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395A -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 Google Patents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395A
KR20170112395A KR1020160039403A KR20160039403A KR20170112395A KR 20170112395 A KR20170112395 A KR 20170112395A KR 1020160039403 A KR1020160039403 A KR 1020160039403A KR 20160039403 A KR20160039403 A KR 20160039403A KR 20170112395 A KR20170112395 A KR 2017011239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iner
spout
packing ring
cap
cont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9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64187B1 (ko
Inventor
위성범
Original Assignee
위성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위성범 filed Critical 위성범
Priority to KR10201600394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641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3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3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641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641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08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 B65D47/08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articulated or hinged closures integrally formed with the base element provided with the spout or discharge passage
    • B65D47/0833Hinges without elastic bi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7/00Closures with filling and discharging, or with discharging, devices
    • B65D47/04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 B65D47/06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 B65D47/12Closures with discharging devices other than pumps with pouring spouts or tubes; with discharge nozzles or passages having removable closures
    • B65D47/122Threaded ca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3/00Sealing or packing elements; Sealings formed by liquid or plastics material
    • B65D53/02Collars or 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251/00Details relating to container closures
    • B65D2251/20Sealing means
    • B65D2251/205Insert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알뜰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의 외주면에 패킹링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를 밀폐시키고 용기를 뒤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알뜰캡을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뒤집어서 보관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자연 낙하되어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패킹링에 의해 삽입부가 용기의 주둥이부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주둥이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 알뜰캡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CAP FOR CONTAINER}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알뜰캡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삽입부의 외주면에 패킹링이 구비된 몸체와, 상기 몸체의 배출구를 밀폐시키고 용기를 뒤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평탄면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알뜰캡을 용기에 결합한 상태에서 뒤집어서 보관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자연 낙하되어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패킹링에 의해 삽입부가 용기의 주둥이부에 억지 끼움됨에 따라 주둥이부의 크기에 상관없이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한 범용 알뜰캡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 로션, 샴푸, 린스, 헤어젤, 주방세제와 같은 각종 용품은 내용물이 액체 또는 겔 상태로 용기에 저장된다.
이렇게 내용물이 액체 또는 겔 상태인 제품은, 대부분 용기의 주둥이부에 마개가 형성된 캡이 구비되어 마개를 열고 용기를 뒤집어 흔들거나, 용기를 가압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도록 한다.
그러나 이러한 일반적인 용기를 사용할 경우, 내용물을 정량으로 사용할 수가 없는 단점이 있기 때문에, 이를 해결하기 위해 펌핑용기가 사용된다.
펌핑용기는 용기의 바닥까지 형성된 흡입관과 연결된 펌핑수단(디스펜서(dispenser)이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합되어 펌핑수단을 가압하면 내용물이 흡입관으로 흡입되어 정량이 배출된다.
그런데 용기 내의 내용물을 어느 정도 사용한 후에는, 용기의 내벽이나 바닥에 내용물의 잔량이 남게 되고, 이러한 내용물의 잔량은 펌핑수단을 이용해 배출되기 어렵기 때문에, 대부분의 사용자는 용기 내에 사용하기 충분한 잔량이 남았음에도 불구하고 제품을 더 이상 사용하지 않고 버리게 된다.
