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4592B1 -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4592B1
KR101534592B1 KR1020140003352A KR20140003352A KR101534592B1 KR 101534592 B1 KR101534592 B1 KR 101534592B1 KR 1020140003352 A KR1020140003352 A KR 1020140003352A KR 20140003352 A KR20140003352 A KR 20140003352A KR 101534592 B1 KR101534592 B1 KR 10153459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biometric information
band
hospi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03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동운
Original Assignee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원광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003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3459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459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459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2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e.g. managing hospital staff or surgery roo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pidem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의 접수부터 수납 및 퇴원까지의 병원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접수한 시점부터 환자의 몸에 착용되어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저장관리하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 등이 기록되어 저장관리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하여 병원에서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BUSINESS MANAGEMENT SYSTEM IN HOSPITAL}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의 접수부터 수납 및 퇴원까지의 병원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접수한 시점부터 환자의 몸에 착용되어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저장관리하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 등이 기록되어 저장관리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하여 병원에서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결속을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며,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센서의 접촉을 유지하여 생체정보의 검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한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결제가 완료된 시점에서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가 해제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병원에 방문한 환자는 최초 방문인 경우, 진료 접수증을 작성하게 된다. 이후 2번째 방문부터는 작성된 진료카드(또는 차트) 또는 컴퓨터 등에 저장된 진료 정보를 통해 현재 증상에 따른 진료를 수행한다.
이에 따라, 환자가 병원의 접수과에서 진료를 받기 위해 대기를 해야하고, 또한 의료보험카드 및 접수비를 준비하는 등 실제로 진료받는 시간보다는 대기하는 시간이 많아 비효율적으로 접수 및 진료단계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또한, 병원 측에서는 환자가 작성한 사항을 참조하여 과거의 차트를 찾거나 신규로 차트를 작성하는데 시간을 소비하게 되고, 환자가 많은 시간에 업무가 집중되어 병원업무가 효율적으로 이루어지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다소 해소하기 위해서 공개특허공고 제10-2003-0009755호에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 기술은 환자의 접수부터 결재까지 신용카드를 이용하여 일괄적으로 처리하고 관리하며, 저장된 진료자료 및 처방전에 대한 내용을 인터넷을 통해 환자가 열람할 수 있는 병원 업무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받기 위해 환자의 신상정보 및 기타 인적사항을 접수받아 입력받는 접수수단과; 접수된 환자에 대해 소정의 진료절차를 실행하고 진료결과를 입력하는 진료수단과; 진료결과에 대해 적절한 처치를 하고 처치기록을 입력하는 처치수단과; 진료와 처치 후 진료비에 대해 정산을 하고 결재를 하는 결재수단과; 접수, 진료, 처치 및 결재에 대한 데이터를 입력받아 저장하고 제어하는 서버와; 서버에 연결되어 접수되거나 이미 입력된 환자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환자데이터베이스와; 환자에 대한 진료상황과 자료를 저장하는 진료자료데이터베이스와; 진료 후 환자에 대한 처방기록을 저장하는 처방전데이터베이스와; 서버에 인터넷 등의 통신매체와 연결되어 환자의 의료보험료 납부내용과 의료보험료 청구를 접수받는 의료보험관리공단과; 환자가 제시하는 신용카드에 대해 사용자인증 및 거래승인을 하는 신용카드회사 및; 신용카드회사나 의료보험관리공단에서 입금되는 진료비를 정산하고 지급하는 금융기관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위 기술은 환자 명의 신용카드가 있어야 한다는 조건이 선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신용카드가 없는 경우 위 기술을 적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이에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349호에 무선 주파수 식별 카드는 통한 병원 내 환자 관리 시스템 및 서비스 제공방법이 기재되었다.
위 기술은 응급환자에 대한 위치파악과 병원 내 중요 시설에 대한 비인가 내원환자의 통제를 통한 신속하고 안전한 환자관리의 효율성을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주파수 식별 카드를 통한 병원 내 환자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병원 내 환자 등 피 통제자에게 부여되는 RFID(Ratio Frequency IDentification) 기반의 진료용 전자 태그를 구비하고 이를 인식하여 상황을 전달하도록 통제 권역마다 설치되는 게이트와 상기 RFID카드의 발급과 검색을 위한 입력 및 통신모듈을 마련하는 관리자용 클라이언트 단말기와 상기 게이트로부터 전달받는 상황과 클라이언트 단말기의 전달 신호에 따라 전체적인 RFID 체계를 관리 및 제어하고 데이터베이스 시스템 및 병원 전자의무기록(EMR: Electronic Medical Record) 시스템과 연동하는 서버 시스템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5540호에 근거리 무선통신을 이용한 병원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었다.
