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2016A -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2016A
KR20170112016A KR1020160038440A KR20160038440A KR20170112016A KR 20170112016 A KR20170112016 A KR 20170112016A KR 1020160038440 A KR1020160038440 A KR 1020160038440A KR 20160038440 A KR20160038440 A KR 20160038440A KR 20170112016 A KR20170112016 A KR 201701120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nursing
patient
cart
nur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84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816512B1 (ko
Inventor
정흔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네오디안테크놀로지
Priority to KR102016003844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16512B1/ko
Publication of KR201701120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20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1651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1651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6F19/3468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16H20/1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delivered via infusion or injection
    • G06F19/322
    • G06F19/327
    • G06F19/3481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3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physical therapies or activities, e.g. physiotherapy, acupressure or exercis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ublic Health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의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다수의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간호 카트에 탈 부착 가능하고 환자 간호 업무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제공하여, 환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자동 인식하고 상기 간호 카트에 부착 시 간호 카트에 구비되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인식된 환자의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관리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nursing information using nursing cart}
본 발명은 병원의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다수의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카트에 탈부착 가능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카트에 구비되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생체정보의 입력 및 관리를 효율적으로 하고 의약품의 보다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효율적으로 간호 업무를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간호사는 환자의 정신 및 육체적인 치료를 위해 지속적이고 주기적으로 환자의 생체정보를 관찰, 수집 및 기록하여야 하며, 의약품을 정확한 시간에 제공하는 등의 많은 업무들을 처리한다.
통상 간호사는 이러한 많은 업무들을 효율적으로 처리하기 위해 스스로가 업무를 스케줄링하여 병동데스크의 보드판에 기록해 놓거나, 컴퓨터에 등록해 놓고, 그 스케줄에 따른 차트 및 해당 업무를 위한 생체정보 측정 장치, 의약품을 담은 카트 등을 가지고 해당 병실의 해당 환자들을 찾아가 해당 업무(생체정보 측정, 의약품 투약 등)를 수행하고 있다.
간호사는 통상 환자 또는 병실 단위로 스케줄을 확인하고, 해당 장비 및 의약품을 준비하기 위해 병동 데스크를 반복해서 왕복해야 하므로 스케줄 확인 및 업무 준비에 많은 시간을 소모하고 있다.
또한, 환자의 온도, 혈압, 심전도 등의 다양한 생체정보 측정 시 간호사는 측정된 생체정보를 눈으로 확인하고 수기로 기록해야 함으로써 실수로 측정값을 잘못 보거나 기재를 잘못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었으며, 생체정보의 확인 및 기록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다.
한 명의 간호사가 처리해야 하는 업무가 증가할수록 환자에 대한 돌봄의 질이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간호사가 업무를 보다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업무를 스케줄링할 수 있고, 이러한 스케줄링에 따른 업무의 준비에 소요되는 불필요한 동작에 따른 시간을 단축하고, 환자로부터 측정되는 생체정보들을 정확하게 확인 및 기록할 수 있으며, 보다 정확하게 해당 환자에 대응하는 의약품을 제공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어지고 있다.
이러한 요구에 따라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70107호는 환자를 구분하여 생체신호를 측정할 수 있는 간호 보조 로봇 및 간호 보조 로봇을 이용한 생체신호 측정 방법을 제공하고는 있으나, 로봇의 가격이 비싸며, 로봇이 원하는 병실의 환자가 있는 곳까지 이동하는 데 필요한 시설을 구축하는 데 큰 비용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10-1070107호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환자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 모듈을 포함하고 다수의 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카트에 탈부착 가능하고 환자 간호 업무와 관련된 정보들을 관리하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제공하여, 간호사 및 환자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자동 인식하고 상기 카트에 부착 시 카트에 구비되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상기 인식된 환자의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관리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은: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 각 환자별 의무정보, 환자와 관련된 간호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 및 환자의 서로 다른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환자에 대한 회진 정보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호 단말부는,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의약품 보관함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카트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카트; 및 상기 카트에 탈착되고, 카트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되고,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에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접속부; 및 상기 카트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를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카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 접속부는,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는, 상기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 및 침대에 부착되어 있는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카트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 제어부는, 상기 카트 인식부를 통해 환자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카트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무선 통신부; 간호사에 의한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다운로드된 상기 간호 업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 및 투약에 대한 투약 여부 정보를 상기 인식된 환자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간호 업무 정보 및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접속부; 및 카트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된 후,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 시 인식된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접속부는,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 및 침대에 부착되어 있는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리드하고, 간호사가 소지하고 있으며 간호사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말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식부를 통해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리드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게 할당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의 환자에 대한 회진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를 상기 간호 업무 정보부터 검출하여 해당 항목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순차적으로 활성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위치추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위치추적부를 통해 측정되는 위치를 상기 카트의 위치로 간주하여 카트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에 상기 카트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카트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카트 위치 정보 요청 시 상기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 중 하나로부터 요청된 카트의 카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식별정보 태그 및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방법은: 간호사 식별정보에 의한 간호사 식별 및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카트에 장착 시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하는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 간호사 식별 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간호 업무 정보 다운로 과정;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식별된 환자에 대한 상기 간호 업무 정보에 따라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스케줄이 회진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투약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정보 획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은,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카트에 장착 시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하는 