물론 알뜰한 사용자는, 잔량이 남은 용기에서 펌핑수단을 분리한 후 용기를 흔들거나 가압하여 잔량의 내용물을 사용하거나,
또는 용기 내에 물을 채워서 내용물을 용기의 내벽에서 씻겨 잔량을 모두 사용하나,
이렇게 사용할 수 있는 제품의 종류가 한정될 뿐만 아니라,
일반 용기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을 하게 되는 것은, 일반 용기보다 비싼 펌핑용기 제품을 구매한 목적에 부합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펌핑용기가 아닌 일반용기의 경우에도, 뚜껑의 상면의 구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용기를 뒤집어서 보관할 수가 없기 때문에, 내용물이 용기의 바닥에 고이게 되어 내용물의 잔량을 완전하게 사용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잔량이 남은 용기를 그대로 배출하여 버릴 경우, 용기의 재활용이 번거롭고, 내용물의 자연 배출로 인해 환경오염을 야기할 수 있으며, 특히 용기에 저장된 정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되므로 정량에 맞게 책정된 제품의 가격 대비 손실이 발생하게 되어, 이러한 손실을 소비자가 고스란히 부담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공개실용신안 제20-2012-0007869호 "잔여액체 수용 용기"(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가 있는데,
상기 종래 기술은, 잔량이 남은 용기를 잔여 액체 수용 용기의 커버에 구성된 체결구에 결합하고, 용기를 뒤집어 보관하여, 체결구를 통해 액체가 잔여 액체 수용 용기에 흘러내려 저면에 저장되도록 하고, 내용물이 모두 저장되면, 잔여 액체 수용 용기를 분리하여 캡으로 밀봉한 후 커버를 분리하여 내용물을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종래 기술은, 잔여 액체 수용 용기의 커버에 잔량의 내용물이 저장됨에 따라 잔여 액체 수용 용기를 본래의 용기에서 분리하여 사용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특히 잔여 액체 수용 용기 구조가 본래의 용기 주둥이부에 나사 결합되는 방식이어서, 다양한 종류의 제품 용기의 주둥이부에 맞는 잔여액체 수용 용기를 별도로 구매해야 하기 때문에 잔량의 내용물 사용을 위해 별도의 제품을 추가 구매해야 하므로 실효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용기에 남은 잔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용기의 주둥이부에 결합한 후 용기를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으며, 내용물의 종류나, 용기의 주둥이부 크기 등에 상관없이 모든 용기에 범용적으로 사용 가능하도록, 용기의 주둥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와, 삽입부의 외측면에 구비되어 탄성력을 이용해 주둥이부에 밀착되면서 삽입부가 주둥이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패킹링과 삽입부를 관통하여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몸체의 배출구를 밀폐하며 용기를 뒤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평탄면을 갖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범용 알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용기의 주둥이부 크기에 상관없이 삽입부의 억지 끼움이 가능하도록, 삽입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링밀착부를 포함하는 범용 알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용기의 주둥이부 크기에 따라 밀착되는 링밀착부의 직경 차이로 인해 삽입부 외측의 내용물이 몸체에 잔량으로 남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링밀착부의 일부가 절개되어 배출구와 연통하도록 형성된 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범용 알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은, 용기의 주둥이부에 본 발명의 알뜰캡을 억지 끼움으로 결합했을 때, 윤활성을 갖는 내용물로 인해 패킹링과 주둥이부의 내주면 사이의 마찰력이 저하되어 몸체가 용기의 주둥이부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삽입부 둘레를 따라 내주면에 제1 나사부를 구비한 외벽체를 형성하고, 상기 제1 나사부에 나사 결합되는 내벽체와 상기 내벽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한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내벽체와 외벽체의 나사 결합 시 내벽체와 외벽체 사이에 형성되는 끼움부의 너비가 좁아져 내벽체의 가압에 의해 상기 삽입부가 용기의 주둥이부에 고정될 수 있는 범용 알뜰캡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알뜰캡에 있어서,
용기의 주둥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둥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주둥이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패킹링, 그리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부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를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에서,
상기 패킹링은,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링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에서,
상기 삽입부 및 상기 패킹링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배출구와 상기 패킹링 외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용기를 뒤집었을 때, 패킹링과 주둥이부 사이에 고이는 내용물이 상기 유도홈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에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 둘레를 따라 돌설되고, 내주면에 제1 나사부를 구비한 외벽체를 포함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벽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내벽체, 상기 내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내벽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벽체가 상기 외벽체에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의 너비가 좁아지면서 내벽체가 주둥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주둥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은, 펌핑용기 또는 구형 뚜껑을 구비한 일반용기 등 용기를 뒤집어서 보관할 수 없는 모든 종류의 용기, 그리고 각 용기의 주둥이부 크기에 상관없이 모든 용기에 알뜰캡을 결합하여 용기를 뒤집어 보관함으로써, 토출되지 않은 잔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어, 용기 사용 시 발생하는 잔량의 내용물의 낭비, 이로 인한 환경오염 및 정량의 내용물에 대한 비용의 손실 부담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의 사용예를 도시한 정면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의 결합 단면도 및 분해 단면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의 분해 사시도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킹링의 단면 사시도 및 알뜰캡이 용기에 결합된 상태를 뒤집어서 도시한 요부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구현예(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들을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 특히 십의 자리 및 일의 자리 수, 또는 십의 자리, 일의 자리 및 알파벳이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기능을 갖는 부재를 나타내고, 특별한 언급이 없을 경우 도면의 각 참조부호가 지칭하는 부재는 이러한 기준에 준하는 부재로 파악하면 된다.