위 기술은 근거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하여 환자, 병원 관계자를 식별하고 그 위치를 파악함으로써 병원 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용할 함과 동시에, 환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직원을 호출하여 환자의 위치정보, 환자처리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는 것으로, 제1 지그비장치를 통하여 환자정보를 송신하는 환자 관리 장치; 제2 지그비장치를 통하여 직원정보를 전송하는 직원 관리 장치; 병원에 일정하게 설치되어 좌표화되고, 환자정보, 직원정보를 수신하고 라우팅처리하는 제4 지그비장치를 포함하는 라우터; 및 제4 지그비장치로부터 환자정보, 직원정보를 수신하는 제5 지그비장치를 포함하고, 환자 관리 장치, 직원 관리 장치 중 하나 이상의 위치정보를 생성하며, 병원 운용 정보를 처리하는 관리 컴퓨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위 기술들은 무선 통신장치를 환자가 휴대해야 하는 것으로, 휴대에 따른 번거로움이 있으며, 무선 통신장치의 분실에 의해서 그 기능을 정상적으로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한편, 병원에 내원 또는 입원한 환자는 수시로 환자의 상태를 파악해야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이에, 병원에서는 내원 또는 입원한 환자에 대하여 맥박, 체온 등을 수시로 체크하고 있다.
이러한 맥박 및 체온의 생체정보는 간호사 등이 투입되어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취득하고, 취득된 데이터는 컴퓨터에 입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러나 위와 같은 환자의 생체정보를 기록하는 방법은 환자의 체온 및 맥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때 간호사 또는 보호자가 일일이 체크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생체정보 측정시 환자가 부재중인 경우, 환자의 소재파악을 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이에 정해진 시간에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지 못해 진단 또는 처방이 늦춰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환자의 이상체온 발생시 이를 빠르게 감지할 수 없어 적극적으로 대응하지 못하는 구조적인 문제점이 있다.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통신할 수 있는 의료기기 중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584호에 휴대용 맥박 측정기가 기재되었다.
도 1a은 위에 기재된 휴대용 맥박 측정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그 구성은 손목 부위에 있는 요골동맥에 부착되어 맥박을 측정하는 맥박 측정부; 상기 맥박 측정부에서 측정된 맥박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무선 수신부가 내장된 밴드(1a); 상기 밴드(1a)에 연결되며 무선 수신부로부터 수신된 맥박정보를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1b)가 구비된 본체(1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러한 휴대용 맥박 측정기는 최소한의 신체 압박을 유지한 상태에서 맥박을 측정할 수 있어 맥박 측정시 느끼는 불편함을 최소화할 수 있는 휴대용 맥박 측정기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통신할 수 있는 의료기기 중 다른 하나로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752호에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이 기재되었다.
도 1b는 위에 기재된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나타낸 단면도로, 그 구성은 밴드(2a)의 일측에 체온 감지를 위한 체온센서(2b) 또는 맥박 감지를 위한 맥박센서(2c) 그리고 상기 체온센서(2b)와 맥박센서(2c)의 신호값을 입력받아 저장함은 물론 그 신호값을 태그 리더기를 통해 송수신하게 되는 RFID 태그(2d)가 제공되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은 체온 및 맥박 센서 그리고 RFID 태그를 갖는 밴드를 환자의 인체에 접촉되도록 한 후 환자의 체온과 맥박을 측정 및 저장하도록 하고 또한 단말기를 통해 측정된 정보를 송신하여 이를 통해 건강상태를 분석 및 분석된 자료를 환자에게 제공하여 환자가 자신의 건강상태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종래기술들을 총괄하여 보면, 센서 등을 이용하여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통신수단에 의해 감지된 생체정보를 관리자에게 전송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것은 환자의 피부에 센서를 접촉시킨 뒤 피부와 센서가 접촉되도록 한 상태에서, 환자의 체온 및 맥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그러나 종래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 등에 접촉되어 체결되는 밴드는 환자의 신체 부위에 맞게 그 길이를 가변할 수 없어 센서와 피부의 접촉이 일률적으로 균일하게 접촉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길이 가변이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하더라도, 환자가 체결된 밴드의 잠금상태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어, 결국에는 손목 또는 발목 등의 신체부위와 체온 및 맥박 등의 생체정보를 측정하고자 하는 센서 사이에 이격공간이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센서의 감지 오류가 발생되어 환자의 현재 생체정보와 상이한 생체정보가 관리자에게 전송함으로써, 잘못된 처방이 조치되거나 또는 오진이 발생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즉 종래기술들은 손목 또는 발목 등에 체결되는 밴드의 결속을 환자가 용이하게 제어할 수 있어 밴드의 결속을 해제하는 경우, 이때 관리자는 환자의 생체정보를 수집할 수 없거나 또는 잘못된 생체정보 값을 수집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밴드의 결속 해제시 위급상황이 발생되면, 즉각적인 대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03-0009755호(2003. 02. 05.)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32349호(2009. 04. 01.)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45540호(2009. 05. 08.) 공개특허공보 제10-2012-0047584호(2012.05.14.)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01752호(2009.01.09.)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 하는 과제는 병원에 접수한 시점부터 환자의 몸에 착용되어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저장관리하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 등이 기록되어 저장관리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하여 병원에서의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결속을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며,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센서의 접촉을 유지하여 생체정보의 검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한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
위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은 진료 접수에 따라 환자에 대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상기 환자에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 생체정보 검출 밴드로부터 송출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생체정보를 단말기로 전송하는 리더기; 리더기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 및 관리서버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병원업무정보를 갱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기; 및 단말기와의 통신으로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 및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수신된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관리서버; 를 포함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여기서 병원업무정보는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관리서버의 해제신호에 따라 착용된 상태가 해제가능한 상태로 전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해제신호는 결제가 완료된 경우 발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은 병원에 접수시점부터 환자의 개인 정보 및 질병 정보 등이 기록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착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발생되는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해제할 수 있어 미수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병원 경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솔레노이드에 결속되는 밴드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밴드부를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와 센서의 접촉을 유지하여 생체정보의 감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하고 있다.