단말기 카트 연결 단계; 상기 연결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카트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에 의해 간호사를 식별하는 간호사 식별 단계; 및 상기 간호사의 식별 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카트정보 처리부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은, 상기 간호사 식별 시 상기 간호사가 해당 병원의 간호사이고, 해당 시간이 근무 시간인 정상적인 간호사인지를 인증 및 검증하는 간호사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호사 검증 단계에서 검증 성공 시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 활성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간호 업무 안내 과정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에 따라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환자 식별 단계; 환자가 식별되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간호 스케줄 정보로부터 검출하는 환자 간호 업무 정보 검출 단계;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획득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정보 획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간호 업무 안내 과정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간호 스케줄 정보를 안내하는 스케줄 안내 단계;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의 스케줄 중 회진이 선택되는지 투약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는 업무 선택 단계; 회진이 선택되면 회진모드를 설정하고 회진모드에서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하고 투약이 선택되면 투약 모드를 설정하고 투약 모드에서 환자 식별정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하는 환자 인식 단계; 및 환자 인식 단계에서 환자식별정보에 의한 환자가 인식되면 회진모드에서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투약모드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환자 식별 단계는,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카트의 카트 정보 처리부로 환자 식별정보의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환자 식별 모니터링 요청 단계;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요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의 인식부에 의해 획득된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환자 식별정보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부터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의해 환자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체온, 심전도,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간호 스케줄 정보를 표시 및 관리하는 노트북, 스마트패드 등과 같은 휴대 컴퓨터의 하나인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탈부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생체정보 측정 장비를 포함하는 카트를 제공하므로, 간호사가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카트 둘 모두를 동시에 가지고 이동할 수 있으므로 스케줄에 따른 업무정보를 확인하면서 이동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카트에 포함된 생체정보 측정 모듈에 의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입력받아 자동 저장하고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서버,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서버 등에 등록함으로써 간호사가 측정된 생체정보를 입력하지 않아도 되므로 간호사의 시간을 줄일 수 있고, 간호사의 실수를 방지할 수 있으므로 측정된 생체정보의 신뢰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의약품 준비 및 투약 시 준비 및 투약할 의약품 정보를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통해 반복적으로 제공할 수 있으므로 환자에게 잘못된 의약품을 투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카트에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연결되어 있는 동안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자신이 연결된 카트의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하고 있으므로 다음 이용 시 카트의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카트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의 간호 스케줄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의 간호 업무 인수인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측정 모드에서의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의약품 투약 모드에서의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카트에서의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고, 상기 시스템에서의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면에 참조된 부호 1은 병실이고, 2는 환자 침대이고, 3은 침대 및 환자에게 부착될 수 있는 환자식별정보 태그로 침대에 부착된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은 간호 단말부(4) 및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400)를 포함한다.
간호 단말부(4) 및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400)는 유무선 인터넷망(500)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500)은 와이파이(WiFi)망을 포함하는 로컬망이 될 수도 있고, 와이파이망 및 로컬망을 포함하는 광대역 통신망이 될 수도 있으며, 광대역 통신망에 3세대(3 Generation: 3G), 4G, 5G 등의 이동통신망이 결합된 망일 수도 있을 것이다.
먼저,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40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400)는 본 발명에 따른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 레거시 시스템인 전자의무기록(Electronic Medical Record: EMR) 서버(420) 및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 서버(43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간호 업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기 위한 데이터베이스(Database: DB) 서버(4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DB 서버(440)를 구비하지 않는 경우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가 간호 업무 정보를 저장하여 관리할 것이다. 또한, 간호 업무 정보는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 중 하나에 의해 관리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레거시 시스템인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는 기존과 동일하게 환자별 주치의 정보, 질환정보 및 질환과 관련된 생체정보, 엑스레이, CT 등의 의료 영상정보 등을 포함하는 의무정보를 저장한다.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맥박, 심전도, 심박수, 온도 등의 정보를 포함할 것이다.
본 발명의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는 병원에 입원한 환자의 간호와 관련된 간호 업무 정보를 저장하고 관리하며, 간호 업무에 따라 획득된 의무정보를 상기 레거시 시스템인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 중 하나에 저장하여 관리한다. 상기 간호 업무 정보는 간호 스케줄 정보, 업무 정보 등을 포함한다.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는 간호사별, 병동별 및 파트별 중 하나 이상으로 분류되어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업무 정보는 스케줄에 따른 업무 종류(회진, 투약) 정보, 회진정보, 투약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회진정보는 회진 업무에 따른 환자별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온도, 혈압, 심전도, 심박수 등) 정보를 포함한다. 상기 투약정보는 환자별 투약 의약품 정보, 투약량, 투약시간 등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간호 단말부(4)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및 간호 카트(200)를 포함한다.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및 간호 카트(200)는 간호사별로 구비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병동별, 파트별 등으로 구분하여 적정한 수로 구비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간호 카트(200)와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본 발명에 따른 전반적인 동작을 처리한다.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간호 카트(200)는 생체정보 측정 장치 및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다수의 보관함들을 구비하고, 이동성을 좋게 하기 위해 바닥면에 바퀴를 구비하는 본체(201), 상기 본체(201)의 내측으로 구성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고 간호 카트(200)의 기능을 제어하는 카트정보 처리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30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 장비를 구비하고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에 의해 활성화되어 생체정보 측정 장비를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제공한다. 또한, 간호 카트(200)의 카트정보 처리부(300)는 실시예에 따라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간호 카트(200)는 여러 종류의 의약품을 각각 보관할 수 있고 후술할 카트정보 처리부(30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는 복수의 의약품 보관함을 구비하고, 투약정보에 따라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제어를 받아 해당 보관함을 개폐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하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카트 정보 처리부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및 카트 정보 처리부(300)는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우선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구성을 설명하면, 단말 제어부(10), 저장부(20), 디스플레이부(30), 입력부(40), 단말 무선통신부(50) 및 단말 접속부(60)를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단말 인식부(70) 및 위치추적부(80)를 더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제어부(10)는 본 발명에 따른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단말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은 다른 구성을 설명한 후 설명한다.
