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1534A -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 Google Patents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1534A
KR20170111534A KR1020160037173A KR20160037173A KR20170111534A KR 20170111534 A KR20170111534 A KR 20170111534A KR 1020160037173 A KR1020160037173 A KR 1020160037173A KR 20160037173 A KR20160037173 A KR 20160037173A KR 20170111534 A KR20170111534 A KR 201701115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ainage
trench
plate
lid member
dr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71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규
Original Assignee
김영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규 filed Critical 김영규
Priority to KR102016003717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70111534A/ko
Publication of KR20170111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153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07Floor drains for indoor use
    • E03F5/0409Devices for preventing seepage around the floor drain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FSEWERS; CESSPOOLS
    • E03F5/00Sewerage structures
    • E03F5/04Gullies inlets, road sinks, floor drains with or without odour seals or sediment traps
    • E03F5/041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는,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트렌치에 결합되는 것으로, 트렌치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게 또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통; 인접된 양측 배수홈통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덮개부재; 연결덮개부재를 받치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 배수홈통의 상부에 덮혀져 결합되는 배수덮개;를 포함한다.
이에 따르면, 주방,화장실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에 하수구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되 트렌치 주변의 콘크리트로 물이 스며드는 폐단을 막기 위해 트렌치 주변에는 바닥 상면에 다수의 물받이부재를 매설하고, 물받이부재에 배수그릴을 결합시키고 물받이부재와 배수그릴은 겹치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바닥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Drainage Trench Assembly for Preventing Water Leakage and Drainage Trench Construction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욕실 등에서 배수로에 설치되며 콘크리트 바닥에 물기가 스며들지 않도록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배수트렌치는 바닥에 흐르는 오수를 어느 한 쪽 구석에 설치되는 하수구로 유도하기 위하여 욕실, 화장실, 베란다 등의 바닥에 설치되는 배수시설로, 통상 바닥에 흐르는 오수를 바닥 보다 낮게 형성된 배수로를 통해 하수구로 유도하여 배수시 킬 수 있도록 욕실 등의 바닥 일측에 매립된다.
이와 같은 배수트렌치는 대체로 욕실 등의 바닥보다 배수로를 형성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 일측변 또는 양측변에서 수직 상방으로 연장되어 배수로의 한 쪽 측벽 또는 양 측벽을 형성하는 측판부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바닥부에는 배수 공이 형성되어 배수로내 오수를 집수하여 그 아래에 형성된 하수구에 유도하면서 배수되는 오수의 일부를 저수하여 그 저수된 오수에 의해 하수관을 바깥쪽과 공간적으로 차단함으로써 하수관으로부터 악취 등이 역류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배수트랩이 설치된다.
배수트렌치의 배수공에 끼워지는 배수트랩을 고정하기 위한 종래 배수트렌치의 배수트랩 고정구조는 누수 방지를 위하여 배수트랩 상부둘레에 성형된 플랜지부를 접착제로써 배수공 내주면을 따라 형성된 접합턱에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었다.
국내 특허출원 10-2012-0134171호에는 「트렌치 누수방지용 보강재 및 그 시공방법」이 개시된 바 있다.
한편 종래 기술은 바닥에 트렌치를 형성하고, 이 트렌치를 덮는 배수커버로 구성되고, 트렌치의 상단에는 타일이 시공되고, 타일과 트렌치가 연결되는 부위는 시멘트로 메꿈처리하여 메지부를 형성하였는데 오랜 시간 타일 표면을 흘러 배수로에 흘러드는 물이 메지부에 스며들게 된다.