도 1a는 종래 휴대용 맥박 측정기의 사시도,
도 1b는 종래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에서 밴드를 도시한 요부 단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사시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블록도,
도 3a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개략적인 블록도,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블록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단면도,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서 본체부의 동작상태도,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서 본체부의 동작상태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요지를 드러내기 위해서 필요하지 않은 사항 즉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가 자명하게 부가할 수 있는 공지 구성에 대해서는 도시하지 않거나, 구체적으로 기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본 발명은 병원에서 환자의 접수부터 수납 및 퇴원까지의 병원 업무를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병원에 접수한 시점부터 환자의 몸에 착용되어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지속적으로 검출하여 저장관리하며,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 등이 기록되어 저장관리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하여 병원에서의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결속을 임의로 해제하지 못하도록 하며,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체결하여 착용할 수 있고, 또한 피부와 센서의 접촉을 유지하여 생체정보의 검출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이용한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결제가 완료된 시점에서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가 해제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첨부된 도면의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면에 따른 본 발명의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은 크게 생체정보 검출 밴드(10), 리더기(20), 단말기(30) 및 관리서버(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진료 접수에 따라 환자에 대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환자에 착용되며,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것으로, 본체부(100) 및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본체부(100)는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 등과 같은 신체에 접촉되어 환자의 체온이나 맥박 등을 감지하고, 이를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것으로,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3a와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블록도를 나타낸 것으로, 본체부(100)의 구성은 크게 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메모리부(140), 전원부(150), 밴드이동통로(160) 및 잠금유닛(17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설계조건에 따라, 본체부(100)의 저면은 신체 접촉면 둘레를 따라 호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손목 또는 발목 등의 신체부위에 접촉시 본체부(100)와 피부의 접촉면적이 증대됨으로써, 본체부(100)에 설치되는 센서부(110)와 피부가 이격되어 발생되는 센서부(110)의 감지 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센서부(110)는 신체부위에 접촉되어 생체정보를 감지하는 것으로, 체온센서모듈(111), 맥박센서모듈(112) 및 모션센서모듈(113) 등 다양한 센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설계조건에 따라서 진동센서모듈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부(110)는 체온, 맥박 및 모션 등의 생체정보를 감지하고, 감지된 생체정보는 제어부(120)를 통해 메모리부(140)에 저장되거나 통신부(130)를 통해 관리서버(40)로 전송되도록 구성된다.
체온센서모듈(111)은 환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환자의 체온을 검출하는 것으로, 적외 온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실시예로 사용, 적외 온도 센서로는 Melexis사의 MLX90615를 사용하여, 적외 온도 센서외 제어부(CPU, 120)와 연결은 2선식 직렬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SMBUS 프로토콜이 사용될 수 있다.
맥박센서모듈(112)은 환자의 맥박을 검출하는 것으로, 도 3b를 이용하여 설명하면, 포토다이오드 어레이와 이를 주파수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맥박센서모듈(112)은 포토다이오드 이외에 Piezo 필름의 압전소자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신호를 증폭하기 위한 증폭회로 등이 더 구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러한 체온센서모듈(11)과 맥박센서모듈(112)을 통해 환자의 체온 및 맥박을 주기적으로 검출됨에 따라 환자의 신체 변화를 용이하게 검출하여 데이터화 할 수 있음은 물론, 검출된 신체정보가 설정된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신속히 대처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모션센서모듈(113)은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는 것으로, 3축 가속도 센서가 사용될 수 있다. 이를 도 3b를 통해 설명하면, 검출된 3축 가속도 센서의 아날로그 값은 ADC에서 디지털 값을 변환하고. 이를 필터링하여 출력한다.
출력되는 데이터는 SPI(Serial to Peripheral Interface)로 제어부(120, CPU)에 전송된다.
모션센서모듈(113)은 환자의 움직임을 검출하여 관리서버(40)로 전송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환자의 움직임이 필요 이상으로 급격하게 변화게 되면 이를 검출하여 전송되게 구성된다. 예를 들면, 침대에서 낙상 사고 등에 따라 급격한 움직임으로 인하여 설정된 범위에서 벗어나는 경우 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토록 구성됨으로써 환자에 대한 안전사고에 신속히 대처할 수 있다.