저장부(20)는 본 발명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프로그램을 저장하는 프로그램 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는 임시영역, 상기 제어프로그램 중에 발생되는 데이터 또는 사용자에 의해 발생된 데이터를 저장하는 데이터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 영역에는 본 발명에 따라 인식된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 수신된 간호 업무 정보, 간호 업무 정보에 따른 업무 완료 정보, 업무 완료에 따라 카트 정보 처리부(300)로부터 수신되는 생체정보 및 투약된 의약품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을 것이다.
디스플레이부(30)는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등의 표시장치로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동작 상태에 따른 다양한 정보들을 텍스트, 그래픽, 정지영상, 동영상 등으로 출력한다.
입력부(40)는 다수의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들을 구비하고 눌린 버튼에 대한 버튼신호를 출력하는 버튼입력장치, 다수의 기능 및 문자를 입력할 수 있는 다수의 키들을 구비하고, 눌린 키에 대응하는 키신호를 발생하는 키입력장치, 상기 디스플레이부(30)의 화면에 일체로 구성되어 터치된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신호를 출력하는 터치패드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한다. 특히, 상기 입력부(40)는 적어도 상기 터치패드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단말 무선 통신부(50)는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500)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유무선 인터넷망(500)에 연결되어 있는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4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단말 접속부(60)는 단말 인터페이스부(61) 및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62)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여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유선 및 무선 중 하나 이상으로 연결하여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다.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부(61)는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물리적인 접촉점을 제공하여 간호 카트(200)의 해당 위치에 놓였을 때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RS-232C, USB, IE1394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될 수 있고, 별도의 프로토콜이 적용된 인터페이스 장치가 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62)는 카트정보 처리부(300)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블루투스, 광대역밴드(Ultra Wide Band: UWB), 지그비, 근거리 무선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등의 무선통신장치가 될 수 있을 것이다.
단말 인식부(70)는 간호사가 소지하고 있거나 부착하고 있고 간호사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 및, 환자 및 환자 침대에 부착되어 있고 환자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 중 하나 이상을 읽어 단말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 및 환자 식별정보 태그는 바코드가 인쇄된 태그일 수도 있고, RFID 태그 및 NFC 태그 등이 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 및 환자 식별정보 태그 종류에 따라 상기 단말 인식부(70)는 카메라, RFID 리더기 및 NFC 리더기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단말 인식부(70)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의약품에 의약품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의약품 식별정보 태그가 부착되어 있는 경우, 의약품의 의약품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의약품 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위치추적부(80)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 및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장착된 간호 카트(200)의 위치를 추적하여 단말 제어부(10)로 출력한다.
상기 위치추적부(80)는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와이파이, GPS 기술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술 등이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대부분의 병실은 실내에 구성되므로, GPS 기술보다는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지그비, 블루투스 비콘, 와이파이 방식을 이용한 위치추적 기술 자체는 이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는 기술이므로 그 상세한 기술 설명은 생략한다. 만일 상기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62)가 블루투스, 지그비 등의 방식이 적용되면 단말 근거리 무선통신부(62)를 위치추적부(80)로 구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추적부(80)는 위치추적 이벤트의 발생 시 위치를 추적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하거나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에 저장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위치추적 이벤트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간호 카트(200)의 카트정보 처리부(300)에 연결되어 있는 동안 주기적으로 발생할 수도 있고,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간호 카트(200)에서 분리될 때 최종적으로 발생될 수도 있으며, 해당 간호사의 위치추적 요청 시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단말 제어부(10)의 상세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면, 단말 제어부(10)는 간호 관련자 인식부(110), 간호 업무 관리부(120), 카트정보 관리부(130) 및 측정데이터 관리부(140)를 포함한다.
간호 관련자 인식부(110)는 상기 단말 인식부(70) 및 카트정보 처리부(300) 중 하나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간호사 인식부(111) 및 상기 단말 인식부(70) 및 카트정보 처리부(300) 중 하나를 통해 환자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출력하는 환자 인식부(112)를 포함하며 실시예에 따라 의약품 인식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간호사 인식부(111) 및 환자 인식부(112)는 상기 입력부(40)를 통해 간호사로부터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를 직접 입력받아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를 획득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호 업무 관리부(120)는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 간호 회진 정보 관리부(123), 간호 투약정보 관리부(124)를 포함한다.
상기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디스플레이부(30) 및 입력부(40)를 통해 간호 스케줄 정보 입력수단을 제공하고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 입력 수단을 통해 간호 스케줄 정보를 입력받아 단말 무선 통신부(50)를 통해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의 간호 업무 정보를 업데이트한다. 또한,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간호사 인식부(111)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획득하여 간호사가 식별된 경우 해당 간호사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여 알려주고 그에 따른 업무 수행 여부 정보를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아 간호 스케줄 정보의 해당 업무에 매핑하여 저장한다.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하나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공유하는 경우 간호사 인수인계 시간을 관리하고 인수인계 시간에 인계할 간호사의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간호 스케줄 정보에서 수행되지 않은 업무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여 인계한 간호사에게 업무를 인지시킨다.
