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70110437A -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70110437A
KR20170110437A KR1020160034822A KR20160034822A KR20170110437A KR 20170110437 A KR20170110437 A KR 20170110437A KR 1020160034822 A KR1020160034822 A KR 1020160034822A KR 20160034822 A KR20160034822 A KR 20160034822A KR 20170110437 A KR20170110437 A KR 201701104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er transmiss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charging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348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69911B1 (ko
Inventor
황회영
백형일
정을영
오세민
황용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아모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아모텍
Priority to KR10201600348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911B1/ko
Publication of KR201701104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104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9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9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02J7/025
    • H04B5/0037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수신 전력 정보들의 전송 간에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정보 전송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시한다. 제시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 외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충전 대상 기기의 무선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2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통신부를 통해 유휴 구간에서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Description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MODULE AND METHOD FOR PROVIDING SERVICE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자동차, 전자기기 등의 무선 충전을 위해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휴대 단말, 전기 자동차 등의 충전 대상 기기의 무선 충전을 지원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케이블의 직접연결을 통해 배터리를 충전하지 않고, 안테나 간의 자기 유도 또는 자기 공진에 의해 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해 사용된다.
무선 전력 전송 기술은 WPC(Wireless Power Consortium)의 Qi, 파워매트의 PMA(Power Matters Alliance) 등에서 사용되는 자기유도방식과, Alliance for Wireless Power(A4WP) 등에서 사용되는 자기공명방식으로 구분된다.
일반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되어, Qi, PMA, A4WP 중에 하나의 방식으로 구성된다. 충전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자기유도방식 또는 자기공명방식을 통해 전력을 전송하고,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전송된 전력을 수신하여 배터리를 충전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내부에서 에러가 발행하면 독자적으로 리셋을 통해 해결하거나, 에러 발생 알람을 통해 사용자에게 통보한다.
하지만, 종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이벤트 발생시 작업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정지시킨 후에 수동으로 점검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실시한다.
이 경우,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가동 중단 시간이 증가하게 되므로, 통신 기능을 내장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이 개발되고 있다.
이에, 종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가동 중단 시간이 다소 감소하였으나, 점검 정보(즉,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상태정보) 전송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시 대용량의 데이터를 송수신해야하기 때문에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충전 가동을 중단한 상태에서 통신이 이루어진다. 즉, 종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 중인 상태에서 점검 또는 펌웨어 업그레이드 등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충전을 중단하고 점검,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처리한다.
그에 따라, 종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중단으로 인한 사용자들의 불만과 충전시간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6-0025200호(명칭: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수신 전력 정보들의 전송 간에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상태 정보 전송 및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수행하도록 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 외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충전 대상 기기의 무선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제어부는 제2통신부를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제1통신부를 통해 유휴 구간에서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이때, 유휴 구간은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전력 정보들 사이의 시간 지연 구간을 의미하고, 제어부는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데이터 전송 시 유휴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외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무선 충전을 위해 접근한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휴 구간에서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유휴 구간은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수신 전력 정보들 사이의 시간 지연 구간을 의미하고,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와이파이 또는 전력선통신을 통해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유휴 구간에서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유휴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단말 등의 무선 충전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 위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만 펌웨어 다운로드 및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보안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 빠르게 옮겨지면 연결된 통신이 단절되므로 보안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PLC 또는 WIFI가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된 장비에서 TCP/IP 또는 UDP를 통하여 외부 접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동래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차량 또는 휴대 단말의 무선 충전을 위해 송전측에 설치되고,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차량 또는 휴대 단말에 설치된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100), 충전 대상 기기와 정보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200), 외부 단말(예를 들면, 관리 서버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300) 및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전력 전송부(100)는 전력 입력 회로(Power Input), 직류 전력 공급 회로(DC Power Supply), 전력 공급 회로(Power Supply), RF 전력 증폭 회로(RF POWER AMPLIFIER), 저역 필터(Low-Pass Filter), 공진회로(RESONATOR)로 구성된다.
전력 전송부(100)는 충전을 위해 충전 대상 기기가 소정 영역 내로 접근하면 해당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수신 모듈은 Advertising Data,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고유정보, 수신 전력 정보, 충전 정보 등의 충전 관련 정보를 송출한다.