설계조건에 따라, 센서부(110)는 주기적 또는 지속적으로 환자의 생체정보를 감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센서부(110)에서 검출된 값을 수신하여 각 센서에 대응되는 데이터를 메모리부(140)에 저장하고 설정된 조건에 따라 센서부(110)에서 검출된 값을 통신부(130)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제어부(120)는 Microchip사의 20핀 SSOP PIC16F1829가 사용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의 출력값을 수신하여 이를 무선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IRDA(Infrared Data Association), RF(radio frequency), 블루투스(Bluetooth) 및 무선랜(Wireless LAN) 등 다양하게 적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즉, 무선통신거리와 데이터 전송 속도 및 양에 따라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도 3b에 따른 통신부(130)는 블루투스로 구성된 일실시예를 나타낸 것으로, 블루투스는 2.4GHz ISM(Indestrial Scientific Medical)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며 전송속도는 1Mbps로 10m내에서 각종 단말기들을 접속해서 사용할 수 있다. 블루투스를 이용하여 구성하는 경우 환자의 옷 등에 통신부(130)가 가려져도 통신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메모리부(140)는 환자에 대한 식별코드, 센서부(110)에서 감지된 생체정보 ? 병원업무정보 등이 저장된다.
여기서 식별코드는 환자를 식별할 수 있는 ID, 일련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는 것으로, 환자가 최초 병원에 접수하는 과정에서 고유 코드로 구성되거나 접수할 때마다 부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병원에 환자가 진료를 접수하거나 입원하면 환자에 대응되는 식별코드가 부여되며, 이 식별코드는 메모리부(140)에 저장된다.
이때,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 포함되는 메모리부(140)에는 환자에 대한 병원업무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여기서 병원업무정보는 환자의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 등이 포함된다.
더욱 상세하게는 개인정보는 환자의 대한 이름, 성별, 나이, 주소, 주민번호, 휴대전화번호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질병정보는 완치된 질병, 현재 치료중인 질병, 가족 질병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치료정보는 수술, 시술 정보를 포함하여 질병에 대한 처방전 정보 등이 포함되며, 결제정보는 병원에서 발생된 치료에 대한 수납 및 미수납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가 메모리부(140)에 저장된 상태에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채워진다.
또는 설계조건에 따라 환자의 식별코드만 메모리부(140)에 저장되고,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에 채워진 이후에 무선통신으로 병원업무정보가 메모리부(140)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부(150)는 밴드부(100)의 구동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저장하는 배터리와 배터리의 출력 전원을 각 구성에 적합한 전원으로 변환하는 전원공급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터리는 Li-Polymer Battery가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Li-Polymer Battery는 3.7V 800mA 2차 전지로 구성되고 필요에 따라 2개를 병렬로 연결하여 1600mA가지 사용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배터리는 외부 전원의 인가에 따라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SB 전원 또는 외부 5V 전원을 인가할 수 있는 단자를 구비하여 배터리는 충전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밴드이동통로(160)는 후술되는 밴드부(200)가 관통되는 통로이다.
이때, 밴드이동통로(160)는 삽입되는 밴드부(200)의 단면보다 같거나 또는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에 밴드부(200)가 용이하게 삽입될 수 있다.
잠금유닛(17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된 밴드부(200)가 인출되는 것을 단속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71), 플런저(172), 힌지(173), 걸림돌기(174) 및 스프링(175)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솔레노이드(171)는 전원을 인가하면 코일에 전류가 흐르며 자기장이 발생되는 것으로,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플런저(172)는 일부 외측에 코일이 감겨져 형성된 것으로, 솔레노이드(171)에 인가된 전원에 의해 직선운동을 한다.
즉 플런저(172)는 인가되는 전원에 의해 솔레노이드(171) 외측으로 노출되는 길이가 가변된다.
이러한 플런저(172)는 길이 가변시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되는 밴드부(2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걸림부(210)에 걸림됨으로써, 밴드부(200)를 결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때, 플런저(172)는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단면이 상부에서 하부로 경사진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힌지(173)는 솔레노이드(171)를 힌지축으로부터 회동되도록 한다.
걸림돌기(174)는 솔레노이드(171)의 외측으로 돌출 형성된다.
스프링(175)은 걸림돌기(174)에 접촉되도록 설치되어 솔레노이드(171)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175)의 탄성에 의해 걸림돌기(174)를 압박하면 힌지축을 중심으로 솔레노이드(171)는 회동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단면도를 나타낸 것으로, 첨부된 도면을 통해 설명한다.
밴드부(200)는 플렉시블한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싼 후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이러한 밴드부(200)의 외주면은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되는 방향으로 함몰되어 경사진 걸림홈(210)이 다수 개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밴드부(200)는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시, 힌지(173)를 중심으로 회동되는 플런저(172)의 하부와 밴드부(200)의 외주면이 접촉되어 원활하게 삽입되고, 밴드부(200)의 삽입이 정지되면 스프링(177)의 탄성에 의해 플런저(172)의 선단이 걸림홈(210)에 삽입되어 결속된다.
