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3490A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Google Patents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170113490A KR20170113490A KR1020170076037A KR20170076037A KR20170113490A KR 20170113490 A KR20170113490 A KR 20170113490A KR 1020170076037 A KR1020170076037 A KR 1020170076037A KR 20170076037 A KR20170076037 A KR 20170076037A KR 20170113490 A KR20170113490 A KR 20170113490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ail
- loading
- support
- frame
- plat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60/00—Simultaneously or alternatively stacking and de-stacking of article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1/00—Transplanting machines
- A01C11/02—Transplanting machines f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9—Receptacles for seedlings
- A01G9/0299—Handling or transporting of soil blocks or seedling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8—Devices for filling-up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Devices for setting plants or seeds in pots
- A01G9/088—Handling or transferring pots
-
- A01G9/108—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1/00—Apparatus, or methods of use thereof, for testing or treating seed, roots, or the like, prior to sowing or planting
- A01C1/04—Arranging seed on carriers, e.g. on tapes, on cords ; Carrier compositions
- A01C2001/048—Machine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Box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Cultivation Receptacles Or Flower-Pots, Or Pots For Seedl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육묘상자를 적재 및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배출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차례로 자동 적층하여 적재하고 적재된 육묘상자를 자동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육묘상자가 적재부의 지지판을 눌러 육묘상자의 추가 적재를 방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지지판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작업 중지를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육묘상자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eed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loaded seedling by automatically stacking a seedling that is discharged in a seeding plant in which soil and seed are sown, The structure of the pull-out frame is improv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dditional loading of the food implant by pushing the support plate of the loading part so as to prevent the work stop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to improve the productivity. will be.
Description
본 발명은 육묘상자를 적재한 후 인출하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상태로 배출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차례로 자동 적층하여 적재하고 적재된 육묘상자를 자동 인출시키는 과정에서 육묘상자가 적재부의 지지판을 눌러 육묘상자의 추가 적재를 방해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도록 인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지지판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작업 중지를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육묘상자 인출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eedling, and more particularly, to a device for automatically stacking and loading a seedling which is discharged in a seeding plant in which soil and seed are sown, The structure of the pull-out frame is improved so as not to interfere with the additional stacking of the food grabber by pressing the support plate of the self-loading part, thereby preventing the work stoppag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improving the productivity. .
일반적으로, 수도작(水稻作, 벼농사)에 사용되는 수도용 볍씨 등과 같은 논작물과, 양파나 파 등과 같은 밭작물을 경작하기 위해 조성한 이랑에 종자의 파종과 추비를 간편하고 정확히 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파종기를 사용한다.General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seeding and cultivation of seeds in rice paddies, which are used for cultivating rice crops such as rice seedlings and other crops such as onion and paddy rice, use.
이러한 파종기는 육묘상자를 투입하여 그 육묘상자 내에 흙과 씨앗을 공급하고,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는 파종기로부터 배출되어 발아장소로 이송된다.The seeder feeds soil and seed in the seedling box, and the seedling seedlings are discharged from the seeding machine and transferred to the germination site.
한편, 종래에는 한국 등록특허 제10-1039193호(이하 '선행기술문헌1'이라 한다)에 육묘상자 이송장치가 제안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a seedling box transfer device has been proposed in Korean Patent No. 10-1039193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1").
이와 같이 제안된 선행기술문헌1에서는,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어 적재틀에 공급된 육묘상자들은 이동제어부에 의해 적재틀에서 일정수량으로 나열되어 정렬된 후, 전달이송부에 의해 이송베드로 위치되고, 배출이송부가 이송베드를 당겨 이송틀 상에서 순차적으로 이동되면서 발아실로 이송된다.In the proposed prior art document 1, the seedling boxes drawn one by one from the seeder and supplied to the stacking frame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certain number in the stacking frame by the movement control unit, and then the transfer is positioned by the transferring unit to the transporting bed, The conveying portion is pulled up to the transfer bed and sequentially transferred onto the transfer frame and transferred to the germination chamber.
이와 같이 파종기로부터 하나씩 인출되는 육묘상자들은 적재틀 상에서 평면적으로 나열되어 정렬된 상태로 구비되었다가 이송된다.The seedling boxes drawn one by one from the seeding machine are arranged and arranged in a plane on the stacking frame, and then transported.
하지만, 선행기술문헌1에 개시된 육묘상자 이송장치는, 파종기에서 인출된 육묘상자가 적재틀에 단층 구조로 나열되어 정렬된 상태로 이송틀로 이송되어 배출되는데, 이때 적재틀에 단층 구조로 나열된 육묘상자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는데 있어 여러 번의 공정으로 인해 작업공정이 더디게 진행될 뿐 아니라 적재틀에 육묘상자를 일정 개수 이상 나열하기 위해서는 적재틀을 일정 면적 이상으로 구비해야 하므로 넓은 설치공간이 요구되는 단점이 있으며, 적재틀에 육묘상자가 단층 구조로 구비되므로 적재틀의 넓은 면적에 비해 활용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작업능률 및 생산능률이 저하되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e seedling box transfer apparatus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1, the seedling drawn out from the seeding machine is transported and discharged in a state of being arranged in a monolayer structure in a monolayer structure, and then discharged to a transfer frame. At this time, Not only the work process is slowed due to a plurality of processes in the transfer to the next process but also a large installation space is required in order to arrange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he nursery dogs in the loading frame, Since the frame is provided with a single layer structure, the utilization efficiency is remarkably reduced compared with a large area of the stacking frame, resulting in a disadvantage that work efficiency and production efficiency are lowered.
또한,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72722호(이하 '선행기술문헌2'라 한다)에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가 제안된 바 있다.In addition, seedling box laminating and extracting machines have been proposed in Korean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472722 (hereinafter referred to as "Prior Art Document 2").