또 각 도면에서 구성요소들은 이해의 편의 등을 고려하여 크기나 두께를 과장되게 크거나(또는 두껍게) 작게(또는 얇게) 표현하거나, 단순화하여 표현하고 있으나 이에 의하여 본 발명의 보호범위가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태양, 態樣, aspect)(또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이루어진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기재한 ~제1~, ~제2~ 등은 서로 다른 구성 요소들임을 구분하기 위해서 지칭할 것일 뿐, 제조된 순서에 구애받지 않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청구범위에서 그 명칭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을 설명함에 있어 편의를 위하여 엄밀하지 않은 대략의 방향 기준을 도 1 및 도 2를 참고하여 특정하면, 중력이 작용하는 방향을 하측으로 하여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하고, 다른 도면과 관련된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도 다른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이 기준에 따라 방향을 특정하여 기술한다.
다만, 용기를 뒤집은 상태의 설명은, 도 6을 기준으로 보이는 방향 그대로 상하좌우를 정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범용 알뜰캡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알뜰캡에 관한 것으로,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용기용 알뜰캡은, 크게 펌핑수단을 대신해 용기(1)의 주둥이부(2)에 결합되는 몸체(10)와,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5)를 밀폐하고 용기(1)를 뒤집어 보관할 수 있도록 하는 마개(20) 및 몸체(10)와 용기(1)의 결합을 보조하는 체결부재(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용기는, 펌핑용기뿐만 아니라 구형 뚜껑을 구비한 일반용기와 같이 용기를 뒤집어서 보관 및 사용할 수 없는 모든 종류의 용기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본 명세서에서는 본 발명이 적용될 수 있는 펌핑용기를 대표하여 설명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먼저 상기 몸체(10)는, 용기(1)의 주둥이부(2) 내측으로 삽입되는 삽입부(11),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11)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둥이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삽입부(11)를 상기 주둥이부(2)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패킹링(13),
상기 삽입부(11)를 관통하여 용기(1)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15), 그리고 상기 삽입부(11) 둘레를 따라 돌설되고 내주면에 제1 나사부(17a)를 구비한 외벽체(17)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11)는 관 형상의 부재로써, 배출구(15)가 길이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삽입부(11)는 모든 크기의 용기(1) 주둥이부(2)에 삽입 가능하도록 일반 용기의 규격을 감안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외주 직경을 갖도록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11)의 외주면에는 오목 형성된 결합홈(11a)이 구비되어, 패킹링(13)이 결합된다.
상기 패킹링(13)은, 실리콘이나 고무와 같이 인체에 무해한 합성수지 소재로써, 탄성력에 의해 형상 변위 가능한 것으로, 삽입부(11)가 용기(1)의 주둥이부(2)에 끼워질 때 주둥이부(2)의 내주면과 접촉됨에 따라 패킹링(13)이 압착되면서 형상이 변위되어, 주둥이부(2)의 수밀성을 보장함과 동시에 삽입부(11)가 주둥이부(2)에서 분리,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
이러한 패킹링(13)은 다양한 직경의 주둥이부(2)에 모두 삽입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또는 직경)를 갖도록 형성되면 충분하나,
하나의 알뜰캡을 주둥이부(2)의 직경 차이가 큰 각각의 용기들에 교체하여 사용할 경우, 주둥이부(2)의 직경 차이에 따라 패킹링(13)이 형상 변위되는 정도가 달라져, 알뜰캡을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
물론 용기별 주둥이부(2)의 규격을 감안하여, 삽입부(11) 내지 패킹링(13)의 직경을 사이즈별로 다르게 하여 다양한 규격의 알뜰캡을 제작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주된 목적 중 하나가 가능한 사이즈의 교체 사용이 없이 하나의 알뜰캡을 가능한 많은 종류의 용기(1)에 결합하여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므로,
이를 위해 본 발명의 패킹링(13)은, 상기 삽입부(11)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1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링밀착부(13R)를 포함한다.