또한,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간호사별로 각각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를 가지고 있는 경우, 잔여 업무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업무 인계 시간에 인계한 간호사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 업무 정보를 전송한다. 그러면 인수받는 간호사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는 수신된 간호 업무 정보의 간호 스케줄 정보를 표시하여 인계받는 간호사에게 업무를 인지시킬 것이다.
간호 회진정보 관리부(123)는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에 회진정보가 있으면 상기 환자 인식부(112)를 통해 상기 회진정보에 대한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가 획득되는지를 검사하고, 해당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회진정보에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가 있는지를 판단하고,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가 있으면 단말 접속부(60)을 통해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상기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을 활성화시킬 것을 요청하는 생체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간호 투약정보 관리부(124)는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에 투약정보가 있으면 상기 환자 인식부(112)를 통해 상기 투약정보에 대한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가 획득되는지를 검사하고, 해당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투약정보의 투약 약품 정보, 투약 용량 정보 등을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여 투약정보를 관리자에게 제공한다. 이때, 간호 투약정보 관리부(124)는 해당 투약 의약품이 담긴 보관함이 자동으로 열리도록 요청하는 투약 의약품 보관함 열림 요청 신호를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카트정보 처리부(300)는 의약품들이 담겨 있는 보관함을 전자적으로 여는 도어 열림 장치(미도시)를 더 구비하여야 할 것이다.
카트정보 관리부(130)는 간호 카트(200)의 의약품 보관함에 구비되는 의약품 및 반출되는 의약품들을 관리한다. 즉, 카트정보 관리부(130)는 의약품을 보관함에 넣을 때 보관함 번호를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받고, 단말 인식부(70)을 통해 의약품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의약품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의약품 식별정보를 읽어 상기 보관함 번호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반출 시, 반출된 의약품에 대한 의약품 식별정보를 읽어 반출 처리를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위치 관리부(132)는 위치추적부(80)를 통해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지리적 위치를 측정하고, 측정된 정보를 저장부(20)에 저장하거나 단말 무선 통신부(50)를 통해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에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측정데이터 관리부(140)는 측정정보 관리부(141) 및 측정장비 관리부(142)를 포함한다.
상기 측정정보 관리부(141)는 상기 간호 회진정보 관리부(123)의 제어를 받아 활성화되어 상기 간호 회진정보 관리부(123)에서 요청한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에 대응하여 단말 접속부(60)을 통해 카트정보 처리부(300)로부터 생체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하거나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로 전송한다.
상기 측정장비 관리부(142)는 카트정보 처리부(300)에 장착되는 생체정보 측정모듈(321)이 달라 질 수 있으므로 카트정보 처리부(300)에 연결된 생체정보 측정모듈(321)의 연결 시 연결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의 종류 및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정의한다.
카트정보 처리부(300)는 카트 제어부(310), 생체정보 획득부(320), 카트 접속부(330)을 포함하고 실시예에 따라 카트 인식부(340)을 더 포함한다.
카트 제어부(310)는 본 발명에 따른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카트 제어부(310)는 카트 접속부(330)을 통해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특정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의 활성화 요청 시 해당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을 활성화시키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을 통해 입력되는 생체정보를 카트 접속부(330)을 통해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전송한다.
생체정보 획득부(320)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 제어부(310)의 제어를 받아 활성화되어 해당 생체정보를 환자로부터 측정하고 측정된 생체정보를 카트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상기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은 장착되거나 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이 경우 생체정보 측정모듈과 카트 제어부(310) 사이에서 데이터를 중계하기 위한 별도의 인터페이스 수단이 더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인터페이스 수단으로는 USB 방식 등의 인터페이스 장치가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카트 접속부(330)은 상기 단말 인터페이스부(61)와 물리 및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인터페이스부(331) 및 상기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62)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근거리 무선 통신부(332)를 포함한다.
카트 인식부(340)은 단말 인식부(70)과 동일하게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 및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간호사 식별정보 및 환자 식별정보를 읽어 상기 카트 제어부(310)로 출력한다. 단말 인식부(70) 및 카트 인식부(340) 중 적어도 하나는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의 간호 스케줄 설정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10)의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간호 스케줄 관리 수단을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제공하고, 상기 간호 스케줄 관리 수단 및 입력부(40)를 통해 간호 스케줄 설정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111).
간호 스케줄 설정 요청이 발생되면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113).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의 입력 요청 후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간호사 인식부(111)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115), 간호사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해당 간호사와 관련된 간호 스케줄 정보를 로드한(S117) 후, 간호 스케줄 정보 입력 수단을 통해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고, 새로운 업무에 대한 업무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한다(S119). 상기 업무정보는 업무 종류, 업무 수행 시간, 주기, 업무 종류에 따른 회진정보 및 투약정보 등이 포함될 것이다.
상기 정보의 입력 요청 후, 간호 스케줄 관리부(121)는 간호 스케줄 설정 정보가 설정 완료(또는 등록) 명령이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고(121), 설정 완료 명령의 발생 시 해당 새롭게 추가된 업무정보를 포함하는 간호 스케줄 설정 정보에 따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에 저장된 간호 스케줄 정보를 갱신한다(S123).
상기 도 3에서는 설명하지 않았으나, 새롭게 입력된 상기 간호 스케줄 설정 정보에 회진 및 투약 스케줄이 있는 경우, 간호 스케줄 정보와 연동하여 회진정보 및 투약정보를 입력받아 업무정보 또한 업데이트 할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의 간호 업무 인수인계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로, 간호사별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할당되는 경우의 업무 인수인계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0)는 간호 인수인계 요청이 발생되는지를 모니터링하고(S211), 간호 인수인계 요청이 발생되면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를 활성화 할 것이다.