이와 같이 제안된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를 차례로 적층한 후, 적층된 육묘상자를 들어 적출하도록 하여, 볍씨의 파종에서 적출까지 하나의 공정라인으로 이루어진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가 구성된다.In the proposed prior art document 2, a seedling box laminating and extracting machine consisting of one process line from seeding to extraction of rice seed is constituted by sequentially stacking seedlings seeded with rice seeds, and then picking up the stacked seedlings .
하지만, 선행기술문헌2에 개시된 육묘상자 적층 및 적출기는, 파종체에서 볍씨가 파종된 육묘상자가 이동되어 스토퍼에 닿게 됨과 동시에 센서를 눌러줌으로써 동력모터의 작동이 중지되고, 승강체가 승강되어 육묘상자를 승강시켜 상자거치구에 거치하게 되는데, 이와 같은 육묘상자의 적층은 동력모터의 작동을 중지시켜 육묘상자의 이송을 중지한 상태에서만 이루어지기 때문에, 육묘상자가 연속적으로 이송되지 못하므로 인해 적층시 그만큼 더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전반적인 작업 공정이 더디게 이루어져 육묘상자를 신속하게 적층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However, in the seedling box stacking and extracting machine disclosed in the prior art document 2, the seedling seed in which the rice seed is sown in the seedling body is moved to reach the stopper and simultaneously the operation of the power motor is stopped by pushing the sensor, This is because the laminating of the seedling is stopped only when the driving motor is stopped and the feeding of the animal is stopped, and therefore the time required for laminating is longer And the overall working process is slow, so that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is not possible to quickly stack the food grains.
그리고, 동력모터의 구동에 의해 이동되어 오는 육묘상자가 스토퍼에 닿아 정지될 때, 관성에 의해 육묘상자에 파종된 볍씨가 육묘상자의 선단부 측으로 쏠리게 되고, 이로 인해 육묘상자의 파종상태가 고르지 못해 파종효율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When the seedling moving by the driving of the power motor is stopped and stopped by the stopper, the seeds sown on the seedling box are attracted to the tip end side of the seedling box due to the inertia. As a result, the seeding state of the seedling grows unevenly, there is a problem.
또한, 선행기술문헌2에서는, 볍씨가 파종된 다수의 육묘상자는 적출기에 계속해서 적층되는데, 이때 작업자의 부주의 등으로 인해 적층되는 육묘상자가 그대로 방치된 경우에는 육묘상자가 계속해서 적층되어 쌓이게 되므로 결국에는 일정 높이 이상으로 적층된 육묘상자가 쓰러져 쏟아지고, 쏟아진 육묘상자는 파손되어 육묘상자로서의 가치를 잃게 되는 문제가 있다.In the prior art document 2, a large number of seedling seedlings sown with rice seed are continuously stacked on the extracting machine. In this case, when the seedling seedlings stacked due to carelessness of the operator are left untouch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nursery marshers stacked above the height are poured down and the pourable nurses are destroyed and lose value as a nursery box.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육묘상자 이송장치 및 적재기에 대한 기술은 아래의 선행기술문헌에 자세히 기재되어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techniques of the seedling box transporting device and the stacker as described above are described in detail in the following prior art documents, so that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한편, 본 출원인은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후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를 차례로 적재부에 자동 적층시켜 적재하고, 적재되는 육묘상자가 일정 수량이 되면 육묘상자를 자동 인출시켜 다음 공정으로 공급하는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특허출원한 바 있다.On the other hand, the present applicant has found that when a seedling is sown in the seeding machine and the seedling is transported, the seedling is automatically stacked on the stacking part in turn, and when the loaded seedling is a certain number, And a patent for the drawing device.
상기한 선출원 특허는 도 1 내지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육묘상자(10)를 차례로 이송하여 적재부(150)에 적재하는 적재장치(100)와, 적재장치(100)에 구성되어 적재된 육묘상자(10)를 베이스프레임(1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구동부(300) 및 육묘상자(10)가 인출되도록 인출구동부(300)와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인출프레임(400)을 포함하고 있다.As shown in FIGS. 1 to 4, the prior-art patent includes a
상기 적재장치(100)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나씩 차례로 적재하는 장치로서,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112)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파종기로부터 공급되는 육묘상자(10)가 차례로 적층되어 적재되는 적재부(150)와,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연장되는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적재부(150)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를 서서히 저감시키는 제동부(200)를 포함하고 있다.The
적재부(150)는 제동부(200)와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인출구동부(300)측과 인출프레임(400)측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51)(154)과 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판(152) 및 수직 프레임(151)(154)에 구비되어 지지판(152)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153)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에 차례로 적층되도록 하고 있다.The
그리고,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적재부(150)에 공급된 육묘상자(10)를 리프팅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리프팅수단이 구성되어 있다. 액츄에이터는, 적재부(15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승강용 실린더와, 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적재부(15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육묘상자(10)를 지지판 위에 적재시키는 승강판(170)을 포함하고 있다.A lifting means including an actuator for lifting the
특히, 승강판(170)은 적재부(150) 상에 경사지게 구비되는데, 그 선단부(도면에서 스톱퍼판(160)과 근접한 부분)가 후단부(도면에서 이송롤러(112)와 근접한 부분) 측보다 낮게 기울어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승강판(170)의 외주연부에는 적재부(150)에 구비되는 승강판(170)과 제동롤러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요홈부가 형성되어 있다.Particularly, the
한편, 상기와 같이 적재장치(100)의 적재부(150)에 차례로 적재되는 육묘상자(10)는 인출구동부(300)와 인출프레임(400)로 구성된 인출장치에 의해 적재부(150) 외측으로 인출되고, 이러한 인출구동부(300)는 적재부(150)에 적재되는 육묘상자(10)가 일정 수량 이상이 되면, 적재된 육묘상자(10)를 인출프레임(400) 측으로 자동 인출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인출구동부(300)는 적재부(150)의 일측 베이스프레임(110)에 외향 돌출되게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310)과, 마운팅브라켓(310)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피스톤로드가 마운팅브라켓(310)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용 실린더(320)와, 적재된 육묘상자(10)의 측면부에 면접됨과 아울러 육묘상자(10)의 하면부를 받쳐 지지하면서 육묘상자(10)를 인출프레임(400)측으로 밀어주는 인출판(350)을 포함하고 있다.The