메지부에 스며든 물기는 콘크리트 바닥을 부식시키고, 아울러 타일의 접합부위도 부식시켜 타일이 깨지거나 들뜨게 되는 문제점을 야기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주방,화장실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에 하수구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되 트렌치 주변의 콘크리트로 물이 스며드는 폐단을 막기 위해 트렌치 주변에는 바닥 상면에 다수의 물받이부재를 매설하고, 물받이부재에 배수그릴을 결합시키고 물받이부재와 배수그릴은 겹치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바닥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은,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공이 형성된 트렌치에 결합되는 트렌치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트렌치의 내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걸침턱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판과, 상기 경사판의 외주연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으로 형성되어 트렌치에 직각이 되게 결합되는 다수개의 배수홈통; 상기 다수개의 배수홈통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이격된 2개의 배수홈통의 측단부의 외면에 각기 밀착되는 양측 수직벽과 수직벽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판으로 구성되는 연결덮개부재; 하부판은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되고, 하부판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주판으로 구성되며, 지주판이 양측에 각기 배치된 배수홈통의 측판 외면에 부착되며, 지주판의 상단이 상기 연결덮개부재의 수평판을 받치도록 결합되는 받침부재; 상기 배수홈통의 상부 개구부에 덮여져 결합되며 양측의 연결덮개부재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 배수덮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배수홈통과, 복수의 배수홈통을 연결하는 연결덮개부재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단에 삽입홈이 형성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마감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연결덮개부재는 수평판에 받침부재가 결합되어 받치도록 다수의 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수직벽의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걸림턱이 형성되는 것이며, 상기 걸림턱에 배수덮개의 일측이 얹혀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판; 상기 하부판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주판;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판은 상단부에는 연결덮개부재의 슬릿에 끼워지는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의 양측에는 연결덮개부재의 슬릿 양측의 수평판이 안착되는 단차부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받침부재의 지주판의 상부 측면은 배수홈통의 측판 외면에 용접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주방,화장실 등 물을 많이 사용하는 장소의 바닥에 하수구를 갖는 트렌치를 형성하되 트렌치 주변의 콘크리트로 물이 스며드는 폐단을 막기 위해 트렌치 주변에는 바닥 상면에 다수의 물받이부재를 매설하고, 물받이부재에 배수그릴을 결합시키고 물받이부재와 배수그릴은 겹치는 방식으로 결합시켜 물이 스며들지 못하도록 하여 콘크리트 바닥의 습기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하기에서 설명될 실시예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함을 밝혀둔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가 적용된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나타낸 일부 확대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을 나타낸 공정 흐름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는,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공(120)이 형성된 트렌치(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트렌치(100)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게 또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통(2); 인접된 양측 배수홈통(2)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덮개부재(4); 연결덮개부재(4)를 받치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6); 그리고 배수홈통(2)의 상부에 덮혀져 결합되는 배수덮개(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트렌치(100)의 상부에는 물은 배수시킬 수 있고 사람이 밟고 지나다닐 수 있도록 배수커버(도시하지 않음.)가 결합된다.
상기 배수홈통(2)은, 상기 트렌치(100)의 내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걸침턱(2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판(24)과, 상기 경사판(24)의 외주연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26)으로 형성되어 트렌치(100)에 직각이 되게 결합된다.
상기 연결덮개부재(4)는 다수개의 배수홈통(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이격된 2개의 배수홈통(2)의 측단부의 외면에 각기 밀착되는 양측 수직벽(42)과, 수직벽(42)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판(44)으로 구성된다.
상기 받침부재(6)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판(62)과, 하부판(62)의 상면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주판(64)으로 구성된다.
상기 지주판(64)이 양측에 각기 배치된 배수홈통(2)의 측판 외면에 부착되며, 지주판(64)의 상단이 상기 연결덮개부재(4)의 수평판(44)을 받치도록 결합된다.
상기 배수덮개(8)는 배수홈통(2)의 상부 개구부에 덮여져 결합되며 양측의 연결덮개부재(4)에 양단부가 지지되고 다수의 배수공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덮개부재(4)는 수평판(44)에 받침부재(6)가 결합되어 받치도록 다수의 슬릿(46)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수직벽(42)의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배수홈통(2)의 양측에 각기 연결덮개부재(4)가 결합되고, 배수홈통(2)의 내측 양벽면에는 영축 연결덮개부재(4)의 걸림턱(48)이 대향되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이렇게 대향 형성된 양측 걸림턱(48)에 배수덮개(8)의 양측단이 얹혀져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받침부재(6)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판(62); 상기 하부판(62)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주판(64);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판(64)은 상단부에는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에 끼워지는 돌기(66)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66)의 양측에는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 양측의 수평판(44)이 안착되는 단차부(6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상기 받침부재(6)의 지주판(64)의 상부 측면은 배수홈통(2)의 측판 외면에 스폿 용접(w)에 의해 일체가 되도록 용착된다.