활성화된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인계하여야 할 간호 스케줄 정보를 로드한다(S213). 인계하여야 할 간호 스케줄 정보는 인수 간호사가 수행하고 남은 잔여 간호 스케줄 정보일 수도 있고, 인수 간호사가 수행한 간호 스케줄 정보들 중 인계 간호사가 근무 시간에 연속해서 처리해야 할 간호 스케줄 정보일 수 있을 것이다.
인계 간호 스케줄 정보가 로드되면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인계할 간호사가 소지 및 관리하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단말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S215), 상기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217).
단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상기 입력된 단말 식별정보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상기 인계 간호 스케줄 정보를 전송한다(S219). 물론 이때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122)는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로 상기 인계 간호 스케줄 정보를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는 상기 입력된 인계 간호 스케줄 정보에 의해 해당 간호사 및 인수받을 간호사의 간호 스케줄 정보를 갱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10)는 업무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한다(S311). 상기 업무 개시 이벤트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간호 카트(200)에 연결될 때 발생될 수도 있고, 간호사가 입력부(40)를 통해 업무 개시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업무 개시 이벤트가 발생되면 단말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입력할 것을 요청하고(S313), 단말 인식부(70) 또는 카트정보 처리부(300)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가 획득되는지를 검사한다(S315). 상기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디스플레이부(30)를 통한 간호사 식별정보의 입력 요청 없이 자동으로 인근의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간호사 식별정보를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호사 식별정보가 로드되면 단말 제어부(10)는 등록된 간호사 식별정보들과 로드된 간호사 식별정보를 비교하여 상기 로드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가 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인지, 현재 시간이 상기 간호사의 근무시간이 맞는지 등의 간호사 검증 및 인증을 수행한다(S317).
간호사 검증 및 인증 수행 후 단말 제어부(10)는 검증 및 인증에 성공했는지를 판단하고(S319), 성공 시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구동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카트정보 처리부(300)를 구동한다(S321).
카트정보 처리부(300)가 구동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회진모드를 설정한다(S323). 여기서 회진모드란 간호 스케줄 정보에 따라 병실들을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회진모드를 설정하기 위해 단말 제어부(10)는 단말 인식부(70) 또는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카트 인식부(340)의 활성화를 요청한다.
회진모드가 설정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한다(S327, S329). 이때, 병식에 다수의 환자가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10)는 병실 식별정보를 먼저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S325).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간호 스케줄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 업무 정보에 환자정보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간호 업무 정보로부터 환자정보를 검출하고, 간호 업무 정보에 환자정보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를 통해 또는 직접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로부터 환자정보를 수신받아 표시한다(S331).
환자정보가 로드 및 표시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에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가 포함되어 있는지, 투약정보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333, S345).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가 있으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생체정보의 측정을 요청하는 생체정보 측정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S335) 후, 상기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는 해당 생체정보 측정 모듈(장비) 활성화 요청 신호를 단말 접속부(60)을 통해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전송한다(S337).
상기 생체정보 측정 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의 전송 후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생체정보가 카트정보 처리부(300)로부터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339).
해당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제어부(10)는 입력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하고,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로 전송하여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시킨다. 이때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는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 중 하나에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생체정보의 저장 후 단말 제어부(10)는 남아 있는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S343),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남아 있으면 상기 S335 ~ S341을 반복해서 수행한다.
반면, 남아 있는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없으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정보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345).
해당 투약정보가 있으면, 즉 상기 환자에 대해 측정할 생체정보 측정 항목을 포함하는 회진정보 및 투약정보가 모두 있는 경우 또는 상기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의 존재 여부 판단(S333)에서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없고 투약정보만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의 투약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 상기 투약정보는 투약할 의약품 정보, 의약품 투약 용량, 투약 시간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해당 의약품이 투약된 보관함 식별정보(번호), 해당 보관함에 보관된 의약품 수 등의 정보가 포함될 수 있을 것이다(S347).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300)에 카트의 의약품 보관함을 자동을 열 수 있는 도어 자동 열림 장치(미도시) 등이 구비되어 있는 경우,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투약정보의 표시 후, 해당 보관함 식별정보를 포함하는 보관함 열림 요청 신호를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전송하고,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카트 제어부(310)가 상기 보관함 식별정보의 도어 자동 열림 장치를 제어하여 해당 보관함이 열리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의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투약정보의 표시 후 투약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S349). 상기 단말 제어부(10)는 간호사가 입력부(40)를 통해 투약 완료 명령을 입력하거나, 카트 인식부(340)을 통해 투약한 의약품의 의약품 식별정보가 읽혀지는 경우 투약 완료로 판단할 수 있을 것이다.
투약이 완료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투약 완료 정보를 저장부(20)에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고, 상기 투약 완료 정보를 EMR 서버(420) 및 EHR 서버(230) 중 하나 이상으로 전송하여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되도록 한다(S351).
상기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투약이 완료되면 간호 스케줄 정보의 해당 업무(회진 및 투약 중 하나 이상)에 대해 완료했음을 나타내는 업무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S353).
