을 만들기 위하여 실시되는 작업으로 주물의 설계, 주조 방안의 작성, 모형(模型)의 작성, 용해 및 주입, 제품으로의 끝손질의 순서로 진행된다. 우선 만들려고 하는 제품에 대하여 싸고도 질이 좋은 것을 주조하는 방법을 생각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주형(鑄型)을 어떻게 설계하여 조합할 것인가가 중요한 문제인데, 원칙적으로는 코어(core:中型)를 가급적 사용하지 않고 되도록 전체를 2분할(二分割)하게 고안한다. 그뿐만 아니라 제품에 기포(氣泡), 개재물(介在物)의 혼입, 응고 시의 부피감소로 인한 균열의 발생, 유동성(流動性) 부족으로 용탕이 구석구석까지 돌아가지 못하여 부분적인 결함 등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안되어야 할 것이다. 이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그 재료의 주조성에 관한 과거의 자료를 잘 조사하고, 주형 속에서의 각부의 냉각상태, 응고의 진행상태 등을 잘 검토하고 용탕의 주입개소, 최후로 응고시키는 곳, 냉각시키기(chill)나 모가 난 부분의 둥근 정도 등의 필요성을 검토하여야 한다.
또한, 매우 큰 주조품은 냉각하여 응고하는 속도도 그만큼 느리기 때문에 주물의 크기는 매우 중요한 인자(因子)이므로 이에 따른 배려가 필요하다. 주조성 중에서도 유동성과 응고 시의 수축 량이 특히 중요한데, 유동성이 좋지 않을 때에는 주입온도를 올리거나 다른 방법(외력)으로 용탕의 유동성을 향상시킬 것을 고려하여야 한다.
또한, 응고 수축률은 수축여유라 하여 재료에 따라 차이가 있으므로, 이 여유만큼 모형을 제품보다 크게 설계한다. 모형(模型)에는 나무 ㅇ금속 ㅇ석고 ㅇ플라스틱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목제(목형)와 금속제(금형)가 많다. 수축여유는 주철 중에서도 회주철(灰鑄鐵)은 약 1%, 백선주철(白銑鑄鐵)은 2% 정도이다. 주강(鑄鋼)은 보통 2%, 황동은 1.5∼1.8%, 청동은 0.8∼1.6%, 알루미늄합금의 사형주물(砂型鑄物)은 1∼1.5% 정도로 대강 정해져 있다. 더 자세한 것은 합금의 종류에 따라 다르므로 사전에 이 분량만큼 가산(加算)한 주물자를 준비하고 이것을 사용해서 모형을 제작한다.
실용되고 있는 주물자에는 가단주철용(可鍛鑄鐵用)의 7/1,000에서 대형의 주강용인 25/1,000까지 여러 종류가 있으며, 알루미늄합금용에서는 10/1,000∼12/1,000가 사용된다. 또한 모형에는 모형경사라 하여 1/4∼1ㅀ정도의 경사를 붙여서 주형으로부터 모형을 빼기 쉽게 한다. 주형의 재료로서는 모래 ㅇ금속 등이 있는데 제품의 제조 개수의 다소, 요구되는 치수정밀도, 제품의 모양 등을 고려하여 적당히 선정한다.
또한, 사형주물에는 대별하여 주물사(鑄物砂)에 몇%의 수분을 가하고 굳혀서 사용하는 생사형(生砂型)과, 이것을 가열하여 사용하는 건조형이 있다. 사형주물은 치수정밀도와 표면 등이 좋지 못하나 가장 값싼 주물의 제조법이다. 금형은 제조하려고 하는 제품 개수가 많지 않으면 금형가공비가 커서 채산성이 문제가 되고, 금형에 통기성(通氣性)이 없으므로 응고 시에 발생하는 가스를 배출시키는 데 대한 배려가 있어야 한다. 또한 사형과는 달라서 금형을 파괴하여 주물을 주형에서 꺼내는 것이 아니므로, 금형설계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지만, 제품은 치수정밀도가 좋고 얻어지는 주물도 결정립이 미세하며 사형주물보다는 강도도 크다. 사형, 금형 이외의 주형으로는 정밀주조에 사용되는 셸형, 가스형 등이 있다.
또한, 주조시의 용탕 주입방법으로는 중력을 이용하는 것이 보통이나 가압(加壓)하여 금형에 용탕을 주입시키는 다이캐스팅법이 있으며 폭약(爆藥)의 폭발력으로서 더욱더 강력한 압력으로 주입시키는 폭발주조법도 있다. 중력으로 주입하는 사형이나 금형의 주물에 비하면 다이캐스팅 법은 능률적으로 외형치수가 정확한 제품을 만들 수 있으나 급랭(急冷) 응고하기 때문에 문제가 있고 또한 금형대금이 비싸므로 동일제품을 다량으로 제조하는 경우에만 유리하다. 그러나 녹는점이 구리(1083℃)보다 높은 금속에 대해서는 금형의 내열성(耐熱性) 등의 문제가 있어서 다이캐스팅은 곤란하다.