즉 플런저(172)의 선단이 걸림홈(210)에 삽입되어 밴드부(200)의 인출을 단속하게 된다.
이하, 도 5a 내지 도 5d를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서 본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가 삽입되면 밴드부(300)의 두께에 의해서 플런저(172)를 상부로 밀어올리게 된다.
즉 밴드부(200)의 끝단이 플런저(172)를 밀어올림에 따라 힌지(173)를 중심으로 솔레노이드(17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된다.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드부(200)가 삽입되면 솔레노이드(171)는 힌지(173)를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동되되, 스프링(175)이 걸림돌기(174)를 압박함으로써, 솔레노이드(171)는 힌지(173)를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동되는 힘이 발생된다.
이때, 플런저(172)의 선단은 밴드부(200)의 외주면과 접촉되며 밴드부(2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드부(200)의 삽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 후 플런저(172)가 걸림홈(210)에 위치하는 경우, 스프링(175)의 탄성에 의해 걸림홈(210)과 플런저(172)가 상호 맞물리면서 결속된다.
이러한 과정은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의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기까지 반복되며, 플런저(172)가 걸림홈(210)에 걸림됨으로써, 밴드부(2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의 인출은 방지된다.
즉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의 삽입은 원활하게 하며, 동시에 밴드부(200)의 인출을 단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 등의 신체부위에 맞게 밴드부(20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신체부위와 센서가 접촉되도록 하여 센서의 감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밴드부(200)를 분리하고자 하는 경우, 도 5d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관리서버(40)로부터 해제신호를 전송받으면, 제어부(120)는 잠금유닛(170)에 전기적 신호를 전송하고, 플런저(172)가 후퇴된다. 이에 따라서 플런저(172)가 걸림홈(210)으로부터 이격되어 밴드부(200)가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이에, 밴드부(200)를 인입되는 반대 방향으로 인출하여 환자와의 결속이 해제된다.
도 6a 내지 도 6c는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에서 본체부의 동작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 내지 도 5d에서 이미 서술한 내용 중에서 중복되는 부분은 서술하지 않았음을 밝혀둔다.
도 6a 및 도 6c에 따른 잠금유닛(170)은 본체부(100)의 내부에 설치되어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된 밴드부(200)를 결속되도록 하는 것으로, 솔레노이드(171), 플런저(172) 및 텐션부재(176)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솔레노이드(171)는 본체부(100)의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플런저(172)가 밴드부(200)에 형성된 걸림부(210)에 걸림됨으로써, 밴드부(200)를 결속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텐션부재(176)는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상으로 이루어지되, 그 중간 부분이 상부방향으로 볼록하게 휘어진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텐션부재(176)는 밴드부(200)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밴드부(200)를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압박함으로써, 플런저(172)가 걸림부(210)에 걸림되어 밴드부(200)를 결속되도록 한다.
이하,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의 동작상태를 설명한다.
도 6a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드이동통로(160)의 저부에 텐션부재(176)가 구성되며, 그 상부에는 플런저(172)를 구비한 잠금유닛(170)이 구성된다.
밴드부(200)가 밴드이동통로(160)에 삽입되면서, 밴드부(200)는 플런저(172)의 압박에 의해 플런저(172)와 접촉하는 밴드부(200)는 하측으로 압박하게되나 그 하부에 텐션부재(176)에 의해서 하측방향으로 휘어지게 된다.
이에, 플렉시블한 재질의 밴드부(200)는 플런저(172)와 접촉되는 곳에서 텐션부재(176)를 가장 큰 힘을 받으나 억지 끼움에 의해서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가 삽입될 수 있다.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밴드부(200)가 삽입되면 텐션부재(176)는 밴드부(200)의 저면을 압박함으로써, 밴드부(200)를 밀어올리는 힘이 발생하는데, 이러한 힘에 의해 걸림홈(210)이 플런저(172)에 위치하는 경우, 텐션부재(176)의 텐션에 의해 걸림홈(210)과 플런저(172)가 상호 맞물리면서 결속된다.
즉 밴드부(200)는 플런저(172)에 의해 걸림상태가 되어 밴드이통통로(160)로부터 인출이 방지된다.
이러한 과정은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의 삽입이 완전히 이루어지기까지 반복되며, 플런저(172)가 걸림홈(210)에 걸림됨으로써, 밴드부(200)가 삽입되는 반대방향으로의 인출은 방지된다.
즉 밴드이동통로(160)에 밴드부(200)의 삽입은 원활하게 하며, 동시에 밴드부(200)의 인출을 단속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환자의 손목 또는 발목 등의 신체부위에 맞게 밴드부(200)의 삽입 길이를 조절하여 결속되도록 함으로써, 신체부위와 센서가 접촉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센서의 감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반대로, 밴드부(200)는 관리서버(40)의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해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된다.