또한 상기 복수의 배수홈통(2)과, 복수의 배수홈통(2)을 연결하는 연결덮개부재(4)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단에 삽입홈(92)이 형성되고,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마감부재(9)가 더 포함된다.
측면마감부재(9)는 벽면에 부착됨으로써 물이 튀더라도 벽면에 스며들지 않도록 차단하게 되어 누수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에 대해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1단계(S1)
주방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직사각형으로 파서 트렌치(100)를 형성하고, 트렌치(100)의 저면에 배수공(120)을 형성한다.
2단계(S2)
트렌치(100)의 양측에 배수홈통(2)의 걸침턱(22)이 걸리도록 하여 양측에 다수개의 배수홈통(2)을 설치한다.
걸침턱(22)은 트렌치(100)의 측벽에 밀착되게 설치된다.
3단계(S3)
각각의 배수홈통(2) 사이에 받침부재(6)를 배치하되 하부판(62)의 상부 측면을 배수홈통(2)의 측판 외면에 스폿 용접시켜 일체가 되도록 한다.
4단계(S4)
연결덮개부재(4)를 양측 배수홈통(2) 사이에 덮어 씌워서 수직벽(42)이 각 배수홈통(2)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에 받침부재(6)의 돌기(66)가 끼워져 결합된 후 용접시킨다.
5단계(S5)
배수홈통(2)의 상부에 배수덮개(8)를 얹어서 결합시킨다.
6단계(S6)
조립된 배수홈통(2) 및 연결덮개부재(4)의 일단부에 측면마감부재(9)를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마감부재(9)를 주방 또는 화장실 벽면 하부에 밀착 시공한다.
따라서 주방 또는 화장실 바닥 콘크리트 상면에는 배수덮개(8)와, 연결덮개부재(4)의 수평판(44)만 노출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물이 콘크리트에 스며드는 원인을 원천적으로 배제할 수 있으므로 누수에 의한 콘크리트 부식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비록 본 발명이 상기 언급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되어졌지만, 발명의 요지와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한 것은 당업자라면 용이하게 인식할 수 있을 것이며, 이러한 변경 및 수정은 모두 첨부된 청구의 범위에 속함은 자명하다.
2 : 배수홈통 4 : 연결덮개부재
6 : 받침부재 8 : 배수덮개
9 : 측면마감부재 92 : 삽입홈
22 : 걸침턱 24 : 경사판
26 : 측벽 42 : 수직벽
44 : 수평판 62 : 하부판
64 : 지주판 100 : 트렌치
120 : 배수공

Claims (6)

  1.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파여져 직사각형으로 형성되며 저면에 배수공(120)이 형성된 트렌치(100)에 결합되는 것으로,
    트렌치(100)의 양측에 직교되도록 결합되며 서로 마주보게 또는 서로 엇갈리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배수홈통(2);
    인접된 양측 배수홈통(2)을 연결하도록 결합되는 연결덮개부재(4);
    연결덮개부재(4)를 받치도록 지면에 안착되는 복수개의 받침부재(6);
    그리고 배수홈통(2)의 상부에 덮혀져 결합되는 배수덮개(8);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홈통(2)은
    상기 트렌치(100)의 내측벽의 외면에 밀착되는 걸침턱(22)이 일측에 형성되고, 상방으로 경사지는 경사판(24)과, 상기 경사판(24)의 외주연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측벽(26)으로 형성되어 트렌치(100)에 직각이 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덮개부재(4)는
    다수개의 배수홈통(2) 사이의 공간에 설치되며,
    이격된 2개의 배수홈통(2)의 측단부의 외면에 각기 밀착되는 양측 수직벽(42)과, 수직벽(42)의 상단에 형성되는 수평판(44)을 포함하고,
    상기 수평판(44)에 받침부재(6)가 결합되어 받치도록 다수의 슬릿(46)이 형성되고,
    상기 양측 수직벽(42)의 하단이 수평하게 절곡되어 걸림턱(48)이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6)는 콘크리트 바닥면에 지지되는 하부판(62);
    상기 하부판(62)의 상부에 수직하게 형성되는 지주판(64);으로 구성되고,
    상기 지주판(64)은 상단부에는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에 끼워지는 돌기(66)가 형성되고,
    상기 돌기(66)의 양측에는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 양측의 수평판(44)이 안착되는 단차부(68)가 형성되어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개의 배수홈통(2)과,