주조하기 위해 바탕금속 ㅇ합금원소 등을 녹여 섞으려면 보통 용해로(熔解爐)에서 하고 도가니에 넣는다. 용해로의 가열방식은 희망하는 가열온도에 따라 코크스, 전기, 중유, 아크 등과 유도용해 등의 방법도 있다. 도가니의 재질로서는 흑연이 가장 많이 쓰이며, 용탕과의 반응을 방지하기 위해 라이닝을 한다.
따라서, 상기 캘리퍼 장치(100)는, 철 또는 철 합금으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 프레임(10)과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구비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상기 주조 금형(M)에 삽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100)는,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주조 시 철계 파이프와 강화재 역할을 할 수 있는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일체형으로 제조한 후에 상기 주조 금형(M)에 삽입 후 일체형으로 주조함으로서, 상기 캘리퍼 몸체(20) 주조 시 강성확보를 위하여 크게 적용하던 알루미늄 부위를 최적화시킴으로서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삽입하여 늘어난 무게증가를 보상하고, 열 변형 및 소음발생이 적은 상기 캘리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 프레임(10)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부(11) 및 상기 실린더부(11)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부(11)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12)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린더 연결부(12)는, 상기 실린더부(11)에 작동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12a)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작동 압력은 유압을 이용한 작동 압력을 말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한 유압 브레이크는 파스칼 원리(Pascal's principle)를 응용한 장치이다.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운전자의 답력은 마스터실린더의 피스톤을 거쳐, 마스터실린더 내의 밀폐된 브레이크액에 즉시 전달된다. 이 힘에 의해 마스터실린더 내의 브레이크액에는 압력이 생성된다. 이 압력은 파스칼원리에 따라 브레이크 파이프를 거쳐 각 휠 실린더에, 그리고 다시 휠 실린더(또는 캘리퍼) 피스톤에 전달된다. 휠 실린더(캘리퍼) 피스톤에 전달된 압력은 다시 브레이크 슈(shoe)(또는 패드(pad))를 작용시키는 확장력(또는 압착력)으로 변환된다.
또한, 액체를 이용하여 힘을 전달할 경우, 힘의 증폭이 용이하다. 유압 브레이크는 고압(120bar까지, 순간적으로는 180bar까지)으로 작동되므로 제동장치 구성부품의 크기, 예를 들면 휠 실린더의 직경이 작아도 큰 힘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브레이크액은 비압축성이므로 공극(air gap)이 작다면, 적은 유량으로도 여러 개의 휠 실린더를 동시에 작동시킬 수 있다. 즉, 브레이크페달을 밟으면 회로압력은 급속히 상승하고, 이 압력에 의해 각 휠 실린더의 피스톤도 즉시 작동하여 각 차륜에 제동력을 발생시키게 된다.
따라서,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상기 보강 프레임(10)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상기 실린더부(11)와 상기 실린더부(11)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부(11)를 연결하는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에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상기 유로(12a)가 형성되어, 유압라인에 철계 파이프와 강화재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레임을 일체형으로 구현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100)는, 유압라인에 철계 파이프와 강화재 역할을 할 수 있는 프레임이 일체형으로 구현된 상기 보강 프레임(10)이 상기 캘리퍼 몸체(20)에 인서트 주조 되므로,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상기 캘리퍼 몸체(20)의 강도를 보강하여 열 변형 및 소음발생이 적은 상기 캘리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주조하는 공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주조 금형(M)의 하측 금형에 상기 제 1 재질로 이루어진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주조 금형(M)의 상측 금형을 상기 하측 금형에 형폐한 후 상기 제 2 재질을 상기 주조 금형(M)에 주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주조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캘리퍼 장치(100)는,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상기 주조 금형(M)에 삽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100)는,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상기 보강 프레임(10)과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20)의 강도를 보강하여 열 변형 및 소음발생이 적은 상기 캘리퍼 장치(100)를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제조 방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제조 방법은, 실린더부(11)과 상기 실린더부(11)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12)를 포함하고 제 1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10)을 준비하는 보강 프레임 준비 단계(S10)와, 주조 금형(M)에 상기 보강 프레임(10)을 삽입하는 보강 프레임 인서트 단계(S20)와, 상기 보강 프레임(10)이 삽입된 상기 주조 금형(M)에 제 2 재질을 주입하여 캘리퍼 몸체(20)를 형성하는 캘리퍼 몸체 주조 단계(S30) 및 내측에 상기 보강 프레임(10)이 인서트 주조 완료된 상기 캘리퍼 몸체(20)를 상기 주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S4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은 상술된 상기 캘리퍼 장치(100)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들에 따른 상기 브레이크 장치의 구성 요소들은 상술된 본 발명의 상기 캘리퍼 장치(100)의 그것들과 구성과 역할이 동일할 수 있다. 