제1통신부(200)는 BLE, Zigbee 등과 같이 근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제1통신부(200)는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송출되는 충전 관련 정보를 수신한다. 제1통신부(200)는 수신한 충전 관련 정보를 제어부(400)에게로 전송한다. 여기서, 도 2에서는 제1통신부(200)가 BLE 통신 모듈로 구성되어 전력 전송부(100)에 포함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전력 전송부(100)와 독립된 모듈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1통신부(200)는 MCU의 기능이 내장되어 있는 경우 제어부(400)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통신부(2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통신 연결 요청,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고유 정보, 충천 허가 정보 등의 충전 관련 정보를 송출한다. 이때, 제1통신부(200)는 전력 전송부(100)에서 충전 대상 기기를 충전하는 중에 충전 대상 기기와 충전 관련 정보(즉, 충전 대상 기기의 수신 전력 정보)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제1통신부(2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전송한다. 즉, 제1통신부(200)는 제어부(400)로부터 데이터 전송 요청을 수신하면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전송한다. 이때, 제1통신부(200)는 유휴 구간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한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통신부(200)는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제1통신부(200)는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 후부터 다음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기 전의 시간인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데이터를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거나, 무선 전력 송수신모듈 사이에 기타 데이터를 송수신 한다.
일례로, 제1통신부(200)는 저장부에 저장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유휴구간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이때, 제1통신부(200)는 복수의 데이터로 분할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들을 유휴구간마다 하나씩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물론, 제1통신부(200)는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이 하나로 저장된 경우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유휴구간을 통해 전송할 수 있는 크기로 분할한 후에, 유휴구간마다 분할된 파일을 하나씩 전송할 수도 있다.
그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제1통신부(200)로부터 전송받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저장하고, 모든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한다. 충전 대상 기기는 펌웨어 업데이트시 무선 충전 전송 모듈에게로 업데이트 신호를 전송하고, 무선 충전 전송 모듈은 수신한 펌웨어 업데이트 신호를 제어부(400)에게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30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전력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이 원거리 통신 모듈로 구성된다. 이때, 제2통신부(300)는 원거리 통신 모듈들 중에서 하나 이상의 조합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제2통신부(300)는 원거리에 위치한 외부 단말(예를 들면, 관리 서버 등)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즉, 제2통신부(300)는 관리 서버로부터 상태 정보 요청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00)에게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300)는 관리 서버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신호를 수신하여 제어부(400)에게로 전송한다. 제2통신부(300)는 제어부(400)의 제어에 따라 관리 서버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즉, 펌웨어 파일)를 수신한다. 제2통신부(300)는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부에게로 전송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400)는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할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420), 저장모듈(420)에 저장된 데이터의 전송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모듈(440)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전반적인 동작 제어 및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모듈(460)로 구성된다.
저장모듈(420)은 제2통신부(300)로부터 전송받은 데이터(즉, 펌웨어 파일)를 저장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데이터를 전송하기 때문에 유휴 구간 내에 전송할 수 있는 크기로 데이터를 분할하여 송신한다.
판단모듈(440)은 저장모듈(420)에 저장된 데이터를 근거로 충전 대상 기기로의 데이터 전송 여부를 판단한다. 일례로, 판단모듈(440)은 저장모듈(420)에 펌웨어 업데이트를 위한 데이터가 저장된 경우,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충전 관련 정보를 근거로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판단모듈(440)은 충전 대상 기기의 펌웨어가 저장모듈(420)에 저장된 펌웨어보다 이전 버전인 경우 데이터 전송으로 판단한다.
제어모듈(460)은 판단모듈(440)에서 데이터 전송으로 판단하면 제1통신부(200)에게로 데이터 전송 요청을 전송한다. 즉, 판단모듈(440)에서 충전 대상 기기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하면, 제어모듈(460)은 제1통신부(200)를 제어하여 유휴구간을 통해 저장모듈(420)에 저장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한다.