인출프레임(400)은 육묘상자(1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받침레일(4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반대쪽에서 받침레일(410)을 지지하도록 받침레일(410)의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20)을 포함하고 있다.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on relationship of the conventional seedling box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가 파종기로부터 배출된 후,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에 의해 적재부(150)로 이송된다. 이때, 육묘상자(10)는 적재부(150) 하부에 구성된 제동부(200)에 의해 이송속도가 줄어들면서 적재부(150) 내부로 유입되고, 적재부(150)의 스톱퍼판(160)과 접촉되어 정지하게 된다.The
육묘상자(10)가 정지되면 승강용 실린더가 작동되어 승강판(170)을 적재부(150)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고, 승강판(170)의 상부로 공급된 육묘상자(10)는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을 회전시키면서 상승한 후, 승강판(17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원 상태로 복원된 지지판(152) 위에 적재된다. 이상의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지지판(152) 위에 다수의 육묘상자(10)가 적재되고, 육묘상자(10)가 일정 수량 이상으로 적재되면 인출구동부(300)가 작동하게 된다.When the
인출구동부(300)가 작동되면 마운팅브라켓(310)에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320)에서 피스톤로드가 인출되고, 이로 인해 인출판(350)이 인출되어 적재부(150)에 적재된 육묘상자(10)의 측면부에 접하게 된다. 인출판(350)이 적재된 육묘상자(10)의 측면부에 접하면, 인출판(350)이 육묘상자(10)의 측면부와 하면부에 접한 상태로 육묘상자(10)를 적재부(150) 외측으로 이동시켜 인출프레임(400) 측으로 인출시키게 된다.The piston rod is drawn out from the
그러나, 상기한 선출원 특허의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는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이 적재부(150)에 근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어 인출판(350)이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접촉되는 일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인출판(350)에 의해 받침레일(410)로 인출된 육묘상자(10)의 일부가 지지판(152)의 위쪽에 걸쳐지게 됨으로써, 육묘상자(10)에 의해 지지판(152)이 회전하는 것이 저지되어 승강판(170)의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으로 리프팅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apparatus for loading and unloading boxes for seedlings of the prior art described above,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supporting
즉,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에 적재된 복수의 육묘상자(10)는 인출구동부(300)의 작동시 인출판(350)에 의해 밀려나 인출프레임(400)의 받침레일(410) 위로 인출되는데, 이 과정에서 인출판(350)이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접촉되어 충격이 발생함과 아울러 인출판(350)이 충분히 전진하지 못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인출판(350)에 의해 인출되는 육묘상자(10)가 받침레일(410)에 완전히 올려지지 못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상자(10)의 일부가 지지판(512)에 걸리는 현상이 발생한다.That is, a plurality of
이와 같이, 인출된 육묘상자(10)의 일부가 지지판(152)에 걸려 지지판(512)을 누르게 되면, 후속 공정에서 육묘상자(10)가 올려진 승강판(170)이 상승하더라도 지지판(152)이 회전하지 못하게 되고, 그로 인해 승강판(170)의 상승이 저지되어 육묘상자(10)를 지지판(152) 위로 올려놓는 리프팅 작업이 이루어지지 않게 되고 전체적인 장비의 작동이 중지된다.When a portion of the drawn
이에 따라, 육묘상자(10)의 적재 및 인출 작업을 계속하기 위해서는 인출프레임(400)의 받침레일(410)에 올려진 육묘상자(10)를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이동시켜 지지판(512)에 걸리지 않도록 함으로써 지지판(152)이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작업이 필요하다. 이 과정에서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뿐 아니라 승강판(170)을 승강시키기 위한 승강용 실린더에 작용하는 부하가 커져 승강용 실린더의 내구성이 저하되는 다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In order to continue the loading and unloading operation of the
또, 육묘상자(10)를 인출할 때 인출판(350) 또는 최하단 육묘상자(10)가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걸려 인출 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않을 수도 있고 인출판(350)이나 육묘상자(10)가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걸려 손상되는 다른 문제점이 있다.When the
즉, 육묘상자(10)를 받침레일(410)로 인출할 때 육묘상자(10)가 원활하게 인출되도록 받침레일(410)의 최상단 높이는 인출판(350)에 의해 인출되는 다수의 육묘상자(10) 중 최하단에 위치한 육묘상자(10)의 높이보다 낮게 설정하지만, 인출과정에서 육묘상자(10)가 받는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받침레일(410)의 최상단 높이는 인출판(350)의 하단 높이와 거의 일치하도록 설정하고 있다. 그런데, 인출구동부(300)를 비롯한 설비가 노후되거나 육묘상자(10)의 하중이 증가하는 경우 승강판(170)의 승강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이로 인해 최하단 육묘상자(10)의 하단 높이가 받침레일(410)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아지게 됨으로써, 인출시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인출판(350) 또는 육묘상자(10)가 걸리게 되고, 그로 인해 인출판(350)이나 육묘상자(10)가 손상되는 것이다. That is, the uppermost level of the
따라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육묘상자를 적재하여 인출하는 장치에서 인출프레임의 구조를 개선하여 육묘상자의 인출과정에서 발생하는 육묘상자에 의한 지지판의 눌림 현상이 해소되고 지지판이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육묘상자의 인출시 지지판이 회전되지 않아 발생하는 장치의 작동 중단을 방지하고 생산성이 향상되도록 한, 육묘상자 인출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keeping in mind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pparatus and a method for loading and unloading a seedling,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capable of preventing the operation of a device caused by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during the pulling-
구체적으로, 받침레일 또는 받침레일이 고정되는 레일고정 브래킷을 베이스프레임이 아닌 적재부의 수평프레임 외측에 설치하여 받침레일의 선단면과 수평프레임 사이에 일정한 여유 공간이 형성되도록 하여, 인출판에 의해 받침레일로 인출되는 육묘상자가 항상 수평프레임의 외측에서 받침레일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받침레일로 인출된 육묘상자와 관계없이 지지판이 회전될 수 있도록 한, 육묘상자 인출장치를 제공한다. Specifically, a rail fixing bracket, to which the support rail or the support rail is fixed, is installed outside the horizontal frame of the mount part, not the base frame, so that a constant clearance space is formed between the end surface of the support rail and the horizontal frame, And the seedling box drawn out by the rail is always seated on the support rail outside the horizontal frame so that the support plate can be rotated irrespective of the seedling box drawn by the support rail.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인출장치는, 베이스프레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육묘상자를 차례로 이송한 후 승강판으로 육묘상자를 리프팅하여 적재부의 지지판에 적재하는 적재장치의 베이스 프레임에 설치되며, In order to accomplish the above objec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comprising: a seedling box picking-up device which is arranged in a base frame of a stacking device for lifting a seedling- And,