따라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아울러, 도시하지 않았지만, 각종 볼트들을 이용하여 본 발명의 캘리퍼 장치(100)는 기계적인 강도가 보강되거나 패드 교체를 하거나 실린더 연결부나 유로 등 간의 결합을 견고하게 지지하여 변형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러한 부수적인 고정구들을 해당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에 의해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10)은, 상술된 상기 실린더부(11) 및 상기 실린더 연결부(12) 이외에도,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 연결부(12)를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와 이웃하는 상기 다른 실린더 연결부(12)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보강부(1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 보강부(13)는 사각 막대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의 막대형 보강 구조체가 적용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10)은, 상술된 상기 실린더부(11) 및 상기 실린더 연결부(12) 이외에도, 볼트 부재(1)에 의해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11) 또는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부(14) 및 상기 상부 보강부(14)에 설치되는 너트 부재(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상부 보강부(14)는 수평 막대 및 수직 막대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10)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외관 사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에 따른 캘리퍼 장치의 보강 프레임(10)은, 상술된 상기 실린더부(11) 및 상기 실린더 연결부(12) 이외에도, 볼트 부재(1)에 의해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11) 또는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에 설치되는 하부 보강부(15) 및 상기 하부 보강부(15)에 설치되는 너트 부재(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하부 보강부(15)는 수평 막대 및 수직 막대로 프레임을 형성할 수 있고, 상기 실린더 연결부(12)와 동일한 재질일 수 있다. 이외에도 매우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이 적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상기 보강 프레임(10)의 형상은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태 및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보강 프레임
11: 실린더부
12: 실린더 연결부
13: 연결 보강부
14: 상부 보강부
15: 하부 보강부
20: 캘리퍼 몸체
21: 제 1 측부
22: 제 2 측부
23: 브릿지부
M: 주조 금형
100: 캘리퍼 장치

Claims (10)

  1. 제 1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캘리퍼 몸체;
    를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피스톤을 수용하는 실린더부; 및
    상기 실린더부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부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
    를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 연결부는,
    상기 실린더부에 작동 압력을 가할 수 있도록 작동 유체가 공급되는 유로가 형성되는, 캘리퍼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 몸체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상기 보강 프레임을 주조 금형에 삽입하여 상기 캘리퍼 몸체와 일체형으로 인서트 주조하여 형성되는 것인, 캘리퍼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재질은 철 또는 철 합금이고,
    상기 제 2 재질은 알루미늄 또는 알루미늄 합금인, 캘리퍼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캘리퍼 몸체는,
    디스크의 제 1 면과 대향하는 제 1 측부;
    상기 디스크의 제 2 면과 대향하는 제 2 측부; 및
    상기 제 1 측부와 상기 제 2 측부를 연결하는 하나 이상의 브릿지부;
    를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상기 실린더 연결부와 이웃하는 다른 실린더 연결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 연결부와 이웃하는 상기 다른 실린더 연결부 사이에 설치되는 연결 보강부;
    를 더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프레임은,
    볼트 부재에 의해 나사 조립될 수 있도록 상기 실린더부 또는 상기 실린더 연결부에 설치되는 상부 보강부 또는 하부 보강부에 설치되는 너트 부재;
    를 더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
  9. 제 1 재질로 이루어지는 보강 프레임; 및
    상기 제 1 재질과 다른 제 2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보강 프레임을 둘러싸서 형성되는 캘리퍼 몸체;
    를 포함하는, 브레이크 장치.