이를, 도 6c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관리서버(40)로부터 해제신호를 전송받으면, 플런저(172)는 후퇴되어 걸림홈(210)에서 인출된다.
이에, 밴드부(200)의 결속이 해제됨으로써, 밴드부(200)가 인출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정보 검출 밴드는 본체부(100)에 결속되는 밴드부(200)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밴드부(200)를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체결이 가능하며, 또한 피부와 센서부(110)의 접촉을 유지하여 센서의 감지오류를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로부터 신호를 전송받아 밴드부(200)의 결속을 제어함으로써, 환자의 관리가 용이하다.
이와 같이 본체부(100)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각각의 구성은 설계조건에 따라 모듈을 통합하거나 하나의 칩(Chip)으로 구현하여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메모리부(140)는 시스템 온 칩(SOC, System On Chip)으로 제조되어 구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리더기(20)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와 무선통신을 수행하여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부터 송출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생체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한다. 또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환자에게 부여된 식별코드도 수신하여 단말기(30)로 전송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병원업무정보가 저장된 경우, 병원업무정보도 수신하여 단말기(30)로 전송하며, 반대로 단말기(30)에서 송출되는 자료를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 전송하는 기능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리더기(20)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와 단말기(30) 사이에 구성되어 데이터의 상호 전송을 수행한다.
또한 리더기(20)는 병원 출입구 측에도 설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를 착용한 상태에서 환자가 병원 외부로 나가는 경우, 리더기(20)는 RFID 태그(120)를 인식하여 경보음을 발생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환자가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를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로 나가게 되면 경보음이 발생하여 주위에 알림으로써 환자의 출입에 따른 관리를 수행할 수 있으며, 병원 경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
단말기(30)는 리더기(20)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 및 관리서버(40)에 저장된 환자의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병원업무정보를 갱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것으로, 컴퓨터 및 PDA 등으로 구성된다.
부연하면, 단말기(30)는 리더기(20)가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부터 전송되는 환자에 대한 식별코드, 생체정보를 수신하고, 식별코드에 대한 병원업무정보를 관리서버(4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병원업무정보는 리더기(20)로부터 수신하여 표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때, 단말기(30)는 의사가 환자의 병원업무정보에 근거하여 환자를 진찰하면서 발생된 이벤트(소견, 처방, 치료)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접수계 및 수납계에도 구비되어 접수에 따른 정보를 입력하거나 수납에 따른 정보 등을 입력하도록 구성된다.
이때, 1명의 환자에 대하여 복수의 검진이 요구되는 경우, 환자는 여러 곳의 진료과를 거치면서 진료를 받게 된다. 또한 2명 이상의 의사가 서로 협진하는 경우, 제1 의사는 제2 의사의 소견을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대형 병원의 경우 환자는 층수를 오르내리거나 여러 진료과를 거치면서 다양한 검진 및 치료를 받게 되는데, 다음 순번의 진료를 받거나 치료를 받아야 하는 곳을 종래에는 메모 용지를 이용하여 환자에게 안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의사가 다음 진료를 받아야 하는 안내를 단말기(30)에 입력하면 이 정보를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표시되도록 하여 환자에게 안내하도록 구성된다.
예를 들어, 의사가 환자의 단층촬영 영상을 참조하고 싶은 경우, 영상의학과로 안내하여 단층 영상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단층촬영이 완료되면 다시 의사를 찾아가도록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표시되도록 구성된다.
단말기(30)를 통해 환자에 대한 병원업무정보가 갱신되면, 갱신된 정보는 리더기(20)를 통해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전송되어 업데이트되거나 또는 관리서버(40)에 전송되어 환자에 대한 병원업무정보가 갱신된다.
관리서버(40)는 병원에서 이루어지는 환자에 대한 정보 즉, 환자의 병원업무정보가 저장 관리되는 것으로, 단말기(30)로부터 수신된 병원업무정보로 해당되는 환자의 병원업무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또한 수납계에서 수납이 결제가 완료된 경우,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의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신호를 단말기(30)로 전송하고, 해제신호를 수신한 단말기(30)는 이 신호를 리더기(20)로 전송한다.
다음으로, 리더기(20)는 수신된 해제신호를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 전송하여 잠금 설정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의 잠금을 해제한다.
또한 관리서버(40)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서 전송된 환자의 생체정보가 기준치를 초과하거나 미달되는 경우, 즉 수신된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도록 하여 의사 또는 간호사 등에 해당 환자의 이상 여부를 경고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잠금이 해제된 해당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저장된 병원업무정보는 리더기(20) 및 단말기(30)를 순차적으로 거치면서 관리서버(40)에 저장 관리되고,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저장되었던 모든 정보(병원업무정보 및 환자의 식별코드)는 삭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정보가 삭제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다음의 환자에 해당하는 식별코드 및 병원업무정보가 저장되어 해당 환자에게 착용된다.