지지판에 적재된 육묘상자가 인출되도록 베이스프레임에 직교하게 배치되는 인출프레임과, 적재부에 적재된 육묘상자를 인출시키도록 인출프레임의 반대쪽에 배치되는 인출구동부를 포함하고, A draw frame which is arranged orthogonally to the base frame so as to draw out the nutrient picked up on the support plate; and a draw-out mouth portion which is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w frame so as to draw out the food-
인출프레임은 육묘상자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받침레일과, 베이스프레임의 반대쪽에서 받침레일을 지지하도록 받침레일의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받침레일에 적재된 육묘상자가 지지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적재장치에 설치되어 받침레일의 선단 부분을 고정하는 레일고정 브래킷 및 적재장치에 레일고정 브래킷을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한다.The draw frame includes a support rail which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frame at a predetermined distance so as to have a sufficient area to stably support the child support member and a support frame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rail to support the support rail on the opposite side of the base frame, And a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ail fixing bracket to the rail mounting bracket and the loading device which are provided on the loading device so as to prevent the nutrient pile loaded on the supporting rail from interfering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ing plate.
그리고, 레일고정 브래킷은 복수의 받침레일이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와, 베이스프레임측에 설치되며,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와, 레일고정부가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받침레일에 안착된 육묘상자가 지지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일고정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부의 일측 단부를 각각 수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로 이루어진다.The rail fixing bracket includes a rail fixing portion on which a plurality of supporting rails are fixed, a pair of engaging portions provided on the base frame side and provided with holes through which fixing means are provided, And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each of which vertically connects one end of the rail fixing portion and one end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nutrient seeder seated on the rail fixing portion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또, 결합부에 형성되는 구멍은 수평 방향의 장공 형태를 가짐으로써 레일고정 브래킷을 수평 방향으로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게 한다.Further, the hole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have a slot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so that the rail fixing bracket can be mov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to be installed.
또한, 결합부는 지지판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적재부의 수직프레임 외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 the engaging portion can be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loading portion on which the support plate is rotatably installed.
그리고, 받침레일은 수직프레임과 레일고정부 사이의 이격 길이에 비해 1/2 이하로만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레일고정부에 고정되어, 받침레일의 선단면과 적재부의 수직프레임 외면 사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할 수 있다.The support rail is fixed to the rail fixing portion so as to protrude in the vertical frame direction only by a distance of 1/2 or less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rail fixing portion, Thereby forming a space.
또한, 받침레일은 선단 부분이 베이스프레임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 경사부를 형성하여, 설비의 노후 및 육묘상자의 중량에 의해 처져 있는 인출판이 선단면에 접촉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tip end portion of the support rail is sloped downward toward the base frame to form a tip inclined portion, so that the pull-out plate, which is sagged by the weight of the apparatus and the weight of the food seedling, can not be brought into contact with the distal end surface.
본 발명의 육묘상자 인출장치에 따르면, 적재부에 적재된 복수의 육묘상자를 인출프레임의 받침레일로 인출할 때 받침레일에 올려진 육묘상자가 지지판을 누르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므로, 육묘상자에 눌린 지지판이 회전되지 못해 육묘상자를 지지판에 적재하지 못하는 일이 방지되고 이러한 적재 불량의 해소를 위한 설비의 작동 중단이 예방되어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food grains mounted on the loading unit are pulled out to the support rails of the draw frame, there is no possibility that the food grains put on the support rails push the support plate. It is prevented that the animal is unable to be loaded on the support plate due to failure to rotate, and the operation stoppage of the facility for solving the loading failure is prevented, and the productivity is improved.
여기서, 받침레일이 고정되는 레일고정 브래킷이 적재레일이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와 베이스프레임측에 설치된 결합부가 연결부에 의해 수직 연결되어 레일 고정부가 결합부에 비해 외측으로 돌출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받침레일의 선단면이 지지판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그로 인해 받침레일에 올려진 육묘상자가 지지판의 회전을 저지하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있다.The rail fixing bracket to which the support rail is fixed is structured such that the rail fixing portion on which the mounting rail is fixed and the engaging portion provided on the base frame side are vert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portion so that the rail fixing portion protrudes outwardly from the engaging portion, There is an effect that the front end face of the rail is disposed at a position spaced apart from the support plate by a certain distance, so that the phenomenon that the nutrient layer raised on the support rail does not inhibit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그리고, 결합부의 구멍이 장공 형태로 형성됨에 따라 레일고정 브래킷을 수평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다양한 규격으로 형성되는 여러 종류의 육묘상자에 모두 적용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since the hole of the coupling part is formed in the shape of a long hole, the rail fixing bracket can be horizontally moved, and thus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various kinds of seedling boxes formed in various sizes.