    상기 다수개의 배수홈통(2)을 연결하는 연결덮개부재(4)의 일단에 결합되도록 하단에 삽입홈(92)이 형성되어 벽면에 부착되는 측면마감부재(9)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6. 제 1항 내지 제 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이용하는 시공방법에 있어서,
    주방 또는 화장실 바닥면에 일정 깊이로 직사각형으로 파서 트렌치(100)를 형성하고, 트렌치(100)의 저면에 배수공(120)을 형성하는 1단계(S1);
    트렌치(100)의 양측에 배수홈통(2)의 걸침턱(22)이 걸리도록 하여 양측에 다수개의 배수홈통(2)을 설치하고, 걸침턱(22)은 트렌치(100)의 측벽에 밀착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2단계(S2);
    각각의 배수홈통(2) 사이에 받침부재(6)를 배치하되 하부판(62)의 상부 측면을 배수홈통(2)의 측판 외면에 스폿 용접시켜 일체가 되도록 하는 3단계(S3);
    연결덮개부재(4)를 양측 배수홈통(2) 사이에 덮어 씌워서 수직벽(42)이 각 배수홈통(2)의 내측 벽면에 밀착되도록 하고, 연결덮개부재(4)의 슬릿(46)에 받침부재(6)의 돌기(66)가 끼워져 결합된 후 용접시키는 4단계(S4);
    배수홈통(2)의 상부에 배수덮개(8)를 얹어서 결합시키는 5단계(S5);
    조립된 배수홈통(2) 및 연결덮개부재(4)의 일단부에 측면마감부재(9)를 결합시키고, 상기 측면마감부재(9)를 주방 또는 화장실 벽면 하부에 밀착 시공하는 6단계(S6);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KR1020160037173A 2016-03-28 2016-03-28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KR2017011153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73A KR20170111534A (ko) 2016-03-28 2016-03-28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7173A KR20170111534A (ko) 2016-03-28 2016-03-28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1534A true KR20170111534A (ko) 2017-10-12

Family

ID=601403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7173A KR20170111534A (ko) 2016-03-28 2016-03-28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7011153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258A (zh) * 2019-03-27 2019-07-02 江苏七欣天餐饮管理连锁有限公司 一种快速高效集成地面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958258A (zh) * 2019-03-27 2019-07-02 江苏七欣天餐饮管理连锁有限公司 一种快速高效集成地面
CN109958258B (zh) * 2019-03-27 2023-11-24 江苏七欣天餐饮管理连锁有限公司 一种集成地面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17644B2 (en) Drain and a building structure having a drain
KR20170111534A (ko) 누수 방지용 배수 트렌치 조립체 및 이를 이용한 배수 트렌치 시공방법
KR20150096630A (ko) 방수형 이중 그리스 트랩
JPH036703Y2 (ko)
KR100882439B1 (ko) 악취 역류 방지용 배수 트렌치
JP6510811B2 (ja) オーバーフロー継手
KR100634759B1 (ko) 트렌치를 구비한 배수트랩의 시공방법 및 그 물품
KR100730917B1 (ko) 배수관 고정장치
KR20230168239A (ko) 도막방수 부착 개선형 드레인
KR20200128836A (ko) 배수관용 악취 차단 트랩
EP2884016B1 (en) Drain with siphon
KR101967854B1 (ko) 배수트렌치 구조
KR101261760B1 (ko) 스테인레스 배수 트랜치
JPH0137008Y2 (ko)
AU752345B1 (en) A device for a waste water outlet
KR101746706B1 (ko) 통패드 바닥구조체가 구비된 조립식 패널수조
JP4861837B2 (ja) 雨水排水装置
EP2216449A1 (en) Drain with inspection hole
KR200481045Y1 (ko) 배수트랩 고정장치
KR20230174782A (ko) 도막방수 탈락 방지 드레인
KR20230002208U (ko) 이중봉수구조를 가지는 배수트렌치
JP3222116B2 (ja) 排水枡の底部構造
JP2021175867A (ja) 基礎上面の水抜き装置及び水抜き方法
KR200476193Y1 (ko) 배수트랜치를 포함하는 연결장치
JP2019210642A (ja) 洗濯機用防水パ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