이러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를 이용한 병원업무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병원에 방문하여 접수가 이루어지면, 해당 환자의 식별코드 및 병원업무정보가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전송되어 저장된다.
식별코드 및 병원업무정보가 저장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환자의 몸에 착용된다.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잠금유닛(140)에 의해 해제되지 않으며, 환자로부터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일정 기간마다 검출된 생체정보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입원환자 및 외래환자 모두에 적용된다.
환자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표시된 장소로 이동하여 검사 및 치료 등 병원업무에 관한 절차를 수행한다.
검사 및 치료 등의 진료를 받는 과정에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가 리더기(20)에 근접하면, 리더기(20)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부터 수신된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단말기(30)에 표시한다. 이에 따라 의사 및 간호가 등은 단말기(30)에 표시되는 정보로부터 환자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병원업무정보를 갱신한다.
여기서 설계조건에 따라서는 병원업무정보는 관리서버(40)에만 저장될 수 있고,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와 관리서버(40)에 모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병원업무정보가 관리서버(40)에만 저장된 경우, 리더기(20)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부터 환자의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단말기(30)에 전송하고, 단말기(30)는 해당 식별코드에 해당되는 환자의 병원업무정보를 관리서버(40)에서 검출하여 단말기(30)에 표시된다.
위와 같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언제라도 해당 환자의 생체정보는 수시로 검출하여 관리서버(40)로 전송되며, 관리서버(40)는 수신된 생체정보가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를 발생한다. 이러한 조치에 따라 해당 환자에 대하여 응급처치를 수행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설계조건에 따라서 리더기(20)에 위치 정보를 포함하도록 하여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와 통신이 이루어진 리더기(20)의 위치를 파악하고 이상 여부가 검출된 환자의 위치를 관리서버(40)를 통해 확인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환자에 대한 검사 및 진료가 완료, 즉 병원업무가 종료되면, 생체정보 검출 밴드(10)에 수납계로 이동을 표시하여 수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수납계에 구비된 단말기(30)에서 해당 환자에 대한 진료 비용이 결제되면, 관리서버(40)는 환자에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 잠금을 해제하는 해제신호를 송출한다.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해제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잠금유닛(140)을 제어하여 밴드부(200)가 인출될 수 있는 상태로 전환되고, 밴드부(200)의 인출이 완료되면,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초기화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은 병원에 접수시점부터 환자의 개인 정보 및 질병 정보 등이 기록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착용하여 단말기를 통해 환자의 정보를 취득할 수 있으므로, 병원에서 발생되는 업무를 일괄적이며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수납이 완료된 상태에서 착용된 생체정보 검출 밴드를 해제할 수 있어 미수금의 발생을 최소화할 수 있어 병원 경영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으며, 솔레노이드에 결속되는 밴드부의 길이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어, 밴드부를 손목 또는 발목의 다양한 크기에 맞게 결속할 수 있으며, 또한 피부와 센서의 접촉을 유지하여 생체정보의 감지 오차를 최소화할 수 있다.
한편, 상기에서 도 1 내지 도 6c를 이용하여 서술한 것은, 본 발명의 주요 사항만을 서술한 것으로, 그 기술적 범위 내에서 다양한 설계가 가능한 만큼, 본 발명이 도 1 내지 도 6c의 구성 및 기능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자명하다.
10: 생체정보 검출 밴드 20: 리더기
30: 단말기 40: 관리서버
100: 본체부 110: 센서부
120: 제어부 130: 통신부
140: 메모리부 150: 전원부
160: 밴드이동통로 170: 잠금유닛
171: 솔레노이드 172: 플런저
173: 힌지 174: 걸림돌기
175: 스프링 176: 텐션부재
200: 밴드부 210: 걸림홈

Claims (5)

  1. 진료 접수에 따라 환자에 대한 식별코드가 부여되어 상기 환자에 착용되며,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를 검출하여 송출하는 생체정보 검출 밴드(10);
    상기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로부터 송출되는 생체정보를 수신하며, 수신된 생체정보를 단말기(30)로 전송하는 리더기(20);
    상기 리더기(20)로부터 수신된 생체정보 및 관리서버(40)에 저장된 상기 환자의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표시하며, 입력장치를 통해 상기 병원업무정보를 갱신 가능하게 구성되는 단말기(30); 및
    상기 단말기(30)와의 통신으로 상기 환자의 생체정보 및 병원업무정보를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며, 상기 수신된 생체정보에 이상이 있는 경우 이를 표시하는 관리서버(40); 를 포함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생체정보 검출 밴드(10)는,
    생체정보를 감지하여 상기 리더기로 전송하는 본체부(100); 및
    상기 본체부(100)의 일측에 결합되어 연장되며, 손목 또는 발목을 감싼 후 상기 본체부(100)의 타측에 결속되는 밴드부(200);를 포함하여,
    결제가 완료된 경우 발생되는 상기 관리서버(40)의 해제신호에 따라 착용된 상태가 해제가능한 상태로 전환되고,
    상기 본체부(100)는 상기 관리서버(40)로부터 해제신호를 전송받아 상기 밴드부(200)의 결속을 해제하는 잠금유닛(170)이 포함되되,
    상기 잠금유닛(170)은,
    전원이 인가되면 전기에너지를 기계적 직선운동으로 변화시키는 솔레노이드(171);
    상기 솔레노이드(171)에 연결되어 솔레노이드(171)에 의해 직선운동되는 플런저(172);
    상기 솔레노이드(171)를 회동시키는 힌지(173);
    상기 솔레노이드(171)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돌기(174);