이러한 패킹링(13)은, 결합될 용기(1)의 주둥이부(2) 크기에 따라, 최소한 하나 이상의 링밀착부(13R)가 주둥이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형상 변위 시 발생하는 탄성력에 의해 삽입부(11)가 주둥이부(2)에 억지 끼움 방식으로 결합되도록 한다.
즉, 주둥이부(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일 작은 용기에 알뜰캡을 결합하는 경우, 삽입부(11)를 주둥이부(2)에 삽입하면, 삽입부(11)의 최하단부에 배치된 제일 작은 직경(D1)의 링밀착부(13R)부터 그 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링밀착부(13R)가 주둥이부(2)와의 접촉에 의해 형상 변위되면서, 몸체(10)가 주둥이부(2)에 결합, 고정되고,
주둥이부(2)의 크기가 상대적으로 제일 큰 용기에 알뜰캡을 결합하는 경우, 삽입부(11)를 주둥이부(2)에 삽입하면, 최소한 삽입부(11)의 최상단에 배치된 제일 큰 직경(D2)의 링밀착부(13R)가 주둥이부(2)와의 접촉에 의해 형상 변위되면서, 몸체(10)가 주둥이부(2)에 결합, 고정된다.
상기 외벽체(17)는, 후술하는 체결부재(30)가 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내주면에 제1 나사부(17a)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와 관련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
이밖에 외벽체(17)의 상부 외측 둘레를 따라 외벽체(17)와의 사이에 제1 끼움홈(18a)을 형성하는 플렌지부(18)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끼움홈(18a)에 후술하는 마개(20)의 내측벽부(23)가 삽입되면서, 내측벽부(23)와, 외벽체(17)의 상부 외측면 또는 플렌지부(18)의 내측면이 서로 후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물론 상기 플렌지부(18)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마개(20)가 몸체(10)에 결합되는 방식에 따라 생략 가능하다.
상기 마개(20)는, 상기 몸체(10)의 배출구(15)를 밀폐하도록 몸체(10)에 결합되는 것으로,
이러한 마개(20)의 형상에는 제한이 없으나, 최소한 상면이 일정 크기 이상으로 평탄하게 형성된 평탄면(21)을 갖도록 형성되어, 알뜰캡이 결합된 용기(1)를 뒤집어서 보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마개(20)는, 도면과 같이 연결부(29)를 통해 몸체(10)와 일체로 연결되어 있는 일체형도 가능할 뿐만 아니라, 공지된 다양한 결합 방식(예를 들어 나사 결합)을 통해 몸체(10)에 결합될 수 있는 분리형도 가능하다.
도면과 같이 일체형 마개(20)를 구비한 경우, 마개(20)를 몸체(10)에 나사 결합할 수 없으므로, 상기 마개(20)는 상기 제1 끼움홈(18a)에 삽입되는 내측벽부(2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몸체(10)와 후크 결합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내측벽부(23) 둘레를 따라 돌설된 외측벽부(25)를 구비하여, 외측벽부(25)의 단부가 플렌지부(18)의 단부에 접하면서 마개(20)와 몸체(10)의 후크 결합 상태가 유지되도록 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 내측벽부(23)와 외측벽부(25) 사이에 형성된 제2 끼움홈(25a)에 상기 플렌지부(18)가 삽입되면서 후크 결합되는 등,
마개(20)와 몸체(10)의 결합 상태가 유지되면서, 배출구(15)가 밀폐될 수 있는 구조이면 족하고, 마개(20)와 몸체(10)의 결합 구조에 제한이 없다.