또, 본 발명의 육묘상자 및 인출장치에 따르면, 인출장치를 이용하여 적재부에 적재된 복수의 육묘상자를 인출프레임의 받침레일로 인출할 때 받침레일의 선단 부분에 선단 경사부가 형성됨에 따라 설비의 노후화 및 육묘상자의 중량 증가로 인해 인출판의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인출판 또는 육묘상자가 받침레일의 선단부에 부딪쳐 손상되는 일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Further, according to the seedling box and the drawer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plurality of seedlings stacked on the stacking unit are pulled out to the support rails of the draw frame by using the drawer, a tip slope is formed at the tip of the support rails, There is an effect that it is prevented that the drawer plate or the seedling pit collides with the leading end of the support rail to be damaged even if the sagging of the drawer plate occurs due to the aging and the weight increase of the child support member.
도 1은 종래의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를 일방향에서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적재부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에서 육묘상자가 지지판을 누르고 있는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인출장치를 확대 도시한 구성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레일고정 브래킷이 분리된 모습을 나타낸 분리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레일고정 브래킷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인출장치에서 육묘상자가 인출되기 전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인출장치에서 육묘상자가 인출된 후의 모습을 나타낸 참고도이다.FIG.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seedling box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in one direction.
Fig. 2 is an enlarged view of the loading section in Fig. 1. Fig.
FIG. 3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nutrient seedling presses a support plate in a conventional seedling box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4 is an enlarged view of a seedlings box retriev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rai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perspective view of a rail fixing bracke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before the seedling harvester is taken out from the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8 is a reference view showing a state after the seedling harvester is taken out from the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첨부된 도면 도 4 내지 8은 본 발명에 따라 육묘상자를 적재하고 적재된 육묘상자를 인출시키는 인출장치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인출프레임의 구성을 제외하면 선출원된 육묘상자 적재 및 인출장치와 동일하므로, 도 1 내지 3에 도시된 종래 도면도 함께 참조하여 설명한다.FIGS. 4 to 8 are views showing a drawing device for loading a nursery bed and drawing a loaded nursery b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the same as the previously mentioned seedlings box loading and unloading apparatus except for the configuration of the draw frame, and therefore, the conventional drawings shown in FIGS. 1 to 3 will also be described together.
본 발명의 육묘상자 인출장치는,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육묘상자(10)를 차례로 이송하여 적재부(150)에 적재하는 적재장치(100)에 구성되는 것으로, 적재된 육묘상자(10)를 베이스프레임(110)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인출시키는 인출구동부(300) 및 육묘상자(10)가 인출되도록 인출구동부(300)와 반대 방향에 구비되는 인출프레임(400)을 포함한다.The seedling box taking-out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nfigured in a loading apparatus (100) for sequentially transferring a seedling box (10) along a longitudinal direction of a base frame (110) And a
적재장치(100)의 작동에 따라 적재부(150)에 차례로 적재되는 육묘상자(10)는 인출구동부(300)와 인출프레임(400)로 구성된 인출장치에 의해 적재부(150) 외측으로 인출되고, 인출구동부(300)는 적재부(150)에 적재되는 육묘상자(10)가 일정 수량 이상이 되면, 적재된 육묘상자(10)를 인출프레임(400) 측으로 자동 인출시키도록 구성된다.The
인출구동부(300)는 적재부(150)의 일측 베이스프레임(110)에 외향 돌출되게 고정되게 구비되는 마운팅브라켓(310)과, 마운팅브라켓(310)에 고정되게 구비되고 피스톤로드가 마운팅브라켓(310)을 관통한 상태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되는 인출용 실린더(320)와, 적재된 육묘상자(10)의 측면부에 면접됨과 아울러 육묘상자(10)의 하면부를 받쳐 지지하면서 육묘상자(10)를 인출프레임측으로 밀어주는 인출판(350)을 포함한다.The
그리고, 인출프레임(400)은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육묘상자(10)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베이스프레임(110)에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의 받침레일(410)과, 베이스프레임(110)의 반대쪽에서 받침레일(410)을 지지하도록 받침레일(410)의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420)과, 받침레일(410)의 선단부가 지지판(152)으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게 배치되도록 적재부(150)의 인출프레임(4000)측의 수직 프레임(151)에 설치되어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을 고정하는 레일고정 브래킷(415) 및 적재부(150)의 수직프레임(151)에 레일고정 브래킷(415)을 고정하는 고정수단, 즉 고정볼트(417)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4 to 6, the
여기서, 레일고정 브래킷(415)은 적재부(150)의 인출프레임(400)측의 수직 프레임(151)에 설치되는 것을 최적의 실시예로 설명하고 있으나, 육묘상자(10)가 인출될 수 있다면 베이스프레임(110)에도 설치할 수 있다.Although the