    상기 걸림돌기(174)에 접촉되도록 설치되고 상기 솔레노이드(171)를 상부에서 하부로 압박하는 스프링(175); 및
    상기 본체부(100) 내부에 판형상으로 이루어져 상기 밴드부(200)의 하측면에 접촉되어 밴드부(200)를 하부측에서 상부측으로 압박하는 텐션부재(17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병원업무정보는,
    개인정보, 질병정보, 치료정보 및 결제정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40003352A 2014-01-10 2014-01-10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KR10153459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52A KR101534592B1 (ko) 2014-01-10 2014-01-10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003352A KR101534592B1 (ko) 2014-01-10 2014-01-10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34592B1 true KR101534592B1 (ko) 2015-07-08

Family

ID=537918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03352A KR101534592B1 (ko) 2014-01-10 2014-01-10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3459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4424A (zh) * 2018-10-27 2019-03-29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住院监管方法及相关设备
CN112037899A (zh) * 2020-09-04 2020-12-04 杭州翼心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平台的上、下级医生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KR20210069565A (ko) * 2019-12-03 2021-06-11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728A (ko) * 2002-03-18 2004-10-21 프리시젼 다이나믹스 코포레이션 식별 장치
JP2008073462A (ja) * 2006-09-25 2008-04-03 Seiko Instruments Inc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20090001752A (ko) * 2007-05-17 2009-01-09 (주)유틸리온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110049011A (ko) * 2009-11-04 2011-05-12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신호 감지형 인체착용 벤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89728A (ko) * 2002-03-18 2004-10-21 프리시젼 다이나믹스 코포레이션 식별 장치
JP2008073462A (ja) * 2006-09-25 2008-04-03 Seiko Instruments Inc 認証装置、及び認証方法
KR20090001752A (ko) * 2007-05-17 2009-01-09 (주)유틸리온 센서 감응형 rfid 태그가 적용된 환자용 밴드를 이용한 환자의 실시간 관리 시스템
KR20110049011A (ko) * 2009-11-04 2011-05-12 (주)아이블포토닉스 생체신호 감지형 인체착용 벤드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44424A (zh) * 2018-10-27 2019-03-29 平安医疗健康管理股份有限公司 一种基于生物特征识别的住院监管方法及相关设备
KR20210069565A (ko) * 2019-12-03 2021-06-11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KR102661119B1 (ko) * 2019-12-03 2024-04-26 안소윤 면상발열체 및 이를 채용한 휴대용 온열찜질장치
CN112037899A (zh) * 2020-09-04 2020-12-04 杭州翼心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基于互联网平台的上、下级医生管理系统及其管理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90295096A1 (en) Smart watch and operating method using the same
US7853457B2 (en) Automatic identification for spot measurements
US20160012249A1 (en) Method for collecting and securing physiological, biometric and other data in a personal database
US10452875B2 (en) Using RFID devices integrated or included in the packaging of medical devices to facilitate a secure and authorized pairing with a host system
JP6482864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101534592B1 (ko) 병원 업무 관리 시스템
US20150066532A1 (en) Mobile information and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use thereof
KR20140107945A (ko) 헬스케어 시스템 및 방법
Hanson et al. Emerging technologies to support independent living of older adults at risk
Lin et al. Development of an ease-of-use remote healthcare system architecture using RFID and networking technologies
KR101816512B1 (ko) 간호 카트를 이용한 간호 정보 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09075871A (ja) 看護業務管理システム
KR102523530B1 (ko) 병실관리장치
US11089957B2 (en) Sensor
US1121115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identification and medical information from a subject
Supriya et al. Near field communication based system for health monitoring
JP6864280B1 (ja) 医療施設における非接触入退館管理システム、サーバ、プログラム、及び入退館管理装置
JP2005245828A (ja) 携帯医療端末及び携帯医療端末を用いた医療支援システム
KR101701214B1 (ko) 환자 이동 경로 안내 시스템
JP2017182721A (ja) 緊急時情報取得システム及び緊急時情報取得端末
JP6522335B2 (ja) 看護支援端末装置、看護支援システム、ならびに、看護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WM517881U (zh) 遠距醫療量測管理設備
US20120101848A1 (en) Portable personal health record data processing system
Dixit et al. RFID based health assistance & monitoring system through a handmounted embedded device
JP2001175775A (ja) 携帯型患者確認装置及び患者確認情報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