또한 도면에서는, 배출구(15)의 벽체에 대응하여 마개(20)의 밀폐부(27)가 벽체의 외주면에 끼워지는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그 반대의 구성도 가능하고,
배출구(15)의 벽체가 형성되지 않은 경우, 밀폐부(27)는 배출구(15)로 끼워지는 돌기 형태로 형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용기(1)에서 펌핑수단(미도시)을 분리한 후, 용기(1)의 주둥이부(2)에 삽입부(11)를 억지 끼움하여 몸체(10)를 결합한 다음, 용기(1)를 뒤집어서 보관하면, 용기(1) 내의 내용물이 자중에 의해 자연적으로 흘러서 주둥이부(2)에 고여지게 되고,
사용자는 필요 시 마개(20)를 열어 배출구(15)를 개방시킨 다음, 일반 용기(1)와 같이 용기를 흔들거나 용기를 가압하여 펌핑수단의 의해 배출되지 못하는 잔량의 내용물을 모두 사용할 수 있다.
이때 사용되는 용기(1)의 주둥이부(2) 크기에 따라 패킹링(13)의 링밀착부(13R)가 하나 이상 형상 변위되면서 주둥이부(2)에 밀착되어, 용기(1)의 수밀성을 확보함과 동시에 알뜰캡이 용기(1)에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링밀착부(13R)로 인해 하나의 알뜰캡을 다양한 용기(1)에 교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하나의 알뜰캡으로 사용 가능한 용기(1)의 개수는 상기 링밀착부(13R)의 개수 또는 링밀착부(13R)별 직경의 차이에 따라 결정된다.
한편 도 6의 하측 원내 단면도와 같이, 본 발명의 알뜰캡을 용기(1)의 주둥이부(2)에 결합하면, 하나 이상의 링밀착부(13R)가 주둥이부(2)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수밀성이 보장되는데,
이 경우, 삽입부(11)와 주둥이부(2) 및 최상단(용기(1)를 뒤집었을 때 기준)에 밀착된 링밀착부(13R) 사이에 형성된 공간에 내용물이 고이게 되면 잔량이 내용물의 모두 사용하지 못하게 된다.
특히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대적으로 제일 큰 직경을 갖는 주둥이부(2)에 알뜰캡을 결합하여 뒤집어 보관할 경우, 하부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링밀착부(13R)는 주둥이부(2)의 내주면에 밀착됨에 비해, 상부에 위치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링밀착부(13R)는 주둥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지 않게 되므로,
링밀착부(13R)가 밀착되지 않은 공간 사이로, 내용물이 흘러서 고이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삽입부(11) 및 상기 패킹링(13)에서,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유도홈(11A)(13a)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유도홈(11A)(13a)을 통해 배출구(15)와 패킹링(13) 외부를 서로 연통시켜,
용기(1)를 뒤집어서 보관할 때, 패킹링(13)과 주둥이부(2) 사이에 고이는 내용물이 상기 유도홈(11A)(13a)을 통해 상기 배출구(15)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한다.
이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상기 삽입부(11)의 유도홈(11A)은, 하단부 일측에서 삽입부(11)의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상기 패킹링(13)의 유도홈(13a)은, 하단부 일측에서 상대적으로 직경이 작은 링밀착부(13R)를 포함한 패킹링(13)의 일부가 수직방향으로 절개되어 형성되며,
이러한 유도홈(11A)(13a)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다.
따라서 알뜰캡을 용기에 결합한 후 뒤집어서 보관하면, 상기 유도홈(11A)(13a)은 상부로 향하게 되어, 패킹링(13)과 주둥이부(2) 사이로 흘러서 고이는 내용물이 상기 유도홈(11A)(13a)으로 흘러 배출구(15)로 배출된다.