이에 따라, 육묘상자(10)가 인출판에 의해 인출되어 받침레일(410)에 올려지는 경우, 육묘상자(10)가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을 누르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되고, 육묘상자(10)에 의해 지지판(152)의 회전이 저지되어 승강판(170)의 육묘상자(10)를 지지판(152)에 올려놓지 못하게 되는 현상이 방지된다. This prevents the
그리고, 레일고정 브래킷(415)은 복수의 받침레일(410)이 고정되는 레일고정부(415a)와, 적재부(150)의 수직프레임(151) 외면에 각각 결합되고 고정볼트(417)가 삽입되는 구멍(416)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415b)와, 레일고정부(415a)가 수직프레임(151)으로부터 이격되어 받침레일(415)에 안착된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일고정부(415a)의 일측 단부와 결합부(415b)의 일측 단부를 각각 수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415c)로 이루어진다. The
이와 같이, 레일고정 브래킷(415)에 의하여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이 베이스프레임(110)으로부터 벗어나도록 위치함으로써, 받침레일(410)의 선단면과 적재부(150)의 수직프레임(151) 외면 사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고, 인출장치(300)의 작동에 따라 인출판(350)이 수직프레임(151)의 외측, 즉 베이스프레임(110)을 벗어난 위치까지 전진하여 받침레일(410)에 육묘상자(10)를 안착시키게 된다. The front end face of the
한편, 수직프레임(151)과 레일고정부(415a) 사이의 이격 길이(L)는 인출판(350)에 의해 받침레일(410)에 올려진 육묘상자(10)가 지지판(512)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을 정도로 받침레일(410)이 설치될 수 있을 정도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받침레일(410)은 수직프레임(151)과 레일고정부(415a) 사이의 이격 길이(L)에 비해 1/2 이하로만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레일고정부(415a)에 고정된다. 다만, 이격 길이(L)가 길어질수록 중량과 설치 비용이 증가하므로 지지판(512)의 회전 반경 이하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spacing L between the
이와 같이,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이 고정된 레일고정부(415a)와 수직프레임(151)에 결합되는 결합부(415b)가 연결부(415c)에 의해 수직 연결되므로, 레일 고정부(415a)에 고정된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이 수직프레임(151)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있게 되고, 그로 인해 받침레일(410)에 올려진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을 누르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Since the
그리고, 결합부(415b)에 형성되는 구멍(416)은 수평 방향의 장공 형태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레일고정 브래킷(415)을 베이스프레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수평 이동시켜 설치할 수 있게 되고, 제조회사별로 크기와 형상이 달라지는 다양한 종류의 육묘상자(10)에 대응하도록 받침레일(410)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게 된다.It is preferable that the
또한, 받침레일(410)은 선단 부분이 베이스프레임(110)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 경사부(411)를 형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설비의 노후화나 육묘상자(10)의 중량 증가 등으로 인해 인출판(350)에 의해 인출되는 육묘상자(10)의 최하단 높이가 낮아지더라도 육묘상자(10)가 받침레일(410)에 충돌하지 않고 안전하게 올려지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In addition,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portion of the
그리고, 선단 경사부(411)는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 전체를 경사지게 절단하여 형성하기보다는 받침레일(410)의 상단으로부터 직경의 1/3~2/3 범위까지만 절단하여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경사 부분이 직경의 2/3 이상인 경우에는 하단 부분이 지나치게 날카롭게 되어 위험하고, 경사 부분이 직경의 1/3 이하인 경우에는 경사 부분의 높이가 낮아 인출판(350)의 처짐 높이에 대응할 수 없기 때문이다. It is preferable that the tip end
한편, 상기한 적재장치(100)는,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를 다음 공정으로 이송하기 위해 하나씩 차례로 적재하는 장치로서, 육묘상자(10)를 이송시키는 다수의 이송롤러(112)가 일정간격마다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있는 베이스프레임(110)과, 베이스프레임(110) 상에 구비되고 그 내부에는 파종기로부터 공급되는 육묘상자(10)가 차례로 적층되어 적재되고 직교하는 방향의 양측에 인출구동부(300)와 인출프레임(400)이 설치되는 적재부(150)와, 베이스프레임(110)에서 연장되는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적재부(150)로 이송되어 오는 육묘상자(10)의 이송속도를 서서히 저감시키는 제동부(200)를 포함한다.The
적재부(150)는 제동부(200)와 이격되게 베이스프레임(110)의 상면에 구성되는 것으로, 인출프레임(400)측과 인출구동부(300)측에 각각 수직하게 세워져 설치되는 한 쌍의 수직 프레임(151)(154)과, 이에 회전가능하게 구비되어 리프팅되는 육묘상자(10)에 의해 회전되었다가 원상태로 펼쳐지면서 육묘상자(10)를 받쳐 지지하는 지지판(152) 및 수직 프레임(151)(154)에 구비되어 지지판(152)을 초기 위치로 복원시키는 리턴 스프링(153)을 포함하고 있으며, 다수의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에 차례로 적층되도록 구성된다.The mounting
그리고, 적재부(150)의 하부에는 적재부(150)에 공급된 육묘상자(10)를 리프팅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하는 리프팅수단이 구성되는데, 액츄에이터로는 적재부(150) 하부의 베이스프레임(110)에 고정되게 구비되는 승강용 실린더가 사용되고, 이 승강용 실린더에 의해 적재부(150) 내에서 상하로 이동되면서 육묘상자(10)를 지지판(152) 위에 적재시키는 승강판(170)을 포함한다.A lifting means including an actuator for lifting the
여기서, 승강판(170)은 선단부(도면에서 스톱퍼판(160)과 근접한 부분)가 후단부(도면에서 이송롤러(112)와 근접한 부분) 측보다 낮게 기울어져 설치되고, 승강판(170)의 외주연부에는 적재부(150)에 구비되는 승강판(170)과 제동롤러 간에 간섭을 피하기 위한 요홈부(171)가 형성된다. 이에 따라, 승강판(170)은 승강용 실린더(172)에 의해 승강하면서 육묘상자(10)를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에 적재하고, 승강판(170)이 리프팅되는 동안 지지판이(152)나 제동롤러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게 된다.Here, the leading edge portion (a portion close to the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육묘상자 인출장치의 작동관계는 다음과 같다.The operating relationship of the seedlings box take-out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파종기에서 흙과 씨앗이 파종된 육묘상자(10)가 파종기로부터 배출된 후, 베이스프레임(110)의 이송롤러(112)에 의해 적재부(150)로 이송된다. 이때, 육묘상자(10)는 적재부(150) 하부에 구성된 제동부(200)에 의해 이송속도가 줄어들면서 적재부(150) 내부로 유입되고, 적재부(150)의 스톱퍼판(160)과 접촉되어 정지하게 된다.The