  10. 실린더부와 상기 실린더부를 연결하는 실린더 연결부를 포함하고 제 1 재질로 형성되는 보강 프레임을 준비하는 보강 프레임 준비 단계;
    주조 금형에 상기 보강 프레임을 삽입하는 보강 프레임 인서트 단계;
    상기 보강 프레임이 삽입된 상기 주조 금형에 제 2 재질을 주입하여 캘리퍼 몸체를 형성하는 캘리퍼 몸체 주조 단계; 및
    내측에 상기 보강 프레임이 인서트 주조 완료된 상기 캘리퍼 몸체를 상기 주조 금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분리 단계;
    를 포함하는, 캘리퍼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60041592A 2016-04-05 2016-04-05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KR1018837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92A KR101883732B1 (ko) 2016-04-05 2016-04-05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1592A KR101883732B1 (ko) 2016-04-05 2016-04-05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4524A true KR20170114524A (ko) 2017-10-16
KR101883732B1 KR101883732B1 (ko) 2018-08-01

Family

ID=6029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1592A KR101883732B1 (ko) 2016-04-05 2016-04-05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373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734A (zh) * 2017-12-15 2019-07-12 英国美瑞特重型车制动系统有限公司 制动器夹钳
KR20220095984A (ko) * 2020-12-30 2022-07-07 (주)서영 보강 프레임을 구비한 관로 일체형 브레이크 캘리퍼 주조 방법
KR102470664B1 (ko) * 2021-12-21 2022-11-25 (주)서영 캘리퍼 유압라인 누유 방지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82875A (ko) 2018-12-31 2020-07-08 주식회사 팔 알루미늄 합금을 이용한 브레이크 캘리퍼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636Y2 (ja) * 1991-08-21 1997-12-10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
JP2006336763A (ja) * 2005-06-02 2006-12-14 Kenji Mimura ディスクブレーキ
KR20150134595A (ko) * 2014-05-22 2015-12-02 로드텍코리아 주식회사 브레이크용 캘리퍼 제조 방법
KR101588889B1 (ko) * 2008-08-16 2016-02-12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브레이크 캘리퍼 및 그의 제조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7636Y2 (ja) * 1991-08-21 1997-12-10 日信工業株式会社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
JP2006336763A (ja) * 2005-06-02 2006-12-14 Kenji Mimura ディスクブレーキ
KR101588889B1 (ko) * 2008-08-16 2016-02-12 독터. 인제니어. 하.체. 에프. 포르쉐 악티엔게젤샤프트 브레이크 캘리퍼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50134595A (ko) * 2014-05-22 2015-12-02 로드텍코리아 주식회사 브레이크용 캘리퍼 제조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05734A (zh) * 2017-12-15 2019-07-12 英国美瑞特重型车制动系统有限公司 制动器夹钳
CN110005734B (zh) * 2017-12-15 2021-02-05 英国美瑞特重型车制动系统有限公司 制动器夹钳
KR20220095984A (ko) * 2020-12-30 2022-07-07 (주)서영 보강 프레임을 구비한 관로 일체형 브레이크 캘리퍼 주조 방법
KR102470664B1 (ko) * 2021-12-21 2022-11-25 (주)서영 캘리퍼 유압라인 누유 방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83732B1 (ko) 2018-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83732B1 (ko) 캘리퍼 장치와 브레이크 장치 및 제조 방법
TW477723B (en) Brake drum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US20170122389A1 (en) Caliper for disc brakes
CN101848779B (zh) 转向架侧架的铸造方法、铸造模型、轨道车转向架侧架、轨道车转向架和轨道车
CN108698122B (zh) 用于形成金属基质复合物构件的装置及方法
JP2009030802A (ja) キャリパ用鋳造装置及びキャリパの製造方法
WO2006044713A2 (en) Insert cladding technique for precision casting processes
JP2015059657A (ja) キャリパ用鋳造装置、キャリパ用鋳造装置に用いる中子および金型、並びにディスクブレーキ用キャリパ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73491B1 (ko) 중력 주조용 모재 중자 및 이를 이용한 모노블럭 브레이크 캘리퍼 하우징의 제조 방법
JP5586721B2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製造方法及びキャリパボディ
Guofa et al. Numerical simulation of low pressure die-casting aluminum wheel
CN105945225A (zh) 汽车制动底板类铸件自动下冷铁装置以及铸件加工方法
KR20180056864A (ko) 알루미늄 재질로 이루어지는 일체형 구조의 캘리퍼 하우징 제조 방법
KR101808336B1 (ko) 틸팅 캐스팅에 의한 용탕 단조 주조기 및 그 주조 방법
KR101442662B1 (ko) 브레이크 마스터 실린더 바디
EP0725697B1 (en) SELECTIVELY REINFORCED Al-BASE ALLOY DISC BRAKE CALIPERS
KR100806481B1 (ko) 라이닝지지판 및 라이닝지지판의 생산방법
Haidar et al. Best practices in ductile iron foundries to increase productivity and profitability
CN101596577B (zh) 一种减少汽车制动钳体铸造缺陷的方法
KR101184504B1 (ko) 캘리퍼 하우징 중자를 생산하기 위한 금형 및 캘리퍼하우징을 주조하기 위한 금형
CN213856962U (zh) 砂箱连接结构
JP2002333040A (ja) 車両用ディスクブレーキのキャリパボディ及びその製造方法
JP5076778B2 (ja) 真空ダイカスト用金型および真空ダイカスト法
Robles Hernandez et al. Metal Casting Process
KR20100008408A (ko) 브레이크의 캐리어 주조용 중자 및 이 중자를 이용한캐리어의 주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