제어모듈(460)은 제1통신부(200)로부터 펌웨어 업데이트 신호를 수신하면, 충전 전력의 송출을 중단한 후 일정 시간 후에 업데이트 목적으로 충전 전력을 재전송하도록 전력 전송부(100)를 제어한다. 즉, 제어모듈(460)은 충전 대상 기기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완료되기까지 전력 전송부(100)의 충전 전력 송출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모듈(460)은 일정 시간 동안 충전 전력을 재송출하도록 전력 전송부(100)를 제어한다. 제어모듈(460)은 충전 대상 기기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완료하면(즉, 일정시간 동안 충전 전력을 송출하면) 충전 대상 기기로의 충전 전력 송출을 중단한 후 재개하도록 전력 전송부(100)를 제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중 발생하는 유휴구간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즉,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수신 전송 모듈은 무선 전력 전송 모듈(즉, 공진형 무선 전력 송신기)에서 송신 전력을 받아 전력 수신 상태로 진입하면, BLE 메시지를 통하여 주기적으로 수신 전력 정보를 무선 전력 전송 모듈에게 보고한다.
이때, 충전 대상 기기는 수신 전력 정보를 보고 하면서 이전 보고와 현재 보고 사이에 일정 구간의 시간 지연 후 보고를 한다.
이에,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이전 보고와 현재 보고 사이의 시간 지연 구간을 유휴 구간으로 정의한다. 여기서, 유휴 구간은 공진형 무선 충전 스펙에 따라 최대 200ms 이내로 설정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상술한 유휴 구간을 통한 데이터 송수신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무선 충전 이외의 다른 부가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과 동시에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펌웨어 업데이트가 가능하고, 충전 대상 기기와의 데이터 송수신을 통해 부가 정보를 송수신하여 신규 서비스의 창출이 가능하다.
이처럼,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 상태에서 유휴 구간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와 다양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무선 전력 송신기 위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만 펌웨어 다운로드 및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보안성 우수하고, 무선 전력 수신기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 빠르게 옮겨지면 연결된 통신이 단절되므로 보안성 우수하고, PLC 또는 WIFI가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된 장비에서 TCP/IP 또는 UDP를 통하여 외부 접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서비스 창출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유휴 구간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먼저, 도 4에 도시된 일반적은 무선 충전 방법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의 유휴 구간을 정의하면 아래와 같다. 여기서, 도 4에 도시된 무선 충전 방법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기술이므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유휴 구간의 정의에 필요한 단계들을 중심으로 설명한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S10 단계 내지 S75 단계를 수행하여 충전 대상 기기(즉, 수신기)의 무선 충전을 수행한다.
이때,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이 허용되면(S55),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기기의 충전 상태 및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S60).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이 완료될 때까지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소정 주기 간격으로 충전 상태 및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에서 수신 전력 정보들을 수신하는 간격(즉,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주기로 제n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 시점에서 제n+1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시점까지의 시간을 의미)을 유휴 구간으로 정의한다. 즉,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충전 대상 기기(즉, 수신기)로부터 충전 정보 메시지들 간의 지연시간인(즉, x ms)를 유휴 구간으로 정의한다.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이하에서는 유휴구간에서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의 펌웨어 업데이트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첫 번째 충전 정보(즉,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면(S10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펌웨어 정보를 요청한다(S150). 즉,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첫 번째 유휴구간(즉, 제1수신 전력 정보와 제2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사이)에 충전 대상 기기에 설치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이하, 수신기)에게로 펌웨어 정보를 요청한다. 그에 따라, 수신기는 펌웨어 정보를 검출하여 무선 전력 전송 모듈에게로 전송한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펌웨어 정보를 근거로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관리 서버로부터 수신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저장한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저장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버전과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펌웨어 정보에 포함된 펌웨어 버전을 비교하여 수신기의 펌웨어 업데이트 여부를 판단한다.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수신기의 펌웨어 버전이 저장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펌웨어 버전보다 이전 버전이면 수신기의 펌웨어 업데이트로 판단한다. 수신기의 펌웨어 업데이트로 판단하면(S20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기저장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검출한다(S250). 이때, 검출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은 하나의 파일로 구성되거나, 복수의 파일로 분할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검출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크기가 하나의 유휴 구간 내에서 전송 가능한지 판단한다. 즉,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이 단일 파일로 구성된 경우 유휴 구간 내에서 전송이 어렵기 때문에 하나의 유휴 구간 내에서 전송이 불가능하다. 반면,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이 복수의 파일로 분할되어 구성된 경우 유휴 구간 내에서 전송이 가능하다. 이를 근거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한다.