육묘상자(10)가 정지되면 승강용 실린더(172)가 작동되어 승강판(170)을 적재부(150)의 상부로 상승시키게 되고, 승강판(170)의 상부로 공급된 육묘상자(10)는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을 회전시키면서 상승한 후, 승강판(170)이 초기 위치로 복귀할 때 원 상태로 복원된 지지판(152) 위에 적재된다. 이러한 적재 과정을 반복하게 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판(152)에 다수의 육묘상자(10)가 적재되고, 육묘상자(10)가 일정 수량 이상으로 적재되면 인출구동부(300)가 작동하게 된다.When the
인출구동부(300)가 작동되면 마운팅브라켓(310)에 고정된 인출용 실린더(320)에 의해 인출판(350)이 전진하여 적재부(150)에 적재된 육묘상자(10)의 측면부에 접하게 되고, 인출용 실린더(320)에 의해 전진하는 인출판(350)에 의해 육묘상자(10)가 적재부(150) 외측으로 이동되어 인출프레임(400) 측으로 인출된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단으로 적재된 육묘상자(10)가 인출판(350)에 의해 인출프레임(400)을 구성하는 받침레일(410)의 상측으로 밀려나와 인출되고, 인출판(350)은 인출용 실린더(320)에 의해 초기 위치로 복귀하여 다음 인출작업을 대기하며, 적재장치(100)가 다시 작동되어 적재부(150)의 지지판(152)에 육묘상자(10)를 적재하게 된다. When the
이때,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이 지지판(152)이 설치된 수직 프레임(151)로로부터 일정 정도 이격되도록 배치되므로, 인출판(350)에 의해 받침레일(410)로 인출된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을 누르는 일이 발생하지 않을 뿐 아니라 지지판(152)이 원활하게 회전되어 승강판(170)의 리프팅 동작을 이용하여 지지판(152)에 육묘상자(10)를 적재하는 작업도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육묘상자(10)가 지지판(152)을 눌러 지지판(152)이 회전되지 않음에 따라 발생하는 적재 불량이 방지되고, 지지판(152)이 회전되지 않아 상승하지 못하는 승강판(170)으로 인한 승강용 실린더의 과부하도 방지된다.The tip of the
그리고, 받침레일(410)의 선단 부분이 선단 경사부(411)로 형성됨에 따라 장치의 노후화 또는 육묘상자(10)의 중량 증가로 인해 인출판(350)에 처짐이 발생하더라도 인출판(350) 또는 최하단 육묘상자(10)가 받침레일(410)의 선단면에 충돌하는 일이 발생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인출판(350)이나 육묘상자(10)의 손상이 방지되고 육묘상자(10)의 인출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이 명백하다.Whil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particularly shown and described with reference to exemplary embodiments thereof,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same is by way of illustration and example only and is not to be construed as limiting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he modification or improvement is possible.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범주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It is intende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over the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of this invention provided they come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and their equivalents.
10 : 육묘상자
100 : 적재장치
110 : 베이스프레임
112 : 이송롤러
150 : 적재부
151 : (인출프레임측)수직 프레임
152 : 지지판
153 : 리턴 스프링
154 :(인출장치측)수직 프레임
160 : 스톱퍼판
170 : 승강판
200 : 제동부
300 : 인출구동부
310 : 마운팅브라켓
320 : 인출용 실린더
350 : 인출판
400 : 인출프레임
410 : 받침레일
411 : 선단 경사부
415 : 레일고정 브래킷
415a : 레일 고정부
415b : 결합부
415c : 연결부
416 : 구멍
417 : 고정볼트
420 : 지지프레임10: seedling box 100: loading device
110: Base frame 112: Feed roller
150: loading part 151: (drawing frame side) vertical frame
152: support plate 153: return spring
154: (drawing device side) vertical frame 160: stopper plate
170: Rising steel plate 200:
300: Outlet opening portion 310: Mounting bracket
320: Draw-out cylinder 350: Draw-out plate
400: draw frame 410: support rail
411: leading end inclined portion 415: rail fixing bracket
415a:
415c: connection 416: hole
417: Fixing bolt 420: Support frame
Claims (6)
인출프레임은 육묘상자를 안정적으로 받쳐 지지할 수 있는 충분한 면적을 갖도록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일정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받침레일과,
받침레일을 지지하도록 받침레일의 끝단부에 구비된 지지프레임과,
받침레일에 적재된 육묘상자가 지지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받침레일의 선단 부분을 고정하는 레일고정 브래킷 및
레일고정 브래킷을 적재장치에 고정하는 고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And is mounted on a base frame of a loading device for lifting the food grains by a lifting plate after being transport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ase fram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loading the lifting device on a support plate of the loading part, And a draw-out opening portion dispos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draw-out frame so as to draw out the nutrient picked up on the loading portion,
The drawing frame includes a supporting rail spaced apart from the base frame at a predetermined interval so as to have a sufficient area for supporting the supporting device,
A support frame provided at an end of the support rail to support the support rail,
A rail fixing bracket for fixing the tip portion of the support rail so that the nutrient loaded on the support rail does not interfere with the rotation of the support plate;
And fixing means for fixing the rail fixing bracket to the loading device.