상기 업무 완료 처리후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완료 이벤트가 발생하는지를 검사하고(S355), 회진 완료 이벤트가 발생되면 간호 스케줄정보의 환자들에 대해 회진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하여(S357) 완료된 것으로 판단되면 회진모드를 종료한다. 그러나 스케줄 정보의 환자들에 대한 회진이 종료되지 않았으면 상기 S325 내지 S329의 환자 식별정보 인식 여부 판단 과정 이후를 반복해서 수행할 것이다. 상기 회진 완료 이벤트는 입력부(40)를 통한 해당 환자 회진 완료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발생될 수도 있고, 주기적인 환자 식별정보 인식에서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지 않을 때 발생될 수도 있을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생체정보 측정 모드에서의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라 의약품 투약 모드에서의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6 및 도 7의 제2실시예는 병실 회진 시 간호사가 환자 생체정보 측정을 목적으로 하는 회진 및 의약품을 투약하기 위한 투약 중 하나를 선택하여 병실을 도는 경우를 나타낸 것이다.
우선 도 6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30) 및 입력부(40)를 통해 제공되는 간호사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회진이 선택되면(S411) 회진모드를 설정한다(S413). 여기서 회진모드는 환자의 생체정보 측정을 위해 해당 환자들을 돌아다니는 것을 의미한다. 상기 회진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10)는 단말 인식부(70) 또는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카트 인식부(340)를 활성화한다.
회진모드가 설정되면 단말 제어부(10)는 단말 인식부(70)를 통해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417, S419).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10)는 한 병실에 둘 이상의 환자가 존재하는 경우 병실 식별정보를 가지는 병실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병실 식별정보를 더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S415).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면 단말 제어부(10)는 인식된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정보를 로드하여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S421).
환자정보가 로드되면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환자정보 또는 간호 업무 정보에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있는지를 검사한다(S423).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있으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생체정보 측정 요청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하고(S425) 해당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를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전송한다(S427).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는 간호사에 의한 측정 명령이 입력부(40)를 통해 입력되는 경우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 또한,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후 간호사에 의한 측정 명령 입력 시 단말 제어부(10)가 생체정보 측정 요청 신호를 카트정보 처리부(300)로 전송하고, 카트정보 처리부(300)가 상기 생체정보 측정 요청 신호의 입력 시 해당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을 구동하여 생체정보를 측정하기 시작할 것이다.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의 송신 후 카트정보 처리부(300)로부터 생체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429).
카트정보 처리부(300)로부터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하고, 상기 생체정보를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할 것이다(S431).
상기 생체정보의 저장 후 단말 제어부(10)는 상기 환자에 대해 남아 있는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있는지를 판단하고, 남아 있는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남아 있으면 상술한 S425 내지 S431을 반복 수행하고, 남아 있는 생체정보 측정 항목이 없으면 종료한다(S433).
도 7을 참조하면, 단말 제어부(10)는 디스플레이부(30) 및 입력부(40)를 통해 제공되는 간호사 인터페이스 수단을 통해 투약이 선택되면(S511) 투약 모드를 설정한다(S513). 상기 투약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단말 제어부(10)는 단말 인식부(70) 또는 카트정보 처리부(300)의 카트 인식부(340)를 활성화한다.
투약모드가 설정되면 단말 제어부(10)는 단말 인식부(70) 또는 카트정보 처리부(300)를 통해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한다(S517, S519).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10)는 한 병실에 둘 이상의 환자가 존재하는 경우 병실 식별정보를 가지는 병실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병실 식별정보를 더 인식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을 것이다(S515).
환자 식별정보가 획득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환자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환자정보를 로드하고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다(S521).
상기 환자정보의 표시 후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의 환자정보 또는 간호 업무 정보에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정보가 있는지를 검사한다(S523).
투약정보가 있으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투약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에 표시한(S525) 후, 투약이 완료되는지를 검사한다(S527).
투약이 완료되면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정보를 상기 환자의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부(20)에 저장하고, 간호정보 관리 서버(410), EMR 서버(420) 및 EHR 서버(430) 중 하나 이상에 상기 환자정보와 매핑하여 투약정보를 저장한다(S529).
상기 투약정보의 저장 후 단말 제어부(10)는 해당 간호 스케줄 정보의 해당 업무에 대한 업무 완료 처리를 수행한다(S531).
업무 완료 처리 후 단말 제어부(10)는 간호 스케줄 정보의 환자들에 대해 투약이 완료되었는지를 판단하고(S533), 남은 환자들이 있으면 상술한 S515 이후의 과정을 반복 수행하고, 남은 환자가 없으면 투약 모드를 종료한다(S533).
도 8은 상기 제1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카트에서의 간호정보 관리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카트 제어부(310)는 최소한 전력 및 동작만을 수행하는 대기모드에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연결되는지를 검사한다(S611).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연결되면 카트 제어부(310)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613).
카트 제어부(310)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대기모드를 해제하고 전체 구성을 활성화시킨다(S615).
활성화된 후 카트 제어부(310)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사한다(S617).
생체정보 측정 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의 수신에 의한 생체정보 측정 모듈 활성화 요청이 발생되면 카트 제어부(310)는 상기 생체정보 측정 모듈 활성화 요청 신호로부터 생체정보 측정 모듈 정보를 검출하고 생체정보 획득부(320)에서 상기 검출된 생체정보 측정 모듈 정보에 대응하는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을 구동한다(S619).
해당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이 구동되면 카트 제어부(310)는 해당 생체정보 측정 모듈(321)로부터 생체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고(S621), 생체정보가 입력되면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 측정된 생체정보를 전송한다(S623).