이때 유도홈(11A)(13a)의 수에는 제한이 없으나, 패킹링(13)의 결합 유지 및 내용물의 배출 유도가 용이하도록, 2개의 유도홈(11A)(13a)이 서로 대칭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경우에 따라 3~4개의 유도홈(11A)(13a)이 방사상 형태로 배치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이, 직경이 다르게 형성된 복수개의 링밀착부(13R)를 구비한 패킹링(13)을 통해 알뜰캡을 용기(1)의 주둥이부(2)에 결합할 수 있는데, 샴푸나 주방세제 등과 같이 용기(1)에 저장되는 내용물이 윤활성을 갖는 액체 또는 겔일 경우, 링밀착부(13R)와 주둥이부(2) 간의 밀착력(마찰력)이 떨어져 알뜰캡이 용기(1)에서 쉽게 분리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 체결부재(30)를 통해 알뜰캡이 용기(1)의 주둥이부(2)에 보다 견고하게 결합,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체결부재(30)는,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17a)에 결합되는 제2 나사부(31a)를 구비하여 상기 외벽체(17)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11)와의 사이에 용기(1)의 주둥이부(2)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내벽체(31)와,
상기 내벽체(31)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내벽체(31)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33)를 포함하여 이루어져,
상기 내벽체(31)가 상기 외벽체(17)의 내주면에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의 너비가 좁아지면서 내벽체(31)가 주둥이부(2)의 외주면을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11)가 상기 주둥이부(2)에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체결부재(30)는, 내벽체(31)의 일부를 수직방향으로 절개하여, 절개된 내벽체(31)가 오므려질 수 있도록 형성함으로써,
내벽체(31)가 외벽체(17)에 나사 결합될 때, 나사부의 조임을 통해 내벽체(31)가 오므려지면서, 삽입부(11)와 내벽체(31) 사이의 끼움부에 주둥이부(2)가 끼워져, 알뜰캡이 용기(1)에 결합된다.
이 경우, 체결부재(30)의 나사 결합에 따른 내벽체(31)의 오므려짐(즉 끼움부의 너비가 좁아짐)은,
도면과 같이, 외벽체(17)의 내주면 직경이 하단부(D3)에서 상단부(D4)로 갈수록 좁아지는 상협하광(上狹下廣)의 구조로 구현되는 방식,
또는 도면과 반대로, 내벽체(31)의 외주면 직경이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구조로 구현되는 방식,
또는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제1 나사부(17a) 또는 제2 나사부(31a)의 돌출 높이가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높아지도록 형성하는 방식 등,
나사 조임 시 내벽체(31)가 내측으로 가압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이 고려될 수 있다.
미설명 도면부호 35는 체결부재(30)의 회전을 용이하기 위해 내벽체(31)의 하단부 외측으로 돌출된 파지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범용 알뜰캡을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하고, 이러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용기 2 : 주둥이부
10 : 몸체 11 : 삽입부
11a : 결합홈 13 : 패킹링
13R : 링밀착부 13a : 유도홈
15 : 배출구 17 : 외벽체
17a : 제1 나사부 18 : 플렌지부
18a : 제1 끼움홈
20 : 마개 21 : 평탄면
23 : 내측면부 25 : 외측면부
25a : 제2 끼움홈 27 : 밀폐부
29 : 밀폐부
30 : 체결부재 31 : 내벽체
31a : 제2 나사부 33 : 절개부
35 : 파지부

Claims (4)

  1. 용기에 저장된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범용 알뜰캡에 있어서,
    용기의 주둥이부에 삽입되는 삽입부, 탄성력을 갖는 가요성(可撓性) 소재로 이루어지며 상기 삽입부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주둥이부의 내주면에 밀착되면서 상기 삽입부를 상기 주둥이부에 억지 끼움되도록 하는 패킹링, 그리고 상기 삽입부를 관통하여 용기의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구를 구비한 몸체; 및
    상기 배출구를 밀폐하도록 상기 몸체에 결합되며, 상부 평탄면을 갖도록 형성되어 용기를 뒤집어서 세울 수 있도록 하는 마개;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알뜰캡.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킹링은,
    상기 삽입부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되며, 상기 삽입부의 하단부에서 상단부로 갈수록 상대적으로 직경이 더 커지도록 형성된 복수개의 링밀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알뜰캡.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 및 상기 패킹링은,
    서로 대응하는 위치의 하단부 일부가 절개되어, 상기 배출구와 상기 패킹링 외부가 서로 연통하도록 형성된 유도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져,
    용기를 뒤집었을 때, 패킹링과 주둥이부 사이에 고이는 내용물이 상기 유도홈을 통해 상기 배출구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알뜰캡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는 상기 삽입부 둘레를 따라 돌설되고, 내주면에 제1 나사부를 구비한 외벽체를 포함하고,
    외주면에 상기 제1 나사부에 결합되는 제2 나사부를 구비하여 상기 외벽체에 결합되며 상기 삽입부와의 사이에 상기 주둥이부가 끼워지는 끼움부를 형성하는 내벽체, 상기 내벽체의 원주 방향을 따라 내벽체의 일부가 절개되어 형성된 절개부를 구비하여,
    상기 내벽체가 상기 외벽체에 결합될 때 상기 끼움부의 너비가 좁아지면서 내벽체가 주둥이부를 가압하여, 상기 삽입부가 상기 주둥이부에 고정되도록 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범용 알뜰캡.