물론,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크기와 전송 속도를 이용하여 전송 시간을 산출하고, 산출한 전송 시간과 유휴 구간(즉, 시간)을 비교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전송 가능 여부를 판단할 수도 있다.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하나의 유휴 구간 내에서 전송이 어려운 것으로 판단하면(S30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복수의 파일로 분할한다(S350).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복수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유휴 구간을 통해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전송한다(S400). 이를 첨부된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다운로드 수신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S410). 즉,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유휴 구간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준비하도록 요청하기 위해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다운로드 수신 준비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그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는 유휴 구간을 이용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다운로드를 준비한 후, 준비가 완료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게로 다운로드 준비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다운로드 준비 완료 신호를 수신하면(S42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각 유휴 구간에 하나의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한다(S430).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들 각각에 설정된 순번(또는 우선순위)에 따라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들을 전송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제n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 후 제m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한다.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제n+1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한 후 제m+1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전송한다. 그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로부터 수신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을 저장한다.
모든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의 전송이 완료되면(S44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펌웨어 업데이트 파일 전송 완료 신호를 전송한다(S450). 그에 따라, 충전 대상 기기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에게로 펌웨어 업데이트 개시 신호를 전송한 후, 재부팅하여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진행한다.
펌웨어 업데이트 개신 신호를 수신하면(S500; 예),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전력 송출을 중단한 후 업데이트 펌웨어 업그레이드를 목적으로 일정시간 전력을 재송출한다(S550). 이때,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충전 대상 기기의 재부팅 시간을 고려하여 지연시간이 지난 후에 소정 시간 동안 충전 대상 기기에게로 전력을 송출한다.
이후,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은 상술한 S10 단계부터 재수행하여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을 재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차량, 단말 등의 무선 충전시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전송하여 펌웨어 업데이트 등과 같은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충전 대상 기기의 충전시 발생하는 유휴 구간을 이용하여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전력 송신기 위에 놓인 무선 전력 수신기 사이에만 펌웨어 다운로드 및 데이터 통신을 하므로 보안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무선 전력 수신기가 다른 무선 전력 송신기에 빠르게 옮겨지면 연결된 통신이 단절되므로 보안성을 최대화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은 PLC 또는 WIFI가 무선 전력 송신기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선 전력 수신기에 연결된 장비에서 TCP/IP 또는 UDP를 통하여 외부 접속이 가능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으나, 다양한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며,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양한 변형예 및 수정예를 실시할 수 있을 것으로 이해된다.