상기 생체정보의 전송 후 카트 제어부(310)는 비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되는지를 검사하고(S625), 비활성화 이벤트가 발생되면 카트정보 처리부(300)를 비활성화하여 대기모드로 진입한다(S627). 상기 비활성화 이벤트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로부터 비활성화 요청 신호가 입력되거나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100)가 카트에서 분리되는 경우에 발생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은 전술한 전형적인 바람직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임은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개량, 변경, 대체 또는 부가에 의한 실시가 이하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속하는 것이라면 그 기술사상 역시 본 발명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1: 병실 2: 침대
3: 환자 식별정보 태그 4: 간호 단말부
10: 단말 제어부 20: 저장부
30: 디스플레이부 40: 입력부
50: 단말 무선 통신부 60: 단말 접속부
61: 단말 인터페이스부 62: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
70: 단말 인식부 80: 위치추적부
100: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110: 간호 관련자 인식부
111: 간호사 인식부 112: 환자 인식부
120: 간호 업부 관리부 121: 간호 스케줄 관리부
122: 간호 인수인계 관리부 123: 간호 회진 정보 관리부
124: 간호 투약정보 관리부 130: 카트정보 관리부
131: 의약품 관리부 132: 위치 관리부
140: 측정 데이터 관리부 141: 측정정보 관리부
142: 측정장비 관리부 200: 간호 카트
300: 카트정보 처리부 310: 카트 제어부
320: 생체정보 획득부 321: 생체정보 측정모듈
330: 카트 접속부 331: 카트 인터페이스부
332: 카트 근거리 무선 통신부 340: 카트 인식부
400: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 410: 간호정보 관리 서버
420: EMR 서버 430:EHR 서버
440: DB 서버

Claims (18)

  1. 환자에 대한 환자정보, 각 환자별 의무정보, 환자와 관련된 간호 업무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정보를 저장 및 관리하는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 및
    환자의 서로 다른 생체정보를 측정하여 출력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포함하고,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 정보를 포함하는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상기 인식된 환자에 대한 회진 정보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단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단말부는,
    의약품을 보관할 수 있는 의약품 보관함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구비하고,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측정된 생체정보를 외부로 출력하는 카트정보 처리부를 포함하는 간호 카트; 및
    상기 간호 카트에 탈착되고, 간호 카트에 장착되는 경우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되고,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에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간호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포함하는 생체정보 획득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접속부; 및
    상기 카트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부터 생체정보 측정모듈 활성화 요청 정보가 수신되면 해당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를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제공하는 카트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 접속부는,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카트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는,
    상기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 및 침대에 부착되어 있는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카트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카트 제어부는,
    상기 카트 인식부를 통해 환자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상기 카트 접속부를 통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무선 통신부;
    간호사에 의한 정보를 입력받아 출력하는 입력부;
    다운로드된 상기 간호 업무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측정된 생체정보 및 투약에 대한 투약 여부 정보를 상기 인식된 환자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상기 간호 업무 정보 및 측정되는 생체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연결되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접속부; 및
    간호 카트에 장착되어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된 후, 간호사 식별정보의 획득 시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며,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회진 및 투약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 시 인식된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검출하고,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간호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입력받아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검출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접속부는,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유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무선으로 연결되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와 무선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 근거리 무선 통신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접속부를 통해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수신받아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상기 환자의 환자 식별정보를 포함하여 상기 환자 및 침대에 부착되어 있는 환자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환자 식별정보를 리드하고, 간호사가 소지하고 있으며 간호사 식별정보를 가지고 있는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로부터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를 리드하여 출력하는 단말 인식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단말 인식부를 통해 상기 간호사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리드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게 할당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고,
    상기 환자 식별정보가 리드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의 환자에 대한 회진에 따른 생체정보 측정 항목 정보를 상기 간호 업무 정보부터 검출하여 해당 항목의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순차적으로 활성할 것을 요청하고, 상기 활성화 요청에 응답하여 수신되는 생체정보를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는,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자신의 위치를 추적하는 위치추적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단말 제어부는,
    단말기 위치추적 이벤트의 발생 시 상기 위치추적부를 통해 측정되는 위치를 상기 간호 카트의 위치로 간주하여 간호 카트 이동 위치를 추적하여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에 상기 카트 식별정보와 매핑하여 카트 위치정보를 저장하고,
    카트 위치 정보 요청 시 상기 상기 저장부 및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 중 하나로부터 요청된 간호 카트의 카트 식별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정보를 로드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정보 태그 및 간호사 식별정보 태그는,
    RFID 태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시스템.