KR1020160039403A 2016-03-31 2016-03-31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KR1018641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03A KR101864187B1 (ko) 2016-03-31 2016-03-31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9403A KR101864187B1 (ko) 2016-03-31 2016-03-31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395A true KR20170112395A (ko) 2017-10-12
KR101864187B1 KR101864187B1 (ko) 2018-06-04

Family

ID=60140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9403A KR101864187B1 (ko) 2016-03-31 2016-03-31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6418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0792A (zh) * 2019-05-08 2021-11-26 株式会社岛津制作所 细胞评价用器件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23471B1 (ko) * 2019-11-04 2021-11-09 미라셀 주식회사 성분별 분리추출이 용이한 디캔팅 키트
CN115884829A (zh) * 2021-01-25 2023-03-31 美罗诗有限公司 易于分离提取各成分的倾析套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561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이노팩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구조
KR20110056368A (ko) * 2011-04-19 2011-05-27 한용규 생수통 항균필터용 패킹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110561A (ko) * 2004-05-19 2005-11-23 주식회사 이노팩 파우치 용기의 스파우트 구조
KR20110056368A (ko) * 2011-04-19 2011-05-27 한용규 생수통 항균필터용 패킹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710792A (zh) * 2019-05-08 2021-11-26 株式会社岛津制作所 细胞评价用器件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64187B1 (ko) 2018-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13041B2 (en) Two-liquid mixing container provided with pressing pocket
RU2683750C1 (ru) Насос для выдачи текучих сред
KR101864187B1 (ko) 내용물의 잔량을 모두 사용할 수 있는 범용 알뜰캡
RU2702403C1 (ru) Насос с полимерной пружиной
JP2000342712A (ja) ボトル連結器
US20060163287A1 (en) Device forming packaging for viscous products, which can be fully emptied by means of manual pumping
KR200471808Y1 (ko) 탄력적인 직립형 노즐이 형성된 누름버튼을 갖는 화장품 용기
US20110240678A1 (en) Liquid or gel dispensing system
KR20090008046U (ko) 수동식 드롭퍼
KR101379846B1 (ko) 디스펜서 용기
US20180361410A1 (en) Container with pump dispenser
JP2006111335A (ja) 二重構造スクイズ容器
KR200494144Y1 (ko) 스포이드 형 화장품 용기
KR200462502Y1 (ko) 화장품용기
US20090139884A1 (en) Tube-type container
KR20110081476A (ko) 원터치 캡이 구비된 화장품용기
US20210093071A1 (en) Dispenser cover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JP2020527115A (ja) 二方ダックビル弁付き容器栓体
JP2013193749A (ja) スクイズ狭持具とそれを使用したスクイズ容器
CN110366527B (zh) 带狭缝阀的盖
CN209553884U (zh) 沐浴露的新包装
JP4165639B2 (ja) 液体注出容器
EP2857328B1 (en) Small food storage container
KR200485444Y1 (ko) 용기 뚜껑
KR20130017838A (ko) 내용물 배출 가압식 포장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