레일고정 브래킷은 복수의 받침레일이 고정되는 레일고정부와,
적재장치에 설치되며, 고정수단이 설치되는 구멍이 형성된 한 쌍의 결합부와,
레일고정부가 베이스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받침레일에 안착된 육묘상자가 지지판의 회전을 방해하지 않도록 레일고정부의 일측 단부와 결합부의 일측 단부를 각각 수직 연결하는 한 쌍의 연결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fixing bracket includes a rail fixing portion to which a plurality of support rails are fixed,
A pair of engaging portions provided in the loading device and provided with holes through which the fixing means are provided,
Characterized in that the rail fixing portion is composed of a pair of connecting portions which vertically connect one end portion of the rail fixing portion and one end portion of the engaging portion so that the nutrient seal separated from the base frame and seated on the supporting rail does not interfere with rotation of the supporting plate. Withdrawal device.
결합부에 형성되는 구멍은 수평 방향의 장공 형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And the holes formed in the engaging portion have a slot shape in the horizontal direction.
결합부는 지지판이 회전 가능하도록 적재부의 수직프레임 외측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engaging portion is installed on an outer side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loading portion so that the support plate is rotatable.
받침레일은 수직프레임과 레일고정부 사이의 이격 길이에 비해 1/2 이하로만 수직프레임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레일고정부에 고정되어,
받침레일의 선단면과 적재부의 수직프레임 외면 사이에 일정 정도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The method of claim 4,
The support rail is fixed to the rail fixing portion so as to protrude only in the vertical frame direction by less than 1/2 of the distance between the vertical frame and the rail fixing portion,
Wherein a spac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end surface of the support rail and the outer surface of the vertical frame of the loading section.
받침레일은 선단 부분이 베이스프레임을 향하여 하향 경사지게 절단되어 선단 경사부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묘상자 인출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tip end portion of the support rail is sloped downward toward the base frame to form a tip end inclined portio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037A KR101936280B1 (en) | 2017-06-15 | 2017-06-15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70076037A KR101936280B1 (en) | 2017-06-15 | 2017-06-15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70113490A true KR20170113490A (en) | 2017-10-12 |
KR101936280B1 KR101936280B1 (en) | 2019-01-08 |
Family
ID=60140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70076037A KR101936280B1 (en) | 2017-06-15 | 2017-06-15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36280B1 (en)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89666A (en) * | 2018-09-14 | 2018-12-28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utomatic material flow cultivation seedbed |
CN109258218A (en) * | 2018-09-14 | 2019-01-25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utomation cultivating device based on perception agricultural |
KR102086395B1 (en) * | 2018-09-27 | 2020-03-09 | 엘케이산전(주) | A Current Transformer Rectangle-Shaped Core Winding Wire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And A Operation Method With The Current Transformer Winding Wire Ring-Shaped Core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Thereof |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64823B1 (en) | 2019-07-12 | 2020-01-13 | 김창식 | Apparatus for transporting seeding box |
KR102137928B1 (en) | 2020-03-25 | 2020-07-24 | 구진섭 | Apparatus for supply and collecting of seeding box |
KR102175459B1 (en) | 2020-05-14 | 2020-11-06 | 구진섭 | Seedling box multi-purpose transfer apparatus |
KR102499163B1 (en) | 2022-06-03 | 2023-02-10 | 구진섭 | Array supply apparatus of seedling box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2493A (en) * | 2017-01-11 | 2017-02-02 | 정지현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2017
- 2017-06-15 KR KR1020170076037A patent/KR101936280B1/en active IP Right Grant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70012493A (en) * | 2017-01-11 | 2017-02-02 | 정지현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Cited By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9089666A (en) * | 2018-09-14 | 2018-12-28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utomatic material flow cultivation seedbed |
CN109258218A (en) * | 2018-09-14 | 2019-01-25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 kind of automation cultivating device based on perception agricultural |
CN109089666B (en) * | 2018-09-14 | 2020-08-14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hange material flow cultivation seedbed |
CN109258218B (en) * | 2018-09-14 | 2020-08-18 | 宁波大龙农业科技有限公司 | Automatic cultivation equipment based on perception agriculture |
KR102086395B1 (en) * | 2018-09-27 | 2020-03-09 | 엘케이산전(주) | A Current Transformer Rectangle-Shaped Core Winding Wire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And A Operation Method With The Current Transformer Winding Wire Ring-Shaped Core Automatic Manufacture System Thereof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101936280B1 (en) | 2019-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36280B1 (en)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KR101738835B1 (en) |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KR101898676B1 (en) | Improved lifting plate having loading and push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KR101928244B1 (en) | Alignment and lifting apparatus of provided stacking seed box | |
KR101039193B1 (en) | Moving device of seedling tray | |
KR200472722Y1 (en) | stacking and extraction device for seedling box | |
KR101865478B1 (en) | 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KR102242222B1 (en) | Supply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KR101931722B1 (en) | Control apparatus for seeding box | |
KR20130094376A (en) | Automation equipment system of seedling process | |
US10299428B2 (en) | Planting seedlings | |
JP6682468B2 (en) | Nursery box loading and withdrawal device | |
KR102152869B1 (en) | Loading apparatus of seeding box pallet | |
KR102393135B1 (en) | Auto loading apparatus for seeding box | |
CN209871759U (en) | Tray feeder | |
CN209972880U (en) | Automatic pile material collecting device who scalds mark machine | |
KR102088208B1 (en) | Loading wrapping apparatus of seeding box | |
JPH01291728A (en) | Device of placing seedling box or the like on shelf | |
JPH06144580A (en) | Seedling box separation taking-out device | |
JP2003312845A (en) | Automatic seedling box supply device | |
CN217599859U (en) | Automatic device of breaking a jam of wooden block dish | |
KR20200023997A (en) | Apparatus for carrying sprouts box | |
CN220263305U (en) | Feed bin and feedway | |
CN218478223U (en) | Sheet product stacking material structure | |
JP3418587B2 (en) | Nursery box accumulation device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G15R |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