100: 전력 전송부 200: 제1통신부
300: 제2통신부 400: 제어부
420: 저장모듈 440: 판단모듈
460: 제어모듈

Claims (6)

  1.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전력 전송부;
    상기 충전 대상 기기와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1통신부;
    외부 단말과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제2통신부; 및
    상기 충전 대상 기기의 무선 충전 및 데이터 전송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2통신부를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상기 제1통신부를 통해 유휴 구간에서 상기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구간은 상기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되는 수신 전력 정보들 사이의 시간 지연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한 후 데이터 전송 시 유휴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
  4.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외부 단말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
    무선 충전을 위해 접근한 충전 대상 기기로 전력을 전송하는 단계;
    상기 충전 대상 기기로부터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유휴 구간에서 상기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휴 구간은 상기 수신 전력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에서 수신한 수신 전력 정보들 사이의 시간 지연 구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하는 단계에서는 와이파이 또는 전력선통신을 통해 상기 외부 단말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상기 유휴 구간에서 상기 충전 대상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에서는 저장된 데이터를 유휴 구간에서 전송 가능한 크기로 분할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듈을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60034822A 2016-03-23 2016-03-23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4699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22A KR102469911B1 (ko) 2016-03-23 2016-03-23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34822A KR102469911B1 (ko) 2016-03-23 2016-03-23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10437A true KR20170110437A (ko) 2017-10-11
KR102469911B1 KR102469911B1 (ko) 2022-11-23

Family

ID=601390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34822A KR102469911B1 (ko) 2016-03-23 2016-03-23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911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08A1 (ko) * 2019-02-26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CN116185429A (zh) * 2023-05-05 2023-05-30 成都市易冲半导体有限公司 固件升级方法、装置、接收端设备及存储介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83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JP2012518981A (ja) * 2009-02-24 2012-08-16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の充電タイミングおよび充電制御
KR20150102250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투에이치솔루션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50146327A (ko) * 2014-06-23 2015-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25200A (ko)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104835A (ko) * 2007-05-29 2008-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형 전자기기와 충전기 및 이들을 이용한 휴대형전자기기의 자동 동기화 방법
JP2012518981A (ja) * 2009-02-24 2012-08-16 ク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ワイヤレス電力の充電タイミングおよび充電制御
KR20150102250A (ko) * 2014-02-28 2015-09-07 주식회사 투에이치솔루션 보조 배터리 장치를 이용한 무선 충전 시스템
KR20150146327A (ko) * 2014-06-23 2015-12-31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무선 충전 장치와 단말과 서비스 제공 장치, 그를 포함하는 무선 충전 시스템, 그 제어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KR20160025200A (ko) 2014-08-27 2016-03-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무선 충전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75808A1 (ko) * 2019-02-26 2020-09-03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펌웨어 업데이트를 수행하는 장치 및 방법
US11870271B2 (en) 2019-02-26 2024-01-09 Lg Electronics Inc.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firmware update i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CN116185429A (zh) * 2023-05-05 2023-05-30 成都市易冲半导体有限公司 固件升级方法、装置、接收端设备及存储介质
CN116185429B (zh) * 2023-05-05 2023-07-07 成都市易冲半导体有限公司 固件升级方法、装置、接收端设备及存储介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911B1 (ko) 2022-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80832B1 (en) Battery charger status control system and method
US9841970B2 (en) Vehicle control update methods and systems
US9858064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vehicle computing system software updates
US10880404B2 (en) On-vehicle control device and on-vehicle control device information update system
US20190294135A1 (en) Content delivery to vehicle via charging station
US10061574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e vehicle software module reflash
KR101930915B1 (ko) 텔레매틱 서비스들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상응하는 방법
US10312746B2 (en) Power providing equipment, mobile device, operating method of mobile device
CN105210263A (zh) 无线充电装置和终端、包括该无线充电装置和终端的无线充电系统及其控制方法和记录有计算机程序的记录介质
KR20150132353A (ko) 배터리 전류에 인코딩된 메시지에 의한 통신 디바이스에 대한 배터리 모니터의 페어링
CN105074658A (zh) 提供设备特定更新的普遍服务
US20220353726A1 (en) Messaging devices and methods
CN105610978A (zh) 一种资源获取方法、终端及车载终端
JP4121302B2 (ja) 無線データ収集システム,その無線端末
US10638418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transfer connection management
CN112823105B (zh) 用于控制交通工具充电用充电站的方法以及用于此的充电站和交通工具
KR102469911B1 (ko) 무선 전력 전송 모듈 및 이를 이용한 서비스 제공 방법
CN107985593B (zh) 提供充电服务的方法、通信基站、无人机和无人机系统
CN112015441A (zh) 车载终端的更新方法及系统
CN109246166B (zh) 通信方法、装置及无人机
EP2940828B1 (en) A mobile device and power providing equipment for wireless charging
KR102471244B1 (ko) 전기차 대리 충전 서비스 제공 방법
KR101708504B1 (ko) 건설중장비 차량의 정보 전송 방법
CN110399240B (zh) 车用电子装置及针对车用电子装置运作异常的处理方法
KR102077465B1 (ko) 비표준 기술을 사용하는 전기자동차 충전기를 표준화 전기자동차 충전기로 변환시키는 전기자동차 충전용 표준화모듈시스템의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