  12. 간호사 식별정보에 의한 간호사 식별 및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간호 카트에 장착 시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하는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
    간호사 식별 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의 간호사에 대한 간호 업무 정보를 상기 간호정보 관리 서버부로부터 다운로드 받아 저장하는 간호 업무 정보 다운로 과정;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식별된 환자에 대한 상기 간호 업무 정보에 따라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 이상에 대한 간호 스케줄 정보를 상기 간호사에게 안내하고, 스케줄이 회진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간호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투약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정보 획득 과정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은,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간호 카트에 장착 시 카트정보 처리부에 연결하는 단말기 카트 연결 단계;
    상기 연결된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 및 카트정보 처리부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간호사 식별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간호사 식별정보에 의해 간호사를 식별하는 간호사 식별 단계; 및
    상기 간호사의 식별 시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 활성화 요청 신호를 전송하여 활성화시키는 카트정보 처리부 활성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 카트 연결 과정은,
    상기 간호사 식별 시 상기 간호사가 해당 병원의 간호사이고, 해당 시간이 근무 시간인 정상적인 간호사인지를 인증 및 검증하는 간호사 검증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간호사 검증 단계에서 검증 성공 시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 활성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간호 업무 안내 과정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에 따라 회진 및 투약 시 회진 및 투약 중 적어도 하나를 해야 할 환자에 대한 환자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환자 식별 단계;
    환자가 식별되면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해당 환자에 대한 회진 및 투약 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간호 스케줄 정보로부터 검출하는 환자 간호 업무 정보 검출 단계;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검출된 정보가 회진정보이면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간호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획득된 생체정보를 해당 환자정보에 매핑하여 저장하며, 획득된 정보가 투약정보이면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정보 획득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간호 업무 안내 과정은,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간호 업무 정보의 간호 스케줄 정보를 안내하는 스케줄 안내 단계;
    상기 간호 스케줄 정보의 스케줄 중 회진이 선택되는지 투약이 선택되는지를 검사하는 업무 선택 단계;
    회진이 선택되면 회진모드를 설정하고 회진모드에서 환자 식별정보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하고 투약이 선택되면 투약 모드를 설정하고 투약 모드에서 환자 식별정가 인식되는지를 검사하는 환자 인식 단계; 및
    환자 인식 단계에서 환자식별정보에 의한 환자가 인식되면 회진모드에서 회진정보의 환자 생체정보 측정 항목에 대응하는 상기 간호 카트의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를 통해 활성화하고 활성화된 생체정보 측정모듈을 통해 생체정보를 획득하고, 투약모드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투약 의약품 정보를 알려주는 간호 업무 수행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7.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환자 식별 단계는,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간호 카트의 카트 정보 처리부로 환자 식별정보의 모니터링을 요청하는 환자 식별 모니터링 요청 단계;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요처에 응답하여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의 인식부에 의해 획득된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는지를 검사하는 환자 식별정보 모니터링 단계; 및
    상기 간호 클라이언트 단말기가 상기 카트정보 처리부로부터 환자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상기 환자 식별정보에 의해 환자를 식별하는 식별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18. 제15항 또는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는,
    혈압, 체온, 심전도, 심박수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정보 관리 방법.
KR1020160038440A 2016-03-30 2016-03-30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651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40A KR101816512B1 (ko) 2016-03-30 2016-03-30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8440A KR101816512B1 (ko) 2016-03-30 2016-03-30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2016A true KR20170112016A (ko) 2017-10-12
KR101816512B1 KR101816512B1 (ko) 2018-02-21

Family

ID=601417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8440A KR101816512B1 (ko) 2016-03-30 2016-03-30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16512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78B1 (ko) * 2017-12-20 2019-05-1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9177245A1 (ko) * 2018-03-12 2019-09-1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KR20230047277A (ko) * 2021-09-30 2023-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에서 복수의 병실들 내 환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25945A (ko) 2022-08-19 2024-02-2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연동 바이탈 사인 계측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099529A (ja) * 2001-09-25 2003-04-04 Dainippon Screen Mfg Co Ltd 医療用携帯情報端末および医療行為管理方法
JP2003199798A (ja) * 2002-01-07 2003-07-15 Shimazu S D Kk 回診カート及びこれを用いた医療過誤防止システム
JP4584760B2 (ja) * 2005-04-13 2010-11-24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看護支援システムおよび携帯端末装置、管理コンピュータ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6478B1 (ko) * 2017-12-20 2019-05-1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WO2019177245A1 (ko) * 2018-03-12 2019-09-19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KR20190107485A (ko) * 2018-03-12 2019-09-20 가톨릭관동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카트의 제어 방법 및 의료용 카트
KR20230047277A (ko) * 2021-09-30 2023-04-07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병원에서 복수의 병실들 내 환자들에 대한 모니터링을 수행하기 위한 로봇 및 그 동작 방법
KR20240025945A (ko) 2022-08-19 2024-02-27 건양대학교산학협력단 전자의무기록시스템 연동 바이탈 사인 계측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16512B1 (ko) 2018-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47375B2 (en) Automatic association of medical elements
RU2267158C2 (ru) Способ и система обнаружения отклонений в контролируемой среде
JP5345319B2 (ja) 無線医療デバイスの患者への関連付けのための自動的かつ連続的で信頼性のある患者識別システム
EP1898776B1 (en) Automatic identification for spot measurements
TWI526976B (zh) 監控系統、方法及醫療監控系統
CN103186712A (zh) 一种自动识别病人的病人监护系统及方法
AU2003262725B8 (en) Diagnostic instrument workstation
US8744876B2 (e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a patient identification beacon for patient worn sensors
CN103582448B (zh) 获取患者相关数据的方法和系统
KR101816512B1 (ko)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13017820A (ja) 薬剤投与および管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5793851A (zh) 患者监测器和用于监测患者的方法
JP2009075871A (ja) 看護業務管理システム
KR102523530B1 (ko) 병실관리장치
TWM479469U (zh) 監控系統及醫療監控系統
CN106999041A (zh) 用于健康相关问题的管理的智能记录
CN109310330A (zh) 用于医学器械患者测量的系统和方法
JP2005149085A (ja) 看護支援情報システム
KR101534592B1 (ko)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TWM531014U (zh) 醫療輔助系統
CN112002381B (zh) 智能病案数据管理系统
KR102159997B1 (ko) 의료시스템 및 방법
CN111951984B (zh) 智能辅诊系统
JP2001175775A (ja) 携帯型患者確認装置及び患者確認情報管理システム
JP4512338B2 (ja) 医療情報処理システムの制御方法、情報処理装置、および情報処理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